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599B1 -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 - Google Patents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599B1
KR100523599B1 KR10-2003-0046700A KR20030046700A KR100523599B1 KR 100523599 B1 KR100523599 B1 KR 100523599B1 KR 20030046700 A KR20030046700 A KR 20030046700A KR 100523599 B1 KR100523599 B1 KR 100523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cover
cooling fan
fan
housing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6766A (ko
Inventor
전재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6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599B1/ko
Publication of KR2005000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전자기기의 각종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 공기흐름을 단속하는 팬커버와; 이 팬커버의 소정부분을 잡아주어 그 팬커버에 일정치 이상의 공기압이 가해지면 그 팬커버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고 공기압이 대기압 상태로 해제되면 다시 그 팬커버를 폐쇄상태로 복귀시키는 홀딩부와; 일정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의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홀딩부의 일부분을 일체로 고정하고 주변에는 다수 개의 공기흐름통로가 형성된 마운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냉각팬을 가동시켜 전자기기의 내부열을 배출시키고 난 다음 냉각팬의 전원을 오프시키면 외부로부터 전자기기의 내부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없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내부 전자부품에 이물질이 쌓여 기능장애를 일으키거나 화재를 발생시킬 우려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AUTOMATED OPEN/CLOSE TYPE FAN COVER STRUCTURE FOR COOLING FAN}
본 발명은 소정 전자기기의 각종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각팬을 온시켰을 때는 공기흐름통로가 개방되고 오프되었을 때는 공기흐름통로가 폐쇄되어 외부로부터 전자기기의 내부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젝션 TV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는 각종 전자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내부온도가 상승하여 궁극적으로 전자기기의 작동불능을 일으키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냉각팬이 마련되어 있다.
한 예로, 종래의 냉각팬 고정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와 같은 구동체(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 허브(1)와, 이 허브의 구동체 외주면에 마련된 프로펠러(2)와, 이 프로펠러를 둘러싸고 중앙부분에 개구부(3a)가 형성된 프레임(3)으로 구성되는 냉각팬(4)과; 이 냉각팬의 일측면에 다수 개의 스패이서(5)를 매개로 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6)로 고정되는 지지부(7)와; 이 지지부의 일부분에 상응하여 바닥면에 보스(8a)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팬(4)의 프로펠러(2)에 상응하여 측벽에 환기구멍(8b)이 마련된 하우징(8)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냉각팬(4)의 허브(1)는 적어도 3개의 지지바(1a)를 매개로 하여 상기 프레임(3)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허브(1) 내의 구동체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프로펠러(2)는 안정되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7)는 냉각팬(4)의 프레임(3)과 마주하고 중앙부분에 개구부(9a)가 형성된 수직플레이트(9)와, 이 수직플레이트의 하부 테두리와 교차되고 중앙부분에 구멍(10a)이 형성된 수평플레이트(10)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팬(4)과 지지부(7)로 구성된 냉각팬조립체(11)를 들어올려 그 냉각팬(4)의 허브(1)를 하우징(8)의 환기구멍(8b)에, 그리고 그 지지부(7)의 수평플레이트(10)의 구멍(10a)을 상기 하우징(8)의 보스(8a)에 정렬시켜 상기 수평플레이트(10)의 구멍(10a)을 통해 상기 하우징(8)의 보스(8a)에 나사(6)를 끼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냉각팬의 프로펠러부분과 하우징의 환기구멍이 냉각팬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도 서로 개방되어 있었기 때문에 냉각팬의 가동이 멈춰진 후에도 외부로부터 전자기기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전자기기의 내부 소정 전자부품에 이물질이 계속해서 쌓이게 되면 그 이물질이 쌓여진 부분의 전자부품에 기능장애가 발생되거나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매우 높았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냉각팬을 가동시켜 전자기기의 내부열을 밖으로 배출시키고, 아울러 그 냉각팬의 전원을 오프시키면 외부로부터 전자기기의 내부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이 발생되는 전자부품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여 전자기기의 기능장애 또는 화재발생 우려를 근본적으로 해소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흐름을 단속하는 팬커버와; 이 팬커버의 소정부분을 잡아주어 그 팬커버에 일정치 이상의 공기압이 가해지면 그 팬커버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고 공기압이 대기압 상태로 해제되면 다시 그 팬커버를 폐쇄상태로 복귀시키는 홀딩부와; 일정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의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홀딩부의 일부분을 일체로 고정하고 주변에는 다수 개의 공기흐름통로가 형성된 마운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의 결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공기흐름을 단속하는 팬커버(12)와; 이 팬커버의 소정부분을 잡아주어 그 팬커버에 일정치 이상의 공기압이 가해지면 그 팬커버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고 공기압이 대기압 상태로 해제되면 다시 그 팬커버를 폐쇄상태로 복귀시키는 홀딩부(13)와; 일정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14)의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홀딩부(13)의 일부분을 일체로 고정하고 주변에는 다수 개의 공기흐름통로가 형성된 마운팅부(1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홀딩부(13)는 상기 팬커버(12)의 소정부분을 관통하여 나사(6)로 고정되는 샤프트(16)와, 상기 마운팅부(15)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16)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부싱(17)과, 상기 샤프트(16)의 나머지 자유단을 통해 끼워져 일단부가 상기 부싱(17)의 테두리에 걸리는 코일스프링(18)과, 상기 샤프트(16)의 자유단에 나사(6)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코일스프링(18)의 타단부를 일정압력으로 지지하는 와셔(19)로 구성되며,
상기 마운팅부(15)의 부싱(17)을 수용하는 부분은 적어도 두 개의 지지바(20)를 통해 상기 하우징(14)과 연결되어 있다(도 4와 도 5 참조).
상기 마운팅부(15)의 각 지지바(20)는 직선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각 지지바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태의 보조리브(20a)로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마운팅부(15)의 각 지지바(20)는 곡선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운팅부(15)는 상기 팬커버(12)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 그 팬커버가 상기 하우징(14)의 측벽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그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일정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의 팬커버 조립과정과 냉각팬을 작동시킬 때의 그 팬커버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14)의 마운팅부(15) 일부분, 즉 중앙부분(15a)에 부싱(17)을 일체로 고정시킨 후, 그 부싱의 축선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그 부싱의 구멍(17a)에 샤프트(16)를 끼운 다음, 그 샤프트의 일단부에 팬커버(12)의 소정부분을 끼워 나사(6)로 고정시킨다(도 4와 도 5 참조).
그런 다음, 상기 샤프트(16)의 나머지 자유단을 통해 코일스프링(18)을 끼운 상태에서 그 코일스프링의 일단부가 상기 부싱(17)의 테두리에 대해 눌려지도록 상기 코일스프링(18)의 타단부를 와셔(19)를 매개로 하여 누른 다음, 상기 코일스프링(18)이 부싱(17)과 와셔(19) 사이에서 수축/팽창될 수 있도록 그 와셔의 구멍(19a)을 통해 나사(6)를 끼워 상기 샤프트(16)에 고정시키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4)의 마운팅부(15)에 홀딩부(13)를 이용하여 팬커버(12)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4) 내에 설치된 냉각팬(4)을 가동시키면 상기 하우징(14) 내의 공기가 상기 팬커버(12) 쪽으로 송풍될 수 있게 된다(도 6 참조).
이때, 상기 팬커버(12)는 바람의 힘에 의해 상기 하우징(14)의 바깥쪽으로 밀리게 되며, 아울러 상기 팬커버(12)와 일체로 고정된 상기 홀딩부(13)의 샤프트(16)도 상기 하우징(14)의 바깥쪽으로 밀리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하우징(14)의 마운팅부(15)와 팬커버(12) 사이에는 일정크기의 틈새가 발생하여 상기 하우징(14) 내의 더운 공기가 그 틈새를 통해 하우징의 바깥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16)는 상기 마운팅부(15)의 부싱(17)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 축선의 흔들림이 없고 상기 코일스프링(18)과 와셔(19)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 상기 부싱(17)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냉각팬(4)의 가동을 정지시키면 상기 팬커버(12)에 가해지고 있던 공기압이 대기압 상태로 해제되어 그 팬커버는 상기 코일스프링(18)의 복귀력에 의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도 7 참조).
그 결과, 상기 팬커버(12)와 하우징(14)의 마운팅부(15) 사이에 형성되었던 틈새는 사라지게 되며, 이로써 상기 하우징(14)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먼지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각팬을 가동시켜 전자기기의 내부열을 배출시키고 난 다음 냉각팬의 전원을 오프시키면 외부로부터 전자기기의 내부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없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내부 전자부품에 이물질이 쌓여 기능장애를 일으키거나 화재를 발생시킬 우려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냉각팬조립체와 그 냉각팬조립체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각팬조립체가 하우징의 소정 측벽에 장착된 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냉각팬조립체가 하우징의 소정 측벽에 장착된 상태의 개략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의 결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가 적용된 소정 전자기기의 냉각팬을 온(ON)시켰을 때의 팬커버의 개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가 적용된 소정 전자기기의 냉각팬을 오프(OFF)시켰을 때의 팬커버의 폐쇄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냉각팬 6: 나사
12: 팬커버 13: 홀딩부
14: 하우징 15: 마운팅부
15a: 중앙부분 16: 샤프트
17: 부싱 17a: 구멍
18: 코일스프링 19: 와셔
19a: 구멍 20: 지지바
20a: 보조리브

Claims (5)

  1. 공기흐름을 단속하는 팬커버와;
    이 팬커버의 중앙부분을 나사를 매개로 하여 고정하는 샤프트와, 이 샤프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부싱과,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끼워져 일단부가 상기 부싱의 테두리에 걸리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샤프트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부를 일정압력으로 지지하는 와셔로 구성된 홀딩부와;
    일정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의 측벽에 마련되어 상기 홀딩부의 부싱을 고정하고 주변에는 다수 개의 공기흐름통로가 형성된 마운팅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을 수용하는 마운팅부의 일부분은 적어도 두 개의 지지바를 통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의 각 지지바는 직선형태를 취하고 그 각 지지바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태의 보조리브로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의 각 지지바는 곡선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부는 상기 팬커버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 그 팬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측벽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그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일정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
KR10-2003-0046700A 2003-07-10 2003-07-10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 KR100523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700A KR100523599B1 (ko) 2003-07-10 2003-07-10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700A KR100523599B1 (ko) 2003-07-10 2003-07-10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766A KR20050006766A (ko) 2005-01-17
KR100523599B1 true KR100523599B1 (ko) 2005-10-25

Family

ID=3722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700A KR100523599B1 (ko) 2003-07-10 2003-07-10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98B1 (ko) 2011-08-19 2013-03-13 주식회사 쏠라파워 콘트롤 박스용 환기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098B1 (ko) 2011-08-19 2013-03-13 주식회사 쏠라파워 콘트롤 박스용 환기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766A (ko) 2005-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1121B1 (en) Washing Machine
KR970001271Y1 (ko) 냉장고의 온도조절부 회전식 개폐장치
US6189328B1 (en)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100523599B1 (ko) 냉각팬을 위한 자동 개폐식 팬커버 구조
JP3862847B2 (ja) 空気調和機の電気部品箱
AU2004261867B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3894174B2 (ja) 空気調和機の電装品箱および空気調和機
JP4775334B2 (ja) ファンシステム
KR100484809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
KR10084518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워코드 고정구조
CN216592012U (zh) 一种除湿机
EP1624726B1 (en) Microwave oven and fan assembly for microwave oven
KR100773693B1 (ko) 에어컨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200469876Y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조케이스
KR200381428Y1 (ko) 진공 청소기 함체 구조
CN114087677A (zh) 一种除湿机
KR100889737B1 (ko) 송풍기 유니트
JP2020118573A (ja) 流量スイッチを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動ポンプ
KR20000002406U (ko) 냉각 팬을 전자기기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장치가 구비된휴대형 컴퓨터
KR20040047001A (ko) 드럼세탁기의 탑 플레이트 조립구조
KR100487782B1 (ko) 전자레인지의 래치보드 구조
JP2005069584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0329655Y1 (ko) 공기조화장치용 도어 구동부 결합구조
JP2005069583A (ja) 空気調和機の電装品箱および空気調和機
KR20060030728A (ko) 전자제품의 냉각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