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463B1 - 면광원 장치 - Google Patents

면광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463B1
KR100911463B1 KR1020070125698A KR20070125698A KR100911463B1 KR 100911463 B1 KR100911463 B1 KR 100911463B1 KR 1020070125698 A KR1020070125698 A KR 1020070125698A KR 20070125698 A KR20070125698 A KR 20070125698A KR 100911463 B1 KR100911463 B1 KR 100911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guide plate
light guide
sour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900A (ko
Inventor
최규만
이한용
이윤식
Original Assignee
최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만 filed Critical 최규만
Priority to KR1020070125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46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16Grooves, prisms, gratings, scattering particles or rough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Abstract

본 발명은 면광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 등의 화상표시장치 및 비상구 유도 장치에 있어서 배면 광원인 도광판 백라이트로서 이용되는 면광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면광원 장치에 있어서, 도광판(110); 상기 도광판(11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광원부(120); 및 상기 도광판(110)의 후면에 형성되는 광반사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광반사 구조체는 반사되는 광이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요철이 없는 경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이-커팅방식으로 도광판 후면에 설치되는 광반사 구조체를 고온으로 가열된 가열 가공팁을 이용하여 형성시켜, 상기 광반사 구조체에서 반사되는 광이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방향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필름이 필요치 않게되며, 이에따라 생산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광판, 광원, LED, 장치, 팁

Description

면광원 장치{Surface light source apparatus}
본 발명은 면광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 등의 화상표시장치 및 비상구 유도 장치에 있어서 배면 광원인 도광판 백라이트로서 이용되는 면광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반도체 산업의 기술 개발에 의하여 소형, 경량화 되면서 성능이 더욱 개선된 디스플레이(display)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지금까지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CRT(cathode ray tube)가 성능이나 가격적인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소형화 또는 휴대성의 측면에서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에 반하여, 액정표시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저 전력 소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CRT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 수단으로 점차 주목받아 왔고, 현재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필요로 하는 거의 모든 정보 처리 기기에 장착되고 있는 실정이다.
액정표시장치는 CRT와 달리 비발광형 소자이므로 액정 표시 패널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빚을 공급받아야 한다. 도광판 백라이트(back light) 는 액정표시 패널의 후면에서 빛을 공급하는 면광원장치로서, 조광장치의 특성상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구동전력의 70% 이상을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도광판 백라이트 구조에 의해서 액정표시장치의 크기 및 광효율 등이 달라져서 액정표시장치의 기계적/광학적 특성이 영향을 받는다.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도광판 백라이트는 광을 공급하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직하방식과 에지(edge)방식으로 구분되며, 노트북이나 모니터용 액정표시장치처럼 화면의 밝기가 300 nit 이하이고, 박형이어야 하는 경우에는 에지방식이 채택되며, 두께보다는 휘도가 중시되는 경우에는 직하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에지방식의 도광판 백라이트는 광을 발생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의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균일한 면광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도광부로 구성된다. 상기 도광부에는 광을 유도하는 도광판이 포함되고, 상기 도광판은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액정표시장치 패널의 모든 영역으로 균일하게 출사시키는 부품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광원은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이하 CCFL이라 부른다) 백라이트로 구비되어진다.
그러나 에지방식의 도광판 백라이트는 상기 CCFL 백라이트의 광원이 도광판의 일단 또는 양단의 측면에 위치하므로 상기 광원부에 가까운 부분과 먼 부분에서 휘도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도광판 내부로 입사된 광을 산란 및 난반사시켜 액정표시장치 패널 방향으로 출사시키는 광반사 구조체가 형성된다.
도 1은 기존의 에지방식의 도광판 백라이트에 사용되는 직선형태의 광반사 구조체가 형성된 도광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태의 광반사 구조체(33)는 도광판(30) 내부로 유입되는 광을 균일하게 상기 도광판(30) 표면으로 방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 이유는 상기 도광판(30)의 입사부 쪽으로 유입되는 광의 양이 CCFL 백라이트를 이용할 경우 전극부 쪽의 광량이 CCFL 백라이트의 중심부쪽에서 방출되는 광량에 비해 적은 양이며, 이렇게 유입된 광량이 상기 도광판(30)의 내부에서도 전파되는 과정에서 상기 도광판(30) 가장자리의 절단부에서 반사되어 되돌아 들어와 상기 도광판(30) 내에서 조차 균일한 광분포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에 각각의 영역에서 직선형태의 광반사 구조체(33) 간격을 조절하여 설치하여 왔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상기 광반사 구조체(33)의 간격을 조절하여 설치할 지라도 상기 도광판(30)의 4개의 모서리 부분(A,B,C,D)과 가장자리 중앙부(E,F)에서는 더욱 휘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기존의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에 광반사 구조체를 형성시키는 가공 팁 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는 기존의 가공 팁에 의해 도강판에 형성되는 광반사 구조체에 의한 광방출 경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30)의 일측면에 구비된 광원(20)에서 방출된 입사광(21)은 광반사 구조체(33)에 의해 반사되어진다. 여기서, 기존의 상기 광반사 구조체(33)는 가공 팁(Tip)을 사용하여 예열없이 상기 도광판(30)에 브이-커팅(V-CUTTING) 방식으로 브이자('V') 형태의 홈을 형성시킨 광반사 구조체(33)가 구비되졌다.
하지만, 기존의 방식으로는 상기 도광판(30)에 형성된 상기 홈의 깊이를 깊게 형성 할 수가 없었으며, 상기 홈의 표면이 거칠게 형성되어 상기 광반사 구조체(33)에 의해 반사되는 입사광(21)이 반사된 후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지 못하고 상기 도광판(30) 표면으로 산란되는 산란광(31)이 되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어 왔다.
그리하여, 상기 산란광(31)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도광판(30)의 상측방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프리즘 필름(40)이 구비되었다. 상기 프리즘 필름(40)은 상기 산란광(31)이 상기 도광판(30)의 표면과 수직방향으로 광을 모아주는 역활을 하게된다. 하지만, 상기 프리즘 필름(40)은 고가의 재료이어서 면광원 장치(10)의 제조비용을 크게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어왔다.
도 4는 기존의 광원으로서 LED가 구비된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기존의 도광판 백라이트로 사용되는 CCFL 백라이트는 수은을 사용하고 있어 환경오염을 시키는 문제가 있어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LED(luminescent diode;발광다이오드, 이하 LED로 부른다)이용한 LED 백라이트로 대체되어 왔는데, 상기 LED는 점광원에 해당되므로 면광원 장치(10)의 광원(20)으로 사용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부(35)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가열된 가열 가공팁을 이용하여 도광판 후면에 형성되는 광반사 구조체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하는 면광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도광판 후면에 설치되는 광반사 구조체가 파선형태 또는 십자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도광판에 유입되는 광량의 분포가 균일하게 하는 면광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렌즈가 구비된 렌즈부를 포함하여 광원인 발광다이오드(LED)를 선광원화 하는 면광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광원 장치는, 면광원 장치에 있어서,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광원부; 및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형성되는 광반사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광반사 구조체는 반사되는 광이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요철이 없는 경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반사 구조체는 상기 도광판(110)에 표면이 파선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파선의 배열이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광반사 구조체는 상기 도광판(110)에 표면이 십자형태로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광원부(120)는 광원인 발광다이오드(LED)와;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의 전방에 구비된 렌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렌즈부(140)는 상부에 형성된 렌즈(141)와; 하부에 형성된 광가이드부(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부의 폭(d)과, 높이(a)는 2d > a > d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렌즈부(140)의 높이는 7~8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렌즈(141)는 반구형의 볼록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광판(110)의 재질은 피엠엠에이(PMMA)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광반사 구조체에 형성된 홈의 각도는 53°~ 6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는 고온으로 가열된 가열 가공팁을 이용하여 도광판 후면에 형성되는 광반사 구조체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형성시킴으써, 방향성을 갖도록 하는 고가의 필름이 필요치 않고, 이에따라 생산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광판 후면에 설치되는 광반사 구조체가 파선형태 또는 십자형태로 구비되어 도광판에 유입되는 광량의 분포가 균일하게 됨으로 인하여 휘도가 균일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렌즈가 구비된 렌즈부를 포함하여 광원인 LED를 선광원화 함으로써 암부영역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에서 표면이 파선 형태의 광반사 구조체를 갖는 도광판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G영역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에서 표면이 파선 형태의 배열을 교대로 배치한 광반사 구조체를 갖는 도광판을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에서 표면이 십자 형태의 광반사 구조체를 갖는 도광판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100)는 도광판(110), 광원부(120), 광반사 구조체(111,113,115,117)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110)은 빛이 잘 투과하는 재질로서 예를 들어,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이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우수한 투명 아크릴 수지(PAMA, Polymethyl metharcrylate, 이하 PMMA로 부른다)가 사용된다. 이때 사용된 상기 도광판(110)의 두께는 4.5~5.5mm의 두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반사 구조체(111)는 측단면이 브이자('V') 형태로 상기 도광판(110) 의 후면에 음각을 형성하고, 상기 도광판(110)에 도트(dot)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광반사 구조체(111)가 상기 도광판(110)에 형성된 표면의 형태는 파선(破線)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파선의 배열을 교대로 구비함으로써 광반사 구조체(113)의 근방에 암부(112)가 형성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도광판(110)의 후면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광반사 구조체(115)의 형태는 십자형태로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광반사 구조체(115)의 형태가 십자형태로 구비되어지면 직선형태의 광반사 구조체(111)를 갖는 상기 도광판(110)에서 그림자선이 생기는 암부(112)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광반사 효율을 높여준다.
상기 광원부(120)는 상기 도광판(110)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120)의 광원에서 발생된 광을 상기 도광판(110)으로 방출한다. 이때, 상기 광원부(120)에서 도광판(110)으로 입사된 입사광은 상기 광반사 구조체에 의해 상기 도광판(110)의 표면으로 수직하게 방출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광원부(120)는 렌즈부(140)와, 광원을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열 가공팁에 의해 가공되어진 광반사 구조체가 형성된 도광판에서의 광방출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의 가열 가공팁(미도시)으로 형성된 광반사 구조체(117)는 표면이 요철이 없이 매끈한 상태의 경면(鏡面)으로 가공되어 난반사가 일어나지 않고 정반사가 일어 나게 되어진다.
또한, 상기 가열 가공팁을 사용하여 광반사 구조체(117)를 형성하면 상기 광반사 구조체(117)의 깊이를 깊게 형성시킬수 있고, 이에따라 광 반사면이 증대되어 광반사 휘도가 크게 상승하게 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열 가공팁의 일측부에는 상기 가열 가공팁에 열을 전달하는 예열부(미도시)가 구비되어진다.
한편, 상기 광반사 구조(117)체에 상기 가열 가공팁으로 브이-커팅 방식으로 브이자('V') 형태의 음각이 형성되어, 형성된 상기 음각 홈부의 반사홈 각도는 53~6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반사홈의 각도 범위(53~60°)를 벗어나면 도광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광이 배출되지 적합하지 않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렌즈부의 사용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상기 도 1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렌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40)는 상부에 렌즈(141)가 구비되고, 하부에 광 가이드부(143)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상기 렌즈(141)는 곡률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렌즈는 반구형 볼록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렌즈부의 폭(d)과, 길이(b)와, 높이(a)는 2d > a > d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하다. 여기서,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상기 렌즈부(140)의 높이(a)는 7~8mm 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렌즈부(140)의 후방에 상기 광원부(120)의 광원인 LED(130)가 구비되어 상기 렌즈부(140)를 통해 상기 도광판(110)으로 광을 발산한다. 이때, 상기 LED(130)는 점광원에 해당하고, 상기 렌즈부(140)를 통해 선광원화 되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구조 및 특성에 대한 실험 결과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에서 파선형태의 광반사 구조체가 형성된 도광판 및 십자형태의 광반사 구조체를 갖는 도광판의 휘도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십자형태로 광반사 구조체(115)가 형성된 도광판(110)이 파선형태로 광반사 구조체(113)가 형성된 도광판에 비해 더 높은 휘도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렌즈부를 적용할 때와 적용하지 않을 때의 휘도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광원부(120)의 광원인 LED(130)의 전방에 렌즈부(140)가 구비되지 않을 때는 휘도특성이 고르지 못하였고, 광원인 LED(130)의 전방에 본 발명의 렌즈부(140)가 구비될 때는 고른 휘도 특성을 보여준다.
도 15는 면광원 장치의 광원부 중 렌즈부의 높이(a) > 렌즈부의 폭(d)일때의 스크린상에 나타난 광특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6은 면광원 장치의 광원부중 렌즈부의 렌즈부의 폭(d)*2 > 높이(a) > 렌즈부의 폭(d)일때의 스크린상에 나타난 광특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7은 면광원 장치의 광원부 중 렌즈부의 렌즈부의 폭(d)*2 < 높이(a) 일때의 스크린상에 나타난 광특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 15 내지 도 17은 렌즈부의 폭(d)을 6mm, 렌즈의 곡률반지름(c)을 3mm로 하여 렌즈의 높이에 따른 면광원 장치의 출광 특성을 실험을 한 사진이다.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의 높이(a)를 4mm로 하였을 때는 광원인 LED를 통해 발광되어 스크린에 비춰진 광 형상이 두 개로 분리되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점광원을 선광원으로의 구현을 실현하지 못하였다.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의 높이(a)를 15mm로 하였을 때는 LED를 통해 발광되어 스크린에 비춰진 광 형상이 다수의 선 형상으로 분리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에따라, 광의 집속효과가 떨어져 광원인 LED의 광 이용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40)의 높이(a)를 7.5mm로 하였을 때는 스크린(150)에 비춰진 광 형상이 선 형상으로 나타나였다. 이에따라, 점광원을 선광원화 하기 위한 조건을 잘 충족함을 알 수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상기 렌즈부(140)의 폭(d)과, 길이(b)와, 높이(a)는 2d > a > d 를 만족할 때가, 점광원인 LED(130)의 광을 선광원화시키 가장 적합한 조건임을 알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가열 가공팁에 의해 가공된 광반사 구조체와, 렌즈부가 구비된 면광원 장치의 휘도특성과 기존 면광원 장치의 휘도특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상기 도 14를 참조하면, 가열 가공팁에 의해 요철이 없이 매끈한 면으로 형성된 광반사 구조체(117)가 구비되고, 광원인 LED(130)의 전방에 렌즈부(140)가 구비되어진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100)는 기존의 면광원 장치와 비교하여 볼때 휘도가 높고 고른 휘도특성을 나타낸다.
이상의 설명은 본 특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특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특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특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특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특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특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특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에지방식의 도광판 백라이트에 사용되는 종래의 직선형태의 광반사 구조체를 갖는 도광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기존의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에 광반사 구조체를 형성시키는 가공 팁 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는 기존의 가공팁에 의해 도강판에 형성되는 광반사 구조체에 의한 광방출 경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기존의 광원으로서 LED가 구비된 면광원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에서 표면이 파선 형태의 광반사 구조체를 갖는 도광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G영역을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에서 표면이 파선 형태의 배열을 교대로 배치한 광반사 구조체를 갖는 도광판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에서 표면이 십자 형태의 광반사 구조체를 갖는 도광판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열 가공팁에 의해 가공되어진 광반사 구조체가 형성된 도광판에서의 광방출 경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렌즈부의 사용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렌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면광원 장치에서 파선형태의 광반사 구조체가 형성된 도광판 및 십자형태의 광반사 구조체를 갖는 도광판의 휘도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렌즈부를 적용할 때와 적용하지 않을 때의 휘도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가열 가공팁에 의해 가공된 광반사 구조체와, 렌즈부가 구비된 면광원 장치의 휘도특성과 기존 면광원 장치의 휘도특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면광원 장치의 광원부 중 렌즈부의 높이(a) > 렌즈부의 폭(d)일때의 스크린상에 나타난 광특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은 면광원 장치의 광원부 중 렌즈부의 렌즈부의 폭(d)*2 > 높이(a) > 렌즈부의 폭(d)일때의 스크린상에 나타난 광특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7은 면광원 장치의 광원부 중 렌즈부의 렌즈부의 폭(d)*2 < 높이(a) 일때의 스크린상에 나타난 광특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면광원 장치 20 : 광원
21 : 입사광 30 : 도광판
31 : 산란광 33 : 광반사 구조체
35 : 암부 40 : 프리즘 필름
50 : 가공 팁 60 : 발광다이오드(LED)
100: 면광원 장치 110: 도광판
111: 광반사 구조체 112: 암부
113: 광반사 구조체 115: 광반사 구조체
117: 광반사 구조체 120: 광원부
130: LED(발광다이오드) 140: 렌즈부
141: 렌즈 143: 광가이드부
150: 스크린

Claims (10)

  1. 면광원 장치에 있어서,
    피엠엠에이(PMMA) 재질의 도광판(110);
    상기 도광판(110)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광원인 발광다이오드(LED)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에서 발생되는 광을 선광원으로 만들기 위해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의 전방에 구비되는 렌즈부(140)를 갖는 광원부(120); 및
    상기 광원부(120)에서 발생되는 광을 상기 도광판(110)의 표면으로 수직하게 방출시키기 위해 상기 도광판(110)의 후면에 형성된 복수의 광반사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140)는 반구형의 볼록한 렌즈(141) 및 렌즈(141)에 일체로 구비된 광가이드부(143)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140)의 높이는 7~8mm이고, 상기 렌즈부(140)의 폭(d) 및 높이(a)는 2d > a > d 를 만족하며,
    상기 복수의 광반사 구조체는, 고온의 가열 가공팁에 의한 브이-커팅 방식으로 형성되어 광이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요철이 없는 경면을 구비하고, 일자형과 십자형 중에서 선택된 형상을 갖고, 일측 방향으로는 일렬로 배치되되 상기 일측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는 교대로 배치되며, 이에 구비된 브이자 홈의 각도가 53°~ 60°인 면광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70125698A 2007-12-05 2007-12-05 면광원 장치 KR100911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698A KR100911463B1 (ko) 2007-12-05 2007-12-05 면광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698A KR100911463B1 (ko) 2007-12-05 2007-12-05 면광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900A KR20090058900A (ko) 2009-06-10
KR100911463B1 true KR100911463B1 (ko) 2009-08-11

Family

ID=40989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698A KR100911463B1 (ko) 2007-12-05 2007-12-05 면광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4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854A (ko) 2014-07-04 2016-01-2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면광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42547B (zh) * 2022-06-01 2023-12-0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294A (ko) * 2001-02-24 2002-08-30 주식회사 엘에스텍 면광원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0291827Y1 (ko) * 2002-06-28 2002-10-11 주식회사 엘 앤 에프 프리즘 방식의 백라이트 장치
KR20020083973A (ko) * 2002-09-19 2002-11-04 이금성 도광판의 제조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도광판
KR20060106898A (ko) * 2005-04-04 2006-10-12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294A (ko) * 2001-02-24 2002-08-30 주식회사 엘에스텍 면광원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0291827Y1 (ko) * 2002-06-28 2002-10-11 주식회사 엘 앤 에프 프리즘 방식의 백라이트 장치
KR20020083973A (ko) * 2002-09-19 2002-11-04 이금성 도광판의 제조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도광판
KR20060106898A (ko) * 2005-04-04 2006-10-12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854A (ko) 2014-07-04 2016-01-2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면광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900A (ko)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97349B (zh) 背光组件及采用其的液晶显示器件
US7641374B2 (en) Backlight module and light guide plate thereof
US6986599B2 (en) Light source device
US8568013B2 (en) Backlight module
KR100829015B1 (ko) 면 광원 장치,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장치
KR20100092757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
TW200417791A (en) Light-guiding plate,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11100724A (ja) 画像表示装置
WO2012009882A1 (zh) 背光模块及显示装置
JP2014132557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とそれを利用した表示装置
WO2010058845A1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導光体
KR20020022009A (ko) 도광판
JP2008218418A (ja) 面光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導光体
TW201426125A (zh) 導光板及背光模組
JP4815930B2 (ja) 光透過フィルム、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7080800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の導光板
KR100911463B1 (ko) 면광원 장치
JP5782806B2 (ja) 照明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04265646A (ja) 光学素子用バックライト
JP2006108032A (ja) 面光源装置用導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面光源装置
KR20010035196A (ko) 이종 패턴으로 구성된 무인쇄 도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백라이트
JP2010251246A (ja) 導光体、該導光体を用いた面光源装置、および該面光源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JP3853133B2 (ja) 面光源装置
JP2009158468A (ja) バックライト
JP2008282688A (ja) 平面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