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297B1 - 오버몰딩접착력이증진된열가소성탄성중합체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버몰딩접착력이증진된열가소성탄성중합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297B1
KR100517297B1 KR1019970048450A KR19970048450A KR100517297B1 KR 100517297 B1 KR100517297 B1 KR 100517297B1 KR 1019970048450 A KR1019970048450 A KR 1019970048450A KR 19970048450 A KR19970048450 A KR 19970048450A KR 100517297 B1 KR100517297 B1 KR 10051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elastomer
elastomer composition
weight
molecular weight
average mole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906A (ko
Inventor
마이클존 모딕
Original Assignee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filed Critical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Publication of KR19980024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4Thermoplastic elasto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중합 모노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수지상 말단-블록 및 중합 공액 디엔의 탄성 중합체 중간-블록을 가지는 수소화된 탄성 블록 공중합체;
가소제;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과 그래프팅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 고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오버몰딩 극성 중합체 형상물의 제조 방법; 오버몰딩 극성 중합체 형태물; 및 오버몰딩 극성 중합체 형상물를 함유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버몰딩 접착력이 증진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본 발명은 우수한 오버몰딩 접착력을 가지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과 같은 극성 기질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탄성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올레핀과 상용성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ABS와 같은 극성 매트릭스/기질 상에서의 그 용도는 블록 공중합체와 상기 기질 간의 저조한 상용성으로 인하여 제한된다. 특히, 많은 경우에 있어서, 경질 기질 상에 유연한 고무 물품을 직접 오버몰딩함으로써, 유연한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많은 유연한 고무 탄성체의 용도는 탄성체와 기질간의 상용성이 없기 때문에 제한된다. 고무 코팅은 기질에 잘 접착되지 않으며, 사용에 따라 벗겨진다. 폴리카보네이트 및 ABS와 같은 경질(극성) 기질에 잘 접착되는 유연한 고무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이 요구된다.
그러한 조성물이 이제 놀랍게도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중합된 모노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수지상 말단-블록 및 중합된 공액 디엔의 탄성 중합체 중간-블록을 가지는 수소화된 탄성 블록 공중합체;
가소제;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과 그래프팅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 고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과 그래프팅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 고무(EPDM) 및 수소화된 탄성 블록 공중합체의 조합시킴으로써, 특히 폴리올레핀보다 더 극성인 극성 중합체와 같은 극성 기질에 대한 접착 성능이 증진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이 생성됨을 발견하였다.
본원에서의 용도로 적합한 탄성 블록 공중합체는 U.S. 5,194,530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탄성 블록 공중합체는 적어도 두 개의 중합된 모노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수지상 말단-블록을 가짐으로써, 수지 부분을 생성하고, 중합된 공액 디엔의 탄성 중합체 중간-블록을 가짐으로써, 탄성 중합체 부분을 생성한다. 블록 공중합체는 A-B-A 또는 (A-B)nX와 같이 선형이거나, (A-B)PX와 같이 방사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에서, A는 중합된 모노비닐 방향족 블록을 나타내며; B는 중합된 공액 디엔 블록을 나타내며; X는 커플링제를 나타내며; n은 2이며, p는 2 이상,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이다.
적합한 모노비닐 방향족 화합물은 스티렌 및 알파-메틸스티렌과 파라-메틸스티렌과 같은 스티렌 동족체에 의하여 예시되는 바와 같은 8 내지 20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것들을 포함한다. 스티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공액 디엔은 4 내지 8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것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공액 디엔의 예는, 1,3-부타디엔 (부타디엔), 2-메틸-1,3-부타디엔 (이소프렌), 1,3-펜타디엔 (피페릴렌), 1,3-옥타디엔, 및 2-메틸-1,3-펜타디엔이다. 바람직한 공액 디엔은 부타디엔과 이소프렌, 가장 바람직한 것은 부타디엔이다. 공액 디엔 블록은 또한 두 개 이상의 상이한 공액 디엔 단량체로 형성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50,000일 것이다. 선형 중합체의 경우,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50,000 내지 300,000의 범위 내이다. 사실상, 상한은 점도를 고려하여 지정한 것으로서, 용인될 수 있고 여전히 가공될 수 있는 만큼 높을 것있다. 선형 공중합체에 대하여 가장 바람직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0 내지 185,000이다. 방사형 중합체는 주어진 총 분자량에 대하여 저 점성을 가지므로, 그 중량 평균 분자량은 훨씬 더 높을 수 있다. 따라서, 방사형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50,000 내지 1,000,000,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500,000이다.
첫번째 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는 선형으로 50,000 내지 180,000, 바람직하게는 175,000 미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두번째 블록 공중합체가 첫번째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보다 높은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첫번째 및 두번째 블록 공중합체의 블렌드와 같은 상이한 블록 공중합체 블렌드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두번째 블록 공중합체는 적어도 100,000,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500,000,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75,000 내지 3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000 이상 내지 30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두번째 블록 공중합체는 선형이다.
선형 또는 블록 공중합체에 관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자량"은 GPC 시스템을 폴리스티렌 표준으로 적절하게 보정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하여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음이온 중합된 선형 중합체 내의 중합체는 본질적으로 단-분산되며, 관측된 좁은 범위의 분자량 분포의 최고 분자량을 기록하는 것이 편리한 동시에 적절하다. 상기 방법은 U.S. 5,229,464 호를 포함하는 특허에 공지되어 있으며, 잘 기술되어 있다. 스티렌(폴리스티렌으로)은 보정 표준으로 사용되므로, 측정에 의하여 스티렌 말단-블록의 절대 분자량을 직접 산출된다. 존재하는 스티렌의 분자량 및 백분율을 알면, 중간-블록 부분의 절대 분자량을 계산해낼 수 있다. 중합의 첫번째 단계 후에 제거된 다음 개시제를 불활성시킴으로써 종결되는 분취량에 대하여 분자량을 측정한다.
GPC를 이용하여 최종 커플링된 오버몰딩 또는 방사형 공중합체의 실제 분자량을 측정하기란 그리 간단하지 않다. 성상형 분자는 보정에 사용되는 선형 중합체와 동일한 방식으로 분리되지 않으며, 충진된 GPC 칼럼을 통과하지 않는다. 따라서, UV 또는 굴절율 검출기에의 도착 시간은 분자량의 적절한 지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성상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GPC 대신 광 산란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샘플을 적절한 용매 내에 용매 100 ml 당 샘플 1 g 미만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킨 후, 주사기 및 세공 크기가 0.5 미크론 미만의 다공막 필터를 이용하여 광 산란 셀 내로 직접적으로 여과시킨다. 표준 방법을 이용하여 중합체 농도와 산란 각의 함수로 광 산란 측정을 수행한다. 동일한 파장에서, 광 산란에 사용되는 동일한 용매 내에서, 샘플의 시차 굴절율(DRI)을 측정한다. 이로써 방사형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에 근접하는 분자량 값이 산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본원에서 언급되는 분자량 값 및 범위는 중량 평균 분자량 값 및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탄성 블록 공중합체는 수지상 블록 성분의 불포화에는 유의할만한 변화없이 탄성 중합체 블록의 불포화를 감소시킬 정도로 수소화된다. 일반적으로, 디엔 중간-블록 내의 불포화의 적어도 90%가 수소화되고, 25%,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의 방향족 불포화가 수소화된다. 그러한 수소화 기술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US 재발행 27,145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록 공중합체는 수소화되어 지방족 불포화를 제거시키므로, 이는 S-EB-S 중합체 또는 (S-EB)(n 또는 p)X 로 간주될 수 있으며, 여기서 S는 모노비닐 방향족, 일반적으로 스티렌, 말단-블록을 나타내며, EB는 중합된 1,3-부타디엔의 수소화 결과의 구조인 에틸렌/부틸렌을 나타내며, n, p 및 X는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탄성 블록 공중합체 및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ABS와 같은 경질 기질과 모두 상용성인 SAN-그래프트 EPDM을 추가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서 잘 작용하는 것으로 발견된 SAN-그래프트 EPDM의 예는 ROYALTUF 372P20 및 ROYALTUF 372C이다(ROYALTUF은 상표명). ROYALTUF 372P2C는 SAN 수지와 그래프팅된 에틸렌/프로필렌/비-공액 디엔(EPDM) 탄성체이다. 이중 나사 압출기 내의 강렬한 처리가 상의 역전을 유도할 수 있으나, EPDM은 연속 SAN 내에 균일한 분산상으로 존재한다. ROYALTUF 372P20은 0.98의 비중 및 265℃, 21600 g의 부하에서 20 g/10 min의 용융 지수를 가지는 대략 50/50 SAN/EPDM이다. ROYALTUF 372C는 반응기로부터의 순수 조각인 점을 제외하고 ROYALTUF 372P20과 유사하다. SAN은 연속 EPDM 내에 분산상으로 존재한다. ROYALTUF 372C는 265℃, 21600 g 부하에서 0.01 g/10 min 미만의 용융 지수를 가진다. ROYALTUF 372P20은 혼합의 용이성 및 화합물 내의 분산도로 인하여 바람직하다.
(중간-블록) 가소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된다. 사용되는 가소제는 전형적으로 탄성 블록 공중합체의 탄성 중합체 중간-블록 부분과 상용성이며, 방향족 말단-블록 부분에는 어떤 유의할 만한 정도로도 통합되지 않는 오일이다. 따라서, 오일은 파라핀계로 간주될 수 있다. 탄성 중합체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파라핀계 오일은 분해되지 않고 탄성 중합체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함께 용융 가공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중요한 것은 최종 조성물의 용융 압출 성능이다. 우수한 오일은 Pennzoil Company의 Pennreco Division으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DRAKEOL 34로서 시판되는 백 색의 미네랄 오일이다(DRAKEOL은 상표명). DRAKEOL 34는 51℃ 에서 0.864 내지 0.878의 비중, 238℃의 인화점 및 38℃에서 370 내지 420 SUS의 점성(0.8 내지 0.9 cm2/초)을 가진다. 적절한 식물성 오일 및 동물성 오일 또는 그 유도체가 또한 가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기타 적절한 오일은 수소화된 나프탈렌과 같은 수소화된 물질을 포함한다. 본래 초기에는 방향족인 물질은 유의할만한 수준의 불포화도 나타내지 않거나 기껏해야 매우 낮은 수준, 전형적으로 5 중량% 이하의 불포화를 나타내는 정도로까지 수소화시켜야 한다.
유동 프로모터 또는 말단-블록 수지가 또한 첨가될 수 있다. 유동 프로모터는 열가소성 탄성체의 보다 나은 "엣-아웃(wet-out)"과, 이에따라 탄성체와 기질 간의 보다 나은 접촉을 제공함으로써, 증진된 접착력을 유도한다. 바람직하게는, 유동성 증진제는 스티렌 수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로(50 중량% 이상의) α-메틸스티렌 수지이다. 우수한 결과를 생성하는 유동 프로모터의 예는 KRISTALEX 1120이다(KRISTALEX는 상표명). KRISTALEX 1120은 주로 α-메틸스티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무색투명한, 저 분자량 열가소성 탄화수소 수지이다. KRISTALEX 1120은 25/25℃에서 1.07의 비중, 236℃의 인화점 및 25℃에서 50 cm2/초의 점성(스토크)을 가진다. 3 내지 10 중량%의 유동 프로모터를 추가시키면 우수한 결과가 제공된다.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은 올레핀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올레핀 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 공중합체 블록과 상용성이다.
바람직한 올레핀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이다. 올레핀 중합체가 존재한다면, 이는 전형적으로 조성물의 2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중량%, 특히 5 내지 10 중량%를 구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소화된 탄성 블록 공중합체, SAN-그래프트 EPDM 및 (중간-블록) 가소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혼합은, 배합된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5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 중량%의 블록 공중합체, 35 내지 45 중량%의 가소제(특히 오일) 및 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8 중량%의 SAN-그래프트 EPDM이다.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KRISTALEX 1120과 같은 유동 프로모터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조성물에는 가교제가 사용되지 않는다. 이는 물론 안정화라는 통상적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안정제와 같은 물질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안정제의 예는 U.S. 4,835,200 호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장해-페놀, 특히 Ciba Geigy에 의하여 상표명 IRGANOX 1010으로 시판되는 테트라키스 [메틸렌 (3,5-디-3급-부틸-4-히드로옥시히드로시나메이트)] 메탄과 같은 덜 휘발성인 장해-페놀 단독이거나, 또는 DLTDP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티오-상승제와 배합된 장해-페놀이다. 안정제는 전형적으로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첫번째 블록 공중합체 및 가소제가 기타 성분과의 블렌딩 이전에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ABS와 같은 극성 매트릭스/기질 상으로의 직접적인 오버몰딩에 특히 유용하다. 잠재적인 사용에는 자동 기계 판넬, 손잡이, 버튼, 펜/연필 손잡이, 구획식 전화기, 치솔, 운전대, 및 기구 손잡이를 포함한다. 조성물은 또한 동시-압출, 동시-압출 성형, 이중-사출 성형, 삽입 성형 또는 샌드위치 성형될 수 있다. 따뜻한 기질 상으로의 성형 및/또는 에이징이 접착력 증진에 유용한 것으로 믿어진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을 압출시켜 압출물을 형성하고; 극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형상물을 형성하고; 및 압출물을 극성 중합체 상으로 성형하여 오버몰딩 극성 중합체 형상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오버몰딩 극성 중합체 형상물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압출물을 주입하고, 따뜻한 극성 중합체 형상물로 성형한다. 대안적으로, 압출물을 극성 중합체와 함께 동시-압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극성 중합체를 힘유하는 제 1 층 및 본 발명에 의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 1 층으로 오버몰딩된 제 2 층을 포함하는 오버몰딩 극성 중합체 형상물, 및 오버몰딩 극성 중합체 형상물을 함유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 오버몰딩 극성 중합체 형상물을 에이징 처리에 투입함으로써, 접착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입증될 것이다.
실시예
다양한 양의 블록 공중합체, 오일, SAN-그래프트 EPDM, 폴리프로필렌, 및 유동 프로모터를 가지는 실험 조성물 열 여섯개를 제조한다. 첫번째 블록 공중합체 (조각 형상물) 및 오일을 손으로 또는 믹서로 함께 혼합한다. 일단 오일이 조각에 의하여 흡수되면, 잔류 성분을 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회전-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압출 호퍼에 가하고, 동시-회전, 인터메싱 이중 나사 압출기에 투입한다. 이 혼합물을 300 rpm 및 230 내지 240℃의 융점에서 압출시킨다. 압출물을 스트랜드-컷팅에 의하여 펠리트로 형성시킨다.
오버몰딩 접착 표본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출 성형 기계에 두 개의 상이한 두께의 플라그를 성형시킬 수 있는 삽입 주형을 설치한다. 첫째로, 요구되는 기질 물질(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ABS)를 0.32 cm(0.125 inch) 두께의 플라그로 성형시킨다. 그리고 나서, 더 두꺼운 플라그의 성형을 허용하기 위하여 삽입 성형을 변형시킨다. 마스킹 테이프의 스트립을 성형 방향과 평행하게 예비-성형된 플라그의 한 쪽 말단에 놓는다. 그리고 나서, 예비-성형된 기질 플라그를 삽입 주형 내로 다시 위치시키고, 실행 조성물을 주형 공동 내로 투입시킴으로써, 기질 물질위에 대략 0.25 cm(0.100 inch) 두께의 커버링을 형성시킨다.
90°박리 접착력 시험을 위하여, 오버몰딩된 플라그를 유동 방향과 수직으로 2.54 cm(1 inch) 폭의 스트립으로 자른다. 마스킹 테이프가 위치한 플라그 상의 영역은 시험 중에 오버몰딩된 플라그의 화합물 부분을 그리핑하기 위한 영역으로 작용한다.
표본 크기 (1″× 8″(2.54 ×15.24 cm)에 대하여 1″× 6″(2.54 ×15.24 cm)) 및 시험 속도 (2 inch/min 5.08cm/min)에 변형을 가하여 ASTM D-903에 의하여 시험을 수행한다. 주위 온도 하에(약 75 내지 79℉(23.9 내지 25.6℃)) INSTRON (상표명) 시험 기계 상에서 시험을 수행한다. 초기의 박리력 및 평균 박리력을 측정한다. 박리의 시작으로 인하여 접착력 시험 커브 상의 커브가 갑자기 경사지는 지점에서 초기의 박리력을 측정한다. 평균 박리력은 대부분의 박리 중에 실질적인 수평 경사의 평균이다.
실시예 1
SAN-그래프트 EPDM 및 폴리프로필렌이 다양하게 첨가된 동일한 공중합체를 가지는 조성물 상에서 첫번째 세트의 시험 실행을 수행한다. 시험 실행 조성물 및 접착력 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at00001
SAN-그래프트 EPDM의 첨가(조성물 2 내지 9)함으로써 접착력이 상당히 증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SAN-그래프트 EPDM 수준이 15 중량%를 초과하여 증가하는 경우에, AB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접착력은 증진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조성물 6, 8 및 9).
실시예 2
두 개의 공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공중합체를 가지는 조성물에 대하여 두번째 세트의 시험을 수행한다. 시험 실행 조성물 및 접착력 시험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at00002
다양한 수소화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및 블록 공중합체의 혼합물이 ABS 및 폴리카보네이트에의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생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유동 프로모터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하여 세번째 세트의 시험 실행을 수행한다. 시험 실행 조성물 및 접착력 시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pat00003
유동 프로모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열가소성 탄성체의 유동이 증가한다(조성물 14, 15 및 16은 230/2.16 kg 부하에서, 각각 0.12, 0.18 및 0.83 g/10 min의 용융 유동 지수를 가진다). 유동 증진은 기질에의 접착력 증진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증적 목적으로 상세히 기술되는 것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그 사상 및 범위 내의 모든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1)

  1. 두 개 이상의 중합 모노비닐 방향족 화합물의 수지상 말단-블록 및 중합 공액 디엔의 탄성 중합체 중간-블록을 가지는 수소화된 탄성 블록 공중합체 32 내지 65 중량%, 상기에서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스티렌 표준으로 보정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결정되는 50000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짐;
    가소제 20 내지 45 중량%;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과 그래프팅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 고무 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극성 기질에 대한 우수한 오버몰딩 접착력을 가진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상 말단-블록이 중합 스티렌을 포함하고, 탄성 중합체 중간-블록이 지방족 불포화를 제거시키도록 수소화된 중합 1,3-부타디엔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소화된 탄성 블록 공중합체가 50,000 내지 500,000의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유동 프로모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유동 프로모터가 주로 α-메틸스티렌으로부터 유도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유동 프로모터가 3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올레핀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올레핀 중합체가 3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수소화된 블록 공중합체가, 제 1 블록 공중합체는 선형으로 50,000 내지 180,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제 2 블록 공중합체는 첫번째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보다 높은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블록 공중합체의 블렌드인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
  10. 제 1 항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의 압출물을 극성 중합체 상의로 성형시키는 방법.
  11. 극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제 1 층, 및 제 1 항에 따른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제 1 층상에 오버몰딩된 제 2 층을 포함하는, 제 11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성물.
KR1019970048450A 1996-09-26 1997-09-24 오버몰딩접착력이증진된열가소성탄성중합체조성물 KR100517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21644 1996-09-26
US08/721644 1996-09-26
US08/721,644 US5969034A (en) 1996-09-26 1996-09-26 Block copolymers with improved overmolding adhe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906A KR19980024906A (ko) 1998-07-06
KR100517297B1 true KR100517297B1 (ko) 2006-01-12

Family

ID=2489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450A KR100517297B1 (ko) 1996-09-26 1997-09-24 오버몰딩접착력이증진된열가소성탄성중합체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969034A (ko)
EP (1) EP0832931B1 (ko)
JP (1) JPH10101895A (ko)
KR (1) KR100517297B1 (ko)
CN (1) CN1116354C (ko)
BR (1) BR9704864A (ko)
DE (1) DE69708815T2 (ko)
ES (1) ES2168571T3 (ko)
TR (1) TR199701043A3 (ko)
TW (1) TW5273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821999A (en) * 1998-04-20 1999-11-08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polyvinylarene composition and polyvinylarene compositions
US7196137B2 (en) 2002-02-08 2007-03-27 Teknor Apex Company Polymer compositions
EP1582563A1 (en) * 2004-03-31 2005-10-05 KRATON Polymers Research B.V. Hydrogenated styrenic block copolymer compositions with improved high temperature overmolding properties
EP2054227B1 (de) 2006-08-10 2010-04-28 Brau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erzeugnisses mit selektiver galvanisierung
DK2616492T3 (da) * 2010-09-17 2016-02-22 Saint Gobain Performance Plast Fleksibelt materiale og genstande fremstillet heraf
US9127153B2 (en) * 2012-11-02 2015-09-08 Henkel IP & Holding GmbH Molding and overmolding compositions for electronic devices
RU2728997C2 (ru) * 2015-07-24 2020-08-03 Динасоль Эластомерос С.А. Гидрированный каучук с улучшенными эксплуатационны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в термопластических эластомерных композициях
CN108227380B (zh) * 2016-12-12 2021-06-18 上海甚龙新材料技术有限公司 消除各向异性的感光树脂柔性版及其制成的柔性印刷版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17A (en) * 1861-04-30 Beehive
UST962011I4 (en) * 1977-04-25 1977-09-06 Shell Oil Company Coextruded laminate
US4397987A (en) * 1980-07-14 1983-08-09 Uniroyal, Inc. Nitrile rubber/EPDM graft blends
DE3035637A1 (de) * 1980-09-20 1982-05-06 Basf Ag, 6700 Ludwigshafen Thermoplastische formmasse, verwendung der formmasse, sowie formteile aus dieser
US4391863A (en) * 1981-10-23 1983-07-05 Composite Container Corporation Peel resistant coextruded sheet
EP0096301A2 (de) * 1982-06-08 1983-12-21 Bayer Ag Einphasige Polymermischungen
US4444840A (en) * 1982-08-09 1984-04-24 Uniroyal, Inc. Calendered AES film
EP0107303B1 (en) * 1982-09-24 1988-07-06 UNIROYAL CHEMICAL COMPANY, Inc. Impact resistant blend and method for making it
US4493921A (en) * 1982-09-24 1985-01-15 Uniroyal, Inc. Impact resistant blend
USRE32217E (en) 1982-11-12 1986-07-29 The Dow Chemical Company Graft copolymerization process
US4476283A (en) * 1982-11-12 1984-10-09 Uniroyal, Inc. Graft copolymerization process
US4550138A (en) * 1984-04-23 1985-10-29 Uniroyal, Inc. 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impact strength
DE3429523A1 (de) * 1984-08-10 1986-02-20 Alkor GmbH Kunststoffe, 8000 München Schaumlaminatfolie oder -bahn
CA1238439A (en) * 1984-11-20 1988-06-21 Hiroshi Kawasaki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P0203425A1 (en) * 1985-05-13 1986-12-03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ion of a copolymer of an olefin and an acrylate monomer and a block copolymer of vinylaromatic and aliphatic diene
US4638033A (en) * 1985-12-23 1987-01-20 General Electric Company Resinous composition of a carbonate resin and a grafted derivative of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 exhibiting improved resistance to organic solvents
US4780506A (en) * 1987-04-16 1988-10-25 Uniroyal Chemical Company, Inc. Impact resistant polyethylene terephthalate/polycarbonate blends
US4814381A (en) * 1987-04-16 1989-03-21 Uniroyal Chemical Company, Inc. Impact resistant polyethylene terephthalate/polycarbonate blends
US4895899A (en) * 1987-12-23 1990-01-23 Uniroyal Chemical Company, Inc. Impact resistant polyethylene terephthalate/polycarbonate/polyethylene graft copolymer blends
USH1022H (en) * 1991-01-09 1992-02-04 Shell Oil Company Soft paintable polymer composition
US5356705A (en) * 1992-01-09 1994-10-18 The Dow Chemical Company Laminated, weatherable film-capped siding structure
FR2717487B1 (fr) * 1994-03-16 1998-06-26 Atochem Elf Sa Composition de liant de coextrusion et complexe multicouche coextrudé dans lequel ladite composition est utilisée comme couche adhésive.
US5814702A (en) * 1996-02-20 1998-09-29 General Electric Company Elastomer composition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odified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199701043A2 (xx) 1998-04-21
CN1178809A (zh) 1998-04-15
CN1116354C (zh) 2003-07-30
US5969034A (en) 1999-10-19
DE69708815T2 (de) 2002-09-26
BR9704864A (pt) 1998-12-22
DE69708815D1 (de) 2002-01-17
KR19980024906A (ko) 1998-07-06
JPH10101895A (ja) 1998-04-21
EP0832931B1 (en) 2001-12-05
TR199701043A3 (tr) 1998-04-21
EP0832931A1 (en) 1998-04-01
ES2168571T3 (es) 2002-06-16
TW527396B (en) 200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5873B1 (ko) 오버몰딩접착력이개선된열가소성엘라스토머조성물
US4039629A (en) Block copolymer blends
US5278220A (en) Polymer compositions
JP6014594B2 (ja) 架橋組成物、架橋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成形体
EP0060525B1 (en) Polymeric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high-impact polystyrene,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a styrene/diene block copolymer
US4049595A (en) Block copolymer compositions
KR100517297B1 (ko) 오버몰딩접착력이증진된열가소성탄성중합체조성물
US5198495A (en) Blends based on vinyl-aromatic polymers endowed with high mechanical characteristics
US4107233A (en) Block copolymer blend with certain acrylics
US4361675A (en) Compatible polystyrene blends
JPS6243443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H0312097B2 (ko)
AU633400B2 (en) Blends based on vinyl aromatic polymers endowed with high mechanical characteristics
CN112143110A (zh) 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573939B (zh) 一种热塑性弹性体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H0217583B2 (ko)
JPH10130452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GB2147906A (en) Block copolymer compositions
US3567670A (en) Compositions of abs copolymers containing monoalkyl ethers of tripropyleneglycol
JP2022099692A (ja) 水添共重合体、及び成形体
JP2001158812A (ja) 粉末成形用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樹脂組成物
JP2022099453A (ja) 水添共重合体、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成形体
WO2021261241A1 (ja) 水添共重合体、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粘着性フィルム
JPS61106653A (ja) 水添ブロツク共重合体含有組成物
Holden et al. Thermoplastic styrenic block co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