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226B1 -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 - Google Patents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226B1
KR100520226B1 KR10-2003-0016590A KR20030016590A KR100520226B1 KR 100520226 B1 KR100520226 B1 KR 100520226B1 KR 20030016590 A KR20030016590 A KR 20030016590A KR 100520226 B1 KR100520226 B1 KR 100520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hot air
fuel
combustion
cha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1968A (ko
Inventor
김윤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10-2003-0016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226B1/ko
Publication of KR2004008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2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8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6/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 F23C6/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or combustion zones, e.g. for staged combustion in series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6Portable or mobile,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부에 연료탱크가 마련된 열풍기본체와, 상기 연료탱크의 상부에서 열풍기본체의 전방에 마련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후미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연료탱크에 연료라인으로 연결되어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점화플러그가 마련된 버너조립체와, 상기 버너조립체와 연결되면서 압력을 발생시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연소실의 후방에서 연소실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갖는 열풍기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이, 내부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소실 하우징과;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외곽에 소정 간격을 두고 감싸도록 배치된 차열판과;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차열판의 내주면에 체결되어 차열판과 사이에서 소정 간극을 두고 연소실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커버와; 상기 연소실 하우징 후방에서 상기 버너조립체를 지지 고정하는 후면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Combustion Chamber Structure of Forced Air Heater}
본 발명은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풍기의 연소실 내로 2차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연소실 내로 분사되는 연료의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종래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여 상대적으로 원가 절감의 효과 및 조립 공정성이 우수하게 되며, 연료 연소 시에 연소실 전면에 설치된 전면커버의 온도 상승을 종래에 비해 줄일 수 있도록 된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풍기란 본체 내에 히터나 코일로 된 열선을 마련하고 이에 전기를 가하여 흡입된 기체를 비교적 높은 온도로 상승시킨 다음 송풍팬을 이용하여 외부로 분출시키는 전열방식을 갖거나, 연소실 내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한 높은 온도의 연소열을 송풍팬을 이용하여 외부로 분출시키는 연소 가열방식을 갖는 기기이다.
이러한 열풍기 중에 전열방식의 열풍기는 대부분 일반 가정에서 실내를 난방하는 데 주로 사용되고, 연소 가열방식의 열풍기는 공장이나 밀폐된 곳에서 더운 열을 필요로 할 때 사용되거나 혹은 온실의 효과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우사 등에 습기를 제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상기한 열풍기 중 연소 가열방식을 채택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열풍기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소 가열방식의 열풍기는, 하부에 연료탱크(12)가 마련된 열풍기본체(10)와, 상기 연료탱크(12)의 상부에서 열풍기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되는 연소실(20)과, 상기 연소실(20)의 후미에 설치되어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2a) 및 점화플러그(22b)가 마련된 버너조립체(22)와, 상기 버너조립체(22)와 연결되면서 소정의 압력을 발생시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28)와, 상기 연소실(20)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32)과, 상기 송풍팬(32)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열풍기본체(10)의 하단에는 구름 이동 가능한 한 쌍의 휠(14)과, 휠(14)에 인접하게 스토퍼(16)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열풍기본체(10)의 상부에는 손잡이부(18)가 마련되어 있다.
이처럼 한 쌍의 휠(14)과 손잡이부(18)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열풍기본체(10)의 위치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버너조립체(22)에는 연료탱크(12)로부터의 연료를 공급받는 연료라인 (24)과 공기를 공급받는 에어라인(26)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에어라인(26) 상에는 펌프(28)로부터 발생하는 압력을 측정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압력측정표시기(4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열풍기본체(10)의 후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열풍기본체(10) 내로 유입시키는 복수의 공기흡입구(1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구(10a)에 인접한 열풍기본체(10) 내에는 전원공급부 (38)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압력을 발생시켜 연료라인(24)을 통해 연료탱크 (12) 내의 연료를 버너조립체(22)로 공급하는 펌프(2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펌프(28)의 전방에는 구동모터(3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버너조립체(22)와 구동모터(30) 사이에는 구동모터(30)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3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실(20)의 전후방에는 각각 공기유입구(20a)와 공기배출구 (20b)가 마련되어 있다.
즉, 이러한 상기 공기유입구(20a)를 통해 송풍팬(32)의 회전에 의해 연소실 (20) 내로 공기가 유입되어 연료 연소를 촉진시키면서 연소실(20) 내에서 가열된 더운 열기(공기)를 연소실(20) 전방의 공기배출구(20b)를 통해 분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버너조립체(22)에서는 연료탱크(12)의 연료라인(24)과 에어라인 (26)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소실(20)로 분사되어 점화플러그(22b)를 통해 점화됨으로써, 연료가 연소실(20) 내에서 공기와 함께 연소되어 뜨거운 열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열풍기의 작동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열풍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온오프스위치(36) 조작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송풍팬(32)을 회전시키면, 상기 열풍기본체(10) 후면에 형성된 공기흡입구(10a)를 통해 공기가 흡입됨과 동시에 구동모터(30)에 연동되는 펌프(28)에서 압력이 발생된다.
상기 펌프(28)에서 발생된 압력은 에어라인(26)을 통해 각각 버너조립체(22)쪽으로 전달되게 된다.
한편, 상기 에어라인(26)을 통해 유입된 압력은 버너조립체(22)로 유입되면서 상기 압력측정표시기(40)에 표시되는 동일한 압력으로 버너조립체(22) 쪽에 압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버너조립체(22)에서 압력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이 압력으로 인해 연료탱크(12)로부터 연료가 연료라인(24)을 통해 버너조립체(22)로 흡입되게 되고, 흡입된 연료는 버너조립체(22)의 분사노즐(22a)을 통해 분사되면서 버너조립체 (22)로 흡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버너조립체(22)에 마련된 점화플러그(22b)를 통해 점화되어 연소가 일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연소실(20) 내에는 연소실(20) 후방에 위치한 공기유입구(20a)를 통해 송풍기(32)로부터 송풍되어 오는 공기가 유입되어 연료의 연소를 촉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연료가 점화되어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연소열로 인해 연소실(20) 내 가열된 더운 공기는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어 연소실(20)의 전방 공기배출구(20b)를 통해 토출 됨으로써, 공장이나 밀폐된 곳 등 더운 열을 필요로 하는 곳이나 혹은 비닐하우스, 우사 등에서 습기를 제거하는데 이용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연소실(20)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이때 발생하는 고온의 연소열을 송풍팬(32)으로 분출하도록 된 종래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가 도 4 내지 도 7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열풍기의 연소실(20)은 내부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원통형상의 연소실 하우징(25)과, 상기 연소실 하우징(25)의 외곽에 소정 간격을 두고 감싸도록 배치된 원통형 차열판(27; baffle)과, 상기 연소실 하우징(25)의 전면에 배치됨과 동시에 중앙부위에 연소실(20)에서 가열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구멍이 마련된 링 형상의 재연소판(23)과, 상기 재연소판(23)의 전면에서 소정 간극을 두고 연소실(20)의 전면을 커버하는 콘 형상의 전면커버(21)와, 상기 연소실 하우징(25) 후방에서 상기 버너조립체(22)를 지지 고정하는 후면커버(29)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된 연소실(20)은 도 1에 도시된 열풍기본체(10)의 외곽하우징(34) 내에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열판(27)은 연소실 하우징(25)을 지지하면서 고온으로 달궈진 연소실 하우징(25)을 차열(遮熱)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재연소판(23)과 전면커버(21)는 연소되지 않은 액적(연료의 물방울)이 부딪히면서 재 연소(2차 연소)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갖는다.
즉, 상기 버너조립체(22)의 분사노즐(22a)로부터 연료가 분사되어 연소실 (20) 내에서 연소될 때, 분사되는 액적이 크다던가 연료와 공기의 혼합이 불 균일하게 되면, 연소가 잘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이와 같이 연소가 잘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이 연소되지 않은 액적이 공기배출구(20b)를 통해 바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재연소판(23)과 전면커버(21)에 직접 부딪히면서 재 연소(2차 연소)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재연소판(23)의 테두리 사방에는 다수개의 체결브라켓트(23a)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전면커버(21)의 테두리 사방에도 다수개의 고정브라켓트(21a)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커버(29)의 테두리 사방에도 다수개의 체결브라켓트 (29a)가 마련됨과 아울러 후면커버(29) 상에는 공기유입구(20a)가 형성되어 있다.
종래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역할을 갖는 재연소판(23) 및 전면커버(21)를 연소실 하우징(25) 전면에 조립 설치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연소실 하우징(25) 전면에 재연소판(23)을 끼운 다음 용접을 통해 결합하고, 상기 재연소판(23)의 테두리 사방에 마련된 다수개의 체결브라켓트(23a)에 대응하여 상기 전면커버(21)의 테두리 사방에 마련된 고정브라켓트(21a)를 이용하여 재연소판(23)의 전면에 전면커버(21)를 용접 설치한 다음, 상기 재연소판(23)의 체결브라켓트(23a)를 통해 차열판(27)에 볼트(50) 조립하여 연소실(20)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었다.
물론, 상기 연소실 하우징(25) 후방에도 상기 후면커버(29)가 끼움 설치된 상태에서 용접된 다음, 후면커버(29)의 테두리 사방에 마련된 체결브라켓트(29a)를 통해 차열판(27)에 볼트(50) 체결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상기와 같이 연소실(20)을 구성함에 있어서, 연료의 재 연소를 위해 재연소판(23) 및 전면커버(21)를 설치하는 설치 공정(조립 공정성)이 많은 용접 작업을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불편함은 물론,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생산 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재연소판(23)과 전면커버(21)에 연소되지 않은 액적(연료의 물방울)이 부딪혀 재 연소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면커버(21)에 연료가 부딪힌 후 연소되기 때문에 전면커버(21)의 온도가 매우 높게 상승하게 되고, 이와 같이 전면커버(21)가 고온으로 상승했다가 열풍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다시 온도가 떨어지게 됨에 따라 전면커버(21)가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게 되면서 열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전면커버(21)의 온도 상승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서는 연소되지 않은 연료가 전면커버(21)에 최대한 부딪히지 않도록 연소 효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커버 만으로 연소실 전면을 커버함과 동시에 연소실 하우징의 전면 선단과 전면커버 사이가 일정 간격 떨어지게 설치함으로써, 차열판과 연소실 하우징 사이의 간격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연소실 내로 2차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됨에 따라 2차 공기와 연료가 혼합되어 재 연소가 일어나 연소실 내로 분사되는 연료의 연소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연소 효율 향상에 따른 연소되지 않은 액적이 연소실 전면에 설치된 전면커버에 부딪히는 확률이 떨어지면서 전면커버의 온도 상승을 종래에 비해 크게 줄일 수 있어 온도변화에 의한 전면커버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된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연소실 전면에 설치되던 재연소판을 제거함으로써, 종래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여 상대적으로 원가 절감의 효과 및 조립 공정성이 크게 개선된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에 연료탱크가 마련된 열풍기본체와, 상기 연료탱크의 상부에서 열풍기본체의 전방에 마련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후미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연료탱크에 연료라인으로 연결되어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점화플러그가 마련된 버너조립체와, 상기 버너조립체와 연결되면서 압력을 발생시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연소실의 후방에서 연소실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갖는 열풍기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이, 내부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소실 하우징과;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외곽에 소정 간격을 두고 감싸도록 하여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배치된 차열판과;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전면에서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2차 연소부가 형성되게 하며 상기 차열판의 내주면에 체결되어 연소실의 전면을 소정 간극을 두고 커버하는 전면커버와; 상기 연소실 하우징 후방에서 상기 버너조립체를 지지 고정하는 후면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전면커버는 전방으로 움푹 패인 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테두리가 연소실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 쪽 외주면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외주면에 지지브라켓트가 마련되어 이 지지브라켓트를 통해 차열판의 내주면에 직접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전면커버의 테두리 사방에 마련된 고정브라켓트을 통해 차열판의 내주면에 직접 체결됨으로써; 상기 차열판과 연소실 하우징 사이에 형성된 공기통로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이 유입된 공기가 연소실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 쪽에 형성된 2차연소부에서 연료와 재 혼합되어 재 연소 및 연소를 촉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의 전체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의 연소실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연소실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또한,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연소실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이고,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연소실의 체결 조립된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열풍기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하고 있는 열풍기의 구성과 연소실 구조를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연소실을 제외한 열풍기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내용을 다시 한번 환기시켜 설명하기로 하고, 이때, 형상이 변형된 구성요소에는 다른 부호를 붙이고 형상 변형이 없는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및 동일명칭을 붙이기로 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열풍기는, 하부에 연료탱크(12)가 마련된 열풍기본체(10)와, 상기 연료탱크(12)의 상부에서 열풍기본체(10)의 전방에 마련되는 연소실(20')과, 상기 연소실(20')의 후미에 설치되어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2a) 및 점화플러그(22b)가 마련된 버너조립체(22)와, 상기 버너조립체(22)와 연결되면서 소정의 압력을 발생시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28)와, 상기 연소실(20')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32)과, 상기 송풍팬(32)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를 갖는다.
이때, 상기 열풍기본체(10)의 하단에는 구름 이동 가능한 한 쌍의 휠(14)과, 휠(14)에 인접하게 스토퍼(16)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열풍기본체(10)의 상부에는 손잡이부(18)가 마련되어 있다.
이처럼 한 쌍의 휠(14)과 손잡이부(18)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열풍기본체(10)의 위치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버너조립체(22)에는 연료탱크(12)로부터의 연료를 공급받는 연료라인 (24)과 공기를 공급받는 에어라인(26)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에어라인(26) 상에는 펌프(28)로부터 발생하는 압력을 측정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압력측정표시기(4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열풍기본체(10)의 후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열풍기본체(10) 내로 유입시키는 복수의 공기흡입구(1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구(10a)에 인접한 열풍기본체(10) 내에는 전원공급부 (38)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압력을 발생시켜 연료라인(24)을 통해 연료탱크 (12) 내의 연료를 버너조립체(22)로 공급하는 펌프(2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펌프(28)의 전방에는 구동모터(3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버너조립체(22)와 구동모터(30) 사이에는 구동모터(30)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3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실(20')의 전후방에는 각각 공기유입구(20a)와 공기배출구 (20b)가 마련되어 있다.
즉, 이러한 상기 공기유입구(20a)를 통해 송풍팬(32)의 회전에 의해 연소실 (20') 내로 공기가 유입되어 연료 연소를 촉진시키면서 연소실(20') 내에서 가열된 더운 열기(공기)를 연소실(20') 전방의 공기배출구(20b)를 통해 분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버너조립체(22)에서는 연료탱크(12)의 연료라인(24)과 에어라인 (26)을 통해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소실(20')로 분사되어 점화플러그(22b)를 통해 점화됨으로써, 연료가 연소실(20') 내에서 공기와 함께 연소되어 뜨거운 열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열풍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연소실(20')의 구성을 종래 보다 간단하게 구성하면서도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즉,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소실(20')은 내부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원통형상의 연소실 하우징(25')과, 상기 연소실 하우징(25')의 외곽에 소정 간격을 두어 감싸도록 배치함으로써 소정의 공기통로(100)가 형성되도록 한 원통형 차열판(27; baffle)과, 상기 연소실 하우징(25')의 전면에서 일정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차열판(27)의 내주면에 체결되어 연소실 하우징(25')의 전면 개구부와의 사이에 2차 연소부(200)가 형성되게 하여 연소실(20')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방으로 움푹 패인 콘 형상의 전면커버(21')와, 상기 연소실 하우징(25') 후방에서 상기 버너조립체(22)를 지지 고정하는 후면커버(29)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차열판(27)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연소실 하우징(25')을 지지하면서 고온으로 달궈진 연소실 하우징(25')을 차열(遮熱)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연소실 하우징(25')은 종래의 연소실 하우징(25)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체적인 길이가 줄어들고, 연소실 하우징(25')의 외주면에 마련된 지지브라켓트(25a)를 통해 차열판(27)에 직접 볼트(50)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소실 하우징(25')의 전면 쪽 외주면에는 비딩(beading)작업 등을 통해 보강리브(25b)가 형성되어 연소실 하우징(25') 개구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자유단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연소실 하우징(25')이 전면 개구 부위가 조립 작업 중에 외력에 의해 쉽게 찌그러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연소 과정 중에 온도변화에 따른 열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전면커버(21')는 전방으로 움푹 패인 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테두리가 도 11에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부 (21b)를 갖는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21b)는 연소실(20')에서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전면커버(21')의 테두리 면에서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 절곡된 가이드부(21b)의 곡면을 따라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유도(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차열판(27)과 전면커버(21') 사이의 간극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감에 따른 공기 흐름에 의한 이음(異音)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21')의 테두리에 형성된 가이드부(21b)의 사방에는 종래와 유사한 다수개의 고정브라켓트(21a')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고, 종래와 동일한 상기 후면커버(29)의 테두리 사방에도 다수개의 체결브라켓트(29a)가 마련됨과 아울러 연소실(20') 내로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공기유입구(20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면커버(21)의 고정브라켓트(21a)가 재연소판(23)의 체결브라켓트(23a)에 용접된 상태로 차열판(27)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면커버(21')의 고정브라켓트(21a')를 통해 직접 차열판(27)의 내주면에 체결된다.
즉, 본 발명의 상기 전면커버(21')는 상기 고정브라켓트(21a')를 통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연소실 하우징(25')의 전면에서 일정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차열판(27)의 내주면에 볼트(50) 체결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소실 하우징(25')이 종래의 연소실 하우징(25)의 길이보다 짧아진 상태에서 전면커버(21')와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2차 연소부(20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재연소판(23)으로 막혀 있던 전면 부위가 개방되어, 도 8에 도시된 화살표로 표현된 공기의 유입 및 배출 방향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차열판(27)과 연소실 하우징(25') 사이의 공기통로(100)를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소실(20') 내에서 상기 분사노즐(22a)로부터 분사되어 연소되는 연료의 일부와 상기 차열판(27)과 연소실 하우징(25') 사이의 2차 연소부(200)로 유입되는 공기가 2차적으로 재 혼합되고, 이로 인해 연소실(20') 내의 연소가 촉진됨은 물론, 재 연소가 일어나 연소 효율이 크게 향상되게 된다.
이는 상기 버너조립체(22) 쪽에서 1차적으로 혼합되는 연료와 공기의 혼합이 불균일하더라도 상기 2차 연소부에서 재혼합되면서 연소가 촉진되면서 재 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에 연소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특히, 이와 같이 연소 효율이 향상되면, 종래와 같이 연소되지 않은 액적(연료의 물방울)이 전면커버(21')에 부딪혀 재 연소되는 현상이 크게 개선됨에 따라 종래에 비해 전면커버(21')의 온도가 크게 상승되는 것이 억제되고, 이로 인해 전면커버(21')가 종래와 같이 온도변화에 따른 열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소실(20')을 조립 구성할 때, 종래와 같은 많은 용접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상기 후면커버(29)를 연소실 하우징(25')에 설치할 때 종래와 마찬가지로 용접을 실시하고 나머지는 모두 볼트 체결로서 설치 가능하게 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소실(20')을 조립 구성할 때에는, 먼저, 상기 연소실 하우징(25') 후방에 상기 후면커버(29)가 끼움 설치된 상태에서 용접된 다음, 후면커버(29)의 테두리 사방에 마련된 체결브라켓트(29a)를 통해 차열판(27)에 볼트(50)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연소실 하우징(25') 전면 외주면에 마련된 지지브라켓트(25a)를 통해 차열판(27)의 내주면에 볼트(50) 체결하여 연소실 하우징(25')을 차열판 (27)에 소정간격을 두고 직접 체결 고정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연소실 하우징(25') 전면 개구부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차열판(27)의 내주면에 마련된 상기 전면커버(21')의 체결 위치에 전면커버(21')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전면커버(21')는 전면커버(21')의 테두리 사방에 마련된 고정브라켓트(21a')를 통해 차열판(27)의 내주면에 직접 볼트(50) 체결하게 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면커버(21')를 차열판(27)의 내주면에 먼저 설치하고, 상기 연소실 하우징(25')을 나중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이는 작업환경 등 여러 가지 작업 조건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조립 공정을 선택 결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면커버 만으로 연소실 전면을 커버함과 동시에 연소실 하우징의 전면 선단과 전면커버 사이가 일정 간격 떨어지게 설치함으로써, 차열판과 연소실 하우징 사이의 간격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연소실 내로 2차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됨에 따라 2차 공기와 연료가 재 혼합되면서 연소가 촉진되어 연소실 내로 분사되는 연료의 연소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연소 효율 향상에 따른 연소되지 않은 액적이 연소실 전면에 설치된 전면커버에 부딪히는 확률이 떨어지면서 전면커버의 온도 상승을 종래에 비해 크게 줄일 수 있어 온도변화에 의한 전면커버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연소실 전면에 설치되던 재연소판을 제거함으로써, 종래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여 상대적으로 원가 절감의 효과 있음은 물론, 연소실을 조립 구성할 때에도 종래와 같은 많은 용접 과정이 필요 없이 볼트 체결만으로도 조립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조립 공정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열풍기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열풍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종래 열풍기의 배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열풍기의 연소실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소실의 체결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연소실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연소실의 체결 조립된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의 전체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기의 연소실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연소실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연소실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연소실의 체결 조립된 상태에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열풍기본체 10a : 공기흡입구
12 : 연료탱크 14 : 휠
16 : 스토퍼 18 : 손잡이부
20, 20' : 연소실 20a : 공기유입구
20b : 공기배출구 21, 21' : 전면커버
21a, 21a' : 고정브라켓트 21b : 가이드부
22 : 버너조립체 22a : 분사노즐
22b : 점화플러그 23 : 재연소판
23a: 체결브라켓트 24 : 연료라인
25, 25' : 연소실 하우징 25a : 지지브라켓트
25b : 보강리브 26 : 에어라인
27 : 차열판 28 : 펌프
29 : 후면커버 29a : 체결브라켓트
30 : 구동모터 32 : 송풍팬
34 : 외곽하우징 36 : 온오프스위치
38 : 전원공급부 40 : 압력측정표시기
50 : 볼트

Claims (4)

  1. 하부에 연료탱크가 마련된 열풍기본체와; 상기 연료탱크의 상부에서 열풍기본체의 전방에 마련되며, 내부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소실 하우징과,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외곽에 소정 간격을 두고 감싸도록 배치된 차열판과, 연소실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커버와, 상기 연소실 하우징 후방에서 상기 버너조립체를 지지 고정하는 후면커버로 구성된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후미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연료탱크에 연료라인으로 연결되어 연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점화플러그가 마련된 버너조립체와; 상기 버너조립체와 연결되면서 압력을 발생시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연소실의 후방에서 연소실을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갖는 열풍기에 있어서,
    상기 차열판과 연소실 하우징 사이에 공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는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에서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2차 연소부가 형성된 상태로 차열판의 내주면에 체결되어 연소실 전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된 것이며,
    상기 공기통로와 2차 연소부는 통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공기통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2차 연소부에서 연료와 재혼합하여 재연소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는 그 테두리가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 쪽 외주면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
  4. 삭제
KR10-2003-0016590A 2003-03-17 2003-03-17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 KR100520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590A KR100520226B1 (ko) 2003-03-17 2003-03-17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590A KR100520226B1 (ko) 2003-03-17 2003-03-17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968A KR20040081968A (ko) 2004-09-23
KR100520226B1 true KR100520226B1 (ko) 2005-10-11

Family

ID=3736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590A KR100520226B1 (ko) 2003-03-17 2003-03-17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2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763B1 (ko) * 2015-05-11 2015-11-17 대신플랜트산업(주) 아스콘 플랜트용 버너
CN105972825A (zh) * 2015-03-13 2016-09-28 帕饰克股份有限公司 用于结合箱体和空气加热器的结构
RU2734666C1 (ru) * 2019-09-11 2020-10-2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омир Воздухонагреватель теплогенерирующий смесительный
KR20230009187A (ko) * 2021-07-08 2023-01-17 강민구 차열판 가변형 산업용 열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071B1 (ko) * 2007-02-05 2009-01-30 장호동 산업용 열풍기
KR20140145478A (ko) 2013-06-13 2014-12-23 동일정밀공업 주식회사 열풍기
KR102649269B1 (ko) * 2023-06-21 2024-03-18 권순성 예혼합 연소 방식의 메탈화이버 가스버너를 적용한 온풍 및 탄산가스 공급장치
KR102619832B1 (ko) * 2023-06-21 2023-12-29 권순성 예혼합 연소 방식의 메탈화이버 가스버너를 적용한 온풍 및 탄산가스 공급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4349A (en) * 1978-12-22 1981-01-13 Scheu Manufacturing Company Portable forced air heater
US4309978A (en) * 1980-05-16 1982-01-12 American Air Filter Company, Inc. Forced air heater
US4313417A (en) * 1979-07-09 1982-02-02 Koehring Company Portable space heater
US4532914A (en) * 1983-12-02 1985-08-06 Koehring Company Portable LP space heater
JPH07119959A (ja) * 1993-10-20 1995-05-12 Orion Mach Co Ltd 温風発生機の燃焼室構造
US6152128A (en) * 1999-09-14 2000-11-28 Desa International Easily-assembled portable forced-air heater with reduced number of component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4349A (en) * 1978-12-22 1981-01-13 Scheu Manufacturing Company Portable forced air heater
US4313417A (en) * 1979-07-09 1982-02-02 Koehring Company Portable space heater
US4309978A (en) * 1980-05-16 1982-01-12 American Air Filter Company, Inc. Forced air heater
US4532914A (en) * 1983-12-02 1985-08-06 Koehring Company Portable LP space heater
JPH07119959A (ja) * 1993-10-20 1995-05-12 Orion Mach Co Ltd 温風発生機の燃焼室構造
US6152128A (en) * 1999-09-14 2000-11-28 Desa International Easily-assembled portable forced-air heater with reduced number of component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2825A (zh) * 2015-03-13 2016-09-28 帕饰克股份有限公司 用于结合箱体和空气加热器的结构
CN105972825B (zh) * 2015-03-13 2019-02-12 帕饰克股份有限公司 用于结合箱体和空气加热器的结构
KR101569763B1 (ko) * 2015-05-11 2015-11-17 대신플랜트산업(주) 아스콘 플랜트용 버너
RU2734666C1 (ru) * 2019-09-11 2020-10-2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омир Воздухонагреватель теплогенерирующий смесительный
KR20230009187A (ko) * 2021-07-08 2023-01-17 강민구 차열판 가변형 산업용 열풍기
KR102523623B1 (ko) * 2021-07-08 2023-04-19 강민구 차열판 가변형 산업용 열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968A (ko) 200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63466A (en) Portable heater
KR100520226B1 (ko)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
US6415744B1 (en) Combustion boiler
US5232153A (en) Arrangement for the reduction of the exhaust gas temperature in heating devices
CN212057324U (zh) 一种挥发性有机化合物热能再循环系统加热装置
US5707008A (en) Hea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vehicles
CA1336260C (en) Arrangement for the reduction of the exhaust gas temperature in heating devices
KR100851531B1 (ko) 열풍기
KR20230067772A (ko) 열풍기
KR200158429Y1 (ko)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
JP3594458B2 (ja) 燃焼装置
KR200185602Y1 (ko) 숯불구이기
RU2244221C1 (ru) Мобильный воздухоподогреватель
KR100681341B1 (ko) 상향연소식 기름보일러
KR100227264B1 (ko) 오일연소기의 버너헤드
KR930003461Y1 (ko) 로타리 히터의 버너구조
KR200162667Y1 (ko) 석유 연소기 버너링
KR950006616Y1 (ko) 온수보일러용 가열장치
KR200376684Y1 (ko) 튜브히터
KR920005335Y1 (ko) 온풍기
KR0115450Y1 (ko) 로터리 히터용 에어닥트의 조립구조
KR100581578B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열교환기의 도어 고정장치
JPH0426844Y2 (ko)
JPH072737U (ja) 燃焼器具の燃焼ファン
KR19990062190A (ko) 로터리 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