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202B1 - 한글을 표현할 수 있는 바코드와 그 바코드의 해독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한글을 표현할 수 있는 바코드와 그 바코드의 해독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202B1
KR100526202B1 KR10-2002-0020425A KR20020020425A KR100526202B1 KR 100526202 B1 KR100526202 B1 KR 100526202B1 KR 20020020425 A KR20020020425 A KR 20020020425A KR 100526202 B1 KR100526202 B1 KR 100526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ul
key combination
barcode
predetermined
kor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1954A (ko
Inventor
강승철
이명수
이진원
전일주
최상영
손인수
Original Assignee
(주) 테크스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크스캔코리아 filed Critical (주) 테크스캔코리아
Priority to KR10-2002-0020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202B1/ko
Publication of KR20030081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 G06K1/12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otherwise than by punching
    • G06K1/1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rking the record carrier in digital fashion otherwise than by punching by printing code 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한글과 숫자 및 영문자 등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코드와, 그 바코드를 해독할 수 있는 바코드 해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바코드 패턴이 포함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1과정; 상기 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해독하는 제 2과정; 상기 해독된 정보에서 한/영전환 바코드 패턴에 해당하는 정보의 유무를 파악하는 제 3과정; 상기 파악 결과에 따라 상기 해독된 정보를 소정의 바코드 패턴 세트 및 한글키 조합 테이블에 근거하여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로 변환시켜 출력버퍼에 저장시키는 제 4과정; 및 상기 출력버퍼에 저장된 상기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제 5과정을 구비함으로써, 바코드로 보다 많은 표현이 가능하게 되어 표현상의 제한을 극복하는 효과가 있고,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 또는 공유하지 않고서도 영문, 숫자, 한글의 혼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한글을 표현할 수 있는 바코드와 그 바코드의 해독 장치 및 방법{Bar code of representing Korean character and decod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한글과 숫자 및 영문자 등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바코드와, 그 바코드의 해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 마련되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완성형 한글과 숫자 및 영문자가 혼용되어 인코딩되는 바코드, 이렇게 인코딩된 바코드를 정확하게 해독할 수 있도록 한 바코드 해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대부분의 상품에는 상품의 종류 및 가격 등의 상품정보를 나타내기 위하여 다양한 굵기의 선으로 구성된 바코드(bar code)가 인쇄되어 있다. 이러한 바코드는 굵은 선과 가는 선 및 이중 선 등으로 구성되어 상품정보가 인코딩된 숫자 데이터를 나타낸다.
한편, 일반적인 비즈니스 등의 목적으로 명함에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또는 이메일(E-mail) 주소 등의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을 인쇄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인터넷 홈페이지에는 그 회사의 홍보 내용이 담겨 있고, 그 회사에 관심이 있는 인터넷 사용자는 그 인터넷 홈페이지에 담겨져 있는 회사의 홍보내용을 읽은 후, 문의사항이 있을 때에 이메일 주소로 연락을 시도하게 된다.
또한, 명함 외에도 잡지 또는 신문 등의 광고란에 특정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나 기타 URL 등을 인쇄하는 경우도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출판 서적에도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를 인쇄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만약 임의의 사용자가 명함에 인쇄된 URL에 접속하려면, 그 명함에 인쇄된 URL을 키보드로 타이핑해야만 한다. 또는 명함에 이메일 주소가 인쇄되어 있다면 그 이메일 주소로 편지를 보내려는 사용자는 그 이메일 주소를 모두 타이핑해야 한다.
그러나,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혹은 이메일 주소는 한 두자의 글자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십 수자 내자 수십 자의 글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그 주소를 입력하는 데에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두 타이핑해야 하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바코드를 이용하는 방법 즉, 컴퓨터와 연결된 인식기로 이메일 주소 등이 인코딩된 바코드를 인식하게 되면 컴퓨터에 이메일 주소 등이 구현되어 브라우징 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코드를 이용하는 것은 간단한 수준의 소량의 데이터만 표현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일차원 바코드에서는 숫자와 영문자만을 표현하고 있으므로 자유로운 표현(즉, 한글에 대한 표현)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고, 스캐너를 이용하여 스캐닝한 소정의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와 분리되어 있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야만 모니터상에 해당 스캐닝된 바코드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므로, 반드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일반적인 바코드 인식기로서도 판독가능한 한글과 숫자 및 영문자 등이 혼용된 바코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한글과 숫자 및 영문자 등이 혼용된 바코드를 해독할 수 있는 바코드 해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한글과 숫자 및 영문자 등이 혼용된 바코드를 해독할 수 있는 바코드 해독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바코드 인식기로 판독가능하도록 인코딩되는 한글을 표현할 수 있는 바코드로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은 소정의 문자열의 시작을 나타내는 코드 패턴이 인코딩된 스타트 영역; 상기 소정의 문자열의 종료를 나타내는 코드 패턴이 인코딩된 스톱 영역; 상기 스타트 영역과 스톱 영역 사이에 구획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바코드 심벌로지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은 한글모드를 일반모드로 또는 일반모드를 한글모드로 전환시키는 어느 한 보조 캐릭터를 나타내는 코드 패턴이 인코딩되는 한글/일반모드 전환 영역; 및 상기 한글/일반모드 전환 영역에 후속하고 상기 스톱 영역 보다 앞서게 구획되되, 소정의 한글에 대한 코드 패턴이 인코딩되는 한글 영역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해독 장치는 소정의 바코드 패턴 세트 및 한글키 조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소정의 바코드 패턴이 포함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상기 이미지 획득부로부터의 이미지 정보를 해독하는 해독부;
상기 해독부에 의해 해독된 정보에서 한/영전환 바코드 패턴에 해당하는 정보의 유무를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해독된 정보를 상기 바코드 패턴 세트 또는 한글키 조합 테이블에 근거하여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로 변환시켜 출력버퍼에 저장시키고, 상기 출력버퍼에 저장된 상기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에 대한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해독 방법은 이미지 획득부에 의해 소정의 바코드 패턴이 포함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1과정; 상기 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해독부에서 해독하는 제 2과정; 상기 해독된 정보에서 한/영전환 바코드 패턴에 해당하는 정보의 유무를 파악하는 제 3과정; 상기 파악 결과에 따라 한/영전환 바코드 패턴에 해당하는 정보가 없으면 상기 해독된 정보를 소정의 바코드 패턴 세트 테이블에 근거하여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로 변환시켜 출력버퍼에 저장시키고, 상기 한/영전환 바코드 패턴에 해당하는 정보가 있으면 상기 해독된 정보를 소정의 한글키 조합 테이블에 근거하여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로 변환시켜 출력버퍼에 저장시키는 제 4과정; 및 상기 출력버퍼에 저장된 상기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의 끝이 인식될 때까지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제 5과정을 구비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을 표현할 수 있는 바코드와 그 바코드의 해독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해독 장치의 구성도로서, 소정의 바코드 패턴 세트를 저장하고 있는 바코드 패턴 세트 저장부(10); 소정의 한글키 조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한글키 조합 테이블 저장부(12); 본 발명의 바코드 해독 장치의 운용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는 롬(ROM)(14); 소정의 바코드 패턴이 포함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16); 그 이미지 획득부(16)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샘플링 주기로 실시간으로 샘플링하는 샘플링부(18); 그 샘플링부(18)로부터의 샘플링 정보를 해독하는 해독부(20); 그 해독부(20)에 의해 해독된 정보를 저장하는 해독정보 저장부(22); 그 해독정보 저장부(22)에서 독출된 첫 번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제 1 버퍼(24); 그 해독정보 저장부(22)에서 독출된 두 번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제 2 버퍼(26); 그 해독정보 저장부(22)에 저장된 해독된 정보가 상기 바코드 패턴 세트 및 한글키 조합 테이블에 근거하여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로 변환됨에 따라 그 변환된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출력버퍼(28); 그 출력버퍼(28)에서 출력되는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화면표시하는 액정형의 표시부(30); 그 출력버퍼(28)에서 출력되는 그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이크(MAKE) 코드와 브레이크(BREAK) 코드를 생성하여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또는 기타 장비)에게로 전송하는 코드정보 생성부(32); 및 그 해독정보 저장부(22)에 저장된 해독된 정보에서 한/영전환 바코드 패턴(즉, 한글모드 또는 일반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바코드 패턴으로서, 코드 128 패턴 세트에서 FNC3에 해당하는 바코드 패턴임)에 해당하는 정보의 유무를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 그 해독된 정보를 바코드 패턴 세트 및 한글키 조합 테이블에 근거하여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로 변환시켜 그 출력버퍼(28)에 저장시키고, 그 출력버퍼(28)에 저장된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표시부(30) 또는 코드정보 생성부(32)에게로 출력되게 제어하는 제어부(34)를 구비한다.
여기서, 그 바코드 패턴 세트 저장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바코드 패턴 세트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은 코드 128 패턴 세트인데, 코드 128이란 1981년 컴퓨터 아이덴틱스(Computer Identics)사에서 개발하였으며, 현재 유통 코드(UPC/EAN/KAN)를 보완하는 응용분야나 고밀도 데이터 응용분야에 많이 사용하는 바코드 패턴 세트로서, 아스키코드 128개의 문자를 모두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때, 패턴세트A(Code A)는 아스키코드에서 소문자를 제외한 문자로, 패턴세트B(Code B)는 특수문자(NUL,SOH...)를 제외한 문자로, 패턴세트C(Code C)는 두자리의 숫자로 되어 있다. 따라서 문자패턴 선택문자(CODE A,B,C)를 이용하여 다음에 오는 문자의 패턴 집합을 선택하여 모든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CODE C같은 경우는 숫자를 연속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바코드에서 사용하면 유용하다. 왜냐하면 패턴 한 개가 두 자리 숫자를 표현하므로 같은 길이에 더 많은 데이터가 표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그리고, 한글키 조합 테이블 저장부(12)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한글키 조합 테이블은 도 3 내지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다.
삭제
상술한 구성요소 즉, 바코드 패턴 세트 저장부(10), 한글키 조합 테이블 저장부(12), 롬(14), 이미지 획득부(16), 샘플링부(18), 해독부(20), 해독정보 저장부(22), 제 1 버퍼(24), 제 2 버퍼(26), 출력버퍼(28), 표시부(30), 코드정보 생성부(32), 및 제어부(34)는 바코드 스캐너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그 표시부(30)와 코드정보 생성부(32)는 모두 구비될 수도 있고 어느 한 가지만 구비될 수도 있다. 예컨대, 그 코드정보 생성부(32)가 필요 없는 스캐너는 그 액정형의 표시부(30)가 장착되어 있어서 컴퓨터 또는 기타 장비가 없어도 스캔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그 코드정보 생성부(32)가 필요한 스캐너는 그 표시부(30)가 장착되어 있지 않아서 별도의 모니터를 갖춘 컴퓨터 또는 기타 장비에 의해 스캔 결과를 확인하여야 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패턴 영역이 포함된 바코드의 심벌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의 바코드 심벌 예는 "NAME:홍길동"을 나타내는 심벌 예로서, 소정의 문자열(즉, NAME:홍길동)의 시작을 나타내는 코드 패턴이 인코딩되는 시작(스타트) 영역; 알파벳 대문자와 숫자(0∼9) 및 특수문자(special character)가 혼재된 코드 패턴(즉, NAME:에 해당하는 코드 패턴)이 인코딩되는 영역; 한글모드 또는 일반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코드 패턴이 인코딩되는 한글/일반모드 전환 영역; 소정의 한글(즉, 홍길동)에 대한 코드 패턴이 인코딩되는 한글 영역; 체크디지트 영역; 및 그 소정의 문자열(즉, NAME:홍길동)의 종료를 나타내는 코드 패턴이 인코딩되는 스톱 영역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8b의 바코드 심벌 예는 "NAME:홍길동abc"를 나타낸 심벌 예로서, 소정의 문자열(즉, NAME:홍길동abc)의 시작을 나타내는 코드 패턴이 인코딩되는 시작(스타트) 영역; 알파벳 대문자와 숫자(0∼9) 및 특수문자(special character)가 혼재된 코드 패턴(즉, NAME:에 해당하는 코드 패턴)이 인코딩되는 영역; 한글모드 또는 일반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코드 패턴이 인코딩되는 한글/일반모드 전환 영역; 소정의 한글(즉, 홍길동)에 대한 코드 패턴이 인코딩되는 한글 영역; 한글모드 또는 일반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코드 패턴이 인코딩되는 한글/일반모드 전환 영역; 알파벳 소문자(즉, abc)에 대한 코드 패턴이 인코딩된 영역; 체크디지트 영역; 및 그 소정의 문자열(즉, NAME:홍길동abc)의 종료를 나타내는 코드 패턴이 인코딩되는 스톱 영역으로 구성된다.
도 8a 및 도 8b의 한글/일반모드 전환 영역에는 어느 한 보조 캐릭터(auxiliary character)에 대한 코드 패턴(즉, 코드 128 패턴 세트에서 FNC3)이 인코딩된다.
도 8a 및 도 8b의 바코드 심벌은 종래의 코드 128체계를 기본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여기에서, 기본 바란 바코드 심벌의 구조상 최소 단위로서 모듈(Moudule)이라고도 한다. 1개의 모듈 또는 복수개의 모듈들이 모여서 바와 스페이스를 만드는데, 이들을 엘리먼트(Element)라고 한다. 또한 여백은 심벌의 판독시 심벌의 좌우 주변 인식면과 구별하여 심벌의 위치 및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존재한다.
첫째, 심벌은 좌우측에 기본 바(X dimension)의 10배 이상의 여백(Quiet Zone)을 갖는다. 둘째, 그 기본 바(X dimension)의 배수에 해당된 두께의 백색 바(White bar)와 흑색 바(Black bar)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 셋째, 각 문자 패턴은 기본 바의 11개의 크기를 가지며 3개의 백색 바와 3개의 흑색 바로 구성된다. 넷째, 심벌의 체크디지트는 항상 고정적으로 존재하며 데이터에 포함될 지의 여부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섯째, 각 문자 패턴은 패턴 세트 정의에 따라 해독을 달리하는데 패턴 세트는 3종류(CODE A(알파벳 대문자, 숫자(0∼9), 제어문자(control character), 특수문자(special character)), CODE B(알파벳 대소문자, 숫자(0∼9), 특수문자(special character)), CODE C(두 자리 숫자쌍(00∼99)))로 구분된다. 여섯째, 보조 캐릭터(auxiliary character)중 <FNC3>를 한글/일반모드 문자로 정의한다. 일곱째, 한글모드 상태에서도 알파벳 대문자, 숫자(0∼9), 특수문자는 별도로 영문으로 전환하지 않고서도 한글과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8a에서 스타트 영역은 바코드 데이터가 영문 대문자(NAME)로 시작되므로 "START A" 또는 "START B"의 코드 패턴(도 2의 코드 128 패턴 세트 참조)이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도 8a에서 "NAME:"는 도 2의 코드 128 패턴 세트에서와 같이 N(46) A(33) M(45) E(37) :(26) 즉, 괄호안의 숫자값에 해당된 결과값의 코드 패턴이 사용된다.
도 8a에서 <FNC3>는 도 2의 코드 128 패턴 세트에서와 같이 결과값이 96인 코드 패턴이 사용되는데 이후의 코드 패턴들은 한글영역이 포함되고 대신 도 8b에서와 같이 영문 소문자 영역(abc)에 대해서는 FNC3를 다시 사용하여 영문영역으로 전환시켜야 한다.
도 8a에서 홍길동은 홍(89-11; 도 7 참조) 길(66-70; 도 3 참조) 동(70-16; 도 4 참조) 즉 순서대로 89-11-66-70-70-16의 결과 값의 코드 패턴을 사용하는데 완성형 문자 하나를 표현하려면 두 개의 패턴을 필요로 한다. 이 때, 한글 키조합 테이블(도 3 참조)의 첫 값이 65-00으로 시작되는 것은 한글 영역 내에서도 알파벳 대문자들을 영문 영역으로 변환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만일 첫 값이 00-00로 시작된다면, 한글영역내에서는 알파벳 대문자의 값과 일치하므로 영문을 사용 못하게 된다. 반면, 65이후 영역은 "제어문자 또는 소문자" 영역이므로 최소한 특수문자와 대문자는 한글과 혼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바코드에서 소문자보다는 대문자를, 제어문자보다는 특수문자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도 8a에서 체크디지트는 코드 128 패턴의 체크디지트 산출법과 동일하게 사용된다. 즉, 모든 바코드는 체크디지트가 존재하는데, 체크디지트는 심볼로지(바코드종류)마다 "기본 또는 옵션"으로 다르게 가지고 있으며, 산출법이 제각기 다르다. 특히 코드 128의 경우에는 체크디지트가 "기본"으로 항상 바코드 데이터 끝에 붙어 있어야 하며, 해독된 바코드데이터의 오류 여부를 체크한다. 도 8a에서 스톱은 코드 128 패턴의 스톱패턴을 동일하게 사용한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해독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및 도 10에 의해서는 별도의 컴퓨터로의 스캔정보 전송이 없이 바코드 스캐너에 구비된 표시부(30)상에 "NAME:홍길동"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글에 대한 코드 패턴이 포함된 소정의 바코드(도 11a 참조)를 이미지 획득부(16)에서 스캐닝함에 따라, 그 이미지 획득부(16)에서 획득한 이미지 신호는 샘플링부(18)로 전송된다. 그 샘플링부(18)에서는 그 입력된 이미지 신호를 소정의 샘플링 주기로 실시간으로 샘플링한다(단계 S10).
그 샘플링부(18)에서의 샘플링 데이터는 제어부(34)에게로 전송되고, 그 제어부(34)에서는 그 입력된 샘플링 데이터에 근거하여 좌우 여백이 바르게 되었는지 및 어떠한 바코드 형식인지 즉, 어떤 바코드 심볼로지(symbology)를 채택하고 있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12).
그 체크결과, 정상적이면(단계 S14에서 "Yes") 그 제어부(34)는 그 샘플링 데이터를 해독부(20)에게로 전송하여 해독하게 명령한다.
그에 따라, 그 해독부(20)에서는 입력된 샘플링 데이터를 해독하고 해독된 정보(이하에서는 "해독정보"라 함)를 재차 제어부(34)에게로 전송하며, 그 제어부(34)는 그 해독정보를 해독정보 저장부(22)에 일시 저장시킨다(단계 S16).
그후, 그 제어부(34)는 그 해독정보 저장부(22)에 저장시킨 해독정보를 전체적으로 체크하여 어딘가에 "FNC3"를 나타내는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8).
그 판단결과, 그 "FNC3"를 나타내는 정보가 없을 경우(단계 S18에서 "No")에는 그 제어부(34)는 초기에 스캐닝된 소정의 바코드가 통상적인 영문, 숫자, 특수 캐릭터 등과 같은 일반문자인 것으로 간주하고서 그 해독정보 저장부(22)에 저장된 해독정보를 출력버퍼(28)를 통해 표시부(30)상에 디스플레이시키거나 코드정보 생성부(32)를 통해 인터페이스(도시 생략)를 거쳐 컴퓨터에게로 전송한다(단계 S20).
그러나, 상기 단계 S18에서의 판단결과, 그 "FNC3"를 나타내는 정보가 있을 경우(단계 S18에서 "Yes")에는 그 제어부(34)는 그 해독정보 저장부(22)에 일시 저장시킨 해독정보에서 한 개의 데이터(즉, 첫 번째 데이터)를 독출한 후 제 1 버퍼(24)에 저장시키고서(단계 S22),
그 독출한 데이터가 "FNC3"를 나타내는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24).
상기 단계 S24에서의 판단결과, "FNC3"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아닌 경우(단계 S24에서 "No") 즉, 그 독출한 데이터가 "N"에 해당하는 데이터인 경우에는 그 제어부(34)는 현재의 모드가 일반모드인지 한글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일반모드이면(단계 S26에서 "No") 바코드 패턴 세트 저장부(10)에 저장된 바코드 패턴 세트에 근거하여 그 제 1 버퍼(24)에 저장시킨 데이터를 그에 해당하는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로 만든다(단계 S28).
그 후, 그 제어부(34)는 그 "N"에 해당된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출력버퍼(28)에 저장시키고 나서(단계 S30),
해독정보 저장부(22)의 데이터 문자열이 더 이상 없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32).
그 판단결과, 후속하는 데이터 문자열이 있으면(단계 S32에서 "No") 즉, "A"에 해당하는 데이터 문자열이 있으므로, 제어부(34)는 상술한 단계 S22로 복귀하여 다음 데이터(즉, "A")를 읽은 후에 그 제 1 버퍼(24)에 저장시킨다. 이때, 이전에 저장되었던 "N"의 데이터는 "A"의 데이터로 갱신된다. 그리고 나서, 상술한 단계 S22 이하의 동작을 수행하여 출력버퍼(28)에 "A"에 해당된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N"의 데이터에 후속하여 저장시킨다.
이와 같이 후속적인 "M", "E", ":"의 데이터를 상술한 동작과 동일하게 처리함으로써, 출력버퍼(28)에는 "NAME:"에 해당된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나면, 상기 제어부(34)는 해독정보 저장부(22)에 저장된 해독정보에서 후속하는 데이터(즉, "FNC3"의 데이터)를 독출한 후 제 1 버퍼(24)에 일시 저장시키고, 그 일시 저장된 데이터가 "FNC3"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므로(단계 S24에서 "Yes") 제어부(34)는 단계 S34로 진행하여 현재의 일반모드를 한글모드로 반전시킨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34)는 한글/일반모드 전환데이터를 출력버퍼(28)에 저장시킨다(단계 S36).
그 후에는, 상술한 단계 S32로 진행하여 그 해독정보 저장부(22)의 데이터 문자열의 끝에 도달하였는지를 재차 판단하게 되는데, 후속하는 데이터 문자열(즉, 홍길동)이 있으므로 재차 상술한 단계 S22로 복귀하여 그 "FNC3"의 데이터에 후속하는 데이터(즉, "홍")를 독출하여 제 1 버퍼(24)에 일시 저장시킨다. 여기서는 완성형 문자 하나를 표현하려면 두 개의 코드 패턴이 필요하고 그로 인해 완성형 문자 하나에 두 개의 데이터가 존재한다. 그에 따라, 처음으로 그 제 1 버퍼(24)에 일시저장되는 한글의 데이터는 홍길동에서 홍(89-11)의 "89"가 된다.
이어, 제어부(34)는 제 1 버퍼(24)에 일시저장된 데이터가 "FNC3"를 의미하는 데이터가 아니고 현재 한글모드이므로(단계 S24에서 "No" 및 단계 S26에서 "Yes") 해독정보 저장부(22)에 일시 저장된 두 번째 데이터(즉, 홍(89-11)의 "11")를 독출한 후에 제 2 버퍼(26)에 저장시킨다(단계 S38).
그리고, 제어부(34)는 그 제 1 및 제 2 버퍼(24, 26)에 저장된 데이터의 조합을 한글키 조합 테이블 저장부(12)에 저장된 한글키 조합 테이블에 대입하여 한글 한 문자(즉, "홍")에 해당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얻어낸다(단계 S40).
그리고 나서, 제어부(34)는 그 "홍"에 해당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출력버퍼(28)에 저장시킨다. 이때, 그 출력버퍼(28)에 저장되는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는 "NAME:홍"이다.
그 후, 제어부(34)는 단계 S32에서 해독정보 저장부(22)의 데이터 문자열이 더 이상 없는지를 판단한다. 그에 따라, "길(66-70)"에 해당하는 데이터 문자열이 있으므로 제어부(34)는 상술한 단계 S22로 복귀하여 다음 데이터(즉, "길(66-70)에서 "66")를 읽은 후에 제 1 버퍼(24)에 저장시킨다. 이때, 이전에 저장되었던 "홍"의 "11"은 "길"의 "66"으로 갱신된다. 그리고 나서, 상술한 단계 S22 이하의 동작을 수행하여 출력버퍼(28)에 "길"에 해당된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홍"의 데이터에 후속하여 저장시킨다.
이와 같이 후속적인 "동(70-16)"의 데이터를 상술한 동작과 동일하게 처리함으로써, 출력버퍼(28)에는 최종적으로 "NAME:홍길동"에 해당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출력버퍼(28)에 "NAME:홍길동"에 해당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가 모두 저장되면(단계 S32에서 "Yes") 제어부(34)는 출력버퍼(28)에 저장된 "NAME:홍길동"에 해당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표시부(30)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그에 따라, 그 표시부(30)상에는 도 11b에서와 같은 영문(NAME)과 특수문자(:)와 한글(홍길동)이 혼재된 문자가 디스플레이된다(단계 S42).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30)가 없을 경우에 바코드 해독 장치와 컴퓨터간의 스캔코드 전송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스캐너는 컴퓨터의 키보드의 클럭라인이 사용중인지를 체크하고(단계 S50), 사용중이 아니면 그 키보드와 컴퓨터간에 연결된 라인을 아날로그 스위치에 의해 분리시킨다(단계 S52). 그리고, 그 키보드의 클럭라인을 액티브상태(즉, logic low)로 만든다(단계 S54). 즉, 키보드를 스캐너에 연결시키고 그 스캐너를 컴퓨터에 연결시킨 형태로 만드는 것으로서, 스캐너가 키보드와 컴퓨터의 중간에 위치하게 만든다.
이후, 제어부(34)에서는 출력버퍼(28)의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독출하여 코드정보 생성부(32)에게로 전송하고, 코드정보 생성부(32)에서는 제어부(34)의 제어에 의해 그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에 해당된 스캔코드를 생성한다(단계 S56).
그리고, 코드정보 생성부(32)는 그 스캔코드를 이용하여 메이크 코드(MAKE Code)와 브레이크 코드(BREAK Code)를 생성(단계 S58)한 후, 그 생성된 메이크 코드와 브레이크 코드를 클럭의 동기신호에 맞추어 소정의 인터페이스(데이터 신호선)를 통해 컴퓨터에게로 전송한다(단계 S60).
출력버퍼(28)내의 모든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컴퓨터에게로 모두 전송하게 되면(단계 S62에서 "Yes") 키보드와 컴퓨터간의 연결을 복귀시킨다(단계 S64).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컴퓨터와 연결된 모니터상에 바코드 스캐너로 스캐닝하여 디코딩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인 영문, 특수문자와 한글이 혼재된 문자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바코드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한글표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바코드로서 보다 많은 표현이 가능하게 되어 표현상의 제한을 극복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 또는 공유하지 않고서도 영문, 숫자, 한글의 혼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원격지에 떨어진 데이터베이스를 거치지 않고서도 바코드 또는 컴퓨터 디스플레이부로 디코딩된 문자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적용된 바코드 인식기(스캐너)로서 바코드 형태로 인코딩된 문자를 간편하게 인식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간편성으로 인하여 예를 들면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는 우편물의 취급 시 우체부가 본 발명이 적용된 바코드 인식기(스캐너)로서 현장에서 주소를 파악하여 중간확인을 할 수 있어 정확한 주소지에 배달이 가능하다는 편리한 점이 있으며,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는 택배물의 취급 시에도 역시 택배원이 본 발명이 적용된 바코드 인식기(스캐너)로서 현장에서 택배물의 택배장소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본사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재확인을 하지 아니하고도 정확한 배달을 할 수 있는 편리한 점이 있는 것이며, 기타 바코드를 이용한 인식방법에 간단하게 적용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해독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코드 패턴세트 저장부에 기 저장된 코드 128 패턴 세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한글키 조합 테이블 저장부에 기 저장된 한글 키조합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패턴 영역이 포함된 바코드의 심벌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 해독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11a는 도 10a에 도시된 심벌에 대한 실제적인 바코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바코드 형태가 스캔되어 해독된 후에 도 1에 도시된 표시부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가 없을 경우에 바코드 해독 장치와 컴퓨터간의 스캔코드 전송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바코드 패턴 세트 저장부 12 : 한글키 조합 테이블 저장부
14 : 롬(ROM) 16 : 이미지 획득부
18 : 샘플링부 20 : 해독부
22 : 해독정보 저장부 24 : 제 1 버퍼
26 : 제 2 버퍼 28 : 출력버퍼
30 : 표시부 32 : 코드정보 생성부
34 : 제어부

Claims (18)

  1. 삭제
  2. 소정의 문자열의 시작을 나타내는 코드 패턴이 인코딩된 스타트 영역;
    상기 소정의 문자열의 종료를 나타내는 코드 패턴이 인코딩된 스톱 영역;
    상기 스타트 영역과 스톱 영역 사이에 구획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바코드 심벌로지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은 한글모드를 일반모드로 또는 일반모드를 한글모드로 전환시키는 어느 한 보조 캐릭터를 나타내는 코드 패턴이 인코딩되는 한글/일반모드 전환 영역; 및
    상기 한글/일반모드 전환 영역에 후속하고 상기 스톱 영역 보다 앞서게 구획되되, 소정의 한글에 대한 코드 패턴이 인코딩되는 한글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표현할 수 있는 바코드로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캐릭터는 코드 128 패턴 세트에서 FNC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표현할 수 있는 바코드를 이용한 정보 표시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영역에 후속하여 소정의 알파벳 소문자에 대한 코드 패턴이 인코딩된 영역이 추가되고, 상기 한글 영역과 상기 소정의 알파벳 소문자에 대한 코드 패턴이 인코딩된 영역 사이에는 상기 한글/일반모드 전환 영역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을 표현할 수 있는 바코드를 이용한 정보 표시방법.
  5. 소정의 바코드 패턴 세트 및 한글키 조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0,12);
    소정의 바코드 패턴이 포함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16);
    상기 이미지 획득부(16)로부터의 이미지 정보를 해독하는 해독부(20);
    상기 해독부(20)에 의해 해독된 정보에서 한/영전환 바코드 패턴에 해당하는 정보의 유무를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해독된 정보를 상기 바코드 패턴 세트 또는 한글키 조합 테이블에 근거하여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로 변환시켜 출력버퍼(28)에 저장시키고, 상기 출력버퍼(28)에 저장된 상기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에 대한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34); 및
    상기 제어부(34)의 제어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해독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바코드 패턴이 포함된 이미지는 소정의 문자열의 시작을 나타내는 바코드 패턴(VALUE;103); 상기 소정의 문자열의 종료를 나타내는 바코드 패턴(VALUE;없음); 한글모드 또는 일반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바코드 패턴(VALUE;96); 및 소정의 한글에 대한 바코드 패턴(VALUE;65-00 내지 VALUE;89-80)이 혼재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해독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모드 또는 일반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바코드 패턴(VALUE;96)은 코드 128 패턴 세트에서 FNC3에 해당하는 바코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해독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한글에 대한 바코드 패턴(VALUE;65-00 내지 VALUE;89-80)에 후속하여 소정의 알파벳 소문자에 대한 바코드 패턴이 추가로 포함되고, 상기 소정의 한글에 대한 바코드 패턴(VALUE;65-00 내지 VALUE;89-80)과 상기 소정의 알파벳 소문자에 대한 바코드 패턴 사이에는 상기 한글모드 또는 일반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바코드 패턴(VALUE;96)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해독 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이크 코드와 브레이크 코드를 생성하여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에게로 전송하는 코드정보 생성부(32)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해독 장치.
  10. 소정의 바코드 패턴 세트 및 한글키 조합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0,12);
    소정의 바코드 패턴이 포함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16);
    상기 이미지 획득부(16)로부터의 이미지 정보를 해독하는 해독부(20);
    상기 해독부(20)에 의해 해독된 정보에서 한/영전환 바코드 패턴에 해당하는 정보의 유무를 파악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해독된 정보를 상기 바코드 패턴 세트 또는 한글키 조합 테이블에 근거하여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로 변환시켜 출력버퍼(28)에 저장시키고, 상기 출력버퍼(28)에 저장된 상기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에 대한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34); 및
    상기 제어부(34)의 제어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이크 코드와 브레이크 코드를 생성한 후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에게로 전송하는 코드정보 생성부(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해독 장치.
  11. 이미지 획득부(16)에 의해 소정의 바코드 패턴이 포함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 1과정(S10);
    상기 획득된 이미지 정보를 해독부(20)에서 해독하는 제 2과정(S12,S14,S16);
    상기 해독된 정보에서 한/영전환 바코드 패턴에 해당하는 정보의 유무를 파악하는 제 3과정(S18);
    상기 파악 결과에 따라 한/영전환 바코드 패턴에 해당하는 정보가 없으면 상기 해독된 정보를 소정의 바코드 패턴 세트 테이블(10)에 근거하여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로 변환시켜(S20) 출력버퍼(28)에 저장시키고(S30), 상기 한/영전환 바코드 패턴에 해당하는 정보가 있으면 상기 해독된 정보를 소정의 한글키 조합 테이블(12)에 근거하여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로 변환시켜(S40) 출력버퍼(28)에 저장시키는(S30) 제 4과정; 및
    상기 출력버퍼(28)에 저장된 상기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가 문자열의 끝인지를 확인하여(S32) 끝이 아니면 상기 제 3과정(S18)을 반복하고, 끝이면 상기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제 5과정(S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해독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은 소정의 데이터의 시작을 나타내는 바코드 패턴; 상기 소정의 데이터의 종료를 나타내는 바코드 패턴; 한글모드 또는 일반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바코드 패턴; 및 소정의 한글에 대한 바코드 패턴이 혼재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해독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모드 또는 일반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바코드 패턴은 코드 128 패턴 세트에서 FNC3에 해당하는 바코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해독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은 소정의 문자열의 시작을 나타내는 바코드 패턴과 상기 소정의 문자열의 종료를 나타내는 바코드 패턴과 한글모드 또는 일반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바코드 패턴과 소정의 한글에 대한 바코드 패턴 및 소정의 알파벳 소문자에 대한 바코드 패턴이 혼재된 이미지를 획득하되, 상기 소정의 알파벳 소문자에 대한 바코드 패턴은 상기 소정의 한글에 대한 바코드 패턴에 후속하고, 상기 소정의 한글에 대한 바코드 패턴과 상기 소정의 알파벳 소문자에 대한 바코드 패턴 사이에는 상기 한글모드 또는 일반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바코드 패턴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해독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한/영전환 바코드 패턴은 한글모드 또는 일반모드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바코드 패턴으로서 코드 128 패턴 세트에서 FNC3에 해당하는 바코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해독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과정은 상기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소정의 액정 표시부(30)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바코드 해독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과정은 상기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 또는 한글에 대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이크 코드와 브레이크 코드를 생성한 후 그 생성된 메이크 코드와 브레이크 코드를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에게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바코드 해독 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과정은 상기 한/영전환 바코드 패턴에 해당하는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해독정보 저장부(22)에 일시 저장시킨 해독정보에서 한 개의 데이터를 독출한 후 제 1 버퍼(24)에 저장시키고(S22); 상기 독출한 데이터가 한/영전환 바코드 패턴인지를 판단하고(S24); 상기 단계 S24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독출한 데이터가 한/영전환 바코드 패턴이 아니면 현재의 모드가 일반모드인지 또는 한글모드인지를 판단하고(S26); 상기 단계 S26에서의 판단 결과 일반모드이면 상기 바코드 패턴 세트 테이블(10)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버퍼(24)에 저장시킨 데이터를 일반문자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로 만들어(S28); 상기 출력버퍼(28)에 저장시키거나(S30);
    상기 단계 S26에서의 판단 결과 한글모드이면 상기 해독정보 저장부(22)에 저장된 두 번째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 2 버퍼(26)에 저장시키고(S38); 상기 제 1 및 제 2 버퍼(24, 26)에 저장된 데이터의 조합을 상기 한글키 조합 테이블(12)에 대입하여 한글 한 문자에 해당된 키조합 문자열 데이터를 얻어내(S40); 상기 출력버퍼(28)에 저장시키거나(S30); 또는
    상기 단계 S24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독출한 데이터가 한/영전환 바코드 패턴이면 현재의 일반모드를 한글모드로 반전시켜(S34); 한글/일반모드 전환데이터를 상기 출력버퍼(28)에 저장시키는(S36);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해독방법.
KR10-2002-0020425A 2002-04-15 2002-04-15 한글을 표현할 수 있는 바코드와 그 바코드의 해독 장치및 방법 KR100526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425A KR100526202B1 (ko) 2002-04-15 2002-04-15 한글을 표현할 수 있는 바코드와 그 바코드의 해독 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425A KR100526202B1 (ko) 2002-04-15 2002-04-15 한글을 표현할 수 있는 바코드와 그 바코드의 해독 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954A KR20030081954A (ko) 2003-10-22
KR100526202B1 true KR100526202B1 (ko) 2005-11-03

Family

ID=32379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425A KR100526202B1 (ko) 2002-04-15 2002-04-15 한글을 표현할 수 있는 바코드와 그 바코드의 해독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254A (ko) * 2002-05-22 2003-11-28 우윤흠 완성형 한글 바코드 시스템 및 방법
CN111045530B (zh) * 2019-12-18 2023-09-05 福州符号信息科技有限公司 嵌入式条码识读设备模拟多国语言键盘输出的方法及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9986A (ja) * 1985-06-05 1986-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バ−コ−ド字母の自動作成装置
JPH03166675A (ja) * 1989-11-27 1991-07-18 Tokyo Electric Co Ltd バーコードデコーダ及びバーコードデコード方法
US5243655A (en) * 1990-01-05 1993-09-07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 for encoding and decoding data in machine readable graphic form
KR20000037592A (ko) * 1998-12-01 2000-07-05 정선종 완성형 한글 4 상태 바코드 인쇄 시스템, 판독 시스템 및그 제어 방법
KR20010078545A (ko) * 2000-02-09 2001-08-21 이상영 바코드 심볼을 구비한 명함 및 그 바코드 심볼의 인코더및 디코더
KR20010103829A (ko) * 2001-10-12 2001-11-24 강영호 이미지와 텍스트를 조합하여 암호화한 후 압축을 통하여2차원 바코드로 인코딩 및 디코딩하여 실시간으로 신분 및물품의 확인이 가능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9986A (ja) * 1985-06-05 1986-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バ−コ−ド字母の自動作成装置
JPH03166675A (ja) * 1989-11-27 1991-07-18 Tokyo Electric Co Ltd バーコードデコーダ及びバーコードデコード方法
JP2731610B2 (ja) * 1989-11-27 1998-03-25 株式会社テック バーコードデコーダ及びバーコードデコード方法
US5243655A (en) * 1990-01-05 1993-09-07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 for encoding and decoding data in machine readable graphic form
KR20000037592A (ko) * 1998-12-01 2000-07-05 정선종 완성형 한글 4 상태 바코드 인쇄 시스템, 판독 시스템 및그 제어 방법
KR20010078545A (ko) * 2000-02-09 2001-08-21 이상영 바코드 심볼을 구비한 명함 및 그 바코드 심볼의 인코더및 디코더
KR20010103829A (ko) * 2001-10-12 2001-11-24 강영호 이미지와 텍스트를 조합하여 암호화한 후 압축을 통하여2차원 바코드로 인코딩 및 디코딩하여 실시간으로 신분 및물품의 확인이 가능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954A (ko)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2137B1 (ko) 기계광학 판독 가능한 동적 가변 2진 코드 판독장치, 2진 코드의 크기 및 밀도 결정장치 및 2진 코드 생성장치
KR100341504B1 (ko) 기계로 판독가능한 코드와 그 코드의 인코딩/디코딩 방법및 장치
JP2002074261A (ja) 情報コード読取装置
WO2006061820A2 (en) A handheld text scanner
US5635698A (en) Terminal device, data setting method and bar code creating method
WO2008064909A2 (en) Multicolor barcode
US20050146528A1 (en) Arrangement for the scaling of fonts
US20040148156A1 (en) Word processor systems or the like
KR100526202B1 (ko) 한글을 표현할 수 있는 바코드와 그 바코드의 해독 장치및 방법
JPH09504633A (ja) バーコードシンボル表記法を使用する16ビット用及び数値データ収集用装置及び方法
EP0331758B1 (en) Data code on a code sheet and apparatus of recognizing the code
JP6763173B2 (ja) 文書修正方法、文書修正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385740B1 (ko) 확장형 바코드 시스템 및 이를 인쇄하고 판독하는 방법
JPH04502223A (ja) 記号形成装置
KR102204183B1 (ko) 스캐너 키보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 및 숫자 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물류 관리 단말기
JP2002024756A (ja) バーコードリーダシステム
JPH103341A (ja) 文字情報入力方法および装置
JP3359688B2 (ja) バーコード入力装置
JP2000066664A (ja) データ処理装置
JPH0575143B2 (ko)
KYAW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AR CODES FOR ALL PRODUCTS IN COMMERCIAL CONTROL SYSTEM
JPH02259892A (ja) パリティ付マス目コード発生装置
KR100193710B1 (ko) Pos 시스템의 문자 폰트 교환방법
JPH11282948A (ja) シンボル読取装置の動作条件設定方法及びシステム
KR19990065038A (ko) 복합 사무기기의 바코드 인식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