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451B1 -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 - Google Patents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451B1
KR100516451B1 KR1019970072667A KR19970072667A KR100516451B1 KR 100516451 B1 KR100516451 B1 KR 100516451B1 KR 1019970072667 A KR1019970072667 A KR 1019970072667A KR 19970072667 A KR19970072667 A KR 19970072667A KR 100516451 B1 KR100516451 B1 KR 100516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dium
weight
toothpaste
alone
pyrophosph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3086A (ko
Inventor
세 영 윤
재 현 안
태 관 김
종 헌 최
진 환 이
인 림 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19970072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451B1/ko
Publication of KR19990053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3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제로서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인산일수소칼슘, 탄산칼슘 및 함수알루미나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1∼40중량%; 음이온기포제로서 알킬황산나트륨, 라우릴사르코신에니트, 소디움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 및 Soap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0.1 내지 3중량%;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칠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소르베이트, 데카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모노올레인산소르비탄,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코코아마이드 디이에이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0.1 내지 3중량%; 약효제로서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나트륨, 트리클로산, 클로로헥시딘 글루코네이트, 상귀나리아, 과산화수,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및 산성피로인산나트륨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0.1 내지 5중량%; 무기결합제로서 점증용실리카 및 알루미늄실리케이트를 단독으로 또는 혼용하여 1 내지 30중량%를 함유하며, 치약의 비중이 1.15 내지 1.3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
본 발명은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구강내에 자극이 적으면서도 약용효능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양치시 자극감을 느끼지 못하지만 민감한 사람이거나 또는 구강건간이 좋지 않을 때 느끼기도 한다. 이러한 사람들이 치약 사용시 자극감을 느끼는 이유는 크게 두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첫째는 대부분의 치약에 사용되는 기포제인 알킬황산나트륨에 의한 것이며, 둘째는 치약의 연마도가 높아서 연마제가 치아표면에 필요 이상의 힘을 전달하기 때문이다. 이 두가지 작용이 상승효과를 나타내어 양치시 자극감을 느끼게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두가지 자극원을 개선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자극원을 개선함에 따라서 발생되는 부작용으로 살균력저하 및 오염물제거능력 저하 등 치약의 효능이 불량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약용성분을 첨가하여 치약의 효능을 보강하고 치약의 비중을 낮추고 양치 후 음식 맛을 변치 않도록하여 사용감을 개선하였다. 이런 사용감 개선은 저자극성(mild) 치약 이미지와 일치하므로 치약의 상품력을 높인다.
일반적인 치약조성물에 있어서 대표적인 기포제로는 알킬황산나트륨이 있다. 알킬황산나트륨은 기포를 발생시켜 양치감을 좋게하고, 세정작용을 도와주며, 약효제의 분산 침투를 신속하게 하고 계면장력을 감소시켜 구강내 이물질을 쉽게 떨어지게 하고 구강내 세균을 살균시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알킬황산나트륨(SLS)은 맛이 쓴데 구강내에 잔존하여 오렌지 쥬스와 같은 음식을 섭취했을 때 맛을 변하게 하고 또 구강세포를 자극하여 탈리를 촉진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시도가 있었다.
일본특허 제 87-17967호에서는 폴리옥시에칠렌 경화 피마자유와 알킬기의 탄소수 8 내지 18의 고급알콜 황산에스테르를 병용하여 양치시 사용감 등을 개선하려고 시도하였다. 일본특허 제 87-17563호에서는 음이온계면활성제와 설탕지방산에스테르 등의 비이온 게면활성제를 병용하여 양치 후 쥬스효과 및 기포성을 증진시킨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들 특허에서는 자극과 쥬스효과를 줄이기 위해 SLS의 함량을 줄이거나 대체 하였는데, 이경우 상품성 및 효능이 크게 저하된다. 우선 비이온계면활성제를 단독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포감이 떨어지고, 음이온과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함께 사용한 경우에는 기포력은 우수할 수 있어도 음이온계면활성제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살균효능이 저하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상기의 일본특허에서는 연마제에 의한 자극감을 개선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여전히 자극감을 느낀다. 치약중에 자극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또 다른 경우는 연마제에 의한 것이다. 치약의 연마도가 높으면 치아표면을 갈아 손상시키고 시리게 하며 잇몸을 손상시킨다.
이런점을 개선하기 위해 미국특허 4986981호에서는 저연마도 처방을 개발하여 치아손상을 방지한다고 하였다. 이 특허에서는 연마도를 낮춘 대신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구연산 등을 사용하였으나, 크게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마제의 함량이 높아 자연히 치약 비중도 높고 양치시 치약이 강하고 무겁다는 느낌을 준다. 이런 느낌은 저자극성 치약과 어울리지 않을뿐만 아니라 계면활성제에 의한 자극도 개선치 않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자극감을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치약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첫째로, 계면활성제에 의한 자극과 연마제에 의한 자극 양쪽 모두를 개선하여 기존에 계면활성제만 개선하거나 또는 연마제만 개선시켰던 치약제품에 비해 자극이 월등히 줄었다.
둘째로, 기존 치약제품이 계면활성제를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단독 사용하여 자극을 줄이려고 시도 했을때에는 기포도가 아주 낮아 상품성이 떨어지고, 비이온 및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혼합 사용시에는 기포력은 어느정도 유지 가능하나 음이온 게면활성제의 사용량이 줄어 들고 이에 비례하여 살균력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는 비이온과 음이온을 사용 기포력을 유지하면서도 살균력을 갖는 적절한 약효제를 사용하여 살균력을 보강하였다.
셋째로, 기존 치약이 치아 및 구강세포에 과도한 힘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치약의 연마력만 낮추었고 이로인해 치약 본래의 기능인 프라그 및 치석과 같은 오염물질 제거효과가 떨어졌다. 본 발명에서는 연마도가 낮으면서도 치석과 같은 불순물을 화학적으로 제거 및 부착방지 해주는 약효제인 수용성의 인산염을 함유하여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처방되었다.
넷째로, 관능적 사용감을 개선하였다. 양치 후 음식맛을 변하게 하는 오렌지 쥬스효과를 개선하였다. 기존 치약에서는 오렌지 쥬스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기포도 및 살균효과를 떨어뜨렸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러하지 않았다. 그리고 처방상 연마제의 함량을 낮추고 물의 함량을 높이도록 설계하여 치약의 비중을 낮추었기 때문에 입안에 넣었을 때 가볍다는 느낌을 준다. 이런 느낌은 치약의 기능인 저자극성과 일치하기 때문에 상품성을 더 높일 수 있고 또 기존의 치약에선 찾아보기 어려운 신규기술로 판단된다. 또한 무기결합제를 적절히 사용하여 과량이 물을 사용해도 치약에서 액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연마제로서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인산일수소칼슘, 탄산칼슘 및 함수알루미나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1∼40중량%; 음이온기포제로서 알킬황산나트륨, 라우릴사르코신에니트, 소디움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 및 Soap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0.1 내지 3중량%;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칠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소르베이트, 데카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모노올레인산소르비탄,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코코아마이드 디이에이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0.1 내지 3중량%; 약효제로서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나트륨, 트리클로산, 클로로헥시딘 글루코네이트, 상귀나리아, 과산화수,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및 산성피로인산나트륨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0.1 내지 5중량%; 무기결합제로서 점증용실리카 및 알루미늄실리케이트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1 내지 30중량%를 함유하며, 치약의 비중이 1.15 내지 1.3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약조성물은 연마제, 기포제, 약효제, 결합제, 습윤제, 향료, 감미제, 방부제, 물 등으로 구성된다.
치약조성물에서 연마제는 일반적으로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인산일수소칼슘, 탄산칼슘, 함수알루미나,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슘, 지르코니움 실리케이트, 수산화인회석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20∼70중량% 정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치약조성물에서는 침강실리카,실리카겔, 인산일수소칼슘, 탄산칼슘, 함수알루미나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1∼4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2∼20중량% 사용한다. 연마제를 1% 미만 사용한 경우는 연마도가 전혀 없어 기본적인 세정작용이 미흡하고 40%이상 사용시에는 비중과 연마력이 커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기포제는 주로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알킬황산나트륨이 대표적이다. 본 발명의 치약조성물에서는 음이온계면활성제로 알킬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라우릴사르코신에이트(lauryl sarcosinate), 소디움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sodium lauryl ether sulfate) 및 Soap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0.1∼3중랑%, 바람직하게는 0.2∼1.5중량% 사용한다. 음이온계면활성제를 0.1% 미만 사용할 때에는 기포력이 미약하며, 3.0% 이상 사용할 때에는 음이온계면활성제의 함량을 증가시켜도 기포도가 더 이상 크게 좋아지지 않았고 오히려 자극만 증가하였다.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음이온계면활성제와 함께 최적화해서 첨가시 계면활성제의 마이셀비이온계면활성제를 음이온계면활성제와 함께 최적화해서 첨가시 계면활성제의 마이셀(micelle) 형성을 돕기 때문에 기포력이 우수해진다. 본 발명의 치약조성물에서 이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비이온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칠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상품명: 플루오닉), 폴리소르베이트, 데카글리세린모노 라우레이트, 모노올레인산소르비탄,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코코아마이드 디이에이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0.1∼3중량%, 바람직하게는 0.3∼2.0중량% 사용한다. 비이온계면활성제를 0.1% 미만 사용할 때에는 기포력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3.0% 이상 사용시에는 더 이상의 기포력 증가 경향이 없었다.
본 발명의 치약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약효제는 두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로 음이온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줄어듬에 따라서 감소된 살균력을 보강하기 위한 약효제가 있다. 충치균을 전문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등 불소화합물을 사용한다. 일반적인 살균 목적으로는 클로로헥시디윰, 염화벤잘코니윰, 염화벤젠토니윰, 상귀나리아, 효소류 및 과산화물을 첨가한다. 둘째로 연마제의 함량이 줄어듬에 따라 치석, 프라그와 같은 오염물질이 치아에 쉽게 축적될수 있는데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및 산성피로인산나트륨등 수용성인산염 계열의 약효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서 약효제는 0.1 내지 5중량% 사용한다.
결합제는 일반적으로 치약에서 액상과 고상을 결합하여 액분리를 방지하고 치약의 점도를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유기결합제로는 카르복시메칠 셀룰로오즈나트륨, 카라기난, 수용성 폴리비닐아크릴 수지, 잔탄검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 사용한다. 본 발명의 치약조성물에서는 이러한 목적외에 기포력을 상승시킬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결합제는 계면활성제가 만들어낸 기포 표면에 부착되어 기포벽을 더욱 튼튼하고 이로인해 기포는 쉽게 깨지지 않고 결과적으로 기포력이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치약조성물에서는 유기결합제는 카르복시메칠 셀룰로오즈나트륨, 카라기난, 잔탄검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무기결합제는 치약에 사용할 때 습윤제 및 물을 흡수하여 액분리를 방지하고 또 점도를 상승시킨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기결합제는 점증용실리카, 알루미늄실리케이트가 있으며, 그의 사용량은 5중량% 미만이다. 본 발명의 치약조성물에서는 기존 치약에 비해 연마제의 함량을 낮추고 물의 함량을 높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무기점증제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물의 함량이 높아졌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치약의 비중이 낮아지고 이로인해 양치시 치약이 가볍고 부드럽다는 느낌을 준다. 본 발명의 치약조성물에서는 실리카, 알루미늄실리케이트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중량% 사용한다.
일반치약의 비중은 1.40∼1.8 정도이다. 이들 치약은 입안에 넣을 때 무겁고 단단하다는 느낌을 준다. 기존의 저자극성(mild) 치약도 일반치약과 마찬가지로 비중이 높기 때문에 무겁다는 느낌을 주고 관능적인 면에서 기존 치약과 차별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치약에서는 치약 비중을 1.15∼1.39로 낮춰줄 수 있기 때문에 가볍고 부드럽다는 이미지를 준다. 본 발명에서는 연마제의 함량을 줄이고, 물의 함량을 늘여 치약의 비중을 낮추었다. 물의 함량이 늘어남에 따라 치약의 액분리가 우려되기 때문에 무기결합제의 함량을 증가시켜 치약의 상안정성을 양호케 했다. 바람직한 비중의 범위는 1.20∼1.30이다. 비중 1.15 미만에서는 치약의 제형이 좋지 않고 1.39 이상에서는 입안에서 치약의 무게감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조성물에서 습윤제는 치약이 공기중에 노출될 때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이 있다. 습윤제는 소르비톨액, 글리세린, 폴리에칠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향료는 연마제나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텁텁한 맛을 가리기 위해서 사용되는데 구강조직에 대해 자극이 있으므로 그 함량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연마제와 음이온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적으므로 향료를 적게 사용하고 이로인해 향료를 필요 이상으로 사용치 않으므로 향료에 의한 자극을 줄일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4에 의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비의 성분으로 치약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02
구강점막에 대한 자극성(점막탈리) 평가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조성물을 사용하여 일정시간 동일한 치속질 방법으로 각 치약조성물을 양치한 후 그 양치액으로부터 탈리된 점막을 채취하여 평균무게를 구하고 이로부터 치약조성물간의 점막탈리 정도를 비교하였다.
점막이 탈리되는 이유는 과량의 SLS와 같은 음이온계면활성제, 비이온계면활성제 그리고 연마제의 연마도가 필요이상으로 높았을 때 구강점막을 자극, 탈리를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표 2]
Figure pat00003
실험방법:
충치 및 잇몸질환 등을 갖고 있지 않은 건강한 구강조건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각 조성물의 치약을 1 그람 사용하여 3분간 동일한 방법으로 양치한 후 일정량의 물로 헹구어 낸 다음 이 헹구어낸 액을 1시간 방치하여 비중이 큰 연마제 성분 등을 침강시켜 제거한 후 상등액을 12,0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 시키고, 침전된 물질을 탈리된 점막으로 보고 그 무게를 달아 비교하였다.
부드러운(mild) 사용감 및 거품발생에 대한 관능평가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조성물의 양치시 사용감과 거품발생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군별로 남녀 10명씩을 대상으로 실시예와 비교예를 1시간 간격으로 교대로 양치시킨후 설문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4
평가기준:
사용감 : 4 매우부드럽다 3 부드럽다 2 보통이다 1 나쁘다
기포감 : 4 매우 풍부하다 3 풍부하다 2 보통이다 1 적다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부드러운 사용감과 기포감 양쪽이 모두 다 양호하였다. 반면 비교예 1과 3에서는 기포감은 비교적 양호하였으나 계면활성제 및 연마제 함량이 과다하여 사용감이 떨어졌다. 비교예 2와 4에서는 기포감이 불량하여 상품성이 떨어졌다.
실시예 4와 비교예 1, 3을 비교분석해 보면 관능적으로 느끼는 기포감은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일정 수준이상에 도달되었을 때 그 함량이 더 늘어나도, 크게 증가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살균약효제 평가시험
시험방법은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을 10%로 희석한액 1㎖를 가지고 8㎖의 인산염완충용액과 혼합하고 여기에 각각의 균들을 인산염완충용액 ㎖당 7백만개로 희석한 액 1㎖를 혼합한 후 각 시간별로 생균수를 측정하여 균수가 90%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였다.
대조시험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고 같은 방법으로 하였으며 이때 대조시험시 총균수(Xo)와 시료를 이용한 시험시의 총균수(X)를 이용한 감소율은
Figure pat00005
이며, 각시간별로 측정된 감소율을 1차 회귀분석으로 계산하여 90%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였다.
이때 대조시험의 감소율을 0%로 하였을 때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시간이 짧을수록 살균력이 좋음을 의미한다.
[표 4]
Figure pat00006
상기 결과에서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알킬황산나트륨의 사용을 줄이고도 살균제를 첨가 살균력을 기존보다 증가케 했다. 비교예에서는 자극 및 쥬스효과를 얻기 위해 알킬황산나트륨의 함량을 감소 또는 대체 하였기 때문에 살균력이 떨어졌다.
오염물질 제거 약효제 평가시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치약의 연마도를 높여서 치아표면에 부착된 것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치아표면 및 구강세포에 과다한 힘을 전달 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 하기 위해서 저 연마도로 치약을 제조하기도 하는데 이때에는 오염물질이 쉽게 제거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인산염을 이용 치아에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화학적으로 방지하였다.
실험방법은 실험대상자의 치아오염상태(치석 및 프라그에 의한 오염포함)를 색조계를 이용하여 사용전과 후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그리고 측정된 색조를 문 셀비색표의 명도지수로 치환하여 수치화하였다. 남녀 각각 15명씩 1일 3회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치약을 사용하였다. 수치가 높아질수록 치아가 밝아지는 것이며 이는 오염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됨을 의미한다.
[표 5]
Figure pat00007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해 연마제의 함량이 극히 적은데도 불구하고 인산염 등의 역할로 인해 오염물질을 화학적으로 제거 및 오염방지 하기 때문에 4주 사용후 치아의 명도(밝기)가 증가하였다.
양치후 쥬스 효과에 대한 관능평가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조성물의 양치 후 음식맛 변화 억제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한 조성물에 대해 10명씩 양치 시킨 후 오렌지 쥬스를 마시게 하고 쥬스 맛의 변화정도를 다음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5: 맛의 변화가 전혀 없다. 4: 맛의 변화가 거의 없다.
3: 맛의 변화가 약간 있다. 2: 맛의 변화가 많이 있다.
1: 맛의 변화가 매우 많다.
[표 6]
실시예에서는 음이온과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적절하게 혼합 사용하였기 때문에 기포도는 우수하면서도 전체적인 사용량이 적어 구강내 잔류량이 적고 이에 따라 음식맛을 변하게 하지 않았다.
반면 비교예 1∼3에서는 계면활성제의 양이 많아 음식맛에 영향을 많이 주었다. 비교예 4는 음이온계면활성제인 알킬황산나트륨이 없어 음식맛에 영향이 적었지만 기포도가 저조하였다.
비중측정
치약의 비중을 측정하여 치약이 얼마만큼 가벼운지를 알아낸다. 치약의 비중이 낮을수록 입안에서 부드럽고 가볍다는 느낌을 준다.
[표 7]
Figure pat00009
실시예 1-5는 비교예 1-4에 비해 비중이 낮으며 따라서 입안에서 매우 가볍다는 느낌을 준다.
상안정성 측정
치약의 상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5와 비교예 1-4의 치약조성물에 대해 상온 및 고온(40℃)에서 1, 3, 6개월째의 경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표 8]
5: 매우양호 (초기상태와 동일) 4: 양호 (내용물 상태 양호)
3: 보통
2: 불량 (내용물 액분리등 진행) 1: 매우 불량 (완전 층분리 발생)
상기표에서와 같이 경시안정성 평가결과 실시예가 약간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무기결합제를 적절하게 사용, 액분리등이 없이 상안정성이 양호함을 의미한다.

Claims (3)

  1. 연마제로서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인산일수소칼슘, 탄산칼슘 및 함수알루미나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1∼40중량%; 음이온기포제로서 알킬황산나트륨, 라우릴사르코신에니트, 소디움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 및 Soap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0.1 내지 3중량%;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칠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소르베이트, 데카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모노올레인산소르비탄,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코코아마이드 디이에이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0.1 내지 3중량%; 약효제로서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나트륨, 트리클로산, 클로로헥시딘 글루코네이트, 상귀나리아, 과산화수,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나트륨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0.1 내지 5중량%; 무기결합제로서 점증용실리카 및 알루미늄실리케이트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1 내지 30중량%를 함유하며, 치약의 비중이 1.15∼1.3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한 치약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유기결합제로서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즈나트륨, 카라기난 및 잔탄검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추가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습윤제로서 소르비톨액, 글리세린, 폴리에칠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추가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19970072667A 1997-12-23 1997-12-23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 KR100516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667A KR100516451B1 (ko) 1997-12-23 1997-12-23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667A KR100516451B1 (ko) 1997-12-23 1997-12-23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086A KR19990053086A (ko) 1999-07-15
KR100516451B1 true KR100516451B1 (ko) 2006-01-27

Family

ID=3717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667A KR100516451B1 (ko) 1997-12-23 1997-12-23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4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341A (ko) * 2002-07-23 2004-01-31 남종현 치주질환에 효과가 있는 치약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826A (ko) * 1988-10-04 1990-05-09
US5424060A (en) * 1993-10-25 1995-06-13 Church & Dwight Co., Inc. Dentifrice composition containing stabilized sodium percarbonate
KR960016877A (ko) * 1994-11-01 1996-06-17 성재갑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치약조성물
KR970064589A (ko) * 1996-03-11 1997-10-13 성재갑 상쾌감 및 지속성을 증진시킨 치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6826A (ko) * 1988-10-04 1990-05-09
US5424060A (en) * 1993-10-25 1995-06-13 Church & Dwight Co., Inc. Dentifrice composition containing stabilized sodium percarbonate
KR960016877A (ko) * 1994-11-01 1996-06-17 성재갑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치약조성물
KR970064589A (ko) * 1996-03-11 1997-10-13 성재갑 상쾌감 및 지속성을 증진시킨 치약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086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31831A1 (en) Oral anti-calculu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992927B1 (ko) 잇몸질환 예방 및 개선용 치약 조성물
JPH0784374B2 (ja) 抗歯石練り歯磨
Putt et al. Enhancement of plaque removal efficacy by tooth brushing with baking soda dentifrices: results of five clinical studies
Madhuri et al. Dentifrices: an overview from past to present
KR100516451B1 (ko)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
JPH09175963A (ja) 歯磨組成物
KR102196459B1 (ko)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US11583481B2 (en) Dentifrice formulations and methods of oral care
KR100704585B1 (ko) 치약 조성물
US10894004B2 (en) Composition
DM et al. Dentifrice-Fricare your Teeth
Pader Dental products
KR101583758B1 (ko) 귀양석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TWI268788B (en) Surfactant system for increasing dental tissue antibacterial agent uptake
KR20160010667A (ko) 탄산수소나트륨과 퀼라야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0494287B1 (ko) 은입자가 함유된 건강치약의 제조방법
JP7078043B2 (ja) 歯磨剤組成物
JP6874688B2 (ja) 歯磨剤組成物及び口腔バイオフィルム除去剤
KR100494286B1 (ko) 금입자가 함유된 건강치약의 제조방법
TWI224508B (en) Olive oil-containing toothpaste
KR100559194B1 (ko) 자극성 및 사용감을 개선시킨 치약조성물
KR101583760B1 (ko) 콘드로다이트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CN114929179A (zh) 用于使牙釉质再矿化的组合物
CN114767571A (zh) 一种美白清洁牙膏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