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301B1 - 제지기의 흡인박스 및 제지기의 흡인박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지기의 흡인박스 및 제지기의 흡인박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301B1
KR100514301B1 KR1019980706823A KR19980706823A KR100514301B1 KR 100514301 B1 KR100514301 B1 KR 100514301B1 KR 1019980706823 A KR1019980706823 A KR 1019980706823A KR 19980706823 A KR19980706823 A KR 19980706823A KR 100514301 B1 KR100514301 B1 KR 100514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box
suction
wire
rib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7407A (ko
Inventor
조르마 스넬만
안티 포이콜래넨
아리 푸우르티넨
삼파 제이. 살미넨
Original Assignee
메트소 페이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트소 페이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트소 페이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87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48Suction apparatus
    • D21F1/52Suction boxes without rolls

Landscapes

  • Paper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챔버(21), 데크 또는 와이어 등을 향해 개방된 다수의 U-단면 형상 홀더(24) 및 상기 데크 또는 상기 홀더(24)에 장착되어 로딩수단(23)에 의해 와이어 등으로 로딩될 수 있는 다수의 리브(22)를 포함하는 제지기의 흡인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소한 작동 상태에서, 와이어(10,10A,10B) 장력이 흡인박스(20,20')에 제공된 진공에 의해 발생되며 와이어(10,10A,10B)와 데크(29')/리브(22) 사이에 작용하는 수직력을 감소시키도록 흡인박스(20,20')의 데크(29') 또는 리브(22) 포지션이 커브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지기의 흡인박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진공이 흡인박스(20)의 진공챔버(21) 내에 형성되고, 진공을 형성하는 동안, 데크 및/또는 리브(22)이 와이어 등에 압착된다. 최소한 작동상태에서, 최소한 작동 상태에서, 와이어(10,10A,10B) 장력이 흡인박스(20,20')에 제공된 진공에 의해 발생되며 와이어(10,10A,10B)와 데크(29')/리브(22) 사이에 작용하는 수직력을 감소시키도록 흡인박스(20,20')의 데크(29') 또는 리브(22) 포지션이 커브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제지기의 흡인박스 및 제지기의 흡인박스 사용방법{SUCTION BOX IN A PAPER MACHINE AND METHOD IN THE SUCTION BOX IN A PAPER MACHINE}
본 발명은 진공챔버, 와이어 등을 향해 개방된 데크(deck) 또는 다수의 U- 단면형상 홀더, 및 상기 데크 또는 상기 홀더에 장착되어 로딩수단(loading means)에 의해 와이어 등에 로딩될 수 있는 다수의 리브(rib)를 포함하는 제지기의 흡인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진공이 흡인박스의 진공챔버 내에 형성되고 진공을 형성하는 동안 데크 및/또는 리브가 와이어 등에 압착되는 제지기의 흡인박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지기의 흡인박스와 관련하여, 전력소비가 많고 와이어가 빨리 마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흡인박스 상의 리브 또는 공동 데크가 와이어에 바싹 위치되고, 이와 관련하여 흡인박스의 진공효과에 의해, 힘이 와이어와 리브 사이에서 발생되고, 이 힘은 수직력과 마찰력으로 분리된다. 리브와 와이어 사이의 마찰력은 흡인박스의 진공 작용과 와이어의 속도 작용으로 증가하고, 이와 관련하여 와이어의 집중 마모가 발생한다. 이것은 또한 전력 소비를 증가시킨다. 선행기술에 공지된 해결책에 있어서, 이들 문제의 한 해결책으로 흡인박스 대신에 흡인롤이 사용되었으나, 이와 관련하여 펌핑작업에서 발생하는 많은 전력손실이 문제화되었다. 마찬가지로, 세척비용과 많은 수리비 및 흡인롤의 제조비가 상기 해결책에 대한 결점이었다. 또한, 속도가 높게 될 경우, 전력소비와 마모가 크게 증가하고, 이런 이유로 이들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도1A∼1B는 두 롤 사이에 장착된 흡인박스의 개략도로서, 도1A는 진공이 스위치-온(switch on) 되지 않은 상태 또는 진공이 스위치-온 되었으나 리브가 아직 작동위치에 있지 않은 상태이고, 도1B는 진공이 스위치-온 되었고 리브가 작동위치로 변경된 상태이다.
도2A∼2B는 와이어의 직선 이동경로에 놓여진 흡인박스의 개략도로서, 도2A는 진공이 스위치-온 되지 않은 상태 또는 진공이 스위치-온 되었으나 흡인박스가 아직 작동위치에 있지 않은 상태이고 도2B는 진공이 스위치-온 되었고 리브가 작동위치로 변경된 상태이다.
도3A∼3C는 두 와이어가 롤 위로 이동하는 상태에서 롤 맞은편에 장착된 흡인박스의 개략도로서, 도3A는 진공이 스위치-온 되지 않은 상태 또는 진공이 스위치-온 되었으나 흡인박스가 아직 작동위치에 있지 않은 상태이고, 도3B는 진공이 스위치-온 되었고 흡인박스가 작동위치로 변경된 상태이고, 도3C는 상기 도3B의 진공레벨보다 더 높은 진공레벨 상태이다.
도4A∼4D는 흡인박스와 관련하여 상이한 상태에서 작용하는 힘의 개략도로서, 도4A는 흡인박스 내에 진공이 없고 리브가 록킹되지 않은 상태이고, 도4B는 진공이 흡인박스 내에서 작용하고 리브가 록킹되지 않은 상태이고, 도4C는 흡인박스의 진공이 리브 하부에서 작용하고 리브가 록킹되지 않은 상태이고, 도4D는 흡인박스의 진공이 리브 하부에서 작용하고 리브가 록킹된 상태이다.
도5A∼5B는 흡인박스의 단부 시일링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5A는 흡인박스내에 진공이 없는 상태이고 도5B는 흡인박스에 진공이 있는 상태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어에 가해진 진공부하와 와이어 장력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7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흡인박스의 개략도이고, 도7B는 진공이 스위치-온 되지 않은 상태 또는 진공이 스위치-온 되었으나 흡인박스가 아직 작동위치에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7C는 진공이 스위치-온 되고 흡인박스가 작동위치로 변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8A는 오픈 롤(open roll)에 대향하는 흡인박스의 적절한 위치, 바람직하게 흡인박스 내부에 제공된 흡인롤을 도시한 것이다.
도8B는 도8A에 도시된 위치에 놓여진 흡인박스의 작동을 도시한 것으로서, 리브가 조정되어 소정 간극(E)이 리브와 리브 맞은편에 놓여진 픽업롤(100)면 사이에 형성되고 이와 관련하여 웨브(W)의 재습윤(rewetting)이 방지되는 상태이다.
도8C는 웨브(W)가 카우치 피트(couch pit)내로 이동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 픽업롤은 흡인력을 갖지 않으나 흡인박스에는 흡인력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지기에 있는 흡인박스의 많은 전력소비를 배제하고 와이어의 급속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흡인박스는 최소한 작동상태에서 와이어 장력이 흡인박스에 제공된 진공에 의해 발생되며 와이어와 데크/리브 사이에 작용하는 수직력을 감소시키도록 흡인박스의 데크 또는 리브 포지션(position)이 커브(curve)로 형성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최소한 작동상태에서 흡인박스의 데크 또는 리브 포지션의 커브형상은 와이어 장력이 흡인박스에 제공된 진공에 의해 발생되며 와이어와 데크/리브 사이에 작용하는 수직력을 감소시킬 정도로 형성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는 흡인박스의 리브 또는 공동 데크와 와이어 사이의 마찰이 적어지거나 사실상 제거되어, 전력소비가 감소되고 와이어의 마모가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작동 상태에서 흡인박스의 리브 또는 흡인박스의 데크에 의해 형성된 공동 포지션이 (오목하게) 만곡되어 와이어 장력이 진공에 의해 발생되며 와이어와 리브/데크 사이에 제공되는 수직력을 감소시킨다. 리브/데크의 커브형상은 만곡된 (오목)형상부의 리브를 록킹(locking)하거나 또는 흡인박스의 데크/리브의 포지션을 미리 소정의 방식으로 (오목하게) 만곡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흡인박스의 데크가 고정되고 미리 (오목하게) 만곡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찰 감소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위에서 언급한 장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로 제조비용이 매우 유리할 수 있다.
리브가 소정 위치에서 록킹되고 무접촉 시일링(sealing)이 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더 적은 마찰력이 또한 달성되고, 이 경우 동력소비가 감소되고 와이어의 마모가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는 와이어가 만곡된 로프 커브(rope curve)의 형상으로 굽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다른 특징에 따르면, 흡인박스상의 리브를 록킹하는 것이 가능하여 리브가 와이어에 접촉하거나 소정의 수직력이 리브와 와이어 사이에 발생되고, 이것에 의해 작동 신뢰성의 증가를 얻는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은 아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나타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도1A∼1B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흡인박스(20)는 두 롤(12,13) 사이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며, 흡인박스(20)에는 가동리브(22; mobile lib)가 제공된다. 롤(12,13) 외에, 와이어 루프(10)가 또한 롤(11,14) 위로 이동한다. 도1A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흡인박스(20)의 진공챔버(21)에 진공이 없고, 이 경우 와이어(10)는 직선으로 주행하고 리브(22)가 와이어에 로딩된다. 도1B에 도시된 상태는 진공이 흡인박스(20)의 흡인챔버(21)에 가해지는 상태에 도달되고, 또한 진공은 와이어(10)를 흡인박스(20)의 커브형상부로 당기고, 리브(22)는 리브(22)의 로딩압력이 제거될 때 홀더(24) 내로 귀환된다. 흡인챔버(21)의 진공레벨 및 흡인박스(20)와 와이어(10) 사이의 거리가 소정 값으로 더 이상 변하지 않을 때, 흡인박스(20)의 리브(22)는 록킹 메커니즘에 의해 록킹되고, 이것은 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고, 적절한 위치에 가장 인접한 경우 작은 간극이 와이어(10)와 리브(22) 사이에 있고, 이 경우 무접촉 시일링이 달성된다.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흡인박스(20) 양측에서 아주 짧은 거리에 롤(12,13)이 있기 때문에 흡인박스(20)가 고정위치에 놓여진다. 이와 같은 경우, 흡인박스(20)에 대한 와이어(10)의 유입각과 배출각이 충분히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1A와 1B의 상태를 비교하면, 진공이 와이어를 커브형상부 내로 당기는 것이 확연해지고, 이 형상은 로프 커브의 형상 즉, 코사인 쌍곡 형상에 대응한다. 이와 같은 경우, 단위 길이당 부하가 같은 상태에 도달하고, 이 경우 와이어(10)가 장력을 갖고, 힘의 수직성분이 부하(load)를 전달하고 수직력을 감소시키고, 이 상태에서 리브(22)가 사실상 진공의 감소 없이 와이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도6의 리브 위치에서 록킹될 수 있다. 와이어의 커브형상은 이용되는 진공에 따라 결정되고 와이어 장력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흡인박스(20) 상의 리브(22)는 흡인박스(20)의 진공레벨과 흡인박스(20)와 와이어(10)사이의 거리가 더 이상 변하지 않을 때 록킹된다. 동시에 록킹 메커니즘은 진공레벨의 감소 없이 와이어로부터 약간 이격되게 리브(22)를 분리하고, 이와 관련하여 전력소비와 와이어의 마모가 감소된다.
도2A 및 도2B는 흡인박스(20)가 롤(12A,14A) 사이의 와이어 직선이동 경로에 위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2A 및 도2B는 또한 와이어 순환(10A), 롤(11A) 및 프레스 펠트(15A)와 픽업롤(16A)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흡인박스(20)는 위치변환이 가능하고, 이것은 화살표(S)로 표시되어 있다. 도2A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흡인박스(20)의 흡인챔버(21) 내에 진공이 없거나, 진공이 스위치 온 되었으나 흡인박스가 아직 작동위치에 있지 않고, 도2B는 흡인챔버(21)에 진공이 있고, 흡인박스가 작동위치로 변화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흡인박스(20)가 화살표(S) 방향으로 위치변환될 때, 흡인박스상의 리브로 들어가고 배출되는 와이어(10A)의 유입각 및 배출각은 소정레벨로 이동될 수 있어 소정의 커브형상이 얻어진다. 흡인박스(20)상의 리브(22) 작동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고 또한 도4A∼4D와 관련하여 뒤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다.
도3A∼3B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흡인박스(20)는 롤(18B)에 대향되게 위치되고, 이 롤(18B) 주위의 두 와이어(10B,17B)가 흡인박스(20)로 이동한다. 롤(18B)에는 개구부가 있어 이것을 통해 그루브 롤 또는 다소 다른 중공면 롤과 같이 흡인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프레스부의 픽업펠트는 도면번호 15B로 표시되고 관련 픽업롤은 도면번호 16B로 표시된다. 와이어(10B)는 롤(11B)과 흡인롤(14B) 위로 이동한다. 도면에 도시된 롤들 중 와이어(17B)는 롤(18B) 위로 이동한다. 도3A∼도3C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흡인박스(20)는 화살표(S)로 표시된 방향으로 위치변위가 가능하다. 도3A에 도시된 상태에서, 흡인박스(20)의 흡인챔버(21)에는 작용하는 진공이 없거나, 진공이 스위치-온 되었으나 흡인박스가 아직 작동위치에 있지 않고, 도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진공이 흡인챔버에서 작용하고 있고, 임의의 와이어 장력이 가해진다. 도3C에서는 진공이 도3B의 진공보다 더 높고 와이어 장력은 도3B에서와 같고, 이 경우, 와이어(10B)는 커브형상으로 크게 굽어지고 흡인박스(20)는 롤(18B)에서 더 떨어진 위치로 변환되어 있다. 흡인박스(20)에 의해 발생된 커브형상은 와이어(10B) 장력과 흡인박스(20)에서 채용한 진공에 따라 결정된다.
아래에서 도4A∼4D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수행하는 단계가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흡인박스(20)의 흡인챔버(21) 효과는 간극(28)을 통해 와이어로 전달된다. 리브(22)는 홀더(24)에 부착되고 바람직하게는 홀더(24)내에 만들어진 U-단면형상 공간에 부착된다. U-단면형상 공간의 하부에는 로딩공간(23)이 있고, 여기에 로딩호스(도시되지 않음)가 있을 수 있다. 록킹하기 위해 사용된 로딩호스는 도면번호 25로 표시되고, 리브(22)의 스프링 부재는 도면번호 26으로 표시되고, 홀더(24)에 관련된 시일은 도면번호 27로 표시된다. 리브(22)들 중 록킹리브는 도면번호 33으로 표시된다.
도4A 및 4B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리브(22)가 홀더(24)의 적절한 위치에서 록킹되지 않는다. 도4A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흡인박스(21) 내에 진공이 없고 리브(22) 하부의 로딩공간(23)에 로딩압력이 있고, 이 경우 리브(22)는 와이어에 압착된다. 도4B에서는 진공이 흡인박스(21) 내에서 작용하나, 수직 대기압이 리브(22)의 로딩공간(23)에서 작용하고, 이 경우 와이어는 흡인박스(20)로 향하는 로프커브와 같은 커브형상에 위치되고 리브의 상부면과 하부면 사이의 압력차가 리브(22)를 와이어와 접촉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이와 관련하여 가압구역(F)이 여러 구역으로 분할되고 이와 관련하여 힘이 리브(22)에 작용하지 않는데, 이는 리브의 로딩공간이 표준 대기압이기 때문이다.
도4C에서는 리브(22)의 로딩공간(22)에서 흡인박스(20)의 진공이 작용하고, 이 경우 리브(22)가 와이어를 압착하지 않으며 가압구간(F)이 이어진다. 도4D에서는 흡인박스(20)의 흡인챔버(21) 진공이 리브(22) 하부의 로딩공간(23) 내에서 작용하며 리브(22)가 록킹로딩호스(27)를 가압하므로써 록킹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리브(22)가 홀더(24)의 적절한 위치에 있게 된다. 록킹하는 동안, 리브(22)는 경사면을 가진 록킹리브(33)에 의해 안내되는 동안 와이어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게 가압되고, 이것에 의해 무접촉 시일링이 얻어진다.
도5A∼5B에 도시된 것에 따라 흡인박스(20)가 예컨대 롤과 관련하여 위치될 경우, 단부 시일링이 예컨대, 시일 부재(31)에 의해 배열되고, 시일 부재가 관절 조인트(32)에 의해 연결되어 단부 시일링(31)의 형상이 와이어(10)의 커브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도6은 와이어에 가해진 진공부하 뿐만 아니라 와이어 장력 벡타(S)와 와이어 장력 벡터의 수직성분(V) 및 수평성분(H)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길이당 하중이 같고, 이와 관련하여 와이어(10)가 장력을 가지며, 수직력 성분(V)이 부하를 전달하고 수직력을 감소시키고, 이 경우 리브(22)가 사실상 진공의 감소 없이 와이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브는 소정위치에서 즉 무접촉 위치에서 또는 소정의 수직력이 작용하는 위치에서 록킹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작동 신뢰성의 증가를 얻는다.
도7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흡인박스(20')의 데크는 소정의 커브(오목)형상에 고정되고 미리 제조되어 있고, 이 경우 리브(22')가 동일한 커브형상 내에 있다. 도7B∼7C는 도3A∼3B에 대응하는 경우에 롤의 대향위치에 놓인 도7A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흡인박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7B∼7C에서 같은 도면번호가 도3A 및 도3B와 비교하여 대응부에 사용된다. 도7B∼7C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흡인박스(20')는 롤(18B)의 대향위치에 놓이게 되고, 이 롤 주위의 두 롤(10B,17B)은 흡인박스(20')로 이동한다. 롤(18B)에는 개구부가 있어 흡인효과가 그루브 롤 또는 다소 다른 중공면 롤을 통해 발생될 수 있다. 프레스부의 픽업펠트는 도면번호 15B로 표시되고, 관련 픽업롤은 도면번호 16B로 표시된다. 와이어(10B)는 롤(11B) 위로 그리고 흡인롤(14B) 위로 이동한다. 도면에 도시된 롤들 중 와이어(17B)는 롤(18B) 위로 이동한다. 도7B∼7C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흡인박스(20')는 화살표(S) 방향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위치변환될 수 있다. 도7B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진공이 흡인박스(20')의 흡인챔버(21') 내에서 작용하지 않거나, 진공이 스위치-온 되었으나 흡인박스가 아직 작동위치에 있지 않은 상태이다. 도7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진공이 흡인챔버 내에서 작용하고 와이어가 임의의 장력을 갖는다. 흡인박스(20')에 의해 발생된 커브형상은 와이어(10B) 장력과 흡인박스(20')의 데크(29') 커브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도8A는 건조부의 픽업롤(100)과 관련하여 제지기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인박스(20)의 적절한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프레스부(P)의 펠트 이동경로는 도면번호 H200으로 표시되고, 와이어부의 와이어 이동경로는 도면번호 H100으로 표시된다. 펠트루프(H200) 내부에는 픽업롤(100)이 있다. 픽업롤(100)은 천공롤(perforated roll)이고, 이것은 내부 흡인박스(101)를 포함한다. 흡인력에 의해 웨브(W)는 와이어 이동경로(H100)에서 프레스부(P)로 픽업된다.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W)는 와이어 이동경로(H100)를 따라 이동되고 픽업롤의 흡인력에 의해 도면에 도시된 방법으로 건조부로 이송된다. 도면에 도시된 흡인박스(20)의 위치는 웨브(W)의 이동경로가 픽업롤에 의해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장점이 있다. 아래 장점이 얻어진다 :
- 오픈 롤(100)에 의해 측부영역이 지지되어 시일링될 수 있고, 교란 상태가 발생할 때(흡인력이 상실될 때), 와이어가 갑자기 이완되지 않는다. 심지어 흡인력이 상실될 때도,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 흡인박스가 픽업롤(100)과 관련하여 위치될 때, 여분의 롤이 필요 없다.
- 흡인박스(20)의 위치는 흡인박스(20) 바로 다음에 와이어 이동경로(H100)로부터 웨브(W)를 분리시키고, 이 경우 웨브(W)의 재습윤이 최소화된다.
- 본 발명에 따른 설비의 배열에 의해 건조고체 함유량의 최대레벨이 와이어 이동경로(H100)를 마모시키지 않고 얻어진다.
도8B는 도8A에 도시된 상기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적절한 흡인박스(20)의 작동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흡인박스(20) 상에 리브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에어간극(E)이 리브와 픽업롤 사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펠트 이동경로(H200)는 웨브(W)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런 구조에 의해 불필요한 웨브(W)의 재습윤이 방지된다. 이 위치에서 흡인박스(20)가 픽업롤(100)의 흡인구역(S) 바로 전에 장착될 경우, 웨브(W)는 픽업롤(100)에 의해 픽업되는 흡인박스상의 최종 리브 바로 뒤에서 프레스부(P)로 이동되어 흡인박스 다음에 와이어 이동경로(H100)에서 발생하는 웨브의 습윤(wetting)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경우 와이어(H)는 프레스부(P)로 통과하는 웨브(W)와 관계없이 흡인박스(20) 외부의 최종 리브 바로 뒤에서 분리된다.
웨브가 건조부로 통과될 때, 픽업롤의 흡인력과 흡인박스의 흡인력은 동시에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웨브(W)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픽업롤(100)이 천공롤이고 이에 따른 픽업롤의 맨틀면에 오픈 롤을 형성하는 해결책의 작동성능 관점에서 다른 특징이다. 흡인롤(20)은 웨브(W)의 이동방향에서 볼 때 흡인박스 상의 최종리브가 픽업롤의 흡인구역(S) 시작점에 정확하게 위치되거나, 상기 시작점에 대해 약간 겹치게 즉 픽업롤(100)의 흡인지역(S) 영역에서 약간 겹치게 픽업롤(100)에 대하여 장착된다.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흡인박스(20)의 위치는 심지어 픽업롤(100)이 흡인력을 갖지 않고 흡인박스(20)가 흡인력을 갖지 않은 경우에도 이것이 웨브(W)의 이동에 해롭지 않은 점에서 또한 적절한다.
도8C는 제지 또는 판지웨브(W)가 카우치 피트(couch pit)(M) 내로 통과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픽업롤(100)은 흡인력을 갖지 않은 반면 유사하게 흡인력이 흡인박스(20) 내에서 작용한다.
위에서 설명한 와이어부에서 고압 흡인박스 적용과 관련된 것 이외에 본 발명은 또한 예컨대 프레스부에 채용된 펠트흡인장치와 관련하여 사용하기에 적절하다.
위에서, 본 발명은 몇 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결코 상기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엄격히 한정되지 않는다. 많은 변화와 변경이 다음의 청구범위에 한정된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Claims (16)

  1. 진공 챔버(21,21'), 데크(29') 또는 와이어(10, 10A, 10B)를 향해 개방된 다수의 U-단면형상 홀더(24) 및 상기 데크(29') 또는 상기 홀더(24)에 장착되어 리브가 로딩수단(23)에 의해 와이어(10,10A,10B) 등을 향해 로딩될 수 있는 다수의 리브(22,22')를 포함하는 제지기의 흡인박스에 있어서,
    최소한 작동 상태에서, 와이어(10,10A,10B) 장력이 흡인박스(20,20')에 제공된 진공에 의해 발생되며 와이어(10,10A,10B)와 데크(29')/리브(22) 사이에 작용하는 수직력을 감소시키도록 흡인박스(20,20')의 데크(29') 또는 리브(22) 포지션이 커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흡인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흡인박스(20)의 리브(22)와 관련하여, 홀더(24)의 소정위치에서 리브(22)를 록킹하기 위한 록킹수단(25)이 있어, 흡인박스(20)에서 작용하는 진공효과에 의해, 와이어(10,10A,10B)가 커브위치에 위치될 경우 그리고 리브(22)가 로딩수단(23)의 효과에 구속되지 않을 경우, 리브(22)가 홀더(24)내로 귀환되도록 장착되고, 이와 관련하여 리브(22)가 소정위치에서 록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흡인박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리브(22)는 와이어(10,10A,10B) 등으로부터 일정거리에서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흡인박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리브(22)는 와이어(10,10A,10B) 등으로 홀더(24)의 로딩수단(23)에 의해 위치변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흡인박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리브(22)의 록킹수단(25)은 가압될 수 있는 로딩호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흡인박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경사면을 가진 록킹리브(33), 스프링 부재(26) 및 시일(27)은 리브(22)와 홀더(24)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흡인박스.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리브(22)의 단부 시일링은 흡인박스(20)의 단부에 장착되고, 단부 시일링은 관절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 다수의 시일부재(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흡인박스.
  8. 제1항에 있어서, 흡인박스(20')의 데크(29')는 고정되고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흡인박스.
  9. 제1항, 제2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인박스(20,20')는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흡인박스.
  10. 제1항, 제2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인박스(20,20')는 와이어(10,10A,10B) 등을 향해 또는 와이어 등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흡인박스.
  11. 제1항, 제2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정가능한 리브(22)가 제공된 흡인박스(20)는 흡인박스(101) 내부에 제공된 소위 개방면 롤과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픽업롤(100)과 관련하여 장착되어 프레스부의 펠트 이동경로(H200)와 와이어부의 와이어 이동경로(H100) 그리고 그것들 사이의 웨브(W)가 흡인박스(20)의 리브(22)와 픽업롤(100) 사이로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흡인박스.
  12. 제1항, 제2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인박스(20)의 최종 리브(22)는 픽업롤(100)의 흡인부(S) 영역에 장착되거나 상기 흡인부의 바로 앞에 장착되고, 웨브(W)의 이동방향(L1)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관련하여, 픽업롤(100)의 흡인부(S) 영역에서 발생된 진공에 의해, 웨브(W)가 프레스펠트 이동경로(H200)와 관련하여 프레스부(P)로 이동될 수 있거나 이 해결책 장비에서 흡인박스(20)의 흡인력에 의해, 웨브(W)가 카우치 피트(M)내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의 흡인박스.
  13. 흡인박스(20,20')의 진공챔버(21,21')에서 진공이 형성되고, 진공 형성 중에 데크(29) 및/또는 리브(22,22')가 와이어(10,10A,10B) 등에 대하여 가압되는, 제지기의 흡인박스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최소한 작동 상태에서, 와이어(10,10A,10B) 장력이 흡인박스(20,20')에 존재하는 진공에 의해 발생되며 와이어(10,10A,10B)와 데크(29')/리브(22) 사이에 작용하는 수직력을 감소시키도록, 흡인박스(20,20')의 데크(29') 또는 리브(22)의 포지션이 커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박스 사용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흡인박스(20)의 진공이 만곡부에서 와이어(10,10A,10B) 등의 위치결정을 제공할 때, 리브(22)가 로딩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로딩압력이 없게 되어 리브(22)가 홀더(24) 내로 귀환하게 되고 리브(22)가 소정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와이어(10,10A,10B)와 관련된 무접촉 시일링 위치에서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박스 사용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리브(22)는 작동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와이어(10,10A,10B)에 로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흡인박스 사용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흡인박스(20)는 와이어(10,10A,10B) 등의 소정의 유입각 및 배출각을 제공하도록 와이어(10,10A,10B) 등을 향해 또는 와이어(10,10A,10B) 등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박스 사용방법.
KR1019980706823A 1996-12-31 1997-12-22 제지기의 흡인박스 및 제지기의 흡인박스 제조방법 KR100514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65277 1996-12-31
FI965277A FI965277A (fi) 1996-12-31 1996-12-31 Paperikoneen imulaatikko ja menetelmä paperikoneen imulaatikoss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407A KR19990087407A (ko) 1999-12-27
KR100514301B1 true KR100514301B1 (ko) 2006-03-14

Family

ID=8547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823A KR100514301B1 (ko) 1996-12-31 1997-12-22 제지기의 흡인박스 및 제지기의 흡인박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6322668B1 (ko)
EP (1) EP0912798B1 (ko)
JP (1) JP4064468B2 (ko)
KR (1) KR100514301B1 (ko)
AT (1) ATE214756T1 (ko)
AU (1) AU7891698A (ko)
CA (1) CA2246533C (ko)
DE (1) DE69711185T2 (ko)
FI (1) FI965277A (ko)
WO (1) WO19980296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65277A (fi) * 1996-12-31 1998-07-01 Valmet Corp Paperikoneen imulaatikko ja menetelmä paperikoneen imulaatikossa
FI107061B (fi) * 1999-02-18 2001-05-31 Metso Paper Inc Paperikoneen kudoksen yhteydessä käytettävä laite
FI106730B (fi) * 1999-10-29 2001-03-30 Metso Paper Inc Järjestely paperikoneen märässä päässä
DE10140801A1 (de) * 2001-08-20 2003-03-06 Voith Paper Patent Gmbh Vorrichtung zur Behandlung einer Faserstoffbahn
US6733634B2 (en) * 2001-09-26 2004-05-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a running web
FI115849B (fi) * 2002-08-28 2005-07-29 Metso Paper Inc Paperi- tai kartonkikoneen viiraosan järjestely
DE10317372A1 (de) * 2003-04-15 2004-11-04 Voith Paper Patent Gmbh Entwässerungseinrichtung
FI20065142L (fi) * 2006-02-28 2007-08-29 Metso Paper Inc Imulaatikon etäisyyden säätö vastatelasta
FI120796B (fi) 2006-03-31 2010-03-15 Metso Paper Inc Imulaatikon etäisyyden säätö vastatelasta
FI126810B (fi) * 2006-09-29 2017-05-31 Valmet Technologies Inc Menetelmä ja laitteisto paperiradan siirtämiseksi tukikudokselta toiselle
ATE514814T1 (de) * 2007-11-19 2011-07-15 Metso Paper Inc Vorrichtung zum überführen einer papierbahn von einem stützgewebe auf ein anderes
CN102277770B (zh) * 2007-11-19 2014-10-15 维美德技术有限公司 传送吸箱
FI126656B (fi) * 2012-09-03 2017-03-31 Valmet Technologies Inc Järjestely kerrostetun rainan muodostamiseksi kuiturainakoneessa, monikerroskuiturainakone ja menetelmä kerrostetun rainan muodostamiseksi kuiturainakoneella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313A (fi) 1926-10-20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vlägsnande av luft och vatten ur pappersmassa
US1638975A (en) * 1924-08-12 1927-08-16 Antoine Victor Means for eliminating water from the pulp on the wire of paper-making machines
DE2754622C3 (de) * 1977-12-08 1981-08-06 J.M. Voith Gmbh, 7920 Heidenheim Naßpartie einer Papiermaschine
SE463269B (sv) * 1984-04-11 1990-10-29 Sensodec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lokalisera fel i funktionen hos en pappersmaskins maskindelar
DE4026953C2 (de) * 1990-01-26 1995-11-30 Escher Wyss Gmbh Entwässer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ntwässerung an einem Doppelsiebformer
FI920228A0 (fi) * 1992-01-17 1992-01-17 Valmet Paper Machinery Inc Banformningsparti foer pappersmaskin.
DE4219292A1 (de) * 1992-06-12 1993-12-16 Escher Wyss Gmbh Doppelsiebformer
FI100897B (fi) 1993-11-05 1998-03-13 Valmet Paper Machinery Inc Paperikoneen imutelan imulaatikon tiivistysrakenne ja menetelmä imutel an tiivistekäytössä
DE4340041A1 (de) 1993-11-24 1994-04-07 Voith Gmbh J M Pressenpartie für eine Papiermaschine
FI95058C (fi) * 1994-11-16 1995-12-11 Valmet Paper Machinery Inc Paperikoneen vedenpoistolaitteen listasto
FI965277A (fi) * 1996-12-31 1998-07-01 Valmet Corp Paperikoneen imulaatikko ja menetelmä paperikoneen imulaatikoss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14756T1 (de) 2002-04-15
US20020060054A1 (en) 2002-05-23
CA2246533C (en) 2007-12-04
DE69711185T2 (de) 2002-08-22
US6322668B1 (en) 2001-11-27
US6306262B1 (en) 2001-10-23
FI965277A0 (fi) 1996-12-31
EP0912798A1 (en) 1999-05-06
JP4064468B2 (ja) 2008-03-19
KR19990087407A (ko) 1999-12-27
JP2000506946A (ja) 2000-06-06
AU7891698A (en) 1998-07-31
US6605189B2 (en) 2003-08-12
CA2246533A1 (en) 1998-07-09
WO1998029600A1 (en) 1998-07-09
DE69711185D1 (de) 2002-04-25
FI965277A (fi) 1998-07-01
EP0912798B1 (en) 200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4301B1 (ko) 제지기의 흡인박스 및 제지기의 흡인박스 제조방법
CA1315580C (en) Press section of a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a fibrous web, in particular a paper web
US5368697A (en) Press section of a paper machine with stone roll and elastic press element
US5341579A (en) Device for removing a web from a drying cylinder
US5833810A (en) Press section of a paper making machine employing an extended nip press
US4931143A (en) Press section with separate press nips in a paper machine
CA1076863A (en) Procedure in the wet end of a paper machine
KR100457172B1 (ko) 제지기계의흡인로울용시일구조
US5865954A (en) Method for dewatering a web in a paper making machine employing an extended nip press
US4931142A (en) Long-nip roll press with eccentric travel path of press shell
US6090244A (en) Press section
US5933979A (en) Restraint dryer for the drying end of a papermaking machine and a method thereof
US6375800B1 (en) Press section and process
EP0286638B1 (en) A method and a device in the press section of papermaking machines
US3285806A (en) Web transfer assembly for a papermaking machine
US20110162230A1 (en) Paper or Board Machine Employing a Single-Wire Draw Dryer Section
KR20000064308A (ko) 웨브성형기에서 웨브재습을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
US6228221B1 (en) Dewatering press and process
US3477907A (en) Press arrangement for papermaking machine
US7192507B2 (en) Machine for producing a fibrous material web
US4192713A (en) Intermediate press nip of a paper machine press section
US6132559A (en) Method and device for dewatering a paper or board web and passing the web into a press section
US6926806B2 (en) Simple press section in a paper or board machine
US6383338B1 (en) Shoe press roll
EP1238148B1 (en) Press device having an extended press nip for pressing a traveling paper or board w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