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111B1 -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 - Google Patents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111B1
KR100522111B1 KR10-2001-0083607A KR20010083607A KR100522111B1 KR 100522111 B1 KR100522111 B1 KR 100522111B1 KR 20010083607 A KR20010083607 A KR 20010083607A KR 100522111 B1 KR100522111 B1 KR 100522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tip
coil
rolls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3660A (ko
Inventor
이정인
이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3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111B1/ko
Publication of KR20030053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33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guiding the leading end of the material, e.g. from or to a c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16Unwinding or uncoiling
    • B21C47/18Unwinding or uncoiling from reel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08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terial
    • B21C47/3425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lateral position of the material without lateral edge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강판 코일이 언코일링 유니트(6)로 진입시 선단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강판 선단부(5)에 굴곡을 형성시키는 벤딩장치로서, 상기 언코일링 유니트(6) 전단의 코일카(3)로 강판 코일을 이송시키는 컨베어(1)의 양측에 설치되고, 구동 모터(44,58)로 구동되어 안착된 강판 코일을 회전시키며, 구동 실린더(50,64)에 의해 좌우로 구동되는 크래들 롤(41,55)과; 구동 실린더(79,84)에 의해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크레들 롤(41,55)에 안착된 강판 코일 외권부에 밀착되는 좌우측 고정판(75,76)이 양단을 지지하고, 고정판(75,76) 내측에 설치된 구동 실린더(77)에 의해 하단 오프너(74)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나이프(111) 및 보조 나이프(112)가 작동되어, 상기 크래들 롤(41,55)에 의해 회전되는 강판 선단부가 사이 공간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더블타입 오프너(73,74)와; 상기 좌우측 고정판(75,76) 사이에 설치된 테이블(121)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아이들 롤(125,126)과 가이드 롤(127,128)을 양측에 구비하며, 하단의 구동 실린더(131)에 의해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강판 코일 외권부에 밀착되는 사각 케이스(129)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강판 코일의 선단부를 감지하는 선단부 감지기(124)와; 상기 더블타입 오프너(73,74) 후단의 테이블(161)을 따라 인입된 강판 선단부(5)를 전단하되, 구동 실린더(163)에 의해 오픈 또는 클로즈 되어 선단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게이트(162)가 전단에 구비되고, 선단부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기(165)가 구비된 전단기(168)와; 상기 테이블(161)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되감기는 강판 선단부 측면 에지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크래들 롤(41,55) 구동 실린더(50,64)의 좌우 구동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수광기(170) 및 투광기(17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강판 선단부가 언코일링 유니트에 진입할 때에 안정적인 진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며, 불량 선단부를 사전에 전단 제거하여 설비 트러블을 방지하고, 입측 용접 시간을 단축시켜, 설비 효율성과 품질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COIL EDGE BE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연도금처리 작업 등의 전 공정으로서 코일 대형화를 위한 용접 준비를 위하여 강판 선단부가 언코일링 유니트에 진입할 때에, 안정적인 진입이 이뤄질 수 있도록 강판 선단부에 굴곡부를 형성시켜 선단부 이탈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불량 선단부를 사전에 전단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강판 코일 이송 공정도, 도 2는 일반적인 언코일링 유니트의 단면 구성도이다.
일반적으로 열연 핫코일(HOT COIL)은 입측 설비에서 코일의 대형화 및 연속작업 가능화를 위하여 선행 코일과 후행 코일의 용접작업이 이뤄지게 되는데, 용접 후 산세조의 염산에 의해 스트립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된 후, 수요가 주문 폭에 맞게 스트립의 양 에지 부위가 사이드 트리머에 의해 절단되고, 가열로를 통과하면서 환원성 분위기로 표면이 전환되어 도금작업이 가능한 온도로 가열되게 된다.
그 후, 아연욕조(ZINC POT)를 통과하면서 도금처리되고, 용융된 아연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해 공기나이프에 의해 도금량을 맞추고, 최종적으로 스트립의 내식성 향상을 위하여 크롬 코팅작업과 오일링 작업이 실시된 후, 권취 설비에 의해 권취 및 전단작업이 이루어져 완제품이 생산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과정에 있어서, 열연공정에서 공급되는 강판의 권취(도면상으로 시계방향 권취)가 장력을 이용하여 타이트하게 행해져 있는 관계로, 다음 단의 용접준비를 위해 강판 선단부(5)를 언코일링 유니트(6)의 가이드(18)로 진입시켜야 하나 강판 선단부(5)가 가이드(18) 하부로 이탈되어, 조치시간 과다로 용접작업이 지연되는 등 생산라인 트러블의 원인이 되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작업방법을 보면, 열연 소재를 크레인이 컨베어(1) 상에 공급하면, 컨베어(1)가 이동하여 평량(미도시) 및 강판 외피 결속 밴드의 제거가 행해지고 코일카(3) 상으로 이송되어진다.
코일카(3)는 이송된 강판(4)을 다음 용접작업을 위한 준비 단계인 언코일링 유니트(6)로 이동시키는데, 상부의 구동 실린더(11)에 의해 핀치롤(16)이 강판 외측에 클로즈(CLOSE)되면, 강판 선단부(5)를 코일카(3)상의 크래들 롤(2)에 의해 언코일링 유니트(6)의 가이드(18)로 진입시켜 대기 상태(도 1의 a)로 만든다.
그 후, 후방의 페이 오프 릴(7)에서 선행 강판이 다 풀리면 페이 오프 릴(7)은 후진하여 대기하고 선행 강판의 후단부는 용접기 상에서 용접 대기하는 동시에, 언코일링 유니트(6)에 대기중인 코일카(도 1의 b)는 코일카(3) 상의 크래들 롤(2)을 이용하여 강판 선단부(5)를 핀치 롤(8)까지 전진시킨다.
이때 가이드(18)는 구동모터(17)와 스크류(19)에 의해 오픈되고, 코일카(3)가 페이 오프 릴(7) 위치까지 전진하면 페이 오프 릴(7)은 전진되어 강판 내경부로 인입된다.(도 1의 c)
한편, 상기 언코일링 유니트(6)는 강판을 페이 오프 릴(7)에 신속하고 원활하게 장입하기 위한 강판 선단부 인도장치이고, 상기 페이 오프 릴(7)은 강판 내경부에 쐐기형으로 삽입되어 적정 장력을 부여하면서 강판을 풀어주는 장치이다.
이후 페이 오프 릴(7)이 구동되어 강판 선단부(5)를 용접기(도면 미도시)까지 보내면 용접이 행해지고, 용접이 완료되면 페이 오프 릴(7)은 고속 회전하면서 강판을 풀어준다. 이때 코일카(3)는 다음 코일 준비를 위하여 컨베어 위치(도 1의 a)로 다시 이동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반복 작업 중, 후행 강판 준비를 위해 언코일링 유니트(6)의 가이드(18)에 강판 선단부(5)를 인입시키는 과정에서 강판 선단부(5)가 가이드(18) 하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었고, 이 때문에 매 코일마다 작업자가 치공구를 이용하여 강판 선단부를 가이드(18)상으로 인도시켜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이드(18)상에 진입된 강판 선단부(5)가 핀치롤(8)까지 이동되는 과정에서 또 한번 선단부가 이탈되어 이에 따른 작업자의 수작업이 요구되는 등의 조업상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방법에 있어서는 강판 선단부(5)의 결함 발생시 이를 사전에 제거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결함도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했는데, 이로 인한 용접 지연의 발생 및 생산라인의 지연, 생산량 감소, 안전사고 위험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일 대형화를 위한 용접 준비를 위하여 강판 선단부가 언코일링 유니트에 진입할 때에, 안정적인 진입이 이뤄질 수 있도록 강판 선단부에 굴곡부를 형성시켜 선단부 이탈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불량 선단부를 사전에 전단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판 코일이 언코일링 유니트(6)로 진입시 선단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강판 선단부(5)에 굴곡을 형성시키는 벤딩장치로서, 상기 언코일링 유니트(6) 전단의 코일카(3)로 강판 코일을 이송시키는 컨베어(1)의 양측에 설치되고, 구동 모터(44,58)로 구동되어 안착된 강판 코일을 회전시키며, 구동 실린더(50,64)에 의해 좌우로 구동되는 크래들 롤(41,55)과; 구동 실린더(79,84)에 의해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크레들 롤(41,55)에 안착된 강판 코일 외권부에 밀착되는 좌우측 고정판(75,76)이 양단을 지지하고, 고정판(75,76) 내측에 설치된 구동 실린더(77)에 의해 하단 오프너(74)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나이프(111) 및 보조 나이프(112)가 작동되어, 상기 크래들 롤(41,55)에 의해 회전되는 강판 선단부가 사이 공간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더블타입 오프너(73,74)와; 상기 좌우측 고정판(75,76) 사이에 설치된 테이블(121)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아이들 롤(125,126)과 가이드 롤(127,128)을 양측에 구비하며, 하단의 구동 실린더(131)에 의해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강판 코일 외권부에 밀착되는 사각 케이스(129)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강판 코일의 선단부를 감지하는 선단부 감지기(124)와; 상기 더블타입 오프너(73,74) 후단의 테이블(161)을 따라 인입된 강판 선단부(5)를 전단하되, 구동 실린더(163)에 의해 오픈 또는 클로즈 되어 선단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게이트(162)가 전단에 구비되고, 선단부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기(165)가 구비된 전단기(168)와; 상기 테이블(161)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되감기는 강판 선단부 측면 에지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크래들 롤(41,55) 구동 실린더(50,64)의 좌우 구동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수광기(170) 및 투광기(17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컨베어(1) 상부에 형성된 사각 홈내에 설치되고, 하부의 구동 실린더(157)에 의해 상하 구동되되, 강판 코일 하부면에 접촉 회전되는 아이들 롤(154,155)을 연결부재(151)를 통해 양측에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151)의 하부에 완충용 스프링(152) 및 터치바(159)를 구비한 사각 케이스(156)의 하부에 위치하여, 귄취되는 강판의 꼬임을 상기 터치바(159)를 통해 감지하는 겹침부 감지기(15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크래들 롤과 후단 롤의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더블타입 오프너의 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오프너의 나이프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코일 선단부 감지기의 발췌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코일 겹침 감지기의 단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벤딩된 강판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의 작업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에는 강판 코일을 회전시켜주는 크래들 롤(41,55)이 구비되는데, 베어링 블록(42,43,56,57)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크래들 롤(41,55)이 컨베어(1)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고,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4,58)가 각 크래들 롤(41,55)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이들은 하부의 고정판(46,59)에 고정된다.
상기 한쪽의 구동모터(44)에는 강판 선단부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 감지기(45)가 연결 설치되며, 일측 베어링 블록(42,57)에는 연결부재(51,63)를 통해 구동 실린더(50,64)가 결합되는데 상기 구동 실린더(50,64)는 하부 고정판에 고정되고, 상기 크래들 롤(41,55)의 양측 베어링 블록(42,43,56,57)은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베이스(47,60)상에 장착되어 상기 홈에 삽입되는 하부 핀(48,49,61,62)에 의해 좌우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크래들 롤(41,55)의 일측, 즉 전단기(168) 설치 측으로는 베어링 블록(32,33)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후단 롤(31)과 이를 구동시켜주는 구동모터(34)가 연결 설치되어 고정판(35)에 의해 고정된다. 크래들 롤(41,55)과 후단 롤(31) 사이에는 더블타입 오프너(73,74)가 양측의 베어링 블록(71,72)을 통해 양측 고정판(75,76)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75,76)에는 그 하부 일측에 상하 구동용 구동 실린더(79,84)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75,76)의 더블타입 오프너(73,74) 반대측 하부는 베어링 블록(89,90)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고정 지지되어 오프너 작동시의 회동 기준지점이 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 실린더(79,84)는 그 하단에 회동 가능한 형태의 연결부재(80,85)가 핀(82,87)으로 결합되는데, 이들은 고정판(81,86)에 고정볼트(83,88)로 고정되어, 작동시 소정의 각도범위에서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 더블타입 오프너(73,74)의 일측 오프너(74)의 하단부에는 강판 선단부(5)를 분리시켜주는 나이프(111)와 보조 나이프(112)가 형성되며, 오프너(74)의 양단을 지지하는 베어링 블록(101,103) 하부에는 나이프(111)를 회동시켜주는 구동 실린더(77)가 고정판(76) 내면에 고정 설치된다.
나이프(111)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더블타입 오프너(73,74)중 하단 오프너(74)의 좌우측 베어링 블록(101,103)이 오프너(74)의 축과 고정 볼트(102,104)로 결합되고, 그 외부에 나이프 외피(105,106,108,109)가 고정볼트(107,110)로 결합되며, 일측 나이프 외피(106,109) 상에는 나이프(111)가 연결 형성되고, 나이프(111)의 하단부에 보조 나이프(112)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더블타입 오프너(73,74) 하부의 테이블(121)에는 그 중앙부에 강판 선단부(5)를 감지하는 감지기(124)가 설치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진동에 의해 강판 선단부의 인입을 감지하는 선단부 감지기(124)와 이를 보조하는 아이들 롤(125,126)을 결합시켜 일체형으로 형성하며, 그 양측으로 또 다른 가이드 롤(127,128)을 설치하여 사각 케이스(129)에 결합시키고, 상기 사각 케이스(129)의 하단에는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회동 기준이 되는 하부 롤(130)을 결합시켜 하부 롤(130)을 기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하며, 그 하부에 구동용 구동 실린더(131)를 결합시키고 구동 실린더는 고정판(132)으로 고정시킨다.
한편, 작업 중에 강판의 권취 불량, 즉 외권부 풀림으로 인하여 오프너 장치의 크래들 롤(41,51) 구동시 강판 하부에 꼬임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컨베어(1) 내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기를 설치한다.
즉 컨베어(1) 상부에 사각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내에 겹침부 감지기(153)가 설치되어 상부 강판의 그 꼬임 여부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연결부재(151)를 이용하여 양측에 아이들 롤(154,155)이 결합되고, 연결부재(151) 하부에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는 스프링(152)이 설치되고, 그 하부에 터치바(159)가 설치되며, 이들은 사각 케이스(156)에 의해 일체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강판 겹침부를 겹침부 감지기(153)가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그 하부에 구동 실린더(157)가 연결 설치되어 상기 겹침부 감지기(153)를 상하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더블 타입 오프너(73,74)의 후단에는 강판 선단부를 받쳐주는 테이블(161)이 설치되는데, 강판 선단부 측면 에지(EDGE)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부에는 고정대(169)를 이용하여 수광기(170)를 설치하고, 하단에는 투광기(171)를 설치한다. 상기 수광기(170)와 투광기(171)의 후단에 상기한 후단 롤(31)이 설치된다.
상기 테이블(161)상에는 강판 선단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게이트(162)가 설치되는데, 상부 테이블(161a)과 힌지(164)로 연결되어 오픈, 클로즈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양측으로 구동 실린더(163)가 구비되어 힌지(164)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상기 테이블(161)의 후단에는 불량 선단부의 절단 제거를 위한 전단기(168)가 설치되는데, 상부 테이블(161a) 중앙에는 홀(166)이 형성되어, 전단기(168)의 입측면 상단의 고정대(167)에 부착된 두께 게이지(165)에 의해 선단부의 오프 게이지(Off Gauge: 두께 불량)를 하부 홀(166)을 통하여 검출하여, 후단의 전단기(168)에 의해 불량부의 전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각 구동 실린더로서는 유압 실린더와 공기 실린더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모두 적용될 수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성을 고려하면 공기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소재 강판이 컨베어(1)를 통해 코일카(3)로 이송되는 도중, 본 발명의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의 위치에 도착된 것이 감지기(미도시)에 의해 감지되면 컨베어(1)가 정지되면서 소정의 높이만큼 하부로 내려 앉아 강판 코일이 양쪽의 크래들 롤(41,55)에 안착된 후, 더블 타입 오프너(73,74)가 후단의 구동 실린더(79,84)에 의해 강판 외권부에 밀착되며, 이와 동시에 중앙부에 위치한 강판 선단부 감지기(124)도 후단의 구동 실린더(131)에 의해 강판 외권부에 밀착된다.
이후 컨베어(1) 양측에 위치한 크래들 롤(41,55)이 후방의 구동 모터(44,58)에 의해 회전하면, 시계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는 강판 코일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선단부 감지기(124)에 장착된 아이들 롤(125,126, 127,128)도 강판에 밀착되어 같이 회전되고 강판 선단부가 선단부 감지기(124) 위치에 도착되면 그 진동에 의해 선단부를 감지하고, 크래들 롤(41,55)은 구동을 일시 정지하게 된다.
그 후 선단부 감지기(124)는 구동 실린더(131)의 작동에 의해 오픈되고, 이후 오프너 양측 고정판(75,76)에 부착된 구동 실린더(77)가 하단 오프너(74)의 양단부를 감싸고 있는 나이프 외피(105,106,108,109)를 작동시켜 나이프(111)와 보조 나이프(112)를 강판에 밀착시킨다.
크래들 롤(41,55)은 강판 코일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강판 선단부가 보조 나이프(112)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고, 크래들 롤(41,55)은 구동모터(44) 후단의 길이 감지기(45)에 의해 강판 코일을 1m 더 전진시킨 후 정지된다.
그 후 더블 타입 오프너(73,74)와 나이프(111)는 구동 실린더(79,84)에 의해 오픈되어 하단의 강판을 눌러 반대 방향으로 굴곡시키고, 이때 후단의 선단부 이탈 방지용 게이트(162)가 양측의 구동 실린더(163)에 의해 클로즈(하향 이동)되고, 이후 크래들 롤(41,55)은 다시 강판 코일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시 풀려진 코일이 진행하는 거리는 길이 감지기(45)에 의해 계산되며, 강판은 계속 전진되어 테이블(161)과 상부 테이블(161a) 사이를 지나 전단기(168)까지 보내어져, 전단기(168)로 인입되는 강판 선단부는 전단기 입측에 설치된 두께 측정기(165)에 의해 그 두께가 감지되고 전단기(168)로 인입된 선단부는 전단 제거된다.
이때 크래들 롤(41,55)은 길이 감지기(45)에 의해 전단기(168)가 원 커터하면 구동모터(44,58)를 구동시켜 1m 전진시키는 식으로 작업을 반복 실시하여 전단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전단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은 크래들 롤(41,55)은 정지된다. 이후에도 강판 선단부에 결함부 발견시에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계속하여 연속 커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단작업이 완료되면 컨베어(1)상의 강판 겹침부 감지기(153)가 하부의 구동 실린더(157)에 의해 업 되어 강판 하부에 밀착되며, 이후 크래들 롤(41,55)의 구동이 시작되어 감지기 양측의 아이들 롤(154, 155)의 회전과 함께 강판 선단부의 되감기가 이루어지고, 이때 오프너 후단에 설치되어 에지를 감지하는 수광기(170)와 투광기(171)에 의해 강판의 측면 에지 위치를 감지하면 감지된 데이터가 크래들 롤(41,55)의 일측에 구비된 구동 실린더(50,64)에 전송된다.
그 전송값에 의해 상기 구동 실린더(50,64)는 크래들 롤(41,55)에 부착된 연결부재(51,63)를 통해 크래들 롤 베어링 블록(42,43,56.57)을 밀게 되고, 베어링 블록 하단에 형성된 핀(48,49,61,62)이 베이스(47,60)의 하부 홈을 따라 좌우로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여 강판 외권부를 반듯하게(텔레스코프가 안 발생되게) 되감게 된다.
이때 겹침부 감지기(153)는 양측의 아이들 롤(154,155)이 강판 하부에 밀착되어 강판 회전시 연동되며, 강판 외권부의 꼬임이 발생하면 연결부재(151)가 눌러지게 되는데, 하부에 연결된 스프링(152)이 축소되면서 스프링(152) 하부 터치바(159)가 겹침부 감지기(153)를 감지시키면, 크래들 롤(41,55)이 정지되어 운전자에서 연락되어 사전조치되게 된다. 이후 강판 선단부(5)는 길이 감지기(45)에 의해 그 위치가 측정되어 기준 위치(예를 들어, 7시 방향)에서 정지하게 되며, 이와 같은 작업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는, 코일 대형화를 위한 용접 준비를 위하여 강판 선단부가 언코일링 유니트에 진입할 때에, 안정적인 진입이 이뤄질 수 있도록 강판 선단부에 굴곡부를 형성시켜 선단부 이탈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불량 선단부를 사전에 전단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비 트러블을 방지하고 입측 용접 시간을 단축시켜, 설비 효율성과 품질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강판 코일 이송 공정도,
도 2는 일반적인 언코일링 유니트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크래들 롤과 후단 롤의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더블타입 오프너의 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오프너의 나이프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코일 선단부 감지기의 발췌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코일 겹침 감지기의 단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벤딩된 강판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의 작업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컨베어 2: 코일카 크래들 롤
3: 코일카 4: 코일
5: 코일 선단부 6: 언코일링 유니트
7: 페이 오프 릴 50,64,77,79,84,131,157,163: 구동 실린더
34,44,58: 구동모터 31: 후단 롤
41,55: 크래들 롤 45: 길이 감지기
73,74: 더블타입 오프너 111: 나이프
112: 보조 나이프 121,161: 테이블
124: 선단부 감지기 153: 겹침부 감지기
159: 터치바 162: 게이트
165: 두께 측정기 168: 전단기
170: 수광기 171: 투광기

Claims (2)

  1. 강판 코일이 언코일링 유니트(6)로 진입시 선단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강판 선단부(5)에 굴곡을 형성시키는 벤딩장치로서,
    상기 언코일링 유니트(6) 전단의 코일카(3)로 강판 코일을 이송시키는 컨베어(1)의 양측에 설치되고, 구동 모터(44,58)로 구동되어 안착된 강판 코일을 회전시키며, 구동 실린더(50,64)에 의해 좌우로 구동되는 크래들 롤(41,55)과;
    구동 실린더(79,84)에 의해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크레들 롤(41,55)에 안착된 강판 코일 외권부에 밀착되는 좌우측 고정판(75,76)이 양단을 지지하고, 고정판(75,76) 내측에 설치된 구동 실린더(77)에 의해 하단 오프너(74)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나이프(111) 및 보조 나이프(112)가 작동되어, 상기 크래들 롤(41,55)에 의해 회전되는 강판 선단부가 사이 공간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더블타입 오프너(73,74)와;
    상기 좌우측 고정판(75,76) 사이에 설치된 테이블(121)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아이들 롤(125,126)과 가이드 롤(127,128)을 양측에 구비하며, 하단의 구동 실린더(131)에 의해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강판 코일 외권부에 밀착되는 사각 케이스(129)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강판 코일의 선단부를 감지하는 선단부 감지기(124)와;
    상기 더블타입 오프너(73,74) 후단의 테이블(161)을 따라 인입된 강판 선단부(5)를 전단하되, 구동 실린더(163)에 의해 오픈 또는 클로즈 되어 선단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게이트(162)가 전단에 구비되고, 선단부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기(165)가 구비된 전단기(168)와;
    상기 테이블(161)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되감기는 강판 선단부 측면 에지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크래들 롤(41,55) 구동 실린더(50,64)의 좌우 구동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수광기(170) 및 투광기(17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어(1) 상부에 형성된 사각 홈내에 설치되고, 하부의 구동 실린더(157)에 의해 상하 구동되되,
    강판 코일 하부면에 접촉 회전되는 아이들 롤(154,155)을 연결부재(151)를 통해 양측에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151)의 하부에 완충용 스프링(152) 및 터치바(159)를 구비한 사각 케이스(156)의 하부에 위치하여, 귄취되는 강판의 꼬임을 상기 터치바(159)를 통해 감지하는 겹침부 감지기(15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
KR10-2001-0083607A 2001-12-22 2001-12-22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 KR100522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607A KR100522111B1 (ko) 2001-12-22 2001-12-22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607A KR100522111B1 (ko) 2001-12-22 2001-12-22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660A KR20030053660A (ko) 2003-07-02
KR100522111B1 true KR100522111B1 (ko) 2005-10-18

Family

ID=32212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607A KR100522111B1 (ko) 2001-12-22 2001-12-22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322B1 (ko) * 2016-06-08 2017-03-09 최영수 방화문 패널 절곡 방법 및 절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323B1 (ko) * 2006-05-23 2007-11-20 (주)대봉기연 코일재 강판의 블랭킹 가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5229A (en) * 1980-07-24 1982-02-10 Aida Eng Ltd Device for positioning leading end of coil material
JPS60261621A (ja) * 1984-06-08 1985-12-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熱間シ−トバ−の巻取り・巻戻し装置
US4567799A (en) * 1984-02-27 1986-02-04 Braner Enterprises, Inc. Shiftable pinch roll and strip-feed device for a slitter
JPH0747424A (ja) * 1993-08-09 1995-02-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巻取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5229A (en) * 1980-07-24 1982-02-10 Aida Eng Ltd Device for positioning leading end of coil material
US4567799A (en) * 1984-02-27 1986-02-04 Braner Enterprises, Inc. Shiftable pinch roll and strip-feed device for a slitter
JPS60261621A (ja) * 1984-06-08 1985-12-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熱間シ−トバ−の巻取り・巻戻し装置
JPH0747424A (ja) * 1993-08-09 1995-02-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巻取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322B1 (ko) * 2016-06-08 2017-03-09 최영수 방화문 패널 절곡 방법 및 절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660A (ko)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6082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olling directly coupled with continuous casting
ZA200503567B (en) Method and plant for rolling and subsequent reeling of metal strip in particular steel strip.
US59885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fiber on a spool
GB2233590A (en) Dual capstan in-line wire drawing machine
EP1015147B1 (en) High speed transfer of strip in a continuous strip processing application
KR100522111B1 (ko) 강판 선단부 벤딩장치
KR102309248B1 (ko) 철판 슬릿팅 절단장비의 사이드 가이드
KR100514791B1 (ko) 코일 권취장치
CN114850212A (zh) 一种消除冷轧过程中带钢表面辊印缺陷的方法
US3761034A (en) Paper feeding device
CN211275940U (zh) 一种钢材加工用冷轧处理钢材卷取机
KR100523096B1 (ko) 코일제품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CN219188171U (zh) 一种易拆卸的铝杆收线盘
KR100466417B1 (ko) 코일결속기 밴드 자동유도장치
US4680951A (en) Method for dressing hot rolled strip coils, especially coilbox coils
KR20020040148A (ko) 코일내경부 처짐방지장치
KR102354553B1 (ko) 강판코일 모서리 테이핑 장치 및 방법
KR101059210B1 (ko) 냉연코일의 불량부 제거장치
KR20020040149A (ko) 코일강판 결함부 절단장치
JPH05154533A (ja) ブライドルロールの通板方法
KR100822973B1 (ko) 선행강판과 후행강판의 접속 폭 차 감소장치
JPH076974Y2 (ja) ストリップスクラップ巻取装置
KR100798075B1 (ko) 냉연코일의 불량부 제거장치
US342135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bending strip-like material
KR20010065357A (ko) 소둔산세라인의 스트립 그립부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