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167B1 - 자려발진 하프-브릿지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이용한 유도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자려발진 하프-브릿지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이용한 유도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167B1
KR100518167B1 KR10-2002-0030952A KR20020030952A KR100518167B1 KR 100518167 B1 KR100518167 B1 KR 100518167B1 KR 20020030952 A KR20020030952 A KR 20020030952A KR 100518167 B1 KR100518167 B1 KR 100518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rminal
voltage
inverter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3404A (ko
Inventor
이종학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강선어플라이언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강선어플라이언스(주)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167B1/ko
Publication of KR20030093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2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operating from a resonant DC source, i.e. the DC input voltage varies periodically, e.g. resonant DC-link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self-oscillating arrangement
    • H02M7/5383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self-oscillating arrangement in a push-pull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가열조리기 회로에서 인버터 전력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버 회로를 집적화하여 전체 회로구성을 단순화시키는 한편, 별도의 전압보상부를 두어 입력전압값이 변동되어도 유도가열조리기의 출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정가능하며, 아울러 회로내 과전류 또는 과공진현상과 같은 이상상태 발생시 상기 드라이버 회로의 작동을 멈추게 하여 전체회로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유도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는, 교류전원입력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 및 평활하는 정류및평활부, 상기 정류및평활부로부터 직류전압을 받아서 고주파 전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인버터부,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제어부 및 유도가열조리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인버터제어부가, 상기 인버터부의 발진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출력하는 디지털형태의 제어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변환부, 자려발진을 위한 저항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변환부로부터 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통해 상기 자려발진을 위한 저항의 값을 조절하는 출력제어부, 상기 자려발진을 위한 저항 및 커패시터가 각각 저항단자(RT) 및 커패시터단자(CT)에 결합되어 상기 저항 및 커패시터의 값에 따라 상기 인버터부의 전력스위칭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자려발진하프-브리지드라이버 집적회로, 상기 인버터부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베이스로 입력받아서 상기 자려발진하프-브리지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커패시터단자(CT)를 로우(low) 또는 하이(high) 상태로 조정하며 콜렉터단자에 서로 병렬 연결된 두 개의 푸쉬풀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푸쉬풀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연결부는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자려발진하프-브리지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커패시터단자(CT)에 연결되는 제1온오프 트랜지스터, 유도가열조리기의 소비전류 감지 및 상기 상용교류전압의 입력전압값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소비전류 및 입력전압값을 측정하여 이를 중첩한 값을 출력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하는 전류감지및전압보상부 및 과전류와 과공진전원전압을 포함한 이상상태 발생시 상기 인버터부를 보호하기 위한 인버터부 보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회로 구성이 매우 단순해, 종래의 구성방식에 비해 원가가 크게 절감되고, 과전류 감지기능과 이상상태홀드부를 구비 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Description

자려발진 하프-브릿지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이용한 유도가열 조리기 {An induction heating type cooking apparatus using a self-oscilating type half-bridge driver IC}
본 발명은 유도가열조리기의 내부 회로구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가열조리기의 회로에서 인버터 전력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버 회로를 집적화하여 전체 회로구성을 단순화시키는 한편, 별도의 전압보상부를 두어 입력전압값이 변동되어도 유도가열조리기의 출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정가능하며, 아울러 회로내 과전류 또는 과공진현상과 같은 이상상태 발생시 상기 드라이버 회로의 작동을 멈추게 하여 전체회로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유도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유도가열조리기의 일반적 구성은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정류 및 평활부를 거쳐 직류로 변환한 다음 인버터부에서의 반도체 고속 스위칭 동작에 의해 유도가열 코일에 고주파 전류가 흐르도록 되어있다.
유도가열코일에 고주파 전류가 흐르면 코일을 중심으로 강한 고주파 자계가 형성되어, 유도가열코일에 근접해있는 자성체 조리용기의 표면이 가열되어 목적하는 바 열이 얻어진다.
도 1 은 종래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의 내부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도가열 조리기는 발진및HALF-BRIDGE드라이버(800)부가 여러개의 수동소자 군으로 이루어져있고, 또한 인버터 PCB(Printed Circuit Board)의 약 1/2 이상되는 면적을 차지함으로서 구성원가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유도가열 조리기는 전원전압이 상승했을 때 소비전력을 낮춰주고, 반대로 하강했을 때는 소비전력을 높여줘서 일정한 출력을 유지하게 하는 정출력 제어에 대한 고려가 되어있지 않아, 전원전압 변동에 따라 조리시간이 달라지거나, 조리한 음식의 맛이 균일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유도가열 조리기는 낙뢰와 같은 전원전압 교란상태 유발시, 이에 대한 보호대책이 미비 되어 인버터부의 전력소자(IGBT)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은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유도가열 조리기의 구성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용교류전원(10)은 브리지다이오드(20)를 통해 직류로 변환된 후 인버터부(30)에 공급된다. 인버터부(30)는 한쌍의 전력소자(IGBT)와 공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가정하며, 인버터제어부(300)에 의하여 발진주파수 및 온오프동작이 제어된다.
우선 발진및HALF-BRIDGE드라이버(800)의 내부 블록별 기능을 살펴보기로 한다. 마이크로컴퓨터(200)가 디지털 형태의 제어신호를 아날로그변환부(120)에 보내면 아날로그변환부(120)는 이를 아날로그신호로 바꾸어서 전압/주파수변환부(801)에 비교신호로 공급한다. 전류감지부(110)는 유도가열 조리기의 입력전류를 감지하여 전압/주파수변환부(801)에 모니터 값으로 되돌린다. 전압/주파수변환부(801)는 이들 두 신호간의 차가 최소화 되도록 발진주파수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단 아날로그변환부(120)의 출력값이 인버터 출력의 목표치이며, 이때의 전류감지부(110) 출력은 인버터 출력이 목표치에 와 닿았나 여부를 판단하는 참조신호에 해당한다.
전압/주파수변환부(801)는 전류감지부(110)의 출력값이 아날로그변환부(120)의 출력값보다 낮은 경우 발진주파수를 낮추고, 그 반대인 경우 발진주파수를 높인다. 이와 같이 전압/주파수변환부(801)를 구비하고, 두 신호간의 차에 따라 발진주파수가 변경되도록 한 이유는, 유도가열 조리기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함인데, 유도가열 조리기의 공진부 특성상 인가 주파수를 높이면 유도자계 강도가 약해져 소비전류가 줄어들고, 인가 주파수를 낮추면 공진부 전류가 증가하고 따라서 유도자계가 강해져 소비전류가 증가한다.
한편, 타이밍분배부(802)는 전압/주파수변환부(801)에서 전달된 하나의 연속된 발진신호를 인버터부(30)내 두 전력소자(IGBT)의 동작에 필요한 2개의 독립된 교번펄스열로 바꿔 각각 상측펄스구동부(806)와 하측펄스구동부(803)로 인가하며, 이 신호는 상측펄스구동부(806)와 하측펄스구동부(803)에서 충분한 전력으로 증폭되어 각각의 상측펄스트랜스포머(807)와 하측펄스트랜스포머(804)를 통해 상측IGBT구동부(808)와 하측IGBT구동부(805)에 인가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같이 종래의 유도가열 조리기는 발진 및 HALF-BRIDGE 드라이브 방법이 매우 복잡하여 신뢰성이 저하되고 구성 원가가 많이드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유도가열 조리기는 전원전압이 상승 또는 하강했을 때 소비전력이 변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도가열 조리기는 낙뢰와 같은 전원전압 교란상태 유발시, 인버터부의 전력소자(IGBT)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가열 조리기의 각 기능별 요소 중 IGBT 구동부분의 회로구성을 단순화하기 위해,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적용하고, 집적회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회로부로 구성된 유도가열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전압이 상승 또는 하강했을 때, 소비전력이 변동되지 않도록 전압보상 대책을 구비하여 일정출력을 유지시키고자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전압 교란시 나타나기 쉬운 이상상태(과공진 또는 과전류 현상) 발생시, 신속하게 회로동작을 정지시키는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제품의 신뢰성과 수명을 향상 시키고자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상용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는 정류및평활부(74)와; 상기 정류및평활부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고주파 전력신호로 변환하는 인버터부(80)와; 상기 인버터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인버터제어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인버터제어부(100)는 전류감지 기능과 입력전압 변동에따른 전압보상 기능이 혼합된 전류감지및전압보상부(1)와; 과전류로부터 인버터 소자를 보호하기위한 과전류감지부(2)와; 과전류 또는 과도공진상태 발생시 브레이크 신호를 발생하여 인버터를 정지시키는 이상상태홀드부(3)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버터제어부(100)는 자체적으로 발진하며, 인버터전력소자(IGBT)를 구동하기위한 드라이브 출력기능을 구비한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 집적회로(80)와; 상기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 집적회로의 발진주파수를 가변하여 출력을 제어하기위한 출력제어부(4)와; 상기 출력제어부를 활성/비활성화 하여 인버터 작동을 단속하기위한 온.오프및홀드해제부(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제어부(4)는, 발진주파수 변경을 위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간 저항변화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며, 발진주파수는 식 Fo = 1/[1.4*{(저항(42)+Rds)//저항(43)+75)}*CT)]로 주어진다.
상기 온.오프및홀드해제부(5)는, 푸쉬풀 트랜지스터(55,56)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푸쉬풀 트랜지스터의 출력 중점에 다이오드(57)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버터부(100)가 동작중인 경우에만 이상상태 보호기능이 작동하는 논리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이상상태홀드부(3)는, 과공진 신호와 과전류 신호를 논리OR로 취합하고, 정궤환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전류감지부(2)는, 인버터의 직류부 패턴상의 전위차를 증폭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류감지및전압보상부(1)는, 독취된 입력소비전류량에 입력전원 전압분을 중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고, 조리용기 감지를 위해 중첩된 입력전압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 집적회로의 내부 구성도를 중심으로 상기 집적회로의 기능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집적회로는 원래 형광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용도로 디자인 된 것이다. 상기 집적회로의 내부구성은 발진부와 HALF-BRIDGE드라이버부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발진부는 외부에 저항(RT)과 캐패시터(CT)를 붙이면 스스로 발진하는데, 이런 발진방식을 '자려발진'이라 한다. 상기 HALF-BRIDGE드라이버부는 상기 발진부에서 만들어진 상보출력신호(Q,/Q)가, 'DEAD TIME' 블록과 하나의 'PULSE GEN' 블록 및 'DELAY' 블록을 거치면서, 사구간(DEAD TIME)이 포함된 상보신호로 다듬어져 상기 집적회로의 종단부 상.하 푸쉬풀 드라이브에 각각 전달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풀 드라이브는 상측부와 하측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단자(LO)에서는 하측 전력소자(IGBT) 구동용 펄스신호를, 단자(HO)에서는 상측 전력소자(IGBT) 구동용 펄스신호를 출력 한다.
도 7은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사용된 형광램프용 전자식 안정기의 종단 출력부에 대한 일반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을 중심으로 동작원리를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형광램프(92)는 점등하기 전에는 부도체이므로, 캐패시터(90)와 인덕터(91) 및 캐패시터(93)는 등가적으로 직렬공진 상태가 된다. 캐패시터(93)는 캐패시터(90)보다 작은 용량으로 설계되어있기 때문에, 직렬공진 상태하에서는 캐패시터(90)보다 캐패시터(93)양단 전압이 더 높게되고, 이로써 형광램프(92)가 점등(방전)된다. 형광램프(92)가 일단 점등되면 방전전류가 흘러, 형광램프(92)양단의 극간 임피던스가 뚝 떨어진다. 이로써, 캐피시터(93)는 등가적으로 쇼트상태나 다름없어 직렬공진 요소로부터 배제되고, 따라서 캐패시터(90)와 인덕터(91) 두 요소에 의해 공진작용과 점등이 지속된다.
상기와 같은 형광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용도의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브(80) 집적회로를 유도가열 조리기에 적용하면, 발진부와 HALF-BRIDGE 드라이브부가 집접화 됨으로써 회로 구성이 지극히 단순해지고, 결과적으로 원가절감 목적이 달성된다. 참고로, 발진 및 HALF-BRIDGE 드라이브를 구성하는데 소요되는 부품수는, 종래의 유도가열 조리기의 경우 약47점인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집적회로를 적용하는 경우 겨우 4점에 불과하며, 차지하는 면적도 1/10 이하로 줄어든다.
본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인버터의 스위칭소자를 구동시키는 펄스발생회로로서 상기 형광램프용 전자식 안정기 용도의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브 집적회로를 적용한 것이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의 내부 회로구성에 관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유도가열조리기의 상세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교류전원입력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 및 평활하는 정류및평활부(74)와, 상기 정류및평활부로부터 직류전압을 받아서 고주파 전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인버터부(90)와,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제어부(100)와, 유도가열조리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8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도가열 조리기로서,상기 인버터제어부(100)는 상기 인버터부(90)의 발진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88)에서 출력하는 디지털형태의 제어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변환부(87); 자려발진을 위한 저항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변환부(87)로부터 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통해 상기 자려발진을 위한 저항의 값을 조절하는 출력제어부(4); 상기 자려발진을 위한 저항 및 커패시터가 각각 저항단자(RT) 및 커패시터단자(CT)에 결합되어 상기 저항 및 커패시터의 값에 따라 상기 인버터부(90)의 전력스위칭소자(82,84)를 구동하기 위한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자려발진하프-브리지드라이버 집적회로(80); 상기 인버터부(90)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88)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베이스로 입력받아서 상기 집적회로(80)의 커패시터단자(CT)를 로우(low) 또는 하이(high) 상태로 조정하는 제1온오프 트랜지스터(51);유도가열조리기의 소비전류 감지 및 상기 상용교류전압의 입력전압값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소비전류 및 입력전압값을 측정하여 이를 중첩한 값을 출력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88)에 전달하는 전류감지및전압보상부(1); 및과전류와 과공진전원전압을 포함한 이상상태 발생시 상기 인버터부(90)를 보호하기 위한 인버터부 보호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때 상기 인버터부 보호 수단은,상기 인버터부(90)의 과전류상태 또는 과공진상태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인버터부(90)의 직류부 패턴상의 전위차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과전류감지부(2); 상기 이상상태 발생신호를 별도로 인가된 기준전압과 비교하고 그 결과값을 출력하는 이상상태홀드부(3); 및상기 이상상태홀드부(3)의 비교결과값을 받아서 상기 집적회로(80)의 커패시터입력단자(CT)를 로우(low) 또는 하이(high) 상태로 조정하여 상기 집적회로(80)를 온오프(on-off) 시키고 컬렉터단자는 다이오드(57)를 통해 상기 제1온오프 트랜지스터(51)의 컬렉터단자와 연결되는 제2온오프 트랜지스터(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집적회로의 내부구성은, 외부 저항 및 캐패시터에 연결되면 자체 발진을 하도록 구성된 발진회로부와, 상기 발진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상보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 하 두개의 전력소자(IGBT)를 구동하기 위한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HALF-BRIDGE드라이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HALF-BRIDGE드라이버부는 상기 발진회로부에서 만들어진 상보출력신호가 'DEAD TIME 블록부'와 'DEAD TIME 블록부'를 거쳐 사구간(DEAD TIME)이 포함된 상보신호로 바뀌고, 이를 입력받아 서로 독립된 상 하 전력소자(IGBT)를 각기 구동하기 위한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상 하 두 개의 푸쉬풀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가열 조리기는 전원전압 이상상태(과전류 또는, 과공진) 발생시 상기 인버터부(90)를 보호하기 위해
인버터부(90)의 과전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인버터부(90)의 직류부 패턴상의 전위차를 증폭시킨 후 출력 하도록 구성된 과전류감지부(2)와,
이상상태 발생시 이를 감지 및 홀드(HOLD)하기 위해 과공진 신호와 과전류 신호를 취합하기 위한 논리 OR 회로와, 정궤환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로로서, 상기 과전류감지부(2)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도록 구성된 이상상태홀드부(3)와,
인버터를 온/오프(ON/OFF) 시키기 위한 푸쉬풀 트랜지스터(55,56)와, 상기 푸쉬풀 트랜지스터의 출력단에 연결된 다이오드(5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로로서, 상기 이상상태홀드부(3) 및 마이크로컴퓨터(88)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출력제어부(4)로 출력하는 온.오프및홀드해제부(5)와,
상용 교류전원(71)과 정류및평활부(74) 사이에서 분기된 전류 및 전압신호를 인력받아 마이크로컴퓨터(88)에 제공하고,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제어신호를 다시 입력받는 회로로서, 인버터(90)의 입력전류량 감지와 전압보상을 위해 상기 분기되어 입력된 입력소비전류량에 입력전원 전압분을 중첩하도록 구성되는 회로부와, 조리용기 감지를 위해 상기 중첩된 입력전압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류감지및전압보상부(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호회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 회로부는 다음과 같은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먼저, 상기 아날로그 변환부(87)는 마이크로컴퓨터(88)의 출력단자(P2)로부터 수 비트 바이너리(BINARY) 또는 1비트 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를 받아 적분과정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제어부(4)로 공급하며,
상기 출력제어부(4)는
아날로그변환부(87)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제1 저항을 통해 게이트로 전달받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44)와,
일측은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의 RT단자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되는 제2저항(42)과,
일측은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의 RT단자 및 제2저항(42)에 연결되고 타측은 전계효과트랜지스터(44)의 소스와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의 발진단자(CT)에 연결되는 제3저항(4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상상태 홀드부(3)는
과전류 감지부(2)로부터 출력되는 과전류 신호를 제1다이오드(31)를 통해 입력받고, 과공진 상태 발생신호를 제2다이오드(33)를 통해 입력받은 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그보다 높으면 하이(HIGH)상태를 출력하는 컴페레이터(34)와,
순간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이상신호에 대하여도 지속적인 하이(HIGH)출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컴페레이터(34)의 출력을 다시 컴페레이터의 비반전입력단에 되돌려 입력해주기 위한 정궤환 다이오드(32)와,
컴페레이터 출력단에 위치한 풀업(PULL UP)용 제1저항(37)과,
상기 다이오드들의 전류통로용 제2저항(35)으로 구성되며,
상기 온.오프및 홀드해제부(5)는
마이크로컴퓨터(88)의 출력단자중 로우 액티브(LOW ACTIVE)상태로서 집적회로(80)를 온.오프 시키기위한 명령을 출력하는 단자(P1)에 연결되는 제1온오프트랜지스터(51)와,
상기 이상상태 홀드부(3)내 컴페레이터(34)의 출력값을 제1온오프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 연결해주는 제1 다이오드(52)와,
이상상태 홀드부(3)내 컴페레이터의 출력단과 베이스가 연결된 제2온오프트랜지스터(53)와,
상기 제1 및 제2 온오프트랜지스터의 콜렉터간을 연결해주는 제2 다이오드(58)와,
제2온오프트랜지스터(53)의 콜렉터에 연결된 저항(54)과,
제2온오프트랜지스터(53)의 콜렉터에 베이스가 서로 병렬 연결된 두 개의 푸쉬풀 트랜지스터(55,56)와,
일측은 상기 두 개의 푸쉬풀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중점)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출력제어부의 상기 제3 저항(43)에 연결되는 제3 다이오드(57)로 구성되며,
상기 과전류감지부(2)는
출력값이 상기 이상상태홀드부(3)내 제1 다이오드(31)로 전달되는 OP앰프(23)와,
인버터 직류부 패턴상의 전위차를 OP앰프의 (+)단에 입력해주는 비반전입력단 저항(22) 및 반전입력단 저항(21)과,
OP앰프의 출력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다시 OP앰프의 (-)단에 입력해, 이득을 결정짓는 부궤환저항(2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류감지및전압보상부(1)는
상기 상용교류전원 및 상기 정류 및 평활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조리가열기의 소비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커렌트트랜스포머(18)와,
서로 두 개씩 직렬 연결된 다이오드의 중간 지점에 상기 커렌트트랜스포머의 한쪽 끝단이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출력단이 마이크로컴퓨터의 단자에 연결되는 브리지형 다이오드(13,14,15,16)와,
상기 브리지형 다이오드를 통해 변환된 맥류를 직류로 변환하기 충전캐패시터(17)와,
상기 브리지형 다이오드의 한쪽 입력단 및 상기 정류 다이오드에 연결된 분압저항(12)과,
상기 분압저항에 연결된 충전캐패시터(11)와,
마이크로컴퓨터가 조리용기 유.무를 판별할 때 턴.온 시키는 트랜지스터(19)로 구성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의 구성 및 동작원리에 관해 설명한다.
상용교류전원(71)은 브리지다이오드(74)를 통해 직류로 변환된후 리액터(76)를 거쳐 평활캐패시터(77)에 축적된다. 리액터(76)와 평활캐패시터(77)의 역할은 시스템 내부에서 발생된 노이즈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유도가열 조리장치에 있어서, 온.오프 동작과 출력조절 부분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마이크로컴퓨터(88)의 단자(P1)는 유도가열 조리기를 온.오프 시키기위한 명령을 출력하는 곳으로서 로우 액티브(LOW ACTIVE)상태를 갖는다. 단자(P1)가 일단 하이(HIGH)로 되면 온.오프및홀드해제부(5)의 트랜지스터(51)가 턴.온 되고, 푸쉬풀(PUSH-PULL)트랜지스터(55,56)의 중점이 로우(LOW)가되어 결국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80)의 발진단자(CT)가 다이오드(57)를 통해 로우(LOW)로 되어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80)의 동작이 정지된다. 또한 단자(P1)가 로우(LOW)로 되면 상기 논리스테이트의 반대 작용에 의해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80)의 동작이 개시된다.
마이크로컴퓨터(88)의 단자(P1)는 온.오프및홀드해제부(5)를 통해 인버터 작동을 온.오프 시키는 역할 외에도 이상상태홀드부(3)의 홀드기능을 해제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상상태홀드부(3)의 출력은 하이(HIGH) 액티브(ACTIVE)상태를 갖는다. 이상상태홀드부(3)는 컴페레이터(34)가 과전류 상태 발생시 다이오드(31)을 통해, 과공진 상태 발생시 다이오드(33)를 통해 이상신호를 받아서 기준전압(36)과 비교하여 그보다 높으면 하이(HIGH)상태를 출력한다. 그러나, 순간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이상신호에 대하여도 지속적인 하이(HIGH)출력을 유지하기 위해 출력을 정궤환 다이오드(32)를 통해 컴페레이터(34)의 비반전입력단에 되돌려 준다. 저항(37)은 컴페레이터(34) 출력의 풀업(PULL UP)용으로, 저항(35)은 다이오드(31,32,33)의 전류통로로 작용한다.
도 4는 이상상태 발생시 이상상태홀드부(3)를 포함한 관련 구성요소들의 상태 그래프를 도시한것으로서, 여기서는 과전류 현상 발생시를 예로 들었으나, 과공진 현상 발생시도 동일한 상태를 갖는다. 예로서,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이상상태홀드부(3)출력이 하이(HIGH)가 되는 경우 온.오프및홀드해제부(5)는 2가지상태중 하나를 택하게 되는데, 우선 단자(P1)가 하이(HIGH)인 경우(인버터 동작정지)는 트랜지스터(51)가 턴.온 되어있기 때문에 다이오드(52)에 의해 무시되고 말며, 반대로 단자(P1)가 로우(LOW)인 경우(인버터 동작중)는 트랜지스터(53)의 턴.온에 의해 푸쉬풀 트랜지스터(55,56)의 중점이 로우(LOW)가 되어 인버터 동작이 즉시 정지되어, 인버터부(90)의 전력소자(IGBT)가 보호된다. 또한, 이와 같이 이상상태 발생에 의해 인버터가 정지한 경우의 해제는, 단자(P1)를 잠깐 하이(HIGH)로 했다가 다시 로우(LOW)로 하면 되는데, 이는 단자(P1)가 하이(HIGH)일 때 트랜지스터(51)가 턴.온되어 다이오드(52)를 통해 컴페레이터(34)의 출력이 로우(LOW)가되고, 컴페레이터(34)의 비반전입력단 전압이 반전입력단의 기준전압(36) 보다 내려가기 때문이다.
아날로그 변환부(87)는 마이크로컴퓨터(88)의 단자(P2)로부터 수비트 바이너리(BINARY) 또는 1비트 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를 받아 적분과정을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제어부(4)로 공급한다.
상기 아날로그변환부(87)에서 만들어진 아날로그 신호는 출력제어부(4)의 저항(41)을 통해 전계효과트랜지스터(44)의 게이트에 전달되어 전계효과트랜지스터(44)의 드레인-소스간 저항값을 변화시켜, 결국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80)의 발진 주파수를 변경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80)의 발진 주파수를 변경하고자 하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도가열 조리기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80)의 발진 주파수는 식
Fo = 1/{1.4*(RT+75)*CT)}로 주어지며, 여기에서 CT는 캐패시터(45) 용량이고, 드레인-소스간(44) 저항을 Rds라 할 때 RT={(저항(42)+Rds)//저항(43)}이다. 따라서 발진주파수 Fo = 1/[1.4*{(저항(42)+Rds)//저항(43)+75)}*CT)] 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에서의 발진주파수 변경은 상기 식에서 알 수 있듯이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간 저항값을 변화시킴으로서 결국 RT값이 바뀌어 이뤄지도록 하고있다.
한 쌍의 IGBT 즉, 상측IGBT(82)와 하측IGBT(84)는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80)로부터 게이트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부하인 유도가열코일(86)에 고주파 스위칭 전류를 공급한다. 유도가열코일(86)은 공진부(6)의 공진캐패시터(61,62)와 등가적으로 직렬 공진상태로 동작한다. 유도가열코일(86)에 고주파 공진전류가 흐르면, 코일 위에 위치한 자성체 조리용기(85)의 바닥 표면에 와전류가 유기되며, 와전류는 다시 조리용기(85) 자체의 금속저항과 작용하여 우리가 얻고자하는 열로 변환된다.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80)에 접속되어있는 캐패시터(83)는 상측IGBT(82)의 게이드 구동신호를 생성하기위한 내부구동전원 축적용으로 작용한다. 공진부에 접속되어있는 저항(79)과 저항(78)은 공진전압을 감압하여 이상상태홀드부(3)의 판단 입력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과전류감지부(2)는 유도가열 조리장치의 직류부 패턴상의 미세한 전위차를 OP앰프(23)를 통해 일정한 크기로 증폭하여, 이상상태 홀드부(3)로 전달한다. 어떤 이상상태에 따라 기기의 전류흐름이 정상보다 높아지면 과전류감지부(2)의 OP앰프(23) 출력(Y2)이 이상상태홀드부(3)의 기준전압(36)보다 높아져, 결국 이상상태홀드부(3)의 출력이 하이(HIGH)가 되어 인버터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반전입력단 저항(21)과 부궤환저항(24)은 OP앰프(23)의 증폭도를 결정하는 용도이고, 비반전입력단 저항(22)은 OP앰프의 인풋 드리프트를 감소시킨다. 종래의 과전류 감지 수단은 커렌트 트랜스포머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개소의 전류를 전압으로 환산하는 것이 통례이나, 커렌트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경우 OP앰프와 같은 반도체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OP앰프를 통한 과전류 검출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는 매우 독특한 수단이기도 하다.
전류감지및전압보상부(1)는 한 블록 내에서 두 가지 역할을 담당하는데, 하나는 유도가열 조리기기의 소비전류를 감지하고, 또 하나는 입력전압을 감지하는 일이다. 여기에서, 기기의 소비전류는 커렌트트랜스포머(18)를 통해 독취되어, 브리지형 다이오드(13,14,15,16)를 통해 맥류로 변환된 후 충전캐패시터(17)를 거쳐 직류로 변환된다. 상용교류전원(71)은 정류다이오드(72,73)를 통해 맥류로 변환된 후 분압저항(75,12)에 의해 낮춰져서 충전캐패시터(11)를 통해 직류로 변환되며, 전압(V10)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88)의 전류모니터 단자(P3)에는 결국 기기의 소비 전류량에 전원전압(V10)분이 중첩되어 인가됨으로서, 마이크로컴퓨터(88)는 전원전압이 상승하여 커진 전압(V12)도 마치 소비전류가 증가한 것과 같이 인식하게 함으로서, 출력을 내리는 동작을 수행케 하여 전원전압의 상승 또는 하강과 무관하게 정출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트랜지스터(19)는 마이크로컴퓨터(88)가 조리용기 유.무를 판별할 때 턴.온되도록 하여 입력전압 중첩분을 없애도록 작용한다. 마이크로컴퓨터(88)는 조리용기 유.무를 식별할 때, 인버터의 소비전류만을 필요로 하며, 여기에 입력 전압분이 중첩되어 있으면 조리용기 식별에 지장을 받는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88)는 조리용기 식별동작을 수행할 때 단자(P4)를 하이(HIGH)로 하여 트랜지스터(19)를 턴.온 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전원전압 변동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88)의 모니터전압(V12) 추종 모습을 보여준다. 도5의 첫번째 그래프는, 도 3의 전류감지 및 전압보상부에 있어서, V11 노드의 전류값, 두번째 그래프는 V12를 평활한 것으로서 전압보상전의 전류값, 세번째 그래프는 V10 노드의 입력전압값, 네번째 그래프는 V12 노드에 V11 값을 더한, 즉 전압보상 후의 전류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입력전압(V10 노드의 전압)이 정격보다 높아지면 그에 비례한 전압값을 전류감지값에 보태주어, 결국 전류가 증가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내도록 함으로서, 마이크로컴퓨터(88)는 오로지 전류가 증가한 것으로 알고 출력을 낮추는 작동을 수행한다. 이로써, 목적하는 바 전압보상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유도가열 조리기에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적용함으로서, 종래의 발진 및 HALF-BRIDGE 드라이브 회로 구성방식에 비해 적은 수의 회로소자를 사용하여 간단한 구성을 지니며, 이에 따라 원가절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과전류 검출방법으로 OP앰프를 통해 유도가열 조리장치의 직류부 패턴상의 전위차를 증폭하여 얻어냄으로서, 커렌트 트랜스포머를 사용하는 종래의 회로 구성방식에 비해 원가절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원전압이 상승 또는 하강했을 때, 소비전력이 변동되지 않도록 전압보상 대책을 구비함으로서, 일정출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과전류 감지기능과 이상상태홀드 작용에 의해 시스템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의 내부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의 내부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조리기의 내부구성에 관한 상세회로도.
도 4 는 이상상태 발생시 안전모드 진입과정을 도시한 그래프.
도 5 는 입력전압 변동에 따른 출력보상을 위한 신호합성 과정을 도시한 그래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한 유도가열 조리기의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 집적회로의 내부 구성도.
도 7 은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이용한 형광램프용 전자식 안정기의 종단부 상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1 : 전원부 74 : 정류및평활부
90 : 인버터부 85 : 조리용기
86 : 유도가열코일 1 : 전류감지및전압보상부
80 :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 2 : 과전류감지부
87 : 아날로그변환부 4 : 출력제어부
3 : 이상상태홀드부 5 : 온.오프및홀드해제부
88 : 마이크로컴퓨터 100 : 유도가열제어부

Claims (11)

  1. 교류전원입력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정류 및 평활하는 정류및평활부;
    상기 정류및평활부로부터 직류전압을 받아서 고주파 전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인버터부;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제어부; 및
    유도가열조리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유도가열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제어부는
    상기 인버터부의 발진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출력하는 디지털형태의 제어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변환부;
    자려발진을 위한 저항 및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변환부로부터 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통해 상기 자려발진을 위한 저항의 값을 조절하는 출력제어부;
    상기 자려발진을 위한 저항 및 커패시터가 각각 저항단자(RT) 및 커패시터단자(CT)에 결합되어 상기 저항 및 커패시터의 값에 따라 상기 인버터부의 전력스위칭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자려발진하프-브리지드라이버 집적회로;
    상기 인버터부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베이스로 입력받아서 상기 자려발진하프-브리지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커패시터단자(CT)를 로우(low) 또는 하이(high) 상태로 조정하며 콜렉터단자에 서로 병렬 연결된 두 개의 푸쉬풀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두 개의 푸쉬풀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연결부는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자려발진하프-브리지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커패시터단자(CT)에 연결되는 제1온오프 트랜지스터;
    유도가열조리기의 소비전류 감지 및 상기 상용교류전압의 입력전압값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소비전류 및 입력전압값을 측정하여 이를 중첩한 값을 출력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하는 전류감지및전압보상부; 및
    과전류와 과공진전원전압을 포함한 이상상태 발생시 상기 인버터부를 보호하기 위한 인버터부 보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제어부는
    상기 아날로그변환부에서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제1 저항을 통해 게이트로 전달받음으로써 드레인-소스간의 저항값이 변화되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일측은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의 저항단자(RT)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되는 제2 저항; 및
    일측은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의 저항단자(RT) 및 제2 저항에 연결되고 타측은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의 소스와 자려발진HALF-BRIDGE드라이버의 커패시터단자(CT)에 연결되는 제3 저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 보호수단은,
    상기 인버터부의 과전류상태 또는 과공진상태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인버터부의 직류부 패턴상의 전위차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과전류감지부;
    상기 이상상태 발생신호를 별도로 인가된 기준전압과 비교하고 그 결과값을 출력하는 이상상태홀드부; 및
    상기 이상상태홀드부의 비교결과값을 받아서 상기 집적회로의 커패시터입력단자(CT)를 로우(low) 또는 하이(high) 상태로 조정하여 상기 집적회로를 온오프(on-off) 시키고 컬렉터단자는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제1온오프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자와 연결되는 제2온오프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상태 홀드부는,
    상기 과전류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과전류 신호를 제1 다이오드를 통해 입력받고, 과공진 상태 발생신호를 제2 다이오드를 통해 입력받은 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그보다 높으면 하이(HIGH)상태를 출력하는 컴페레이터;
    순간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이상신호에 대하여도 지속적인 하이(HIGH)출력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컴페레이터의 출력을 다시 컴페레이터의 비반전입력단에 되돌려 입력해주기 위한 정궤환 다이오드;
    상기 컴페레이터 출력단에 위치한 풀업(PULL UP)용 제1저항; 및
    상기 다이오드들의 전류통로용 제2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감지부는
    상기 인버터 직류부 패턴상의 전위차를 증폭하여 상기 이상상태홀드부내 제1 다이오드로 출력하는 OP앰프;
    상기 인버터 직류부 패턴상의 전위차를 상기 OP앰프의 (+)단에 입력해주는 비반전입력단 저항 및 반전입력단 저항; 및
    상기 OP앰프의 출력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다시 상기 OP앰프의 (-)단에 입력함으로써 이득을 결정짓는 부궤환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감지및전압보상부는
    상기 상용교류전원 및 상기 정류 및 평활부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조리가열기의 소비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커렌트트랜스포머;
    서로 두 개씩 직렬 연결된 다이오드의 중간 지점에 상기 커렌트트랜스포머의 한쪽 끝단이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출력단이 마이크로컴퓨터의 단자에 연결되는 브리지형 다이오드;
    상기 브리지형 다이오드를 통해 변환된 맥류를 직류로 변환하기 충전캐패시터;
    상기 브리지형 다이오드의 한쪽 입력단 및 상기 정류 다이오드에 연결된 분압저항;
    상기 분압저항에 연결된 충전캐패시터; 및
    마이크로컴퓨터가 조리용기 유·무를 판별할 때 턴·온 시키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조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려발진하프-브리지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상기 출력제어부의 저항 및 커패시터와 결합함으로써 자려발진을 위한 상보신호를 출력하는 발진회로부 및 상기 상보신호를 받아서 상기 인버터부의 전력스위칭소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펄스신호발생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11. 삭제
KR10-2002-0030952A 2002-06-03 2002-06-03 자려발진 하프-브릿지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이용한 유도가열 조리기 KR100518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952A KR100518167B1 (ko) 2002-06-03 2002-06-03 자려발진 하프-브릿지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이용한 유도가열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952A KR100518167B1 (ko) 2002-06-03 2002-06-03 자려발진 하프-브릿지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이용한 유도가열 조리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948U Division KR200288125Y1 (ko) 2002-06-03 2002-06-03 자려발진 하프-브릿지 드라이버 집적소자를 이용한유도가열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404A KR20030093404A (ko) 2003-12-11
KR100518167B1 true KR100518167B1 (ko) 2005-10-04

Family

ID=3238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952A KR100518167B1 (ko) 2002-06-03 2002-06-03 자려발진 하프-브릿지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이용한 유도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1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009B1 (ko) 2007-06-28 2008-12-26 쿠쿠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기기의 전력 보상 장치
US20210068210A1 (en) * 2019-08-29 2021-03-04 Delta Electronics, Inc. Induction cook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594A (ko) * 2002-08-23 2004-03-04 남병성 전자기유도가열장치
KR100873716B1 (ko) * 2007-02-07 2008-12-12 (주)피앤케이하이테크 인버터 회로
KR102172413B1 (ko) 2017-10-11 2020-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도 가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363A (ja) * 1993-07-30 1995-02-14 Tokin Corp 負荷回路異常検出装置
KR100321964B1 (ko) * 1998-01-05 2002-02-02 인터내셔널 렉터파이어 코퍼레이션 전집적 안정기 집적회로
JP2003077636A (ja) * 2001-08-31 2003-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363A (ja) * 1993-07-30 1995-02-14 Tokin Corp 負荷回路異常検出装置
KR100321964B1 (ko) * 1998-01-05 2002-02-02 인터내셔널 렉터파이어 코퍼레이션 전집적 안정기 집적회로
JP2003077636A (ja) * 2001-08-31 2003-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009B1 (ko) 2007-06-28 2008-12-26 쿠쿠전자주식회사 유도 가열 기기의 전력 보상 장치
US20210068210A1 (en) * 2019-08-29 2021-03-04 Delta Electronics, Inc. Induction cooker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404A (ko)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6985B1 (ko) 고주파인버터및그것을응용한유도가열조리기
US10326377B1 (en) Circuit and method for indirect primary-side load current sensing in an isolated power supply
US7176424B2 (en)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04514250A (ja) 複数の放電灯に対する電圧調整された電子的な安定器
KR100620479B1 (ko) 전압-전류 위상 관계에 의해 조정되는 점등 주파수를가지는 냉음극 형광등을 위한 고정 동작 주파수 인버터
US20090251065A1 (en)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One LED
US20020140370A1 (en) Driving a hid lamp
KR100518167B1 (ko) 자려발진 하프-브릿지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이용한 유도가열 조리기
US7190596B2 (en) Resonant converter with phase controlled switching
KR200288125Y1 (ko) 자려발진 하프-브릿지 드라이버 집적소자를 이용한유도가열 조리기
KR100508844B1 (ko) 전파 센스 증폭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방전 램프 인버터
TW200418347A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current flowing through a gas discharge lamp
JP428072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835975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356270B1 (ko) 초절전형 중앙집중식 전자안정기
KR0158503B1 (ko) 유도가열조리기용 직렬공진형 컨버터시스템
KR200215726Y1 (ko) 초절전형 중앙집중식 전자안정기
US20220224235A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of isolated converter
JPH07147780A (ja) 電源装置
KR100292382B1 (ko) 펄스폭변조회로및그를이용한인버터구동장치
JP3584678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920007544B1 (ko) 인버터 구동 전자레인지의 보호 회로
JPH0495386A (ja) 高周波加熱調理装置
KR100361027B1 (ko) 전자렌지
JPH11135288A (ja) 放電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