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853B1 - 누름 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누름 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853B1
KR100524853B1 KR10-2003-0039338A KR20030039338A KR100524853B1 KR 100524853 B1 KR100524853 B1 KR 100524853B1 KR 20030039338 A KR20030039338 A KR 20030039338A KR 100524853 B1 KR100524853 B1 KR 100524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switch
lever
cas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0149A (ko
Inventor
사사키순키치
타케바야시야스히로
타카하시사토루
요네자와타츠시
스기하라마사키
히라이요시카즈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3-0039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853B1/ko
Publication of KR2004011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Abstract

접점부의 접점 개폐에 필요한 접점 갭(gap), 즉, 접점부가 안전하게 끊어지기 위해 접점간의 개리 거리와 같거나 그 이상의 이동 스트로크가 키 톱에 필요하게 되어 있고, 스위치 전체가 두껍게 되어 있다.
스위치 구동부(3)는, 누름 버튼부(5)가 눌려진 때, 이 누름 버튼부(5)에 연동하여 요동 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또한 서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레버 부재(34L, 34N)를 가지며, 또한 양 레버 부재(34L, 34N)가, 그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서 조인트 부재(44F, 44R)에 의해 절곡 가능하며, 또한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 레버 링크 기구(F)와, 이 레버 링크 기구(F)가 누름 버튼부(5)의 압입에 의해 요동한 때에 내장 스위치(2)를 개폐 작동시키는 스위치 작동 부재(48)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누름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스위치 등에 사용되는 누름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누름 버튼 스위치로서는, 도 33 및 도 34에 도시한 것이 있다. 이 누름 버튼 스위치(S-1)는 케이스(90)를 구비하고 있고, 이 케이스(90)에는 부착부(100)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케이스(90)에는, 서로 대향하는 측면부의 각각의 안측에 각각 2개의 고정 단자(91)가 부착되어 있고, 이들의 고정 단자(91)는, 그 상면부에 고정 접점(91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90)에는 조작축(92)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이 조작축(92)의 내단부에는, 고정 단자(91)에 대향하도록 가동편(93)이 부착되어 있고, 이 가동편(93)은, 고정 접점(91a)에 대향하는 가동 접점(93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조작축(92)의 외단에는 확산판(95)와 문자판(94)과 키 톱(96)이 겹쳐진 상태에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축(92)은 복귀 스프링 부재(97)에 의해 들어 올려져 있고, 가동 접점(93a)이 고정 접점(91a)으로부터 개리되어 있다.
램프(98)는 램프 홀더(99)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90) 내에, 램프(98) 및 램프 홀더(99)를 수용한 상태에서, 케이스(90)를 부착 상대 부재(도시 생략)에 부착함으로써 누름 버튼 스위치(S-1)가 구성되고, 이 누름 버튼 스위치(S-1)는, 확산판(95)과 문자판(94)과 키 톱(96)으로 이루어지는 누름 버튼부의 바로 아래에 램프(98)를 배치한 직하 조광 방식이다.
그리고, 누름 버튼부의 키 톱(96)을 손가락으로 압입함으로써, 복귀 스프링 부재(97)에 대항하여 조작축(92)을 압입하면, 가동편(93)의 가동 접점(93a)이 고정 단자(91)의 고정 접점(91a)에 접촉하고, 접점부가 닫혀 스위치 온의 상태가 된다.
램프(98)가 점등하면, 확산판(95)을 이면측에서 조광한다. 따라서 문자판(94)상의 문자가 확산판(95)을 투과한 광에 의해 키 톱(96)의 외측에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누름 버튼 스위치(S-1)에 있어서는, 키 톱(96)을 눌러서 직접 가동 접점(93a)을 이동시키고, 가동 접점(93a)과 고정 접점(91a)으로 구성된 접점부를 닫아서 스위치 온의 상태로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접점부의 접점 개폐에 필요한 접점 갭, 즉, 접점부가 안전하게 끊어지기 위한 접점(91a, 93a) 사이의 개리 거리와 같거나 그 이상의 이동 스트로크가 키 톱(96)에 필요하게 되어, 스위치 전체가 두꺼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한 누름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는, 누름 버튼부를 누름으로써 스위치부를 개폐 작동시키도록, 누름 버튼부와 스위치부를 케이스에 수용하도록 한 누름 버튼 스위치로서, 누름 버튼부가 눌려진 때에 누름 버튼부에 연동하여 요동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며 또한 서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레버 부재를 가지며, 또한 양 레버 부재가, 그 서로 대향하는 대향 단부에서 절곡 가능하며 또한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 레버 링크 기구와, 레버 링크 기구가 누름 버튼부의 압입에 의해 요동한 때에 스위치부를 개폐 작동시키는 스위치 작동 부재를 갖고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누름 버튼부를 누름으로써, 레버 링크 기구에 의해 누름 버튼부를, 그 압입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고, 레버 링크 기구가 누름 버튼부의 압입에 의해 작동한 때에, 이 레버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레버 부재를 요동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시켜서 스위치 작동 부재에 의해 스위치부를 작동할 수 있다.
스위치부의 접점 개폐에 필요한 접점 갭, 즉, 스위치부가 안전하게 끊어지기 위한 접점간의 개리 거리와, 누름 버튼부의 이동 스트로크는 다른 것으로서, 종래는, 접점부가 안전하게 끊어지기 위한 접점간의 개리 거리와 같거나 그 이상의 이동 스트로크가 누름 버튼부(키 톱)에 필요하게 되어 있음에 대해, 누름 버튼부의 소요의 이동 스트로크와 스위치부의 접점 개폐에 필요한 스트로크(접점 갭)와의 차를 레버 부재의 레버비(比)를 선택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누름 버튼부의 작은 이동 스트로크로서 스위치부를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스위치부의 접점 개폐에 필요한 스트로크(접점 갭)보다 누름 버튼부의 이동 스트로크를 작게 하여 스위치부를 확실하게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레버비(lever rate)가 다른 레버 부재를 사용하면 좋다.
이와 같이, 스위치부의 접점 개폐에 필요한 스트로크(접점 갭)보다 누름 버튼부의 이동 스트로크를 작게 하고 스위치부를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누름 버튼 스위치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레버 링크 기구가, 요동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한 쌍의 레버 부재를 가지며 또한 양 레버 부재가, 그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서 절곡 가능하며 또한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개의 링크를 각각의 중간부에서 서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한 승강 링크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누름 버튼 스위치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누름 버튼부란, 예를 들면, 조작축에 확산판과 문자판과 키 톱을 겹친 상태로 끼워넣고, 확산판과 문자판과 키 톱을 조작축에 고정장착한 구성의 것이다. 또한, 스위치부란, 예를 들면 내장 스위치로서의 덕타일 스위치, 메커니컬 스위치가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레버 부재는 와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 쌍의 레버 부재가 강인한 것으로 되어, 합성 수지제의 레버 부재가 충격에 약하고 절단되어 파손되는 경우가 있는 것에 대해, 충격에 강하고 절단되어 파손되는 일이 없고, 누름 버튼 스위치의 장기간 사용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한쪽의 레버 부재는, 한쪽의 아암부의 대향 단부에서 한쪽의 조인트 부재에 고정됨과 함께, 다른쪽의 아암부의 대향 단부가 다른쪽의 조인트 부재에 활주 가능하게 연계되어 있고, 다른쪽의 레버 부재는, 한쪽의 아암부의 대향 단부에서 다른쪽의 조인트 부재에 고정됨과 함께, 다른쪽의 아암부의 대향 단부가 한쪽의 조인트 부재에 활주 가능하게 연계되어 있고, 한쪽 레버 부재의 다른쪽 아암부의 대향 단부와 다른쪽의 레버 부재의 다른쪽 아암부의 대향 단부를 잇는 직선상에, 레버 절곡점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누름 버튼부를 누름으로써, 레버 링크 기구에 의해 누름 버튼부를, 그 압입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고, 레버 링크 기구가 누름 버튼부의 압입에 의해 작동한 때에, 이 레버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한쪽 및 다른쪽의 레버 부재를, 각각의 요동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시켜서 레버 절곡점에서 관절 운동시킬 수 있고, 레버 링크 기구의 평행 이동 기능을 용이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레버 링크 기구를 간소한 구성으로, 게다가 치수가 낮은 구성으로 할 수 있어서, 누름 버튼 스위치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에 기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스위치 작동 부재와 스위치부와의 사이에, 누름 버튼부가 압입된 때에, 누름 버튼부의 압입 방향과 역방향으로 스프링력을 발생시키는 소음(잡음소거) 부재를 개재시킨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위치 작동 부재와 스위치부와의 사이에 소음 부재가 존재하기 때문에, 스위치 작동 부재가 소음 부재를 통하여 스위치부를 압입하면, 이 압입력에, 스위치 작동 부재가 스위치부를 누르는 가압력이 더해지지만, 소음 부재의 스프링력이, 스위치부의 압입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작용하여, 즉, 소음 부재의 스프링력이 가압력을 지워 없애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스위치부의 가동 접점의 고정 접점에의 충돌 속도가 작아지고, 이 접점 끼리의 충돌 하중이 작아져서,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한 때에 발하는「찰칵」하는 소음을 소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케이스에 스위치 작동 부재를 덮도록 하여 누름 버튼부의 전면부를 조명하는 조광부를 배치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광부에서 스위치 작동 부재를 겹쳐 덮음으로써, 키가 낮은 구성으로 할 수 있어서, 누름 버튼 스위치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에 기여 할 수 있다.
여기서 조광부란, 예를 들면, 반사 케이스와, 이 반사 케이스에 유지되는 도광판과, 이 도광판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부인 LED 모듈 등으로 구성된 것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케이스에, 누름 버튼부가 압입된 때에, 누름 버튼부가 맞닿는 탄성을 갖는 스토퍼 부재를 배치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통상적으로 누름 버튼부를 가압한 경우에는, 누름 버튼부는, 스토퍼 부재에 맞닿아, 그 가압력에 대처할 수 있어서, 가압력이 타 구성 부품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부착 금구와의 사이에 충격 흡수 부재를 마련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통상적으로 누름 버튼부를 가압한 경우에는, 누름 버튼부는 스토퍼 부재에 맞닿아, 그 가압력에 대처할 수 있지만, 누름 버튼부를 과도한 가압력으로 누른 경우에는, 누름 버튼부가 스토퍼 부재에 충돌하고, 이 스토퍼 부재가 휘어서 누름 버튼부가 케이스에서 받아지며, 또한, 이 케이스는 충격 흡수 부재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과도한 가압력에 의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충격 흡수 부재란, 예를 들면, 탄성을 갖는 판재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사시도, 도 2는 동 누름 버튼 스위치를 부착 금구에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동 누름 버튼 스위치의 개략적인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Y-Y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Z-Z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한다.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실시 형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에 수용하는 스위치부인 내장 스위치(2)와, 케이스(1)에 마련되고 내장 스위치(2)를 작동하는 스위치 구동부(3)와, 조광부(4)와, 누름 버튼부(5)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는 케이스 본체(1F)를 갖고 있고, 이 케이스 본체(1F)는, 저면부(하면부)(1A)와, 전, 후면부(1B, 1C)와, 좌, 우면부(1D, 1E)를 갖는 박스 형상을 하고 있고 윗면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좌, 우면부(1D, 1E)에는 결합 돌기부(1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F)의 저면부(1A)의 내면(1A-1)에는, 레버 부재 설치부(6)와, 스위치 부착부(7)와, 소음 부재 설치부(75)와, 스위치 작동 부재 부착부(76)와, 조작축 설치부(22)와, 스토퍼 부재 설치부(56)와, 반사 케이스 부착부(78)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부(1A)의 외면(1A-2)에는 기판 설치부(54)와 충격 흡수 부재 설치부(77)가 마련되어 있다.
레버 부재 설치부(6)은, 한쪽의 레버 부재 설치부인 좌측 레버 부재 설치부(6L)와, 다른쪽의 레버 부재 설치부인 우측 레버 부재 설치부(6N)로 구성하고 있다.
좌측 레버 부재 설치부(6L)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부(1A)의 내면(1A-1)측에 있어서, 좌면부(1D)에 따르도록 하여 형성된 레버 삽입용 긴홈부(7A)와, 레버 삽입용 긴홈부(7A)의 전, 후부에 형성된 구멍부(8)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부(1A)의 외면(1A-2)측에 있어서, 전, 후부에 형성된 레버아암 삽입 홈부(9F, 9R)와, 저면부(1A)의 내면(1A-1)측으로부터 외면(1A-2)측으로 빠저지는 구멍부인 전후의 조인트 부재 수용부(10F, 10R)로 구성하고 있다.
레버아암 삽입 홈부(9F, 9R)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부(1A)의 외면(1A-2)에 형성된 크랭크 형상의 홈부(11F, 11R)를 구비하고 있고, 홈부(11F, 11R)는, 구멍부(8)에 이어지는 좌우 방향에 따른 가로 홈부(12F, 12R)와, 가로 홈부(12F, 12R)에 이어지는 전후 방향에 따른 세로 홈부(13F, 13R)와, 세로 홈부(13F, 13R)에 이어지며 또한 조인트 부재 수용부(10F, 10R)에 이어지는 가로 홈부(14F, 14R)를 갖고 있고, 세로 홈부(13F, 13R)에는 돌기부(15F, 15R)가 형성되어 있고, 전후의 레버 지점 지지부(16F, 16R)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우측 레버 부재 설치부(6N)는, 좌측 레버 부재 설치부(6L)와 같은 구성이지만, 레버아암 삽입 홈부(9F, 9R)가 역으로 향하고 있고, 따라서 전후의 레버 지점 지지부(16F, 16R)가 역으로 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부착부(7)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부(1A)의 내면(1A-1)측의 중앙부에 형성된 오목부(17)의 저부에 결합구멍부(17a)를 형성하고, 또한 오목부(17)의 저부의 4모퉁이에 편측지지 형상의 결합부(18)를 돌출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결합부(18)에는 갈고리부(18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 부재 설치부(56)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내면(1A-1)의 4모퉁이부에 형성하고 있다.
또한, 스위치 작동 부재 부착부(76)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부착부(7)의 오목부(17)를 끼운 좌, 우부에 구멍부(20)와 오목부(21)를 형성하여 구성하고 있고, 구멍부(20)는 좌측 레버 부재 설치부(6L)의 레버 삽입용 긴홈부(7A)에 이어져 있고, 오목부(21)는 우측 레버 부재 설치부(6N)의 레버 삽입용 긴홈부(7A)에 이어져 있다.
또한, 조작축 부착부(22)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F)의 전, 후면부(1B, 1C)와 좌, 우면부(1D, 1E)와의 각각의 내면에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전, 후부는 홈부(2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전, 후면부(1B, 1C)의 내면에는 한 쌍의 결합 돌기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 우면부(1D, 1E)의 내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부(2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1F)에는, 그 저면부(1A)로부터 좌면부(1D)에 걸처서 직사각형 형상의 리드선용 구멍부(29)가 마련되어 있다.
내장 스위치(2)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덕타일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 작동부인 푸시버튼(30)을 누름으로써, 내부에 마련한 돔 형상의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가동 전극(도시 생략)을 휘게 하고, 이 가동 전극의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모두 도시 생략)에 접촉시켜서 온 작동시키고, 푸시버튼(30)의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가동 전극의 복귀력으로, 이 가동 전극을 복원시켜서 오프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 내장 스위치(2)의 케이스(31)의 이면에는 결합 돌기부(32)가 돌출되어 있다(도 8 참조), 케이스(31)의 측면부에는 단자 리드(33a, 33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내장 스위치(2)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돌기부(32)를 스위치 부착부(7)의 결합구멍부(17a)에 삽입 걸어맞추고, 도 10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31)의 어깨부에 결합부(18)의 갈고리부(18a)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스위치 부착부(7)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의 저면부(1A)의 외면(1A-2)측에 형성된 기판 설치부(54)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트 회로 기판(55)이 장착되어 있고, 이 프린트 회로 기판(55)에 내장 스위치(2)의 단자 리드(33a, 33b)가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구동부(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한쪽 및 다른쪽)의 레버 부재(34L, 34N)와, 레버 부재(34L, 34N)을 서로 연결하는 조인트 부재(44F, 44R)와, 탄성재(스프링 판재)로 이루어지는 가동편 형상의 스위치 작동 부재(48)와, 판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소음 부재(5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좌우의 레버 부재(34L, 34N)와 조인트 부재(44F, 44R)로 레버 링크 기구(F)를 구성하고 있다(도 12 참조).
왼쪽(한쪽)의 레버 부재(34L)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금속제의 와이어를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레버 부재(34L)는, 직선 형상의 연결축부(35)와, 이 연결축부(35)의 양단부에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한쪽의 아암부인 아암부(38F)와, 연결축부(35)의 후단부에 크랭크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다른쪽의 아암부인 아암부(38R)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아암부(38F)는, 연결축부(35)에 직교하는 연결부(39F)와, 연결부(39F)에 이어지고 또한 연결축부(35)에 평행한 지지부(40F)와, 이 지지부(40F)에 이어지며 또한 연결축부(35)에 직교하는 연결부(41F)와, 이 연결부(41F)에 이어지고 또한 연결축부(35)에 평행하는, 한쪽의 레버측 고정부인 핀부(42F)를 갖고 있다.
또한, 아암부(38R)는, 연결축부(35)에 직교하는 연결부(39R)와, 연결부(39R)에 이어지며 또한 연결축부(35)에 평행한 지지부(40R)와, 이 지지부(40R)에 이어지고 또한 연결축부(35)에 직교하는 연결부(41R)과, 이 연결부(41R)에 이어지고 또한 연결축부(35)에 평행하는, 한쪽의 레버측 활주부인 핀부(42R)를 갖고 있다.
또한, 아암부(38F, 38R)의 각각의 지지부(40F, 40R)는 연결축부(35)에 평행한 평행선(a)상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연결부(41F)는 연결부(41R)보다 짧게 되어 있고, 핀부(42F)의 축선(b)과 핀부(42R)의 축선(c)과는 치수(x)만큼 벗어나 있다.
또한, 오른쪽(다른쪽)의 레버 부재(34N)는 왼쪽(한편)의 레버 부재(34L)와 같은 구성이다. 그리고, 오른쪽의 레버 부재(34N)는, 왼쪽의 레버 부재(34L)와 같은 레버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왼쪽의 레버 부재(34L)에 대향시키는 것으로서, 오른쪽의 레버 부재(34N)에 있어서, 한쪽의 아암부가 되는 아암부(38F)의 핀부(42F)가 다른쪽의 레버측 고정부로 되고, 다른쪽의 아암부가 되는 아암부(38R)의 핀부(42R)가 다른쪽의 레버측 활주부로 된다. 또한, 왼쪽의 레버 부재(34L)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조인트 부재(44F, 44R)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형상의 부재 본체(44A)를 갖고 있고, 이 부재 본체(44A)의 내면부(44a)에는, 이것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핀 삽입 구멍부(45)가, 또한, 이 핀 삽입 구멍부(45)에 이어지는 핀 삽입 홈부(46)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로 조인트측 고정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부재 본체(44A)의 내면부(44a)에 직교하는 단면부(44b)에는, 핀 삽입 구멍부(45)에 평행하는, 조인트측 활주부인 슬라이드 홈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 작동 부재(48)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판으로 이루어지는 꼬리표 형상의 플레이트부(48A)를 갖고 있고, 이 플레이트부(48A)의 중앙부에는 돌기 형상의 스위치 작동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48A)의 양단부에는 레버 부재 설치부인 레버 부재 걸림부(50L, 50N)가 형성되어 있다.
소음 부재(51)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판으로 이루어지는 꼬리표 형상의 플레이트부(51A)를 갖고 있고, 이 플레이트부(51A)의 중앙부는 스위치 당접부(52)로 되어 있고, 플레이트부(51A)의 양단부는 지지부(53)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왼쪽(한편)의 레버 부재(34L)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아암부(38F)의 핀부(42F)를, 조인트 부재(44F)의 핀 삽입 구멍부(45)에 삽입하여 연결부(41F)를 핀 삽입 홈부(46)에 삽입하여 조인트 부재(44F)가 부착되어 있고, 또한, 마찬가지로, 오른쪽(다른쪽)의 레버 부재(34N)에는, 그 아암부(38F)의 핀부(42F)를, 조인트 부재(44R)의 핀 삽입 구멍부(45)에 삽입하고, 연결부(41F)를 핀 삽입 홈부(46)에 삽입하여 조인트 부재(44R)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왼쪽의 레버 부재(34L)는 케이스(1)의 좌측 레버 부재 설치부(6L)에, 오른쪽의 레버 부재(34N)는 케이스(1)의 우측 레버 부재 설치부(6N)에 각각 설치하고 있고, 좌우의 레버 부재(34L, 34N)는 조인트 부재(44F, 44R)로 서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의 레버 부재(34L)는, 그 연결축부(35)를 케이스(1)의 왼쪽의 레버 삽입용 긴홈부(7A)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의 레버 부재(34L)의 아암부(38F)는 케이스(1)의 레버아암 삽입 홈부(9F)에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아암부(38F)의 연결부(39F)는 레버아암 삽입 홈부(9F)의 가로 홈부(12F)에, 지지부(40F)는 레버 지점 지지부(16F)에, 연결부(41F)는 가로 홈부(14F)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조인트 부재(44F)는 조인트 부재 수용부(10F)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의 레버 부재(34L)의 아암부(38R)를 케이스(1)의 레버아암 삽입 홈부(9R)에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아암부(38R)의 연결부(39R)는 레버아암 삽입 홈부(9R)의 가로 홈부(12R)에, 지지부(40R)는 레버 지점 지지부(16R)에, 연결부(41R)는 가로 홈부(14R)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40F, 40R)는 왼쪽의 레버 부재(34L)의 요동 지점(P)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의 레버 부재(34N)는, 그 연결축부(35)를 케이스(1)의 오른쪽의 레버 삽입용 긴홈부(7A)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의 레버 부재(34N)의 아암부(38R)는 케이스(1)의 레버아암 삽입 홈부(9R)에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아암부(38R)의 연결부(39R)는 레버아암 삽입 홈부(9R)의 가로 홈부(12R)에, 지지부(40R)는 레버 지점 지지부(16R)에, 연결부(41R)는 가로 홈부(14R)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조인트 부재(44R)는 조인트 부재 수용부(10R)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오른쪽의 레버 부재(34N)의 아암부(38F)는 케이스(1)의 레버아암 삽입 홈부(9F)에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아암부(38F)의 연결부(39F)는 레버아암 삽입 홈부(9F)의 가로 홈부(12F)에, 지지부(40F)는 레버 지점 지지부(16F)에, 연결부(41F)는 가로 홈부(14F)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40F, 40R)가 오른쪽의 레버 부재(43N)의 요동 지점(P)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왼쪽의 레버 부재(34L)의 핀부(42R)가 조인트 부재(44R)의 슬라이드 홈부(47)에, 오른쪽의 레버 부재(34N)의 핀부(42R)가 조인트 부재(44R)의 슬라이드 홈부(47)에 각각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왼쪽의 레버 부재(34L)의 핀부(42R)와 오른쪽의 레버 부재(34N)의 핀부(42R)를 잇는 직선상에 좌우의 레버 부재(34L, 43N)의 레버 절곡점(Q)이 위치하고 있다(도 7 참조).
또한, 소음 부재(5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앙부의 스위치 당접부(52)를 내장 스위치(2)의 푸시버튼(30)에 맞댄 상태에서, 그 지지부(53)를 케이스(1)의 반사부재 설치부(75)의 오목부(19)에 위치시키고, 이 반사부재 설치부(75)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작동 부재(48)는, 그 돌기 형상의 스위치 작동부(49)를 소음 부재(51)의 스위치 당접부(52)에 맞댄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의 레버 부재 걸림부(50L)를 왼쪽의 레버 부재(34L)의 연결축부(35)에, 오른쪽의 레버 부재 걸림부(50N)를 오른쪽의 레버 부재(34N)의 연결축부(35)에 각각 걸므로, 스위치 작동 부재 부착부(76)에 위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1)의 저면부(1A)의 내면(1A-1)에 형성된 스토퍼 부재 설치부(56)에는, 도 22에 도시한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스토퍼 부재(57)가 장착되어 있다.
조광부(4)는, 도 18에 도시한 반사부재인 반사 케이스(60)와, 도 3에 도시한 반사부재인 반사판(60A)과, 도 19에 도시한 도광 부재인 도광판(61)과, 도 20에 도시한 광원부인 LED 모듈(6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LED 모듈(62)은 반사 케이스(60)의 측단부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 LED 모듈(62)은 부착 기판(62A)에 복수의 LED(62B)를 가로로 나열하고 실장하여 구성되어 있고, 각 LED(62B)는 도광판(61)의 측단부에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반사 케이스(60) 내에는 도광판(61)이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유닛화 된 반사 케이스(60)와 반사판(60A)과 도광판(61)과 LED 모듈(6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반사 케이스(60)를 아래로 하여 케이스(1)의 반사 케이스 부착부(78)에 부착되어 있다.
누름 버튼부(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수지로 제작된 키 톱(64)과, 문자판(65)과, 확산판(66)과, 조작축(67)으로 구성되어 있다. 키 톱(64)의 주연부에는 결합부(64a)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축(67)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각 테두리 형상의 축 본체(67A)를 구비하고 있고, 이 축 본체(67A)의 좌, 우면부(67a, 67b)의 내면에는 누름 버튼 받이부(68)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좌, 우면부(67a, 67b)의 외면에는, 그 상연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활주 홈부(7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 본체(67A)의 좌, 우면부(67a, 67b)의 하단부에는 레버 당접부(69)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축 본체(67A)의 전, 후면부(64c, 64d)의 내면 상연부에는 결합부(7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축(66) 내에 확산판(66)과 문자판(65)를 겹쳐서 수용하고, 문자판(65)과 확산판(66)을 누름 버튼 받이부(68)로 받는다. 그리고, 키 톱(64)을 조작축(67) 내에 삽입하고, 이 키 톱(64)의 결합부(64a)에 조작축(67)의 결합부(70)을 걸어서 키 톱(64)과 문자판(65)과 확산판(66)이 조작축(67)과 유닛화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유닛화 된 조작축(67)은 케이스(1) 내에 삽입되어 있고, 이 조작축(67)의 좌, 우면부(67a, 67b)의 외면의 활주 홈부(71)에 케이스(1)의 좌, 우면부(1D, 1E)의 가이드 돌기부(27)가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67)에 마련한 레버 당접부(69)가 좌우의 레버 부재(34L, 34N)의 연결축부(35)에 회전 가능하게 맞닿아 있다.
이 경우, 내장 스위치(2)의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가동 전극의 복원력이, 내장 스위치(2)의 푸시버튼(30)을 밀어올리고, 이 푸시버튼(30)에 따른 소음 부재(51)와 가동편(48)을 밀어올리고, 또한, 누름 버튼부(5)를 밀어올리고 있다.
따라서 케이스(1)의 가이드 돌기부(27)가 조작축(67)의 활주 홈부(71)의 하단부(71a)에 걸리고, 조작축(67)이 가동 전극의 복원력에 의한 밀어올림에 대처하고 있고, 누름 버튼부(5)의 밀어내려 스트로크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푸시버튼(30)에 의해 소음 부재(51)와 스위치 작동 부재(48)가 밀려올려저 있기 때문에,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의 레버 부재(34L)는, 그 요동 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도 26에 있어서 시계방향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오른쪽의 레버 부재(34N)는, 그 요동 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도 26에 있어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고, 좌우의 레버 부재(34L, 34R)의 레버 절곡점(Q)은 하강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누름 버튼 스위치(S)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케이스(1)의 외면(1A-2)의 충격 흡수 부재 설치부(77)에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충격 흡수부재(73)가 장착되어 있다.
부착 금구(74)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면부(74A)에 좌, 우측연부에 입벽부(74B, 74C)를 세워올리고, 좌우의 입벽부(74B, 74C)에 부착부(74B, 74C)를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금구 본체(74F)를 갖고 있고, 면부(74A)에는 개구부(79)가, 좌우의 입벽부(74B, 74C)에는 결합구멍부(8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누름 버튼 스위치(S)는, 케이스(1)의 결합 돌기부(1a)를 부착 금구(74)의 결합구멍부(80)에 걸어서, 부착 금구(74)에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패널(U)의 개구부(81)에 각각 키 톱(64)을 삽입하고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누름 버튼 스위치(S)를 패널(U)의 이면에 따르게 하고, 부착 금구(74)의 면부(74A)를 누름 버튼 스위치(S)의 케이스(1)의 외면(이면)(1A-2)측에서 맞닿게 하고, 이 부착 금구(74)를 패널(U)의 이면측에 대어서, 부착 금구(74)를, 그 부착부(74B, 74C)로 나사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패널(U)에 부착하여 누름 버튼 스위치(S)가 패널(U)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 흡수 부재(73)가 부착 금구(74)의 면부(74A)에 맞닿아 있고, 누름 버튼부(5)가 가동 전극의 복원력에 의해 밀어올려저 있고, 조작축(67)의 하단부는 케이스(1)에 마련한 스토퍼 부재(57)와의 사이에 간극(T1)이, 또한, 누름 버튼부(5)와 조광부(4)의 도광판(61)과의 사이에 간극(T2)이 각각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간극(T1)은 간극(T2)보다 작은 치수로 설정하여 둔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누름 버튼 스위치(S)의 작동을 설명한다.
프린트 회로 기판(55)에 리드선(82a)를 통하여 접속된 커넥터(82)를 전원측에 접속함으로써, 프린트 회로 기판(55)에 접속된 내장 스위치(2)에 전원이 공급된다.
누름 버튼부(5)의 키 톱(64)를 손가락으로 압입함으로써 조작축(67)이 압입되면, 조작축(67)에 마련한 레버 당접부(69)가 좌우의 레버 부재(34L, 34N)의 연결축부(35)를 압입한다. 이 때문에, 왼쪽의 레버 부재(34L)는, 그 요동 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도 26에 있어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오른쪽의 레버 부재(34N)는, 그 요동 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도 26에 있어서 시계방향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고, 좌우의 레버 부재(34L, 34N)의 레버 절곡점(Q)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들어 올려진다. 이 때문에, 누름 버튼부(5)는 평행 이동을 행한다.
이와 같이, 좌우의 레버 부재(34L, 34N)의 레버 절곡점(Q)이 들어 올려짐으로써, 스위치 작동 부재(48)가 누름 버튼부(5)의 압입 방향으로 이동하여 소음 부재(51)를 통하여 내장 스위치(2)의 푸시버튼(30)을 압입한다. 이 때문에, 가동 전극이 압입되어 반전하고, 이 가동 전극의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하여 스위치 온의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내장 스위치(2)의 가동 전극이 압입되어 반전하고, 이 가동 전극의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한 때에 발하여지는「찰칵」하는 소음(잡음)이 소음(잡음소거) 부재(51)에 의해 지워진다.
즉, 소음 부재(51)가 없고, 스위치 작동 부재(48)가 직접 내장 스위치(2)의 푸시버튼(30)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위치 작동 부재(48)가 직접 내장 스위치(2)의 푸시버튼(30)을 압입하면, 이 푸시버튼(30)의 압입력에, 스위치 작동 부재(48)가 푸시버튼(30)을 누르는 가압력이 더해지고, 내장 스위치(2)의 가동 전극의 가동 접점의 고정 접점에의 충돌 속도를 크게 하여, 이 접점 사이의 충돌 하중이 커지고, 소음을 보낸다.
그러나, 스위치 작동 부재(48)와 내장 스위치(2)의 푸시버튼(30)과의 사이에 소음 부재(51)가 존재하기 때문에, 스위치 작동 부재(48)가 소음 부재(51)를 통하여 내장 스위치(2)의 푸시버튼(30)을 압입하면, 소음 부재(51)의 스프링력이, 푸시버튼(30)의 압입 방향과 역방향으로 작용하고, 즉, 스위치 작동 부재(48)가 푸시버튼(30)을 누르는 가압력을 지워 없애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내장 스위치(2)의 가동 전극의 가동 전극의 고정 접점에의 충돌 속도가 작아지고, 이 접점 사이의 충돌 하중이 작아지고, 소음이 소거된다.
또한, LED 모듈(62)의 LED(62B)가 발광하고, 광이 도광판(61)에 의해 확산되고 전체로 퍼져서, 반사 케이스(60)에 의해 반사되고 확산판(66)을 이면측으로부터 조광한다. 따라서 문자판(65)상의 문자가 확산판(66)을 투과한 광에 의해, 누름 버튼부(5)의 전면부가 되는 키 톱(64)의 외면부측에서 시인된다.
또한, 누름 버튼부(5)의 키 톱(64)의 가압을 해제하면, 내장 스위치(2)의 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가동 전극의 복원력이, 내장 스위치(2)의 푸시버튼(30)을 밀어올리고, 가동 전극의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떨어저서 스위치 오프의 상태가 된다. 이 경우, 푸시버튼(30)에 따르게 한 소음 부재(51)와 스위치 작동 부재(48)를 밀어올여서, 더욱 키 톱(64) 및 조작축(67)을 밀어올리고 있다.
따라서 왼쪽의 레버 부재(34L)는, 그 요동 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도 27에 있어서 시계방향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오른쪽의 레버 부재(34N)는, 그 요동 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도 27에 있어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고, 좌우의 레버 부재(34L, 34N)의 레버 절곡점(Q)은 하강하여, 도 26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통상적으로 누름 버튼부(5)의 키 톱(64)을 가압한 경우에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67)의 하단부는, 탄성을 갖는 스토퍼 부재(57)에 맞닿아서, 그 가압력에 대처하지만, 누름 버튼부(5)의 키 톱(64)을 과도한 가압력으로 누른 경우에는,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67)의 하단부가 스토퍼 부재(57)에 충돌하고, 이 스토퍼 부재(57)가 휘어서 케이스(1)측에 있는 도광판(61)에 충돌하여 케이스(1)에서 받아지고, 또한 이 케이스(1)는 충격 흡수 부재(73)에서 받아지고 있기 때문에, 가압력에 의한 누름 버튼 스위치(S)의 파손이 방지된다.
상기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내장 스위치(2)의 접점 개폐에 필요한 접점 갭, 즉, 내장 스위치(2)가 안전하게 끊어지기 위한 접점간의 개리 거리와, 누름 버튼부(5)의 이동 스트로크와는 다른 것으로, 종래는, 접점부가 안전하게 끊어지기 위한 접점간의 개리 거리와 같거나 그 이상의 이동 스트로크가 누름 버튼부(키 톱)에 필요하게 되어 있지만, 누름 버튼부(5)의 필요한 이동 스트로크와 내장 스위치(2)의 접점 개폐에 필요한 스트로크(접점 갭)와의 차를 레버 부재(34L, 34N)의 레버비를 선택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누름 버튼부(5)의 필요한 이동 스트로크로서 내장 스위치(2)를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장 스위치(2)의 접점 개폐에 필요한 스트로크(접점 갭)보다 누름 버튼부(5)의 이동 스트로크를 작게 하여 내장 스위치(2)를 확실하게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축부(35)상에 위치하는 가입력의 작용점(ㄱ)과 요동 지점(P)와의 사이의 거리(L1)와, 요동 지점(P)과 레버 절곡점(Q)과의 사이의 거리(L2)를 바꾼 레버비가 다른 레버 부재(34L, 34N)을 사용하면 좋다.
이와 같이, 내장 스위치(2)의 접점 개폐에 필요한 스트로크(접점 갭)보다 누름 버튼부(5)의 이동 스트로크를 작게 하여 내장 스위치(2)를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누름 버튼 스위치(S)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누름 버튼부(5)는, 레버 링크 기구(F)에 의해, 그 압입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누름 버튼부(5)를 치우치게 누르는 방식으로 눌러도, 레버 부재(34L, 34N)를 작동시키고, 스위치 작동 부재(31)를 통하여 내장 스위치(2)를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특히, 레버 링크 기구(F)가, 요동 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좌우 한 쌍의 레버 부재(34L, 34N)를 가지며 또한 양 레버 부재(34L, 34N)가, 그 서로 대향하는 대향 단부에서 조인트 부재(44F, 44R)에 의해 절곡 가능하게 이어져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2개의 링크를 각각의 중간부에서 서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한 승강 링크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누름 버튼 스위치(S)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양 레버 부재(43L, 43N)는 1개의 와이어를 굴곡 성형하여 구성되어 있고, 연결축부(35)와 이 연결축부(35)의 양단부에 형성한 아암부(38F, 38R)을 갖고 있고, 이들 아암부(38F, 38R)의 앞측을 대향 단부로 하고 있고, 왼쪽(한쪽)의 레버 부재(34L)에는, 그 아암부(38F)의 핀부(42F)를, 조인트 부재(44F)의 핀 삽입 구멍부(45)에 삽입하고 연결부(41F)를 핀 삽입 홈부(46)에 삽입하여 조인트 부재(44F)가 부착하고 있고, 또한, 오른족(다른쪽)의 레버 부재(34N)에는, 그 아암부(38F)의 핀부(42F)를, 조인트 부재(44R)의 핀 삽입 구멍부(45)에 삽입하고 연결부(41F)를 핀 삽입 홈부(46)에 삽입하여 조인트 부재(44R)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왼쪽의 레버 부재(34L)의 핀부(42R)가 조인트 부재(44F)의 슬라이드 홈부(47)에, 오른쪽의 레버 부재(34N)의 핀부(42R)가 조인트 부재(44R)의 슬라이드 홈부(47)에 각각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좌우의 레버 부재(34L, 34N)의 각각의 레버측 활주부인 핀부(42R)를 잇는 선(c)상에, 좌우의 레버 부재(34L, 34N)를 관절 운동시키기 위한 레버 절곡점(Q)을 형성하도록 했기 때문에, 누름 버튼부(5)을 누름으로써, 레버 링크 기구(F)에 의해 누름 버튼부(5)를, 그 압입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고, 레버 링크 기구(F)가 누름 버튼부(5)의 압입에 의해 작동한 때에, 이 레버 링크 기구(F)를 구성하는 좌우의 레버 부재(34L, 34N)를, 각각의 요동 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시켜서 레버 절곡점(Q)에서 관절 운동시킬 수 있고, 레버 링크 기구(F)의 평행 이동 기능을 용이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레버 링크 기구(F)를 간소한 구성이며, 게다가, 키가 낮은 구성으로 할 수 있어서, 누름 버튼 스위치(S)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에 기여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레버 부재(34L, 34N)가 금속제의 와이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레버 부재(34L, 34N)가 강인한 것으로 되고, 합성 수지제의 레버 부재가 충격에 약하고 절손되는 경우가 있는 것에 대해, 충격에 강하고 절손되는 일이 없고, 누름 버튼 스위치(S)의 장기의 사용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스위치 작동 부재(48)는, 그 중간부에 스위치 작동부(49)를, 그 양단부에 레버 부재 걸림부(50L, 50N)을 각각 갖고 있고, 스위치 작동 부재(48)는, 왼쪽의 레버 부재 걸림부(50L)를 왼쪽의 레버 부재(34L)의 연결축부(35)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오름쪽의 레버 부재 걸림부(50N)를 오른쪽의 레버 부재(34N)의 연결축부(35)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고, 스위치 작동부(49)를 내장 스위치(2)의 푸시버튼(30)에 대향시키고 있기 때문에, 레버 링크 기구(F)가 스위치 작동 부재(48)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레버 링크 기구(F)의 작동으로 스위치 작동 부재(48)가 내장 스위치(2)를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누름 버튼부(5)는, 좌우의 레버 부재(34L, 34N)의 연결축부(35)에 맞닿고 있고, 스위치 작동 부재(48)는, 누름 버튼부(5)의 압입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복귀용이 압상력을 받아서, 좌우의 레버 부재(34L, 34N)를 레버 절곡점(Q)에서 압입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관절 운동시킴과 함께, 누름 버튼부(5)를 밀어올리고 있기 때문에, 누름 버튼부(5)를 누름으로써, 레버 링크 기구(F)에 의해 누름 버튼부(5)를, 그 압입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고, 레버 링크 기구(F)가 누름 버튼부(5)의 압입에 의해 작동한 때에, 이 레버 링크 기구(F)를 구성하는 좌우의 레버 부재(34L, 34N)를 요동 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시키고, 좌우의 레버 부재(34L, 34N)를 레버 절곡점(Q)에서 압입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관절 운동시키고 스위치 작동 부재(48)을 밀어내리도록 작용하여, 내장 스위치(2)를 확실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되고, 특히, 레버 링크 기구(F)를 키가 낮은 구성으로 할 수 있어서, 누름 버튼 스위치(S)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에 기여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스위치 작동 부재(48)와 내장 스위치(2)의 푸시버튼(30)과의 사이에 소음 부재(51)가 존재하기 때문에, 스위치 작동 부재(48)가 소음 부재(51)를 통하여 내장 스위치(2)의 푸시버튼(30)을 압입하면, 이 압입력에, 스위치 작동 부재(48)가 푸시버튼(30)을 누르는 가압력이 더해지지만, 소음 부재(51)의 스프링력이, 푸시버튼(30)의 압입 방향과 역방향으로 작용하여, 즉, 소음 부재(51)의 스프링력이 가압력을 지워 없애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내장 스위치(2)의 가동 접점의 고정 접점에의 충돌 속도가 작아지고, 이 접점 사이의 충돌 하중이 작아지고,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한 때에 발하여지는 「찰칵」하는 소음을 소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케이스(1)에 스위치 작동 부재(48)를 덮도록 하여 누름 버튼부(5)의 전면부를 조명하는 조광부(4)를 배치함으로써, 키가 낮은 구성으로 할 수 있어서, 누름 버튼 스위치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에 기여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키 톱(64)을 과도의 가압력으로 누른 경우에는, 조작축(67)의 단부가 스토퍼 부재(57)에 충돌하여 이 스토퍼 부재(57)가 휘고, 누름 버튼부(5)가 케이스(1)측에 있는 조광부(4)에 충돌하여 케이스(1)에서 받아지고, 또한, 이 케이스(1)는 충격 흡수 부재(73)에서 받아지지 때문에, 가압력에 의한 누름 버튼 스위치(S)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67)의 4구석의 하단부에 스프링 장착 구멍부(86)를 마련하고, 이들의 스프링 장착 구멍부(86)에 복귀 코일 스프링(87)을 장착하고, 이들의 복귀 코일 스프링(87)의 스프링력을 누름 버튼부(5)의 복귀에 이용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에 의하면, 누름 버튼부를 누름으로써, 레버 링크 기구에 의해 누름 버튼부를, 그 압입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고, 레버 링크 기구가 누름 버튼부의 압입에 의해 작동한 때에, 이 레버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레버 부재를 요동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시켜서 스위치 작동 부재에 의해 스위치부를 작동할 수 있다.
스위치부의 접점 개폐에 필요한 접점 갭, 즉, 스위치부가 안전하게 끊어지기 위한 접점간의 개리 거리와, 누름 버튼부의 이동 스트로크와는 다른 것으로, 종래는, 접점부가 안전하게 끊어지기 위한 접점간의 개리 거리와 같거나 그 이상의 이동 스트로크가 누름 버튼부(키 톱)에 필요하게 되어 있음에 대해, 누름 버튼부의 필요한 이동 스트로크와 스위치부의 접점 개폐에 필요한 스트로크(접점 갭)와의 차를 레버 부재의 레버비를 선택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누름 버튼부가 작은 이동 스트로크로써 스위치부를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스위치부의 접점 개폐에 필요한 스트로크(접점 갭)보다 누름 버튼부의 이동 스트로크를 작게 하여 스위치부를 확실하게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레버비가 다른 레버 부재를 사용하면 좋다.
이와 같이, 스위치부의 접점 개폐에 필요한 스트로크(접점 갭)보다 누름 버튼부의 이동 스트로크를 작게 하여 스위치부를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누름 버튼 스위치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레버 링크 기구가, 요동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는 한 쌍의 레버 부재를 가지며 또한 양 레버 부재가, 그 서로 대향하는 대향 단부에서 절곡 가능하며 또한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2개의 링크를 각각의 중간부에서 서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한 승강 링크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누름 버튼 스위치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사시도.
도 2는 동 누름 버튼 스위치를 부착 금구에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동 누름 버튼 스위치의 개략적인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Y-Y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Z-Z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동 누름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누름 버튼부 및 조광부를 제외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동 누름 버튼 스위치의 이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8은 동 누름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누름 버튼부 및 조광부를 제외한 상태이며 또한 면을 자른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동 누름 버튼 스위치의 이면측에 충격 흡수 부재를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동 누름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의 케이스의 사시도.
도 11은 동 케이스의 이면측에서의 사시도.
도 12는 레버 부재의 사시도.
도 13은 조인트 부재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G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5는 내장 스위치의 사시도.
도 16은 스위치 작동 부재의 사시도.
도 17은 소음(잡음소거) 부재의 사시도.
도 18은 반사 케이스의 사시도.
도 19는 도광판의 사시도.
도 20은 LED 모듈의 사시도.
도 21은 조작축의 사시도.
도 22는 스토퍼 부재의 사시도.
도 23은 충격 흡수 부재의 사시도.
도 24는 프린트 회로 기판의 사시도.
도 25는 부착 금구의 사시도.
도 26은 누름 버튼부를 누르기 전에 있어서의 레버 부재의 거동 설명도.
도 27은 누름 버튼부를 누른 후에 있어서의 레버 부재의 거동 설명도.
도 28은 누름 버튼부를 누르기 전에 있어서의 누름 버튼부가 스토퍼 부재와 개리된 상태의 설명도.
도 29는 통상시에 있어서의 누름 버튼부가 스토퍼 부재에 접한 상태의 설명도.
도 30은 비상시에 있어서의 누름 버튼부가 스토퍼 부재에 접한 상태의 설명도.
도 31은 복귀 코일 스프링을 구비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개략적인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32는 동 누름 버튼 스위치를 부착 금구에 부착한 상태의 단면도.
도 33은 종래의 누름 버튼 스위치의 사시도.
도 34는 종래의 누름 버튼 스위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1A : 저면부
2 : 내장 스위치(스위치부) 3 : 스위치 구동부
4 : 조광부 5 : 누름 버튼부
6 : 레버 부재 설치부
6L : 좌측 레버 부재 설치부(한쪽의 레버 부재 설치부)
6N : 우측 레버 부재 설치부(다른쪽의 레버 부재 설치부)
7 : 스위치 부착부 10F : 조인트 부재 수용부
10R : 조인트 부재 수용부 16F : 레버 지점 지지부
16R : 레버 지점 지지부 22 : 조작축 설치부
27 : 가이드 돌기부 30 : 푸시버튼(외부 작동부)
34L : 왼쪽(한쪽)의 레버 부재
34N : 오른쪽(다른쪽)의 레버 부재
35 : 연결축부 38F : 아암부(한쪽의 아암부)
38R : 아암부(다른쪽의 아암부) 40F : 지지부
41F : 연결부(한쪽의 레버측 고정부) 42F : 핀부(한쪽의 레버측 고정부)
42R : 핀부(한쪽의 레버측 활주부) 44F, 44R : 조인트 부재
45 : 핀 삽입 구멍부(조인트측 고정부) 46 : 핀 삽입 홈부(조인트측 고정부)
47 : 슬라이드 홈부(조인트측 활주부) 48 : 스위치 작동 부재
49 : 스위치 작동부
50L, 50N : 레버 부재 걸림부(레버 부재 부착부)
51 : 소음 부재 54 : 기판 설치부
57 : 스토퍼 부재 60 : 반사 케이스
60A : 반사판 61 : 도광판
62 : LED 모듈 64 : 키 톱
65 : 문자판 66 : 확산판
67 : 조작축 73 : 충격 흡수 부재
74 : 부착 금구 75 : 소음 부재 설치부
76 : 스위치 작동 부재 부착부 77 : 충격 흡수 부재 설치부
F : 레버 링크 기구 P : 요동 지점
Q : 레버 절곡점

Claims (7)

  1. 누름 버튼부를 누름으로써 스위치부를 개폐 작동시키도록, 상기 누름 버튼부와 상기 스위치부를 케이스에 수용하도록 한 누름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부가 눌려진 때에 상기 누름 버튼부에 연동하여 요동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또한 서로 대향 배치된 한 쌍의 레버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레버 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조인트 부재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양 레버 부재가, 그 서로 대향하는 대향 단부에서 절곡 가능하며 또한 활주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 레버 링크 기구와,
    상기 레버 링크 기구가 상기 누름 버튼부의 압입에 의해 요동한 때에 상기 스위치부를 개폐 작동시키는 스위치 작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쪽의 레버 부재는, 상기 한쪽 아암부의 상기 대향 단부에서 한쪽의 조인트 부재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다른쪽 아암부의 상기 대향 단부가 다른쪽의 조인트 부재에 활주 가능하게 연계되며,
    상기 다른쪽의 레버 부재는, 상기 한쪽 아암부의 상기 대향 단부에서 상기 다른쪽의 조인트 부재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다른쪽 아암부의 상기 대향 단부가 상기 한쪽의 조인트 부재에 활주 가능하게 연계되고,
    상기 한쪽의 레버 부재의 상기 다른쪽의 아암부의 상기 대향 단부와 상기 다른쪽의 레버 부재의 상기 다른쪽의 아암부의 상기 대향 단부를 잇는 직선상에, 레버 절곡점을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버 부재는 와이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누름 버튼 스위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와 상기 스위치부와의 사이에, 상기 누름 버튼부가 압입된 때에, 상기 누름 버튼부의 상기 압입 방향과 역방향으로 스프링력을 발생시키는 소음 부재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상기 스위치 작동 부재를 덮도록 하여 상기 누름 버튼부의 전면부를 조명하는 조광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상기 누름 버튼부가 압입된 때, 상기 누름 버튼부가 맞닿는 탄성을 갖는 스토퍼 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해당 케이스의 부착 금구와의 사이에 충격 흡수 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KR10-2003-0039338A 2003-06-18 2003-06-18 누름 버튼 스위치 KR100524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338A KR100524853B1 (ko) 2003-06-18 2003-06-18 누름 버튼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338A KR100524853B1 (ko) 2003-06-18 2003-06-18 누름 버튼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149A KR20040110149A (ko) 2004-12-31
KR100524853B1 true KR100524853B1 (ko) 2005-11-01

Family

ID=3738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338A KR100524853B1 (ko) 2003-06-18 2003-06-18 누름 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208B1 (ko) * 2008-01-31 2008-06-17 (주)부흥이앤씨 공동주택의 공용 조명등 전원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149A (ko) 200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6937B2 (ja) 押釦スイッチ
RU1830152C (ru) Клавиш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KR100689579B1 (ko) 누름 버튼 스위치
EP1898435B1 (en) Switch and contact modules therefor
US6888075B2 (en) Push-button switch
KR950001812A (ko) 전기스위치
US5803240A (en) Electric push-button switch
KR100305448B1 (ko) 지연유닛을갖춘지연스위치
US5796057A (en) Rocker-type electrical switch
KR100524853B1 (ko) 누름 버튼 스위치
CA1289177C (en) Push-button switch
EP1465220B1 (en) Pushbutton switch
US4749832A (en) Illuminated push button switch module
JP2002373556A (ja) シーソー型スイッチ
KR100500086B1 (ko) 스위치장치
JP2003086050A (ja) 押釦スイッチ
JP2671711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3045270A (ja) 押釦スイッチ
US6861606B2 (en) Switch actuator mechanism
WO1986006872A1 (en) Illuminated push button switch
JPH08129935A (ja) イルミネーション付きスイッチ装置
TWI811813B (zh) 光開關按鍵
JP2000030568A (ja) 押釦スイッチ
JP2712927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212163Y1 (ko) 2단 위치 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