KR100526570B1 - 예약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항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예약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항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570B1
KR100526570B1 KR10-2001-0001075A KR20010001075A KR100526570B1 KR 100526570 B1 KR100526570 B1 KR 100526570B1 KR 20010001075 A KR20010001075 A KR 20010001075A KR 100526570 B1 KR100526570 B1 KR 100526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servation
navigation
alarm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9915A (ko
Inventor
박인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1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570B1/ko
Publication of KR20020059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5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차량 항법 장치와 차량 항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차량 항법 시스템에 도로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항법을 수행하며, 미리 예약을 통해 도착시간에 대한 알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 및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차량 항법의 예약을 수신하여 알람 및 항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망과 연결되며 각 통신망의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망 접속부와,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통신들에 연결된 각 단말들로부터 예약 정보 수신시 가능 여부를 검사하고 예약의 설정 또는 예약 불가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예약 접수부와, 상기 예약 접수부로부터 수신되는 출발지/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검색하고, 도착 시간 데이터에 따라 교통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색된 경로들의 시간을 출발시각 정보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계산부와, 각 도로에 대한 통계적인 교통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비하고, 교통 정보망과 연결되어 현재시각의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임계값 이상인가를 검사하여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계산부에 교통정보로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는 교통정보 수집부와,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데이터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경로 정보를 저장하며 출발시각이 도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알람 처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차량 항법의 예약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예약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항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SERVICE OF RESERVATION}
본 발명은 항법(navigation)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동하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장치에서 목적지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에 따라 이동 방향을 지시하도록 한다. 상기한 네비게이션 장치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되므로 일반적으로 부피에 제한을 받지 않았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므로 차량에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자체적으로 최적의 경로를 검색한다.
근래에 들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IMT-2000과 같은 시스템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큰 용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특정 이동통신 단말에서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에서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위치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위치를 분석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에서도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들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기존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단지 위치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수시로 변화하는 도로의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만약 시간 약속이 있는 경우 도로의 상황을 정확히 알지 못한 상태에서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시간을 계산하게 된다. 또한 항법장치에서 제공하는 정보 또한 도로의 상황이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공된다. 만일 도로의 상황이 좋은 경우 약속한 시간보다 빨리 도착해서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반대로 도로 상황이 나쁜 경우 예상 시간보다 늦게 도착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사용자의 경험에 미루어 계산하기 때문이다. 즉, 수시로 변화하는 도로의 정보 또는 특정한 날에 따른 도로 평균적인 정보를 모르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시간 계산을 잘못하는 경우나 약속을 망각하게 되는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을 설정하는 경우에 시간이 촉박한 경우 운전을 하면서 네비게이션을 설정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사고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는 경우에 LCD와 같은 표시창이 작아 목적지를 설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적지를 미리 입력하여 알려줄 수 있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적지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이 아닌 다른 장비를 통해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미리 등록하고 출발 시점에서 이를 알려줄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로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는 경우 미리 출발지를 등록하고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도로 교통 정보를 고려한 출발시각의 알람을 수신하고 도로정보를 고려한 최적화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차량 항법의 예약을 수신하여 알람 및 항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망과 연결되며 각 통신망의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망 접속부와,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통신들에 연결된 각 단말들로부터 예약 정보 수신시 가능 여부를 검사하고 예약의 설정 또는 예약 불가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예약 접수부와, 상기 예약 접수부로부터 수신되는 출발지/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검색하고, 도착 시간 데이터에 따라 교통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색된 경로들의 시간을 출발시각 정보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계산부와, 각 도로에 대한 통계적인 교통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비하고, 교통 정보망과 연결되어 현재시각의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임계값 이상인가를 검사하여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계산부에 교통정보로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는 교통정보 수집부와,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데이터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경로 정보를 저장하며 출발시각이 도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알람 처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항법 안내 서비스의 예약 및 예약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로서, 이동통신 단말의 무선 신호와 항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무선부와, 상기 무선부의 신호 중 항법 서비스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항법 센서부와, 음성 호의 신호의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항법 예약을 위한 제어와 항법 신호 수신에 따른 표시 정보 및 음성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지도 데이터 및 항법 서비스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제공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항법 표시 및 이동통신 단말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차량 항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항법 시각 정보 및 항법 정보의 제공에 대한 예약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예약 서비스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현재시각과 예약 요구 시각을 검사하여 예약 가능 정보인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예약이 가능한 서비스인 경우 목적지 정보와 출발지 정보 및 도착 시각 정보에 맞추어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및 출발시각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출발시각 정보를 검사하여 예약이 가능한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예약이 가능한 경우 경로 정보와 출발시각 정보를 저장하여 예약을 완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차량 항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항법 시각 정보 및 항법 정보의 제공에 대한 예약을 설정된 경우 알람 정보 및 항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알람 테이블을 검사하여 알람을 송출할 필요가 있는 필드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하는 제1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알람을 송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출발의 임박을 알리기 위한 알람 시각인가를 검사하는 제2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출발의 임박을 알리기 위한 알람 정보인 경우 출발 임박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지정된 단말로 임박 메시지를 송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검사결과 출발시각 알람 정보인 경우 출발시각 알람 정보를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예약 서비스 제공을 수행할 수 있는 항법 시스템 및 그 망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예약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항법 시스템 및 그 망의 구성과 망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10)은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와 예약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단말로 기지국(11)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들(11, 12)은 이동통신 시스템 및 GPS 정보를 송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지국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즉, 실제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GPS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GPS 신호를 별도로 송신하기 위한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도 1에서는 이를 구분하여 도시하지 않고 설명하도록 한다. 차량 등에 부착되는 네비게이션 장치(20)도 본 발명에 따라 예약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단말의 구성은 후술되는 도 2의 설명에서 기본적인 구성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기지국들(11, 12)은 이동 통신망(30)과 연결되며, 본 발명에 따른 예약 정보 수신시 교통정보 제공센터(40)로 예약 정보를 송신한다. 교통정보 제공센터(40)는 예약 정보를 수신하여 예약 가능 여부를 검사한 후 예약 가능한 경우에 이를 예약하며, 예약이 불가능한 경우 예약 불가능에 따른 정보를 수신된 망으로 통지한다. 또한 예약이 이루어진 경우 예약 알람 신호를 발생하여 이동 통신망(30)으로 송신하여 예약 시간을 알린다. 상기 교통정보 제공센터(30)는 교통 정보망(60)으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집하며, 과거의 통계자료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비한다. 즉, 월별 정보와, 날자별 정보, 시간대별 정보, 요일별 정보, 거지별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어 이를 토대로 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교통정보 제공센터(40)는 인터넷망(50)을 통해 연결되며, 소정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예약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교통 정보 제공 센터(40)의 기본적인 구성 및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되는 블록 구성도 및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인터넷망(50)은 교통정보 제공센터(40)와 개인용 컴퓨터(70)를 연결하며 인터넷 프로토콜에 의해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교통 정보망(60)은 교통정보 상황실 또는 도로의 교통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소정 시스템들과 연결되어 각 도로의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취합한 후 이를 교통정보 제공센터(40)로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비게이션의 예약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 블록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11)는 네비게이션의 예약이 가능한 단말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 겸용 단말기인 경우 이동통신 서비스의 전반적인 제어와 함께 네비게이션 예약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의 생성 및 전송 시의 제어와 예약 알람 신호 수신 시의 동작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 무선부(112)는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네비게이션 신호와 이동통신 시스템의 신호를 구분하여 처리한다. 이를 상술하면, 무선부(112)에서 처리된 신호가 만일 네비게이션 신호일 경우 무선부(112)는 네비게이션 센서부(113)로 출력하며 동시에 네비게이션 정보임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이와 달리 무선부(112)에서 처리된 신호가 이동통신 시스템의 신호인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111)로 출력하며, 동시에 음성 처리부(114)로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음성 처리부(114)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는 수신된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인 경우이며, 만일 문자 데이터 또는 동영상 데이터 등인 경우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114)는 무선부(112)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 및 신장하여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또한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된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음성 처리부(114)에서 압축 및 코딩하여 무선부(112)로 출력한다.
표시부(115)는 제어부(115)의 제어에 의해 이동통신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의 동작 상태에 따른 표시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비스의 예약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예약을 수행하는 과정이 표시된다. 뿐만 아니라 예약 이후 네비게이션 서비스가 수행되는 중에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진행 경로 및 방향에 따른 정보를 표시하며, 예약 알람 신호의 표시 등이 이루어진다. 키 입력부(116)는 키 매트릭스 구조를 가지며,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각종 기능 키 및 본 발명에 따라 네비게이션 예약을 위한 기능 키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116)은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메모리(117)는 이동통신 단말로 동작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영역과, 네비게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지도 데이터 저장 영역 및 제어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영역 등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도 데이터 저장 영역은 필요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 또는 CD-ROM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외부 메모리 접속 장치를 더 구비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교통정보 제공센터의 기능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 제공센터의 기능블록 구성 및 각 블록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망 접속부(210)는 상기 도 1의 이동 통신망(30)과 인터넷망(50)과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예약 접속부(211)로 출력하며, 알람 처리부(214)로부터 알람 메시지 송출 시에 이동 통신망(30)으로 알람 메시지를 전달한다. 따라서 망 접속부(210)는 상기 이동 통신망(30)과 인터넷망(5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약 접수부(211)는 망 접속부(210)로부터 수신되는 예약에 따른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통신망(210)으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와 인터넷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경우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이동 통신망(30)으로부터 수신되는 경우는 출발지와 목적지 및 경유지와 도착 요구 시간 등의 데이터가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와 함께 수신된다. 그러나 인터넷망(5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접속 신호가 수신되므로 만일 초기 페이지 정보를 인터넷망(210)을 통해 단말로 전달한다. 그리고 접속 요구가 있을 경우 기재해야 할 정보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예약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 상기 예약 접수부(211)로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예약이 접수되는 경우와 인터넷 단말로부터 예약이 접수되는 경우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예약 접수부(211)는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를 검사하여 서비스에 등록된 단말인가를 검사한다. 따라서 상기 예약 접수부(211)는 등록된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해야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하지 않고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예약 접수부(211)는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목적지 정보와 출발지 정보 및 도착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계산부(212)로 출력하여 계산을 수행한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예약 요구 신호가 수신된 시각이 12월 11일 오후 2시이고, 도착 희망 시간이 12월 10일 오후 5시인 경우 이전 날자가 되므로 예약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는 년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년도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년도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위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예약 여부를 1차적으로 검사한다. 상기 1차 검사 결과 예약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예약 접수부(211)는 이후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망 접속부(210)를 통해 예약 불가능을 알리기 위한 예약 확인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로 전달한다.
그런 후 1차 검사결과 예약이 가능한 경우 상기 예약 접수부(211)는 수신된 데이터를 계산부(212)로 전달하여 계산을 요구한다. 그리고 계산부(212)로부터 수신된 계산 결과에 따라 예약 가능 여부를 다시 검사한다. 이는 거리 및 도로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계산된 값에 의거하여 예약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계산된 값이 만일 예약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예약 접수부(211) 이를 망 접속부(210)를 통해 다시 예약 확인 메시지에 예약 불가능을 알린다. 그러나 예약 가능인 경우 예약 가능을 상기 예약 확인 메시지에 포함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예약이 가능한 경우 예약 접수부(211)는 알람 처리부(214)에 알람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한다. 이때 전달되는 데이터는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목적지 정보, 출발지 정보, 경유지 정보 및 경로 데이터와 1차 알람시간 및 2차 알람시간이 된다. 1차 알람시간과 2차 알람시간은 상기 계산부(212)에 의해 계산된 데이터이며, 출발시간 10분전 또는 30분전의 데이터로 출발시간이 임박했음을 알리는 알람정보이며, 2차 알람시간은 출발해야 하는 시각의 정보가 된다.
다음으로 인터넷 통신을 통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인터넷 단말을 통해 접속이 요구되는 경우 예약 접수부(211)는 초기 화면에 대한 데이터를 망 접속부(210)로 출력하여 인터넷 프로토콜에 의해 개인용 컴퓨터인 단말로 전달한다. 그런 후 단말로부터 망 접속부(210)를 통해 예약 서비스가 요구되는 경우 예약에 필요한 기본적인 조건에 대한 데이터를 망 접속부(210)를 통해 인터넷망(50)으로 출력한다. 이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에서 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예약 서비스를 요구가 존재하는 경우 조건식을 개인용 단말로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초기 화면에서 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조건은 등록번호 또는 등록자 비밀번호 등이 되거나 사용자의 휴대단말 번호 및 비밀번호와 함께 목적지 주소, 출발지 주소, 경유지 도착시각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건에 대한 값들을 설정하고 이를 교통정보 제공센터(40)로 전달하면, 이는 인터넷망(50)을 통해 망 접속부(210)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조건에 대한 정보가 망 접속부(210)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예약 접수부(211)는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약의 가능 여부를 검사한다. 이는 상술한 1차 검사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1차 예약이 가능한 상태로 검사되면 상기 예약 접수부(211)는 설정 가능한 경로들을 검사한다. 이때 경로는 2 이상의 경로가 될 수도 있다. 즉, 지도상으로 최적의 경로일지라도 시간적으로 최적의 경로가 아닐 수 있으므로 몇가지의 경로를 설정한다. 그런 후 각 경로에 대한 정보를 계산부(212)로 출력하고 계산을 요구한다. 이와 같이 계산이 이루어지면 상기 예약 접수부(211)는 계산부(212)로부터 수신된 계산된 값을 망 접속부(210)를 통해 개인용 컴퓨터 단말로 전달한다. 또한 이때 2차적으로 예약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예약 불가능을 알리기 위한 예약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망 접속부(210)를 통해 개인 컴퓨터 단말로 전달한다.
이와 달리 2차 검사결과에 따라서도 예약이 가능한 경우 예약이 가능한 경로들에 대한 데이터를 개인용 단말로 전달한다. 이때 전달되는 값은 최소의 시간에 대한 경로만을 전달할 수도 있으며, 계산이 이루어진 모든 경로들을 제공할 수도 있고, 거리상으로 최적의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가 선택하여 수신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시스템적으로 미리 하나의 정보 또는 둘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만일 2 이상의 값을 사용자 컴퓨터 단말로 전달하는 경우 상기 제공된 값들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예약이 이루어지면 상기 예약 접수부(211)는 예약된 데이터를 알람 처리부(214)로 전달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계산부(212)는 예약 접수부(211)로부터 수신되는 자료에 의해 도착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계산하며, 이때 계산은 사용자가 도착을 요구한 시간에 최소 여유시간 등을 산출하여 계산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로의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정보 수집부(213)로부터 현재 도로의 상황과 과거 통계자료 등을 이용하여 현재의 상태를 파악하고, 그 결과 통계자료와 소정의 임계값 이상 상이한 경우 현재 취합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계산된 값은 1차 알람 시간과 2차 알람시간으로 구분하여 출력된다. 또한 상기 계산부(212)는 교통정보 수집부(213)로부터 재 계산이 요구되는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경로를 경유하도록 계산된 예약 정보들의 계산을 다시 수행하며, 이를 알림 처리부(214)에 저장한다. 상기 재 계산이 요구되는 데이터는 교통사고 또는 화재 등과 같은 재난 또는 도로의 개축 및 보수 공사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된 경로로 운행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운행소요 시간이 임계 시간보다 매우 크게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된다.
교통정보 수집부(213)는 현재 도로의 교통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며, 이를 이용한 과거 통계자료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가진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월별, 요일별, 특정 날자별, 시간대별 등으로 구분하여 저장되며, 현재 자료와의 임계 값 등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수신된 데이터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를 상기 계산부(212)로 전달하며,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계산부(212)에서 계산 시에 사용하는 데이터가 된다.
알람 처리부(214)는 예약이 이루어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1차 및 2차 예약 시간을 검사하여 알람 처리 여부 등을 검사한다. 이를 상술하면 만일 예약된 특정 이동통신 단말로 알람이 필요한 경우에 알람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망 접속부(210)를 통해 해당하는 망으로 전달한다. 이때 알람의 요구가 일반적인 전화번호로 구성된 경우 교환망을 통해 일반적인 전화 호를 수행하도록 하며, 이동통신 단말인 경우 이동 통신망(30)과 접속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한다. 이때 이동 통신망(30)을 이용하는 경우 단문 메시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음성 안내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사용자 단말이 소정의 망을 통해 교통신호 제공센터에 알람 서비스의 설정 및 알람 정보 제공의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알람 서비스의 설정 및 알람 정보를 송출하는 메시지 등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이 300단계에서 예약 서비스 요구 메시지를 송신하면 교통정보 제공센터(40)는 이를 수신하고, 310단계에서 예약이 가능한가를 확인한다. 그리고 예약이 가능한 경우 예약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예약 서비스를 요구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요구할 수도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예약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조건에 대한 정보를 교통정보 제공센터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교통정보 제공센터(40)는 예약 접수부(211)에서 예약 접수 여부를 1차 검사한다. 그리고 1차 검사결과 예약이 가능한 경우 계산부(212)를 통해 계산을 수행하여 예약 여부를 검사한다. 이와 같이 계산이 이루어지면 2차 예약 여부를 검사한 후 예약이 가능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분된다. 예약이 가능한 경우에는 예약된 정보를 알람 처리부(214)로 전달하여 저장한다. 즉 예약을 설정한다. 그러나 예약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는 예약의 설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교통정보 제공센터(40)는 예약 여부에 따라 예약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32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로 전달한다. 상기 예약 확인 메시지는 예약 가능 또는 예약 불가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달된다. 만일 예약이 불가능한 경우 다시 예약을 위하여 300단계부터 다시 수행해야 한다.
예약이 이루어진 후 상기 교통정보 제공센터(40)는 330단계에서 1차 알람시간이 도래하였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1차 알람시간이 도래한 경우 340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계속 검사를 수행한다. 1차 알람시간이 도래한 경우 상기 교통정보 제공센터(40)는 340단계에서 1차 알람을 알리기 위한 전화 호출을 수행한다. 이때 만일 인터넷 단말을 이용하여 접속이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가 1차 전화 호출을 요구한 번호로 예약정보를 알릴 수 있다. 이를 상술하면 만일 사용자가 일반 전화번호로 예약정보의 알람을 요구한 경우 일반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수행하고 통화루프가 형성되면 음성 안내메시지를 송출하여 1차 정보를 알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런 후 상기 교통정보 제공센터(40)는 350단계로 진행하여 2차 알람시간이 도래하였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2차 알림시간이 도래한 경우 360단계로 진행하여 전화 호출을 수행하여 2차 알람정보를 송출한다. 이때에도 1차 정보와 같은 방법으로 호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1차 호출은 예약시간에서 여유시간을 고려한 값이 되며, 2차 호출은 정확한 출발시각에 대한 정보가 된다. 즉, 사용자가 오후 5시까지 소정 목적지까지 도착하고자 하는 경우에 출발시각이 3시로 결정된 경우 1차 호출은 미리 10분 내지 30분 정도의 여유시간을 두고 1차 호출을 수행하고, 정확한 출발시각에 2차 호출을 수행한다. 이후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면서 네비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교통정보 제공센터에서 예약이 이루어지는 과정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약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5는 이동통신 단말에 따른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인터넷 단말을 통해 접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하여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교통정보 제공센터(40)는 4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4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망 접속부(210)로부터 예약 서비스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예약 서비스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404단계로 진행하고 예약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400단계의 대기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상기 예약 서비스 요구 메시지는 출발지/목적지/도착시간/경유지 등의 정보가 된다. 또한 상기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에게만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 인증을 위한 신호가 함께 수신된다. 이와 같이 출발지/목적지/도착시간/경유지 등의 정보가 바로 수신되는 경우는 이동통신 단말인 경우에 수행되는 것이다.
그러면 인터넷 단말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인터넷 단말이 접속되면 상기 교통정보 센터(40)는 초기 화면에 대한 정보를 송신한다. 이와 같은 초기 정보는 예약 접수부(211)에서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처리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초기 데이터를 송신한 후 예약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필수 입력 사항에 대한 정보와 지도 데이터 등을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필수 입력사항을 기재하고 인터넷 단말을 통해 전송한다. 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에서 송신되는 것과 같이 예약 서비스 요구 메시지가 수신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교통정보 제공센터(40)는 404단계로 진행하면 가입자의 인증에 대한 검사를 수행한다. 이는 예약 접수부(211)에 구비되어 있는 가입자의 인증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의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교통정보 제공센터(40)는 406단계에서 인증이 이루어졌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거사결과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교통상황 정보센터(40)의 예약 접속부(211)는 410단계로 진행하고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4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교통정보 제공센터(40)의 예약 접수부(211)는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인증불가에 따라 더 이상 제어 과정을 진행하지 않으며 인증거부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단말로 전달한다. 즉, 인터넷 단말인 경우 인터넷망(50)을 통해 전달하며, 이동통신 단말인 경우 이동 통신망(30)을 통해 전달한다.
이와 달리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교통정보 제공센터(40)의 예약 접수부(211)는 410단계로 진행하여 예약이 가능한가에 대한 1차 검사를 수행한다. 상기 1차 검사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시각 정보와 요구 시각 정보를 검사하여 예약의 가능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다. 상기 410단계는 예약 프로그램 제어 과정에 포함하지 않고 구성할 수도 있으며,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시스템의 부하 상태 등에 따라 적절히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교통정보 제공센터(40)의 예약 접수부(211)는 412단계에서 예약이 가능한 경우 414단계로 진행하며, 예약이 불가능한 경우 418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예약이 가능한 경우를 설명한다. 예약이 가능한 것으로 검사되는 경우 상기 교통정보 제공센터(40)의 예약 접수부(211)는 414단계에서 예약 가능에 대한 2차 검사의 수행을 상기 계산부(212)로 요구한다. 이때 계산부(212)로 전달되는 값은 출발지/목적지/도착시간 및 여유시간에 대한 정보가 된다. 이와 같은 여유시간의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으며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시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계산부(212)는 수신된 데이터와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로를 검사한다. 이때 경로는 적어도 2 이상의 경로를 선택하여 시간을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된 경로에 대하여 교통정보 수집부(213)에 각 종류별로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을 산출한다. 상기 종류는 월별, 일자별, 요일별, 시간대별 정보가 된다. 또한 특정한 지역에 소정 임계치 이상의 정체/지체 또는 소통원활에 대한 정보가 있을 경우 이를 토대로 시간을 계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값들을 이용하여 도착시간부터 역으로 구간별 시간을 계산하여 최적의 경로를 검색하여 출발시각에 대한 정보와 경로에 대한 정보를 예약 접수부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예약 접수부는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약이 가능한가를 다시 검사한다. 즉, 출발시각이 현재시각보다 이전인 경우 예약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출발시각으로 계산된 시각이 오전 10시이고, 현재시각이 오전 11시인 경우 예약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예약 접수부(211)는 416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이때 여유시간을 고려하여 계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착 여유시간을 10분 정도 설정한 경우 도달시간을 10분 앞당겨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예약 접수부(211)는 416단계에서 상기 출발시각 정보와 현재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이 가능한 경우 420단계로 진행하고 예약이 불가능한 경우 41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예약 접수부(211)는 418단계로 진행하면 예약 불가능에 대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320단계에 도시한 예약 확인 메시지에 예약 불가능에 대한 통보를 수행한다. 만일 인터넷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약 불가능 통보를 행한 경우 다시 데이터를 수신하여 410단계로 진행하도록 구성한다. 즉, 재 입력된 데이터만을 가지고 인증처리 없이 1차 예약 검사 및 2차 예약 검사만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예약이 가능하여 420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예약 접수부(211)는 수신된 경로 데이터와 계산된 시간 데이터를 알람 처리부(214)에 저장한다. 그리고 424단계로 진행하여 예약 완료에 따른 예약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예약 확인 메시지는 도 4에 도시한 320단계의 메시지와 같다. 만일 인터넷 단말을 사용하여 상기 다수개의 경로와 계산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한 데이터 중 하나의 경로에 대하여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한 후 예약이 완료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인터넷 단말인 경우에도 이와 같이 예약이 완료되면 예약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송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교통정보 제공센터에 예약이 설정된 경우 예약의 알람 및 네비게이션 수행에 따른 정보 제공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약이 이루어진 후 알람 제공 과정 및 네비게이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알람 처리부(214)는 5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502단계로 진행하여 예약 저장 요구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예약 저장 요구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5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데이터는 하기 <표 1>과 같은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도 5에서 420단계에서 저장되는 데이터가 된다.
가입자 번호 호출번호 1차 호출 2차 호출 경로 데이터 기타
00001 011-111-1111 12월 12일 오후 3시 30분 12월 12일오후 3시 40분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표 1>을 알람 테이블이라 칭한다. 상기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호출 시간과 2차 호출시간을 가지며, 호출 번호의 정보와 가입자의 번호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가입자 번호는 서비스에 가입된 각 가입자마다 부여되는 고유 번호가 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가입자 번호는 호출 예약이 이루어진 순번에 대한 번호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만일 1차 호출과 2차 호출을 요구한 전화번호가 다르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각 호출에 대한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영역을 더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502단계에서 예약 저장 요구신호가 수신되지 않아 506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표 1>과 같은 알람 테이블의 1차 및 2차 호출 시각 정보를 검사한다. 그리고 508단계로 진행하여 알람이 필요한 필드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한다. 즉, 현재 시각과 같은 알람 시각을 가진 필드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알람이 필요한 경우 510단계로 진행하고, 알람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500단계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알람 처리부(214)는 510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알람이 필요한 필드가 1차 알람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1차 알람이 필요한 경우 512단계로 진행하며, 2차 알람이 필요한 경우 5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알람 처리부(214)는 512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1차 알람에 대한 정보를 송출한다. 이때 만일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가 아닌 다른 번호로 알람이 요구된 경우 다른 번호로 알람 메시지를 송출하도록 제어한다. 이동통신 단말인 경우 미리 약정된 방법으로 알람 메시지를 송출한다. 이때 송출되는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만일 문자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우 목적지, 도착지의 메시지와 함께 출발 10분전입니다. 라는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음성 메시지로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한 문자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통화링크가 형성되면 이를 송출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해 1차 호출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510단계의 검사결과 2차 호출이 필요한 경우 상기 알람 처리부(214)는 514단계로 진행하여 2차 알람 메시지를 송출한다. 이때는 상기 1차 알람 메시지와 같은 형식으로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내용에 있어서는 현재 출발시각임을 알리도록 구성함으로서 2차 메시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차 알람을 송출한 후 상기 알람 처리부(214)는 516단계로 진행하여 목적지에 따른 항법 안내를 수행한다. 이러한 항법 안내는 상기 <표 1>에 저장된 경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면서 목적지까지 안내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알람 처리부(214)는 518단계로 진행하여 항법 안내가 종료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항법 안내가 종료되는 경우 520단계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51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알람 처리부(214)는 항법 안내가 종료되어 518단계에서 520단계로 진행하면 예약 테이블에서 해당하는 필드를 삭제한다. 그리고 다시 500단계의 대기상태로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교통정보 제공센터에 목적지 정보와 출발지 정보 및 도착시간의 정보를 미리 등록하고, 출발시간이 되면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함으로써 출발 시간을 경험적으로 계산하지 않고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항법 정보가 도로의 상황을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최적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 뿐 아니라 다른 종유의 단말들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예약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예약 서비스 제공을 수행할 수 있는 항법 시스템 및 그 망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비게이션의 예약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교통정보 제공센터의 기능블록 구성도,
도 4는 사용자 단말이 소정의 망을 통해 교통신호 제공센터에 알람 서비스의 설정 및 알람 정보 제공의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교통정보 제공센터에서 예약이 이루어지는 과정의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교통정보 제공센터에 예약이 설정된 경우 예약의 알람 및 네비게이션 수행에 따른 정보 제공시의 제어 흐름도.

Claims (15)

  1. 차량 항법의 예약을 수신하여 알람 및 항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망과 연결되며 각 통신망의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망 접속부와,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통신들에 연결된 각 단말들로부터 예약 정보 수신시 가능 여부를 검사하고 예약의 설정 또는 예약 불가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예약 접수부와,
    상기 예약 접수부로부터 수신되는 출발지/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검색하고, 도착 시간 데이터에 따라 교통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색된 경로들의 시간을 출발시각 정보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계산부와,
    각 도로에 대한 통계적인 교통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비하고, 교통 정보망과 연결되어 현재시각의 교통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임계값 이상인가를 검사하여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계산부에 교통정보로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는 교통정보 수집부와,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데이터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경로 정보를 저장하며 출발시각이 도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출발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알람 처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항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는,
    목적지 정보와 출발지 정보를 바탕으로 지도적인 최적의 경로 이외의 다른 경로들을 적어도 하나 이상 검색하여 도착시간을 함께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데이터 중 소요시간이 짧은 데이터를 경로로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항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접수부는,
    인터넷 단말로부터 예약 서비스가 요구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검색된 경로들을 모두 제공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경로를 항법 경로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항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처리부는,
    여유시간에 대한 1차 알람 시각 정보와 2차 알람 시각 정보를 함께 구비하여 각 알람 시각마다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설정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항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교통정보 수집부에 저장된 교통정보는,
    각 도로에 대한 교통정보를 월별, 요일별, 날자별 및 시간대별로 통계화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예약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항법 시스템.
  6. 항법 안내 서비스의 예약 및 예약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의 무선 신호와 항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무선부와,
    상기 무선부의 신호 중 항법 서비스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항법 센서부와,
    음성 호의 신호의 처리를 수행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항법 예약을 위한 제어와 항법 신호 수신에 따른 표시 정보 및 음성 안내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지도 데이터 및 항법 서비스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제공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항법 표시 및 이동통신 단말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 안내 서비스의 예약 및 예약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항법 안내 서비스 시스템으로 예약 요구 메시지 송출 시에 발신번 정보를 함께 송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 안내 서비스의 예약 및 예약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 장치.
  8. 차량 항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항법 시각 정보 및 항법 정보의 제공에 대한 예약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예약 서비스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현재시각과 예약 요구 시각을 검사하여 예약 가능 정보인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예약이 가능한 서비스인 경우 목적지 정보와 출발지 정보 및 도착 시각 정보에 맞추어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및 출발시각 정보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출발시각 정보를 검사하여 예약이 가능한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예약이 가능한 경우 경로 정보와 출발시각 정보를 저장하여 예약을 완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항법 시각 정보 및 항법 정보의 제공에 대한 예약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서비스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항법 시각 정보 및 항법 정보의 제공에 대한 예약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예약이 불가능한 경우 예약 불가능 정보를 예약 확인 메시지에 삽입하여 단말로 통보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항법 시각 정보 및 항법 정보의 제공에 대한 예약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서비스 요구 메시지는,
    이동통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출발지/목적지/출발시각 및 여유시간 등의 정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서 항법 시각 정보 및 항법 정보의 제공에 대한 예약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 서비스 요구 메시지에 1차 알람 메시지 송출 시각에 수신할 전화번호를 더 구비하여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에서 항법 시각 정보 및 항법 정보의 제공에 대한 예약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13. 차량 항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항법 시각 정보 및 항법 정보의 제공에 대한 예약을 설정된 경우 알람 정보 및 항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알람 테이블을 검사하여 알람을 송출할 필요가 있는 필드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하는 제1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알람을 송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출발의 임박을 알리기 위한 알람 시각인가를 검사하는 제2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출발의 임박을 알리기 위한 알람 정보인 경우 출발 임박을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지정된 단말로 임박 메시지를 송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검사결과 출발시각 알람 정보인 경우 출발시각 알람 정보를 송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항법 시각 정보 및 항법 정보의 제공에 대한 예약을 설정된 경우 알람 정보 및 항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시각 알람정보를 송출한 이후 이동 경로에 따른 항법 안내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항법 시각 정보 및 항법 정보의 제공에 대한 예약을 설정된 경우 알람 정보 및 항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 안내가 종료되면 상기 알람 테이블의 상기 항법 정보를 제공한 필드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항법 시각 정보 및 항법 정보의 제공에 대한 예약을 설정된 경우 알람 정보 및 항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001-0001075A 2001-01-09 2001-01-09 예약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항법 시스템 및 방법 KR100526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075A KR100526570B1 (ko) 2001-01-09 2001-01-09 예약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항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075A KR100526570B1 (ko) 2001-01-09 2001-01-09 예약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항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915A KR20020059915A (ko) 2002-07-16
KR100526570B1 true KR100526570B1 (ko) 2005-11-03

Family

ID=2769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075A KR100526570B1 (ko) 2001-01-09 2001-01-09 예약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항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5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297B1 (ko) * 2004-07-21 2006-12-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단말기로의 위치 정보 제공 방법
KR100705213B1 (ko) * 2005-04-08 2007-04-0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네비게이션시스템의 경로 선택 방법
KR101065446B1 (ko) * 2010-08-23 2011-09-19 한국교통연구원 도로교통 관리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록매체, 도로교통 관리서버장치, 도로교통정보 수신방법, 및 도로교통정보 수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915A (ko) 200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09294B (zh) 信息处理装置和行动预测显示方法
US6956504B2 (en) Transport vehicle service guiding system, transport vehicle service guiding method, and transport vehicle service guiding program
JP4431582B2 (ja) 携帯電話機
JP2006234813A (ja) 大衆交通情報案内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EP1237389A2 (en) Method and system for avoiding location update by mobile terminals being in a train and corresponding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JP389133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EP1244085A2 (en) Information assisting system and apparatus
JPH11187456A (ja) 情報交換システム
US20070191027A1 (en) Method for identifying appropriate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s
US8150389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response message transmitting method
KR20080078927A (ko) 무선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강제배차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2003179542A (ja) 降車駅案内システム
JP2000105896A (ja) 自動車の駐車場総合サービスを行う方法、及び装置
JP4755031B2 (ja) 位置管理方法、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526570B1 (ko) 예약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항법 시스템 및 방법
JP4113108B2 (ja) 移動局位置の相互確認システム
KR100507232B1 (ko) 택시의 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2871B1 (ko) 택시위치정보를 이용한 택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CN101883311A (zh) 自动发送当前器件位置信息的无线跟踪装置及其方法
WO2000013036A1 (en) Mobile terminal navigational assistance service
JP2005130187A (ja) 移動通信端末
JP2003090733A (ja) 経路検索サーバ、経路探索方法、経路案内端末および経路案内システム
KR20040009512A (ko)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이동경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10103357A (ko) 지역 종합정보 제공 시스템
US20050216286A1 (en) Transmitting graphical represen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