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178B1 - 광마우스 및 광마우스의 오동작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광마우스 및 광마우스의 오동작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178B1
KR100522178B1 KR10-2002-0045093A KR20020045093A KR100522178B1 KR 100522178 B1 KR100522178 B1 KR 100522178B1 KR 20020045093 A KR20020045093 A KR 20020045093A KR 100522178 B1 KR100522178 B1 KR 100522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optical mouse
state
average valu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310A (ko
Inventor
안정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트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to KR10-2002-0045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178B1/ko
Priority to US10/628,983 priority patent/US7088338B2/en
Priority to TW092120622A priority patent/TWI237207B/zh
Priority to CNB03149868XA priority patent/CN1235127C/zh
Publication of KR20040011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1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픽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시간 축적된 신호들 각각를 픽셀단위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출력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출력 신호들 각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의 출력 신호들을 수신하여 패턴을 만들고, 상기 패턴을 이전에 만들어진 패턴과 비교하여 움직임 값을 계산하는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와, 외부와의 타이밍을 제어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로부터 상직임 값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시스템 컨트롤러와, 상기 A/D 컨버터의 출력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출력 신호들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평균치 계산기와, 상기 평균치 계산기의 평균값을 수신하고, 상기 평균값이 연속적으로 어두운 영역의 표면을 획득했을때의 값을 가지면 픽업 상태라고 판단하고, 픽업상태 신호를 발생시키는 픽업 상태 판별기와,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로부터 움직임 값을 수신하고, 상기 움직임 값을 멀티플렉싱하여 출력하되, 상기 픽업상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움직임 값을 출력하지 않는 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에 의하면, 광마우스가 작업대 표면에서 이격되었을 때, 광마우스 자체의 동작으로 잘못된 움직임 값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형광등 광원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마우스 및 광마우스의 오동작 방지 방법{OPTICAL MOUSE AND METHOD FOR PREVENTING ERRONEOUS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광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마우스가 작업대 표면에서 이격되었을 때, 광마우스가 잘못된 움직임 값을 출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마우스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8)으로부터 나온 광(7)이 작업대 표면(2)에서 반사되고, 그 반사된 광(6)이 렌즈(5)를 통과하여 반도체 칩으로 구성된 이미지 센서(3)에 입력된다. 광마우스(1)는 이미지 센서(3)에 투영된 광의 양을 계산하고, 이미지 센서(3)의 픽셀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패턴을 만들어 저장한다. 그리고, 이전 샘플 기간에 만들어진 패턴과 비교하여 마우스의 움직임을 계산한다. 도 2는 광마우스의 움직임 값을 계산하기 위한 종래 회로의 블록도로서, 수백 개의 픽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시간 축적된 신호를 하나의 픽셀단위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21), 이미지 센서(21)의 출력을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22), A/D 컨버터(22)의 출력을 수신하여 연산하고 광마우스의 움직임 값(V(X,Y))을 계산하는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23), 및 외부와의 타이밍을 제어하고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23)의 출력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시스템 컨트롤러(24)를 구비한다.
광마우스(1)는 광마우스(1)의 바닥이 작업대 표면(2)에 붙어 있어야 작업대 표면의 상의 초점이 이미지 센서(3)에 정확히 맺힌다. 만일, 광마우스(1)의 바닥이 작업대 표면(2)에서 이격되면, 들어오는 광이 렌즈(5)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3)에 맺힐 때, 초점이 맞지 않게 되어 광마우스(1)는 정확한 움직임을 계산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3)에 맺히는 영상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실제로는 마우스의 수평적인 움직임은 없었기 때문에, 컴퓨터 모니터에 나타나는 커서는 움직이지 않고 멈추어 있어야 한다.
기존의 볼마우스의 경우에는 마우스의 볼이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광마우스의 경우에는 들어오는 광량에 의해 마우스의 움직임 값이 계산되기 때문에, 광마우스가 작업대 표면에서 이격되어 있으면 광마우스는 잘못된 움직임 값을 계산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마우스가 작업대 표면에서 이격되었을 때, 광마우스 자체의 동작으로 잘못된 움직임 값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는 복수의 픽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시간 축적된 신호들 각각를 픽셀단위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의 출력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출력 신호들 각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A/D 컨버터의 출력 신호들을 수신하여 패턴을 만들고, 상기 패턴을 이전에 만들어진 패턴과 비교하여 움직임 값을 계산하는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와, 외부와의 타이밍을 제어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로부터 상직임 값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시스템 컨트롤러와, 상기 A/D 컨버터의 출력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출력 신호들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평균치 계산기와, 상기 평균치 계산기의 평균값을 수신하고, 상기 평균값이 연속적으로 어두운 영역의 표면을 획득했을때의 값을 가지면 픽업 상태라고 판단하고, 픽업상태 신호를 발생시키는 픽업 상태 판별기와,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로부터 움직임 값을 수신하고, 상기 움직임 값을 멀티플렉싱하여 출력하되, 상기 픽업상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움직임 값을 출력하지 않는 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의 오동작 방지 방법은 한 샘플 기간 동안의 픽셀 평균치가 연속하여 어두운 영역의 표면을 획득했을때의 값을 가지는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픽셀 평균치가 연속하여 상기 어두운 영역의 표면을 획득했을때의 값을 가지면, 광마우스가 픽업된 상태라고 판단하고, 픽업상태 신호를 발생시켜 움직임 값을 출력하지 않는 제 2 단계와, 한 샘플 기간 동안의 픽셀 평균치가 상기 어두운 영역의 표면을 획득했을때의 값이 아닌 값이 연속하여 들어오는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와, 한 샘플 기간 동안의 픽셀 평균치가 상기 어두운 영역의 표면을 획득했을때의 값이 아닌 값이 계속하여 들어오지 않으면 상기 제 3 단계로 가고, 상기 어두운 영역의 표면을 획득했을때의 값이 아닌 값이 계속하여 들어오면 픽셀 평균치의 출력 패턴이 "형광등 상태"에 해당하는 패턴인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형광등 상태"의 판단결과, "형광등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 마우스가 픽업되었으며 "형광등 상태"에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 2 단계로 가고, "형광등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 1 단계로 가는 제 5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광마우스의 움직임 값을 계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로의 블록도이다.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 마우스는 이미지 센서(41), A/D 컨버터(42),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43), 시스템 컨트롤러(44), 평균치 계산기(45), 픽업 상태 판별기(46), 및 멀티플렉서(47)를 구비한다.이미지 센서(41)는 작업대 표면의 이미지를 포획하여 픽셀 단위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이미지 센서(41)는 복수개의 픽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시간 동안 각 픽셀은 광량을 축적하고, 축적된 광량에 상응하는 전류의 양을 가지는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A/D 컨버터(42)는 이미지 센서(41)로부터 출력되는 복수개의 신호들을 수신하여 복수개의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하고, 이때의 디지털 신호는 각 픽셀의 값을 가진다.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43)는 A/D 컨버터(42)로부터 출력되는 복수개의 디지털 신호들을 수신하고, 각 디지털 신호 즉, 픽셀의 값의 차이를 비교하여 패턴을 만들어 저장하고, 이전 샘플 기간에 만들어진 패턴과 비교하여 광마우스의 움직임 값(V(X,Y))을 계산한다. 이때,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43)의 광마우스의 움직임 값(V(X,Y))을 계산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을 따르도록 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시스템 컨트롤러(44)는 외부와의 타이밍을 제어하고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43)의 출력을 수신하여 출력한다. 평균치 계산기(45)는 A/D 컨버터(42)로부터 출력되는 수수개의 디지털 신호들을 수신하고, 각 디지털 신호 즉, 픽셀의 값을 모두 더하여 평균치를 구한다. 예를 들어, 광마우스가 지지대 표면과 이격되어 있으면, 지지대 표면에서 반사되어 이미지 센서(41)로 유입되는 빛의 양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따라서, A/D 컨버터(42)로 입력되는 전류의 양이 적어지게 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픽셀 값들은 대부분 "0"이 된다. 이 경우, 평균치 계산기(45)에서 한 샘플링 기간 동안 모든 픽셀의 값을 더하여 평균치를 구하면 "0"이 된다. 반면에 광마우스가 지지대의 표면에 놓이게 되면, 한 샘플링 기간 동안의 픽셀 평균치가 "0"이 아닌 값을 갖게 된다. 픽업 상태 판별기(46)는 평균치 계산기(45)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한 샘플링 기간 동안의 픽셀의 평균치가 연속적으로 "0"이 될 때, 광마우스가 지지대의 표면과 이격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픽업상태 신호(SPIC)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픽셀 값은 국내 출원(10-2002-0080814)의 도4 및 도5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는데, 국내 출원(10-2002-0080814)의 도4 및 도5에서는 동일한 노출 시간동안 밝은 표면의 이미지와 어두운 표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경우, 밝은 표면에 대응되는 픽셀의 픽셀은 다량의 광을 축적하게 되고, 어두운 표면에 대응되는 픽셀은 소량의 광만을 축적하게 된다. 이에 밝은 표면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픽셀과 어두운 표면의 이미지에 대응되는 픽셀은 서로 상이한 값을 가지게 됨을 보여준다.이에 국내 출원(10-2002-0080814)의 원리를 본 발명에 적용할 경우에는, 광 마우스가 작업대 표면에서 이격되어, 이미지 센서(41)에 입사되는 광량이 급격하게 감소된다면, 이미지 센서(41), A/D 컨버터(42), 및 평균치 계산기(45)를 통해 획득하게 되는 픽셀들 각각의 값은 "0"의 값이 되고, 이에 따라 한 샘플링 기간 동안의 픽셀 평균치도 "0"의 값이 된다. 이때의 "0"인 픽셀 값은 도 4의 22b와 같이 어두운 영역의 표면을 획득했을때의 픽셀 값을 의미하고, "0"인 픽셀 평균치는 도 4의 22b의 픽셀 값들의 평균치를 의미한다. 도 4의 22b와 같이 어두운 표면에 대응되는 값이다. 멀티플렉서(47)는 픽업상태 신호(SPIC)의 제어하에 시스템 컨트롤러(44)의 출력을 수신하고 멀티플렉싱하여 움직임 값(V(X,Y))을 출력한다. 즉, 픽업상태 신호(SPIC)가 발생되면 멀티플렉서(47)는 광마우스의 움직임 값이 아닌 "0"의 값을 내보내어 광마우스의 움직임이 없는 것처럼 제어한다. 반면에 픽업상태 신호(SPIC)가 발생되지 않으면 광마우스가 지지대의 표면에 놓여있다고 판단하고 시스템 컨트롤러(44)의 출력을 수신하고 멀티플렉싱하여 광마우스의 움직임 값(V(X,Y))을 출력한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마우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광마우스는 작업대 표면의 이미지를 1 초 동안 1500회 이상 샘플링한다. 한 샘플링 기간 동안 작업대 표면의 반사된 광이 이미지 센서에 투영되고, 그 투영된 값을 이용하여 현재의 광마우스의 위치가 계산된다. 이미지 센서(41)는 작업대 표면의 이미지를 포획하여 픽셀 단위로 출력하고, A/D 컨버터(42)는 이미지 센서(41)의 출력을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43)는 A/D 컨버터(42)의 출력을 수신하여 픽셀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패턴을 만들어 저장하고, 이전 샘플 기간에 만들어진 패턴과 비교하여 광마우스의 움직임 값(V(X,Y))을 계산한다.
이때 광마우스가 지지대 표면과 이격되어 있으면, 지지대 표면에서 반사되어 이미지 센서(41)로 유입되는 빛의 양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따라서, A/D 컨버터(42)로 입력되는 전류의 양이 적어지게 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픽셀 값들은 대부분 "0"이 된다. 이 경우, 평균치 계산기(45)에서 한 샘플링 기간 동안 모든 픽셀의 값을 더하여 평균치를 구하면 "0"이 된다. 픽업 상태 판별기(46)는 한 샘플링 기간 동안의 픽셀의 평균치가 연속적으로 "0"이 될 때, 광마우스가 지지대의 표면과 이격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픽업상태 신호(SPIC)를 발생시킨다. 멀티플렉서(47)는 픽업상태 신호(SPIC)의 제어하에 시스템 컨트롤러(44)의 출력을 수신하고 멀티플렉싱하여 픽업상태에 대응되는 움직임 값(V(X,Y))을 출력한다. 즉, 픽업상태에서, 광마우스는 움직임 값으로서 내부에서 계산된 값을 내보내는 것이 아니라 멀티플렉서(47)를 통해 "0"의 값을 내보내어 광마우스의 움직임이 없는 것처럼 제어한다.
반면에 광마우스를 들어서 이동시키고 다시 정상적으로 광마우스를 움직이고 싶을 때, 사용자는 광마우스를 지지대의 표면에 놓게 된다. 지지대의 표면에 놓인 다시 광마우스를 움직이면, 평균치 계산기(45)는 한 샘플링 기간 동안의 픽셀 평균치가 "0"이 아닌 값을 갖게 된다. 이 경우, 픽업 상태 판별기(46)는 평균치 계산기(45)로부터 수신한 픽셀의 평균치가 연속적으로 "0"이 되지 못하여, 광마우스가 지지대의 표면에 놓여 있다고 판단하고, 픽업상태 신호(SPIC)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에 광마우스는 픽업 상태를 빠져 나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고,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43)에서 계산된 움직임 값(V(X,Y))을 외부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샘플링 기간 동안 모든 픽셀에 대한 평균치를 계산함으로써, 광마우스가 지지대의 표면에서 이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 있다. 만일, 광마우스가 표면에서 이격되어 움직이는 경우, 광마우스는 픽업상태를 감지하여 광마우스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움직임 값(V(X,Y))을 "0"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픽업상태에서는 광마우스가 출력하는 움직임 값에 의해 모니터(미도시)에 나타나는 커서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또한 픽업상태일 경우, 광마우스의 광원에서 나오는 광 이외에 외부 광(예를 들면, 형광등 또는 백열등)이 렌즈를 통해 광마우스에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백열등의 경우는 빛이 항상 일정하게 유입되기 때문에 광마우스는 백열등의 위치와 렌즈의 방향에 따라 방향성을 가지고 움직인다. 광마우스에 들어오는 백열등의 광량이 많아지면, 한 샘플링 기간 동안의 픽셀 평균치는 "0"이 아닌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마우스는 픽업상태에서 빠져나와 백열등의 위치를 기준으로 광마우스의 렌즈의 방향이 움직임에 따라 움직임 값을 계산한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가능하고 한 샘플링 기간 동안 픽셀의 평균치는 그리 자주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형광등의 경우는 60 번의 깜박임이 존재한다. 따라서, 초당 1500 번 이상의 샘플링을 하는 광마우스는 이러한 깜박임에 의해 생기는 빛의 양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형광등 불빛의 파형과 샘플링 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등이 초당 60 번 바뀌는(또는 60 번의 깜박이는) 정현파(51)라 가정하면, 광마우스는 초당 1500회의 샘플링(52) 주기마다 다른 양의 광을 받아들이게 되며, 각 샘플마다 바뀌는 광량에 의해 오동작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샘플마다 바뀌는 광량은 초당 60 번 바뀌는(또는 60 번의 깜박이는) 정현파(51)에 의해 일정한 패턴을 가지며 바뀌게 된다. 이에 이 일정한 패턴에 따라 광 마우스에 입사되는 광량이 변경되는 상태를 형광등 상태라 하기로 한다.따라서, 픽업상태에서, 광마우스가 형광등 광에 노출되면 광마우스가 방향성 없이 스스로 움직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움직임은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오동작으로 느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움직임 값을 "0"으로 만들어 모니터상의 커서가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도 4의 경우에서 발생하는 오동작을 방지하는 광 마우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광마우스의 움직임 값을 계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로의 블록도로서, 도 3의 회로에 형광등 상태 판별기(48)를 더 구비하고 있다.
도 5의 회로는 도 3과 동일하게 복수개의 픽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시간 축적된 신호를 하나의 픽셀단위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41), 이미지 센서(41)의 출력을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42), A/D 컨버터(42)의 출력을 수신하여 연산하고 광마우스의 움직임 값(V(X,Y))을 계산하는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43), 외부와의 타이밍을 제어하고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43)의 출력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시스템 컨트롤러(44), A/D 컨버터(42)의 출력을 수신하여 평균값을 계산하는 평균치 계산기(45), 평균치 계산기(45)의 출력을 수신하고 픽업상태 신호(SPIC)를 발생시키는 픽업 상태 판별기(46), 형광등 상태 신호(SFL)의 제어하에 시스템 컨트롤러(44)의 출력을 수신하고 멀티플렉싱하여 움직임 값(V(X,Y))을 출력하는 멀티플렉서(47)를 구비하되, 픽업상태 신호(SPIC)를 수신하고 광마우스가 형광등 상태에 있는지를 판별하여 형광등 상태 신호(SFL)를 발생시키는 형광등 상태 판별기(48)를 더 구비한다.그리고 도 3에서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3과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형광등 상태 판별기(48)는 픽업 상태 판별기(46)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광마우스가 형광등 상태에 있는지를 판별하여 형광등 상태 신호(SFL)를 발생시킨다. 형광등 상태에서의 평균치 계산기(45)와 픽업 상태 판별기(46)는 도 4의 초당 60 번 바뀌는(또는 60 번의 깜박이는) 정현파(51)에 의해 일정한 패턴을 가지며 출력값이 변하게 된다. 이에 형광등 상태 판별기(48)는 픽업 상태 판별기(46)의 출력 신호가 형광등 상태에 해당하는 패턴을 가지며 변하게 되면, 광마우스가 형광등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형광등 상태 신호(SFL)를 발생시킨다.
이하,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마우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 3의 실시예에서와 다른 형광등 상태 판별기(48)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광원 즉, 형광등에 의한 이미지 센서(41)의 출력은 각 샘플링마다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변화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주기적인 변화를 감지하고 이 상태를 "형광등 상태"라 칭한다. 광마우스를 지지대의 표면에서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경우에는, 광마우스의 광원의 광이 상대적으로 강해서 "형광등 상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형광등 상태"는 광마우스를 지지대 표면으로부터 들었을 경우에만 발생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픽업 상태 판별기(46)는 광마우스를 지지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픽업상태 신호(SPIC)를 발생시킨다. 형광등 상태 판별기(48)는 픽업상태 신호(SPIC)를 수신하고, 광마우스가 형광등 상태에 있는지를 판별하여 형광등 상태 신호(SFL)를 발생시킨다. 멀티플렉서(47)는 형광등 상태 신호(SFL)의 제어하에 시스템 컨트롤러(44)의 출력을 수신하고 멀티플렉싱하여 움직임 값(V(X,Y))을 출력한다. 광마우스가 픽업상태로 들어간 후, "형광등 상태"가 감지되면 광마우스는 픽업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즉, 형광등상태에서도, 광마우스는 움직임 값으로서 내부에서 계산된 값을 내보내는 것이 아니라 멀티플렉서(47)를 통해 "0"의 값을 내보내어 광마우스의 움직임이 없는 것처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광마우스를 들어서 이동시킬 경우 형광등 광에 의해 모니터상의 커서가 잘 못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마우스가 픽업상태를 벗어날 때 형광등 상태를 검사하는 형광등 상태 판별기(48)를 더 구비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가 작업대 표면에서 이격되었을 때의 오동작 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정상동작 상태(S1)에서, 광 마우스는 한 샘플 기간 동안의 픽셀 평균치가 "0"인 값이 연속적으로 들어오는지를 판단한다(S2).이때의 정상 동작 상태라 함은 광마우스가 지지대의 표면에 놓여 있을때의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광 마우스의 평균치 계산기(45)는 "0" 이 아닌 값을 가지는 픽셀 평균치를 발생하여 출력하고, 픽업 상태 판별기(46)는 픽업상태 신호(SPIC)를 발생하지 않고, 형광등 상태 판별기(48)는 형광등 상태 신호(SFL)를 발생하지 않고, 멀티플렉서(46)는 시스템 콘트롤러(44)로부터 수신된 움직임 값을 멀티플렉싱하여 출력한다. S2 단계에서, 광 마우스의 픽업 상태 판별기(46)는 픽셀 평균치가 연속적으로 "0"이지 않으면, 정상 동작 상태임을 확인하여 픽업상태 신호(SPIC)를 발생하지 않고, 광 마우스는 이에 따라 다시 정상 동작상태(S1)로 진입한다. 반면에 S2 단계에서, 픽셀 평균치가 연속적으로 "0"이면, 광 마우스가 지지대의 표면에서 이격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픽업 상태 판별기(46)를 통해 픽업상태 신호(SPIC)를 발생하고, 멀티플렉서(46)를 통해 광 마우스의 움직임 값을 "0"으로 만든다. 즉, 움직임 값을 출력하지 않는다(S3). 다음에 한 샘플 기간 동안의 픽셀 평균치가 "0"이 아닌값이 연속적으로 들어오는지를 판단하고(S4), "0"이 아닌 픽셀 평균치가 계속하여 들어오면 픽셀 평균치의 변화 패턴이 "형광등 상태"에 해당하는 패턴인지를 판단한다(S5). S5 단계의 판단 결과, 픽셀 평균치의 변화 패턴이 "형광등 상태"에 해당하지 않으면 다시 정상동작 상태(S1)로 가고, "형광등 상태"에 해당하면 다시 S3 단계로 가서 확인하고 형광등 상태 판별기(48)를 통해 형광등 상태 신호(SFL)를 발생하고, 멀티플렉서(46)를 통해 광 마우스의 움직임 값을 "0"으로 만든다. 즉, 움직임 값을 출력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에 의하면, 광마우스가 작업대 표면에서 이격되었을 때, 광마우스 자체의 동작으로 잘못된 움직임 값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형광등 광원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면, 펜 형태의 입력장치에서 펜이 기입 창의 표면에서 이격되었음을 감지하여 정보의 유효성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마우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광마우스의 움직임 값을 계산하기 위한 종래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광마우스의 움직임 값을 계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형광등 불빛의 파형과 샘플링 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광마우스의 움직임 값을 계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마우스가 작업대 표면에서 이격되었을 때 오동작 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41 : 이미지 센서 22, 42 : A/D 컨버터
23, 43 :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 24, 44 : 시스템 컨트롤러
45 : 평균치 계산기 46 : 픽업상태 판별기
47 : 멀티플렉서 48 : 형광등 상태 판별기

Claims (3)

  1. 복수의 픽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시간 축적된 신호들 각각를 픽셀단위로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출력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출력 신호들 각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상기 A/D 컨버터의 출력 신호들을 수신하여 패턴을 만들고, 상기 패턴을 이전에 만들어진 패턴과 비교하여 움직임 값을 계산하는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
    외부와의 타이밍을 제어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로부터 움직임 값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시스템 컨트롤러;
    상기 A/D 컨버터의 출력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출력 신호들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평균치 계산기;
    상기 평균치 계산기의 평균값을 수신하고, 상기 평균값이 연속적으로 어두운 영역의 표면을 획득했을때의 값을 가지면 픽업 상태라고 판단하고, 픽업상태 신호를 발생시키는 픽업 상태 판별기; 및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로부터 움직임 값을 수신하고, 상기 움직임 값을 멀티플렉싱하여 출력하되, 상기 픽업상태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움직임 값을 출력하지 않는 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마우스는
    상기 픽업 상태 판별기로부터 상기 픽업상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픽업상태 신호의 출력 패턴이 형광등 상태에 해당하는 패턴이면, 형광등 상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멀티플렉서가 상기 움직임 값을 출력하지 않도록 하는 형광등 상태 판별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
  3. 한 샘플 기간 동안의 픽셀 평균치가 연속하여 어두운 영역의 표면을 획득했을때의 값을 가지는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픽셀 평균치가 연속하여 상기 어두운 영역의 표면을 획득했을때의 값을 가지면, 광마우스가 픽업된 상태라고 판단하고, 픽업상태 신호를 발생시켜 움직임 값을 출력하지 않는 제 2 단계;
    한 샘플 기간 동안의 픽셀 평균치가 상기 어두운 영역의 표면을 획득했을때의 값이 아닌 값이 연속하여 들어오는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한 샘플 기간 동안의 픽셀 평균치가 상기 어두운 영역의 표면을 획득했을때의 값이 아닌 값이 계속하여 들어오지 않으면 상기 제 3 단계로 가고, 상기 어두운 영역의 표면을 획득했을때의 값이 아닌 값이 계속하여 들어오면 픽셀 평균치의 출력 패턴이 "형광등 상태"에 해당하는 패턴인지를 판단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형광등 상태"의 판단결과, "형광등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광 마우스가 픽업되었으며 "형광등 상태"에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 2 단계로 가고, "형광등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 1 단계로 가는 제 5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마우스의 오동작 방지 방법.
KR10-2002-0045093A 2002-07-30 2002-07-30 광마우스 및 광마우스의 오동작 방지 방법 KR100522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093A KR100522178B1 (ko) 2002-07-30 2002-07-30 광마우스 및 광마우스의 오동작 방지 방법
US10/628,983 US7088338B2 (en) 2002-07-30 2003-07-28 Optical mouse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erroneous operation thereof
TW092120622A TWI237207B (en) 2002-07-30 2003-07-29 Optical mouse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erroneous operation thereof
CNB03149868XA CN1235127C (zh) 2002-07-30 2003-07-30 光学鼠标及避免其误动作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093A KR100522178B1 (ko) 2002-07-30 2002-07-30 광마우스 및 광마우스의 오동작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310A KR20040011310A (ko) 2004-02-05
KR100522178B1 true KR100522178B1 (ko) 2005-10-18

Family

ID=3682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093A KR100522178B1 (ko) 2002-07-30 2002-07-30 광마우스 및 광마우스의 오동작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88338B2 (ko)
KR (1) KR100522178B1 (ko)
CN (1) CN1235127C (ko)
TW (1) TWI2372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470B1 (ko) * 2002-11-12 2005-06-10 삼성전기주식회사 광 마우스의 이미지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TWM243722U (en) * 2003-09-17 2004-09-11 Behavior Tech Computer Corp Human-machine input device having luminous display
TW200522710A (en) * 2003-12-29 2005-07-01 Pixart Imaging Inc Image navigation chip
KR100620950B1 (ko) * 2004-09-14 2006-09-19 주식회사 애트랩 광 마우스 및 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7849199B2 (en) * 2005-07-14 2010-12-07 Yahoo ! Inc. Content router
EP1809025A3 (en) * 2006-01-17 2007-08-15 STMicroelectronics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Memory enhanced image sensor
US20080084392A1 (en) * 2006-10-04 2008-04-10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Optical Mouse and Method of Use
KR100802653B1 (ko) * 2006-11-28 2008-02-13 주식회사 애트랩 광 위치추적 장치 및 이 장치의 검사 방법
US8890815B2 (en) * 2009-09-30 2014-11-18 Apple Inc. Incorporating chromatic sensors in computer mice
CN102402306B (zh) * 2010-09-13 2014-09-17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鼠标的提起检测方法及具有提起检测的光学鼠标
CN102866810B (zh) * 2011-07-04 2015-08-26 光宝新加坡有限公司 光学导航装置的传感方法
TWI524220B (zh) * 2012-03-01 2016-03-01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位移偵測裝置及其運作方法
US10548490B2 (en) 2012-03-01 2020-02-04 Pixart Imaging Inc. Physiological detec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3309469B (zh) * 2012-03-13 2016-04-27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位移检测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637241B1 (ko) 2015-02-12 2016-07-07 (주)기술과가치 포인팅 디바이스 및 포인터 제어 방법
EP3205702A1 (en) 2016-02-11 2017-08-16 Bp Oil International Limited Fuel compositions with additives
EP3205703A1 (en) 2016-02-11 2017-08-16 Bp Oil International Limited Fuel additiv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7324A (ja) * 1989-03-30 1990-10-18 Nec Corp マウス装置
JPH02266414A (ja) * 1989-04-05 1990-10-31 Nec Corp マウス装置
JPH07230356A (ja) * 1994-02-16 1995-08-29 Kokusai Electric Co Ltd マウス誤移動防止回路
KR20000024146A (ko) * 2000-01-25 2000-05-06 함종훈 펜형 이미지 센서 마우스
KR20010082461A (ko) * 2001-07-23 2001-08-30 양홍영 펜형 광마우스의 구동 방법
KR200285490Y1 (ko) * 2002-05-06 2002-08-13 스텝시스템주식회사 펜 마우스용 동축 조명 광센서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4407B1 (en) * 1998-03-09 2002-07-23 Otm Technologies Ltd. Optical translation measurement
US5994710A (en) * 1998-04-30 1999-11-30 Hewlett-Packard Company Scanning mouse for a computer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7324A (ja) * 1989-03-30 1990-10-18 Nec Corp マウス装置
JPH02266414A (ja) * 1989-04-05 1990-10-31 Nec Corp マウス装置
JPH07230356A (ja) * 1994-02-16 1995-08-29 Kokusai Electric Co Ltd マウス誤移動防止回路
KR20000024146A (ko) * 2000-01-25 2000-05-06 함종훈 펜형 이미지 센서 마우스
KR20010082461A (ko) * 2001-07-23 2001-08-30 양홍영 펜형 광마우스의 구동 방법
KR200285490Y1 (ko) * 2002-05-06 2002-08-13 스텝시스템주식회사 펜 마우스용 동축 조명 광센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21637A1 (en) 2004-02-05
CN1235127C (zh) 2006-01-04
KR20040011310A (ko) 2004-02-05
US7088338B2 (en) 2006-08-08
TWI237207B (en) 2005-08-01
CN1477592A (zh) 2004-02-25
TW200402003A (en) 200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178B1 (ko) 광마우스 및 광마우스의 오동작 방지 방법
KR101097572B1 (ko)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네비게이션 센서
US8212794B2 (en) Optical finger navigation utilizing quantized movement information
US8188986B2 (en) User input device with dynamic ambient light calibration
CN100557555C (zh) 具有条形码阅读功能的光学鼠标
US6229601B1 (en) Coordinate input apparatus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928626B2 (en) Optical navigation system with object detection
US6900791B2 (en) Coordinate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JP2000347797A (ja) 座標入力装置及び方法
US80229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jitter during an optical navigation operation
US20090123142A1 (en) Method for measuring subject distance
JPH1096605A (ja) 画像処理による位置計測方法および装置
JP2008135824A (ja) 位相調整装置、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位相調整方法
US7230606B2 (en) Optical mouse and method for preventing abnormal operation of the same
US2006005566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employed by a computer pointing peripheral and computer pointing peripheral
JP2011138503A (ja) 物体検出装置
TW201140400A (en) Scanning method for determining the touch position of touch input apparatus
US201002897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light source drive current during optical navigation operation
US6847353B1 (en) Multiple sensor device and method
US6625398B1 (en) Camera with a multi-point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US20090015554A1 (en) System, control module,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computer with optical tracking of an optical pointer
KR100642499B1 (ko) 광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180373352A1 (en) Navagation device with fast frame rate upshif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7567341B2 (en) Optical navigation device adapted for navigation on a transparent structure
JP2001290582A (ja) 座標入力装置、座標入力方法、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