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263B1 - 봉함구 - Google Patents

봉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263B1
KR100526263B1 KR10-2003-0003243A KR20030003243A KR100526263B1 KR 100526263 B1 KR100526263 B1 KR 100526263B1 KR 20030003243 A KR20030003243 A KR 20030003243A KR 100526263 B1 KR100526263 B1 KR 100526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ar
filament
sealing
sealing tool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182A (ko
Inventor
우에노히데유끼
고또아끼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테꾸스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테꾸스, 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테꾸스
Publication of KR2003006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2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7/00Affixing ta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09F3/037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tie-wrap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65D63/1027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9/00Articles joined together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without the use of packag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4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strings, straps, chains, or wi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Separable, striplike plural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48Seals
    • Y10T292/4945Rigid shackle ends
    • Y10T292/496Resilient engag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48Seals
    • Y10T292/497Resilient shackle ends
    • Y10T292/499Resilient enga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작업자가 발사 장치에 용이하게 셋트할 수 있는 동시에 잼의 발생이 적은 봉함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봉함구는, 필라멘트부(5)와, 이 필라멘트부(5)의 한쪽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적절한 걸어맞춤부를 갖는 삽입 관통 헤드부(6)와, 상기 필라멘트부(5)의 다른 쪽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를 불가역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소켓부(8)로 구성된 단일체의 봉함구(20)를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필라멘트부(5)가 서로 평행하게 인접하여 배열됨과 동시에,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복수 개의 삽입 관통 헤드부(6) 혹은 그 근방부와 상기 복수 개의 소켓부(8) 혹은 그 근방부는, 각각 개별로 마련된 접속 바아부(11, 11`)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봉함구(4)로서, 상기 개개의 접속 바아부(11, 11`)는 서로 근접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접속 바아부(11, 1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더욱이 상기 필라멘트부(5)는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만곡형부(21)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부(22)가 상기 접속 바아부(11, 11`)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거나 혹은 소정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봉함구{Fastening element}
본 발명은 의류품, 구두, 가방 등의 상품에 브랜드 라벨, 가격표, 소재 설명서, 사용 설명서 등의 태그를 부착하여 봉함하는 봉함구(封緘具)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상품에 대하여, 상기 태그를 부착하는 전용 장치(건)에 셋트하기 쉬운 봉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품, 여성용 부츠, 샌달, 구두 등을 결속시키거나, 해당 상품에 브랜드 라벨, 가격표 등을 부착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봉함구(4)가 이용되어 왔다.
도 5에 있어서 봉함구(4)는 복수 개의 단위 봉함구(20)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일체적으로 고정 유지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개개의 상기 단위 봉함구(20)의 구성의 일례를 도 6에 도시한다.
즉,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개개의 단위 봉함구(20)의 구성은, 태그를 통해서 루프를 형성하는 필라멘트부(5), 이 필라멘트부(5)의 일단에 마련되고, 적절한 단차걸림부(9)를 갖는 삽입 관통 헤드부(6), 및 필라멘트부(5)의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7)을 가지며 또한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의 상기 단차걸림부(9)와 걸어 맞추어져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를 불가역적으로 걸리게 하는 블레이드부(19)를 갖는 소켓부(8)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복수 개의 단위 봉함구(20)는 상호 평행한 상태로 2개의 접속 바아부(11, 11`)에 가고정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봉함구(4)의 예는, 바람직하게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일체 성형되고, 특히 필라멘트부(5)는 연신되어 있어, 인장에 대한 내성이 강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가 상기 소켓부(8)의 상기 구멍부(7)를 관통하면, 상기 소켓부(8)의 상기 구멍부(7) 내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블레이드부(19)가 밀려 벌어지고, 이에 의해 삽입 관통 헤드부(6)의 상기 단차걸림부(9)가 상기 블레이드부(19)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가 상기 소켓부(8) 내에 불가역형으로 고정되고, 루프형의 라벨 부착 상태가 완성되어 봉함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이러한 봉함구(4)는,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전용 봉함구 발사 장치(장착 건)(10)에 장전되어, 레바를 당김으로써 부츠, 샌달이나 구두의 결속뿐만 아니라, 브랜드 라벨이나 상품의 사용법을 기록한 태그(T)를 상품에 고정시키는 것에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봉함구(4)에서는 필라멘트부(5)를 포함하는 전체가 단순히 평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봉함구(4)를 상기 장착 건(10)에 장전할 때는, 소켓부(8)와 삽입 관통 헤드부(6)가 서로 접근하도록 통상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필라멘트부(5)를 구부리고 나서 장착할 필요가 있지만, 그 작업에는 여러 가지 곤란한 점이 있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기 장착 건(10)의 레버(18a)를 당김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단위 봉함구(20)를 연속적으로 소정의 상품에 부착하여 라벨 등의 봉함을 행할 수 있는 전용 장치(건)(10)에 봉함구(4)를 셋트하는 경우, 상기 봉함구(4)를 큰 힘으로 구부리고 나서 삽입 관통 헤드부(6)를 접속하고 있는 접속 바아부(11`)를 상기 장착 건(10)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접속 바아부(11`) 전용의 삽입 슬릿(31)에 삽입한 후, 상기 소켓부(8)를 접속하고 있는 접속 바아부(11)를 상기 장착 건(10)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접속 바아부(11) 전용의 삽입 슬릿(32)에 삽입하는 조작이 요구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전 작업은 상당히 힘든 일이었다. 또한, 한쪽 손으로 발사 장치(10)를 유지하고, 다른 쪽 손으로 상기 봉함구(4)를 셋트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평면 상태의 다수의 필라멘트부(5)를 구부리면서 전용 장치에 셋트하고 나서 순차 사용하여 갈 때에, 서로 인접하는 필라멘트부(5)의 구부린 부분이 서로 얽혀, 잼(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존재하였다.
더욱이, 평면 상태의 필라멘트부를 구부릴 때에 앞뒤 구별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구부리는 방향을 거꾸로 셋트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어, 장치(10)의 고장의 원인으로도 되고 있었다.
또한, 평면 상태의 필라멘트부(5)를 구부리는 경우에, 필라멘트부(5)가 딱딱하므로, 구부리는 곡율 반경에 한도가 있어, 장치의 폭을 그다지 작게 할 수 없었다.
더욱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봉함구(4)를 복수 개 적층하여 소정의 패키지 내에 수납하여 소정의 현장까지 이송한 다음에, 그 현장에서, 상기 개개의 봉함구(4)를 꺼내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필라멘트부(5)에 인접하는 다른 봉함구(4)의 소켓부(8)나 삽입 관통 헤드부(6)가 걸리기 때문에, 하나의 봉함구(4)를 꺼내는데 복수 개의 봉함구가 연쇄적으로 취출되어, 이들을 분리하는 데 상당한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어 비용 상승의 요인으로도 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서로 적층되는 봉함구 사이에 적절한 시트 혹은 적절한 분리재를 사이에 끼울 필요가 있어, 마찬가지로 비용 상승의 원인으로 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본원 출원인은, 이미 특원평11-39473호에 의해, 상기 필라멘트부(5)에 적극적으로 만곡형부 혹은 중첩형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즉,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봉함구(4)의 개개의 단위 봉함구(20)에 있어서의 필라멘트부(5)의 대략 중앙부에 적극적으로 만곡형부(34) 혹은 중첩형부(35)를 형성하거나, 혹은 적극적으로 굽히기 쉬운 부분 혹은 중첩하기 쉬운 부분(36)을 마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 상기 봉함구(4)를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장착 장치(10)에 상기 봉함구(4)를 탑재하여 장착하는 조작은 개선되었지만, 상기 봉함구의 필라멘트부(5)의 만곡형부(34) 혹은 중첩형부(35)는 인접하는 필라멘트부(5) 사이에서 그 간격이 변동하기 쉬우며, 따라서 상기 장착 장치(10) 상에 탑재하여 각 핀을 장착하는 조작을 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필라멘트부(5)끼리가 얽혀 버려 잼 발생의 원인으로 되고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더욱이,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는, 상기 봉함구(4)를 상기 장착 건(10)에 탑재하여 상기 단위 봉함구(20)를 개개로 장착할 때, 상기 한 쌍의 접속 바아부(11, 11`)의 상부인 자유 단부의 간격이 확대되며, 그 결과, 잼의 발생의 원인으로 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 있어서 눈에 거슬리기 때문에 작업효율의 저하의 원인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복수 개의 단위 봉함구를 평행하게 배열함으로써, 적절한 접속 바아부로 일체적으로 고정 배치되어 있는 상기 봉함구를 전용 장치에 셋트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얽히거나 혹은, 잼을 방지할 수 있는 봉함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복수 개의 봉함구를 소정의 용기 내에 수납하더라도, 이 용기로부터 개개의 봉함구를 단독으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봉함구와 그 보관 혹은 이송용의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1 형태로서는, 필라멘트부와, 이 필라멘트부의 한쪽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적절한 걸어맞춤부를 갖는 삽입 관통 헤드부와, 상기 필라멘트부의 다른 쪽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를 불가역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소켓부로 구성된 단일체의 봉함구를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필라멘트부가 서로 평행하게 인접하여 배열됨과 동시에, 상호 근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복수 개의 삽입 관통 헤드부 혹은 그 근방부와 상기 복수 개의 소켓부 혹은 그 근방부는, 각각 개별로 마련된 접속 바아부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봉함구로서, 상기 개개의 접속 바아부는 상호 근접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접속 바아부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또, 상기 필라멘트부는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형상이 고정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 봉함구이며, 또한, 상기 필라멘트부의 상기 만곡형부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이 상기 접속 바아부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거나 혹은 소정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봉함구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형태로서는, 상기 봉함구가, 복수 개가 상호 접촉한 상태로 또한, 상기 접속 바아부끼리가 서로 평행하게 되는 상태로 상호 적층 또는 인접 배치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봉함구 패키지이다.
본 발명의 봉함구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우선 필라멘트부와, 이 필라멘트부의 한 쪽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적절한 걸어맞춤부를 갖는 삽입 관통 헤드부와, 상기 필라멘트부의 다른 쪽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를 불가역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소켓부로 구성된 단일체의 봉함구를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필라멘트부가 서로 평행하게 인접하여 배열됨과 동시에,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복수 개의 삽입 관통 헤드부 혹은 그 근방부와 상기 복수 개의 소켓부 혹은 그 근방부는, 각각 개별로 마련된 접속 바아부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봉함구로서, 상기 개개의 접속 바아부는 상호 근접하여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접속 바아부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필라멘트부는 만곡형으로 그 형상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라멘트부의 상기 만곡형부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이 상기 접속 바아부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거나 혹은 소정 각도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개개의 필라멘트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만곡형부 평면은, 인접하는 다른 필라멘트부에 있어서의 상기 만곡형부와 소정 간격을 가지게 상호 어긋난 상태로 상호 중첩되어 있는 봉함구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봉함구의 일 구체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봉함구의 일 구체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 중, 필라멘트부(5)와, 이 필라멘트부(5)의 한 쪽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적절한 걸어맞춤부를 갖는 삽입 관통 헤드부(6)와, 상기 필라멘트부(5)의 다른 쪽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를 불가역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소켓부(8)로 구성된 단일체의 봉함구(20)를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필라멘트부(5)가 서로 평행하게 인접하여 배열됨과 동시에,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복수 개의 삽입 관통 헤드부(6) 혹은 그 근방부와 상기 복수 개의 소켓부(8) 혹은 그 근방부는, 각각 개별로 마련된 접속 바아부(11, 11`)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봉함구(4)로서, 상기 개개의 접속 바아부(11, 11`)는 서로 근접하여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접속 바아부(11, 1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더욱이 상기 필라멘트부(5)는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필라멘트부(5)는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또한 상기 필라멘트부(5)는 만곡형으로 그 형상이 고정되어 있는 봉함구(4)가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봉함구(4)의 추가 특징으로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필라멘트부(5)의 상기 만곡형부(21)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부(22)가 상기 접속 바아부(11, 11`)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거나 혹은 소정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봉함구(4)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봉함구(4)를 구성하는 개개의 상기 필라멘트부(5)에 있어서의 상기 만곡형부(21)는, 가열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절한 고정제를 사용하여 소정 형상으로 고정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필라멘트부(5)의 고정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소정 형상으로 상기 필라멘트부(5)를 눌러 장기간 그 상태를 유지하여 구부린 형태로 남게 한 것이어도 좋고, 혹은 상기 필라멘트부(5)를 연신하여 성형한 후 상기 필라멘트부(5)가 냉각이 덜 된 동안에, 즉 상기 필라멘트부(5)가 아직 가소화 상태에 있는 동안에, 상기 접속 바아부를 소정 거리만큼 어긋나게 한 후, 적당한 압박 처리 조작을 행하여 편평한 만곡형으로 변형시키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봉함구(4)에서는, 적어도 상기 필라멘트부(5)가 가열 고정이 가능한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봉함구(4)는, 종래의 봉함구와 마찬가지로 통상,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 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필라멘트부(5)의 가열 고정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적절한 온도로 가열된 압박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프레스 처리하는 방법이어도 좋고, 혹은 압박 플레이트는 직접적으로 가열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필라멘트부(5)에 열풍을 인가하거나 적외선이나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상기 필라멘트부(5)를 가소화하면서 압박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바아부(11, 11`)끼리의 상호 길이 방향으로의 어긋남 크기(1)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5 mm∼30 mm의 범위에서, 바람직하게는 10 mm∼20 mm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히 말하자면, 상기 접속 바아부(11, 11`)의 어긋남(1) 범위는, 상기 봉함구(4)에 사용되는 소재 및 상기 필라멘트부(5)의 길이 등에 따라서 필요한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한 범위 내의 어긋남(1) 조건을 채용하면, 고정 처리 후의 봉함구(4)의 대향하는 2개의 접속 바아부(11, 11`)는 안정적인, 서로 포개어지는 상태로 평행 상태를 유지하며, 게다가 상기 필라멘트부(5)도 인접하는 다른 필라멘트부(5)와 치밀하게 접촉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 바아부끼리의 어긋남 길이의 정도를 상기한 범위 이하로 설정하면, 상기 복수 개의 필라멘트부(5)를 균일하게 만곡시키기 위해서 큰 힘이 필요하게 되는 것 외에, 만곡형부를 형성시킨 경우 에 있어서도, 각 필라멘트부(5)가 안정된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인접하는 상기 필라멘트부(5) 사이에서 그 간격이 불균일하게 되며, 그 결과, 후술하는 셋트 처리에 있어서도 그대로 셋트 처리되기 때문에, 장착시에, 상기 필라멘트부(5)끼리가 얽히게 되므로, 잼의 발생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사용 불가능한 봉함구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 바아부끼리의 어긋남 길이의 정도를 상기한 범위 이상으로 설정하면, 상기 복수 개의 필라멘트부(5)가 균일하게 만곡되지 않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접속 바아부(11, 11`)가 상호 평행하게 되지 않고, 비틀리는 것과 같은 상태로 되기 때문에, 셋트 처리가 불가능 하게 되는 것 외에, 셋트 처리하였다고 할지라도, 상기 봉함구(4)를 상기 장착 장치(10)에 탑재하는 것이 곤란하며, 또, 설령 탑재할 수 있었다고 해도 장착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은 명백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접속 바아부(11, 11`)를 수직 방향으로 유지한 경우에, 상기 한 쪽 접속 바아부의 하단부의 위치가 상기 다른 쪽 접속 바아부의 하단부의 위치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봉함구(4)에서는,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접속 바아부(11`)의 적어도 한 쪽 단부에는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가 접속되어 있지 않는 소정 길이의 접속 바아부로 구성된 제1 가이드부(40)가 마련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한 구체예이며, 마찬가지로 상기 소켓부(8)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접속 바아부(11)의 적어도 한 쪽 단부이며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11')와 대응하는 방향에 있는 상기 접속 바아부(11)의 단부에는, 상기 소켓부(8)가 접속되어 있지 않는 제2 가이드부를 마련하지 않거나, 혹은 마련한 경우라도, 상기 제1 가이드부(40)의 길이보다도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가이드부(41)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봉함구(4)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부(40)가 하측이 되도록 하여 상기 접속 바아부(11, 11`)를 수직 방향으로 유지한 경우에,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가 접속되어 있는 제2 접속 바아부(11')의 상기 제1 가이드부(40)의 하단부의 위치(24)가, 상기 소켓부(8)가 접속되어 있는 제1 접속 바아부(11)의 상기 제2 가이드부(41)의 하단부(25) 혹은 상기 제2 가이드부(41)가 마련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접속 바아부(11)의 하단부(25)의 위치보다도 1(1ength)만큼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속 바아부에 가이드부(40 또는 41)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접속 바아부(11, 11`)를 수직 방향으로 유지한 경우에,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가 접속되어 있는 제2 접속 바아부(11')의 하단부의 위치(24)가 상기 소켓부(8)가 접속되어 있는 제1 접속 바아부(11)의 하단부의 위치(25)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봉함구(4)를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공지의 장착 장치(10)에 장전하여 개개의 봉함구(20)를 순차 발사할 때는, 미리 삽입 관통 헤드부(6)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접속 바아부(11`)의 하측 부분을, 상기 봉함구(4)를 대략 수직으로 유지했을 때에, 상기 소켓부(8)가 접속되어 있는 다른 쪽 접속 바아부(11)의 하측 부분보다도 하측에 오도록 설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것에 의해, 상기 봉함구(4)를 상기 장착 장치(10)에 장전할 때에, 그 방향 및 장전 위치를 틀리는 것을 완전히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가이드부(40 또는 41)가 상기 접속 바아부(11, 11`)에 마련되어 있으면, 상기 가이드부(40, 41)를 이용하여 상기 봉함구(4)의 삽입 관통 헤드부(6) 혹은 소켓부(8)의 접속 바아부를 각각 개별로 삽입되어야 할 가이드부(31, 32)의 각각에 확실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바아부에 소정의 가이드부(40, 41)를 마련하고, 그 길이를 상호 다르게 하여 둠으로써, 작업자는 어느 쪽 접속 바아부가 삽입 관통 헤드부(6)를 접속한 접속 바아부인가, 어느 쪽 접속 바아부가 상기 소켓부(8)를 접속한 접속 바아부인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장전 미스가 발생할 기회는 확실하게 회피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봉함구(4)를 수직으로 유지한 경우에,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접속 바아부(11`)를 상기 복수 개의 삽입 관통 헤드부(6)로 구성되는 삽입 관통 헤드부열의 최하단부에 있는 삽입 관통 헤드부(6)보다도 적절한 길이만큼 하측으로 연장시킨 가이드부(40)를 마련하여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각 접속 바아부(11, 11`)의 개개의 반대측 단부, 즉, 상기한 가이드부(40) 및 가이드부(41)가 마련되어 있는 단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접속 바아부의 단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연장부를 마련하지 않고서, 상기 단부의 소켓부 혹은 삽입 관통 헤드부와 상기 접속 바아부의 단부와의 위치를 근접시켜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작업자는 상기 봉함구(4)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바아부(11) 및 접속 바아부(11`) 중 어느 하나의 단부를 상기 장착 건(10)의 각 접속 바아부 삽입 슬릿(31, 32) 중 어디에 삽입할 것인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동시에, 잘못 삽입함으로 인한 장착 건(10)의 고장이나, 잼의 발생을 대폭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봉함구에서는,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가 접속되어 있는 제2 접속 바아부(11`) 혹은 상기 제2 접속 바아부(11`)에 마련된 상기 가이드부(40)의 형상, 길이, 단면 형상 혹은 색을 상기 소켓부(8)가 접속되어 있는 제1 접속 바아부(11) 혹은 상기 제1 접속 바아부(11)에 마련된 상기 가이드부(40)의 형상, 길이, 단면 형상 혹은 색과는 다르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한 봉함구(4)는, 본원의 발명자중 한사람이 이미 특원2001-131967호 명세서 중에서 개시하고 있는 상기 봉함구의 장착 장치에 사용하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개개의 필라멘트부(5)가 형성하는 상기 만곡형부(2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적어도 일부가 상호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필라멘트부(5)의 각각의 만곡형부(21)가 상호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개어져, 하나의 평탄한 평면형 부분(30)이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평면형 부분(30)에 의해, 개개의 필라멘트부(5)는 인접하는 다른 필라멘트부(5)와는 독립되게 분리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평면 부분(30)은 견고한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봉함구(4)의 상기 필라멘트부(5)로 이루어지는 상기 평면 부분(30)이 다른 봉함구(4)의 상기 필라멘트부(5)로 구성되는 평면 부분과 접촉한 경우라도, 한쪽의 상기 봉함구(4)에 있어서의 개개의 필라멘트부(5)가 다른 쪽 봉함구(4)의 상기 평면 부분을 구성하는 필라멘트부(5) 사이에 들어가 얽힌다고 하는 일은 전혀 발생할 염려가 없다. 즉, 평면형 부분(3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부(22)를 가지는 각각의 단위 봉함구(20)(20)의 필라멘트부(5)(5)끼리 서로 연속적으로 인접되어 중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편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이다. 또한, 단위 봉함구(20)(20)의 필라멘트부(5)(5)끼리는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어 접촉하더라도 완전 고착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서로 독립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봉함구(4)에서는, 상기 필라멘트부(5)를 만곡형으로 절곡할 때, 그 절곡 방향은, 상기 접속 바아부(11, 11`)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절곡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제1 접속 바아부(11)와 제2 접속 바아부(11`) 사이에 상기 소켓부(8)와 삽입 관통 헤드부(6)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한 구체예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하나의 봉함구(4)에 있어서의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나 상기 소켓부(8)가,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봉함구(4)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부(5) 사이에 들어가 얽힐 우려는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상기 소켓부(8)의 측벽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의 최소 직경보다도 작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봉함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봉함구(4)를, 그 복수 개가 상호 접촉한 상태로 또한, 상기 접속 바아부(11, 11`)끼리가 서로 평행하게 되는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봉함구 패키지(5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관한 상기 봉함구(4)를 상기 장착 장치(10)에 탑재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봉함구(4)의 접속 바아부(11, 11`)는 그 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상기 봉함구(4)의 접속 바아부(11, 11`) 사이의 간격이, 위로 갈수록 넓어져서 작업시 방해가 된다고 하는 문제도 없어진다.
이하에, 도 1에 도시하는 본 발명에 관한 상기한 구성을 갖는 상기 봉함구(4)와 도 5에 도시하는 종래의 봉함구(4)를 동일한 소재, 동일한 치수, 피치 간격으로 구성하고, 또한 단위 봉함구(20)를 50개 병렬로 배치하여 접속 바아부로 고정한 봉함구(4)와, 동일한 구성의 봉함구를 본 발명에 따라서 만곡형으로 고정한 봉함구(4)를, 5명의 작업자에게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장착 장치(10)를 주어서 장착 테스트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즉, 표 1은 5명의 작업자 1∼5에게, 각각 단위 봉함구 50개가 접속 바아부에 의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된 봉함구(표 1에서는 직선 핀으로 표시되어 있다) 3묶음을 3회로 나누어 단위 봉함구 150개를 장착하는 동시에, 단위 봉함구 50개가 접속 바아부에 의해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된 봉함구를,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형부를 형성하여 고정시킨 봉함구(표 1에서는 곡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3묶음을 3회로 나누어 단위 봉함구 150개를 장착하게 하고, 합계 300개의 단위 봉함구를 장착하게 한 결과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표 1 중에서, 직선 핀과 곡선 핀은, 직선 핀의 단위 봉함구를 50개 장착한 후는 곡선 핀의 단위 봉함구를 50개 장착하는 형식으로 번갈아 장착하는 조작을 행하였다.
또, 상기한 각 조작 중에 있어서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초기 셋트시의 불량에 의한 얽힘은 발생하지 않았다.
더욱이, 표 1 중, 얽힘이란, 상기 봉함구를 장착 장치에 탑재하여 장착 조작을 행할 때에, 단위 봉함구의 필라멘트부가 인접하는 다른 하나 혹은 복수 개의 단위 봉함구의 필라멘트부와 얽혀, 상기 단위 봉함구의 장착을 행할 수 없게 되고, 또 상기 장착 장치로부터 장착 불량인 상기 단위 봉함구를 꺼집어 내는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1 중, 결합 불량이란,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의 돌출 등에 의해, 상기 장착 장치의 레바를 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와 상기 소켓부가 결합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더욱이, 표 1 중, 그리핑(gripping) 부족이란, 상기 장착 장치의 레바를 마지막까지 쥐고 있지 않음으로 인하여,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와 상기 소켓부가 완전히 결합되지 않고, 그것에 따른 이송 불량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표 1 중, 셋트 불량이란, 트러블 발생 후의 재셋트시에, 정확히 셋트할 수 없어서(특히 삽입 관통 헤드부측), 결합할 수 없었던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표 1의 결과를 보면, 종래의 구조를 가진 봉함구에서는, 47건이나 결함이 발생하였고, 특히 얽힘에 의한 조작 불량의 발생이 눈에 띄게 많은 것이 이해되지만, 본 발명에 관한 봉함구를 사용한 경우에는, 얽힘은 전혀 발생하지 않고, 그리핑 부족에 의한 이송 불량이 약간 발생할 뿐이며, 얽힘에 의한 문제는 완전히 해결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그리핑 부족의 발생은, 작업자의 경험 부족, 혹은 상기 장착 장치의 초기 사용시의 망설임 등에 의해 발생한 것이고, 실질적인 결점이 아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봉함구를 상기 장착 장치에 탑재할 때까지, 상기 봉함구의 제조 공장으로부터 적절한 곤포(梱包) 용기에 수납하여 출하하고, 상기 봉함구를 소정의 상품에 라벨 등과 같이 장착을 행하는 현장으로 이송하며, 거기서, 개개의 작업원이 소정의 곤포 용기로부터 개개의 상기 봉함구를 꺼내어 상기 장착 장치에 장전하는 조작이 행하여진다.
그 때, 종래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봉함구간의 얽힘과 관련한 수많은 문제가 있어, 그 얽힘을 푸는 데 방대한 작업 시간을 소비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작업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었던 것에 비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봉함구(4)는 대략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봉함구 패키지(50) 내에 있어서는, 상기 봉함구(4)를 임의의 형태로 삽입하거나, 적층하더라도 부피가 커지는 일이 없어 하나의 용기 속에 보관 혹은 유지할 수 있으며,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봉함구(4)는, 하나의 봉함구(4)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부(5) 사이에 다른 봉함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부(5)가 사이에 삽입되거나 혹은 상기 소켓부(8) 혹은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가 다른 봉함구(4)의 필라멘트부(5)와 얽히는 것도 없기 때문에, 상기 용기 내에 복수 개의 봉함구(4)를 적절히 적층시켜 유지해 두더라도 상호 얽히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상기 용기로부터 하나의 봉함구(4)를 꺼낼 때에도 아무런 얽힘을 발생시키 않고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도 8(a)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패키지 용기(50)는 종형(縱型)이며, 복수 개의 상기 봉함구(4)가 상기 접속 바아부(11, 11`)가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횡 배치 형식으로 적층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복수 개의 봉함구(4)를 소정의 용기 내에 보관할 때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형상의 카트리지 타입의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 개의 봉함구(4)를 소정의 용기(50) 내에 보관할 때는,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나의 봉함구(4)의 접속 바아부(11)와 인접하는 상기 봉함구(4`)의 상기 접속 바아부(11)가 서로 포개어지거나 혹은 근접하도록 방향성을 일치시켜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접속 바아부(11)가 번갈아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번갈아 혹은, 특정 수마다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 개의 상호 접촉되어 있는 봉함구(4)에 있어서, 제1 봉함구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바아부(11)의 배치 위치와 제1 봉함구와는 다른 제2 봉함구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바아부(11)의 배치 위치는 다르도록 배치하여 패키지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구체예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봉함구 패키지 용기로서 별도의 구성을 도시한 봉함구 패키지 용기(51)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종형의 봉함구 패키지 용기(51)이며, 복수 개의 상기 봉함구(4)는, 상기 접속 바아부(11, 11`)가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종 배치 형식으로 삽입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구체예에 있어서도, 상기 복수 개의 서로 인접하게 종 배치되어 상호 접촉되어 있는 복수 개의 봉함구(4)에 있어서, 제1 봉함구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바아부(11)의 배치 위치와 제1 봉함구와는 다른 제2 봉함구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바아부(11)의 배치 위치는 다르도록 배치하여도 좋고, 또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도록 삽입하여 패키지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 개의 봉함구(4)를 소정의 용기 내에 보관할 때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형상의 카트리지 타입의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며,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작업원의 벨트 등에 부착하여, 현장에서 필요할 때에 상기 봉함구를 상기 용기(50 또는 51)로부터 간단히 꺼내어 상기 장착 장치에 탑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봉함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봉함구(4)에 있어서의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나 상기 소켓부(8)가,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봉함구(4)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부(5) 사이에 들어가얽히게 될 염려는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봉함구(4)가 임의의 상태로 소정의 용기에 보관되어 있더라도, 그 안으로부터 원하는 하나의 봉함구를 용이하게 또한 다른 봉함구와의 얽힘없이, 순조롭게 꺼낼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상기 봉함구의 상기 장착 장치(10)에의 장전이 매우 용이하고, 또 상기 봉함구의 유지, 보관 용기의 크기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스페이스나 곤포 스페이스를 대폭 삭감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비용 저감이 실현된다.
다음에,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봉함구(4)의 제조 방법의 예로서는, 필라멘트부와, 이 필라멘트부의 한쪽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적절한 걸어맞춤부를 갖는 삽입 관통 헤드부와, 상기 필라멘트부의 다른 쪽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를 불가역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소켓부로 구성된 단일체의 봉함구를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필라멘트부가 서로 평행하게 인접하여 배열됨과 동시에,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복수 개의 삽입 관통 헤드부 혹은 그 근방부와 상기 복수 개의 소켓부 혹은 그 근방부는, 각각 개별로 마련된 접속 바아부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봉함구로서, 상기 개개의 접속 바아부를 서로 근접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접속 바아부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상호 어긋나게 배치한 후, 상기 필라멘트부의 만곡형을 상기 필라멘트부의 상기 만곡형부가 형성하는 평면이 상기 접속 바아부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하거나 혹은 소정 각도로 형성되도록 압박하면서 고정 처리하는 봉함구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봉함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처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가열 고정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에는, 적절한 고정제를 사용하여 상기 필라멘트부를 만곡형으로 형성하는 방법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봉함구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예컨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봉함구(4)의 2개의 접속 바아부(11 및 11`)를 적절한 그리퍼(53, 54)로 그리핑하고, 이 그리퍼(53, 54)를 비트는 것처럼 이동시키면서 상기 소켓부(8)와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를 대향 근접시키고, 상기 봉함구(4)를 구성하는 개개의 필라멘트부(5)를 각각 만곡형으로 즉 적당한 루프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며, 이렇게 한 후, 상기 접속 바아부(11, 11')를 상기 접속 바아부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어긋나게 하고, 그에 의해 상기 필라멘트부(5)의 만곡형 평면을 상호 평행 상태를 유지한 채로, 그 일부가 서로 중첩하도록 횡 배치 혹은 경사지게 하여, 상기 만곡형(21)을 이룬 상기 필라멘트부(5)의 평면부에서 대략 평탄한 평면부(22)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편평화된 상기 봉함구(4)의 필라멘트부(5)를 적절한 고정 수단, 예컨대, 한 쌍의 적당한 가열 온도로 설정된 가열판(55, 56)을 개폐 혹은 접촉 가능하게 구성하고, 그 사이에 상기한 만곡형(21)을 이룬 상기 필라멘트부(5)의 평면부를 삽입하여 상기 한 쌍의 가열판(55, 56)을 접촉시켜 가열 고정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필라멘트부(5)를 만곡형부로 고정시키는 것은, 건열(乾熱)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습열(濕熱)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편평화된 상기 봉함구(4)의 필라멘트부(5) 부분을 적절한 열 부재로 가열 압박함으로써, 그 형상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함구(4)를 도 15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그 기본 구성과, 본 발명의 봉함구(4)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는 주로 특별하게 설계된 장착 건(10)과 기계적으로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봉함구(4)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에 따라, 접속 바아부(11, 11')는 장착 건(10) 상에서 그들 접속 바아부의 구조를 유지하도록 비교적 단단하고 경질이며, 각각의 접속 바아부와 각각의 삽입 관통 헤드부(6) 또는 소켓부(8)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연결 부분(60, 61)도 장착 건(10) 상에 제공된 커터에 의해 분리되도록 단단하고 강하다.
다른 한편으로,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는, 조작자가 손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각각의 단위 봉함구(4)를 조작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접속 바아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봉함구(4)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접속 바아부(11, 11`)는 필라멘트식 미세 부재로 제조되고, 각각 하나의 삽입 관통 헤드부(6)와 소켓부(8)는 수작업으로 접속 바아부(11, 11`)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용이하고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 바아부(11) 중 하나는 필라멘트부(5)에 있는 삽입 관통 헤드부(6)의 각각 하나의 최외측 단부(70)에 연결되어 각각 봉함구(4)를 형성하는 한편, 다른 접속 바아부(11`)는 필라멘트부(5)에 있는 소켓부(8)의 각각 하나의 최외측 단부(71)에 연결되어 각각 봉함구(4)를 형성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가열 프레싱 작업이 본 실시예의 봉함구(4)에 실시된 후에,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부(8)와 삽입 관통 헤드부(6)가 서로 밀접하고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접속 바아부(11, 11`)가 만곡된 각각의 필라멘트부(5)를 매개로 서로 직접적으로 대향하여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본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바아부(11, 11`)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어느 정도 연질이고 약하므로, 훨씬 많은 수의 봉함구(4)를 제한된 용량의 패키지 내에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봉함구(4)의 한번의 성형 작업으로, 연결 부분(60)을 삽입 관통 헤드부(6) 및 접속 바아부(11)와 일체로, 연결 부분(61)을 소켓부(8) 및 접속 바아부(11`)와 일체로 각각 형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연결 부분(60, 61)은, 봉함구(4)가 생산되거나, 운반되거나, 패키지에 수용되거나, 장착 건에 장착될 때에 발생된 힘의 작용에 의해 파괴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며, 또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쉽게 파괴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 작업자는 필라멘트부(5) 중 어느 하나를 봉함구(4)로부터 분리하고, 이 필라멘트부(5)의 일측 단부를 태그 또는 라벨이 있는 제품에 통과시킨 다음, 삽입 관통 헤드부(6)를 소켓 헤드부(8)에 수작업으로 결합시킨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현저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봉함구를 레바를 당김으로써 연속적으로 봉함할 수 있는 전용 발사 장치에 장전할 때에 미리 필라멘트부가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평판형의 봉함구를 장치에 맞추어 만곡시킬 필요가 없고, 셋트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필라멘트부가 이미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 장치의 폭 방향 치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잼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된다.
또한, 종래의 평면형의 봉함구에서는, 작업자가 구부리면서 전용 발사 장치에 셋트하지 않으면 안되어 번거로웠지만 본 발명의 봉함구에서는, 그대로 셋트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에는, 작업자가 봉함구의 굽힘 방향을 거꾸로 하여 발사 장치에 셋트할 우려가 있었지만, 본 발명의 봉함구는 삽입 관통 헤드부와 소켓부가, 이미 옳은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셋트를 잘못할 일이 없다.
더욱이, 필라멘트부끼리의 얽힘이 방지되어, 발사 장치에 장전했을 때에, 원활히 조작할 수 있어 잼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봉함구를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봉함구(4)에 있어서의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6)나 상기 소켓부(8)가,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봉함구(4)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부(5) 사이에 들어가 얽힐 우려는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봉함구(4)가 임의의 상태로 소정의 용기에 보관되어 있더라도, 그 안으로부터 원하는 하나의 봉함구를 용이하게 또한 다른 봉함구와의 얽힘이 없이, 원활하게 꺼낼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상기 봉함구의 상기 장착 장치(10)에의 장전이 매우 용이하고, 또 상기 봉함구의 유지, 보관 용기의 크기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스페이스나 곤포 스페이스를 대폭 삭감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비용 절감이 실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봉함구의 일구체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상기 봉함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봉함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봉함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봉함구의 구성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봉함구에 있어서의 단위 봉함구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봉함구를 장착 장치에 장전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봉함구를 수납하는 용기의 일구체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봉함구를 수납하는 용기의 다른 구체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봉함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봉함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종래의 봉함구에 있어서의 단위 봉함구의 구성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봉함구에 있어서의 단위 봉함구의 구성의 별도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종래의 봉함구에 있어서의 단위 봉함구의 구성의 더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봉함구에 있어서의 다른 별도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기본 구성을 기초로 하는 본 발명의 봉함구의 별도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봉함구의 별도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봉함구
5 : 필라멘트부
6 : 삽입 관통 헤드부
7 : 구멍부
8 : 소켓부
9 : 단차걸림부
10 : 장착 장치
11, 11` : 접속 바아
19 : 블레이드부
21 : 만곡형부
22 : 평면부
24 : 접속 바아부(11')의 하단부의 위치
25 : 접속 바아부(11)의 하단부의 위치
30 : 평탄한 평면형 부분
31, 32 : 접속 바아부 삽입 슬릿
40, 41 : 가이드부
50, 51 : 봉함구 패키지
53, 54 : 그리퍼
55, 56 : 고정 부재

Claims (21)

  1. 필라멘트부와, 이 필라멘트부의 한쪽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적절한 걸어맞춤부를 갖는 삽입 관통 헤드부와, 상기 필라멘트부의 다른 쪽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를 불가역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소켓부로 구성된 단일체의 봉함구를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필라멘트부가 상호 평행하게 인접하여 배열됨과 동시에, 상호 근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복수 개의 삽입 관통 헤드부 혹은 그 근방부와 상기 복수 개의 소켓부 혹은 그 근방부는, 각각 개별로 마련된 접속 바아(bar)부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봉함구로서,
    상기 개개의 접속 바아부는 서로 근접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접속 바아부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필라멘트부는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형상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부의 그 만곡형부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이 상기 접속 바아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거나 혹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부는 가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부가 가열 고정이 가능한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바아부를 수직 방향으로 유지한 경우에, 상기 한 쪽 접속 바아부의 하단부의 위치가 상기 다른 쪽 접속 바아부의 하단부의 위치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접속 바아부의 한 쪽 또는 양쪽 단부에는,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는 접속 바아부의 부분인 제1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가 접속되어 있는 상기 접속 바아부의 한쪽 또는 양쪽 단부에는, 상기 소켓부가 접속되어 있지 않는 접속 바아부의 부분으로서 제1가이드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제2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접속 바아부의 단부에는 제2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가 하측이 되도록 하여 상기 접속 바아부를 수직 방향으로 유지한 경우에,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가 접속되어 있는 제2 접속 바아부의 상기 제1 가이드부의 하단부의 위치가, 상기 소켓부가 접속되어 있는 제1 접속 바아부의 상기 제2 가이드부의 하단부의 위치 혹은 상기 제1 접속 바아부의 하단부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개개의 필라멘트부에 형성되는 상기 만곡형부는, 그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상기 필라멘트부에 의한 상기 만곡형부에 의해 평탄형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제1 접속 바아부와 제2 접속 바아부 사이에 상기 소켓부와 삽입 관통 헤드부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가 접속되어 있는 제2 접속 바아부의 외부 형상, 단면 형상과 색 혹은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길이는 상기 소켓부가 접속되어 있는 제1 접속 바아부와 다르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
  13. 제 1 항에 기재된 봉함구의 복수개가 서로 적층되어 있거나 인접되게 접촉배치되어 있되, 하나의 봉함구의 접속 바아부는, 그 봉함구에 인접되게 배치된 다른 봉함구의 접속 바아부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 패키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로 접촉되어 있는 봉함구는, 제1 봉함구의 상기 접속 바아부의 배치 위치와 제1 봉함구와는 다른 제2 봉함구의 상기 접속 바아부의 배치 위치는 다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 패키지.
  15. 필라멘트부와, 이 필라멘트부의 한 쪽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적절한 걸어맞춤부를 갖는 삽입 관통 헤드부와, 상기 필라멘트부의 다른 쪽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를 불가역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갖는 소켓부로 구성된 단일체의 봉함구를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필라멘트부가 상호 평행하게 인접하여 배열됨과 동시에,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는 상기 복수 개의 삽입 관통 헤드부 혹은 그 근방부와 상기 복수 개의 소켓부 혹은 그 근방부는, 각각 개별로 마련된 접속 바아부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봉함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개개의 접속 바아부를 서로 근접시켜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한쪽 접속 바아부를 다른 쪽 접속 바아부에 대하여, 그 길이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한 후, 압박하면서 고정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부의 만곡형을 상기 필라멘트부의 상기 만곡형부가 형성하는 평면이 상기 접속 바아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거나 혹은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압박하면서 고정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의 제조 방법.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처리는 가열 고정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의 제조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개개의 필라멘트부가 형성하는 만곡형 평면의 일부끼리가 서로 포개어지도록 고정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의 제조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접속 바아부는 필라멘트식 세장(細長)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와 상기 소켓부는 접속 바아부 중 어느 한쪽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바아부 중 하나는 필라멘트부에 있는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의 각각의 최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각각 봉함구를 형성하고, 다른 접속 바아부는 필라멘트부에 있는 상기 소켓부의 각각의 최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각각 봉함구를 형성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와 상기 삽입 관통 헤드부가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 바아부는 상기 만곡된 각각의 필라멘트부를 통해 서로 인접되게 대향(對向)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함구.
KR10-2003-0003243A 2002-01-18 2003-01-17 봉함구 KR100526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09874A JP4100917B2 (ja) 2002-01-18 2002-01-18 封緘具
JPJP-P-2002-00009874 2002-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182A KR20030063182A (ko) 2003-07-28
KR100526263B1 true KR100526263B1 (ko) 2005-11-08

Family

ID=1919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243A KR100526263B1 (ko) 2002-01-18 2003-01-17 봉함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48575B2 (ko)
EP (1) EP1329867B1 (ko)
JP (1) JP4100917B2 (ko)
KR (1) KR100526263B1 (ko)
CN (1) CN1177739C (ko)
AT (1) ATE337596T1 (ko)
DE (1) DE60307689T2 (ko)
TW (1) TW5930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8156B2 (ja) * 2004-01-21 2011-02-23 有限会社エムアイティ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ループピン結合装置
US20060042051A1 (en) * 2004-08-27 2006-03-02 Irwin Jere F Strips of clips and clip
US20060266087A1 (en) * 2004-11-12 2006-11-30 Hamilton Eric K Locking device
JP2010126176A (ja) * 2008-11-26 2010-06-10 Kotecs Co Ltd ループピン結合装置及びループピン打ち出し方法
JP2010280410A (ja) * 2009-06-04 2010-12-16 M I T Internatl:Kk ループピン
CH701845B1 (de) * 2009-09-22 2014-03-14 Chrisofix Ag Fixierelement sowie Verwendung eines solchen Fixierelements zum Fixieren eines Gegenstandes, insbesondere von Gliedmassen.
US10510273B2 (en) * 2015-06-04 2019-12-17 Avery Dennison Corporation Plastic fastener and plastic fastener assembly
CN109835619B (zh) * 2017-12-21 2020-08-18 王博 一种三色签益智游戏盒
WO2019178014A1 (en) * 2018-03-14 2019-09-19 Avery Dennison Corporation Fastener clip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241778A (en) * 1977-12-15 1979-06-21 Dore L W Identification tag and applicator
JPH10116034A (ja) * 1996-10-14 1998-05-06 J Ii Kk タグ吊持用のフレキシブルピン材
JP2000238714A (ja) * 1999-02-18 2000-09-05 Kotecs Co Ltd 封緘具
JP2001056644A (ja) * 1999-08-18 2001-02-27 Je Kk 封緘具
JP2001261018A (ja) * 2000-03-21 2001-09-26 Kotecs Co Ltd 封緘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07689T2 (de) 2006-12-07
KR20030063182A (ko) 2003-07-28
DE60307689D1 (de) 2006-10-05
CN1432516A (zh) 2003-07-30
US6848575B2 (en) 2005-02-01
EP1329867A1 (en) 2003-07-23
TW200302197A (en) 2003-08-01
TW593076B (en) 2004-06-21
JP2003216048A (ja) 2003-07-30
CN1177739C (zh) 2004-12-01
JP4100917B2 (ja) 2008-06-11
US20030137154A1 (en) 2003-07-24
EP1329867B1 (en) 2006-08-23
ATE337596T1 (de) 2006-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263B1 (ko) 봉함구
US6371293B2 (en) Fastener assembly
US5799375A (en) Fastener assembly
JP4784579B2 (ja) タグの結束機及びその結束方法
JPH031525B2 (ko)
US5738265A (en) Fastener gun and fastener assembly for tag hanging
JP4059551B2 (ja) 係止片構造体
AU616814B2 (en) Banded fastener devices particularly intended for fastening plastic film and the like to a net reinforcement, a method for producing the fastener devices, and a machine for applying the same
US6561350B1 (en) Sticking device
BR112019010440B1 (pt) Sistema e método de isolamento de uma extremidade de uma parede de bobina
US6880700B2 (en) Stick-type connected nails
US6595360B2 (en) Fastening element
US6352156B1 (en) Sealer
CN107072408A (zh) 用于保持弯曲弹簧的夹子组件
JPS6190605A (ja) 開離嵌挿具付スライドフアスナ−の自動仕上加工方法
JP5360133B2 (ja) タグ
JP4638156B2 (ja) ループピン結合装置
US6694589B2 (en) Process utilizing a clip for the handling of a tow of fibers
JP2001124032A (ja) 電動ホッチキスに供されるリフィル用ステープル
JPH0524564A (ja) ホース類の自動束ね装置
ITPN970015A1 (it) Dispositivo di presa e di trascinamento di materiale fotografico per macchine sviluppatrici di materiale fotografico, 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