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163Y1 - 2단 위치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2단 위치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163Y1
KR200212163Y1 KR2019980028370U KR19980028370U KR200212163Y1 KR 200212163 Y1 KR200212163 Y1 KR 200212163Y1 KR 2019980028370 U KR2019980028370 U KR 2019980028370U KR 19980028370 U KR19980028370 U KR 19980028370U KR 200212163 Y1 KR200212163 Y1 KR 200212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cam
guide rod
sliding guide
stage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8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991U (ko
Inventor
채명기
Original Assignee
김종수
엘지이노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엘지이노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2019980028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163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9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163Y1/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성부품수를 최소화하여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는 2단 위치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2단 위치 변환장치는, 캠(52) 형상이 가공된 노브(50), 상기 노브(50)에 복원력을 주는 스프링(54), 상기 노브(50) 및 스프링(54)을 지지하는 하우징(56), 상기 캠(52)면을 따라 움직이며 노브(50)의 위치를 조절하는 미끄럼 안내봉(58), 상기 미끄럼 안내봉(58)이 노브 측면의 캠(52)면의 경로를 이탈하지 않게 하는 판 스프링(6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캠 형상이 노브에 가공되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2단 위치 변환 장치는 각종 전자제품의 전원스위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2단 위치 변환 장치.
본 고안은 2단 위치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부품수를 최소화하여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는 2단 위치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든 전기, 전자 제품에는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전원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에는, 단순한 누름 스위치와 2단 위치 변환 스위치가 있다.단순한 누름 스위치는 스위치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전원이 연결되고 스위치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전원이 차단되는 방식이다. 이에 반해 2단 위치 변환 스위치는 한 번 누르면 전원이 연결되고 다시 누르면 전원이 차단되는 방식으로, 단순한 누름 스위치와 달리 누르는 힘을 제거해도 눌러진 상태가 유지되는 점이 다르다.
2단 위치 변환 스위치가 상기와 같이 작동될 수 있는 것은 스위치 노브 내에는 일반적으로 캠이 설치되기 때문이다. 캠은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 또는 진동으로, 또는 직선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장치이다.
그런데, 기존의 2단 변환 장치에는 상기 캠이 별도의 구조물로 형성되고 상기 캠에 노브가 받은 힘을 전달하고 캠을 고정하는 캠 브래킷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되어야 하는 부품수가 많아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면서 종래 2단 변환 장치의 구조 및 조립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힘의 방향으로 운동하는 노브(10), 상기 노브(10)에 복원력을 주는 스프링(12), 상기 노브로부터 받은 힘을 캠(16)에 전달하는 캠 브래킷(14), 상기 캠 브래킷(14)에 고정된 캠(16), 상기 캠(16)면에 따라 움직이며 노브의 위치를 결정하는 미끄럼 안내봉(18), 상기 미끄럼 안내봉(18)의 하단이 캠(16)면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미끄럼 안내봉 브래킷(22), 상기 미끄럼 안내봉(18)을 미끄럼 안내봉 브래킷(22)에 고정하는 미끄럼 안내봉 고정 스프링(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노브(10)는 장치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손으로 눌렀을 때 힘의 방향으로 운동하는 기구이다. 노브(10)의 상부에는 힘을 받았을 때 운동하는 버튼(10a)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부품들을 지지하는 하우징(10b)이 구비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10b)의 측면에는 미끄럼 안내봉 브래킷(22)이 삽입되는 홈(10c)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12)은 상기 노브(10)의 하측에 위치하여 노브(10)가 힘을 받아 하방으로 운동한 후 가해진 힘이 없어지면, 노브(10)가 원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는 복원력을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12)의 하측에 위치한 캠 브래킷(14)은 노브(10)가 받은 힘을 캠(16)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캠 브래킷(14)의 상면에는 스프링(12)이 끼워지는 돌기(13)가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스프링(12)에 끼워지면, 노브(10)가 힘을 받아 운동할 때 상기 캠 브래킷(14)도 연동되게 된다.
그리고 캠 브래킷(14)의 측면에는 캠(16)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캠 브래킷(14)은 캠(16)을 고정하는 역할도 하며, 노브(10)에 의해 캠 브래킷(14)이 연동될 때 캠(16)도 함께 연동된다.
상기 캠(16)의 표면은 경사, 단차가 형성되어 있어 미끄럼 안내봉(18)이 이를 따라 움직이면서 노브(10)의 위치를 변환시킬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미끄럼 안내봉(18)은 상기 노브(10) 하부의 하우징의 일측면에 삽입되어 있는 미끄럼 안내봉 브래킷(22)에 설치되어 있다. ";ㄷ";자 핀 형상인 미끄럼 안내봉(18)의 상단부는 상기 미끄럼 안내봉 브래킷(22)의 상단의 홈(19)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고, 하단부는 캠(16)면에 위치해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해, 노브(10)에 힘이 가해져 노브(10)의 버튼(10a)이 상하로 운동하게 되어도, 미끄럼 안내봉(18)의 상단부는 노브(10)의 하우징(10b) 측면에 고정된 미끄럼 안내봉 브래킷(22)의 상부 홈(19)에 체결되어 상하로 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노브(10)의 버튼(10a)의 상하운동에 연동하는 캠(16) 면에서의 미끄럼 안내봉(18) 하단부의 위치는 변화하게 된다.
그런데 캠(16)면에는 상기 미끄럼 안내봉(18)의 하단부를 지지시킬 수 있는 정지점이 두 곳 있다. 즉, 노브(10)가 힘을 받지 않는 처음 상태가 상기 미끄럼 안내봉(18)의 하단부가 캠(16)면의 하부에 형성된 제1정지점에 위치한 때이고, 노브(10)가 운동할 때 연동되는 캠(16) 면을 따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미끄러지던 미끄럼 안내봉(18)의 하단부가 캠(16) 면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한 곳에 지지되어 운동이 정지되는 때가 제2정지점에 위치한 때이다. 상기와 같이 미끄럼 안내봉(18)의 하단부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일정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은 캠(16) 면의 특이한 구조 때문이다.
미끄럼 안내봉(18)이 제2정지점에서 지지된 상태에서는 노브(1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더라도 상기 노브(10)의 버튼(10a)은 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해서도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지 못한다.
왜냐하면, 상기 제2정지점에서는 캠(16)이 미끄럼 안내봉(18)의 하단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캠(16)이 설치된 캠 브래킷(14)도, 이에 스프링(12)을 매개로 연결된 노브(10)의 버튼(10a)도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이다.
이 상태의 노브(10)의 위치를 2단 위치라고 하고, 2단 위치는 노브(10)의 처음 제1정지점에서의 위치(1단 위치)에 비해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2단 위치의 노브(10)는 2단 변환 장치의 하측에 위치한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노브(10)에 다시 힘을 가하면, 상기 노브(10)의 버튼(10a)에 의해 연동된 캠(16) 면상의 미끄럼 안내봉(18) 하단부가 상기 제2정지점에서 벗어나 미끄러져 반시계 방향의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운동은 미끄럼 안내봉(18)의 하단부가 캠(16) 면의 하부에 위치한 제1정지점에 이르면 멈추게 된다. 상술한 작동원리에 의해 미끄럼 안내봉(18)은 노브(10)를 1단 위치로 고정하게 되고, 상기 1단 위치의 노브(10)는 2단 변환 장치에 하측에 위치한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 해제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미끄럼 안내봉(18)이 캠(16) 면의 경로를 따라서만 이동하게 되는 것은 상기 미끄럼 안내봉(18)을 지지하는 미끄럼 안내봉 고정 스프링(20) 때문이다.
즉, ";ㄷ";자형인 미끄럼 안내봉 고정 스프링(20)은 미끄럼 안내봉 브래킷(22)의 일측면에서 중앙부로 끼워져, 미끄럼 안내봉(18)의 중앙부 상면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미끄럼 안내봉(18)은 캠(16) 면에서 이탈하지 않고 일정경로만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2단 위치 변환 장치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노브(10)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누르면, 그 힘 때문에 노브(10)의 버튼(10a)는 하방으로 움직이고 그 힘이 스프링(12)을 통해 캠 브래킷(14)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캠 브래킷(14)과 그 측면의 캠(16)도 하방으로 연동되게 되고 따라서 미끄럼 안내봉(18)의 캠(16)면상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즉, 미끄럼 안내봉 고정 스프링(20)에 의해 탄력 있게 지지되는 미끄럼 안내봉(18)은 캠(16) 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2정지점에 이르러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미끄럼 안내봉(18)이 제2정지점에 고정되면, 캠(16) 및 캠(16)이 설치된 캠 브래킷(14)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캠 브래킷(14)의 위치가 고정되게 되면 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려고 하던 노브(10)도 제2단 위치에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제2단 위치의 노브(10)는 2단 변환 장치의 하단에 위치한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해제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노브(10)를 다시 누르면, 노브(10)의 버튼(10a)의 운동으로 캠(16)이 연동되어 캠면상 제2정지점에 위치하던 미끄럼 안내봉(18)이 캠(16)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1정지점에 멈추게 된다.
따라서, 캠 브래킷(14)은 상방으로 이동되고, 노브(10)는 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위치, 즉 1단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종래의 2단 위치 변환 장치는 캠이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에 노브의 힘을 전달하며 캠을 고정하는 캠 브래킷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2단 위치 변환 장치는 노브, 스프링, 캠 브래킷, 캠, 미끄럼 안내봉 등 구성부품이 많아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조립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성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조립효율을 높일 수 있는 2단 위치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2단 위치 변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2단 위치 변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2단 위치 변환 장치의 우측면도.
도 3a,3b는 본 고안에 의한 2단 위치 변환 장치의 미끄럼 안내봉의 이동 경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노브 52 : 캠
54 : 스프링 56 : 하우징
58 : 미끄럼 안내봉 60 : 판 스프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2단 위치 변환 장치는 힘의 방향으로 운동하며 캠 형상이 가공된 노브, 상기 노브에 복원력을 주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 및 노브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노브 측면의 캠면을 따라서 이동하며 노브의 위치를 조절하는 미끄럼 안내봉, 상기 안내봉이 노브 측면의 캠면의 경로를 이탈하지 않게 하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노브의 측면에 캠 형상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별도로 캠이나 캠 브래킷 등이 필요하지 않아 구성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고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공정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2단 위치 변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2단 위치 변환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2단 위치 변환 장치는, 힘의 방향으로 운동하며, 캠(52) 형상이 가공된 노브(50), 상기 노브(50)에 복원력을 주는 스프링(54), 상기 스프링(54) 및 노브(50)를 지지하는 하우징(56), 상기 하우징(56)에 체결되어 노브 측면의 캠(52)면을 따라서 움직이며 노브(50)의 위치를 조절하는 미끄럼 안내봉(58), 상기 미끄럼 안내봉(58)이 캠(52)면의 경로를 이탈하지 않게 하는 판 스프링(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노브(50)는 장치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손으로 눌렀을 때 힘의 방향으로 운동하는 기구이다. 노브(50)의 상부에는 힘을 받았을 때 운동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일측면에는 캠(52) 형상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노브(50)는 캠(52) 뿐만 아니라 캠(52)을 지지하고 캠(52)에 노브(50)의 운동을 전달하는 캠 브래킷의 기능도 한다.
상기 캠(52) 면은 경사 및 단차로 형성되어 있어, 미끄럼 안내봉(58)이 이를 따라 이동하면서 노브(50)의 위치를 변환시킬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스프링(54)은 상기 노브(50)의 하측에 위치하여, 노브(50)가 힘을 받아 하방으로 운동한 후 노브(50)에 가해진 힘이 없어지면 노브(50)가 원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는 복원력을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스프링(54) 하측에는 하우징(5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6)은 중심에 노브(50) 하단부 삽입부(55)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미끄럼 안내봉(58) 및 판 스프링(60)이 설치될 수 있는 홈(59)(도 2b 참조) 및 돌기(61)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56)은 노브(50), 미끄럼 안내봉(58) 및 판 스프링(60)을 체결,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노브(50) 하단부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부(55)의 입구 좌우 양내측에는 하단부가 넓은 돌기(5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54)이 끼워진 노브(50) 하단부가 일단 삽입되면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노브(50)는 상기 하우징(56)에 체결된 상태에서 일정범위의 상하운동만을 하게 된다.
이 때 노브(50)의 측면의 캠(52)도 노브(50)의 상하운동에 따라 연동되고 상기 캠(52)면에 위치한 미끄럼 안내봉(58)의 위치가 이동되게 된다.
상기 캠(52)면을 따라 이동하는 미끄럼 안내봉(58)은 상기 하우징(56) 상단의 홈(59)에 그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있고, 하단은 캠(52) 면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미끄럼 안내봉(58)을 하우징(56)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별도의 미끄럼 안내봉 브래킷이 불필요하므로 2단 위치 변환 장치의 구성부품 수가 감소된다.
한편, ";ㄷ";자 핀 형상인 미끄럼 안내봉(58)은 캠(52)면을 따라 위치가 변화하는데, 상기 미끄럼 안내봉(58)의 하단부가 고정될 수 있는 정지점이 두 곳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50)가 힘을 받지 않은 처음 상태에서의 미끄럼 안내봉(58)의 하단부의 캠(52)위치가 제1정지점(A면)이고, 노브(50)가 운동할 때 연동되는 캠(52) 면을 따라 미끄러지던 미끄럼 안내봉(58)의 하단부가 캠(52) 면에 고정되어 운동이 정지되는 때가 제2정지점(E면)이다.
노브(50)가 운동할 때, 연동되는 캠(52)의 면을 따라 미끄러지던 미끄럼 안내봉(58)의 하단부가 상기 정지점에 이르면 운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이 정지점에서는 캠(52)이 미끄럼 안내봉(58)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캠(52)이 설치된 노브(50)도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힘을 받지 않는 원래 처음 상태의 노브(50)의 위치를 1단 위치라고 하면, 상기 상태의 노브(50)의 위치를 2단 위치라고 하고, 2단 위치는 노브(50)의 원래 위치, 1단 위치에 비해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2단 위치의 노브는 2단 변환 장치의 하측에 위치한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노브(50)에 다시 힘을 가하면, 상기 노브(50)에 의해 연동된 캠(52) 면상의 미끄럼 안내봉(58) 하단이 상기 제2정지점(E)에서 벗어나 미끄러지며 이동하게 된다. 상기 운동은 미끄럼 안내봉(58)의 하단이 제1정지점(A)에 이르면 멈추게 된다. 상술한 작동원리에 의해 미끄럼 안내봉(58)은 노브(50)를 1단 위치로 고정하게 되고, 상기 1단 위치의 노브(50)는 2단 변환 장치에 하측에 위치한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 해제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미끄럼 안내봉(58)이 캠(52) 면의 경로를 따라서만 이동하게 되는 것은 상기 미끄럼 안내봉(58)을 지지하는 판 스프링(60) 때문이다.
즉, 상기 판 스프링(60)은 하우징의 측면 돌기(61)에 체결되어, 미끄럼 안내봉(58)의 상부 상면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미끄럼 안내봉(58)은 캠(52)면을 이탈하지 않고 일정경로만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2단 위치 변환 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노브(50)에 하방으로 힘을 가하면, 노브(50)는 힘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노브의 측면에 성형된 캠(52)도 하방으로 연동된다. 따라서 캠(52) 면상의 미끄럼 안내봉(58)의 하단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캠(52)의 정면도로서, 도시된 각 면은 경사가 졌거나 단차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b는 미끄럼 안내봉(58)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이에 의하면 캠(52)의 각면의 깊이 및 이에 따른 캠(52)면의 입체적 구조를 알 수 있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서, 캠(52) 면상의 미끄럼 안내봉(58)의 위치변화 및 그에 따른 노브(50)의 위치변화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처음에 캠(52)의 A면에 위치한 미끄럼 안내봉(58)의 하단부는, 노브(50)가 하방으로 힘을 받아 그 측면의 캠(52)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B면과 C면을 지나 D면에 도달한다.
이때 노브(50)는 눌러지는 힘에 일정거리를 이동한 후, 하측의 하우징(56)에 의해 지지되어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노브(50)에 가해지던 힘을 멈추면, 스프링(54)의 탄성에 의하여 노브(50)는 힘의 반대 방향 즉, 상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노브(5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캠(52)면도 상방으로 연동되는데, 이 때 미끄럼 안내봉(58)은 D면에서 빠져나와 E면으로 이동되어 E면보다 높은 I면과 E면의 경계면에서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캠(52)면이 상방으로 계속 이동되면서 미끄럼 안내봉(58)은 상기 경계면에서 캠(52)면의 상방운동을 저지하며 정지되게 된다.
따라서 E점이 제2정지점이 되고 이 때 노브(50)의 상방운동이 저지되게 되므로 노브(50)는 제2단에 위치하게 되며, 2단 위치의 노브(50)는 2단 위치 변환 장치 하측에 위치한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2단 위치 변환 장치 하측에 위치한 장치를 전기적으로 접속 해제시키기 위해서 다시 노브(50)에 힘을 가한다. 그러면 노브(50)가 하방으로 운동하면 캠(52)면상의 미끄럼 안내봉(58)의 하단부의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즉, 노브(50)가 하우징(56)에 의하여 더 이상 움직이지 않을 때, 노브(50)에 가한 힘을 멈추면 E면과 I면사이에 고정되어 있던 미끄럼 안내봉(58)은 F면으로 이동한다.
스프링(54)의 탄성에 의하여 노브(50)가 힘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미끄럼 안내봉(58)은 G면, H면을 지나 A면에 도달하게 된다.
한편, 스프링(54)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던 노브(50)는 하우징(56)의 돌기(57)에 걸려 하우징(56)에서 이탈하지 않고 고정되기 때문에, 노브(50)는 1단에 위치하게 되어 2단 위치 변환 장치의 하측에 위치한 장치를 전기적으로 해제시키게 된다.
이 때에 미끄럼 안내봉(58)은 판 스프링(6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캠(52) 면의 일정경로만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하는 본 고안에 의한 2단 위치 변환 장치는 노브(50)의 측면에 캠(52) 면을 형성하고 하우징(56)의 일측면에 미끄럼 안내봉(58)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구성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2단 위치 변환 장치의 조립구조 및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공정의 단순화로 조립공차를 줄여 품질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도 줄일 수 있다.
한편, 캠의 형상을 변형하여 3단 혹은 그 이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다단 위치 변환 장치로 응용할 수 있다.
본 고안품은 각종 전기, 전자 제품에 응용하여 전원을 연결 및 차단하는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캠 형상을 노브에 직접 가공하고 미끄럼 안내봉을 별도의 브래킷이 없이 하우징에 직접 조립할 수 있으므로 구성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2차 위치 변환 장치의 구조 및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품질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

  1. 캠 형상이 가공되고 힘의 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노브;
    상기 노브에 복원력을 주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 하측에서 노브를 지지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어 상기 캠면을 따라 움직이며 노브의 위치를 조절하는 미끄럼 안내봉;
    상기 미끄럼 안내봉이 상기 캠면의 경로를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위치 변환 장치.
KR2019980028370U 1998-12-31 1998-12-31 2단 위치 변환장치 KR2002121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370U KR200212163Y1 (ko) 1998-12-31 1998-12-31 2단 위치 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8370U KR200212163Y1 (ko) 1998-12-31 1998-12-31 2단 위치 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991U KR20000014991U (ko) 2000-07-25
KR200212163Y1 true KR200212163Y1 (ko) 2001-06-01

Family

ID=6950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8370U KR200212163Y1 (ko) 1998-12-31 1998-12-31 2단 위치 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1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991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4382B2 (en) Push-on switch
US3388353A (en) Electrical contactor having main circuit control contacts and auxiliary control contacts interconnected to be actuated from a common electromagnetic actuator
US6858812B2 (en) Push-button switch
US4585914A (en) Miniature push-button switch
US4431879A (en) Illumination-type pushbutton switch construction
CA1289177C (en) Push-button switch
US4636601A (en) Push-push switch
US5796057A (en) Rocker-type electrical switch
KR200212163Y1 (ko) 2단 위치 변환장치
EP1020883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FI77745C (fi) Elektrisk tryckkoppling med en vridbart lagrad tryckbaoge.
US8129643B2 (en) Pushbutton type switch device
EP1182673B1 (en) Switch device
KR890006356Y1 (ko) 스위치 장치
JPH11363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その組立て方法
KR100444097B1 (ko) 스위치
JP4023884B2 (ja) スイッチ装置の接点開閉機構
GB2110472A (en) Electric switch
KR930006388Y1 (ko) 무선호출기용 페이저(Pager) 스위치
EP0626706A1 (en) Electrical switch
KR100524853B1 (ko) 누름 버튼 스위치
US3396602A (en) Actuating mechanism for push button switch operating devices
KR200319348Y1 (ko) 택트 스위치 구조
KR20040070011A (ko) 슬라이드형 전기부품
KR100583877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