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212B1 - 자기코일 - Google Patents

자기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212B1
KR100524212B1 KR1019980710057A KR19980710057A KR100524212B1 KR 100524212 B1 KR100524212 B1 KR 100524212B1 KR 1019980710057 A KR1019980710057 A KR 1019980710057A KR 19980710057 A KR19980710057 A KR 19980710057A KR 100524212 B1 KR100524212 B1 KR 100524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gnetic coil
hole
base
spray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473A (ko
Inventor
베른하트 쥬스트
마틴 메츠거
안트리아스 엑케르트
안트리아스 듀트
카알 호스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헬무트 헤힝거 게엠베하 운트 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헬무트 헤힝거 게엠베하 운트 코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19980710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212B1/ko
Publication of KR2000001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8Encapsulating, encasing or sea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2Insulating of windings
    • H01F41/127Encapsulating or impregn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10T29/49075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including permanent magnet or core
    • Y10T29/49076From comminut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속을 아마츄어로 유도하기 위한 스터브(9)를 갖는 컵형상 하우징(6)에 배치된 자기 코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컵형상 하우징 안에 자기 코일이 놓이는 위치는 절연재의 스프레이 코팅(11)에 의해 고정된다. 자기 코일은, 컵형상 하우징(6)의 기저부(8)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스프레이 코팅된 절연 접촉 단자들(5)을 포함한다. 컵형상 하우징(6)의 기저부(8)는 제 3 구멍을 포함하는데, 마찬가지로 절연재로 채워져 있는 이 제 3 구멍은 스프레이 코팅을 하는 동안 막대 모양의 부품(25)이 삽입되어 자기 코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자기 코일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자기 코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같은 자기 코일은 DE A1-43 39 948호에 따른 분배기 연료 분사 펌프(distributer fuel injection pump)에 사용된다. 여기에 설치되는 자기 코일은 분배기 연료 분사 펌프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일부로서, 작동시 연료에 노출된다. 종래의 자기 코일은 절연재로 된 권선 몸체에 감겨있고, 추후에 추가적인 플라스틱 피막으로 싸인다. 플라스틱으로 된 권선 몸체에는 절연재로 된 돌출부들이 있어서, 이 안에 자기 코일의 접촉 단자들이 안내된다. 그 결과 절연재로 둘러싸이게 되는 접촉 단자의 부분들이 하우징의 기저부에 있는 구멍들에 의해 관통되고, 외부에 위치하여 덮개판의 밀봉 장치로 밀폐된다. 덮개판은 이밖에도 연료 분사 펌프에서 연료가 통하는 공간을 외부에 대해 밀폐한다.
따라서, 종래 자기 코일의 경우 우선 권선 캐리어를 제작하고 난 후 권선을 제작하고, 마지막으로 자기 코일에 연료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감싸는 피복제를 제작한다. 이때 코일 전체는 하우징의 링형 공간 내부에 배치되는데, 스터브가 컵형상 하우징의 원주벽(circumferential wall)과 함께 이 공간을 형성한다. 자기 코일은 이 공간을 일부만 채운다. 스터브와 컵형상 하우징의 원주벽 내부에는 횡방향 연결부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연결부들은 자기 코일의 연료로 강하게 씻어냄으로써 온도를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이같은 자기 코일은 특히 여러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비교적 높다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스프레이 코딩을 하는 동안 뒤로 끌어내는 막대 모양의 부품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코일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자기 코일을 분배기 연료 분사 펌프에 사용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이에 비해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코일은 컵형상으로 제작되는 하우징 안에서 자기 코일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간단히 실현할 수 있고, 이때 자기 코일의, 전류가 통하는 부품들을 외부에 대해 간단하게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자기 코일은 컵형상 하우징의 벽을 세게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된다. 또한 자기 코일은 이 하우징 안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자기 코일의 아마츄어에 정확하게 대응 배치된다. 이때 접촉 단자들을 연료에 노출되는 공간에서부터 외부로 끌어내기 위해 필요한 구멍들이 자기 코일을 스프레이 코팅함으로써 절연재로 강력히 채워져 밀폐된다. 또한, 청구항 1에 있어서, 자기 코일을 둘러싸는 절연재 안에서 자기 코일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위치설정할 수 있도록 컵형상 하우징 안에 제 3의 구멍을 형성한다. 이 구멍을 통해 지지 부품(supporting part)을 삽입할 수 있다. 이 지지 부품은 자기 코일의 접촉 단자들과 함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같은 방법으로 자기 코일을 절연재로 스프레이 코팅하는 동안 자기 코일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아마츄어에 작용하는 전기적 수치들(electric values)과 자력도 정확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에 있어서, 막대 모양의 부품을 삽입할 수 있는 제 3 구멍의 배치 및 접촉 단자들의 위치를, 스프레이 코팅하는 동안 코일의 안정적인 3점 지지(three-point bearing)가 가능해지도록 한다.
청구항 4에 따르면 컵형상 부품의 외부에 측정 위치를 두는데, 이 측정위치는 컵형상 하우징의 내부 영역이 자기 코일의 스프레이 코팅으로 완전히 채워지도록 한 다음, 스프레이 코팅을 하는 동안 청구항 1에 따라 막대 모양의 부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제 3 구멍과 코일이 이 위치에서 절연재로 완전히 폐쇄된다. 상기 스터브는 자기 코일을 종래 기술에 따른 사용 분야에 사용할 경우 연료가 통하는 공간들을 연료가 통하지 않는 공간들 또는 주변과 연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 같은 연결을 가져야 하는 접촉 단자에서처럼 이 스터브 부분을 밀폐할 필요도 없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 코일을 상기 실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도록 청구항 5에 따른 과정을 제시한다. 절연재가 제 3 구멍에서 배출되어 압력 센서 부분에 이르는 즉시 이 사실을 알려주는 압력 측정을 스프레이 코팅을 하는 동안 제 3 구멍 부분에서 계속 실시함으로써, 이 시점에서 자기 코일을 하우징의 내부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스프레이 코팅하는 과정이 종료되도록 한다. 그 결과 하우징 내부에서 자기 코일 위치를 더 이상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시점부터 막대 모양의 부품으로 위치를 고정할 필요가 없어진다. 즉, 스프레이 코팅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동안에 컵형상 하우징의 스프레이 코팅으로부터 막대 모양의 부품을 제거할 수 있다. 뒤로 뜰어낸 이 막대 모양의 부품을 제거함으로써 컵형상 하우징의 기저부 반대편의 나머지 내부를 최정적으로 절연재로 채운다.
따라서,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는 정확히 위치 고정되는 컵형상 하우징의 수용부를 포함한다. 이때 하우징의 내부와 반대편에 놓은 기저부의 면에는 두 개의 공간이 형성된다. 접촉 단자들이 이 두 공간을 관통하고, 스프레이 코팅이 이루어지는 동안 정확히 예정된 방식으로 사출 금형(injection mold)안에 지지된다. 또한 기저부와 사출 금형 사이에는 제 3의 공간이 있어서, 자기 코일을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사출 금형의 벽에 있는 공급구를 통해 이 안에 막대 모양의 부품을 삽입해서, 하우징의 기저부에 있는 제 3 구멍을 관통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레이 코팅이 이루어지는 동안 이 세 개의 공간 안에서 접촉 단자들이 스프레이 코팅되고, 막대 모양의 부품도 먼저 스프레이 코팅된다. 그런 다음 스프레이 코팅과정의 끝에 막대 모양의 부품을 뒤로 끌어낸 다음 이 제 3 공간을 완전히 채운다.
청구항 7에 따라 분배기 연료 분사 펌프에 자기 코일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연료 분사 펌프에서 연료가 통하는 부품들과 연료가 없는 공간들 사이를 밀폐할 때 컵형상 하우징의 기저부에 있는 구멍들을 플라스틱 스프레이 코팅으로 완전히 밀폐할 수는 없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왜냐하면, 절연재와 금속 간의 열 팽창이 달라서 처음에는 플라스틱과 금속제 하우징 사이에 빈틈없이 접착되지만, 작동중에 서로 분리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이유에서 외부로 이어지는 접촉 단자들을 분배기 연료 분사 펌프에서 연료가 통하는 공간들을 폐쇄하는 부품에 대해 추가적으로 밀폐할 필요가 있다. 청구항 8에 따라 이 부품은, 컵형상 하우징의 제 3 구멍에 외부를 향해 돌출한 절연재 덮개 부분을 완전히 둘러싸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이 부위에 분배기 연료 분사 펌프에서 연료가 통하는 부품들과 연료가 없는 부품들간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여기에 제 3의 밀폐 부위가 필요없게 된다. 여기에 막대 모양의 부품이 존배한다면, 한편으로는 막대 모양의 부품과 플라스틱 스프레이 코팅 사이에 연료가 통하는 틈새가 생겨날 수도 있어, 이 틈새로 인해 코일의 내밀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제 3 밀폐 부위를 두어야 할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 제 3 밀폐 부위에도 부품이 관통하도록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부품이 관통하는 이 부위를 다시 별도로 밀폐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설치 공간이 좁은 협소한 구조의 분배기 연료 분사 펌프에서도 밀봉 장치를 위한 추가적인 조립 공간이 없이 콤팩트한 구조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도시하였으며, 다음 설명 부분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자기 코일(1)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자기 코일(1)은 권선 캐리어(3)내에 있는 권선(2)을 포함한다. 권선 캐리어는 u자형 단면을 가진 링의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권선(2)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주면에 외부를 향해 개방되는 링 홈(ring groove)이 형성되어 있다. 권선 캐리어에는 권선 캐리어의 중심축(4)과 평행하게 권선(2)의 접촉 단자들(5)을 위한 두 개의 수용부가 있다. 여기에는, 접촉 단자 가운데 하나만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이 접촉 단자(5)은 권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전류를 공급 내지 인출하는 역할을 한다.
자기 코일(1)은 컵형상으로 제작된 하우징(6) 내부에 배치된다. 하우징(6)은 원주벽(7)과 기저부(8), 그리고 기저부에서 컵형상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된 스터브(9)를 포함한다. 스터브는 중심축과 동축으로 놓인 구멍(10)을 가진다. 아마츄어가 삽입되는 이 구멍은 자속이 자심으로부터 아마츄어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자석은 플런저 아마츄어 자석의 형태로 제작된다.
스터브(9)와 원주벽(7) 사이에 일종의 링형 공간이 형성되고, 이 안에 자기 코일이 배치된다. 권선 캐리어(3)에 절연재(11)로 된 스프레이 코팅이 제공됨으로써, 코일이 권선이 절연재로 완전히 둘러싸이게 되고, 이 절연재는 원주벽(7)과 내측의 기저부면, 그리고 스터브의 일부와 접촉한다.
접촉 단자가 기저부(8)를 통해서 외부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저부(8)에 두 개의 구멍(12)을 형성한다. 이 구멍들을 통해 각각의 접촉 단자(5)를 수용하는, 권선 캐리어의 스터브(14)가 각각 절연재로 둘러싸인 채 외부를 향해 돌출한다. 절연재 스프레이 코팅(11)이 기저부(8)의 외부로 이어지면서 원통형의 절연재 넥(insulating neck)(15)이 형성된다. 절연재 넥은 각 접촉 결선(5)의 길이의 일부를 둘러싼다.
추가적으로 기저부(8)에 제 3 구멍(17)을 형성하여, 이 구멍을 통해 권선 캐리어의 스터브(14)와 유사하게 제작된 스터브(18)가 외부를 향해 돌출되고, 자기 코일을 완성했을 때 이 스터브(18) 역시 절연재(11)로 둘러싸이도록 한다. 이 절연재는 이 경우에도 절연재 스터브(19)를 형성하면서 외부로 연장된다. 앞서 언급한 두 개의 접촉 단자와 이 절연재 스터브는 3점 지지의 형태로 대략 서로 동일한 간격만큼 떨어져서 배치된다. 강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하우징(6)은 강 링(20) 안에 삽입되는데, 강 링(20)은 이후 자기 코일을 사용하려 할 때 자기 코일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부품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처음에는 이 링이 중요하지 않다.
도 1에 따라 자기 코일의 하우징이 도면에 도식적으로만 도시된 사출 금형(22) 안으로 삽입된다. 이 사출 금형 안에는 적절한 리세스들이 있어서, 컵형상의 하우징을 수용하고, 절연재 스터브(19)와 접촉 단자들의 절연재 넥(15)을 형성한다. 절연재 스터브의 벽 안에는 압력 센서(27)가 배치된다. 압력 센서(27)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와 연결된다. 이밖에도 컵형상 하우징의 위치에 대해 정확하게 대응 배치되어 접촉 단자들(5)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들(23)도 사출 금형 안에 배치된다. 이 장치들(23)은 동시에 깊이 정지부(stop)를 형성하는 블라인드 홀(blid hole)의 형태로 제작하거나, 사출 금형의 벽을 관통하는 밀폐된 통로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이 통로들에 인접하게 접촉 단자들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정지부(stops)가 배치된다. 통로 내지 블라인드 홀의 단면은 빈틈없는 밀폐를 위해 접촉 단자의 횡단면에 맞추어진다. 추가로 사출 금형(22) 안에 또 하나의 구멍(24)을 형성하여, 이 구멍을 통해 막대 모양의 부품(25)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절연재에 의한 스프레이 코팅이 아직 행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막대 모양의 부품(25)이 스터브(18)에 접촉하거나,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 권선 캐리어(3)에 접촉하게 된다. 이 막대 모양의 부품(25)에 의해, 스프레이 코팅 전에 권선(2)이 권선 캐리어(3)와 함께 컵형상의 하우징 안에서 정확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스프레이 코팅동안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분사 헤드(injection head)가 컵형상 부품의 개방면으로부터 분사물을 공급한다. 도 1에 최종 상태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레이 코팅(11)의 형태가 분사 헤드에 의해 규정된다. 스프레이 코팅동안 절연재는 이동되지 않은 자기 코일 주위로 흐른 다음, 구멍(12와 17)이 있는 면으로 컵형상 하우징으로부터 흘러나와, 컵형상 하우징(6)과 사출 금형(22) 사이에 있는 인접한 공간들을 부가로 성형하고 채우게 된다. 여기서 절연재 넥을 형성하는 공간과 절연재 스터브(19)를 형성하는 공간이 플라스틱으로 채워진다. 먼저, 막대 모양의 부품이 소정 위치에 놓여서, 그 위치에 자기 코일을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플라스틱이 스터브(19)를 형성하는 공간으로 흘러나오면, 이 공간이 절연재로 채워져 있는 경우, 즉, 하우징의 내부에서 자기 코일의 스프레이 코팅이 완료된 경우, 흘러나온 플라스틱에 의해 압력 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된다. 예를 들어, 스터브(19)를 형성하는 공간이 90%까지 절연재로 채워져 있고, 구멍들(12와 17)과 여기에 연결된 사출 금형(22) 내부의 공간들도 절연재로 채워져 있는 경우가 이같은 경우이다. 이 시점에 이 압력 신호가 출력될 때 제어 장치가 막대 모양의 부품(25)을 뒤로 끌어낸다. 그 결과 나머지 스프레이 코팅 과정에서 절연재 스터브(19)를 형성하는 공간이 완전히 절연재로만 채워지게 된다.
이같은 방법으로 완전히 연료가 밀폐되도록 절연재로 스프레이 코팅된 자기 코일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접촉 단자들도 컵형상의 하우징으로부터 기저부면으로 돌출한 부분이 플라스틱으로 둘러싸이게 된다. 정확한 위치 고정 역할을 하는 막대 모양의 부품(25)은 스프레이 코팅을 하는 동안에 빼낸다. 그런 다음 코일 자체를 완전히 둘러싸고 나면 스프레이 코팅 과정이 거의 완료된다. 이것은 스터브(19)를 형성하는 공간 내부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정확히 얻어진다. 여기서도, 권선 캐리어(3)와 함께 권선(2)이 완전히 둘러싸이게 된다.
이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된, 컵형상의 하우징 안에 권선을 가진 자기 코일은 특히 주로 분배기 연료 분사 펌프에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같은 방법으로 제작한 자기 코일은 다른 용도로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필수적으로 존재하는 접촉 단자들(5)의 배출부를 제외하고 자기 코일의 권선을 모든 면에서 플라스틱으로 스프레이 코팅한다는 것이다. 접촉 단자들의 플라스틱으로 둘러싸는 부분을 밀폐할 수 있고, 이로써 컵형상 하우징의 기저부면 위에 놓인 부분과, 컵형상 하우징에서 구멍이 있는 면 사이를 액밀식으로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것은 자기 코일을 도 2에 따른 분배기 연료 분사 펌프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2에는 분배기 연료 분사 펌프 중 여기서 중요한 부분만 을 단면으로 나타내었다. 연료 분사 펌프의 펌프 하우징(29) 안에는 부시(30)가 설치되고, 부시의 내부에는 안내구(guide hole)(31)가 있어서, 이 안으로 분배기(33)가 안내된다. 분배기는 예를 들어 해당 내연 기관의 캠 축에 의해 구동된다. 분배기는 하우징(29) 안에서 축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세로 관(longitudinal conduit)(34)을 포함한다. 세로 관의 한 쪽 면은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펌프 작동실과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면은 압력실(35)로 통한다. 압력실은 분배기의 정면(37)에서 시작해서 분배기의 축과 동축으로 놓인, 끝이 막힌 관(38)의 일부이다. 압력실의 한 쪽 면은 밸브 시트(39)에 의해 제한되는데, 밸브 시트는 관(38)의 경감측 부분 구멍(partial hole)(40) 안으로 이어진다. 압력실(35)의 또 다른쪽 면으로 동축의 안내구(42)가 연결되는데, 이 안내구는 분배기의 정면(37)에서 바깥으로 이어지고, 밸브 시트(39)와 상호작용하는 밸브 요소(valve element)(46)를 수용한다.
분배기의 정면(37)에는 자기 디스크(43)가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자기 디스크(43)에는 열쇠 구멍과 같은 리세스(44)가 있다. 이 리세스를 통해 분배기의 축과 동축으로 놓인, 폭이 좁은 부분 안으로 솔레노이드 밸브(47)의 밸브 요소(46)의 넥(neck)(45)이 돌출된다. 솔레노이드 밸브(47)은 솔레노이드 밸브 박스(49)가 연료 분사 펌프의 펌프 하우징(29)의 리세스(41) 안으로 삽입되고, 거기에 고정된다. 솔레노이드 밸브 박스(49)는 자기 코일(1)을 가진 전자석(50)을 포함한다. 상기 자기 코일(1)은 자심을 형성하는 컵형상의 하우징(6)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6)은 관형 자심으로서의 중앙 스터브(9) 및 자석 외피로서의 원주벽(7)을 포함하는 링 컵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자석 외피와 스터브 사이에 자기 코일의 권선(2)이 지지된다. 분배기를 향한 정면에서 자심은 자기 디스크(43)가 보충된다. 자기 디스크(43)의 직경은 자석 외피의 내경에 맞추어지고, 자석 외피에 대해 반경방향의 좁은 공기 틈을 형성한다. 이로써 전자석(50)이 고정된 경우 자기 회로의 일부인 자기 디스크(43)가 회전하는 분배기(33)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스터브(9)의 구멍(10) 안으로 플런저 아마츄어(52)의 형태를 한 아마츄어가 삽입된다. 이 아마츄어는 밸브 요소(46)의 넥(45)에 접속된 헤드 모양 단부(53)에 고정되고, 자기 코일이 여자되면 밸브 요소를 폐쇄 방향으로 시트(39)를 향해 작동시킨다. 부분 구멍(40) 안에 지지되는 압축 스프링(55)은 밸브 요소가 개방 방향으로 작용한다. 아마츄어는 일체형으로서 동시에 밸브 요소(46)의 헤드 모양 단부(53)를 형성할 수도 있다.
밸브 요소의 스트로크는 밸브 요소의 숄더(56)가 자기 디스크에 접함으로써 제한된다. 이 숄더는 안내구(42) 안에서 미끄러지는 밸브요소(46)의 부분이 넥(45)으로 전이되는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분사 펌프를 작동시키면 연료가 안내구(42)를 거쳐 정면이 인접한 공간(59)으로 흘러나오고, 이로써 자기 코일과 접촉하게 된다. 연료는 리세스(41)를 거쳐 분배기 분사 펌프로부터 흘러나올 수도 있다. 따라서, 펌프가 리세스(41) 안에서 전자석(50)을 밀폐하는 역할도 동시에 하는 덮개 부분(60)에 의해 폐쇄된다. 이를 위해 덮개 부분은 원주 홈(61)을 가지는데, 원주 홈(61) 안으로 리세스(41)의 벽과 상호작용하는 밀봉 장치(62)가 삽입되고, 밀봉 장치(62)의 중간 부분이 컵형상의 하우징(6) 위에 얹히게 된다. 그 결과 구멍(10)이 이 부분에 의해 폐쇄된다. 덮개 부분(60)에는 두 개의 관통 구멍(61)이 있다. 자기 코일의 접촉 단자들이 이 관통 구멍(61)을 관통한 다음, 외부에서 전원 장치와 연결된다. 밀봉 링이(65)이 이 관통 구멍들(64)의 벽과 상호작용한다. 다른 한편으로, 밀봉 링(65)은 접촉 단자들(5)의 절연재 넥(15)에 밀봉방식으로 접하고, 이로써 이 부위에서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절연재 스터브(19)를 수용할 수 있도록 덮개 부분(60)에는 외부에 대해 폐쇄된 리세스(66)가 있다. 따라서, 이 부위에서는 밀폐를 할 필요가 없다. 이는 하우징(6) 내의 자기 코일(1)을 특수한 형태로 제작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같은 방법으로 연료 등의 액체가 권선으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보호된 자기 코일을 가진 솔레노이드 밸브를 모든 필요한 공차를 유지하면서 쉽게 제작하고,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이같은 자기 코일은 분배기 연료 분사 펌프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다른 사용예에서도 솔레노이드 밸브를 밀폐함으로써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Claims (7)

  1. 원주벽(7)과 기저부(8)를 구비하는 하우징(6)의 내부에 배치되고, 절연재(11)에 의해 외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연장하는 두 개의 접촉 단자(5)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단자(5)의 길이의 일부에 대해서 절연재(11,15)로 둘러싸이며, 절연재로 둘러싸인 부분들이 상기 하우징(6)의 상기 기저부(8)의 구멍(12)을 관통하여 안내되고 상기 하우징(6)의 외부에서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자기 코일(1)과 상기 접촉 단자(5)의 절연은 상기 절연재(11)를 모든 면에 스프레이 코팅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재가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도 분사되어 상기 기저부(8)에 형성된 상기 구멍(12)을 완전히 충진시켜 폐쇄하며, 상기 자기 코일(1)이 상기 하우징(6) 안에 소정 위치에 위치설정되고,
    자기 아마츄어(52)로 자속을 유도하도록 자용하는 스터브(9)가 상기 기저부(8)로부터 돌출해 있고, 고리 모양으로 제작된 상기 자기 코일(1)의 내부로 동심을 이루며 돌출해 있는 자기 코일(1)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8)는 제 3 구멍(17)을 구비하고, 상기 제 3구멍(17)을 통해 막대 모양의 부품(25)을 상기 하우징(6)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삽입할 수 있으며, 스프레이 코팅을 하는 동안 상기 막대 모양의 부품(25)에 의해 정지부에서 지지되는 상기 접촉 단자(5)와 함께, 상기 자기 코일(1)이 상기 하우징(6) 내부의 소정 위치에서, 인접하는 하우징 벽과 간격을 두고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스프레이 코팅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막대 모양의 부품(25)이 제거되며, 상기 제 3 구멍(17)도 스프레이 코팅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막대 모양의 부품(25)이 제거되며, 상기 제 3 구멍(17)도 스프레이 코팅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절연재(11)로 충전되어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코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자(5)와 상기 막대 모양의 부품(25)을 수용하는 상기 구멍(12, 17)은, 상기 막대 모양의 부품(25)과 상기 접촉 단자(5)가 함께 하나의 안정적인 3점 지지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코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8)의 바깥면에서 상기 제 3 구멍(17)은 상기 기저부로부터 돌출한 절연재 스터브(19)에 의해서 폐쇄되고, 스프레이 코팅을 하는 동안 상기 스터브(19)를 통하여 압력 측정이 실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코일.
  4. 제 1항, 제 2 항,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기 코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이 사출 금형(22) 안에 고정되고, 막대 모양의 부품(25)이 상기 사출 금형(22)의 벽과, 상기 하우징(6)의 상기 기저부(8)에 있는 제 3 구멍(17)을 통해 상기 하우징(6)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자기 코일(1)은 정지부에 대해서 지지되는 접촉 단자(5)에 의해서 그리고, 고정된 막대 모양의 부품(25)에 의해 사전에 정해진 상기 하우징(6) 내부의 위치로 보내지고, 상기 컵형상 하우징(6)에 남아있는 구멍이 분사 헤드에 의해 코일을 간격을 두고 감싸도록 폐쇄되며, 절연재 주입이 이루어지고, 스프레이 코팅을 하는 동안 상기 막대 모양의 부품(25)이 제거되는 시점은 상기 사출 금형(22)의 벽에 있는, 양호하게는 상기 제 3 구멍(17)의 출구에 있는 압력 센서(27)에 의해 절연재가 상기 제 3 구멍(17)에서 누출되는 사실이 절연재 유입에 의해 발생된 압력 신호로 표시될 때이고, 그 결과 스프레이 코팅 과정이 완료되지 않음으로 인해 채워지는 상기 절연재가 상기 막대 모양의 부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3 구멍(17)을 완전히 폐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코일의 제조 방법.
  5. 제 4항에 따른 자기 코일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자기 코일의 스프레이 코팅 장치에 있어서,
    사출 금형(22)이 상기 컵형상 하우징(6)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수용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6)의 내부 반대편에 놓인 상기 하우징(6)의 상기 기저부(8)의 면에서 상기 사출 금형(22)이 상기 하우징(6)과 함께 두 개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접촉 단자(5)가 이 공간들을 관통하고, 스프레이 코팅하는 동안, 이 공간들 안에서 상기 접촉 단자의 일부에 스프레이 코팅(15)이 피복되며, 상기 사출 금형이 상기 기저부(8)와 함께 제 3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자기 코일(1)을 위치설정하기 위한 상기 막대 모양의 부품(25)이 상기 사출 금형(22)의 벽에 있는 공급구(24)를 통해 상기 공간 안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기저부내의 상기 제 3 구멍(17)을 통해 관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코일의 스프레이 코팅 장치.
  6. 제 1항, 제 2 항,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코일(1)이 분배기 분사 펌프 내에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47)에 사용되며, 상기 분배기 연료 분사 펌프가 회전 구동되는 분배기(33)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기(33)는 구멍(42)을 구비하고, 상기 구멍(42) 안에서 연료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요소(46)가 안내되고, 상기 밸브 요소(46)는 솔레노이드 밸브(47)의 아마츄어(52)와 연결되며, 상기 아마츄어는 상기 자기 코일(1)의 상기 하우징(6)의 스터브(9) 안에서 안내되고, 상기 자기 코일(1)이 상기 분배기 분사 펌프의 하우징(29) 안에 있는 리세스(41) 내에 고정되어 부분(60)에 의해 덮이고, 상기 부분(60)은 상기 분배기 연료 분사 펌프의 상기 하우징(29) 안에 밀봉 방식으로 삽입되어, 거기서 정면이 상기 분배기(33)에 연결된, 상기 분배기 연료 분사 펌프의 연료가 통하는 공간(59)을 폐쇄하며, 상기 부분(60)에 두 개의 관통 구멍(64)이 있어서, 상기 절연재로 둘러싸인 상기 접촉 단자(5)의 부분(15)이 상기 관통 구멍(64)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여기서 상기 부분(15)과 상기 관통구멍(64) 사이에 놓인 각 하나의 밀봉 장치(65)로 상기 연료가 통하는 공간(59)을 외부에 대해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코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60)은 상기 기저부(8)의 제 3 구멍에서, 상기 자기 코일(1)의 상기 하우징(6)의 상기 기저부(8)로부터 돌출하는 절연재의 덮개 부분(19)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블라인드 홀(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코일.
KR1019980710057A 1997-04-10 1998-04-03 자기코일 KR100524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10057A KR100524212B1 (ko) 1997-04-10 1998-04-03 자기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14812.3 1997-04-10
KR1019980710057A KR100524212B1 (ko) 1997-04-10 1998-04-03 자기코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473A KR20000016473A (ko) 2000-03-25
KR100524212B1 true KR100524212B1 (ko) 2006-01-27

Family

ID=4173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057A KR100524212B1 (ko) 1997-04-10 1998-04-03 자기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2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6136A1 (en) * 1992-09-03 1994-03-17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Coil molded into magnetic st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6136A1 (en) * 1992-09-03 1994-03-17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Coil molded into magnetic st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473A (ko) 200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9100B1 (ko) 전자기 밸브
RU2047034C1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клапан
KR100524215B1 (ko) 밸브용 자기 코일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과 자기 코일을 갖는 밸브
JP4571985B2 (ja) 噴射弁
US8632050B2 (en) Electromagnetic actuating unit
US6164266A (en) Magnet coil used in a fuel injection pump
US6409102B1 (en) Fuel injector assembly
JP4602963B2 (ja) 内燃エンジンのための燃料噴射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44619B2 (en) Valve housing with embedded electrical leads
JPS6133996B2 (ko)
US4455982A (en) Electromagnetically actuatable valve
JP3669425B2 (ja) コイル装置
KR100524212B1 (ko) 자기코일
US6816050B2 (en) Size-reduced magnet coil carrier
JPS633410Y2 (ko)
US7007924B2 (en) One-piece coil conduit
JPS63210481A (ja) 電磁操作弁、特に燃料噴射弁
KR102002233B1 (ko) 인젝터
EP1063474B1 (en) Electromagnet assembly for a safety gas valve
US2006001068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ignition coil filled with resin
JP2005209853A (ja) コイル装置の製造方法
JP3044543U (ja) 点火コイル
JPH0942110A (ja) 内燃機関用燃料噴射弁
JPS5943959A (ja) 電磁式燃料噴射弁
JPH052630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