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257B1 - 악기에 장착된 패드 받침의 새로운 구조 - Google Patents

악기에 장착된 패드 받침의 새로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257B1
KR100522257B1 KR10-2003-0003443A KR20030003443A KR100522257B1 KR 100522257 B1 KR100522257 B1 KR 100522257B1 KR 20030003443 A KR20030003443 A KR 20030003443A KR 100522257 B1 KR100522257 B1 KR 100522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ad support
support
rest
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6330A (ko
Inventor
최일
Original Assignee
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일 filed Critical 최일
Priority to KR10-2003-0003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257B1/ko
Publication of KR20030016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기에 쓰이고 있는 패드 받침에 관한 것이다.
악기의 소리구멍 (음공)을 개폐하는 기존의 패드 받침의 방식은 물리적인 충격이 해당부위에 가해질 경우 음공과 패드간의 대향 면에 틈이 벌어져 음공 사이로 바람이 새게 되어 이상 발진 음이 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물리적인 충격이 발생될 경우에, 음공과 패드간의 밀착력을 높이도록 설계된 겹 패드 받침이 어느 정도의 한계 내에서 자동적으로 각을 바로 잡아주어 바람이 새지 않게 설계 되어있다.
즉, 이중의 구조로 설계된 패드 붙임판은 고정 방식인 기존 패드 받침의 내부에, 별도로 각의 조절이 용이한 판을 끼워넣어 패드를 부착시킨 방식이다.
이 발명으로 인하여 연주자는 더욱 심리적으로 안정된 연주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Description

악기에 장착된 패드 받침의 새로운 구조{New type of cover of pad for musical instruments}
본 발명은 악기에 쓰이고 있는 패드 받침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방식은 패드 받침의 내측 평면 공간에 접착제를 발라서 패드를 직접 부착하는 방식이다.기존의 이 방식은 패드 받침의 일방적인 고정각도가 패드에 그대로 전달된다.
만일 패드 받침의 연결 대 혹은 패드 받침 등에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지면 휨이나 비틀림의 현상이 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음공에 대응하는 패드의 대향 각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악기를 계속 사용하는 데서 올 수 있는 패드의 마모에서도 같은 현상이 발생 되며, 특히 악기가 작을수록 패드 받침의 축 과 패드 받침의 거리가 짧은 관계로 수평의 움직임이 한정적 이어서 패드에 편 마모의 현상이 오게 된다.음공을 개폐 시키는 구조를 가진 악기에 있어서 정확한 음정을 내기 위하여는 음공을 닫았을 때 공기가 새지 않아야 하며, 다시 말해서 악기 내부에 물이 있다면 물이 새지 않는 정도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음공을 개폐 시키는 악기의 수리 시, 각각의 악기에 따라서 수리 기구로 여러 가지 방법을 시행하여 패드받침의 각을 수정하고, 거의 수정이 완료 되었을 시점에서는 최종적으로 패드 받침과 패드 사이에 매우 얇은 종이 busing (망치로 타격 된 습자지 종류) 1장을 부채꼴로 오려넣어 패드의 각을 수정하기도 한다.
역으로 설명 한다면 얇은 종이 busing 한 장이 음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며, 기존의 패드 방식을 가진 악기가 이처럼 정밀하고, 오차의 허용범위가 매우 적은 편이다.
본 발명에서는 원심력을 가지고 도는 팽이의 형상을 모방하여, 음공과 패드간의 밀착력을 높이도록 겹 패드받침 (이중구조의 패드받침)의 구조로 설계되어 있고, 이 겹 패드받침이 다소간에 기울어짐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음공에 대향 하는 각을 조절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의 고정 방식 보다는 음공과 패드간의 대향 각의 오차 발생시에 그 오차를 감소 시키는 효과가 있다.
새로 발명된 패드 받침의 상세한 설명
도면 1은 17keys 6brings 방식의 뵘 식 클라리넷 이며, 음공의 개폐 방식을 가지고 있는 악기 중 하나를 참고로 예시 하였다.도면 1의 A와 도면 3의 3-1,2,3은 기존 형태의 패드 개폐방식의 모형 도면이다.이 방식은 패드 받침의 내측 평면 (24)에 접착제를 발라서 패드 (41)를 직접 부착하는 단일 구조의 방식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면 2의 2-1,2와 같이 기존의 단일 구조로 구성된 패드 받침의 내부에 또 하나의 패드 받침이 있는, 즉 겹 패드 받침 (31)의 구조로 되어있고, 겹 패드 받침 (31)이 다소간의 기울어짐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편향적인 압박을 받았을 경우 음공 (51)에 대향하는 각을 조절하게 되어 있다.
겹 패드 받침 (31)은 도면 5의 5-1,2와 같이 원심력이 거의 소멸되어 중심을 잃고 흔들리고 있는 팽이 (101)의 형상적인 특징을 모방한 것으로서, 먼저 겹 패드 받침 (31)의 동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 5에서 팽이 (101)의 모형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 하기로 한다.
도면 5-1,2에서, 좌측 또는 우측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팽이 (101)가 원심력이 거의 떨어 졌을 때의 가상 모형도 이다.
팽이 (101)는 비 확정적 이며 원형을 모방한 궤적 (이하 궤적)을 그리게 된다.
이 움직임의 형상적인 특징은 좌우로의 움직임은 발생되지 않으며, 팽이 (101)의 아래 축의 궤적에 따라 기울어짐, 즉 평면 상에서 볼 때 기울어짐 각만 바뀌게 된다.
실제로 이 부분이 적용되어 설치되는 것을 도면을 통하여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면 2에서 겹 패드 받침 (31)은 원형 판으로 되어있고, 한쪽 면은 패드 (41)를 부착 하도록 평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다른 한쪽 면은 도면 5-1,2와 같이 팽이의 촉 (102)에 해당하는, 겹 패드 받침 축 봉 (31b)을 겹 패드 받침 (31)의 중심부에 반구의 형태로 돌출 시켜 설치 한다.
또한 동일한 면에 겹 패드 받침 (31) 자체의 휨이나 뒤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겹 패드 받침 보강 대 (31a)를 겹 패드 받침 (31)에 설치 한다.
도면 2에서 겹 패드 받침 보강 대 (31a)는 겹 패드 받침의 두께를 작게 하고,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뼈대 역할을 하는 구조물 이며, 겹 패드 받침 (31)의 중심부분은 높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게 세워져 있으며, 도면에는 겹 패드 받침 보강 대 (31a)의 구조물의 수가 8개로 도시 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패드 받침의 크기에 따라 조정 할 수 있다.
겹 패드 받침 (31)의 형태는 팽이 (101)와 유사하지만, 겹 패드 받침 축 봉 (31b)의 움직임이 회전하는 움직임의 경로를 통하여 목적을 달성 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동적인 특성상 원심력과는 무관하게 움직인다.이 부분에 관하여 자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면 3의 3-4,5,6에서 겹 패드 받침 (31)은 패드받침 (21)의 내측 지름보다 작고 겹 패드 받침 (31)이 패드 받침 (21)의 안쪽으로 들어가서 설치된다.
패드 받침의 내부 평면 (24)에 패드 (41)를 부착하지 않고 겹 패드 받침 (31)만을 끼워 넣는다면 패드 받침의 내부 평면 (24)에 파여 진 겹 패드 받침용 나사 홈 (21a)부에 영향을 받지않는 (결속되지 않은) 상태로 끼워진다.
그러므로 패드 받침 (21)에 겹 패드 받침 (31)만을 끼운 상태로 도면 2-1,2와 같이 위치하여 흔들면 겹 패드 받침 (31)은 빠지게 된다.
다시 패드 받침 (21)을 뒤집은 방향, 즉 패드 받침 (21)을 마치 수저를 놓은 방향처럼 하여 내부에 겹 패드 받침 (31)만을 넣고 약간씩 기울이면 겹 패드 받침 축 봉 (31b)이 돌출된 상태 이므로 겹 패드 받침 (31)은 불안정하게 기울어지게 된다.
이것은 마치 그릇 안에 팽이 (101)를 넣고 약간씩 그릇을 약간씩 기울일 때의 움직임과 유사하다.
도면 3의 3-4,5,6에서 겹 패드 받침 (31)의 평평한 면에 패드 (41)가 접착되고, 패드 받침 (21)에 조립되어 운용되는 부분을 몇 가지로 요약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
먼저 악기에서 쓰이고 있는 일반적인 패드 (41)의 재질은 음공 (51)과 패드 (41)사이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다소 탄력성이 있는 소재가 사용된다.
겹 패드 받침 (31)에 패드 (41)를 접착 시킨 후의 패드 (41)의 측부는 접착 시키기 전의 패드 (41)의 측부 보다 탄력성이 떨어져 다소 단단해진다.
이 탄력성은 패드 (41)가 겹 패드 받침용 나사 홈 (21a)부에 끼움 되어 마찰되며 움직이는 것에 연관이 있다.
즉 패드 (41)의 크기가 패드 받침 (21)의 내경보다 지나치게 큰 경우, 패드 (41)의 기울어짐의 움직임이 상당히 둔화되게 되며, 역으로 패드 (41)의 크기가 다소 작은 경우에는, 작은 물리적인 충격이 있을 경우에, 패드 받침 (21)에서 패드 (41)가 쉽게 이탈 될 것이다.
겹 패드 받침용 나사 홈 (21a)부는 패드 (41)가 잘 빠지지 않도록 한 것으로, 나사 결속의 목적이 아니며 요철의 개념이다.
위에서 언급된 것에 따라서 당해 업자가 패드 (41)의 직경을 결정할 때 고려 하여야 할 요소는첫째로 겹 패드 받침 (31)에 패드 (41)를 접착 시킨 후 패드받침 (21)에 끼워 넣어 조립을 하였을 때, 패드 (41)가 쉽게 빠져 나오지 않을 것둘째로 패드 (41)의 가장자리를 눌렀을 때 누르는 방향으로 기울어짐이 발생될 수 있을 정도일 것 등이다.이는 패드 받침 (21)의 크기에 따라 당해 업자가 설계할 기술적 사항이 된다.다시 패드 장착 방식의 악기에 완전히 조립되어 동작되는 과정에 관하여 설명 하기로 한다.도면 4에서 음공 (51)과 패드 (41)간에 대향 면이 정확한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있을 때의 기존 방식과, 겹 패드 받침 (31)방식의 상세 비교 도면이다.도면에서와 같이 기존의 패드 받침 방식은 화살표 방향으로 바람이 새고 있다.겹 패드 받침 (31)방식은 음공 (51)과 겹 패드 받침 (31)사이가 수평을 이루고 있어서 바람이 새지 않고 있다.바른 각으로 수정 해가는 겹 패드 받침 (31)의 움직임의 과정은,1. 패드 받침 (21)을 누른다.2. 겹 패드 받침 (31)에 접착되어 있는 패드 (41)가 음공 (51)과 수평을 이루지 못하므로 음공 (51)의 어느 한 부분에 먼저 닿는다.이때 닿는 음공 (51)의 부위는 패드 (41)의 어느 가장자리 한 부위가 된다.3. 더욱 힘이 가해지면 음공 (51)과 닿아져 있는 패드 (41)의 가장자리 부위가 압박된다.동시에 겹 패드 받침 축 봉 (31b)이 압박이 오는 반대편으로 밀리면서 이동하기 시작한다.동시에 패드 (41)는 음공 (51)과 닿아져 압박을 받는 방향 쪽, 즉 패드 받침의 내측 평면 (24)의 안쪽으로 기울어 진다.4. 패드 (41)는 계속 기울어 지며 음공 (51)과 평형을 이루기 시작한다.5. 패드 (41)의 개폐를 반복하게 되면 패드 (41)와 음공 (51)간의 대향 면이 평형을 이루도록 점차 정밀하게 수정되고, 결국 평형이 이루는 지점에서 움직임을 멈춘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기존의 단일 패드 방식은 패드 (41)와 음공 (51)간에 매우 극심한 정밀도를 요구하며 평형 오차의 허용범위가 매우 작은 편이나, 새로 구성된 겹 패드 받침 (31) 방식은 패드 (41)와 음공 (51)간의 평형 오차의 허용 범위가 다소 넓은 편이다.
위의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 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 업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여러 가지로 변형 실시하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특허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변형실시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위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악기의 기능에 관련하여 악기 본연의 기능개선, 성능향상 등을 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악기에 장착되어 있는 패드를 자주 갈아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 경제적 손실 등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주자가 더욱 안정된 연주를 할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도면1 : 17keys 6brings 방식의 뵘 식 클라리넷의 정면 모형 예시도
도면2 : 겹 패드 받침 (이중 구조를 가진 패드 받침)의 분해도
도면3 : 기존의 방식과, 겹 패드 받침 (이중 구조를 가진 패드 받침) 방식의 조립도
도면4 : 패드 받침이 비 정상 각을 이루고 있을 때, 동일한 조건 하에서 기존의 방식과, 겹 패드 받침 방식이 운용되고있는 개념도
도면5 : 돌고있는 팽이의 가상 모형도
<도면 부호의 설명>
17keys 6brings 방식의 뵘 식 클라리넷에 적용되고 있는 패드 받침의 예 (A), 패드 받침 (21), 겹 패드 받침용 나사 홈 (21a), 패드 받침의 연결 대 (22), 패드 받침의 축 (23), 패드 받침의 내측평면 (24), 겹 패드 받침 (31), 겹 패드 받침 보강 대 (31a), 겹 패드 받침 축봉 (31b), 패드 (41), 음공 (51), 팽이 (101), 팽이의 촉 (102)

Claims (1)

  1. 악기의 개폐방식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패드 받침의 새로 구성된 구조로서,
    a) 패드 받침은 이중의 구조, 즉 기존의 패드 받침과 새로 설계된 겹 패드 받침으로, 별도로 구성 되어있고,
    b) 겹 패드 받침은 원형 판으로 되어있고, 패드 받침의 지름보다 겹 패드받침의 지름이 작아서 겹 패드 받침이 패드 받침의 내부에 들어가서 설치되고,
    c) 겹 패드 받침의 한쪽 면은 패드를 접착하는 부분으로 평평하고,
    d) 겹 패드 받침의 다른 한면은 뼈대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 설치되고,
    e) 겹 패드 받침의 두께를 작게 하기 위하여 뼈대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 겹 패드 받침의 중심부분은 높고 가장자리로 갈수록 낮게 세워지고,
    f) 겹 패드 받침의 뼈대 역할을 하는 구조물의 중심에 반구 형태의 돌출 물이 있고,
    g) 패드 받침의 내부에 패드가 잘 빠지지 않도록 나사 형태의 홈이 파 여져 있는, 악기에 장착된 패드 받침의 새로운 구조.
KR10-2003-0003443A 2003-01-17 2003-01-17 악기에 장착된 패드 받침의 새로운 구조 KR100522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443A KR100522257B1 (ko) 2003-01-17 2003-01-17 악기에 장착된 패드 받침의 새로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443A KR100522257B1 (ko) 2003-01-17 2003-01-17 악기에 장착된 패드 받침의 새로운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293U Division KR200315805Y1 (ko) 2003-01-15 2003-01-15 악기에 장착된 패드 받침의 새로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330A KR20030016330A (ko) 2003-02-26
KR100522257B1 true KR100522257B1 (ko) 2005-10-20

Family

ID=27730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443A KR100522257B1 (ko) 2003-01-17 2003-01-17 악기에 장착된 패드 받침의 새로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2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559A (ja) * 1993-08-16 1995-03-03 Yamaha Corp 木管楽器用タンポ
JPH09305166A (ja) * 1996-05-17 1997-11-28 Miyazawa Furuuto Seizo Kk 管楽器のパッドカップ
KR19980701393A (ko) * 1995-01-13 1998-05-15 리엔크 스메딩 관악기 및 관악기용 밀폐 부재(Wind Instrument and Closure Member for Wind Instrument)
JP2000293165A (ja) * 1999-04-09 2000-10-20 Muramatsu Flute Seisakusho:Kk 木管楽器用パッド及び感触調節法
JP2001134264A (ja) * 1999-11-01 2001-05-18 Yamaha Corp 木管楽器用タンポ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6559A (ja) * 1993-08-16 1995-03-03 Yamaha Corp 木管楽器用タンポ
KR19980701393A (ko) * 1995-01-13 1998-05-15 리엔크 스메딩 관악기 및 관악기용 밀폐 부재(Wind Instrument and Closure Member for Wind Instrument)
JPH09305166A (ja) * 1996-05-17 1997-11-28 Miyazawa Furuuto Seizo Kk 管楽器のパッドカップ
JP2000293165A (ja) * 1999-04-09 2000-10-20 Muramatsu Flute Seisakusho:Kk 木管楽器用パッド及び感触調節法
JP2001134264A (ja) * 1999-11-01 2001-05-18 Yamaha Corp 木管楽器用タンポ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330A (ko) 200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34914C1 (ru) Духовой инструмент и закрыва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духов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US7459621B2 (en) Pad assembly for woodwinds, particularly flutes
MXPA97005212A (en) Wind instrument and closure member for vie instrument
US9123311B2 (en) Adaptable ligature for the mouthpieces of wind instruments
US5417135A (en) Pad assembly, pad cup, and retainer for wind instruments, particularly flutes and clarinets
US7468479B2 (en) Musical instrument pad
JP2005513578A (ja) 単一の音栓リードを有する楽器用のマウスピース組立体
US7498499B2 (en) Viscoelastic polymer damping for percussion instruments
KR100522257B1 (ko) 악기에 장착된 패드 받침의 새로운 구조
TW459215B (en) Tone hole pad for a wind instrument and method of touch feeling therefor
JP2003122347A (ja) 木管楽器用カップパッド
JPH0350278B2 (ko)
JP2001513215A (ja) 楽器のキーレバー
US6265649B1 (en) Wind instrument
JP3972977B2 (ja) 木管楽器用カップパッド
CN210349300U (zh) 一种独立镲帽结构的镲片
JP4000627B2 (ja) 木管楽器用タンポ皿
US20050257663A1 (en) Cymbal muting system
KR102364547B1 (ko) 아코디언의 음향유닛
JPH058635Y2 (ko)
JP3136072U (ja) 管楽器用パッド
KR200315805Y1 (ko) 악기에 장착된 패드 받침의 새로운 구조
WO2023248897A1 (ja) 電子打楽器および打音の減音方法
JP3558262B2 (ja) 鍵盤楽器及び鍵盤楽器の口棒の変形防止方法
JP3203951U (ja) 音楽管楽器のパッドを安定化するディスクの製造過程において用いられるストッパーを備えたカウンターピ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