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626B1 -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626B1
KR100521626B1 KR10-2003-0030537A KR20030030537A KR100521626B1 KR 100521626 B1 KR100521626 B1 KR 100521626B1 KR 20030030537 A KR20030030537 A KR 20030030537A KR 100521626 B1 KR100521626 B1 KR 100521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water
humidity
indoo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8234A (ko
Inventor
고승우
김재만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0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626B1/ko
Publication of KR20040098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8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위 환경 변화에 따른 정수기의 수온 제어에 관한 것으로,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실내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에 의해 각각 감지된 실내 온도와 실내 습도를 수치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 수치 변환 입력기, 상기 제1 및 제2 수치 변환 입력기에 의해 입력되는 온도 및 습도값을 연산하여 불쾌지수로 환산하는 연산기, 및 상기 연산기에서 산출된 불쾌지수가 설정치 이상일 때 정수수에 대한 냉각을 인가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정수기 내 정수수를 냉각하는 냉동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과, 온도 센서에 의해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습도 센서에 의해 실내 습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실내 온도 및 실내 습도를 제1 및 제2 수치 변환 입력기에 의해 수치로 변환하여 연산기에 입력하는 단계, 제1 및 제2 수치 변환 입력기에 의해 입력된 온도 및 습도값을 연산기가 환산하여 불쾌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연산기에 의해 산출된 불쾌지수를 제어부가 설정치와 비교하여 냉각기 가동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불쾌지수가 설정치보다 높으면 제어부에 의해 냉각기가 가동되어 정수기 내부의 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수기 내 정수수의 수온을 제어하는 수온 제어 시스템과, 실내 온·습도에 따른 불쾌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제어부에서 설정치와 비교, 판단하여 정수수의 수온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주위 환경의 변화, 특히 대부분의 사람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환경하에서 더욱 편리하게 시원한 냉각수를 음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최대의 만족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of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tempera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위 환경 변화에 따른 정수기의 수온 제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온·습도에 따른 불쾌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설정치와 비교, 판단하여 정수기 내 정수수의 수온을 제어하는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정수기에서 정수수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래에는 정수기 표면에 구비된 수치입력 버튼을 눌러서 사용자가 직접 임의의 온도값을 설정하고, 아울러 정수기 내부에 설치된 수온센서에 의해 정수수의 실제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상기 설정 온도값과 비교하고, 만일 정수수의 온도가 설정값에 미달인 경우에는 냉각기 또는 가열기를 작동시켜 냉수 또는 온수의 추출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냉,온수의 추출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적용된 종래의 정수기는 실내 환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하나의 기준 온도값을 설정한 후, 이를 기준으로 판단하여 냉,온수의 추출온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어 더운 날씨 또는 추운 날씨와 같은 다양한 환경 변화시 사용자가 일일이 설정온도를 변경하여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 온·습도에 따른 불쾌지수를 지속적으로 산출하여 이를 설정치와 비교,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정수기의 추출 냉.온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된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실내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에 의해 각각 감지된 실내 온도와 실내 습도를 수치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 수치 변환 입력기, 상기 제1 및 제2 수치 변환 입력기에 의해 입력되는 온도 및 습도값을 연산하여 불쾌지수로 환산하는 연산기, 및 상기 연산기에서 산출된 불쾌지수가 설정치 이상일 때 정수수에 대한 냉각을 인가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정수기 내 정수수를 냉각하는 냉동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 센서에 의해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습도 센서에 의해 실내 습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실내 온도 및 실내 습도를 제1 및 제2 수치 변환 입력기에 의해 수치로 변환하여 연산기에 입력하는 단계, 제1 및 제2 수치 변환 입력기에 의해 입력된 온도 및 습도값을 연산기가 환산하여 불쾌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연산기에 의해 산출된 불쾌지수를 제어부가 설정치와 비교하여 냉각기 가동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불쾌지수가 설정치보다 높으면 제어부에 의해 냉각기가 가동되어 정수기 내부의 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연산기에 의해 산출된 불쾌지수가 설정치보다 낮으면 제어부는 상기 각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명령을 인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수기 내 정수수의 수온을 제어하는 수온 제어 시스템과, 실내 온·습도에 따른 불쾌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제어부에서 설정치와 비교, 판단하여 정수수의 수온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주위 환경의 변화, 특히 대부분의 사람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환경하에서 더욱 편리하게 시원한 냉각수를 음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최대의 만족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수온 제어 시스템을 채용한 정수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온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은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11), 실내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12), 상기 온도 센서(11) 및 습도 센서(12)에 의해 각각 감지된 실내 온도와 실내 습도를 수치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 수치 변환 입력기(13)(14), 상기 제1 및 제2 수치 변환 입력기(13)(14)에 의해 입력되는 온도 및 습도값을 연산하여 불쾌지수로 환산하는 연산기(15), 상기 연산기(15)에서 산출된 불쾌지수가 설정치 이상일 때 정수수(미도시)에 대한 냉각을 인가하는 제어부(16), 상기 제어부(16)의 명령에 의해 정수기(10) 내 정수수를 냉각하는 냉각기(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온 제어 시스템을 구비하는 정수기(10)는 이의 표면에 온도 센서(11)와 습도 센서(12)가 노출된 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10)의 표면, 즉 온도 센서(11)와 습도 센서(12)의 일측에 상기 각 센서(11)(12)에 의해 감지된 실내 온도와 실내 습도를 식별할 수 있도록 된 소정의 디스플레이부(18)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은 온도 센서(11)와 습도 센서(12)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실내 온도와 습도를 연산기(15)를 통해 불쾌지수로 환산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산출된 불쾌지수의 수치가 적정치 이상으로 감지될 경우, 본 발명의 수온 제어 시스템은 냉각기(17)를 작동시켜 정수기(10) 내부에 채워진 정수수를 냉각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쾌지수(Discomfort Index; DI)는 기온과 습도의 조합에 의한 것으로, 통상 '온습도 지수'라 칭한다.
또한, 불쾌지수의 수치가 적정치 이상이란, 불쾌지수의 수치가 83이상이고 주위온도가 28.5℃ 이상인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환경에서는 대부분의 사람이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아래의 수학식은 불쾌지수를 산출하는 수식으로서 연산기(15)에 입력된 상태로 제공되는데, 이 수식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습구온도가 관측되지 않는 기상관서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작성된 것이다.
Ta : 건구온도(℃), RH : 상대습도(소수단위)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수온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수수의 수온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정수기(10)에 설치된 온도 센서(11)가 실내 온도를 감지하고(S1), 습도 센서(12)는 실내 습도를 감지하게 한다(S2).
온도센서에 의한 실내온도 감지와 습도센서에 의한 습도 감지는 동시에 진행되거나, 아니면 선택적으로 순차적인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각각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실내 온도와 실내 습도는 제1 및 제2 수치 변환 입력기(13)(14)에 의해 각각 연산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수치로 변환되어 연산기(15)에 입력된다(S3).
제1 및 제2 수치 변환 입력기(13)(14)에 의해 변환 및 입력된 온도값과 습도값은 연산기(15)에서 상기 수학식에 대입하여 연산작용이 이루어져서 불쾌지수(DI)로 환산하게 된다(S4).
이같이 산출된 불쾌지수는 제어부(16)에 입력되어 상기 제어부(16) 내에 저장된 소정의 설정치와 비교가 이루어지고, 제어부(16)는 입력된 불쾌지수 값이 설정치보다 높은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냉각기(17)의 가동 유무를 결정하게 된다(S5). 이 경우, 상기 설정치는 온도 및 습도 센서(11)(12)에 의해 감지된 온·습도 지수가 대부분의 사람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수치, 즉 불괘지수 83으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나, 그 설정에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16)에서 비교, 판단된 불쾌지수 값이 설정치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부(16)는 냉각기(17)의 작동을 인가하여 냉각기(17)에 의한 정수기(10) 내부의 정수수 냉각이 이루어진다. 반면, 상기 불쾌지수 값이 설정치보다 낮을 경우, 제어부(16)는 상기 각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을 인가하게 된다(S6).
이와 같이, 상기의 각 단계로 이루어지는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은 대부분의 사람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온·습도 환경하에서 정수기(10)가 자동으로 주위환경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정수수를 냉각시킴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시원한 냉각수의 음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인 온·습도에 따른 불쾌지수를 계산하여 보다 시원한 냉각수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수기 내 정수수의 수온을 제어하는 수온 제어 시스템과, 실내 온·습도에 따른 불쾌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제어부에서 설정치와 비교, 판단하여 정수수의 수온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주위 환경의 변화, 특히 대부분의 사람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환경하에서 더욱 편리하게 시원한 냉각수를 음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최대의 만족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온 제어 시스템을 채용한 정수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온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온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수온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수기 11 : 온도 센서
12 : 습도 센서 13 : 제1 수치 변환 입력기
14 : 제2 수치 변환 입력기 15 : 연산기
16 : 제어부 17 : 냉각기
18 : 디스플레이부

Claims (4)

  1.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실내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에 의해 각각 감지된 실내 온도와 실내 습도를 수치로 변환하는 제 1 및 제 2 수치 변환 입력기;
    상기 제 1 및 제 2 수치 변환 입력기에 의해 입력되는 온도 및 습도값을 연산하여 불쾌지수로 환산하는 연산기;
    상기 연산기에서 산출된 상기 불쾌지수에 따라 정수수의 냉각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정수수를 냉각하는 냉동기; 및
    상기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실내 온도 및 습도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어부가 온도 센서에 의해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습도 센서에 의해 실내 습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실내 온도 및 실내 습도를 제 1 및 제 2 수치 변환 입력기에서 수치로 변환하여 연산기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 1 및 제 2 수치 변환 입력기로부터의 상기 변환된 온도 및 습도값을 상기 연산기가 환산하여 불쾌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연산기로부터의 상기 산출된 불쾌지수를 상기 제어부가 불쾌지수 판단용 설정치와 비교하여 냉각기 가동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산출된 불쾌지수가 상기 불쾌지수 판단용 설정치보다 높으면 상기 제어부가 냉각기를 가동하여 상기 불쾌지수에 따른 정수기 내부의 물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기에 의해 산출된 불쾌지수가 설정치보다 낮으면 제어부는 상기 각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
KR10-2003-0030537A 2003-05-14 2003-05-14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 KR100521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537A KR100521626B1 (ko) 2003-05-14 2003-05-14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537A KR100521626B1 (ko) 2003-05-14 2003-05-14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234A KR20040098234A (ko) 2004-11-20
KR100521626B1 true KR100521626B1 (ko) 2005-10-12

Family

ID=3737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537A KR100521626B1 (ko) 2003-05-14 2003-05-14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603A (ko) * 2015-07-30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정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603A (ko) * 2015-07-30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정수 제어 방법
KR101879335B1 (ko) * 2015-07-30 2018-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정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234A (ko) 200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040287B1 (en) Indoor environment control system
US11248820B2 (en)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to control air conditioner based on comfortable skin temperature range
JP4359300B2 (ja) 温冷感判定装置、温冷感判定方法、温冷感判定プログラム、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方法および空調制御プログラム
US8172155B2 (en) Thermal sensation determin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ir-conditioning control apparatus using thermal sensation determination result
WO2013145541A1 (ja)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5988195B2 (ja)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601758B2 (ja) 目標環境推奨装置、空調システム、目標環境推奨方法、及び空調制御方法
EP350258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vac-apparatus, control unit and use of a control unit
KR100521626B1 (ko) 정수기의 수온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수온 제어 방법
JP2697366B2 (ja) 冷暖房装置
JP2002022238A (ja) 快適感評価装置及び空調制御装置
JPH0552379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H06347077A (ja) 室内環境制御装置
US4715191A (en) Air conditioning method
JP7049524B2 (ja) 空気調和機および健康管理補助システム
JPH0783479A (ja) 空気調和機
JPH0979642A (ja) 空気調和装置
KR20170122488A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탑승자용 시트 온도 조절장치 및 그 방법
JP2020039443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H04155136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06265189A (ja) 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232533A (ja) 空調制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利用する在室者管理システム、在室者管理サーバ
JPH0688637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0150727B1 (ko) 수지 온도 센서를 이용한 에어콘 제어방법
JP4279767B2 (ja) 機器の遠隔操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