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429Y1 -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 - Google Patents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429Y1
KR200158429Y1 KR2019960044612U KR19960044612U KR200158429Y1 KR 200158429 Y1 KR200158429 Y1 KR 200158429Y1 KR 2019960044612 U KR2019960044612 U KR 2019960044612U KR 19960044612 U KR19960044612 U KR 19960044612U KR 200158429 Y1 KR200158429 Y1 KR 200158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ffuser
air duct
heater
carbure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449U (ko
Inventor
장길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44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429Y1/ko
Publication of KR199800314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4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4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1/00Burners using a direct spraying action of liquid droplets or vaporised liquid into the combustion space
    • F23D11/36Details, e.g. burner cooling means, noise reduc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2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ay-Type Bur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에 관한 것으로서, 확산모터와 연동되는 확산체를 구비하고, 이 확산체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자펌프와 연결되는 송유관이 설치되며, 상기 확산체의 주위에는 파이프 히터가 내장되고 하부에 연소용 공기의 유입공이 설치되는 기화기가 형성되며, 이 기화기의 상부에는 외주연으로 염공이 뚫어진 버너헤드를 재치하고, 상기 버너헤드의 염공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점화플러그 및 플레임로드가 버너플레이트에 고정하여 구성되어, 공기유입공과 공기배출공을 가지며 송풍모터와 연동되는 송풍팬을 설치하여 구성된 송풍부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확산모터(21)가 설치되고, 연소용 공기 통로(2)가 형성된 지지부(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단으로 상기 기화기(25)가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를 제공함으로서,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하여 연소 성능을 향상시키고, 분해 및 조립이 편리하게 이루어져 작업능률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작공정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
본 고안은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로타리히터의 에어닥트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하여 연소 성능을 향상시키고, 분해 및 조립이 편리하게 이루어져 작업능률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작공정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로타리히터의 기화기 어셈블리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격벽(51)에 연소용 공기 상승구멍(52)이 뚫어진 상부 에어닥트(53)와 하부 에어닥트(54)로 각각 구성하여 상기 격벽(51)의 연소용 공기 상승구멍(52)을 일치시키고, 그 외주연에 알루미늄 테이프(60)로 감아서 일체로 형성시킨 에어닥트(50)와, 상기 격벽(51)의 중앙에 고정되는 확산모터(21)와 연동되는 확산체(22)를 구비하고, 이 확산체(22)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자펌프와 연결되는 송유관(23)이 설치되며, 상기 확산체(22)의 주위에는 파이프 히터(H)가 내장되고 하부에 연소용 공기의 유입공(24)이 설치되는 기화기(25)가 상부 에어닥트(53)에 고정되며, 이 기화기(25)의 상부에는 외주연으로 염공이 뚫어진 버너헤드(27)를 재치하고, 상기 버너헤드(27)의 염공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점화플러그(28) 및 플레임로드(32)가 버너플레이트(30)에 고정하여 구성한다.
상기 에어닥트(50)의 하부 에어닥트(54)는 송풍부(40)의 일측으로 고정설치하되, 이 송풍부(40)는 공기유입공(41)과 공기배출공(42)을 가지며 송풍모터(43)와 연동되는 송풍팬(44)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로타리히터의 기화기 어셈블리의 연소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로타리히터의 조작판넬의 운전스위치를 온(ON)시키면 기화기(25)의 파이프히터(H)가 통전하여 상기 기화기(25)를 가열하게 되고, 이 가열에 의하여 기화기(25)의 온도가 일정온도에 도달함과 동시에 송풍모터(43) 및 확산모터(21)가 구동을 하고, 이때, 상기 확산모터(21)에 회전하는 확산체(22)에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연료가 전자펌프에 의하여 송유관(23)을 거쳐 상기 확산체(22)에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확산체(22)는 확산모터(21)에 의하여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확산체(22)에 공급된 액체연료는 순간적으로 무화되어 버너헤드(27)의 염공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버너플레이트(30)에 고정된 점화플러그(28)에서 발생된 전기적 불꽃에 의하여 점화되어 연소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되는 기화기의 어셈블리는 에어닥트(50)를 구성하는 상부 에어닥트(53)와 하부 에어닥트(54)가 각각으로 형성되어 알루미늄 테이프(60)로 감싸져 일체로 형성하여 기밀을 유지하게 되어있어, 장기간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알루미늄 테이프(60)의 접착성이 저하되어 에어닥트(50) 내의 기밀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져 연소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에어닥트(50)가 상부 에어닥트(53)와 하부 에어닥트(54)로 나누어져 분해 및 조립 공정이 불편할 뿐만아니라, 제작공정도 상당히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 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로타리히터의 에어닥트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서,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하여 연소 성능을 향상시키고, 분해 및 조립이 편리하게 이루어져 작업능률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작공정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확산모터와 연동되는 확산체를 구비하고, 이 확산체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자펌프와 연결되는 송유관이 설치되며, 상기 확산체의 주위에는 파이프 히터가 내장되고 하부에 연소용 공기의 유입공이 설치되는 기화기가 형성되며, 이 기화기의 상부에는 외주연으로 염공이 뚫어진 버너헤드를 재치하고, 상기 버너헤드의 염공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점화플러그 및 플레임로드가 버너플레이트에 고정하여 구성되어, 공기유입공과 공기배출공을 가지며 송풍모터와 연동되는 송풍팬을 설치하여 구성된 송풍부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확산모터가 설치되고, 연소용 공기 통로가 형성된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단으로 상기 기화기가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기화기 어셈블리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연소 공기용 통로 10 : 지지부
20,50 : 에어닥트 25 : 기화기
30 : 버너플레이트 40 : 송풍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로서, 확산모터(21)와 연동되는 확산체(22)를 구비하고, 이 확산체(22)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자펌프와 연결되는 송유관(23)이 설치되며, 상기 확산체(22)의 주위에는 파이프 히터(H)가 내장되고 하부에 연소용 공기의 유입공(24)이 설치되는 기화기(25)가 형성되며, 이 기화기(25)의 상부에는 외주연으로 염공이 뚫어진 버너헤드(27)를 재치하고, 상기 버너헤드(27)의 염공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점화플러그(28) 및 플레임로드(32)가 버너플레이트(30)에 고정하여 구성되어, 공기유입공(41)과 공기배출공(42)을 가지며 송풍모터(43)와 연동되는 송풍팬(44)을 설치하여 구성된 송풍부(40)의 일측으로 고정편(55)에 고정스크류(56)로 고정되게 내부에 상협하광의 상측으로 상기 확산체(22)를 구동하는 확산모터(21)가 설치되고, 연소용 공기 통로(2)가 형성된 지지부(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단으로 상기 기화기(25)가 고정되게 설치된 에어닥트(2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10)의 연소용 공기 통로(2)는 송풍부(40)의 공기배출공(42)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용 공기를 상부에 위치한 기화기(25)로 원활하게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기화기 어셈블리의 연소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로타리히터의 조작판넬의 운전스위치를 온(ON)시키면 기화기(25)의 파이프히터(H)가 통전하여 상기 기화기(25)를 가열하게 되고, 이 가열에 의하여 기화기(25)의 온도가 일정온도에 도달함과 동시에 송풍모터(43) 및 확산모터(21)가 구동을 하고, 이때, 상기 확산모터(21)에 회전하는 확산체(22)에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연료가 전자펌프에 의하여 송유관(23)을 거쳐 상기 확산체(22)에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확산체(22)는 확산모터(21)에 의하여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확산체(22)에 공급된 액체연료는 순간적으로 무화되어 버너헤드(27)의 염공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버너플레이트(30)에 고정된 점화플러그(28)에서 발생된 전기적 불꽃에 의하여 점화되어 연소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에어닥트(20)를 고정하는 과정이 송풍부(40)에 형성된 고정편(55)에 고정스크류(56)로 고정하면 간단하게 에어닥트(20)가 송풍부(40) 일측에 고정된다.
상기에서, 에어닥트(20)가 일체로 형성된 관계로 종래 두개의 에어닥트로 형성되어알루미늄 테이프로 감싸던 공정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음새가 없는 관계로 에어닥트(20) 내에 완전한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연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닥트(20)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부(10)는 프레스 작업시에 포밍 및 피어싱작업하여 형성함으로, 간편하게 이루어 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로타리히터의 에어닥트를 일체로 형성하여 에어닥트의 내부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시켜 연소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작업공정이 간편하고 분해 및 조립이 편리하게 이루어져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확산모터와 연동되는 확산체를 구비하고, 이 확산체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자펌프와 연결되는 송유관이 설치되며, 상기 확산체의 주위에는 파이프 히터가 내장되고 하부에 연소용 공기의 유입공이 설치되는 기화기가 형성되며, 이 기화기의 상부에는 외주연으로 염공이 뚫어진 버너헤드를 재치하고, 상기 버너헤드의 염공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점화플러그 및 플레임로드가 버너플레이트에 고정하여 구성되어, 공기유입공과 공기배출공을 가지며 송풍모터와 연동되는 송풍팬을 설치하여 구성된 송풍부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확산모터(21)가 설치되고, 연소용 공기 통로(2)가 형성된 지지부(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단으로 상기 기화기(25)가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
KR2019960044612U 1996-11-30 1996-11-30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 KR200158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612U KR200158429Y1 (ko) 1996-11-30 1996-11-30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612U KR200158429Y1 (ko) 1996-11-30 1996-11-30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449U KR19980031449U (ko) 1998-08-17
KR200158429Y1 true KR200158429Y1 (ko) 1999-10-15

Family

ID=1947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612U KR200158429Y1 (ko) 1996-11-30 1996-11-30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4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449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8429Y1 (ko) 로타리히터용 에어닥트
KR100520226B1 (ko) 열풍기의 연소실 구조
US5834869A (en) Blower motor housing
KR19980069419A (ko) 로터리히터의 버너
KR19980041351A (ko) 로타리히터용 오일연소기의 흡입관
KR100227264B1 (ko) 오일연소기의 버너헤드
KR19980061735U (ko) 로터리히터의 연소용 공기 흡입장치
KR19980059031U (ko) 로터리히터의 연소용 2차공기 공급장치
KR0115450Y1 (ko) 로터리 히터용 에어닥트의 조립구조
KR0155487B1 (ko) 오일연소기의 대류장치
KR200162667Y1 (ko) 석유 연소기 버너링
KR0143691B1 (ko) 오일연소기
KR200158432Y1 (ko) 회전무화식 오일연소기의 연소가스 누출방지장치
KR19980059023U (ko) 송풍기능을 구비한 버너
KR0133630Y1 (ko) 로터리 히터용 점화플러그 및 플레임 로드의 고정구조
KR0135814Y1 (ko) 로터리 히터의 확산체 구동장치
KR0115449Y1 (ko) 로터리 히터용 에어닥트의 조립구조
KR0121160B1 (ko) 액체연료연소장치
KR19980058730U (ko) 오일연소기의 송유관 예열장치
KR19980061733U (ko) 로터리히터의 기화기 확산체
KR100581578B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열교환기의 도어 고정장치
KR100281070B1 (ko) 가스온풍기의분사노즐장착장치
JP4131601B2 (ja) 密閉式燃焼機器
KR100187068B1 (ko) 로터리히터의 송풍모터 제어방법
JP3841755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