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615B1 - 코크스 빈의 부착광 예측 및 자동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코크스 빈의 부착광 예측 및 자동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615B1
KR100524615B1 KR10-2003-0096319A KR20030096319A KR100524615B1 KR 100524615 B1 KR100524615 B1 KR 100524615B1 KR 20030096319 A KR20030096319 A KR 20030096319A KR 100524615 B1 KR100524615 B1 KR 100524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bin
coke
reference valu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4732A (ko
Inventor
이관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6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6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6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4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08B7/026Using sound waves
    • B08B7/028Using ultras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결광의 원료가 되는 코크스를 보관하는 빈 내부에 부착된 부착광의 존재 및 존재 위치를 예측하고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코크스 빈 상부에 일정각도 간격으로 설치된 n개의 속도 감지 센서(10)들과, 코크스가 불출되어 컨베이어 벨트 위를 흐르는 것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거리 측정 센서(16)와, 상기 거리 측정 센서(16)에서 측정된 거리 값(y)이 거리 측정 센서(16)와 컨베이어 벨트(4)와의 거리 값(d)보다 작을 때는 속도 기준 값(B)을 통상적인 코크스 빈의 적출 속도로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기준 값(B)을 0으로 설정하도록 설치되는 기준 값 설정 장치(11)와, 상기 각 속도 측정 센서(10)에서 측정된 속도 값과 기준 값(B)의 차를 구하고 이로써 다시 절대 치(X)를 구하도록 설치된 기준 값 설정 장치(12)와, 코크스 빈에 부착광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초과 값 한계(T)보다 속도가 떨어지는 속도 측정 센서(10)가 있으면 이 부분에 부착광이 있다고 판단하는 초과값 한계 설정 장치(13)와, 조건(X>T)인 조건을 만족하는 센서를 찾는 검색 장치(14)와, 부착광이 발생되면 상기 조건이 없어질 때까지 계속 초음파 충격 신호 발생하도록 설치된 초음파 충격 신호 발생 장치(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빈의 부착광 예측 및 자동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코크스 빈의 부착광 예측 및 자동 제거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AND AUTOMATIC DELETING OF ATTACHED COKES IN COKES BIN}
본 발명은 소결광이 원료가 되는 코크스를 보관하는 빈 내부에 부착된 부착광의 존재 및 존재 위치를 예측하고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결광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원료인 코크스는 통상적으로 대형 빈(1)에 담아 비축하고 있다가 때가 되면 불출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완전히 건조된 코크스의 경우는 별 문제가 없으나 수분을 포함하는 코크스의 경우는 빈 내부에 부착되게 된다. 이렇게 빈 내부에 부착된 광석을 부착광(5)라 한다. 이러한 부착광(5)은 빈 내벽에 붙어 있어 코크스의 원활한 불출 흐름을 막으며 심한 경우 불출이 되지 않게 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빈의 부착광 제거는 빈 관리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하다.
종래의 기술은 도1에서 보인 바와 같이 빈의 내벽 혹은 외벽에 초음파 충격 장치(2)를 설치하고 상기 장치(2)에 대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충격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보내는 충격 신호 발생 장치(3)을 장치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장치에서의 문제점을 내부에 부착광이 없다라도 항상 빈의 충격을 가하여 빈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과 빈 내부에 부착광의 존재 여부도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잇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를 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소결광의 원료가 되는 코크스를 보관하는 빈 내부에 부착된 부착광의 존재 및 존재위치를 예측하고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적인 코크스 빈이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2에는 상기 코크스 빈(1)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빈 내부의 코크스 출하 속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속도 감지 센서(10)들을 도2에 예시된 바와 같은 빈(1) 상부의 적소에 설치한다. 상기 속도 감지 센서(10)는 빈 내부에 있는 코크스 불출되는 속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코크스 빈 상부에 n개의 속도 감지 센서(10)를 (360/n) 각도 배열로 설치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속도 감지 센서(10)들을 사용하여 부착광을 예측하는 단계는 각 센서에서 감지된 속도 값이 다른 센서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 있으면 이 부분에 부착광이 발생하여 속도가 떨어진다고 예측할 수 있다.
부착광은 빈내의 코크스가 불출이 되고 있지 않을 때 보다는 불출이 되고 있는 상태에서 초음파 충격을 가하면 효과적으로 제거되므로 코크스가 불출되어 컨베이어 벨트 위를 흐르는 것을 감지하는 거리 측정 센서(16)을 설치한다(도3 참조).
상기 거리 측정 센서(16)에서 측정된 거리 값(y)이 거리 측정 센서(16)와 컨베이어 벨트(4)와의 거리 값(d)(통상적으로 5cm)보다 작을 때는 현재 컨베이어 벨트 위로 코크스가 불출되고 있다는 신호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부착광이 발생한 조건과 그렇지 않은 조건을 판단하는 속도 기준값을 통상적인 코크스 빈의 적출 속도로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기준 값(B)을 0으로 설정하는 기준 값 설정 장치(11)를 설치한다.
각 속도 감지 센서(10)의 속도 값과 기준 값(B)의 차를 구하고 이로써 다시 절대 치(X)를 구하는 장치(12)를 설치한다.
코크스 빈에 부착광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초과값 한계(T), 즉 기준 속도보다 T만큼 더 속도가 떨어지는 속도 감지 센서(10)가 있으면 이 부분에 부착광이 있다고 판단하는 초과값 한계 설정 장치(13)를 설치한다.
조건(X>T)인 조건을 만족하는 센서를 찾는 검색 장치(14)를 설치하고, 그 센서가 설치된 부분에 부착광이 있다고 판단하며, 부착광이 발생되면 이런 조건이 없어질 때까지 계속 초음파 충격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장치(15)를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 작용하는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면 코크스 빈내의 부착광을 항시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항시 원활한 코크스 불출 공급을 이루어내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1은 기존 코크스 빈 부착광 제거 장치의 개념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코크스 빈 부착광 예측 및 자동 제거 장치의 개념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전체 설치상태 개념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코크스를 저장하는 빈 2 : 초음파를 이용한 빈의 충격 장치
3 : 충격 신호 발생 장치 4 : 코크스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밸트
5 : 부착광 10 : 코크스 빈 상부에 설치된 속도 감지 센서
11 : 속도 기준값 설정 장치 12 : 절대값(현재속도-기준값) 계산 장치
13 : 초과값 한계 설정 장치 14 : 조건 검색 장치
15 : 초음파 충격 신호 발생 장치 16 : 거리 측정 센서

Claims (1)

  1. 코크스 빈 상부에 일정각도 간격으로 설치된 n개의 속도 감지 센서(10)들과,
    코크스가 불출되어 컨베이어 벨트 위를 흐르는 것을 감지하도록 설치된 거리 측정 센서(16)와,
    상기 거리 측정 센서(16)에서 측정된 거리 값(y)이 거리 측정 센서(16)와 컨베이어 벨트(4)와의 거리 값(d)보다 작을 때는 속도 기준 값(B)을 통상적인 코크스 빈의 적출 속도로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기준 값(B)을 0으로 설정하도록 설치되는 기준 값 설정 장치(11)와,
    상기 각 속도 측정 센서(10)에서 측정된 속도 값과 기준 값(B)의 차를 구하고 이로써 다시 절대 치(X)를 구하도록 설치된 기준 값 설정 장치(12)와,
    코크스 빈에 부착광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초과 값 한계(T)보다 속도가 떨어지는 속도 측정 센서(10)가 있으면 이 부분에 부착광이 있다고 판단하는 초과값 한계 설정 장치(13)와,
    조건(X>T)인 조건을 만족하는 센서를 찾는 검색 장치(14)와,
    부착광이 발생되면 상기 조건이 없어질 때까지 계속 초음파 충격 신호 발생하도록 설치된 초음파 충격 신호 발생 장치(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크스 빈의 부착광 예측 및 자동 제거 장치.
KR10-2003-0096319A 2003-12-24 2003-12-24 코크스 빈의 부착광 예측 및 자동 제거 장치 KR100524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319A KR100524615B1 (ko) 2003-12-24 2003-12-24 코크스 빈의 부착광 예측 및 자동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319A KR100524615B1 (ko) 2003-12-24 2003-12-24 코크스 빈의 부착광 예측 및 자동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732A KR20050064732A (ko) 2005-06-29
KR100524615B1 true KR100524615B1 (ko) 2005-11-01

Family

ID=3725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319A KR100524615B1 (ko) 2003-12-24 2003-12-24 코크스 빈의 부착광 예측 및 자동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419A (ko) * 2014-12-08 2016-06-16 주식회사 피앤엔피 소결광 저장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031B1 (ko) 2017-12-26 2019-07-10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 빈의 부착광 측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419A (ko) * 2014-12-08 2016-06-16 주식회사 피앤엔피 소결광 저장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KR101643275B1 (ko) 2014-12-08 2016-07-28 주식회사 피앤엔피 소결광 저장빈의 부착광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732A (ko)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29683A1 (en) Non-contact type water level control apparatus
JP2008506119A (ja) ビルジ・レベル検出用近接センサ
CN109665264B (zh) 用于检测采矿系统中输送机张力的传感器系统和方法
US11435489B2 (en) Seismic sensor and earthquake determination method
JP2012137341A (ja) 電子機器、及び同電子機器における蓄電器静電容量検出方法
EP2233650A4 (en) OUTPUT OF WATER
CA2137531A1 (en) Capacitive threshold detector test circuit
KR100524615B1 (ko) 코크스 빈의 부착광 예측 및 자동 제거 장치
US20200277772A1 (en) Toilet overflow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WO2004054105A3 (en) Capacitive proximity sensor
US11307318B2 (en) Seismic sensor and earthquake determination method
EP3532212B1 (en) Detection system, method and use
JP2018169299A (ja) 液位測定システム、液位測定方法、及び液位測定プログラム
JP3772027B2 (ja) 静電容量型検出装置
EP3978899B1 (en) Substance detection system and substance detection method
JP2953229B2 (ja) 低速高濃度輸送装置
EP1363281A3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conveyor
US20220065681A1 (en) Fill-level measuring device
JP6329659B1 (ja) オイルタンクのスラッジ検知装置
DE50006139D1 (de) Verfahren zur Zustandsprognose eines Schwebekörperdurchflussmessgerät
NL2014342B1 (en) Digester and method for detecting a presence of foam in a digester.
KR100659469B1 (ko) 원료빈 부착광 감지장치
US11883857B2 (en) Cleaning solution detection device
JP2003212321A (ja) ベルトコンベヤ用シュート
JPS61149854A (ja) ボイラーの全ブロー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