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165B1 - 압축기의 흡입구와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의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흡입구와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의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165B1
KR100522165B1 KR10-2003-0008766A KR20030008766A KR100522165B1 KR 100522165 B1 KR100522165 B1 KR 100522165B1 KR 20030008766 A KR20030008766 A KR 20030008766A KR 100522165 B1 KR100522165 B1 KR 100522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refrigerant discharge
welding
compressor
accu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2323A (ko
Inventor
고기목
Original Assignee
고기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기목 filed Critical 고기목
Priority to KR10-2003-0008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165B1/ko
Publication of KR20040072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1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3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의 흡입구와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보다 간단한 작업공수를 통하여 간편하면서 긴밀하게 연결 고정시킴과 아울러 어큐뮤레이터의 제조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큐뮤레이터의 제작시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부에 형성된 축관부로 끝단부에 일측이 좁고 타측이 호형태로 넓게 형성된 용접와셔가 용접되는 철재로 제작된 냉매배출관을 용접하여 고정하는 냉매배출관 형성단계와;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로 그와 대응되도록 내부에 인너튜브가 형성되고 끝단으로 상기 용접와셔와 대응되는 용접림부가 형성되도록 연결관을 철재로 제작하여 그 일단부를 삽입시키는 연결관 삽입단계와; 상기 연결관 삽입단계 후 그 삽입된 연결관의 타단부로 상기 냉매배출관의 끝단을 삽입하여 그 연결관의 용접림부로 상기 냉매배출관의 용접와셔를 밀착하면서 그 밀착부분을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 측의 본체에 상기 용접림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용접부와 용접하여 고정하는 냉매배출관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구와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축기의 흡입구와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의 연결방법{Mathod of connecting for an enjecting refrigerants-pipe of accumulator and an intake of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의 흡입구와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보다 간단한 작업공수를 통하여 간편하면서 긴밀하게 연결 고정시킴과 아울러 어큐뮤레이터의 제조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압축기의 흡입구와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의 흡입구 측에는 냉매가스 중에 기화되지 않은 냉매를 걸러 줌과 동시에 그 기화되지 않은 냉매를 기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여러 형태의 공지된 어큐뮤레이터가 장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어큐뮤레이터의 장착시 그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연결시키는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는 먼저, 어큐뮤레이터의 제작시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부에 형성된 축관부로 동재질의 냉매배출관 일단을 삽입하여 브레이징 가공에 의해 용접하는 냉매배출관 형성공정과, 상기 냉매배출관 형성공정 후 상기 압축기 본체에 형성되는 흡입구 측에 그와 대응되도록 내부로 압착실 내주면과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인너튜브가 형성된 연결관을 통상적인 방식인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연결관 고정공정과, 상기 연결관 고정공정 후 상기 냉매배출관의 타단을 상기 연결관에 삽입하여 흡입구 측의 압축기 본체와 용접하는 냉매배출관 고정공정을 통하여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어뮤큐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고정하였다.
상기에서, 어큐뮤레이터의 하우징 축관부에 형성되는 냉매배출관을 동재질로 사용하는 것은 상기 연결관과 이종의 재질인 철로 형성되어 있어,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는 과정에서 용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냉매배출관 전체를 동재질로 사용함에 따라 용접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상기 압축기 본체의 흡입구 측으로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 연결작업에 따른 어큐뮤레이터의 제조원가가 상당히 상승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압축기 본체의 흡입구 측으로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연결하기 위한 작업공정이 분할된 여러 용접공정을 통하여, 즉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연결관을 먼저 용접하여 고정한 후 그 연결관으로 다시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삽입시킨 다음 용접하여 고정하므로서, 작업 상에 상당히 번거러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용접되는 연결관은 철재이고, 상기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은 원활한 용접을 위해 동재질로 형성하므로서, 용접시 상호 다른 이종의 금속재질의 특성상 용융점이 상이하여 많은 기포가 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정밀용접이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그에 따라 상당히 높은 불량발생율이 초래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한번의 용접작업을 통하여 보다 간단한 작업공수로서 간편하면서 긴밀하게 연결 고정시킴과 아울러 어큐뮤레이터의 제조원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연결관의 삽입에 따른 압축실의 내측면으로 보다 긴밀한 밀착력을 갖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매배출관을 압축기의 흡입구로 용접에 의한 결합 고정시 더욱더 긴밀한 기밀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큐뮤레이터의 제작시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부에 형성된 축관부로 끝단부에 일측이 좁고 타측이 호형태로 넓게 형성된 용접와셔가 용접되게 철재로 제작되는 냉매배출관을 용접하여 고정하는 냉매배출관 형성단계와;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로 그와 대응되도록 내부에 인너튜브가 형성되고 끝단으로 상기 용접와셔와 대응되는 용접림부가 형성되도록 연결관을 철재로 제작하여 그 일단부를 삽입시키는 연결관 삽입단계와; 상기 연결관 삽입단계 후 그 삽입된 연결관의 타단부로 상기 냉매배출관의 끝단을 삽입하여 그 연결관의 용접림부로 상기 냉매배출관의 용접와셔를 밀착하면서 그 밀착부분을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 측의 본체에 상기 용접림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용접부와 용접하여 고정하는 냉매배출관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관을 제1,2 연결관으로 분할 형성하여 일측 일단을 삽입하여 브레이징 가공 용접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큐뮤레이터의 제작시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부에 형성된 축관부로 끝단부에 인너튜브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철재로 제작된 냉매배출관을 용접하여 고정하는 냉매배출관 형성단계와; 상기 냉매배출관 형성단계 후 그 냉매배출관의 외측면에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와 대응되는 기밀부재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기밀부재 고정단계와;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에 그와 대응되도록 철재로 제작된 연결관의 일단을 삽입시키는 연결관 삽입단계와; 상기 연결관 삽입단계 후 그 연결관으로 상기 냉매배출관의 끝단을 삽입하여 밀착하면서 그에 형성된 기밀부재를 상기 흡입구 측의 압축기 본체와 용접하여 고정하는 냉매배출관 고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단계별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 본체의 흡입구 측으로 냉매가스 중에 기화되지 않은 냉매를 걸러 줌과 동시에 그 기화되지 않은 냉매를 기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
본 발명은 상기 어큐뮤레이터의 제작시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부에 형성된 축관부로 끝단부에 일측이 좁고 타측이 호형태로 넓게 형성된 용접와셔가 공지의 브레이징 가공에 의해 용접되게 철재로 제작된 냉매배출관을 공지의 브레이징 가공 용접하여 고정하는 냉매배출관 형성단계(S1)와;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로 그와 대응되도록 내부에 삽입되어 압축실과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통상의 인너튜브가 형성되고 끝단으로 상기 용접와셔와 대응되는 용접림부가 형성되도록 연결관을 철재로 제작하여 그 일단부를 삽입시키는 연결관 삽입단계(S2)와;
상기 연결관 삽입단계 후 그 삽입된 연결관의 타단부로 상기 냉매배출관의 끝단을 삽입하여 그 연결관의 용접림부로 상기 냉매배출관의 용접와셔를 밀착하면서 그 밀착부분을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 측의 본체에 상기 용접림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용접부와 일반적인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냉매배출관 고정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압축기의 흡입구 측의 용접부로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흡입구에 삽입되는 연결관의 용접림부와 그에 삽입되는 냉매배출관의 용접와셔를 흡입구 측의 압축기 본체와 한번의 용접작업을 통하여 고정시키므로서, 작업공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질 뿐만 아니라 기밀성이 뛰어나면서 보다 큰 고정력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구와 냉매배출관을 동종의 철재로 제작함에 따라 어큐뮤레이터 제작에 따른 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용접에 따른 기밀성을 유지하여 정밀한 용접작업이 이루어져 불량발생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갖는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냉매배출관 형성단계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큐뮤레이터(200)의 제작시 하우징(202)의 내부로부터 하부에 형성된 축관부(204)로 끝단부에 일측이 좁고 타측이 호형태로 넓게 형성된 용접와셔(12)가 일반적인 브레이징 가공에 의해 용접되게 철재로 제작된 냉매배출관(10)을 공지의 브레이징 가공 용접하여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냉매배출관을 종래와 같이 가격이 비싼 동재가 아닌 철재로 제작함에 따라 어큐뮤레이터 제작에 따른 원가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연결관 삽입단계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압축기(100)의 흡입구(120)로 그와 대응되도록 내부에 삽입되어 압축실의 내측면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통상의 인너튜브(25)가 형성되고 끝단으로 상기 용접와셔와 대응되는 용접림부(22)가 형성되도록 연결관(20)을 철재로 제작한 후, 그 일단부를 흡입구 측으로 삽입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종래와 같이 압축기의 흡입구와 연결관을 용접하여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상기한 본 발명의 연결관을 흡입구 측으로 삽입시켜 놓는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냉매배출관 고정단계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도 3의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100)의 흡입구(120)에 삽입된 연결관(20)의 타단부로 상기 어큐뮤레이터(200)의 냉매배출관(10)의 끝단을 삽입하여 그 연결관(20)의 용접림부(22)로 상기 냉매배출관(10)의 용접와셔(12)를 밀착하면서 그 밀착부분을 상기 압축기(100)의 흡입구(120) 측의 본체(110)에 상기 용접림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용접부(20a)와 일반적인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여러 번의 용접공정이 아닌 한번의 용접공정을 통하여 간편하면서 보다 높은 기밀성을 갖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연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상기한 연결관(20)을 제1,2 연결관(20a)(20b)으로 분할 형성하여, 이종 재질인 동과 철재로, 즉 인너튜브가 내장되는 측을 동재로 제작된 제1 연결관으로 형성하고 그에 철재로 제작된 제2 연결관의 일측 일단을 삽입하여 공지의 브레이징 가공 용접하여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연결관을 분할하여 이종의 재질로 형성한 것은, 압축기의 압축실 내측면으로 연결관의 일단을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인너튜브로 인해 제1 연결관이 보다 긴밀한 밀착력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인너튜브가 내장된 제1 연결관이 압축실로 삽입된 후 그 인너튜브에 의해 더욱더 긴밀한 밀착력으로 밀착되어져 어큐뮤레이터를 거친 냉매가스가 그 용접 고정된 부분에서 누출됨 없이 원활하게 공급되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 본체의 흡입구 측으로 냉매가스 중에 기화되지 않은 냉매를 걸러 줌과 동시에 그 기화되지 않은 냉매를 기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
본 발명은 상기 어큐뮤레이터의 제작시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부에 형성된 축관부로 끝단부에 인너튜브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철재로 제작된 냉매배출관을 일반적인 브레이징 가공 용접하여 고정하는 냉매배출관 형성단계(T1)와;
상기 냉매배출관 고정단계 후 그 냉매배출관의 외측면에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와 대응되는 접시와셔와 같은 철재의 기밀부재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기밀부재 고정단계(T2)와;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에 그와 대응되도록 철재로 제작된 연결관의 일단을 삽입시키는 연결관 삽입단계(T3)와;
상기 연결관 삽입단계 후 그 연결관으로 상기 냉매배출관의 끝단을 삽입하여 밀착하면서 그에 형성된 기밀부재를 상기 흡입구 측의 압축기 본체와 일반적인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냉매배출관 고정단계(T4)로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도 전술한 방법과 같이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한번의 용접공정을 통하여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짐은 물론 동종의 재질로 용접됨에 따라 보다 정밀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용접에 따른 냉매배출관으로 형성된 기밀부재에 의해 그 용접부분이 더욱더 높은 기밀성을 가지게 되므로서, 보다 큰 고정력을 가지면서 공급되는 냉매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냉매배출관 형성단계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큐뮤레이터(200)의 제작시 하우징(202)의 내부로부터 하부에 형성된 축관부(204)로 끝단에 후술하는 연결관의 일단을 압축실의 내측면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인너튜브부(3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철재로 제작된 냉매배출관(30)을 일반적인 브레이징 가공 용접하여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종래 연결관의 내부로 인너튜브를 형성시키는 공정을 삭제함은 물론 냉매배출관을 철재로 제작함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어큐뮤레이터 제작에 따른 원가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기밀부재 고정단계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큐뮤레이터의 하우징 하부에 형성된 축관부로 냉매배출관이 고정되어 지면 그 냉매배출관(30)의 외측면에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와 대응되는 접시와셔와 같은 철재의 기밀부재(40)를 일반적인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냉매배출관으로 형성되는 기밀부재는 압축기의 흡입구와 용접시에 보다 큰 기밀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9는 도 6에 따른 연결관 삽입단계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100)의 흡입구(120)에 그와 대응되도록 철재로 제작된 연결관(50)의 일단을 삽입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종래와 같이 압축기의 흡입구로 삽입하여 용접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단지 연결관을 흡입구 측으로 삽입시킨 상태인 것이다.
도 10은 도 6에 따른 냉매배출관 고정단계를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00)의 흡입구(120) 측에 상기 연결관(50)을 삽입한 상태에서 그 연결관으로 상기 냉매배출관(30)의 끝단을 삽입하여 밀착하면서 그에 형성된 기밀부재(40)를 상기 흡입구 측의 압축기 본체(110)와 일반적인 용접에 의해 고정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냉매배출관의 끝단에 형성된 인너튜브부에 의해 상기 흡입구에 삽입된 연결관의 일단을 압축실의 내측면으로 밀착시킴과 동시에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한번의 용접작업을 통하여 긴밀하면서 보다 큰 고정력을 가지도록 고정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의 고정작업이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높은 기밀성을 갖도록 고정되어 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비용이 저렴한 철재로 제작함과 아울러 용접되는 부분이 동종의 재질로 인한 정밀한 용접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한번의 용접작업에 의해 보다 간단하면서 편리하고 긴밀하게 연결 고정시켜 기밀성을 극대화 함과 아울러 그에 따른 어큐뮤레이터의 제조 원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압축기의 흡입구로 삽입되는 연결관을 분할 형성하고, 그 각 연결관을 이종의 재질로 형성하므로서, 상기 연결관의 일측이 인너튜브에 의해 압축실 내측면으로 보다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으로 기밀부재를 형성하여 용접 고정하므로서, 냉매배출관을 압축기의 흡입구로 용접에 의한 결합 고정시 더욱더 긴밀한 기밀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단계별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냉매배출관 형성단계를 나타낸 요부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연결관 삽입단계를 나타낸 요부도.
도 4는 도 1에 따른 냉매배출관 고정단계를 나타낸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 연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블럭도.
도 7은 도 6에 따른 냉매배출관 형성단계를 나타낸 요부도.
도 8은 도 6에 따른 기밀부재 고정단계를 나타낸 요부도.
도 9는 도 6에 따른 연결관 삽입단계를 나타낸 요부도.
도 10은 도 6에 따른 냉매배출관 고정단계를 나타낸 요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0 : 냉매배출관
12 : 용접와셔
20,50 : 연결관
20a : 제1 연결관 20b : 제2 연결관
22 : 용접림부 25 : 인너튜브
32 : 인너튜브부
100 : 압축기
110 : 본체 120 : 흡입구
120a : 용접부
200 : 어큐뮤레이터
202 : 하우징 204 : 하부 축관부

Claims (3)

  1.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큐뮤레이터의 제작시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부에 형성된 축관부로 끝단부에 일측이 좁고 타측이 호형태로 넓게 형성된 용접와셔가 용접되는 철재로 제작된 냉매배출관을 용접하여 고정하는 냉매배출관 형성단계(S1)와;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로 그와 대응되도록 내부에 인너튜브가 형성되고 끝단으로 상기 용접와셔와 대응되는 용접림부가 형성되도록 연결관을 철재로 제작하여 그 일단부를 삽입시키는 연결관 삽입단계(S2)와;
    상기 연결관 삽입단계 후 그 삽입된 연결관의 타단부로 상기 냉매배출관의 끝단을 삽입하여 그 연결관의 용접림부로 상기 냉매배출관의 용접와셔를 밀착하면서 그 밀착부분을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 측의 본체에 상기 용접림부와 대응되게 형성된 용접부와 용접하여 고정하는 냉매배출관 고정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구와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의 연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0)을 제1,2 연결관(20a)(20b)으로 분할 형성하여 일측 일단을 삽입하여 브레이징 가공 용접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구와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의 연결방법.
  3. 압축기의 흡입구 측으로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을 연결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큐뮤레이터의 제작시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부에 형성된 축관부로 끝단부에 인너튜브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철재로 제작된 냉매배출관을 용접하여 고정하는 냉매배출관 형성단계(T1)와;
    상기 냉매배출관 형성단계 후 그 냉매배출관의 외측면에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와 대응되는 기밀부재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기밀부재 고정단계(T2)와;
    상기 압축기의 흡입구에 그와 대응되도록 철재로 제작된 연결관의 일단을 삽입시키는 연결관 삽입단계(T3)와;
    상기 연결관 삽입단계 후 그 연결관으로 상기 냉매배출관의 끝단을 삽입하여 밀착하면서 그에 형성된 기밀부재를 상기 흡입구 측의 압축기 본체와 용접하여 고정하는 냉매배출관 고정단계(T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구와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의 연결방법.
KR10-2003-0008766A 2003-02-12 2003-02-12 압축기의 흡입구와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의 연결방법 KR100522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766A KR100522165B1 (ko) 2003-02-12 2003-02-12 압축기의 흡입구와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의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766A KR100522165B1 (ko) 2003-02-12 2003-02-12 압축기의 흡입구와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의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323A KR20040072323A (ko) 2004-08-18
KR100522165B1 true KR100522165B1 (ko) 2005-10-18

Family

ID=3735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766A KR100522165B1 (ko) 2003-02-12 2003-02-12 압축기의 흡입구와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의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1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323A (ko)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62631B (zh) 储液器与压缩机的组装方法
CN102966516B (zh) 用于压缩机储液器的连接结构
JPH0533771A (ja) 圧縮機及びその製造方法
CN1326542A (zh) 热交换器所用的挡板及其安装方法
CN102962632B (zh) 压缩机进气管与压缩机的连接方法
CN107387374B (zh) 压缩机及压缩机的吸气管组安装方法
JPH1113671A (ja) 密閉型圧縮機
US5183400A (en) Pipe connection structure of a compressor
KR100522165B1 (ko) 압축기의 흡입구와 어큐뮤레이터의 냉매배출관의 연결방법
JP2006342676A (ja) 密閉型圧縮機
WO2023093653A1 (zh) 储液器及空调系统
JPH11182434A (ja) 冷媒圧縮機
JP2001349277A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の真空室形成方法
CN204783692U (zh) 压缩机组件
JP6168083B2 (ja) 圧縮機
CN103089629B (zh) 压缩机
JP4356568B2 (ja) 密閉型圧縮機
KR20160005446A (ko) 냉장고용 증발기와 캐피러리 튜브 및 석션 파이프의 결합구조 및 그 결합 방법
US6991264B2 (en) Compressor and method of connecting pipe to the same
JPH02301681A (ja) 圧縮機の製造方法
CN221008594U (zh) 一种消音器组件
KR20030075056A (ko) 냉매관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및 그 접합방법
KR20040078838A (ko)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EP3147507A1 (en) Rotary compressor for a heat pump
JP2002317767A (ja) 密閉型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