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791B1 - 비산방지를 위한 보강부재 포설장치 - Google Patents

비산방지를 위한 보강부재 포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791B1
KR100516791B1 KR1020050055131A KR20050055131A KR100516791B1 KR 100516791 B1 KR100516791 B1 KR 100516791B1 KR 1020050055131 A KR1020050055131 A KR 1020050055131A KR 20050055131 A KR20050055131 A KR 20050055131A KR 100516791 B1 KR100516791 B1 KR 100516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installation
laying
conveyor bel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균영
Original Assignee
(주)수림건설
초석건설산업(주)
초석종합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림건설, 초석건설산업(주), 초석종합개발(주) filed Critical (주)수림건설
Priority to KR1020050055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7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5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 B65G69/188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with spray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폭트랙을 장착하여 접지압을 최소화하기 위한 무한궤도(10)와, 상기 무한궤도(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보강부재(A)를 일측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30)와, 상기 무한궤도(1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포스트(2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0)의 일단에 형성되어 보강부재(A)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4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0)의 타단에 형성되어 이송된 보강부재(A)를 전방으로 포설하기 위해 회전되는 보강부재 포설구(50)로 구성된 공지의 보강부재 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 포설구(50)의 양측과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하되, 전방으로 갈수록 양측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포설유도부(110)를 구비하는 커버(10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0)의 일측에 형성된 물탱크(210)와, 상기 물탱크(210)의 일측면에 형성된 펌프(220)와, 상기 펌프(220)를 통해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230)과, 상기 공급관(230)의 일측에 연결되며 전방으로 다수개의 분사공(241)이 천공된 "

Description

비산방지를 위한 보강부재 포설장치{Sand and slag and crusher-stone and gravels spread device for fly away preclusion}
본 발명은 비산방지를 위한 보강부재 포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보강부재 포설작업시 발생하는 다량의 분진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포설작업시 자갈 및 골재를 포함한 보강부재의 비산을 방지하여 작업자를 위해(危害)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산방지를 위한 보강부재 포설장치(Total Spread Device, 이하 "TSD"라 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해서는 지중의 간극수를 배수시킴은 물론, 작업현장(야드) 내에 장비의 진입시 안전성 확보 및 하중분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지표(地表)에 보강부재를 포설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폭트랙(습지용 슈판)을 장착하여 접지압을 최소화하기 위한 한쌍의 무한궤도(10)와, 상기 무한궤도(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보강부재(A)를 일측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30)와, 상기 무한궤도(1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컨베이어 벨트(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포스트(2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0)의 일단에 형성되어 보강부재(A)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4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0)의 타단에 형성되어 이송된 보강부재(A)를 전방으로 포설하기 위해 회전되는 보강부재 포설구(50)로 구성된 보강부재 포설장치(1)가 사용되었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재 포설구(50)가 회전하면서 보강부재(A)를 전방으로 포설하게 되는데, 이때 포설되는 보강부재(A)는 특성(입도와 건조상태) 및 작업환경과 같은 외부조건에 의하여 보강부재(A)의 포설작업중 다량의 분진이 발생되므로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다.
더구나 일부의 보강부재(A)가 대기중에 비산되므로 연약지반의 지표에 균일한 보강부재(A)의 포설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결국 시공불량에 따른 재시공으로 인한 시공기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비산되는 보강부재의 분진으로 인해 작업자의 시야확보가 어려워 원활한 포설작업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보강부재(A)의 정확한 포설위치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시공품질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보강부재 포설작업시 자갈 및 골재 등과 같이 일정한 크기를 갖는 보강부재(A)가 상기 보강부재 포설구(50)와 부딪혀 상기 컨베이어 벨트(30)의 양측방향으로 비산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한편, 상기 보강부재 포설구(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51)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포설판(52)이 등간격 배열되는 구조로써, 이는 상기 포설판(52)와 보강부재(A)의 충돌로 인해 마모 및 파손되므로 결국 상기 보강부재 포설구(50)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상기 보강부재 포설구(50)의 잦은 마모 및 파손으로 인해 보강부재(A)의 일정한 방향으로 균일한 포설작업이 불가능하므로, 이로 인해 시공품질의 저하는 물론 부실공사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매우 심각한 폐단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강부재 포설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보강부재를 포설하기 위한 보강부재 포설구의 전방에 물분사부재를 설치하여 보강부재의 포설과 동시에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보강부재 포설작업시 대기중으로 비산되던 분진을 최소화하며, 아울러 자갈 및 골재 등과 같이 일정한 크기를 갖는 보강부재의 외부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보강부재 포설구의 외측을 감싸도록 안전커버를 형성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비산방지를 위한 보강부재 포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부재와의 잦은 마찰로 인한 마모 및 파손을 최소화하며, 포설범위를 증대시킨 보강부재 포설구를 형성하여 보강부재의 시공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비산방지를 위한 보강부재 포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비산방지를 위한 보강부재 포설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광폭트랙을 장착하여 접지압을 최소화하기 위한 한쌍의 무한궤도(10)와, 상기 무한궤도(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보강부재(A)를 일측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30)와, 상기 무한궤도(1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포스트(2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0)의 일단에 형성되어 보강부재(A)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4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0)의 타단에 형성되어 이송된 보강부재(A)를 전방으로 포설하기 위해 회전되는 보강부재 포설구(50)로 구성된 공지의 보강부재 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 포설구(50)의 양측과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하되, 전방으로 갈수록 양측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포설유도부(110)를 구비하는 커버(10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0)의 일측에 형성된 물탱크(210)와, 상기 물탱크(210)의 일측면에 형성된 펌프(220)와, 상기 펌프(220)를 통해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230)과, 상기 공급관(230)의 일측에 연결되며 전방으로 다수개의 분사공(241)이 천공된 ""형상의 분사관(240)이 상기 커버(100)의 선단부에 형성된 물분사부재(2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100)는 보강부재 포설작업시 자갈 및 골재 등과 같이 일정한 크기를 갖는 보강부재(A)가 상기 보강부재 포설구(50)와 부딪혀 상기 컨베이어 벨트(30)의 양측방향으로 비산되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부재 포설구(300)의 양측과 상부를 감싸도록 절곡하여 형성하였다.
아울러 상기 커버(100)의 선단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갈수록 일정각도로 폭이 넓어지는 포설유도부(110)가 형성되는데, 이는 보강부재(A)의 포설범위를 일정한 방향과 각도로 포설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포설유도부(110)의 각도는 80˚~110˚범위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80˚미만의 각도에서는 보강부재(A)의 포설범위에 한정되므로 포설효율이 저하되며, 반대로 110˚이상의 각도에서는 필요 이상의 넓은 면적으로 보강부재가 포설되어 대기중으로 비산되는 분진의 발생빈도를 증대시키게 되므로 포설작업의 시공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100)는 보강부재(A)의 포설작업시 보강부재(A)의 비산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은 물론 보강부재(A)를 일정한 범위에 포설할 수 있도록 유도하므로, 보강부재 포설작업의 안전성 및 시공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부재라 함은 연약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모래, 슬래그, 쇄석, 자갈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통칭한다.
한편, 상기 물분사부재(200)는 보강부재(A)의 포설작업시 대기중으로 비산되는 분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구성으로, 이때 상기 분사관(240)의 설치위치는 상기 커버(100)의 선단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커버(100)를 통과한 보강부재(A)를 전체적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분진의 비산을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의 발생원인을 최소화함은 물론 보강부재(A)의 포설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분사관(240)의 전방에는 천공된 다수개의 분사공(24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구성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분사노즐(미 도시됨)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 포설구(300)는 보강부재(A)의 포설각도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301)을 중심으로 등간격 배열되는 다수개의 포설판(320)과, 상기 포설판(32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대(330)와, 상기 지지대(330)을 기준으로 양측 후방으로 기울여진 포설유도판(340)을 형성하는데, 이는 상기 지지대(320)로 인해 보강부재(A)의 포설작업시 충격으로 인한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포설유도판(340)은 보강부재(A)의 포설범위가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포설유도판(340)의 형성각도는 상기 커버(100)의 포설유도부(110)의 각도범위 내에서 간섭없이 포설될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재 포설구(300)는 보강부재(A)의 포설작업시 충격으로 인한 파손(휘어짐)을 최소화하며, 아울러 보강부재(A)의 일정한 포설범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연약지반의 지표상에 보강부재를 포설하기 위한 보강부재 포설구의 외측에 커버를 형성하여 보강부재 포설작업시 자갈 및 골재가 포함된 보강부재가 양측방향으로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를 위협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커버의 선단에는 보강부재의 포설작업시 전방으로 물을 분사되도록 하는 물분사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보강부재 포설작업시 대기중으로 비산되던 다량의 분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분진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넓은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포설작업의 작업성 증대는 물론 보강부재의 정확한 포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종래의 보강부재 포설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 - 종래의 보강부재 포설장치에 있어서 보강부재 포설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 - 종래의 보강부재 포설장치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4 - 본 발명 보강부재 포설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5 - 본 발명에 있어서 보강부재 포설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6 - 본 발명에 있어서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참고도.
도 7 - 본 발명 보강부재 포설장치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래의 보강부재 포설장치
10: 무한궤도 20: 포스트(Post)
30: 컨베이어 벨트 40: 호퍼
50: 보강부재 포설구 51: 축
52: 포설판
100: 커버 110: 포설유도부
200: 물분사부재 210: 탱크
220: 펌프 230: 공급관
240: 분사관 241: 분사공
300: 보강부재 포설구 310: 축
320: 포설판 330: 지지대
340: 포설유도판
A: 보강부재

Claims (2)

  1. 광폭트랙을 장착하여 접지압을 최소화하기 위한 무한궤도(10)와, 상기 무한궤도(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보강부재(A)를 일측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30)와, 상기 무한궤도(1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포스트(2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0)의 일단에 형성되어 보강부재(A)를 공급하기 위한 호퍼(4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0)의 타단에 형성되어 이송된 보강부재(A)를 전방으로 포설하기 위한 보강부재 포설구(50)로 구성된 공지의 보강부재 포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 포설구(50)의 양측과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하되, 전방으로 갈수록 양측방향으로 80˚~110˚범위를 갖도록 폭이 넓어지는 포설유도부(110)를 구비하는 커버(10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30)의 일측에 형성된 물탱크(210)와, 상기 물탱크(210)의 일측면에 형성된 펌프(220)와, 상기 펌프(220)를 통해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230)과, 상기 공급관(230)의 일측에 연결되며 전방으로 다수개의 분사공(241)이 천공된 ""형상의 분사관(240)이 상기 커버(10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물분사부재(200)를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를 위한 보강부재 포설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 포설구는 축(301)을 중심으로 등간격 배열되는 다수개의 포설판(320)과, 상기 포설판(320)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대(330)와, 상기 지지대(330)을 기준으로 양측 후방으로 기울려진 포설유도판(34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를 위한 보강부재 포설장치.
KR1020050055131A 2005-06-24 2005-06-24 비산방지를 위한 보강부재 포설장치 KR100516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131A KR100516791B1 (ko) 2005-06-24 2005-06-24 비산방지를 위한 보강부재 포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131A KR100516791B1 (ko) 2005-06-24 2005-06-24 비산방지를 위한 보강부재 포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6791B1 true KR100516791B1 (ko) 2005-09-27

Family

ID=3730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131A KR100516791B1 (ko) 2005-06-24 2005-06-24 비산방지를 위한 보강부재 포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7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870B1 (ko) * 2008-08-18 2009-05-15 주식회사 준건설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성토재 살포방법
KR102249998B1 (ko) * 2020-08-25 2021-05-10 초석건설산업(주) 볼타입 케이싱을 사용하는 그래블 컴팩션 파일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래블 컴팩션 파일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870B1 (ko) * 2008-08-18 2009-05-15 주식회사 준건설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성토재 살포방법
KR102249998B1 (ko) * 2020-08-25 2021-05-10 초석건설산업(주) 볼타입 케이싱을 사용하는 그래블 컴팩션 파일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래블 컴팩션 파일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66037A (zh) 桥梁伸缩缝安装施工工艺
KR100516791B1 (ko) 비산방지를 위한 보강부재 포설장치
KR20180112971A (ko) 자갈궤도를 개량하기 위한 급속경화궤도용 모르타르 공급장비
JP4975858B2 (ja) 伸縮継手の撤去方法及び道路の切削方法
DE202013102616U1 (de) Spülsystem für einen Brechhammer
CN105645074A (zh) 一种高效的土压平衡盾构皮带输送机刮泥系统及方法
CN211586773U (zh) 一种土木工程用废料处理装置
KR100663837B1 (ko) 살수장치가 설치된 굴착기
CN106121680B (zh) 湿喷混凝土衬砌工作台车
KR20190138382A (ko) 고기능성 자갈을 이용한 자갈궤도 및 그 시공방법
KR100880261B1 (ko) 포설기
CN209066235U (zh) 一种道路裂缝修补蒸汽养护装置
CN209383053U (zh) 一种混凝土输料带防尘结构
JP2983520B1 (ja) はつり装置
KR100836856B1 (ko) 마무리 작업모듈을 이용한 콘크리트 경사면의 보수공법
CN202081906U (zh) 一种防尘门
KR20100062412A (ko) 컨베이어를 구비한 성토재 포설장비
CN205471372U (zh) 一种高效的土压平衡盾构皮带输送机刮泥系统
CN205775661U (zh) 道砟清筛机
CN219027886U (zh) 一种便于清洁的spb墙板模车
CN115055266B (zh) 一种应用于土地资源管理的土地整治修复装置
CN210368568U (zh) 一种破碎锤
KR100871146B1 (ko) 콘크리트 경사면의 보수공법
CN213594403U (zh) 一种简易的履带防护装置
JP5341466B2 (ja) 既設コンクリート舗装の付着オーバレイ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