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585B1 -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585B1
KR100522585B1 KR10-1998-0024983A KR19980024983A KR100522585B1 KR 100522585 B1 KR100522585 B1 KR 100522585B1 KR 19980024983 A KR19980024983 A KR 19980024983A KR 100522585 B1 KR100522585 B1 KR 100522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belt
unit
light
scann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713A (ko
Inventor
박상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24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585B1/ko
Priority to US09/342,183 priority patent/US6211987B1/en
Publication of KR20000003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1/053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main scanning direction, e.g. synchronisation of line start or picture elements in a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13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 H04N1/1135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oscillating or rotating mirrors for the main-scan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6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lements within a head
    • H04N2201/02439Position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using dedicated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4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the sheet support or the photoconductive surface direct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44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the scanned beam or a reference b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58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 H04N2201/04767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by controlling the timing of the signals, e.g. by controlling the frequency o phase of the pixel clock
    • H04N2201/04781Controlling the phase of the signals
    • H04N2201/04786Controlling a start time, e.g. for output of a line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9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using stored control or compensation data, e.g. previously measur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94Varying the control or compensation during the scan, e.g. using continuous feedback or from line to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이 개시된다. 광주사시스템은 순환운동하는 감광벨트의 폭방향인 주주사방향으로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니트와, 감광벨트를 벗어난 위치에서 감광벨트의 가장자리 사이로 입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광검출기와, 광검출기로부터 수광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펄스의 온기간을 카운트하여 주주사방향을 따라 감광벨트가 놓인 위치를 산정하는 벨트위치 연산부와, 감광벨트의 궤도위치에 따라 감광벨트에 설정해놓은 화상정보 기입영역의 선단으로 광을 도달시키기 위해 펄스의 종료시점을 기준으로 광주사유니트로부터의 광출사가 개시되어야 할 시간까지에 해당하는 대기시간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메모리에 억세스하여 벨트위치 연산부로부터 제공되는 감광벨트의 현궤도위치에 대응하는 대기시간정보를 찾아 출력하는 주사시작 대기시간 결정부와, 펄스종료시점으로부터 주사시작 대기시간 결정부로부터 제공되는 대기시간만큼 시간이 흐르면 주사시작신호를 출력하는 주사시작신호 발생부와, 주사시작신호에 동기시켜 비디오데이터에 대응한 광신호가 광주사유니트부터 출사되도록 광주사유니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주사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광주사시스템에 의하면, 감광벨트가 주주사방향을 따라 설정된 궤도위치를 벗어나도, 감광벨트상에 설정해놓은 화상기입영역의 선단에서부터 화상정보가 기입될 수 있어 화상정보 기입오류가 억제된다.

Description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Optical scanning system for printer}
본 발명은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광주사유니트로부터의 이미지주사가 감광벨트의 궤도이탈정도에 관계없이 감광벨트상에 설정된 화상기입영역의 선단에 일치시켜 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쇄기에 채용된 광주사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도 1을 참조하면, 광주사시스템은 광주사유니트(20)와, 광검출기(24) 및 광주사제어부(25)를 구비한다.
광원(21), 회전다면경(22), 렌즈유니트(23)를 구비하는 광주사유니트(20)는 고정된 위치에서 롤러들(11)(12)(13)에 의해 순환운동하는 감광벨트(14)의 폭방향으로 광을 주사한다. 광주사유니트(20)로부터 출사된 광빔들은 주사대상면이 되는 감광벨트(14)상에 스폿으로 열을 지어 맺힌다. 주사대상면에 도달된 광들에 의해 형성된 스폿열을 잇는 라인을 주사라인(L)이라하고, 주사라인(L)상에서 스폿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방향, 즉, 주사라인(L)상에 그려진 화살표방향을 주주사방향이라 한다.
광검출기(24)는 감광벨트(14)를 벗어난 위치에서 감광벨트(14)의 가장자리(14a) 사이로 광주사유니트(2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광주사제어부(25)는 광검출기(24)로부터 수광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펄스를 이용하여 광주사유니트(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광주사시스템은 감광벨트(14)의 중앙부분에 설정해놓은 화상기입영역(D)의 선단(비화상기입영역(N)과 화상기입영역(D)의 경계선에 해당)으로부터 화상정보가 기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작동되었다.
먼저, 일정속도로 회전다면경(22)을 회전시키면서, 광원(21)으로부터 광이 연속적으로 출사되도록 광원(21)을 구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광검출기(24)로부터 수광에 대응되는 펄스가 광주사제어부(25)에 입력된다. 광주사제어부(25)는 수광차단에 대응하는 펄스의 종료 시점(도시된 경우에서는 폴링에지발생시기에 해당함)을 광주사유니트(20)로부터 출사된 광이 감광벨트(14)의 가장자리에 도착한 시점으로 판단하고, 펄스 종료시점으로부터 감광벨트(14)의 중앙부분에 설정해놓은 화상정보 기입영역(D)의 선단으로 광을 도달시키기 위해 광주사유니트(20)로부터의 광출사가 개시되어야 할 시간까지에 해당하는 대기시간동안 광원(21)의 구동을 멈춘다. 그리고 나서, 대기시간이 지나면, 비디오데이터에 대응한 광신호가 출사되도록 광원(21)의 구동을 개시한다.
이러한 구동방법에 있어서, 종래에는 감광벨트(14)가 설정된 정상궤도를 따라 순환운동할 때에 대해 측정하여 구한 하나의 대기시간을 설정해 놓고, 광주사제어부(25)는 광검출기(24)의 펄스 종료시점 이후, 일시적으로 광원(21)의 구동을 중단하고, 설정된 대기시간 이후 비디오데이터에 대응한 광원(21)의 구동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광주사유니트(20)로부터 출사된 광이 주사라인(L)상에서 기준위치(O)로 잡은 광검출기(24)의 수광선단 위치로부터 감광벨트(14)의 가장자리(14a)를 거쳐 이동하는 속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주사라인(L)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스폿이동속도가 다름을 알수 있다. 이러한 스폿이동속도차이는 광원(21)으로부터 주사라인(L)의 각 위치까지의 광경로 차이에 기인한다. 따라서, 감광벨트의 가장자리 위치(F)가 주사라인상에 설정된 기준위치로부터 주사라인(L)방향을 따라 소정폭 이동하는 경우, 감광벨트(14)가 정상궤도를 따라 이동할 때 펄스종료시점으로부터 비디오데이터에 대응한 이미지 주사개시까지의 시간지연에 대해 설정해 놓은 대기시간(정정) 이후 광원(21)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감광벨트(14)의 화상기입영역의 선단을 벗어난 위치로 도달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광주사제어부(25)의 제어에 의한 광주사유니트(20)의 비디오데이터에 대응한 이미지주사 개시방법에 의하면, 정상궤도를 따라 감광벨트(14)가 순환될 때는 감광벨트(14)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진 화상기입영역(D)의 선단에서부터 이미지정보가 감광벨트(14)에 기입되지만, 감광벨트(14)가 주주사방향으로 궤도를 이탈하게 되면, 감광벨트(14)상의 이미지 기입선단위치가 바뀌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감광벨트가 설정된 궤도위치를 벗어나도, 감광벨트상에 설정해놓은 화상기입영역의 선단에서부터 화상정보가 기입될 수 있도록 이미지 주사시기가 제어되는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순환운동하는 감광벨트의 폭방향인 주주사방향으로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니트와, 상기 감광벨트를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감광벨트의 가장자리 사이로 상기 광주사유니트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입사된 광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광검출기를 구비하는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온기간에 해당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주주사방향을 따라 상기 감광벨트가 놓인 위치를 산정하는 벨트위치 연산부와; 상기 감광벨트가 상기 주주사방향을 따라 놓인 위치에 따라 상기 펄스의 종료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감광벨트의 중앙부분에 설정해놓은 화상정보 기입영역의 선단으로 광을 도달시키기 위해 상기 광주사유니트로부터의 광출사가 개시되어야 할 시간까지에 해당하는 대기시간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억세스하여 상기 벨트위치 연산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감광벨트의 현궤도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대기시간정보를 찾아 출력하는 주사시작 대기시간 결정부와; 상기 주사시작 대기시간 결정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대기시간정보에 해당하는 시간을 카운트한 후, 주사시작신호를 출력하는 주사시작신호 발생부와; 상기 주사시작신호에 동기시켜 비디오데이터에 대응한 광신호가 상기 광주사유니트부터 출사되도록 상기 광주사유니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주사제어부;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동일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광주사시스템은 광주사유니트(20)와, 광검출기(24) 및 광주사제어부(30)를 구비한다.
광주사유니트(20)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21)과, 다수의 반사면을 갖고, 회전에 의해 상기 반사면에 광원(21)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소정각도 범위내에서 편향시키는 회전다면경(22) 및 회전다면경(22)으로부터 반사되어 진행되는 광을 주사라인(L)으로 집속시키는 렌즈유니트(23)를 갖는다.
광검출기(24)는 감광벨트(14)를 벗어난 위치에서 감광벨트(14)의 가장자리 사이로 광주사유니트(2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감광벨트(14)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다.
광주사제어부(30)는 벨트위치연산부(31), 주사시작 대기시간 결정부(32), 메모리(33), 주사시작신호 발생부(34), 주사제어부(35)를 갖는다.
벨트위치 연산부(31)는 광검출기(24)로부터 수광에 대응되어 출력되는 펄스 온 기간에 해당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주주사방향을 따라 감광벨트(14)가 현재 놓인 위치 즉, 감광벨트(14)의 가장자리(14a)가 주사라인(L)상에서 놓인 위치를 산정한다. 벨트 위치연산부(31)는 감광벨트(14)가 설정된 정상궤도위치에 놓여 있을 때 광검출기(24)로부터 수광에 대응되어 출력되는 펄스의 폭에 대응하는 시간을 기준시간으로하여, 현재 측정된 펄스의 온기간과 기준시간과의 차이값으로부터 감광벨트(14)가 정상궤도로부터 어느 방향으로 얼마만큼 이동된 위치에 놓여 있는지를 계산한다. 감광벨트(14)의 가장자리(14a)가 현재 놓여 있는 위치(F) 정보는 벨트위치 연산부(31)에서 계산되어 주사시작 대기시간 결정부(32)로 전송된다.
한편, 메모리(33)에는 광검출기(24)의 수광차단에 대응하는 펄스신호 종료시점을 기준으로 얼마의 시간 이후에 광원(21)으로부터의 광출사를 개시하면 감광벨트의 비화상기입영역(N)을 지나 현재의 궤도 위치에 놓여 있는 감광벨트(14)의 화상기입영역(D) 선단으로 광이 정확하게 도달될 수 있는지에 대해 주주사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정한 좌표계에 대해서 감광벨트(14)의 주주사방향에서의 궤도위치별로 측정하여 얻은 대기시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대기시간은 광검출기(24)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의 수광차단에 대응하는 종료시점을 기준으로 기입하고자하는 비디오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주사가 광원(21) 구동에 의해 개시되기까지의 시간에 해당한다. 대기시간 조정데이터 테이블(33a)에는 벨트위치 연산부(31)로부터 제공되는 감광벨트(14)의 궤도위치정보에 따라 각각 적용해야할 대기시간들에 대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감광벨트(14)의 궤도위치값에 따라 조정하여 적용하여야 할 대기시간은 제어대상이 되는 광주사유니트(20)를 구동시켜 주사라인(L)상에 설정해 놓은 기준위치(O)인 광검출기(24)의 수광선단으로부터 주사라인(L)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좌표 위치 마다 광이 도달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각 위치마다 측정된 시간데이터들로부터 감광벨트(14)가 놓일 수 있는 각 경우에 대해서 각각 화상기입영역(D) 선단의 위치에 대응하는 시간데이터와 가장자리(14a) 위치(F)에 대응하는 시간데이터를 차감하여 대기시간을 각각 구하면 된다.
주사시작 대기시간 결정부(32)는 메모리(33)에 억세스하여 벨트위치 연산부(31)로부터 제공되는 감광벨트(14)의 현 궤도위치에 대응하여 적용하여야할(정정) 대기시간을 대기시간 조정데이터 테이블표(33a)로부터 얻어 주사시작 신호 발생부(34)에 제공한다.
주사시작신호 발생부(34)는 광검출기(24)의 수광차단에 대응하는 펄스의 종료시점으로부터 시간 카운트를 시작하여 주사시작 대기시간 결정부(32)로부터 제공되는 대기시간에 도달하면 주사시작신호를 출력한다.
주사제어부(35)는 주사시작신호에 동기시켜 한라인 분량에 해당하는 비디오데이터에 대응한 광신호가 광원(21)으로부터 출사되도록 광원(21)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한라인분량의 비디오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원(21)의 온/오프 제어 이후에 주사제어부(35)는 광검출기(24)로부터 수광에 대응되는 펄스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내부적으로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광원(21)이 온 되도록 구동제어한 이후, 상기 주사시작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상기 광원(21)을 오프 제어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주사시작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주사제어부(35)는 다음 라인의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한 광원(21)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에 의하면, 감광벨트가 주주사방향을 따라 설정된 궤도위치를 벗어나도, 감광벨트상에 설정해놓은 화상기입영역의 선단에서부터 화상정보가 기입될 수 있어 화상정보 기입오류가 억제된다.
도 1은 인쇄기의 종래 광주사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주사시스템의 광주사유니트로부터 출사된 광의 주사대상면에서의 주사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2, 13: 롤러 14: 감광벨트
20: 광주사유니트 21: 광원
22: 회전다면경 23: 렌즈유니트
24: 광검출기 25, 30: 광주사제어부
31: 벨트위치 연산부 32: 주사시작 대기시간 결정부
33: 메모리 34: 주사기작 신호 발생부
35: 주사제어부

Claims (2)

  1. 순환운동하는 감광벨트의 폭방향인 주주사방향으로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니트와, 상기 감광벨트를 벗어난 위치에서 상기 감광벨트의 가장자리 사이로 상기 광주사유니트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입사된 광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광검출기를 구비하는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검출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온기간에 해당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주주사방향을 따라 상기 감광벨트가 놓인 위치를 산정하는 벨트위치 연산부와;
    상기 감광벨트가 상기 주주사방향을 따라 놓인 위치에 따라 상기 펄스의 종료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감광벨트의 중앙부분에 설정해놓은 화상정보 기입영역의 선단으로 광을 도달시키기 위해 상기 광주사유니트로부터의 광출사가 개시되어야 할 시간까지에 해당하는 대기시간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억세스하여 상기 벨트위치 연산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감광벨트의 현궤도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대기시간정보를 찾아 출력하는 주사시작 대기시간 결정부와;
    상기 주사시작 대기시간 결정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대기시간정보에 해당하는 시간을 카운트한 후, 주사시작신호를 출력하는 주사시작신호 발생부와;
    상기 주사시작신호에 동기시켜 비디오데이터에 대응한 광신호가 상기 광주사유니트부터 출사되도록 상기 광주사유니트의 구동을 제어하는 주사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유니트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다수의 반사면을 갖고, 회전에 의해 상기 반사면에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소정각도범위내에서 편향시키는 회전다면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KR10-1998-0024983A 1998-06-29 1998-06-29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KR100522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983A KR100522585B1 (ko) 1998-06-29 1998-06-29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US09/342,183 US6211987B1 (en) 1998-06-29 1999-06-29 Optical scanning techniqu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4983A KR100522585B1 (ko) 1998-06-29 1998-06-29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713A KR20000003713A (ko) 2000-01-25
KR100522585B1 true KR100522585B1 (ko) 2005-11-25

Family

ID=1954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983A KR100522585B1 (ko) 1998-06-29 1998-06-29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211987B1 (ko)
KR (1) KR100522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703B1 (ko) * 1999-07-29 2002-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JP4174420B2 (ja) * 2003-12-15 2008-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偏向器
USD792894S1 (en) 2015-11-24 2017-07-25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7273A (ja) * 1990-07-18 1992-03-11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3317331B2 (ja) * 1996-06-06 2002-08-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ラテンギャップ自動調整装置
KR100219656B1 (ko) * 1997-08-25 1999-09-01 윤종용 인쇄기의 광주사장치 및 이를 적용한 컬러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713A (ko) 2000-01-25
US6211987B1 (en) 2001-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2788B1 (en) Light scanning device, optical device, and scanning method of optical device
KR100346704B1 (ko) 인쇄기
KR100522585B1 (ko)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US7995088B2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0346703B1 (ko) 인쇄기의 광주사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0322586B1 (ko)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JP2002162585A (ja) 光走査光学装置
JP2003270564A (ja) 光走査装置
JP2922564B2 (ja) 光書込み装置の半導体レーザ駆動方法
KR100327238B1 (ko) 인쇄기의 광주사 시스템
KR100243232B1 (ko) 인쇄기의광주사시스템
JP2003191524A (ja) レーザ駆動回路、画像形成装置およびレーザ駆動方法
KR19990081754A (ko) 인쇄기의 광주사 장치
JP2002062495A (ja) 光走査装置
US5483054A (en) Converging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with a single photodetecting element
JP4039611B2 (ja)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258635Y1 (ko) 레이저 프린터의 축소 인쇄 구현장치
JP2002250882A (ja) マルチビーム走査装置
JP2001174727A (ja) 光走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005908B2 (ja) 画素密度可変制御方式
KR100359095B1 (ko) 광주사유니트의주사속도데이터산출장치및인쇄기의광주사시스템
JP2002139686A (ja) 画像形成装置
JPH06175053A (ja) 走査光学系
JPH09226174A (ja) マルチビーム走査装置
JPH06265804A (ja) 光走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