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597B1 - 유색에서 유색으로 광변색되는 광변색성 필라멘트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광변색성 필라멘트, 이를이용한 팬시사, 자수사, 제직물 및 편직물 - Google Patents

유색에서 유색으로 광변색되는 광변색성 필라멘트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광변색성 필라멘트, 이를이용한 팬시사, 자수사, 제직물 및 편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597B1
KR100523597B1 KR10-2003-0002936A KR20030002936A KR100523597B1 KR 100523597 B1 KR100523597 B1 KR 100523597B1 KR 20030002936 A KR20030002936 A KR 20030002936A KR 100523597 B1 KR100523597 B1 KR 100523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chromic
yarn
filament
weight
master b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1972A (ko
Inventor
문진석
Original Assignee
문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진석 filed Critical 문진석
Priority to KR10-2003-0002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597B1/ko
Publication of KR2003001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5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4Yarns or threads having slubs, knops, spirals, loops, tufts, or other irregular or decorative effects, i.e. effect ya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내구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하며 유색에서 유색으로 광변색되는 감광가역 변색성 필라멘트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광변색성 필라멘트, 이를 이용한 팬시사(fancy yarn), 자수사, 제직물 및 편직물에 관한 것이다. 180~220℃에서 폴리 프로필렌 칩 55-93중량%, 광변색성 염료 0.5-5중량%, 산화방지제 1-15중량%, 광안정화제 5-20중량% 및 불소화합물 0.5-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스터 배치를 샌드의 평균 입경이 1-200 메쉬이고, 구금 홀의 직경이 0.5㎜이상인 팩을 통해 압출기에서 1차 압출 및 방사하여 마스터 배치칩을 제조하는 단계; 및 180~220℃에서 폴리프로필렌 칩 65-85중량%, 상기 마스터 배치 칩 10-30중량% 및 UV 안정화제 5중량%로 배합하여 배치를 샌드의 평균 입경이 1-200 메쉬이고, 구금 홀의 직경이 0.5㎜이상인 팩을 통해 압출기에서 2차 압출 및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변색 필라멘트(filament)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광변색 필라멘트, 이를 함유하는 팬시사, 제직물, 편직물 및 광변색 필라멘트 2가닥이 TPM 500-600으로 연사된 150 데니어 ×2합의 자수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광변색성 필라멘트 및 이를 함유하는 사(yarn) 및 직물은 광변색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구성 및 일광견뢰도를 갖는다.

Description

유색에서 유색으로 광변색되는 광변색성 필라멘트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광변색성 필라멘트, 이를 이용한 팬시사, 자수사, 제직물 및 편직물{Preparing Method of Photochromic Filament Which Changes Its Colors By Photochromism, Photochromic Filament Prepared Thereby, Fancy Yarn, Embroidery Yarn, Woven Fabric And Knitted Fabric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토크로믹 현상(photochromic phenomenon)을 이용한 감광가역 변색성 필라멘트 제조방법, 광변색성 필라멘트(filament), 이를 이용한 팬시사(fancy yarn), 자수자, 제직물 및 편직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내구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하며 유색에서 유색으로 광변색되는 감광가역 변색성 필라멘트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광변색성 필라멘트, 이를 이용한 팬시사(fancy yarn), 자수사, 제직물 및 편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용 원사는 모사, 면사, 화섬사, 합섬사등으로 구분되며, 이를 제직하거나 편직하여 원단을 제조한다.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원단을 만들기 이전에 염색하여 원단을 제조하거나, 원단을 제조한 후, 염색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원사나 원단에 염색하여 사용하는 기술은 상당한 수준까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염색방법으로 제조되는 원사나 원단의 경우, 색상이 단순함으로 합성섬유를 제조하는 잔광물질 또는 자외선에 반응하는 물질을 섬유제작시 도입함으로써 일광이나 현광 또는 자외선과 같은 광원에 의해 색상이 변화되는 감광가역 변색성 섬유제조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섬유화공정중의 용융상태에서 감광가역 변색특성을 갖는 광변색성원료를 섬유형성 폴리머에 혼합하여 섬유매트릭스 내부에 광변색성 원료가 혼입되어 있도록하는 감광가역변색성 섬유 제조방법은 알려져 있으며, 공개실용신안 제 94-10071에 출원된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광변색성 섬유는 잔광물질 또는 자외선 변색물질과의 부착력이 떨어져 분리되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광변색성 원료의 사용기간이 급격히 짧아지며, 일광견뢰도 또한 저하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광변색성, 내구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감광가역 변색성 필라멘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광변색성, 내구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하며, 유색에서 유색으로 광변색되는 감광가역 변색성 필라멘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광변색성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광변색성 팬시사, 자수사, 제직물 및 편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의하면,
180~220℃에서 폴리 프로필렌 칩 55-93중량%, 광변색성 염료 0.5-5중량%, 산화방지제 1-15 중량%, 광안정화제 5-20중량% 및 불소화합물 0.5-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스터 배치를 샌드의 평균 입경이 1-200 메쉬이고, 구금 홀의 직경이 0.5㎜이상인 팩을 통해 압출기에서 1차 압출 및 방사하여 마스터 배치칩을 제조하는 단계; 및
180~220℃에서 폴리프로필렌 칩 65-85중량%, 상기 마스터 배치 칩 10-30중량% 및 UV 안정화제 5중량%로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배치를 샌드의 평균 입경이 1-200 메쉬이고, 구금 홀의 직경이 0.5㎜이상인 팩을 통해 압출기에서 2차 압출 및 방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변색 필라멘트(filament)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광변색 필라멘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광변색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팬시사(fancy yarn)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광변색 필라멘트 2가닥이 TPM 500-600으로 연사된 150 데니어×2합의 자수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5 견지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광변색성 필라멘트 또는 팬시사(fancy yarn)를 함유하는 제직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6 견지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광변색성 필라멘트 또는 팬시사(fancy yarn)를 함유하는 편직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광변색성 섬유 제조시 원료의 배합량, 원료 배합물의 융점 및 압출기(extruder)내 팩(Pack)의 샌드(Sand) 굵기 및 구금 홀의 크기를 특정하게 조절함으로써 광변색성, 내구성 및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감광가역 변색성 필라멘트가 제조된다.
상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광변색성 필라멘트는 포토크로믹 현상에 의해 태양광, 자외선등에 노출시 조사된 자외선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유색에서 유색으로 감광가역 변색된다.
본 발명의 마스터 배치 조성은 폴리 프로필렌 칩 55-93중량%, 광변색성 염료 0.5-5중량%, 산화방지제 1-15중량%, 광안정화제 5-20중량% 및 불소화합물 0.5-5중량%범위에서 100중량%가 되도록 적합한 양으로 선택하여 이루어진다.
주재료는 필라멘트 제조시 필라멘트 제조의 용이성, 편리성등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칩이 55-93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76중량%로 사용된다. 폴리 프로필렌칩의 함량이 55중량% 미만이면 1차 방출시 작업성과 관련하여 필라멘트 형성이 문제시된다. 즉, 화학섬유 제조시 화학섬유를 이루는 주재의 비중이 낮으면 의도하는 물성이 달성되기 어렵다. 폴리 프로필렌 칩의 함량이 93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1차 방사시에는 특별히 문제시되지 않으나, 1차 방사에 의한 마스터 배치 칩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2차 방사하는 경우에는 포토크로믹 현상을 이용한 자외선 변색이 저조할 뿐만 아니라, 방사후, 건조, 연신, 권취시의 작업성 또한, 문제시된다.
광변색성 염료는 0.5-5중량%, 바람직하게는 3중량%로 배합된다. 상기 다른 성분과의 함량과 관련하여 광변색성 염료가 0.5중량%미만이면 태양광, 자외선 조사시 색상의 변화가 미미하여 거의 느껴지지 않음으로 광변색성 염료 투입의 효과가 거의 없으며, 5중량%를 초과하면, 방사작업시 구금에서 배출되면서 냉각하는 경우, 잘 냉각되지 않는 등의 필라멘트 형성이 문제시 될 수 있다. 따라서 광변색염료는 상기 범위로 사용하여 마스터 배치 조성물을 구성하는 것이 제조된 필라멘트, 사(yarn) 및 직물에서 최적의 광응답성에 가장 적합하다.
광변색성 염료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광변색성 염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예로는 하기 화학식 (1)의 포토크로믹 블루(photochromic blue), 화학식 (2)의 포토크로믹 바이올렛(photochromic violet) 및 화학식 (3)의 포토크로믹 엘로우(photochromic yellow) 광변색성 염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변색성 염료는 분말 및 캡슐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종래에는 상기 광변색성 염료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태양광등에 의해 황색, 청색 및 보라색을 발현하는 필라멘트만이 제조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세가지 염료를 어떠한 배합으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황색, 청색 및 보라색뿐만 아니라, 적색, 녹색 및 회색등 다양한 색상의 광변색성 필라멘트가 제조될 수 있다.
광변색성 염료는 고온에서 필라멘트형성 용융폴리머에 첨가됨으로 광변색성 염료의 열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산화방지제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산화방지제는 마스터 배치 조성에 1-15중량%, 바람직하게는 6중량%로 사용된다. 산화방지제가 1중량%미만으로 첨가되면 견뢰도가 불량하며, 15중량%를 초과하면, 방사작업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며, 상기 범위로 사용되는 경우, 제조된 광변색성 필라멘트는 우수한 견뢰도를 나타낸다. 청색 광변색성 원료, 예를 들면 상기 포토크로믹 블루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청색 전용 산화방지제가 사용된다.
산화방지제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IRGANOX®245, IRGANOX®259, IRGANOX®565, IRGANOX®1010, IRGANOX®1035, IRGANOX®1076, IRGANOX®1098, IRGANOX®1222, IRGANOX®1330, IRGANOX®1425WL, IRGANOX®3114, IRGANO®5057, IRGANOX®1520, IRGANOX®1520D, IRGAFOS®168 및 IRGAFOS®P-FPQ를 포함한다.
폴리프로필렌 필라멘트는 태양광에 의해 황변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광안정화제가 사용된다. 광안정화제는 5-20중량%, 바람직하게는 12중량%로 배합될 수 있다. 광안정화제가 5중량%미만으로 배합되면, 광응답 속도가 너무 느려서 사용효과가 미비하며, 20중량%를 초과하면, 마스터 배치를 이용한 칩 제조시 작업성이 문제시 된다.
광안정화제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안정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TINUVIN®22LD, CHIMASSORB®44LD, CHIMASSORB®44FD, CHIMASSORB®19FL, TINUVIN®70DF 및 TINUVIN®65를 포함한다.
불소 화합물은 내열성 및 견뢰도를 부여하는 것으로 0.5-5중량%, 바람직하게는 3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불소화합물은 0.5중량%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의도하는 물성 발현에 불충분하며, 더욱이 불소화합물은 환경적으로 오존층 파괴등의 이유로 국제적인 규제 대상 물질일 뿐만 아니나, 독성으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5중량%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사용되는 어떠한 불소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예로는 CF4, CBrF3 및 CF3CF3등의 알칸류, CF2 및 CF3CF 등의 알켄류, C6H5F의 방향족류, CF3SCI, SF4 및 S2F10 등의 유황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배치 조성물은 180-220℃에서 용융배합 및 압출된다. 180-220℃의 융점에서 상기 마스터 배치 조성물을 용융배합함으로써 광변색 안료가 100% 용해되지 않고 일부, 구체적으로는 약 80-90%정도 용해되고 잔부는 비용융된 상태로 잔류한다. 따라서, 제조된 필라멘트내에 분말 혹은 캡슐형태로 잔존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조된 광변색 필라멘트는 유색을 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성된 마스터 배치는 180-220℃의 압출기를 통해 1차 압출, 방사, 건조 및 절단하여 마스터 배치 칩을 얻는다. 압출, 방사, 건조 및 절단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상기 마스터 배치가 압출되는 압출기 지역 끝의 스핀 블록(Spin Block) 내부의 팩(Pack)에 위치하며, 장입되어 필터링 역할을 하는 샌드 메쉬에서 샌드 입도 및 팩의 구금 홀의 직경이 또한 특정한 크기로 조절된다.
샌드는 평균 입경이 1-200메쉬인 것이 사용된다. 샌드 메쉬를 단일층을 사용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금 홀의 직경은 0.5㎜이상, 바람직하게는 0.5mm~2mm이다.
샌드의 평균 입경 및 구금 홀의 직경이 상기 크기 보다 작으면 압출기 지역에서 마스터 배치가 용융되어 배출될 때의 압력으로 인하여 광변색성 염료, 특히 캡슐 형태의 광변색성 염료가 파손될 수 있다. 샌드의 평균 입경 및 구금 홀의 직경이 상기 크기 보다 크면, 마스터배치가 굵게 방사되고 따라서, 방사됨에 따라 충분히 건조되지 못하여 마스터 배치 칩으로 가공하기에 충분한 물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상기 마스터 배치 칩은 마스터 배치 칩 10-30중량%, 폴리 프로필렌 칩 65-85중량% 및 UV 안정화제 5중량%범위에서 100중량%가 되도록 그 양을 선정하여 2차 방사 배치로 배합하고 2차 압출 및 방사된다. 상기 2차 방사 배치 조성물은 마스터 배치 칩과 폴리프로필렌 칩 그리고 UV안정화제를 상기 범위의 비율로 배합하여 방사하는 경우, 가장 적합한 일광견뢰도, 내구성 및 광변성등의 물성을 갖는 필라멘트로 얻어진다.
UV안정화제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UV 안정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SUNPRO-KC1(코오롱사) BTZ328.765(LG화학) 및 LOWLITE92(GREAT LAKES CHEMICAL사, 영국)을 포함한다.
2차 압출 및 방사 또한, 180-220℃에서 행한다. 이는 1차 방사에서 용융되지 않고 잔존하는 광변색 염료가 용융되지 않고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광변색 필라멘트에 잔존하도록 하여 제조된 필라멘트가 유색을 띄도록 하기 위함이다.
2차 배치 조성물은 상기 1차 방사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샌드 평균 입경, 구금홀 직경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2차 압출 및 방사한다. 2차 방사된 광변색성 필라멘트를 건조, 연신 및 권취하여 광변색성 필라멘트를 얻는다.
방사, 건조, 연신 및 권취는 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광변색 필라멘트는 베이지, 민트등 옅은 색상을 띄며, 이는 태양광 및 자외선에 노출시, 다른 색상으로 광변색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들어, 짙은 베이지에서 적색, 중간톤의 민트에서 청색, 중간톤의 베이지에서 오렌지, 옅은 베이지에서 회색, 황색에서 보라색, 옅은 민트에서 녹색, 그리고 민트에서 황색등으로 변색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광변색 필라멘트는 내구성, 일광견뢰도 및 광변색성 또한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광변색성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팬시사(fancy yarn)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광변색 필라멘트는 어떠한 종류의 사(yarn)로 연사되어 팬시사(fancy yarn)로 제조된다. 상기 팬시사 제조에 본 발명의 광변색성 필라멘트와 함께 사용되는 사로는 어떠한 일반적인 사(yarn)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그 예로는 모사, 면사, 방모사, 합성섬유, 반합성섬유, 화섬사 및 합섬사등을 포함한다.
제조되는 팬시사의 예로는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장사, 장식사, 합사, 연사, T.T 사, SLUB 사, KNOT 사, BOUCLE 사, TAIL사, TUBE사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광변색성 필라멘트로 제조된 자수사가 제공된다. 상기 광변색성 필라멘트는 2가닥을 TPM 500-600의 꼬임으로 연사하여 150데니어 x 2합의 자수사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색상 혹은 다른 색상의 광변색성 필라멘트 2가닥을 연사할 수 있으며, 150데니어 x 2합으로 제조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광변색성 필라멘트 혹은 상기 팬시사를 함유하는 편직물 및 제직물이 제공된다. 상기 광백색성 필라멘트 혹은 팬시사를 경사 및/또는 위사로 사용하여 제직함으로써 혹은 편직함으로써 광변색가능한 제직물 또는 편직물이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광변색성 필라멘트 혹은 상기 팬시사를 함유하는 편직물 및 제직물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어떠한 종류의 사(yarn)와 함께 편직 또는 제직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사용가능한 사는 이로써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들어,
모사, 면사, 방모사, 합성섬유, 레이온등의 반합성섬유, 화섬사 및 합섬사등을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마스터 배치 칩 제조
폴리 프로필렌 칩 76중량%, 광변색성 염료 3중량%, IRGANOX®1330 산화방지제 6 중량%, TINUVIN®22LD 광안정화제 12중량% 및 불소화합물(CF3CF3) 3중량%를 배합하여 광변색성 필라멘트 제조용 마스터배치를 준비하였다. 이를 압출기에 장입하고 1차 압출, 방사, 냉각 및 절단하여 마스터 배치 칩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압출기에서 압출기 지역 끝의 스핀 블록내부에 있는 팩의 샌드는 80메쉬의 샌드메쉬를 2층으로 사용하였다. 구금은 구금홀 직경은 1㎜로 하였으며, 다음의 조건으로 하여 마스터 배치 조성물 1차 압출, 방사, 건조 및 절단하여 마스터 배치 칩을 제조하였다.
칩 제조시 온도: 압출기 지역 180~220℃
냉각챔버(quenching chamber) 온도: 상온 공기중 방사
[표 1]
실시예 2. 광변색 필라멘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명예 1 내지 7 각각의 마스터 배치 칩 20중량%, 폴리프로필렌 칩 75중량%, UV 안정화제 (SUNPRO-KC1, 코오롱사) 5중량%를 배합하여 2차 방사용 배치 조성물을 배합하고 주방사(2차 방사), 냉각, 연신 및 권취하여 광변색 필라멘트를 제조하였다. 주방사시 사용된 압출기 및 압출 및 방사조건은 실시예 1과 같이 하였다.
실시예 3. 광변색성 필라멘트의 일광견뢰도 측정
상기 실시에 2에서 제조된 발명예 1 내지 7의 광변색성 필라멘트의 일광견뢰도 및 세탁견뢰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일광견뢰도는 KSK 0700에 따라 Carbon Arc Fade 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세탁견뢰도는 KSK 0430A-1에 따라 30℃에서의 변퇴색 및 오염으로 평가하였다.
[표 2]
* PET 이염은 폴리에스테르 직물에 대한 이염성이다.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발명예의 광변색 필라멘트는 우수한 일광견뢰도와 세탁견뢰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표 1에서와 같이 자외선에 의한 유색에서 유색으로의 우수한 광변색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4: 팬시사의 제조
150 denier X 2합의 발명예 1의 광변색 필라멘트를 부사로 하고, 아크릴 1/52수 방적사를 사용하여 BOUCLE 사(yarn)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아크릴 방적사 1가닥은 심사로 그리고 다른 한가닥은 바인더(BINDER)사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자수사의 제조
150denier의 발명예 2의 광변색 필라멘트를 2합 복합연사기에서 합사하고 TPM 550으로 연사하여 150 데니어 ×2 합의 자수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제직물의 제조
경사로 150denier의 폴리에스테르(PET) 필라멘트를 그리고 위사로 5%는 폴리 카바링 스판, 20%는 150denier의 선염 PET 필라멘트, 50%는 염색되지 않은 150denier의 PET 필라멘트 그리고 25%는 150denier의 상기 발명예 3의 광변색성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제직하여 제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편직물의 제조
150denier의 PET 필라멘트가 80% 그리고 상기 발명예 4의 광변색 필라멘트가 20%가 되도록 20게이지 환편기에서 싱글조직으로 편직하여 편직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광변색성 필라멘트는 광변색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구성 및 일광견뢰도를 갖는다. 또한, 상기 광변색 필라멘트는 태양광 및 자외선등에 노출시 포토크로믹 현상에 의해 유색에서 다른 유색으로 변색된다. 이를 포함하는 팬시사(의장사), 자수사, 편직물 및 제직물 또한, 상기 특성을 갖는다.

Claims (10)

180~220℃에서 폴리 프로필렌 칩 55-93중량%, 분말 및 캡슐 형태의 광변색성 염료 0.5-5중량%, 산화방지제 1-15 중량%, 광안정화제 5-20중량% 및 불소화합물 0.5-5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스터 배치를 샌드의 평균 입경이 1-200 메쉬이고, 구금 홀의 직경이 0.5㎜이상인 팩을 통해 압출기에서 1차 압출 및 방사하여 마스터 배치칩을 제조하는 단계; 및
180~220℃에서 폴리프로필렌 칩 65-85중량%, 상기 마스터 배치 칩 10-30중량% 및 UV 안정화제 5중량% 배합으로 이루어지는 배치를 샌드의 평균 입경이 1-200 메쉬이고, 구금 홀의 직경이 0.5㎜이상인 팩을 통해 압출기에서 2차 압출 및 방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변색 필라멘트(filament)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및 캡슐 형태의 광변색성 염료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및 화학식 3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최소 하나의 염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는 2층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금홀의 직경은 0.5mm~2mm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청구항 1항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광변색 필라멘트.
청구항 5항의 광변색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팬시사(fancy yar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팬시사는 의장사, 장식사, 합사, 연사, T.T 사, SLUB 사, KNOT 사, BOUCLE 사, TAIL사 또는 TUBE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팬시사.
청구항 5항의 광변색 필라멘트 2가닥이 복합연사기에서 TPM 500-600으로 연사된 150 데니어 × 2합의 자수사.
청구항 5항의 광변색 필라멘트 또는 청구항 6항 또는 7항의 팬시사을 함유하는 제직물.
청구항 5항의 광변색 필라멘트 또는 청구항 6항 또는 7항의 팬시사를 함유하는 편직물.
KR10-2003-0002936A 2003-01-16 2003-01-16 유색에서 유색으로 광변색되는 광변색성 필라멘트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광변색성 필라멘트, 이를이용한 팬시사, 자수사, 제직물 및 편직물 KR100523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936A KR100523597B1 (ko) 2003-01-16 2003-01-16 유색에서 유색으로 광변색되는 광변색성 필라멘트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광변색성 필라멘트, 이를이용한 팬시사, 자수사, 제직물 및 편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2936A KR100523597B1 (ko) 2003-01-16 2003-01-16 유색에서 유색으로 광변색되는 광변색성 필라멘트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광변색성 필라멘트, 이를이용한 팬시사, 자수사, 제직물 및 편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972A KR20030011972A (ko) 2003-02-11
KR100523597B1 true KR100523597B1 (ko) 2005-10-27

Family

ID=2773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936A KR100523597B1 (ko) 2003-01-16 2003-01-16 유색에서 유색으로 광변색되는 광변색성 필라멘트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광변색성 필라멘트, 이를이용한 팬시사, 자수사, 제직물 및 편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5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797B1 (ko) 2006-08-03 2007-08-01 주식회사 아모메디 광변색성 나노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274B1 (ko) * 2006-05-24 2007-01-05 김성호 위조방지용 라벨
CN114232162A (zh) * 2022-01-06 2022-03-25 安徽工程大学 一种可变包缠密度特征的花式包覆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797B1 (ko) 2006-08-03 2007-08-01 주식회사 아모메디 광변색성 나노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972A (ko) 200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7980B1 (en) Fluorescent fibres and their use
JP4704975B2 (ja) 光変色性の繊維構造物
CN102086536A (zh) 夜光锦纶纤维及其制作方法和其编织织物
CN106087172A (zh) 一种免染丝丝棉中强缝纫线的生产方法
KR100523597B1 (ko) 유색에서 유색으로 광변색되는 광변색성 필라멘트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광변색성 필라멘트, 이를이용한 팬시사, 자수사, 제직물 및 편직물
CN113308761A (zh) 一种基于复合纺丝技术的多彩纤维制备方法及其面料
DE60223006T2 (de) Polyphenylensulfid-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0354848B1 (ko) 항균과 방취 기능을 가진 원적외선 방사 원사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의류용 원단
JPH06128807A (ja) 蛍光発色性原着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60678A (ja) 黒原着ポリエステル繊維
JP2016113714A (ja) 仮撚中空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及び織編物
TWI644701B (zh) 防紫外線口罩
TW201922317A (zh) 紫外線變色口罩
KR20160079351A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CN107190378A (zh) 制造可变色纤维的方法
CN108642600B (zh) 一种原液着色荧光防紫外线聚酯纤维及其制备方法
JP2013060677A (ja) 黒原着ポリエステル繊維
KR20180036070A (ko) 폴리에스터 원착사를 사용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
KR102488650B1 (ko) 흑색도가 향상된 중공섬유, 이의 제조용 복합섬유, 이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325481A (ja) 不透明性、紫外線遮蔽性、熱遮蔽性、吸放湿性及び発色性に優れたポリアミド芯鞘複合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カバリング弾性糸、嵩高加工糸
JP4283000B2 (ja) 高輝度夜光性繊維及び高輝度夜光性織編物
CN1190682A (zh) 具夜光、变色效果的人造纤维及其制造方法
JP2015067917A (ja) 光変色性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繊維
JP2002339163A (ja) 耐洗濯性に優れた抗菌性ポリアミド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39942B1 (ko) 광발열 특성 및 염색견뢰도가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심초형 필라멘트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