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2857B1 - 곡면부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곡면부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2857B1
KR101322857B1 KR1020110053901A KR20110053901A KR101322857B1 KR 101322857 B1 KR101322857 B1 KR 101322857B1 KR 1020110053901 A KR1020110053901 A KR 1020110053901A KR 20110053901 A KR20110053901 A KR 20110053901A KR 101322857 B1 KR101322857 B1 KR 101322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member
cutting
curved
molding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760A (ko
Inventor
김승한
Original Assignee
(주)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소 filed Critical (주)이소
Priority to KR1020110053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857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29C70/521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and impregnating the reinforcement before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29C70/52Pultrusion, i.e. forming and compressing by continuously pulling through a die
    • B29C70/5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70/526Pultrusion dies, e.g. dies with moving or rota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29C70/545Perforating, cutting or machining during or after moulding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부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지에 함침된 섬유를 공급받아 곡면부재(400)로 성형하는 성형장치(100); 상기 성형장치(100)에서 성형된 곡면부재(400)를 당겨 연속으로 성형 되게 하는 인발장치(200); 및 상기 인발된 곡면부재(400)를 일정 간격으로 잘라주는 커팅장치(300);를 포함하되,
상기 인발장치(200)는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곡면부재(400)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각각 정해진 구간에서 왕복을 하면서 번갈아 곡면부재(400)를 잡아 당겨주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부재 제조장치와 그 제조장치를 이용한 곡면부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면부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Manufacturing apparatus for round surface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상 또는 지중 구조물에 사용되는 곡면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곡면부재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은 산허리를 관통하는 도로나 철로 등을 형성하기 위한 산악터널과, 도심지의 지중에 형성되는 시가지 터널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터널, 특히 산악 터널에 사용되는 터널형식은 병렬터널, 2-아치터널, 대단면 터널 등이 있다.
통상, 상기와 같은 터널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상기 터널의 내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터널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패널을 설치한다. 이러한 패널은 자재의 특성 및 제조방법상의 한계로 인하여 직선형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직판 형상으로만 제작이 되어 왔으므로, 상기 터널 내부를 보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직판 형상의 패널로만 시공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일정 길이를 갖는 직판 형상의 패널을 상기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하여 다수 개를 아치 내부를 둘러 층을 이루도록 조립을 하였다.
그러나, 아치 형상의 터널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직판 형상의 패널을 사용하여 상기 아치 형상의 터널의 내부를 보강하는 경우에, 상기와 같이 조립된 직판 형상의 패널들은 아치를 두르는 동안 패널과 패널 간에 결합 되는 곳이 많기 때문에 그 지지력이 감쇠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직판 형상의 패널은 상기 아치형상의 터널의 내부에서 일정 이상의 힘을 견디지 못할 수 있다.
이에 근래에 들어 상기와 같은 터널의 내부를 보강시공하는 경우에, 상기 터널의 내부에서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곡면형상의 패널을 상기 터널의 내부에 설치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2007. 12. 27.자 등록된 등록 제10-0791590-0000 호 "곡면패널 제조방법 및 곡면패널 제조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를 통해 연속적으로 곡면부재를 신속하게 제조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곡면부재 제조장치를 더욱 개선하여 용이하고 신속하게 곡면부재를 제조하여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곡면부재 제조장치를 개선하여 곡면부재를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이나 교량 등에 사용되는 곡면부재의 인발, 절단 공정으로 이어지는 생산공정을 자동화하여 비교적 빠르고 안정적으로 연속하여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곡면부재 성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곡면부재 성형장치에서 인발장치 부분을 확대한 발췌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발장치의 구성을 측면에서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팅장치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커팅장치에 의해 곡면부재가 절단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에 의한 곡면부재 성형장치로 곡면부재를 성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지에 함침된 섬유를 공급받아 곡면부재로 성형하는 성형장치; 상기 성형장치에서 성형된 곡면부재를 당겨 연속으로 성형 되게 하는 인발장치; 및 상기 인발된 곡면부재를 일정 간격으로 잘라주는 커팅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인발장치는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곡면부재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각각 정해진 구간에서 왕복을 하면서 번갈아 곡면부재를 잡아 당겨주며 곡면부재를 성형하는 곡면부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곡면부재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곡면부재 성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곡면부재 성형장치에서 인발장치 부분을 확대한 발췌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발장치의 구성을 측면에서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커팅장치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커팅장치에 의해 곡면부재가 절단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곡면부재 제조장치는 수지에 함침된 섬유를 공급받아 곡면부재(400)로 성형하는 성형장치(100), 상기 성형장치(100)에서 성형된 곡면부재(400)를 당겨 연속으로 성형 되게 하는 인발장치(200) 및 상기 인발된 곡면부재(400)를 일정 간격으로 잘라주는 커팅장치(300)를 포함한다.
성형장치(100)는 수지에 함침된 섬유가 통과하면서 곡면부재(400) 형태로 성형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최종 생산될 곡면부재(400)의 단면 형상과 같은 성형공(110)이 형성된 금형이 마련되어 있어서 수지에 함침된 섬유가 상기 성형공(110)을 꽉 메우면서 당겨짐으로써 관통하여 곡면부재(400)로 성형 된다.
이때, 상기 성형공(110)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게 형성함으로써 인발되는 곡면부재(400)가 자연스럽게 호형으로 형성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성형공(110)의 곡률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곡률을 가진 곡면부재(40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성형장치(100)는 일정 정도 열을 가할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수지에 함침된 섬유가 성형공(110)을 통과하면서 열을 받아 경화되어 곡면부재(400)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인발장치(200)는 성형공(110)을 관통하여 인발되는 곡면부재(400)를 당겨서 연속적으로 곡면부재(400)가 형성되게 하는 장치이다. 상기 인발장치(200)는 곡면부재(400)의 진행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곡면부재(4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곡면부재(400)를 당겨주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인발장치(200)를 마련하여 상기 인발장치(200)가 서로 번갈아가며 곡면부재(400)를 잡아 당겨줄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인발장치(200)는 곡면부재(4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하되 곡면부재(400)를 잡아주는 압착기(212)가 구비된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를 왕복시키는 이동장치(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210)는 사각 틀 형상으로서 내부를 곡면부재(400)가 관통하는 것이며, 상기 압착기(212)가 몸체(210)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 신호를 받아 유압에 의해 작동하면서 몸체(210)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곡면부재(400)를 잡거나 놓아주게 된다.
상기 몸체(210)는 곡면부재(400)의 진행방향을 따라 곡면부재(400) 양측에 설치되는 설치프레임(290)에서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곡면부재(400)를 잡아 당겨준 다음 놓아 주고 다시 원위치로 돌아가는 왕복운동을 하면서 곡면부재(400)를 당겨주게 된다.
몸체(210)가 설치프레임(290)에서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구성은 설치프레임(290)에 레일을 형성하고 몸체(210)에는 레일에 대응하는 롤러를 설치함으로써 롤러가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몸체(210)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220)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22)과 곡면부재(40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축(224) 및 벨트(226)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222)과 지지축(224)은 삼각형상으로 배치되어 벨트(226)가 연결되는바,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222) 회전하면 벨트가 지지축(224)과 회전축(224)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이동장치(220)에서 상기 몸체(210)는 상기 지지축(224) 사이에서 벨트(226)에 연결되어 설치프레임(29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22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진행 방향이 바뀌며 왕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장치(220)는 상기 몸체(21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때 양 측면에 형성된 회전축(222)이 동일한 모터에 연결되어 동일한 속도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균형을 이루며 몸체(210)를 이동시키게 한다.
커팅장치(300)는 상기 곡면부재(400)의 진행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속으로 회전하며 곡면부재(400)를 절단하는 커터날(320)을 포함한다.
상기 커터날(320)은 모터에 연결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곡면부재(400)의 진행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곡면부재(400)의 진행방향으로 상기 곡면부재(400)의 진행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진행하며 절단함으로써 정확한 위치를 절단하여 줄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커터날(320)이 곡면부재(400)의 진행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왕복하게 하는 가이드(340)와 상기 가이드(340)가 세워져 설치되되 곡면부재(400)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며 왕복하는 왕복판(360) 및 상기 왕복판(360)이 곡면부재(400)의 진행방향으로 따라 왕복운동을 하게 하는 베이스(370)를 포함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커터날(320)이 3축 운동을 하면서 곡면부재(4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곡면부재(400)를 절단하여 주게 된다.
상기 가이드(34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체인이 설치되어서 상기 체인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커터날(320)의 진행을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가이드(340) 또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체인에 의해 동일한 구간을 왕복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동일한 구간에서 왕복하는 구성은 상기 설명한 구성 외에도 동일한 구간을 왕복하게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곡면부재 제조장치를 이용해 곡면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에 의한 곡면부재 성형장치로 곡면부재를 성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도 1과 도 6a 내지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롤(500)에서 공급되는 섬유는 수지가 담겨져 있는 호퍼(600)를 통과하면서 함침되어 성형장치(100)로 공급된다. 이때, 섬유롤(500)은 다수 개가 마련되어 섬유가 서로 중첩되어 함침됨으로써 일정한 두께가 되게 한다. 성형장치(100)로 공급되는 수지에 함침된 섬유의 두께는 미리 결정되는바, 섬유가 중첩되는 지점과 함침되는 지점을 순차적으로 여러 군데 형성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원하는 두께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
수지에 함침된 섬유는 성형장치(100)로 공급하여 끝단이 성형공(110)을 관통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성형공(110)을 관통한 섬유를 당겨주게 되면 수지에 함침된 섬유가 상기 성형공(110)을 꽉 메우면서 통과하면서 일정한 단면 형태를 가지게 경화되어 곡면부재(400)가 형성된다. 상기 성형공(1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한 곡률을 가지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수지에 함침된 섬유가 자연스럽게 일정한 곡률을 가진 곡면부재(400)가 인발되게 한다.
성형공(110)을 통과한 곡면부재(400)가 일정한 길이를 이루게 되면 인발장치(200)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곡면부재(400)를 당겨준다. 한 쌍으로 구비된 인발장치(200)가 서로 번갈아 가며 곡면부재(400)를 당겨주게 되는데, 각각의 인발장치(200)가 일정한 구간에서 왕복운동을 하면서 곡면부재(400)를 당겨주는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최초에 곡면부재(400)를 당겨주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앞쪽에 배치된 인발장치(200)는 성형장치(100) 쪽으로 최대한 근접한 상태이고, 뒤쪽에 배치된 인발장치(200)는 앞족에 배치된 인발장치(200)가 왕복하는 구간쪽으로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자리 잡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앞쪽에 배치된 인발장치(200)가 압착기(212)로 곡면부재(400)를 잡아 주면 모터가 이를 감지하여 작동을 함으로써 회전축(222)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벨트(226)가 회전하여 인발장치(200)가 곡면부재(400)를 잡아준 상태로 이동하면서 곡면부재(400)를 당겨주게 된다.
이후, 앞쪽에 배치된 인발장치(200)가 왕복구간 말미에 이르면 압착기(212)가 잡고 있던 곡면부재(400)를 놓아주고 이와 동시에 뒤쪽에 배치된 인발장치(200)에서는 압착기(212)가 곡면부재(400)를 잡아서 당겨주게 된다. 이때, 앞쪽에 배치된 인발장치(200)는 모터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뒤쪽에 배치된 인발장치(200)가 곡면부재(400)를 당겨주는 방법은 앞서 앞쪽에 배치된 인발장치(200)와 마찬가지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뒤쪽에 배치된 인발장치(200) 또한 곡면부재(400)를 당겨주다가 왕복구간 말미에 이르면 압착기(212)가 잡고 있던 곡면부재(400)를 놓아주고, 이를 감지한 모터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인발장치(2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뒤쪽에 배치된 인발장치(200)가 원위치로의 복귀를 시작하면 앞쪽에 배치된 인발장치(200)가 이를 감지하여 다시 곡면부재(400)를 잡아 당겨주면서 앞서 설명한 과정을 끊임없이 반복하며 연속적으로 곡면부재(400)를 당겨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인발장치(200)는 곡면부재(400)를 대략 40~70cm/min 속도로 당겨줌으로써 연속적으로 곡면부재(400)가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속도는 곡면부재(400)가 경화되는 속도를 감안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당겨주는 속도를 조절하여 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 따라 연속적으로 생산되는 곡면부재(400)는 미리 설정된 길이에 이를 경우 커팅장치(300)를 통해 절단한다. 상기 커팅장치(300)는 커터날(320)이 가이드(340)를 따라 이동하면서 곡면부재(400)를 절단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가이드(340)가 왕복판(360)과 베이스(370)를 따라 이동하면서 곡면부재(400)의 진행속도 및 궤적과 동일한 속도로 진행하여 곡면부재(400)를 절단하여 주게 된다.
이와 같이 곡면부재(400)의 진행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면서 절단함으로써 정확한 지점을 정확하게 잘라 주는 것이며, 이를 통해 일정한 곡률을 가지며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곡면부재(400)는 필요에 따라 마감처리 과정을 거쳐 완성품으로 형성하게 된다.
100 : 성형장치, 200 : 인발장치,
210 : 몸체, 212 : 압착기,
220 : 이동장치, 222 : 회전축,
224 : 지지축, 226 : 벨트,
290 : 설치프레임, 300 : 커팅장치,
400 : 곡면부재, 500 : 섬유롤,
600 : 호퍼.

Claims (7)

  1. 수지에 함침된 섬유를 공급받아 곡면부재(400)로 성형하는 성형장치(100);
    상기 성형장치(100)에서 성형된 곡면부재(4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하되 곡면부재(400)를 잡아주는 압착기(212)가 구비된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를 왕복시키는 이동장치(220)를 포함하여 상기 곡면부재(400)를 당겨 연속으로 성형 되게 하는 인발장치(200); 및
    상기 인발된 곡면부재(400)를 일정 간격으로 잘라주는 커팅장치(300);를 포함하되,
    상기 인발장치(200)는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곡면부재(400)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각각 정해진 구간에서 왕복을 하면서 번갈아 곡면부재(400)를 잡아 당겨주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부재 제조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220)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22)과 곡면부재(40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축(224)이 삼각형태로 배치되어 벨트(226)가 설치되되,
    상기 몸체(210)가 상기 지지축(224) 사이에서 벨트(226)에 연결되어 회전축(22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진행 방향이 바뀌며 왕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부재 제조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220)는 상기 몸체(21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균형을 이루며 몸체(210)를 이동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부재 제조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장치(300)는,
    상기 곡면부재(400)의 진행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속으로 회전하며 곡면부재(400)를 절단하는 커터날(320)을 포함하되,
    상기 커터날(320)은 곡면부재(400)의 진행방향을 따라 상기 곡면부재(400)의 진행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진행하며 절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부재 제조장치.
  6. 수지에 함침된 섬유를 성형장치(100)에 형성되는 성형공(110)에 통과시켜 소정 곡률과 단면 형상을 가지는 곡면부재(400)를 형성하고, 상기 성형공(110)을 통해 성형된 곡면부재(400)를 인발장치(200)로 당겨 연속으로 성형 되게 한 다음, 커팅장치(300)로 일정간격으로 잘라 소정 길이를 가진 곡면부재(400)를 형성하되,
    상기 인발장치(200)는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곡면부재(40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각각 정해진 구간에서 왕복을 하면서 번갈아 곡면부재(400)를 잡아당겨 인발하고,
    상기 커팅장치(300)는 인발되는 곡면부재(400)의 진행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면서 곡면부재(400)를 절단하여 주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부재 제조방법.
  7. 삭제
KR1020110053901A 2011-06-03 2011-06-03 곡면부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22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901A KR101322857B1 (ko) 2011-06-03 2011-06-03 곡면부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901A KR101322857B1 (ko) 2011-06-03 2011-06-03 곡면부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760A KR20120134760A (ko) 2012-12-12
KR101322857B1 true KR101322857B1 (ko) 2013-10-29

Family

ID=4790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901A KR101322857B1 (ko) 2011-06-03 2011-06-03 곡면부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8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5042A (zh) * 2018-05-22 2018-10-30 东南大学 基于牵引速率差动的弯曲型材拉挤生产牵引设备及方法
CN108749042A (zh) * 2018-05-28 2018-11-06 东南大学 一种纤维增强复合材料弯曲型材的拉挤生产方法及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591B1 (ko) 2002-09-12 2005-09-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
KR20050102203A (ko) * 2004-04-21 2005-10-26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자동차 범퍼용 임팩트 빔 및 제조 방법
KR100791590B1 (ko) * 2007-02-28 2008-01-03 김승한 곡면패널 제조방법 및 곡면패널 제조장치
US20090206515A1 (en) * 2007-03-23 2009-08-20 Klaus Jans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a plastic prof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591B1 (ko) 2002-09-12 2005-09-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섬유 곡률 반경 조정을 통한 광섬유 단선 저감 장치를구비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
KR20050102203A (ko) * 2004-04-21 2005-10-26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자동차 범퍼용 임팩트 빔 및 제조 방법
KR100791590B1 (ko) * 2007-02-28 2008-01-03 김승한 곡면패널 제조방법 및 곡면패널 제조장치
US20090206515A1 (en) * 2007-03-23 2009-08-20 Klaus Jans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a plastic profi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5042A (zh) * 2018-05-22 2018-10-30 东南大学 基于牵引速率差动的弯曲型材拉挤生产牵引设备及方法
CN108749042A (zh) * 2018-05-28 2018-11-06 东南大学 一种纤维增强复合材料弯曲型材的拉挤生产方法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760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590B1 (ko) 곡면패널 제조방법 및 곡면패널 제조장치
US20210347086A1 (en) Print head for print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s made of concrete and a method therefor
US3608012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elongated objects of concrete
US4067676A (en) Apparatus for extruding reinforced concrete
KR101322857B1 (ko) 곡면부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2989934A (zh) 一种带锥度电杆钢筋笼自动焊接成型机
US3994639A (en) Apparatus for extruding concrete
CN103603321A (zh) 循环递进碾压式渠道衬砌机
KR101322860B1 (ko) 곡면부재 제조장치
CN105818251B (zh) 铸造混凝土制品的方法和设备
US3926541A (en) Extruder with interacting auger and care means
US2204021A (en) Concrete forming machine
US1353510A (en) Art of manufacturing slabs or the like of cement or like material
CN104988924B (zh) 混凝土嵌入式制缝机及其应用
CN104275736A (zh) 用滑模铸造铸造混凝土制品的方法、设备及空芯形成部件
KR101804541B1 (ko) 콘크리트파일 몰드용 지지플랜지 펀칭장치
US107590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sting prefabricated concrete products
DE581572C (de)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Betonplatten aller Art
CN102286960A (zh) 全断面多功能渠道混凝土衬砌机同步分缝装置
CN104088283A (zh) 一种用曲轴驱动的混凝土震动棒升降装置
EP33029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ultilayer, profiled noise barrier panels
CN206706768U (zh) 城市综合管廊3d打印机
US2672076A (en) Apparatus for feeding reinforcing elements for incorporation in cementitious sheets
CN206123896U (zh) 自定位便拆模工字桩模具
CN103921337B (zh) 一种建筑用泡沫混凝土保温板连续制造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