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956B1 - 면광원 장치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면광원 장치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3956B1
KR100513956B1 KR10-2003-0003466A KR20030003466A KR100513956B1 KR 100513956 B1 KR100513956 B1 KR 100513956B1 KR 20030003466 A KR20030003466 A KR 20030003466A KR 100513956 B1 KR100513956 B1 KR 100513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light
guide plate
pattern portion
guid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410A (ko
Inventor
박득일
조순천
김상묵
서옥빈
유충엽
조치운
주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텍
Priority to KR10-2003-0003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956B1/ko
Priority to US10/419,527 priority patent/US6843587B2/en
Priority to CNB031309925A priority patent/CN100394273C/zh
Publication of KR20040066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410A/ko
Priority to US10/933,627 priority patent/US2005003632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1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hand tools, e.g. eras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Abstract

면광원 장치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 영역에서 광을 균일하게 확산 및 산란시킬 수 있도록 레이저 빔으로 가공하며, 특정한 수식을 만족하는 다수개의 그루브로 이루어진 도광 패턴부가 일면에 형성된 도광판;과, 도광판의 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서 도광판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도광판의 하부에 설치된 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광판상에 레이저 빔 가공에 의하여 미세한 톱니형의 경사면을 가지는 도광 패턴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 내면이 불규칙한 톱니형 형상이므로 마이크로 렌즈 역할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서, 광의 확산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도광판상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광확산부의 수량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면광원 장치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Back light unit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면광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접촉식 방식으로 도광판상에 다수의 도광 패턴부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면광원 장치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광판(light guide panel)은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균일하게 산란 및 확산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플레이트로서, 액정표시소자와 같은 수광형 평판표시 장치나, 조명 간판 등에 사용되는 면광원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면광원 장치는 도광판의 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설치하여서 광을 도광시킨후 확산시키는 방식이나, 밀폐된 공간부를 가지는 용기의 내부에 사행(蛇行)의 방전 공간을 형성하고, 방전 공간의 양 단부에 각각의 전극을 설치하여 이들 방전으로 방전 공간 내에 형성된 형광체층을 여기시켜서 발광하는 방식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면광원 장치는 한국특허 출원번호 제93-11174호, 제94-26117호, 제94-33115호, 제94-26116호, 제2000-44725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면광원 장치(10)는 도광판(11)과, 상기 도광판(11)의 하부에 설치된 반사판(12)과, 상기 도광판(11)의 측벽에 설치된 광원(13)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11)에는 투명한 아크릴 수지의 일면으로 입사되는 광을 산란 및 확산시키기 위하여 비드(bead) 형상의 산화 티타늄(TiO2)과, 글라스 또는 아크릴 등을 포함하는 잉크를 이용하여서 인쇄한 다수의 도광 패턴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면광원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3)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도광판(11)으로 입사되고, 입사된 광은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11)을 통하여 도광된 다음에 반사판(12)과, 도광 패턴부(14)에 의하여 각 부위에서 비교적 균일한 조도를 가지면 반사가능하다.
그런데, 인쇄 방식으로 형성된 도광 패턴부(14)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도광 패턴부(14)를 형성하기 위한 잉크의 제조 및 인쇄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인쇄된 부분중 일부가 탈락되거나 얼룩지는 등의 불량율이 높다. 이에 따른 도광 패턴부(14)의 수율은 대략 70 내지 80%정도로 낮은 편이다. 또한, 도광 패턴부(14)의 인쇄가 제대로 되지 않은 도광판(11)은 이를 제거한 이후에 재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제조 원가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도광 패턴부(14)는 인쇄된 잉크물 자체의 광반사를 이용하는 방식이므로, 잉크물 자체의 광흡수 현상이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광흡수 현상은 면광원 장치의 광효율을 떨어뜨린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12)의 표면(S)은 통상적으로 ±100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두께 편차(t1)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광판(12)의 표면(S) 상에 잉크물을 적재한 소정 패턴의 스크린(31)을 정렬하고, 스퀴지(32)를 이용하여서 잉크물을 인쇄시에는 두께 편차(t1)로 인하여 도광판(12)의 각각의 영역에서 도포되는 양이 50% 이상 차이가 나고, 각 도광 패턴부(14)의 크기가 50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까지 변화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쇄 방식을 적용하였다. 무인쇄 방식으로는 금형을 이용한 스탬핑 방식이나, 사출 성형 방식을 들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면광원 장치(40)는 도광판(41)과, 상기 도광판(41)의 하부에 설치된 반사판(42)과, 상기 도광판(41)의 측벽에 설치된 광원(43)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41)에는 일측 표면에 돌출부를 가지는 금형을 이용하여 가열 압착하여서 원뿔 형상의 홈으로 된 다수의 도광 패턴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광 패턴부(42)의 단면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V자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면광원 장치(40)는 광원(43)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도광판(41)으로 입사되고, 입사된 광중 일부는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41)을 통하여 도광시에 상기 도광 패턴부(44)의 경사진 면으로 광반사가 일어나게 된다.
그런데, 무인쇄 방식으로 형성된 도광 패턴부(44)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도광 패턴부(44)는 금형을 이용한 가열 압착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공정의 관리가 매우 어렵다. 특히, 상기 도광판(41)의 원소재인 아크릴 수지는 열에 매우 취약하므로, 소망하는 패턴의 도광 패턴부(44)를 형성시킬 수가 없다.
또한, 상술한 방식은 단순히 경면 광반사에 의하여 면 광원을 달성하는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은 빛의 확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그 결과로 상기 도광 패턴부(44)의 형상이 강하게 나타나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패턴 형상이 드러나는 현상을 감추기 위하여 확산 시트를 추가적으로 배치하게 되지만, 완전하게 제거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41)은 통상적으로 ±100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두께 편차(t2)를 가지고 있다. 상기 도광판(41) 상에 100 마이크로미터 가공 깊이이고, 원뿔 형상의 홈으로 된 도광 패턴부(44)를 가공하게 되면, 금형(61)으로부터 형성된 돌출부(62)는 상기 도광판(41)의 두께가 제일 두꺼운 부분에서는 100 마이크로미터의 깊이로 가열 압착하여 이와 상응하는 홈을 형성하게 되지만, 반대로, 두께가 제일 얇은 부분에서는 상기의 경우와는 달리 도광 패턴부(44)가 전혀 가공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광판의 일면에 레이저 빔 가공에 의하여 도광 패턴부를 형성하고,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내에 마이크로 렌즈부를 가지도록 구조를 개선하여서 빛의 반사 및 산란성을 향상시킨 면광원 장치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전 영역에서 광을 균일하게 확산 및 산란시킬 수 있도록 레이저 빔으로 가공하며, 하기 식을 만족하는 다수개의 그루브로 이루어진 도광 패턴부가 일면에 형성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서 상기 도광판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설치된 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여기서, t는 도광판의 두께이고, S는 도광판의 가공면의 면적이고, d는 도광 패턴부의 가공 깊이이고, w는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의 선폭이고, p는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간의 피치이다.
또한, 상기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의 선폭은 100 내지 600 마이크로미터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간의 피치는 0.2 내지 2 밀리미터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의 깊이는 20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의 단면 형상은 광의 산란성을 높이도록 불규칙한 톱니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면광원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수개의 그루브로 이루어진 도광판의 일면에 하기 식을 만족하는 범위내에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서 다수의 도광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상기 도광판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도광 패턴부가 형성된 도광면과 상응한 부분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도광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여기서, t는 도광판의 두께이고, S는 도광판의 가공면의 면적이고, d는 도광 패턴부의 가공 깊이이고, w는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의 선폭이고, p는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간의 피치이다.
또한, 상기 도광 패턴부는 레이저 장치로부터 출력된 레이저 빔이 상기 도광판의 전 영역을 따라 스캐닝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70)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면광원 장치(70)에는 도광판(7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도광판(71)의 하부에는 도광되는 빛을 상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판(7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광판(71)의 상부에는 빛을 산란 및 확산시키는 확산판(7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광판(71)의 윗면에는 입사된 빛이 전방으로 균일하게 확산가능하도록 미세한 스크래치로 된 광확산부를 더 형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광판(71)의 측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7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광원(74)으로는 냉음극 형광램프(CCFL)나, LED가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74)의 외부에는 상기 도광판(71)의 반대 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상기 도광판(71)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반사막이 형성된 커버 부재가 더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도광판(71)의 아랫면에는 비접촉식 방식에 의하여 가공하고, 빛의 산란 및 확산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렌즈부를 가지는 도광 패턴부(75)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8은 도 7의 도광 패턴부(75)가 형성된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도 7의 도광판(71)을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광판(71)에는 소정 패턴의 그루브로 이루어진 다수의 도광 패턴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광 패턴부(75)는 비접촉식 방식, 예컨대, 추후 기술될 레이저 장치로부터 출력된 레이저 빔에 의하여 가공되어 있다.
상기 도광 패턴부(75)는 상기 광원(74)으로부터 도광판(71)으로 도광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확산 및 산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도광판(71)의 전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도광 패턴부(75)는 소정 깊이의 그루브로 이루어진 도트형이나, 사각형이나,격자형이나, 이들의 혼합형이거나, 소정 깊이의 단속적인 그루브로 이루어진 점선형이나, 연속적인 그루브로 이루어진 직선형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도광 패턴부(75)는 상기 광원(74)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광 확산 및 산란율을 높이기 위하여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지거나, 또는 도광 패턴부(75)간의 피치가 점차적으로 작아질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도광 패턴부(75)는 레이저 빔에 의하여 가공시 아크릴 수지의 기화에 의하여 그 단면이 불규칙한 톱니형 형상이다. 이러한 미세 톱니형은 마이크로 렌즈의 역할을 가능하게 하여서 다양한 각도에서 광의 산란성을 확대시키고 있다.
이때, 톱니형이 형성된 도광 패턴부(75)는 레이저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소정 깊이로 가공할 때에 특정한 수치 및 수식에 의하여 선폭(w), 각 그루브간의 피치(p), 그루브의 깊이(d)등이 특정한 수치 또는 수식에 의하여 한정되어진다.
즉, 레이저 장치에 의하여 가공되는 상기 도광 패턴부(75)의 각 그루브의 선폭(w)은 약 100 내지 600 마이크로미터 정도가 바람직하며, 각 그루브의 깊이(d)는 20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 정도이다.
상기 도광 패턴부(75)의 선폭(w)이 600 마이크로미터 이상이 될 경우에는 그루브에서의 빛을 확산시키는 특성이 떨어지기 시작하여서 급격히 도광 효율이 저하된다. 이것은 레이저 장치로부터 출력된 레이저 빔경이 증가함에 따라서 에너지 밀도가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도광판(71) 상에서 광의 산란을 유발하는 그루브의 깊이(d)를 감소시키고, 선폭(w)만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이렇게 도광 패턴부(75)의 선폭(w)이 너무 크게 되어서 소망하는 가공 깊이(d)로 형성되지 못할 경우에는 광확산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어서 충분한 휘도를 얻지 못한다. 또한, 선폭(w)을 크게 하면서 가공 깊이(d)를 깊게 가공하기 위하여 고출력의 레이저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패턴으로 인한 광의 산란이 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광 패턴부(75)의 피치(p)을 과다하게 넓히지 않게 되면, 광원(74)과 인접한 부분에서의 도광 패턴부(75)에서 대부분의 빛이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로, 도광판(71)의 광 균일성을 확보할 수가 없다. 또한, 상기 도광 패턴부(75)의 피치(p)를 과다하게 넓히는 경우에는 패턴이 확산판(73)에 의해서 감추어지지 않고 보여지게 되므로, 면광원 장치(70)의 외관 불량의 원인이 된다. 이에 따른, 상기 도광 패턴부(75)의 각 그루브의 피치(p)는 0.2 내지 2 밀리미터가 적당하다.
이와 반대로, 상기 도광 패턴부(75)의 선폭(w)이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가 될 경우에는 가공되는 그루브의 폭(w)이 매우 협소하게 되므로, 레이저 장치로부터 출력된 레이저 빔의 광 에너지가 그루브의 깊이 바닥까지 공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소망하는 깊이를 가지는 도광 패턴부(75)의 가공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서 효율적인 광 확산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술한 것처럼, 레이저 빔의 가공으로 인한 도광 패턴부(75)의 각 그루브의 선폭(w)과, 그루브의 가공 깊이(d), 그루브의 피치(p)에 대한 수치가 도광판(71)의 균일한 휘도를 얻기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도광판(71)의 면적(S)과 두께(t)에 따라서도 최적의 휘도 및 균일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도광 패턴부(75)의 설계시 중요한 인자가 된다.
이를 종합하여서 수학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t는 도광판(71)의 두께이고, S는 도광판(71) 가공면의 면적이고, d는 도광 패턴부(75)의 가공 깊이이다. 그리고, w는 도광 패턴부(75)의 각 그루브의 선폭이고, p는 도광 패턴부(75)의 각 그루브간의 피치이다.
상기한 값을 만족할 때, 상기 도광판(71)은 최적의 휘도 및 균일도를 얻을 수 있다.
본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레이저 장치의 출력별로 도광판(71)의 도광 패턴부(75)의 선폭(w)에 따른 도광 효율을 측정해본 결과, 두께가 8 밀리미터 이상인 대형화된 평편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도광 패턴부(75)의 최적화된 선폭(w)은 100 내지 600 마이크로미터 정도이고, 이에 따른 레이저 장치의 출력은 약 30 내지 200W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광효율은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면 보다 명확하게 이해가 될 것이다.
도 10은 레이저 장치의 출력별로 도광 패턴부(75)의 선폭(w) 변화에 따른 도광 효율을 도시한 것이다.
그래프를 참조하면, X축은 도광 패턴부(75)의 선폭(w)을 100 마이크로미터별로 나타낸 것이고, Y축은 도광 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광 효율은 8 밀리미터의 두께를 가지는 17인치의 평판표시장치에 적용되는 도광판(71)을 9등분하여서, 각 분할면의 중심점 9곳의 휘도를 측정한 다음에 휘도 균일도가 70% 이상을 충족시킬 때의 평균 휘도를 기준(I0)으로 하여 각각의 레이저 장치의 출력별로 도광 패턴부(75)의 선폭 변화에 따른 휘도가 가장 높은 것을 상대 휘도(I)로 나타낸 것이다.
A, B, C 곡선은 각각 10 ~ 200W의 범위에서 각각 다른 출력을 가지는 레이저 장치를 이용하여 도광 패턴부(75)를 형성한 것이다. 출력 범위가 서로 다른 레이저 장치를 이용할 경우, 도광 패턴부(75)의 선폭이 100 내지 600 마이크로미터의 범위 이내에서 거의 1.0의 가까운 우수한 도광 효율을 나타낸다.
반면에, 상기 도광 패턴부(75)의 선폭이 600 마이크로미터 이상이 될 경우에는 패턴상에서 광을 확산시키는 특성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급격히 도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면광원 장치의 제조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면광원 장치(7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광판(71)의 아랫면에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형성된 소정 패턴의 그루브로 이루어지며, 측면으로 도광되는 빛을 산란 및 확산시키는 다수의 도광 패턴부(75)을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도광판(71)의 측면에 광원(74)을 부착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도광판(71)의 아랫면에 광원(74)으로부터 도광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72)을 설치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광의 확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도광판(71)의 윗면에 확산판(73)을 설치하는 제4 단계와, 상기 확산판(73)의 윗면에 집광 효율을 증대하기 위하여 프리즘판(미도시)를 설치하는 제5 단계를 더 구비할 수가 있다.
상기 도광판(71)의 아랫면에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도광 패턴부(75)를 형성하는 제1 단계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레이저 장치(110)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도광 패턴부(75)의 좌표값에 대한 패턴 설계부(111)에 입력된 데이터는 제어부(112)를 각 패턴의 좌표값과 일치하는 도광판(71)의 스캐닝면(71a)에 스캐닝될 영역에 해당되는 위치 신호를 광학 구동부(113)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헤더 이동부(114)의 이동과 동기화된 펄스 신호는 제어부(112)를 통하여 레이저 구동부(115)로 전달되고, 상기 레이저 구동부(115)로부터 레이저 빔이 출력된다.
출력된 레이저 빔은 미러 헤더부(115)로부터 반사되어서 렌즈부(116)를 통하여 상기 도광판(71)의 스캐닝면(71a)에 스캐닝되어서, 상기 도광판(71)의 표면을 가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광판(71)의 스캐닝면(71a)에는 도광 패턴부(75)가 형성된다.
한편, 레이저 장치(110)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빔은 투명한 아크릴 수지의 열흡수가 가능한 영역, 이를테면 10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긴 파장을 가지는 적외선 영역의 레이저 빔인 CO2 레이저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레이저 빔에 의하여 형성되는 도광 패턴부(75)는 도광판(71)이 국부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이저 빔을 스캐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빔에 의하여 도광판(71)의 국부적인 가열을 줄이기 위해서는 스캐닝 속도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이러할 경우에는 레이저 빔의 전달 에너지 밀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레이저 빔의 출력을 올려주어서 이를 보상하게 된다.
도 12는 두께 편차(t3)를 가지는 상기 도광판(71)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도광 패턴부(75)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도광판(71)은 편차가 없는 완전 평면은 불가능하고, 통상적인 도광판(71)의 두께에 대한 편차는 대략 ±100 마이크로미터 정도이다. 상기 도광판(71) 상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게 되면, 톱니형의 경사면을 가지는 도광 패턴부(7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도광 패턴부(75)의 가공 깊이에 대한 편차는 ±20 마이크로미터 정도이다.
상기 도광판(71)의 두께가 ±100 마이크로미터의 편차를 가지고 있더라도, 레이저 빔으로 가공하는 방식은 집광성이 크기 때문에 거리의 변화에 따른 레이저 빔경의 크기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71)상의 전 영역에 걸쳐서 가공 깊이에 대한 편차를 제외하고는 도광판(71)의 두께 편차에 대한 영향을 배제한 상태에서 가공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도광판상에 레이저 빔 가공에 의하여 미세한 톱니형의 경사면을 가지는 도광 패턴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 내면이 불규칙한 톱니형 형상이므로 마이크로 렌즈 역할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서, 광의 확산성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도광판상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광확산부의 수량을 줄일 수 있다.
둘째, 집광성이 좋은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비접촉식 방식으로 가공하게 되므로, 도광판의 두께 산포가 존재하더라도 가공 오차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두께 편차가 비교적 큰 도광판 원소재를 사용하여 가공이 가능하므로, 재료의 원가를 대폭 줄일 수가 있다.
셋째, 레이저 빔을 도광판상에 조사하는 방식이므로, 인쇄나 스탬핑식에 사용되는 마스크나 금형이 불필요하게 됨에 따라서, 개발 및 제조 기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넷째, 레이저 빔으로 도광판을 음각 가공하는 방식이므로, 인쇄 물질과 같은 추가 물질에 의한 도광판에서의 광 흡수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됨에 따라서, 광 효율이 크게 개선된다.
다섯째, 크기를 달리하는 도광판을 가공 시, 크기에 따른 별도의 장치가 추가적으로 필요하지 않는다.
여섯째, 수명이 완료된 면광원 장치를 수거하여 리사이클시, 제품에 대한 재활용 비용이 저렴하게 된다.
일곱째, 에너지 전달이 간단한 레이저 빔을 사용하게 되므로, 대형화된 도광판의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도광판상에 패턴부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도광판상에 패턴부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7의 도광판을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10은 도 7의 도광 패턴부의 선폭에 대한 도광 효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11은 도 7의 도광판상에 도광 패턴부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12는 도 7의 도광판상에 도광 패턴부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70...면광원 장치 71...도광판
72...반사판 73...확산판
74...광원 75...도광 패턴부

Claims (11)

  1. 전 영역에서 광을 균일하게 확산 및 산란시킬 수 있도록 10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파장을 가지는 적외선 영역의 광을 주성분으로 하는 레이저 빔을 스캐닝하여 가공하며, 도광판의 두께편차를 고려하여 하기식을 만족하는 단면형상이 톱니형인 다수개의 그루브로 이루어진 도광 패턴부가 일면에 형성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서 상기 도광판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도광판의 도광 패턴부가 형성된 면의 하부에 설치된 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수학식
    여기서, t는 도광판의 두께이고, S는 도광판의 가공면의 면적이고, d는 도광 패턴부의 가공 깊이이고, w는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의 선폭이고, p는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간의 피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의 선폭은 100 내지 600 마이크로미터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간의 피치는 0.2 내지 2 밀리미터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의 깊이는 20 내지 200 마이크로미터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상에는 상기 도광 패턴부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확산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7. 삭제
  8. 다수개의 톱니형상을 가지는 그루브로 이루어진 도광판의 일면에 도광판의 두께편차를 고려한 하기 식을 만족하는 범위내에서 10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파장을 가지는 적외선 영역의 광을 주성분으로 하는 레이저 빔을 스캐닝 조사하여서 다수의 도광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상기 도광판으로 빛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원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도광 패턴부가 형성된 도광면과 상응한 부분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도광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의 제조 방법.
    수학식
    여기서, t는 도광판의 두께이고, S는 도광판의 가공면의 면적이고, d는 도광 패턴부의 가공 깊이이고, w는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의 선폭이고, p는 도광 패턴부의 각 그루브간의 피치이다.
  9. 제 8 항에 있어서,
    다수의 도광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도광 패턴부의 선폭은 100 내지 600 마이크로미터가 되도록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의 제조 방법.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도광 패턴부에 의하여 전방으로 반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확산부를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3-0003466A 2002-05-11 2003-01-18 면광원 장치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513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466A KR100513956B1 (ko) 2003-01-18 2003-01-18 면광원 장치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10/419,527 US6843587B2 (en) 2002-05-11 2003-04-21 Surface light source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B031309925A CN100394273C (zh) 2002-05-11 2003-05-08 面光源装置及其制造方法和制造设备
US10/933,627 US20050036320A1 (en) 2002-05-11 2004-09-03 Surface light source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466A KR100513956B1 (ko) 2003-01-18 2003-01-18 면광원 장치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410A KR20040066410A (ko) 2004-07-27
KR100513956B1 true KR100513956B1 (ko) 2005-09-09

Family

ID=37356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466A KR100513956B1 (ko) 2002-05-11 2003-01-18 면광원 장치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9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7105B2 (en) 2009-02-13 2012-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guide plate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8254B2 (ja) * 2005-07-21 2010-09-22 オムロン株式会社 面光源装置
KR101286491B1 (ko) * 2006-07-10 2013-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광판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491573B1 (ko) 2008-10-09 2015-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전면커버
KR101144093B1 (ko) * 2011-05-27 2012-05-24 주식회사 엘에스텍 하이브리드 방식에 의한 도광판의 패턴 형성 방법
KR101302369B1 (ko) * 2011-07-28 2013-09-06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놀러지 레이저를 이용한 도광판 입광부의 톱니 형상 가공 장치
KR101382283B1 (ko) * 2012-03-05 2014-04-08 기아자동차(주) 차량용 변속단의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7105B2 (en) 2009-02-13 2012-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guide plate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410A (ko) 200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3587B2 (en) Surface light source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28551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606628B1 (ko) 도광판,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WO2010047355A1 (ja) 面光源素子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US6486931B1 (en) LCD optical guide plate with a roughened back surface having projections that support a reflecting sheet
JPH1152370A (ja) 液晶表示装置
KR20050076848A (ko) 백라이트 유니트
JPWO2008032775A1 (ja) 面光源素子、これに用いる光制御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0513956B1 (ko) 면광원 장치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80108508A (ko) 임프린팅 방법을 통하여 미세 굴절 홈이 형성된 투명 디스플레이용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383033B1 (ko)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장치
KR20070030011A (ko)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
KR100413837B1 (ko) 도광판의 패턴형성방법
KR20030078305A (ko) 반사형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JP3513944B2 (ja) バックライト
KR20030094527A (ko) 도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채용하는 면광원장치
KR100964284B1 (ko)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기
JP2000067624A (ja) 面光源装置
KR100646137B1 (ko) 백라이트 유닛용 도광판
JPH11231143A (ja) 導光板、及びその導光板製造用の型
KR20010035196A (ko) 이종 패턴으로 구성된 무인쇄 도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백라이트
KR100911463B1 (ko) 면광원 장치
US20130135897A1 (en) Back light unit
CN214375379U (zh) 一种导光板结构、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217385880U (zh) 一种导光板、背光模组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