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7870B1 -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성토재 살포방법 - Google Patents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성토재 살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7870B1
KR100897870B1 KR1020080080331A KR20080080331A KR100897870B1 KR 100897870 B1 KR100897870 B1 KR 100897870B1 KR 1020080080331 A KR1020080080331 A KR 1020080080331A KR 20080080331 A KR20080080331 A KR 20080080331A KR 100897870 B1 KR100897870 B1 KR 100897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conveyor
base body
hopper
convey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준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86213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9787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준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준건설
Priority to KR102008008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E01C19/201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with driven loosening, discharging or spreading parts, e.g. power-driven, drive derived from road-wheels
    • E01C19/202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with driven loosening, discharging or spreading parts, e.g. power-driven, drive derived from road-wheels solely rotating, e.g. discharging and spreading 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02D15/10Placing gravel or light material under water inasmuch a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컨베이어와 골재 살포용 모듈을 결합하여 성토재를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시스템(100)은 연약지반에 연이어 설치되는 복수의 컨베이어(10),(10′)(20)와,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 중 최전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20)의 단부에 그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골재를 방향전환 하면서 살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골재 살포용 모듈(30)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골재 살포용 모듈(30)은 바퀴(88)가 설치된 차대(80) 위에 회전 자재하도록 고정되는 베이스체(40)와, 상기 베이스체상에 고정되는 호퍼(50)와, 상기 베이스체상에 고정되는 호퍼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체에 고정되는 골재 이송로드체(60)와, 상기 골재 이송로드체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골재 살포용 회전체(70)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체상에 고정되는 호퍼는 상기 최전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체(40)의 회전축 및 호퍼(50)의 중심축(Y)은 서로 일치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성토재 살포방법{A system for aggregate scattering and the aggregate scattering method}
본 발명은 포설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초 연약지반에 효율적으로 성토재를 살포할 수 있는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성토재 살포방법에 관련된 것이고,
특히, 연약지반 내에서 초경량의 골재살포용 모듈과 복수의 컨베이어를 결합하여 성토재를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성토재 살포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갯벌 등의 초 연약지반은 슬러리 상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성토층 형성을 위한 포설장비의 진입 및 주행로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연약지반은 주로 도저를 이용하는 성토 방법을 이용하는데, 먼저 연약지반 위에 토목섬유를 포설한 후 그 위에 상대적으로 중량이 적은 도저를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만큼씩 성토재를 포설하면서 전진해 간다.
그러나, 소형 도저를 이용하여 포설하는 방법은 주행 빈도가 과다하여 작업 진행 속도가 느리고, 공기가 지연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초 연약지반의 경우에는 중,대형은 물론이고 소형 도저의 과도한 주행 빈도에 의하여도 지반이 교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토목 섬유를 포설한 후 한 쪽에서부터 토목섬유 위에 성토재의 하중 및 장비의 하중이 집중 적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토목섬유의 포설 위치가 변형되거나 밀려들어가 성토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약지반의 성토 작업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성토재 살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주행식 포설장비 없이도 연약지반 상에서 원거리 까지 하중이 가벼운 복수의 컨베이어 및 골재살포용 모듈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골재를 살포할 수 있는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최선단의 컨베이어 단부 위치로부터 용이하게 방향 전환하여 골재 살포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골재 살포용 모듈을 구비된 성토재 살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시스템은 연약지반에 연이어 설치되는 복수의 컨베이어와,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 중 최전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의 단부에 그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골재를 방향전환 하면서 살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골재 살포용 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골재 살포용 모듈은 바퀴가 설치된 차대 위에 회전 자재하도록 고정되는 베이스체와, 상기 베이스체상에 고정되는 호퍼와, 상기 베이스체상에 고정되는 호퍼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체에 고정되는 골재 이송로드체와, 상기 골재 이송로드체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골재 살포용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체상에 고정되는 호퍼는 상기 최전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의 단부에 연결된다.
또, 상기 베이스체상에 고정되는 호퍼는 서로 회전 자재하도록 상하 결합되는 상부호퍼 및 하부호퍼로 이루어지고, 상기 최전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의 단부는 상기 상부호퍼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베이스체의 회전축과 상기 호퍼의 중심축은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와 상기 골재 이송로드체는 기울기 조절 수단을 구비한다.
또, 상기 골재 살포용 회전체는 상기 골재 이송로드체를 통하여 이송되는 골재를 전방으로 살포하는 회전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골재 이송로드체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방법은 연약지반에 연이어 복수의 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 중 최전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선단에 방향 전환이 가능한 골재 살포용 모듈을 연결한 후, 제1영역의 연약지반에 골재를 살포하는 단계,
상기 최전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골재 살포용 모듈을 위치 이동시키고, 상기 최전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의 후단에 별도의 컨베이어를 개재하여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와 연결한 후 제2영역의 연약지반에 골재를 살포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장치는 연약지반에 연이어 설치되는 복수의 컨베이어와,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 중 최전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의 단부에 그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골재를 방향 전환 하면서 살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골재 살포용 모듈을 구비하고,
특히, 상기 골재 살포용 모듈은 바퀴가 설치된 차대 위에 회전 자재하도록 고정되는 베이스체와, 상기 베이스체상에 고정되는 호퍼와, 상기 베이스체상에 고정되는 호퍼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체에 고정되는 골재 이송로드체와, 상기 골재 이송로드체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골재 살포용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체상에 고정되는 호퍼는 상기 최전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체와 호퍼의 중심축을 일치시켜 구성함으로써, 초 연약지반에도 장비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지반교란 없이 안전하게 성토재를 포설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연약지반 내에 하중이 무거운 포설용 중장비를 투입하지 않고도 연약지반의 상태, 면적, 거리에 구배 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성토재를 포설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골재 살포용 모듈을 최전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단부로부터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골재 이송로드체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골재의 살포 각도 및 범위를 크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시스템의 기술 구성 및 작용과, 그 시스템을 이용한 성토재 살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컨베이어가 3개 연결된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시스템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컨베이어가 2개 연결된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시스템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시스템에 적용되는 골재 살포용 모듈(30)의 구조를 나타내는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시스템에 적용되는 골재 살포용 모듈(30)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시스템의 컨베이어 벨트(15) 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이고,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시스템을 이용하여 연약지반 내에 성토재를 살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호안의 가장자리(제1컨베이어의 호퍼(11)가 위치하는 부분)로부터 연약지반의 내측으로 순차 연결되어 설치되는 제1컨베이어(10)(10′)들, 상기 제1컨베이어에 연이어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20), 상기 제2컨베이어(20)의 외측 단부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골재 살포용 모 듈(30)을 구비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10)는 호안의 가장자리로부터 최초로 골재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11)가 설치되고, 각 컨베이어 선단은 선행 컨베이어의 후단에 골재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약간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컨베이어(10)(10′)들과 제2컨베이어(20)는 각각 구동 모터(17),(17′),(18)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구동되고,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기울기 조절 수단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기울기 조절수단은 각각의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에 높이 조절구(12)(12′),(22)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 조절구의 높이를 조절하여 컨베이어 기울기를 미세 조정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10)(10′)들 및 제2컨베이어(20)는 도 5와 같이 골재의 이송시 골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컨베이어 벨트(15)의 하부에 3개의 롤러(16)를 호형으로 배치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는 1개 또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연약지반의 면적에 따라 3개 이상을 연이어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연이어 연결된 최선단에 위치하는 컨베이어(제2컨베이어:20)의 단부에는 그 최선단의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골재를 방향전환 하면서 살포할 수 있도록 골재 살포용 모듈(30)이 연결된다.
골재 살포용 모듈(30)은 무한궤도로 된 바퀴(88)가 설치된 차대(80)상에 회전 자재하도록 고정되는 베이스체(40)와, 상기 베이스체상에 고정간(42)을 개재하여 부양되는 형태로 고정되는 호퍼(50)와, 상기 호퍼의 하부 쪽 베이스체상의 공간에 일단부가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베 이스체에 고정되는 골재 이송로드체(60)와, 상기 골재 이송로드체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골재 살포용 회전체(70)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50)는 상부호퍼(51)와 하부호퍼(52)로 이루어지고, 상부호퍼(51) 및 하부호퍼(52)는 서로 회동 자재하도록 베어링축수(53)를 개재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부호퍼(51)는 제2컨베이어(20)의 단부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부호퍼(52)의 하부는 골재 이송로드체(60) 상으로 터져 있는 개방구(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구가 형성되는 하부호퍼에는 골재를 일정한 속도로 균일하게 배출할 수 있는 스크류로 된 배출장치(도시 생략) 등을 하부호퍼(52) 내의 저부에 추가 설치하여도 된다.
또, 상기 골재 살포용 모듈(30)의 베이스체(40)의 중심부 하방에는 도 4와 같이 베어링 등이 내장된 회전판(45)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판(45)을 상기 차대(80)에 고정하여 그 차대로부터 베이스체(40)가 소정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체(40)는 상기 회전판(45)을 개재하여 작업자가 수동식으로 회전시키는 구조로 구성하거나, 전기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별도의 구동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회전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 상기 구동장치는 별도의 운전 장치를 추가하여 바퀴(88)의 구동 및 바퀴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베이스체(40)를 수동식으로 회전시키는 구조로 할 경우에는 베이스체(40)에 돌출되도록 조정간으로 작용하는 레버(41)를 구성하고, 그 레버(41)를 이용하여 베 이스체(40)를 회동시키면 된다.
상기 골재 살포용 모듈의 하부호퍼(52)는 상기 회전판(45)의 중심축(y) 방향에 설치하여 베이스체(40)와 연동하여 회동할 때 그 회전판(45)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도록 구성한다.
또, 상기 하부호퍼(52)와 베이스체(40) 상의 공간에 일단부가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베이스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골재 이송로드체(60)는 골재 살포용 회전체(70)와, 컨베이어(71)와, 상기 컨베이어(71)와 골재 살포용 회전체(70)를 베이스체(40)에 고정하여 지지하는 지지체(72)와, 상기 베이스체(40)에 대한 지지체(70)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7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골재 살포용 회전체는 모터(74)와, 도시되지 않은 벨트 또는 체인 등을 개재하여 상기 모터로 구동되는 드럼체(75)와 상기 드럼체에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회전날개(76)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럼체(75)는 컨베이어(71)의 상단 하부에 설치되어 컨베이어(71)를 통하여 이송되는 골재를 회전날개(76)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처낼 수 있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골재 살포용 회전체(70)는 골재를 회전날개(76)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 압을 이용한 분사장치를 이용하거나 이 분사장치를 병용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다수 개 연결되는 컨베이어 중 최선단에 위치하는 컨 베이어의 단부에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자재하도록 골재 이송로드체가 설치되는 골재 살포용 모듈(30)을 구성함으로써, 초 연약지반 내에서도 지반의 교란 없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골재를 포설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컨베이어(10)(10′)들 및 제2컨베이어(20)는 이동의 편의를 위하여 바퀴(90)를 설치하여도 되고, 전진 방향으로 골재를 포설하여감에 따라 제1컨베이어를 순차적으로 다수 개 추가로 연결하여 골재의 포설공정을 진행하면 된다.
즉, 도 6a와 같이 연약지반의 제1영역에 대하여 성토재의 포설이 종료되면 최 선단에 있는 제2컨베이어(20)와 골재 살포용 모듈(30)을 전방으로 위치 이동시킨다. 상기 제2컨베이어(20)는 골재 살포용 모듈(30)과 분리한 후 작업자가 운반하여 위치이동 시키고, 골재 살포용 모듈(30)은 자체 동력을 이용하여 무한궤도로 된 바퀴(88)를 구동함으로써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6b와 같이 제1컨베이어(10)와 제2컨베이어(20) 사이에 제1컨베이어(10′)를 개재하여 컨베이어 길이를 확장한 후, 연약지반의 제2영역에 성토재의 포설을 실시하는 방법으로 성토재의 포설 면적을 확장하여 간다.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시스템(100)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성토재 살포방법은 예시된 도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목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컨베이어가 3개 연결된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시스템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컨베이어가 2개 연결된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시스템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시스템에 적용되는 골재 살포용 모듈(30)의 구조를 나타내는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시스템에 적용되는 골재 살포용 모듈(30)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시스템의 컨베이어 벨트(15) 부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이고,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성토재 살포시스템을 이용하여 연약지반 내에 성토재를 살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 제1컨베이어 11, 50 - 호퍼
12, 22 - 높이 조절구 15 - 컨베이어 벨트
16 - 롤러 17, 17′, 18, 74 - 모터
20 - 제2컨베이어
30 - 골재 살포용 모듈 40 - 베이스체
41 - 레버 42 - 고정간
45 - 회전판 51 - 상부호퍼
52 - 하부호퍼 53 - 베어링 축수
54 - 개방구 60 -골재 이송로드체
70 - 골재 살포용 회전체 71 - 컨베이어
72 - 지지체 73 - 유압실린더
75 - 드럼체
76 - 회전날개 80 - 차대
88, 90 - 바퀴 100 - 성토재 살포시스템

Claims (6)

  1. 연약지반에 연이어 설치되는 복수의 컨베이어와,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 중 최전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의 단부에 그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골재를 방향전환 하면서 살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골재 살포용 모듈을 구비하되,
    상기 골재 살포용 모듈은 바퀴가 설치된 차대 위에 회전 자재하도록 고정되는 베이스체와, 상기 베이스체상에 서로 회전 자재하도록 상하 결합되어 고정되는 상부호퍼 및 하부호퍼와, 상기 베이스체상에 고정되는 하부호퍼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체에 고정되는 골재 이송로드체와, 상기 골재 이송로드체의 외측 단부에 설치되는 골재 살포용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호퍼는 상기 최전방에 위치하는 컨베이어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재 살포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의 회전축과 상기 하부호퍼 및 상부호퍼의 회전 중심축은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재 살포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베이어와 상기 골재 이송로드체는 기울기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재 살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 살포용 회전체는 상기 골재 이송로드체를 통하여 이송되는 골재를 전방으로 살포하는 회전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골재 이송로드체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토재 살포 시스템.
  6. 삭제
KR1020080080331A 2008-08-18 2008-08-18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성토재 살포방법 KR100897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331A KR100897870B1 (ko) 2008-08-18 2008-08-18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성토재 살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331A KR100897870B1 (ko) 2008-08-18 2008-08-18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성토재 살포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212A Division KR100984732B1 (ko) 2009-02-20 2009-02-20 성토재 살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870B1 true KR100897870B1 (ko) 2009-05-15

Family

ID=4086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331A KR100897870B1 (ko) 2008-08-18 2008-08-18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성토재 살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8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732B1 (ko) * 2009-02-20 2010-10-01 주식회사 준건설 성토재 살포시스템
KR20210008222A (ko) 2019-07-11 2021-01-21 주식회사 준건설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성토재 살포방법
CN116220133A (zh) * 2023-05-06 2023-06-06 山东省国土空间生态修复中心(山东省地质灾害防治技术指导中心、山东省土地储备中心) 一种塌陷土地填方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327A (ja) 1998-07-24 2000-02-15 Hitachi Constr Mach Co Ltd 自走式土質改良機械
KR20010079234A (ko) * 2001-06-26 2001-08-22 김백영 부유식 벨트 콘베이어를 이용한 초연약지반의 성토공법
KR100516791B1 (ko) * 2005-06-24 2005-09-27 (주)수림건설 비산방지를 위한 보강부재 포설장치
JP2008115590A (ja) 2006-11-02 2008-05-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自走式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327A (ja) 1998-07-24 2000-02-15 Hitachi Constr Mach Co Ltd 自走式土質改良機械
KR20010079234A (ko) * 2001-06-26 2001-08-22 김백영 부유식 벨트 콘베이어를 이용한 초연약지반의 성토공법
KR100516791B1 (ko) * 2005-06-24 2005-09-27 (주)수림건설 비산방지를 위한 보강부재 포설장치
JP2008115590A (ja) 2006-11-02 2008-05-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自走式供給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732B1 (ko) * 2009-02-20 2010-10-01 주식회사 준건설 성토재 살포시스템
KR20210008222A (ko) 2019-07-11 2021-01-21 주식회사 준건설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성토재 살포방법
CN116220133A (zh) * 2023-05-06 2023-06-06 山东省国土空间生态修复中心(山东省地质灾害防治技术指导中心、山东省土地储备中心) 一种塌陷土地填方装置
CN116220133B (zh) * 2023-05-06 2023-07-25 山东省国土空间生态修复中心(山东省地质灾害防治技术指导中心、山东省土地储备中心) 一种塌陷土地填方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58013B (zh) 包括料仓挂车的工程列车及用于所述工程列车的拖曳装置
CA3119665C (en) Flow divider for spinner spreader
JP4083346B2 (ja) 舗装機械とそのための装填機
CA2663177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obile rigs
US20130341437A1 (en) Apparatus f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s from vehicle
US63327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reading paving materials
CN102162218B (zh) 带旋转铣刨滚的路基修筑机
KR100897870B1 (ko)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성토재 살포방법
US20100096469A1 (en) Spreader apparatus for vehicles
CN202202242U (zh) 宽幅沥青封层机
CN2798075Y (zh) 摊铺机试验台
CN1102976C (zh) 收取放置在轨道上的散装物料用的机械
KR100984732B1 (ko) 성토재 살포시스템
KR101055299B1 (ko) 성토재 살포장치
CN102864720A (zh) 沥青同步封层机
US3610474A (en) Material conveyor and spreader
US19936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roads
KR100890909B1 (ko) 컨베이어를 이용한 주행식 성토재 포설장비
CN2364075Y (zh) 适用于摊铺机的皮带式输料装置
CN201738217U (zh) 新型物料摊铺机
KR200317277Y1 (ko) 부유식 컨베이어벨트의 모래살포장치
KR20210008222A (ko) 성토재 살포시스템 및 성토재 살포방법
CN220733826U (zh) 一种市政工程用的草坪铺设装置
CN211230543U (zh) 一种巷道充填自移式全断面抛料设备
CN218562003U (zh) 高速公路路肩碎石铺筑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9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0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