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531B1 -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 - Google Patents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531B1
KR100516531B1 KR10-2003-0017715A KR20030017715A KR100516531B1 KR 100516531 B1 KR100516531 B1 KR 100516531B1 KR 20030017715 A KR20030017715 A KR 20030017715A KR 100516531 B1 KR100516531 B1 KR 100516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blower
pipe
transfer
ball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158A (ko
Inventor
변임근
김종화
박종수
오기석
강선영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안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안전공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안전공단
Priority to KR10-2003-0017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531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7Arrangements for mechanically moving the whole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16Supporting the heads; Supporting the sockets for plug-in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약품용 공캡슐(hard capsule)을 필터링 된 청정의 압축공기와 송풍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송장치는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공캡슐을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관과, 상기 제1이송관의 타단을 도중에 연결시키되, 일단에는 송풍기가 연결된 제2이송관과, 상기 제2이송관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충진기의 호퍼로 도관된 제3이송관과, 상기 제1이송관에 연결된 연결관의 전방과 상기 제2이송관에 연결된 제1이송관의 전방에는 각각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와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송풍량을 조절하기 위해 각각 설치되는 제1,2송풍량 조절수단과,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와 상기 송풍기 및 제1,2송풍량 조절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아울러 제1이송관에 공급된 공캡슐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제2이송관으로 이송시키고, 이 제2이송관으로이송된 공캡슐을 송풍기의 구동으로 제3이송관을 통하여 충진기의 호퍼측으로 자동 이송시키는 이송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Hard capsule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for medicines ang transfer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품용 공캡슐(hard capsule)을 필터링 된 청정의 압축공기와 송풍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송시키도록 한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 제조 공정중에서 사용중인 코팅약제의 공캡슐에는 약제가 충진기에 의해 자동으로 충진되어 진다.
즉, 상기한 공캡슐에 약제를 충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공캡슐을 충진기측으로 공급시켜야 하는 바, 이때 상기 공캡슐의 공급은 작업자의 반복적인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공캡슐의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속도가 늦어 생산능률이 떨어지고 공캡슐의 손상이 발생되며, 그로 인한 제품의 불량률이 많이 발생됨과 아울러 충진기측으로 공캡슐이 공급되는 중에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면은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함체의 내부 상단에 호퍼를 갖추고, 이의 호퍼로 투입된 공캡슐을 필터링 된 청정의 압축공기와 송풍기에 의해 충진기측으로 자동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에 따른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공캡슐의 손상됨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필터링시켜 공기를 공급함으로 충진기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약품용 공캡슐에 약제를 자동 충진시키기 위한 충진기측으로 공캡슐을 자동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부는 개구되고, 저면에는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측에 공캡슐을 수용 및 배출가능하도록 고정 구비되되, 그 내측에는 공캡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갖추어진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에 연결관을 매개로 연통가능하게 도관되어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공캡슐을 이송시키도록 일단에는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레귤레이터가 고정 구비되고, 타단은 하향 절곡된 경사부를 갖는 제1이송관과, 상기 제1이송관의 타단을 도중에 연결시키되, 일단은 청정의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필터가 장착된 공기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송풍기의 토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함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도관된 제2이송관과, 상기 제2이송관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함체의 외부에서 입설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타단은 상기 송풍기의 구동에 대응되게 공캡슐을 충진기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하향 절곡된 절곡부를 갖는 제3이송관과, 상기 제1이송관에 연결된 연결관의 전방과 상기 제2이송관에 연결된 제1이송관의 전방에는 각각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와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송풍량을 조절하기 위해 각각 설치되는 제1,2송풍량 조절수단과, 상기 함체의 전면에는 전원공급 및 차단시키기 위한 스위치버튼과 상기 스위치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호퍼에 내설된 센서가 공캡슐을 감지하여 이를 알리기 위한 알림램프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센서가 공캡슐을 감지함에 따른 압축공기 공급부와 상기 송풍기 및 제1,2송풍량 조절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호퍼에 수용된 약품용 공캡슐을 충진기측으로 자동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방법에 있어서, 제어부에 구비된 스위치버튼을 누름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버튼의 누름으로 이송장치를 수동운전 또는 자동운전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용버튼을 선택 누름시키는 단계와, 상기 선택용버튼의 자동운전 선택에 따른 상기 호퍼에 내설된 센서로부터 공캡슐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의 감지된 값에 대응되게 제1,2이송관 도중에 설치된 제1,2송풍량조절수단의 풍량을 조절하기 위해 풍량조절용버튼을 누름시키는 단계와, 상기 풍량조절용버튼의 누름에 대응되게 제어부는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압축공기를 제1이송관측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흡입구에 필터가 부착되어 제2이송관의 일단에 토출구가 연결된 송풍기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로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공캡슐을 제1이송관을 통하여 압축공기는 압축공기배출용 홀로 배출시키고 공캡슐만을 제2이송관측으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제2이송관으로 이송된 공캡슐을 제3이송관을 통하여 충진기측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은 약품용 공캡슐이 함체의 내부 상단에 갖추어진 호퍼로 공캡슐이 수용되면 상기 공캡슐을 레귤레이터 및 필터에 의해 필터링 된 청정의 압축공기와 송풍기에 송풍공기에 의해 충진기측으로 자동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음을 밝혀 둔다.
다음,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위와 같은 기본적 개념을 갖는 본 발명의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용 공캡슐에 약제를 자동 충진시키기 위한 충진기측으로 공캡슐을 자동 이송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10)는 상부는 회동가능한 도어(201)가 구비되고 저면에는 복수개의 바퀴(202)가 구비된 함체(20)와, 상기 함체(20)의 내측에 미도시된 공캡슐을 수용 및 배출가능하도록 고정 구비되되, 그 내측에는 상기 공캡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301)가 갖추어진 호퍼(30)와, 상기 호퍼(30)의 하단에 연결관(41)을 매개로 용접 등과 같은 방법으로 연통가능하게 도관되어 상기 호퍼(30)로부터 공급되는 공캡슐을 이송시키도록 일단에는 미도시된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레귤레이터(미도시)가 고정 구비되고, 타단은 하향 절곡된 경사부(401)를 갖는 제1이송관(40)과, 상기 제1이송관(40)의 타단을 도중에 연결시키되, 일단은 0.3㎛이하의 분진과 유해물질을 필터링하여 청정의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필터(52)가 장착된 공기 흡입구(51a)와 토출구(51b)를 갖추어 상기 함체(2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송풍기(51)의 토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함체(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도관된 제2이송관(50)과, 상기 제2이송관(50)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함체(20)의 외부에서 입설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타단은 상기 송풍기(51)의 구동에 대응되게 공캡슐을 충진기에 구비된 호퍼(A)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하향 절곡된 절곡부(601)를 갖는 제3이송관(60)과, 상기 제1이송관(40)에 연결된 연결관(41)의 전방과 상기 제2이송관(50)에 연결된 제1이송관(40)의 전방에는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와 상기 송풍기(5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송풍량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해 각각 설치되는 제1,2송풍량 조절수단(70,80)과, 상기 함체(20)의 전면에는 전원공급 및 차단시키기 위한 스위치버튼(901)과 상기 스위치버튼(901)의 조작에 대응되게 호퍼(30)에 내설된 센서(301)가 공캡슐을 감지하여 이를 알리기 위한 알림램프부(902)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센서(301)가 공캡슐을 감지함에 따른 압축공기 공급부와 상기 송풍기(51) 및 제1,2송풍량 조절수단(70,8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9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이송관(40)과 제3이송관(60)의 경사부(401)와 절곡부(601)에는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와 송풍기(51)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배출시켜 상기 경사부(401)와 절곡부(601)에서는 공캡슐이 자중에 의한 자유낙하로 이송 또는 공급될 수 있도록 압축공기배출용 홀(401a)과 송풍기용 공기배출홀(601a)이 각각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한 제1,2이송관(40,50)에 각각 설치되는 제1,2송풍량 조절수단(70,80)은 동일한 구성으로 제1,2이송관(40,50)내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댐퍼(71,81)와, 상기 댐퍼(71,81)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상기 제1,2이송관(40,50)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타단에는 기어(72a,82a)가 고정 구비된 회동축(72,82)과, 상기 회동축(72,82)의 기어(72a,82a)에 물림되는 구동력 전달기어(73a,83a)를 갖는 구동축(73,83)을 회전시키도록 정,역구동가능한 정,역구동모터(74,8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댐퍼(71,81)에 고정 구비된 회동축(72,82)의 마주보는 상기 댐퍼(71,81)의 외주면에는 상기 댐퍼(71,81)를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일단이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제1,2이송관(40,50)을 관통하여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75,85)를 갖는 수동용 회동축(76,86)이 갖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한 제3이송관(60)은 그 도중에 첨부된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자유회전가능한 회전편(61a)을 갖추어 상기 회전편(61a)의 회전에 대응되게 상기 제3이송관(60)을 신축시키도록 신축용 연결부재(61)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제3이송관(60)의 내부에는 공캡슐의 이송에 따른 정전기를 제거하도록 동선(62)이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0)에는 상기 제1,2송풍량 조절수단(70,80)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선택용버튼(903)과, 상기 제1,2송풍량 조절수단(70,80)의 자동 구동에 따른 공캡슐의 크기(무게)에 대응되게 송풍량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복수개의 풍량조절용버튼(904)이 구비된다.
한편, 약품용 공캡슐을 충진기의 호퍼(A)측으로 자동 이송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는, 전술한 이송장치(10)의 제어부(90)에 구비된 스위치버튼(901)을 누름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버튼(901)의 누름에 따른 이송장치(10)를 수동운전 또는 자동운전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용버튼(903)을 선택 누름시키는 단계와, 상기 선택용버튼(903)의 자동운전 선택에 따른 상기 호퍼(30)에 내설된 센서(301)로부터 공캡슐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센서의 감지 값에 대응되게 제1,2이송관(40,50) 도중에 설치된 제1,2송풍량조절수단(70,80)의 풍량을 조절하기 위해 풍량조절용버튼(904)을 누름시키는 단계와, 상기 풍량조절용버튼(904)의 누름에 대응되게 제어부(90)는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압축공기를 제1이송관(40)측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흡입구(51a)에 필터(62)가 부착되어 제2이송관(50)의 일단에 토출구(51b)가 연결된 송풍기(51)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로 호퍼(30)로부터 공급되는 공캡슐을 제1이송관(40)을 통하여 압축공기는 압축공기배출용 홀(401a)로 배출시키고 공캡슐만을 제2이송관(50)측으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제2이송관(50)으로 이송된 공캡슐을 제3이송관(60)을 통하여 충진기의 호퍼(A)측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단계에 의해 자동으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선택용버튼(903)의 수동운전 선택에 따른 제1,2이송관(40,50) 도중에 설치된 제1,2송풍량 조절수단(70,80)의 댐퍼(71,81)를 수동으로 각각 개폐시키는 단계를 갖출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약품용 공캡슐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공캡슐을 충진기의 호퍼(A)측으로 자동 이송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이송장치(10)의 제어부(90)에 구비된 스위치버튼(901)을 누름시킴에 따른 이송장치(10)의 운전을 수동운전 또는 자동운전으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용버튼(903)을 선택 누름시킨다.
이때 상기 선택용버튼(903)을 자동운전으로 선택하게 되면 상기 호퍼(30)에 내설된 센서(301)로부터 공캡슐의 감지하게 되고 그 감지된 값을 제어부(90)로 인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90)는 센서(301)의 감지된 값에 대응되게 알림램프부(902)를 제어하게 된다.
즉, 공캡슐이 상기 호퍼(30)에 수용되어 있으며, 알림램프부(902)는 점등되지 않고 공캡슐이 없을 경우 알림램프부(902)는 점등되어 이를 작업자에게 알리게 된다.
상기 알림팸프부(902)가 점등되지 않게 되면 풍량조절용버튼(904)을 누름시키게 된다.
상기 풍량조절용버튼(904)의 누름에 대응되게 제어부는 제1,2이송관(40,50) 도중에 각각 설치된 제1,2송풍량 조절수단(70,80) 즉, 정,역구동모터(74,84)를 각각 제어하여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2송풍량 조절수단(70,80)의 구동으로 제1,2이송관(40,50)내에 각각 설치된 댐퍼(71,81)가 개방됨과 동시에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압축공기를 제1이송관(40)측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흡입구(52a)에 필터(52)가 부착되어 제2이송관(50)의 일단에 토출구(51b)가 연결된 송풍기(51)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압축공기의 공급 및 송풍기(51)의 구동으로 인해 상기 호퍼(30)로부터 공급되는 공캡슐은 제1이송관(40)을 통하여 이의 제1이송관(40) 경사부(401)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경사부(401)측으로 이송된 공캡슐은 자중에 의해 제2이송관(50)측으로 자유낙하되어 이송됨과 아울러 압축공기는 상기 경사부(401)에 형성된 압축공기배출용 홀(401a)을 통하여 배출되어 진다.
상기 제2이송관(50)으로 이송된 공캡슐은 흡입구(51a)에 필터(52)가 구비된 송풍기(51)의 구동으로 인해 함체(20)의 외부에 도관된 제3이송관(60)측으로 이송되어 진다.
상기 제3이송관(60)으로 이송된 공캡슐은 동선(62)에 의해 정전기 발생이 없이 제3이송관(60)의 절곡부(601)측으로 이송되어 진다.
상기 절곡부(601)측으로 공캡슐이 이송되면 송풍기(51)의 송풍공기는 송풍기용 공기배출홀(601a)을 통하여 배출됨과 아울러 공캡슐은 자중에 의해 충진기의 호퍼(A)측으로 자유 낙하됨으로써 공캡슐의 자동 이송이 완료되어 진다.
한편, 충진기의 호퍼(A) 설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상기 제3이송관(60) 도중에 연결구비된 연결부재(61)의 회전편(61a)을 회전시켜 상기 제3이송관(60)을 신장시키면 된다.
또한, 제1,2송풍량 조절수단(70,80)을 제어부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공캡슐의 크기에 대응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종류의 공캡슐을 자동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는 함체의 내부 상단에 호퍼를 갖추고, 이의 호퍼로 투입된 공캡슐을 필터에 의해 필터링 된 청정의 압축공기와 송풍기로 약제를 충진시키기 위한 충진기의 호퍼측으로 자동 이송시키게 됨으로써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충진기의 호퍼측으로 공급시키지 않고 자동으로 공급시키게 되므로 공캡슐의 손상됨을 방지하여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필터에 의해 필터링시켜 청정의 공기를 공급함으로 충진기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의 송풍량 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의 신축용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송장치 20 : 함체
30 : 호퍼 40 : 제1이송관
50 : 제2이송관 51 : 송풍기
60 : 제3이송관 70 : 제1송풍량 조절수단
80 : 제2송풍량 조절수단 90 : 제어부

Claims (10)

  1. 삭제
  2. 상부는 개구되고, 저면에는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측에 공캡슐을 수용 및 배출가능하도록 고정 구비되되, 그 내측에는 공캡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갖추어진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에 연결관을 매개로 연통가능하게 도관되어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공캡슐을 이송시키도록 일단에는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레귤레이터가 고정 구비되고, 타단은 하향 절곡되며 압축공기배출용 홀이 형성된 경사부를 갖는 제1이송관과;
    상기 제1이송관의 타단을 도중에 연결시키되, 일단은 청정의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필터가 장착된 공기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송풍기의 토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함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도관된 제2이송관과;
    상기 제2이송관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함체의 외부에서 입설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타단은 상기 송풍기의 구동에 대응되게 공캡슐을 충진기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하향 절곡되며 송풍기용 공기배출홀이 형성된 절곡부를 갖는 제3이송관과;
    상기 제1이송관에 연결된 연결관의 전방과 상기 제2이송관에 연결된 제1이송관의 전방에는 각각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와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송풍량을 조절하기 위해 각각 설치되는 제1,2송풍량 조절수단과;
    상기 함체의 전면에는 전원공급 및 차단시키기 위한 스위치버튼과 상기 스위치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호퍼에 내설된 센서가 공캡슐을 감지하여 이를 알리기 위한 알림램프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센서가 공캡슐을 감지함에 따른 압축공기 공급부와 상기 송풍기 및 제1,2송풍량 조절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이송관의 도중에는 일단이 자유회전가능한 회전편을 갖추어 이의 회전편의 회전에 대응되게 상기 제3이송관을 신축시키도록 신축용 연결부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이송관의 내부에는 공캡슐의 이송에 따른 정전기를 제거하도록 동선이 나선형으로 권선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4. 삭제
  5. 삭제
  6. 상부는 개구되고, 저면에는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측에 공캡슐을 수용 및 배출가능하도록 고정 구비되되, 그 내측에는 공캡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갖추어진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에 연결관을 매개로 연통가능하게 도관되어 상기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공캡슐을 이송시키도록 일단에는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레귤레이터가 고정 구비되고, 타단은 하향 절곡되며 압축공기배출용 홀이 형성된 경사부를 갖는 제1이송관과;
    상기 제1이송관의 타단을 도중에 연결시키되, 일단은 청정의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필터가 장착된 공기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송풍기의 토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함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도관된 제2이송관과;
    상기 제2이송관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함체의 외부에서 입설가능하게 구비됨과 아울러 타단은 상기 송풍기의 구동에 대응되게 공캡슐을 충진기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하향 절곡되며 송풍기용 공기배출홀이 형성된 절곡부를 갖는 제3이송관과;
    상기 제1이송관에 연결된 연결관의 전방과 상기 제2이송관에 연결된 제1이송관의 전방에는 각각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와 송풍기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송풍량을 조절하기 위해 각각 설치되는 제1,2송풍량 조절수단과;
    상기 함체의 전면에는 전원공급 및 차단시키기 위한 스위치버튼과 상기 스위치버튼의 조작에 대응되게 호퍼에 내설된 센서가 공캡슐을 감지하여 이를 알리기 위한 알림램프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센서가 공캡슐을 감지함에 따른 압축공기 공급부와 상기 송풍기 및 제1,2송풍량 조절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송풍량 조절수단은,
    제1,2이송관내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댐퍼와,
    상기 댐퍼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상기 제1,2이송관을 관통하여 돌출됨과 아울러 타단에는 기어가 구비된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기어에 물림되는 구동력전달기어를 갖는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정,역구동가능한 정,역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에 고정 구비된 회동축의 마주보는 상기 댐퍼의 외주면에 상기 댐퍼를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를 갖는 수동용 개폐회동축이 제1,2이송관을 관통하여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3-0017715A 2003-03-21 2003-03-21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 KR100516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715A KR100516531B1 (ko) 2003-03-21 2003-03-21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7715A KR100516531B1 (ko) 2003-03-21 2003-03-21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493U Division KR200319034Y1 (ko) 2003-03-21 2003-03-21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158A KR20040083158A (ko) 2004-10-01
KR100516531B1 true KR100516531B1 (ko) 2005-09-26

Family

ID=3736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715A KR100516531B1 (ko) 2003-03-21 2003-03-21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5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243B1 (ko) * 2020-07-22 2020-09-29 주식회사 피티케이 캡슐 이송 호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158A (ko) 200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7340B2 (ja) 包装機械に製品を給送する装置及び方法
WO2021232696A1 (zh) 一种棘链式自动破袋设备
CN210618615U (zh) 称重式螺杆充填包装机
KR100516531B1 (ko)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
KR200319034Y1 (ko) 약품용 공캡슐 자동 이송장치
CN107458671A (zh) 一种物料自动分配包装机
CN209396434U (zh) 食品制造装置及螺旋输送机构
CN102627192B (zh) 药品摆药机的药箱
JP2002224578A (ja) 粒体気流搬送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自動洗米装置
CN211108115U (zh) 一种塑料切粒机自动包装器
JP2005035736A (ja) 搬送機構及び定量充填機
CN214358655U (zh) 一种生物肥的高效生产传送移动设备
KR101479119B1 (ko) 배추김치 제조 장치
CN207788159U (zh) 孔用挡圈收口压装机
JP3932202B1 (ja) 粉体移送装置
CN110745758A (zh) 一种半流体真空灌装机
CN206358943U (zh) 污泥卸料系统
CN2491332Y (zh) 粉料灌装机
CN216443876U (zh) 一种雪茄烟支输送辊及输送系统
CN213076678U (zh) 一种医用口罩生产用消毒装置
JP3122721U (ja) 粉体移送装置
CN112061808B (zh) 一种便于下料的卸料机总成
CN220519512U (zh) 一种避免堵塞的气力输送泵
CN220998366U (en) Pneumatic vacuum conveying equipment
CN214526552U (zh) 可吹扫清洁皮带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