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2591B1 -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2591B1
KR100512591B1 KR10-2002-0055231A KR20020055231A KR100512591B1 KR 100512591 B1 KR100512591 B1 KR 100512591B1 KR 20020055231 A KR20020055231 A KR 20020055231A KR 100512591 B1 KR100512591 B1 KR 100512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roller
radius
curvatur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4645A (ko
Inventor
이준근
김원배
김철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2591B1/ko
Priority to US10/657,627 priority patent/US20040050115A1/en
Publication of KR20040024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5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3Drawing means, e.g. drawing drums ; Traction or tensioning devices
    • C03B37/032Drawing means, e.g. drawing drums ; Traction or tensioning devices for glass optical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3/00Fibre product details, e.g. structure, shape
    • C03B2203/10Internal structure or shape details
    • C03B2203/18Axial perturbations, e.g. in refractive index or composition
    • C03B2203/19Alternating positive/negative spins or twi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3/00Fibre product details, e.g. structure, shape
    • C03B2203/36Dispersion modified fibres, e.g. wavelength or polarisation shifted, flattened or compensating fibres (DSF, DFF, DCF)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5/00Fibre drawing or extruding details
    • C03B2205/06Rotating the fibre fibre about its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광섬유(1)의 방향 전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롤러(7)가 코팅장치(5), 자외선 경화장치(6) 및 캡스턴(미도시)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 이후에 설치되는 광섬유 인선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롤러(8, 9)가 상기 고정 롤러(7)의 이후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해 광섬유(1) 단면에 대한 곡률반경을 매우 크게 증가시켜 인선공정중에 발생하는 굽힘응력 및 응력집중을 완화하고 특히 미소 입자(13)나 크랙(14)에 따른 응력집중을 완화하여 결국 광섬유(1)의 단선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광섬유(1)의 강도가 평균값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에 이동 롤러(8, 9)의 위치를 변경하여 곡률 반경을 조절함으로써 응력을 평균보다 높거나 낮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롤러(8, 9)를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고속 인선시 고정 롤러(7)만을 구비하는 것보다 진동 안정성을 더 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OPTICAL FIBER DRAWING EQUIPMENT HAVING BREAK FAILURE REDUCTION DEVICE BY CONTROLLING THE CURVATURE RADIUS OF THE OPTICAL FIBER}
본 발명은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롤러(8, 9)가 고정 롤러(7)의 이후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롤러란 가이드 롤러를 의미하며 종래의 광섬유 인선장치는 하기한 구성 이외에도 필요시 통상적으로 부가되는 장치를 포함한다.
한가닥의 광섬유(1)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광섬유 모재 제조공정과 제조된 모재를 광섬유(1)로 인선하기 위한 인선공정을 거치게 된다. 변형된 화학적 증착법(MCVD, Modified Chemical Vapor Deposition)이나 외부 기상 증착법(OVD, Outside Vapor Deposition) 또는 기상 축 증착법(VAD, Vapor Axial Deposition)등의 광섬유 모재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된 광섬유 모재(Optical Fiber Preform)는 지지대(Feeder, 또는 Draw tower)(미도시), 가열로(Furnace)(2), 직경측정기(3), 냉각장치(4), 코팅장치(5), 자외선 경화장치(6), 캡스턴(미도시) 및 스풀(미도시)등을 지나면서 순차적으로 인선되면서 인선 과정(Drawing Process)을 거치게 된다.
열원으로서 가열로(2)는 주로 전기저항로, 고주파유도로 및 이산화탄소 레이저 등이 사용되며 보통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가열로(2)에서 광섬유 모재를 충분한 온도로 용융하여 한가닥의 광섬유(1)로 인선한다. 이 과정은 불순물에 의해 광섬유(1) 표면이 오염되어 강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정결한 분위기가 필요하다.
인선하는 동안 레이저 마이크로 측정기 같은 직경측정기(3)로 계속 직경을 측정하고 캡스턴(미도시)의 속도를 제어하여 직경을 제어한다. 광섬유에 코팅(피복)을 하기 전에 적합한 온도로 냉각하기 위해 냉각장치(4)를 통과시킨다. 냉각장치(4)를 통과후 코팅장치(5)를 거치며 즉시 광섬유(1)에 코팅을 한다. 이 코팅은 광섬유(1)를 심하게 열화시키는 습도, 마모 등으로부터 광섬유(1)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 쓰이는 적합한 코팅 재료에는 카이너(Kynar), 에폭시, 실리콘 RTV, 자외선 경화수지가 있다.
코팅후 자외선 경화장치(6)를 통과하면서 경화된다. 경화장치(6)를 지나면 소정의 인장력을 제공하여 일정한 직경크기를 갖는 광섬유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캡스턴(미도시)을 통과하게 된다. 이 후 스풀(미도시) 또는 테이크업 릴(미도시)에 권선된다.
제작된 모든 광섬유는 최소 장력 요건을 만족하는지 프루브-테스트(prove-test)를 거친다. 이 시험은 코팅을 한 후 감는 작업중이나 혹은 인선과정 뒤의 독립적인 절차로 실행한다.
상기 가열로(2), 직경측정기(3), 냉각장치(4), 코팅장치(5), 자외선 경화장치(6) 및 캡스턴(미도시)은 스탠드형 인출타워(stand-type draw tower)에 순차적으로 수직방향으로 광섬유를 중심으로 설치되어 캡스턴(미도시)을 거친 이후 방향 전환을 위해 고정 롤러(7)를 경유하거나, 코팅장치(5)를 거친 이후 방향 전환을 위해 고정 롤러(7)를 경유하거나 또는 자외선 경화장치(6)를 거친 이후 방향 전환을 위해 고정 롤러(7)를 경유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광섬유 인선장치중 광섬유(1)가 자외선 경화장치(6)를 거친 이후에 방향전환을 하도록 고정 롤러(7)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는 공간상의 문제나 롤러등의 크기 문제로 인하여 반경이 작은 롤러로서 큰 인장력을 주어 급격한 방향 전환을 일으킴으로써 많은 굽힘응력(롤러와 같은 일정 반경을 가지는 회전체를 거치면서 발생하는 응력)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광섬유 인선시 고정 롤러(7) 부위를 중심으로 한 굽힘운동을 나타내는 개략도로 이러한 굽힘운동에 있어서 만일 가열로(2)내에서 미소 입자(13)가 발생하거나 크랙(14)이 발생하는 경우 응력 집중현상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롤러에 의한 굽힘응력 및 미소 입자(13)와 크랙(14)에 의한 응력집중은 지금까지 광섬유 인선공정 중에 단선을 일으키는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에 의한 실험결과 순수 인장력 및 굽힘응력에 의해 광섬유(1)에 걸리는 응력에 의한 안전율은 대체로 10 이상으로 판명되었지만, 미소 입자(13)나 크랙(14), 기타 진동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해 안전율이 1 보다 떨어져서 단선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예를 들어 광섬유(1) 직경이 125 ㎛ 이고 축응력(축방향 인장에 의해 받는 응력)이 0.3 kgf라고 할 때, 순수 인장력에 의해 광섬유(1)에 걸리는 응력에 의한 안전율은, 안전율 크랙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프랙쳐 스트레스(Fracture stress, 파괴 응력)가 651.4ksi이고 σq = F/A = 0.3 ×9.81/[(π/4)×(125×10-6)2]=2.40×108Pa(34.53ksi)이므로, 약 18.86 정도 이다.
또한 롤러에 의한 굽힘응력에 의해 광섬유(1)에 걸리는 응력에 의한 안전율은, 안전율 크랙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프랙쳐 스트레스가 651.4ksi이고 σb = Ey/R = 3×70×109×125×10-6/(2×0.082) = 1.61×108Pa(23.2ksi)이므로, 약 11 정도이다. 그러나 크랙에 의한 응력 집중을 고려하는 경우, 크랙의 사이즈 및 형상에 따른 계수가 σc=YK/C1/2 로서 1 ㎛ crack 기준, 형상계수 Y가 3이고, Fracture toughness K가 0.79×106 일때 341 ksi 이므로, 여기에 기타 진동과 같은 외부 환경 조건에 의해 안전율이 1 보다 떨어지면서 단선이 생기게 된다.
만일 단선이 생기지 않더라도 광섬유가 코팅장치(5)에서 표면 코팅이 된 후 자외선 경화장치(6)를 거치면서 충분히 굳지 못한 상태에서 광섬유(1)와 같이 섬세한 재료가 큰 응력을 받게 될 경우 광섬유(1) 자체에 큰 손상이 발생하여 이러한 광섬유(1)는 후에 일정한 하중을 주어서 강도를 시험하는 프루브-테스트에서 단선이 발생한 가능성이 높게 된다.
또한 최근의 광섬유 인출 설비에 있어서 인출 타워는 일정이상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인출 속도를 높이게 되는데 특히 방향전환시 고정 롤러(7)만 설치하는 경우 진동이 커지고 이러한 진동은 직접적으로 광섬유 및 인출 타워에 전달되어 광섬유(1)의 품질저하를 일으키는 한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진동을 구속하며 동시에 간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롤러(8, 9)를 구비하여 광섬유(1) 곡률 반경을 조정하여 굽힘응력 및 응력 집중을 완화함으로써 광섬유(1)의 단선을 최소화하는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섬유 모재를 용융하여 광섬유를 인출하는 가열로(2), 광섬유(1)의 직경을 측정 및 제어하는 직경측정기(3), 광섬유(1) 코팅전 광섬유(1)를 냉각하는 냉각장치(4), 광섬유(1)를 코팅하는 코팅장치(5), 광섬유(1)를 경화하는 자외선 경화장치(6), 캡스턴(미도시) 및 스풀(미도시)을 포함하며, 광섬유(1)의 방향 전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롤러(7)가 상기 코팅장치(5), 상기 자외선 경화장치(6) 및 상기 캡스턴(미도시)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 이후에 설치되는 광섬유 인선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롤러(8, 9)가 상기 고정 롤러(7)의 이후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인선장치에 있어서 광섬유(1)가 UV 경화장치(6)를 거친 이후에 방향전환을 하도록 고정 롤러(7)와 이동 롤러(8, 9)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는 광섬유 모재를 용융하여 광섬유(1)를 인출하는 가열로(2)의 이후에 광섬유(1)의 직경을 측정 및 제어하는 직경측정기(3)가 설치되고, 이후에 광섬유(1) 코팅전 광섬유(1)를 냉각하는 냉각장치(4)가 설치되며, 이후에 광섬유(1)를 코팅하는 코팅장치(5)가 설치되고, 이후에 광섬유(1)의 방향 전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롤러(7)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롤러(7)의 이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롤러(8, 9)가 연속하여 설치된다. 이후 광섬유(1)를 경화하는 자외선 경화장치(6), 캡스턴(미도시) 및 스풀(미도시)이 설치된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 모재를 용융하여 광섬유(1)를 인출하는 가열로(2)의 이후에 광섬유(1)의 직경을 측정 및 제어하는 직경측정기(3)가 설치되고, 이후에 광섬유(1) 코팅전 광섬유(1)를 냉각하는 냉각장치(4)가 설치되며, 이후에 광섬유(1)를 코팅하는 코팅장치(5)가 설치되고, 이후에 광섬유(1)를 경화하는 자외선 경화장치(6)가 설치되고, 이후에 광섬유(1)의 방향 전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롤러(7)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롤러(7)의 이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롤러(8, 9)가 연속하여 설치된다. 이후 캡스턴(미도시) 및 스풀(미도시)이 설치된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는 광섬유 모재를 용융하여 광섬유(1)를 인출하는 가열로(2)의 이후에 광섬유(1)의 직경을 측정 및 제어하는 직경측정기(3)가 설치되고, 이후에 광섬유(1) 코팅전 광섬유(1)를 냉각하는 냉각장치(4)가 설치되며, 이후에 광섬유(1)를 코팅하는 코팅장치(5)가 설치되고, 이후에 광섬유(1)를 경화하는 UV 경화장치(6)가 설치되고, 이후에 캡스턴(미도시)이 설치되고, 이후에 광섬유(1)의 방향 전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롤러(7)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롤러(7)의 이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롤러(8, 9)가 연속하여 설치된다. 이후 스풀(미도시)이 설치된다.
이동 롤러(8, 9)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 이상을 연달아 설치한다. 적어도 2개 이상의 이동 롤러(8, 9)를 연달아 설치함으로써 원하는 곡률 반경을 얻기가 용이해 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1) 인선장치중 이동 롤러(8, 9)를 구비한 브래킷(10)을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1) 인선장치중 이동 롤러(8, 9)를 구비한 브래킷(10)을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이다.
이동롤러(8, 9)는 더룩 바람직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15)와 너트(16)에 의해 타워 몸체(18)의 일측에서 진동 감쇠를 위한 스페이서(17)를 사이에 두고 체결된 브래킷(10)에 롤러 축(12)이 장착되고, 상기 롤러 축(12)과 이동 롤러(8, 9)사이에는 볼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되며, 브래킷(10) 내부에 개설된 제1방향 가이드(19)를 따라 왕복 이동되어 광섬유(1)의 방향 전환시 곡률 반경을 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볼트(15)와 너트(16)는 브래킷(10)을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왕복 회동하게 하는 피봇 조인트(11)로서 기능한다. 광섬유(1) 강도의 평균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평균값과 비교하여 이동 롤러(8, 9)를 제1방향 또는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광섬유(1) 곡률 반경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는 광섬유(1)가 방향 전환을 위해 고정 롤러(7)를 경유한 후, 연속하여 이동 롤러(8, 9)를 경유하게 된다. 이때 굽힘응력은 σb = Ey/R에서와 같이 반경 R의 크기에 반비례하므로 고정 롤러(7)와 이동 롤러(8, 9)를 포함하는 광섬유 방향전환시 곡률반경인 R2에 반비례하여 굽힘응력이 감소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는 광섬유 모재를 용융하여 광섬유(1)를 인출하는 가열로(2)의 이후에 광섬유(1)의 직경을 측정 및 제어하는 직경측정기(3)가 설치되고, 이후에 광섬유(1) 코팅전 광섬유(1)를 냉각하는 냉각장치(4)가 설치되며, 이후에 광섬유(1)를 코팅하는 코팅장치(5)가 설치되고, 이후에 광섬유(1)를 경화하는 자외선 경화장치(6)가 설치되고, 이후에 광섬유(1)의 방향 전환을 위한 하나의 고정 롤러(7)가 설치되고, 이동 롤러(8, 9)를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한 2개의 브래킷(10)이 상기 고정 롤러(7)의 이후에 연속하여 설치된다. 이후 캡스턴(미도시) 및 스풀(미도시)이 차례대로 설치된다.
이동 롤러(8, 9)는 롤러 축(12)과 이동 롤러(8, 9) 사이에 볼 베어링(미도시)을 구비하여, 수직 방향 가이드(19)가 개설된 브래킷(10)에 장착되고, 볼트(15)가 상기 브래킷(10), 진동감쇠를 위한 스페이서(17) 및 타워 몸체(18)를 관통하여 타워 몸체(18)의 후방에서 너트(16)와 체결한다.
광섬유(1)가 이동 롤러(8, 9)를 지나가는 동안, 상기 이동 롤러(8, 9)가 브래킷(10) 내부의 수직 방향 가이드(19)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거나, 피봇 조인트(11)에 의한 브래킷(10)의 수평 방향 왕복 회동에 연동한다.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상기 이동 롤러(8, 9)를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한 브래킷(10) n(n= 1, 3, 4, 5, 6,,)개가 상기 고정 롤로(7)의 이후에 연속하여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이동 롤러(8, 9)는 롤러 안내부가 핀홀에서 핀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브래킷(10)에 개설된 수직 방향 가이드(19)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상기 브래킷(10)에 수평 방향 가이드(미도시)가 개설되어 이동 롤러(8, 9)가 수평 방향 가이드(미도시)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상기 브래킷(10)의 좌 또는 우측중 일측부에는 피봇 조인트(11)가 설치되어 브래킷(10)의 수직 방향 왕복 회동에 따라서 이동 롤러(8, 9)가 수직 방향으로 연동한다.
본 발명에 따라 광섬유(1) 단면에 대한 곡률반경을 매우 크게 증가시켜 인선공정중에 발생하는 굽힘응력 및 응력집중을 완화하고 특히 미소 입자(13)나 크랙(14)에 따른 응력집중을 완화하여 결국 광섬유(1)의 단선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광섬유(1)의 강도가 평균값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에 이동 롤러(8, 9)의 위치를 변경하여 곡률 반경을 조절함으로써 응력을 평균보다 높거나 낮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롤러(8, 9)를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고속 인선시 고정 롤러(7)만을 구비하는 것보다 진동 안정성을 더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섬유 인선장치에 있어서 광섬유가 자외선 경화장치를 거친 이후에 방향 전환을 하도록 고정 롤러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광섬유 인선시 고정 롤러 부위를 중심으로 한 굽힘운동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인선장치에 있어서 광섬유가 자외선 경화장치를 거친 이후에 방향전환을 하도록 고정 롤러와 이동 롤러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인선장치중 이동 롤러를 구비한 브래킷을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인선장치중 이동 롤러를 구비한 브래킷을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R1: 고정 롤러만을 구비하는 경우의 곡률 반경.
R2: 이동 롤러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경우의 곡률 반경.
1: 광섬유, 2: 가열로,
3: 직경측정기, 4: 냉각장치,
5: 코팅장치, 6: 자외선 경화장치,
7: 고정 롤러, 8: 이동 롤러1,
9: 이동 롤러2, 10: 브래킷,
11: 피봇 조인트, 12: 롤러 축,
13: 미소입자, 14: 크랙,
15: 볼트, 16: 너트,
17: 스페이서, 18: 타워 몸체,
19: 제1방향 가이드.

Claims (4)

  1. 광섬유 모재를 용융하여 광섬유(1)를 인출하는 가열로(2), 광섬유(1)의 직경을 측정 및 제어하는 직경측정기(3), 광섬유(1) 코팅전 광섬유(1)를 냉각하는 냉각장치(4), 광섬유(1)를 코팅하는 코팅장치(5), 광섬유(1)를 경화하는 자외선 경화장치(6), 캡스턴(미도시) 및 스풀(미도시)을 포함하며, 광섬유(1)의 방향 전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롤러(7)가 상기 코팅장치(5), 상기 자외선 경화장치(6) 및 상기 캡스턴(미도시)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치 이후에 설치되는 광섬유 인선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롤러(7)의 이후에 연속하여, 상기 광섬유의 강도에 따라 방향전환시의 곡률반경을 조정하기 위하여 위치가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동롤러(8, 9)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롤러(8, 9)는 적어도 2개 이상이 고정 롤러(7)의 이후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롤러(8, 9)는 제1방향 가이드(19)가 형성된 브래킷(10)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19)에 따라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에는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의 왕복 회동을 위한 피봇 조인트(11)가 일측에 추가로 개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 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
KR10-2002-0055231A 2002-09-12 2002-09-12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 KR100512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231A KR100512591B1 (ko) 2002-09-12 2002-09-12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
US10/657,627 US20040050115A1 (en) 2002-09-12 2003-09-08 Optical fiber drawing apparatus for decreasing an optical fiber break and impressing a spin to an optical fi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231A KR100512591B1 (ko) 2002-09-12 2002-09-12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645A KR20040024645A (ko) 2004-03-22
KR100512591B1 true KR100512591B1 (ko) 2005-09-07

Family

ID=31987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231A KR100512591B1 (ko) 2002-09-12 2002-09-12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40050115A1 (ko)
KR (1) KR1005125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57B1 (ko) 2011-06-03 2013-10-29 (주)이소 곡면부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09954A (ko) 2022-01-14 2023-07-21 국방과학연구소 광섬유 스풀 성능 시험 시스템 및 광섬유 스풀 성능 시험 방법
KR20230109955A (ko) 2022-01-14 2023-07-21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운동체 유도를 위한 광섬유 유선유도 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광섬유 유선유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0366B (zh) * 2008-03-05 2013-08-07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玻璃光纤的处理装置、处理方法以及光纤的制造方法和线牵引方法
CN104743873A (zh) * 2014-12-30 2015-07-01 中天科技光纤有限公司 一种高强度耐疲劳光纤拉丝方法及其拉丝装置
CN107162402A (zh) * 2017-07-10 2017-09-15 富通集团(嘉善)通信技术有限公司 光纤搓扭装置以及方法
CN111620560B (zh) * 2020-06-10 2021-11-09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拉丝光纤扭动控制装置、控制方法及多模光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1136A (ja) * 1989-02-20 1990-09-04 Fujikura Ltd 光ファイバ線引装置
JPH04160029A (ja) * 1990-10-25 1992-06-0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ロール群への線状体の線掛け方法
JPH07277601A (ja) * 1994-04-08 1995-10-24 Kobe Steel Ltd 光ファイバ巻取り機とその回転数制御方法
KR20010113658A (ko) * 1999-01-27 2001-12-28 오카야마 노리오 피복 광섬유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와 피복 광섬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0344A (en) * 1981-09-28 1983-10-18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Optical waveguide fiber draw guiding and coating method and apparatus
US5049178A (en) * 1989-09-11 1991-09-17 Ppg Industries, Inc. Partial press apparatus and method for glass sheet bending
USH1268H (en) * 1992-06-29 1993-12-07 Askins Charles 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nal rotation of principal axes in fabrication of birefringement fibers
FR2694101B1 (fr) * 1992-07-24 1994-09-16 Mars Actel Procédé et dispositifs pour couper obliquement un ruban de fibres optiques.
KR0165211B1 (ko) * 1995-09-29 1998-12-15 김광호 광섬유의 인출 장치
US6324872B1 (en) * 1996-04-12 2001-12-04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controlled spin in optical fibers
US6371394B1 (en) * 1998-12-23 2002-04-16 Pirelli Cavi E Sistemi S.P.A. Method for winding a fibre element having different longitudinal por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1136A (ja) * 1989-02-20 1990-09-04 Fujikura Ltd 光ファイバ線引装置
JPH04160029A (ja) * 1990-10-25 1992-06-0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ロール群への線状体の線掛け方法
JPH07277601A (ja) * 1994-04-08 1995-10-24 Kobe Steel Ltd 光ファイバ巻取り機とその回転数制御方法
KR20010113658A (ko) * 1999-01-27 2001-12-28 오카야마 노리오 피복 광섬유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와 피복 광섬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857B1 (ko) 2011-06-03 2013-10-29 (주)이소 곡면부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09954A (ko) 2022-01-14 2023-07-21 국방과학연구소 광섬유 스풀 성능 시험 시스템 및 광섬유 스풀 성능 시험 방법
KR20230109955A (ko) 2022-01-14 2023-07-21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운동체 유도를 위한 광섬유 유선유도 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광섬유 유선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645A (ko) 2004-03-22
US20040050115A1 (en)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92393B2 (en) Process for optical fiber drawing
JP5986540B2 (ja) 光ファイバ素線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EP15711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ber including rotating optical fiber preforms during draw
EP142634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an optical fiber from a preform
KR100512591B1 (ko)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
CN111032588B (zh) 光纤的制造方法
JP2007197273A (ja) 光ファイバ素線及びその製造方法
US967665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fiber
KR910000732B1 (ko) 광파이버의 제조방법 및 장치
JP2019189436A (ja) 光ファイバの巻取方法、ボビン巻き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光ファイバの巻取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素線の製造方法
US201301182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ptical fiber
EP1698597B1 (en) Optical fiber twis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fiber
KR20040100747A (ko) 스핀을 이용한 광섬유 제조 장치 및 방법
CN1289422C (zh) 光纤抽丝过程中鲁棒直径控制的光纤
JP2007045680A (ja)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2004175611A (ja)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50031885A (ko) 광섬유 모재의 연신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연신된 광섬유모재
JP2010120811A (ja) 光ファイバ素線の製造方法及び光ファイバ素線製造装置
KR100512592B1 (ko) 광섬유 모재 회전을 통해 광섬유 진원도를 개선하는광섬유 인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 인선 방법
JP2001302272A (ja)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5298242A (ja)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2003207675A (ja) 石英系光ファイバ及びその製造方法
JP4215943B2 (ja) 光ファイバ素線の製造方法
JP4441330B2 (ja) 光ファイバ用ガラス母材の製造方法
KR100365776B1 (ko) 광섬유 인출 타워에서 캡스탄 보조 풀리의 광섬유감김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