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760B1 - 프린터의롤지장착기구 - Google Patents

프린터의롤지장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760B1
KR100516760B1 KR10-1998-0709789A KR19980709789A KR100516760B1 KR 100516760 B1 KR100516760 B1 KR 100516760B1 KR 19980709789 A KR19980709789 A KR 19980709789A KR 100516760 B1 KR100516760 B1 KR 100516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ll paper
paper loading
slid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219A (ko
Inventor
히로유키 나카야마
히데키 가와가미
도시유키 사사키
마사시 후지가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1998-0709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760B1/ko
Publication of KR20000016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48Apparatus for condensed record, tally strip, or like work using two or more papers, or sets of papers, e.g. devices for switching over from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sheet form to handling of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and vice versa or point-of-sale printers comprising means for printing on continuous copy material, e.g. journal for tills, and on single sheets, e.g. cheques or receip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Abstract

프린터(1)의 롤지 장전기구(2)는 그 개구(22b)를 개폐하는 뚜껑 프레임(23)에 슬라이드 프레임(25)이 부착되고, 프레임은 커버 프레임(28)에 의해서 개폐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프레임(25)의 전단부에는 플래튼 롤러(26)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뚜껑 프레임(23)에 의해서 롤지 장전부의 개구(22b)가 봉쇄된 후는 커버 프레임(28) 만을 단독으로 다시 선회시킬 수 있고 이 선회 운동에 의해서 슬라이드 프레임(25)을 앞쪽으로 슬라이드시켜서 그 전단의 플래튼 롤러(26)를 잉크 젯트 헤드(8)에 대해서 일정의 갭을 유지하고 대치한 대치 위치에 위치결정할 수 있다. 슬라이드 프레임(25)의 슬라이드 정도를 크게 함으로써, 롤지 장전부 개구(22b)를 개폐하는 부분의 선회반경을 작게할 수 있으므로, 해당 개구(22b)의 상부를 유효하게 이용해서 다른 부품등은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롤지 장전부의 개폐기구를 콤팩트하게 구성가능한 프린터의 롤지 장전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린터의 롤지 장착기구
본 발명은 롤지에 인쇄를 행하고 영수증 등으로서 발행하는 POS 단말 등에 탑재되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같은 프린터에 있어서 롤지의 교환 작업을 간단하고 적절하게 행할 수 있는 롤지(roll paper) 장전기구에 관한 것이다.
롤지에 글자를 인쇄하는 프린터에서는, 롤지의 교환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프린터 본체에 형성한 롤지 장전부의 뚜껑을 완전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는 롤지 장전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공평 6-79855호 공보에는 이같은 롤지 장전기구를 구비한 기록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기록 장치에서는, 서멀 헤드(thermal head)에 가압되는 플래튼 롤러(platen roller)의 지축 양단부분이 지지 부재의 양측 선단부분에 형성한 긴 구멍으로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는 롤지 장전부의 뚜껑으로서 기능하는 커버와 더불어 선회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버를 완전히 개방함으로써 롤지를 롤지 장전부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커버를 개방함으로써 플래튼 롤러도 서멀 헤드로부터 떨어지므로 플래튼 롤러와 서멀 헤드 사이에 롤지의 권취 부분을 배치하는 것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를 닫으면, 커버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부재에 의해서 플래튼 롤러의 양끝의 지축이 서멀 헤드 측으로 밀린다. 플래튼 롤러의 지축 양단 부분은 긴 구멍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걸림 부재에 의해서 가압되면 플래튼 롤러는 긴 구멍을 따라서 서멀 헤드 측으로 이동하고, 스프링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는 서멀 헤드에 대해서 가압 상태로 된다. 따라서, 서멀헤드와 플래튼 롤러 사이에 롤지가 낀 상태를 자동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롤지 장전기구는 다음과 같은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제 1 과제는 커버를 닫았을 때에 있어서의 플래튼 롤러의 이동량은 해당 플래튼 롤러의 지축 양단부분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 부재의 긴 구멍의 치수에 의해서 규정된다. 일반적으로는, 긴 구멍을 이용해서 플래튼 롤러를 지지하고 있을 경우에는 플래튼 롤러의 이동량을 크게 잡을 수 없다.
따라서, 커버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지지 부재의 선단이 되도록 서멀헤드에 접근한 위치에 도달하게 플래튼 롤러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 부재를 긴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지 부재를 긴 것으로 하면 그 선회반경이 커진다. 이 결과, 롤지 장전부의 개구 상부는 지지부재의 선회에 지장을 가져오지 않게 넓게 열어둘 필요가 있다. 환언하면, 개구 상부의 일부분을 피복하는 상태로 다른 부재를 설치할 수 없으며 장치 배치(layout) 상의 제약이 커진다.
제 2 과제는 플래튼 롤러가 서멀헤드에 가압된 상태에 있어서는 플래튼 롤러의 지축 양단부분이 커버측의 걸림 부재에 의해서 가압된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쌍방의 걸림 상태에 의해서는 쌍방의 부재 사이의 마찰 저항이 다르며 플래튼 롤러의 회전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는 등의 폐해도 발생한다.
제 3 과제는 지지 부재의 긴 구멍을 따라서 이동해서 서멀헤드에 가압되는 플래튼 롤러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커버에 형성된 걸림 부재의 가공정밀도 등이 나쁘면 플래튼 롤러의 양단의 이동량이 달라지며 탄성력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는 서멀헤드에 대해서 적절한 가압력으로 가압되지 않는 경우나 서멀헤드에 대해서 플래튼 롤러가 한쪽 접촉에 가까운 상태로 가압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서멀헤드를 구비한 프린터의 경우에는, 이같은 플래튼 롤러의 위치결정 오차는 그러한 문제는 되지 않는다. 그러나, 잉크제트 프린터나 와이어 도트 프린터 등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인쇄 헤드에 대해서 일정한 갭을 취한 위치에 플래튼 롤러 또는 종이 안내 등의 플래튼 부재를 위치결정하고 플래튼 부재에 의해서 규정되는 인쇄 위치를 투과하는 롤지를 그 인쇄면이 인쇄 헤드에 대해서 적절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반송할 필요가 있다. 이 같은 플래튼 갭을 필요로 하는 인쇄 헤드를 구비한 프린터에 있어서는 플래튼 롤러 또는 종이 안내의 위치가 변동하면 인쇄 품질 등이 저하되는 등의 무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가능한 프린터의 롤지 장전기구를 제안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잉크 젯트 프린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잉크 젯트 프린터에 있어서의 롤지반송경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도 1의 잉크 젯트 프린터에 있어서의 롤지 장전기구를 꺼내서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롤지 장전기구의 롤지 장전부가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도 3의 롤지 장전기구의 롤지 장전부를 닫고 있는 커버 프레임의 록이 해제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도 3의 롤지 장전기구의 커버 프레임이 거의 수직으로 되기까지 열린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도 3의 롤지 장전기구의 롤지 장전부를 완전 개방으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도 3의 롤지 장전 기구에 있어서의 뚜껑 프레임에 대한 슬라이드 프레임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롤지 장전부와 해당 롤지 장전부의 롤지 장전용의 개구를 폐쇄한 폐쇄 위치 및 해당 개구를 개방한 개방 위치의 사이를 선회가능한 뚜껑 프레임과, 해당 뚜껑 프레임의 개폐에 연동해서 인쇄 헤드에 대치한 대치 위치 및 해당 인쇄 헤드로부터 후퇴한 후퇴 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는 플래튼 부재를 갖는 프린터의 롤지 장전기구에 있어서, 상기 뚜껑 프레임에 대해서 일체 선회하고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 슬라이드 프레임과, 해당 슬라이드 프레임의 선단에 지지된 상기 플래튼 부재와, 상기 뚜껑 프레임을 선회시키고 해당 뚜껑 프레임이 상기 폐쇄 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단독으로 선회가능한 커버 프레임과, 해당 커버 프레임의 단독 선회 운동을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슬라이드 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기구를 갖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롤지 장전기구에서는, 커버 프레임과 더불어 선회하는 뚜껑 프레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슬라이드 프레임이 부착되며, 이 슬라이드 프레임의 선단에 플래튼 부재가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긴 구멍을 이용한 슬라이드 기구에 비해서 플래튼 부재의 슬라이드 양을 크게 하는 것이 간단해진다.
또, 뚜껑 프레임에 슬라이드가능하게 부착된 슬라이드 프레임의 선단에 플래튼 부재를 지지시키고 있으므로 슬라이드 프레임의 슬라이드 양을 크게 하면 선회하는 슬라이드 프레임을 짧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슬라이드 프레임의 선회 반경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롤지 장전부의 개구 상부를 다른 부품의 배치 장소로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링크기구로서는 상기 커버 프레임에 고정한 연결 샤프트와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연결 샤프트가 관통하고 있는 연결 구멍을 구비하며 해당 연결구멍은 상기 커버 프레임의 단독 선회운동을 저해하지 않는 형상으로 설정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인쇄 헤드가 잉크 젯트 혹은 와이어 도트 헤드인 경우에 상기 플래튼 부재의 상기 대치 위치는 상기 인쇄 헤드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대치한 위치로 된다.
또한, 상기 플래튼 부재가 플래튼 롤러의 경우에는 슬라이드 프레임의 선단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플래튼 롤러를 부착해 두면 긴 구멍을 이용해서 플래튼 롤러의 지축 양단을 가압하여 해당 롤러를 슬라이드시키는 경우와 다르게 되고 플래튼 롤러의 지지 상태를 항상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플래튼 롤러의 양단은 슬라이드 프레임의 고정 위치에 있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플래튼 롤러의 양단의 지지 부분을 이동시키는 경우와 다르게 되고, 플래튼 롤러를 정밀도가 양호하게 그 대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롤지 장전부 측에 상기 플래튼 부재의 상기 대치 위치를 규정하는 대치위치 규정 부재를 배치하고, 한편, 슬라이드 프레임 측에 슬라이드 프레임이 일정량만큼 슬라이드하면 상기 대치 위치 규정부재에 맞닿는 접촉부를 형성해 두고 해당 접촉부가 상기 대치 위치 규정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대치 위치를 규정하면 좋다.
이 같은 구성을 채용하면 롤지 교환 후에 뚜껑 커버를 닫을 때 플래튼 부재는 대치 위치 규정 부재에 의해서 정확하게 대치 위치에 설치된 상태가 재현된다. 따라서, 인쇄 헤드와 사이의 갭이 변동해서 인쇄 품질이 저하하는 등의 폐해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은 적용한 프린터의 롤지 장전기를 설명한다.
(프린터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잉크 젯트 프린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롤지반송 경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젯트 프린터(1)는 롤지 장전기구(2)와 A4 사이즈 등의 커트지(cut papper) 삽입구(3)를 가지며, 롤지 장전기구(2)로부터 공급되는 롤지(4) 및 커트지 삽입구(3)로부터 삽입되는 커트지(5)가 각각 공통의 인쇄 위치(11)(도면에서의 일점쇄선으로 에워싸인 영역)를 통해서 반송되며 반송 경로가 구성되어 있다. 공통의 인쇄 위치(11)를 통과하는 롤지(4) 및 커트지(5)의 표면에는 가이드 샤프트(6)를 따라서 왕복이동가능한 캐리지(7)에 탑재되어 있는 잉크 젯트 헤드(8)에 의해서 소망의 인쇄가 행해진다. 잉크 젯트 헤드(8)에는 잉크 튜브(도시생략)를 경유해서 롤지 장전기구(2)와 이웃한 위치에 탑재되어 있는 잉크 공급부(10)로부터 잉크가 공급된다.
(롤지 장전기구 2)
도 3은 롤지 장전기구(2)의 부분을 꺼내어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7은 그 롤지 장전부의 개폐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며, 도 8은 그 부분적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롤지 장전기구(2)는 프린터 본체 프레임(12)에 부착한 부착용 프레임(21)을 가지며, 이 부착용 프레임(21)에는 롤지(4)가 장전되는 롤지 장전부(22)가 구성되어 있다 이 롤지 장전부(22)는 일정한 폭의 반원형 만곡부분(22a)과 이 위쪽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개구(22b)를 구비하며, 해당 개구(22b)로부터 롤지(4)의 교환이 행해진다.
이 롤지 장전용의 개구(22b)는 뚜껑 프레임(23)에 의해서 개폐가능하게 되어있다. 뚜껑 프레임(23)은 개구(22b)와 거의 동일한 직사각형을 한 천정판 부분(23a)과 이 천정판 부분(23a)의 좌우로부터 직각으로 아래쪽으로 구부러진 일정 높이의 측판 부분(23b, 23c)을 구비하고 있다. 측판 부분(23b, 23c)의 후단 부분은 아래쪽을 향해서 구부러지고 있으며, 그 하단(23d, 23e)(도면에서 하단 23d만을 도시한다)은 선회 중심을 규정하는 샤프트(24)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24)의 양단은 부착용 프레임(21)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 프레임(23)은 샤프트(24)를 중심으로서 롤지 장전부(22)의 롤지 장전용의 개구(22b)를 폐쇄한 폐쇄 위치(도 4에 도시한 상태)와, 해당 개구(22b)를 완전 개방 상태로 한 개방 위치(도 7 에 도시하는 상태) 사이를 선회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구성의 뚜껑 프레임(23)에는 슬라이드 프레임(25)이 부착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프레임(25)은 해당 뚜껑 프레임(23)과 일체로 되어 선회하고, 해당 뚜껑 프레임(23)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는 플래튼 롤러(26) 및 해당 플래튼 롤러(26)에 롤지(4)를 인도하는 롤지 안내부(27)가 부착되어 있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슬라이드 프레임(25)이 뚜껑 프레임(23)에 대해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구성을 설명한다. 슬라이드 프레임(25)은 뚜껑 프레임(23)의 천정판 부분(23a)의 뒷면측에 접촉하고 있는 직사각형의 천정판 부분(25a)과, 이 천정판 부분(25a)의 양측으로부터 직각으로 아래쪽으로 구부러지고 있는 일정 높이의 측판 부분(25b, 25c)을 구비하고 있다. 천정판 부분(25a)에는 그 전후방향으로 향해서 안내용 슬릿(25d, 25f)이 형성되며, 이들의 슬릿에는 뚜껑 프레임(23)의 천정판 부분(23a)에 고정한 가이드핀(23q, 23r)이 관통하고 있다. 각 가이드핀(23q, 23r)의 하단측에는 리테이너(23h, 23i)가 부착되고, 이것에 의해서 슬라이드 프레임(25)은 뚜껑 프레임(23)의 뒷면에 슬라이드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또, 후방측의 가이드핀(23r)과 슬라이드 프레임(25)의 전방측의 부분에 형성한 스프링 걸이(25g)와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3g)이 걸쳐 있고 이 코일 스프링(23g)의 탄성력에 의해서 슬라이드 프레임(25)은 항상 후방으로 향해서 가세되어 있다.
다음에, 도 3으로 알 수 있듯이, 슬라이드 프레임(25)의 측판 부분(25b, 25c)이 전단(25h, 25i)의 사이에는 플래튼 롤러(26)가 걸쳐 있고, 이 플래튼 롤러(26)의 지축 양단부분이 전단(25h, 25i)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축받이되어 있다. 이 플래튼 롤러(26)의 하측에는 해당 플래튼 롤러(26)의 외주면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향해서 볼록 원호상의 표면 형상을 한 롤지 안내부(27)가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뚜껑 프레임(23)의 위측에는 상기 뚜껑 프레임(23) 보다 다소 큰 치수의 커버 프레임(28)이 배치되어 있다. 이 커버 프레임(28)은 천정판 부분(28a)과 그 양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해서 직각으로 구부러지고 있는 측판 부분(28b, 28c)을 구비하고 있으며, 측판 부분(28b, 28c)의 후단부분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서 샤프트(24)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커버 프레임(28)을 선회시키면 슬라이드 프레임(25)이 부착되어 있는 뚜껑 프레임(23)이 연동하여 선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 프레임(23)이 롤 장전용의 개구(22b)를 봉쇄한 상태(도 5에 도시하는 상태)에 도달한 후에는 해당 커버 프레임(28)은 단독으로 선회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커버 프레임(28)의 단독 선회운동에 의해서 슬라이드 프레임(25)은 뚜껑 프레임(23)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운동을 행한다.
커버 프레임(28)의 단독 선회 운동을 슬라이드 프레임(25)의 슬라이드 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기구(29)는 커버 프레임(28)의 측판 부분(28b, 28c)의 후측 상단 부분의 사이에 걸친 연결 샤프트(28d)와, 이 연결 샤프트(28d)가 관통하고 있는 슬라이드 프레임(25)의 후단부분의 3개 위치에 형성한 연결구멍(25j)을 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구멍(25j)은 커버 프레임(28)의 단독 선회 운동을 저해하지 않게 세로로 긴 구멍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프레임(23)이 롤지 장전용의 개구(22b)를 봉쇄한 상태에서의 연결 샤프트(28d)의 위치는 다시 커버 프레임(28)을 선회시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상태에서 선회시켰을 때는 선회 중심을 규정하는 샤프트(24)를 중심으로 해서 앞쪽 및 아래쪽으로 이동한 위치로 된다.
연결 샤프트(28d)는 상하로 긴 연결구멍(25j)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향해서 자유롭게 이동하고 해당 연결구멍(25j)을 앞쪽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이 결과, 이 연결구멍(25j)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프레임(25)은 전체로서 앞쪽으로 밀어내어진다. 즉, 뚜껑 프레임(23)에 대해서 앞쪽으로 슬라이드해서 그 전단에 지지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26) 및 롤지 안내부(27)가 앞쪽으로 돌출해서 잉크 젯트 헤드(8)에 의한 인쇄위치(11)에 나타나며 잉크 젯트 헤드(8)에 대해서 일정한 갭을 유지하고 대치한 상태(대치 위치)로 된다.
역으로, 커버 프레임(28)을 도 4에 도시하는 수평 위치에서 도 5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위쪽으로 선회시키면, 상기와는 역으로 슬라이드 프레임(25)이 전체로서 뒷쪽으로 슬라이드해서 그 선단의 플래튼 롤러(26) 및 롤지 안내부(27)는 대치 위치에서 후퇴한 후퇴 위치까지 이동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프레임(25)은 코일 스프링(23g)에 의해서 후퇴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서 가세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28)을 수평이 되기까지 폐쇄한 후에 커버 프레임(28)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23g)의 인장력에 의해서 슬라이드 프레임(25)은 그 후퇴 위치까지 돌아간다. 이 슬라이드 운동에 연동해서 커버 프레임(28)도 여는 방향으로 선회해서 도 5에 도시하는 상태로 되돌아간다.
커버 프레임(28)을 도 4에 도시하는 폐쇄 위치에 로크하기 위해서, 커버 프레임(28)의 전단 부분에는 좌우 1쌍의 걸림 부재(28g, 28h)가 부착되어 있다. 커버프레임(28)을 닫은 상태에 있어서, 걸림 부재(28g, 28h)의 선단에 형성한 후크가 대치하는 부착용 프레임(21)의 앞측부분에는 해당 후크가 하측으로부터 선회해서 걸어맞춤가능한 걸어맞춰지는 피걸림부(21g)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부재(28g, 28h)는 비틀림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서 후크가 위쪽으로 선회하는 방향으로 향해서 항상 가세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 프레임(28)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한 후에 다시, 밀어넣으면 걸림 부재(28g, 28h)가 탄성력을 저항해서 반대측으로 약간 선회해서 그 하단의 후크가 하측에서 부착된 프레임(21) 측의 피걸림부(21g)에 걸려서 로크 상태가 형성된다. 로크를 해제하기 위해서, 걸림 부재(28g, 28h)의 상단부분(28i)을 끌어올려서 하단의 후크를 아래쪽으로 선회시키면 좋다.
또한, 부착용 프레임(21)의 양측벽(21b, 21c)(도 3에 있어서는 21b만 표시)과, 뚜껑 프레임(23)의 양측의 측판 부분(23b, 23c)과 사이에는 각각 코일 스프링(23j, 23k)(도면에서는 스프링 23j만을 표시)이 걸쳐 있다. 샤프트(24)를 중심으로서 커버 프레임(28), 슬라이드 프레임(25) 및 뚜껑 프레임(23)을 개폐하는 경우에 커버 프레임(28), 슬라이드 프레임(25) 및 뚜껑 프레임(23)의 중심 위치가 샤프트(24)의 바로 위에 도달한 도 6에 도시하는 선회 위치를 통과한 후는, 코일 스프링(23j, 23k)의 양단의 스프링 걸이 부분의 선회 궤적이 넓어지도록 코일 스프링(23j, 23k)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하는 선회 위치를 넘어서 또한 커버 프레임(28)을 여는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23j, 23k)이 신장하므로 커버 프레임(28)을 닫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인장력이 작용한다. 이 결과, 커버 프레임(28)등이 힘차게 열려서 다른부분에 충돌하는 폐해를 회피할 수 있다.
역으로, 도 6에 도시하는 선회 위치를 넘어서 커버 프레임(28)을 닫는 경우에도, 코일 스프링(23j, 23k)의 탄성력에 의해서 커버 프레임(28)이 힘차게 닫혀서 롤 장전부의 개구(22b)에 충돌하는 폐해를 회피할 수 있다.
(플래튼 롤지의 위치결정 기구)
다음에, 본 예의 롤지 장전기구(2)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커버 프레임(28)을 닫은 상태에서 슬라이드 프레임(25)의 선단의 플래튼 롤러(26)의 위치(대치위치)를 정밀도 양호하게 위치결정하기 위한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프레임(25)의 측판 부분(25b, 25c)의 전단부분에는 좌우로 향해서 수평으로 돌출한 위치결정 핀(25k, 25l)(도 3에서는 핀 25k만을 도시한다)이 부착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슬라이드 프레임(25)을 닫은 상태에서, 위치결정 핀(25k, 25l)을 대치하는 부착 프레임(21)의 부분에는 위치결정 핀(25k, 25l)이 가로 방향에서 꼭 끼어드는 반원형의 홈(21k, 21l)이 형성되어 있다.
흠(21k, 21l)은 인쇄 위치(11)에 대해서 고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 프레임(25)의 위치결정 핀(25k, 25l)이 흠(21k, 21l)에 끼게 되므로써, 슬라이드 프레임(25)의 선단의 플래튼 롤러(26)의 위치(대치위치)가 항상 정확하게 규정된다.
환언하면, 홈(21k, 21l)은 플래튼 롤러(26)의 대치 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대치위치 규정부재로서 기능하며, 슬라이드 프레임(25) 측의 위치결정 핀(25k, 25l)은 슬라이드해서 대응하는 홈(21k, 21l)에 맞닿는 접촉 부재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롤지(4)의 교환을 위해서 슬라이드 프레임(25)의 전단에 지지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26)를 이동시켰다고 해도 롤지 교환후에 뚜껑 프레임 등을 폐쇄한 후에 있어서는, 해당 슬라이드 프레임(25)의 전단의 플래튼 롤러(26)를 항상 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플래튼 롤러(26)의 외주면과 왕복이동하는 잉크 젯트 헤드(8)의 잉크노즐 면 사이에 항상 일정한 갭을 유지할 수 있다.
(롤지 장전기구의 동작)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롤지 장전기구(2)에 있어서의 롤지 장전부(22)의 개폐 동작을 일괄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지 장전부(22)가 폐쇄 상태에 있어서 걸림 부재(28g, 28h)에 연결되어 있는 상단 부분(28i)을 위쪽으로 끌면 걸림 부재(28g, 28h)가 프레임(21) 측의 걸어맞춰지는 피걸림부(21g)로부터 벗겨져서 로크가 해제된다. 이 결과, 커버 프레임(28), 슬라이드 프레임(25) 및 뚜껑프레임(23)은 일체로 되어 도 5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선회해서 열린다. 이 선회 동작은 주로 슬라이드 프레임(25)과 뚜껑 프레임(23) 사이에 걸쳐 있는 코일 스프링(23g)의 탄성력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 후는, 커버 프레임(28)을 코일 스프링(23j, 23k)의 탄성력을 저항해서 뒤쪽으로 선회시키면 도 6의 상태를 거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지 장전부(22)의 개구(22b)가 완전 개방 상태로 된다. 즉, 개구(22b)의 위쪽으로부터 커버 프레임(28), 슬라이드 프레임(25), 뚜껑 프레임(23)중의 어느 것도 퇴피한 상태로 된다.
이 완전 개방 상태로 된 후에, 롤지 장전부(22)에 장전되어 있는 롤지(4)의 교환 작업을 행한다. 개구(22b)는 완전 개방 상태이므로 롤지(4)의 교환 작업은 간단하다. 또, 플래튼 롤러(26), 롤지 안내부도 슬라이드 프레임(25)과 더불어 퇴피하고 있으므로, 롤지(4)의 권취 부분(4a)을 배치하는 작업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롤지(4)를 장전한 후는, 커버 프레임(28)을 폐쇄 방향으로 선회시킨다. 이 조작에 의해서, 커버 프레임(28), 슬라이드 프레임(25) 및 뚜껑 프레임(23)을 일체로 되어 선회하고, 도 6의 상태를 거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프레임(23)의 개구(22b)를 폐쇄한 상태로 된다. 이 후는, 뚜껑 프레임(23)은 개구(22b)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져서 그 이상은 선회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뚜껑 프레임(23)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슬라이드 프레임(25)도 그 이상은 선회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후는 커버 프레임(28)만이 단독으로 선회하게 된다.
커버 프레임(28)은 밀어서 도 4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선회시키면, 이 선회 운동이 링크기구(29)를 거쳐서 슬라이드 프레임(25)의 슬라이드 운동으로 변환된다. 즉, 슬라이드 프레임(25)은 뚜껑 프레임(23)에 대해서 앞쪽으로 슬라이드 해서 그 전단에 지지되어 있는 플래튼 롤러(26), 롤지 안내부(27)가 잉크제트 헤드(8)에 대해서 일정한 갭을 유지하고 대치한 위치(대치 위치)에 이른다.
여기에서, 슬라이드 프레임(25)이 앞쪽으로 슬라이드해서 그 전단의 플래튼 롤러(26)가 대치 위치에 이르면, 슬라이드 프레임(25)의 양단의 위치결정 핀(25k, 25l)이 부착 프레임(21) 측의 홈(21k, 21l)에 꼭 끼고, 그 슬라이드 위치가 고정된다. 바꿔 말하자면, 플래튼 롤러(26) 및 롤지 안내부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대치 위치에 유지되며, 잉크 젯트(8) 사이에 일정 갭이 형성된 상태로 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는, 플래튼 롤러(26)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종동측 치차(31)가 부착 프레임(21) 측에 배열되어 있는 구동측 치차(도시생략)에 맞물린 상태로 된다. 따라서, 구동측 치차가 회전하면 플래튼 롤러(26)가 회전해서 롤지(4)의 권취 부분(4a)의 반송방향(화살표방향)으로 향해서 반송되며, 이 반송 동작에 동기시켜서 잉크제트 헤드(8)에 의해 소정의 인쇄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상기의 설명은 잉크 젯트 프린터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의 형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쇄 헤드로서 잉크 젯트 헤드 이외의 형식의 인쇄 헤드를 구비한 프린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와이어 도트 프린터, 서멀 프린터 등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잉크 젯트 프린터에서는 롤지와 더불어 커트지에 대해서도 인쇄를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롤지에만 인쇄를 행하는 POS 단말 등에 탑재되는 프린터에 대해서도 본 발명과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린터의 롤지 장전기구에 있어서는 롤지 장전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 프레임에 슬라이드 프레임을 부착하고 해당 슬라이드 프레임은 커버 프레임의 선회운동에 의해서 슬라이드시키고 해당 슬라이드 프레임의 선단에 지지되어 있는 플래튼 부재를 인쇄 헤드에 대치한 대치 위치 및 인쇄 헤드로부터 후퇴할 후퇴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긴 구멍에 의해서 플래튼 롤러의 지축 양단을 지지하고, 이 부분은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플래튼 롤러를 슬라이드시키고 있던 기구에 비해서 플래튼 롤러 등의 플래튼 부재의 슬라이드 양을 크게 취하는 것이 간단하게 된다.
이 결과, 슬라이드 프레임을 지지하고 있는 뚜껑 프레임을 짧은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그 개폐시의 선회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롤지 장전부의 개구 상부에 있어서 다른 부재의 배치 공간을 종래에 비해서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장치 배치의 자유도가 증가하는 등의 이점을 들 수 있다.
또, 슬라이드 프레임의 전단부분의 고정 위치에 플래튼 롤러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종래와 같이 플래튼 롤지의 지지부분이 슬라이드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항상 적절한 상태에서 플래튼 롤러의 양단이 지지되어 있으므로 그 회전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플래튼 롤러 자체가 슬라이드하는 경우와 같이 그 슬라이드 후의 위치가 변동되는 상태, 플래튼 롤러가 서멀헤드에 대해서 한쪽만 접촉하는 상태로 되는 것 등의 폐해를 회피할 수 있다.
또, 롤지 장전부측에 플래튼 부재의 대치 위치를 규정하는 대치위치 규정 부재를 배치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롤지 장전부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플래튼 부재를 정밀도 양호하게 대치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쇄 헤드와 사이의 갭이 변동해서 인쇄 품질이 저하하는 등의 단점을 회피할 수 있다.

Claims (6)

  1. 롤지 장전부와, 해당 롤지 장전부의 롤지 장전용의 개구를 폐쇄한 폐쇄 위치 및 해당 개구를 개방한 개방 위치 사이를 선회가능한 뚜껑 프레임과, 해당 뚜껑 프레임의 개폐에 연동해서 인쇄 헤드에 대치한 대치 위치 및 해당 인쇄 헤드로부터 후퇴한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플래튼 부재를 갖는 프린터의 롤지 장전 기구에 있어서 ,
    상기 뚜껑 프레임에 대해서, 일체로 선회하고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 슬라이드 프레임과, 해당 슬라이드 프레임의 선단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플래튼 부재와, 상기 뚜껑 프레임을 선회시키고 해당 뚜껑 프레임이 상기 폐쇄 위치에 도달한 후에는 단독으로 선회가능한 커버 프레임과, 해당 커버 프레임의 단독 선회 운동을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슬라이드 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롤지 장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커버 프레임에 고정한 연결 샤프트와,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 샤프트가 관통하고 있는 연결구멍을 구비하고, 해당 연결구멍은 상기 커버 프레임의 단독 선회 운동을 저해하지 않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롤지 장전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는 잉크 젯트 헤드 또는 와이어 도트 헤드이며, 상기 플래튼 부재의 상기 대치 위치는 상기 인쇄 헤드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대치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롤지 장전기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부재는 플래튼 롤러이며,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롤지 장전기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지 장전부 측에는 상기 플래튼 부재의 상기 대치 위치를 규정하는 대치 위치 규정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롤지 장전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은 해당 슬라이드 프레임의 슬라이드에 의해서 상기 대치 위치 규정 부재에 접촉가능한 접촉부를 구비하며, 해당 접촉부가 상기 대치 위치 규정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의 대치 위치가 규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롤지 장전기구.
KR10-1998-0709789A 1997-04-02 1998-04-02 프린터의롤지장착기구 KR100516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09789A KR100516760B1 (ko) 1997-04-02 1998-04-02 프린터의롤지장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84236 1997-04-02
JP97-84237 1997-04-02
KR10-1998-0709789A KR100516760B1 (ko) 1997-04-02 1998-04-02 프린터의롤지장착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219A KR20000016219A (ko) 2000-03-25
KR100516760B1 true KR100516760B1 (ko) 2005-11-29

Family

ID=43674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789A KR100516760B1 (ko) 1997-04-02 1998-04-02 프린터의롤지장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7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219A (ko) 200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2158A (en) Roll paper loading mechanism for printer
KR100461744B1 (ko) 프린터 유닛 및 그것을 포함한 프린팅 장치
US6789969B2 (en) Printer
JP3174062B2 (ja) 印刷装置
US7883283B2 (en) Printer equipped with cutter mechanism
US6361231B1 (en) Printer having a medium transportation path open/close mechanism
JP4376816B2 (ja) プラテンローラ保持構造および記録装置
EP2042327A2 (en) Thermal printer
USRE35026E (en) Self-aligning thermal print head and paper loading mechanism
JPS6129878B2 (ko)
KR100516760B1 (ko) 프린터의롤지장착기구
US8348418B2 (en) Transporting apparatus and printer using the same
US6793419B2 (en) Printer
JP3700461B2 (ja) プリンタ
JP3617244B2 (ja) プリンタのロール紙装填機構
JP3617243B2 (ja) プリンタのロール紙装填機構
JP3704945B2 (ja) プリンタ
JP3654008B2 (ja) ロール紙用プリンタ
CN112078257B (zh) 打印装置
JP3743157B2 (ja) プリンタ
JP2023172780A (ja) プリンタ装置
JP4478395B2 (ja) プリンタおよび紙押さえ機構
JP2005254683A (ja) プリンタ
JP2003276255A (ja) プリンタ
JP2005199536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