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315B1 -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315B1
KR100511315B1 KR10-2003-0061157A KR20030061157A KR100511315B1 KR 100511315 B1 KR100511315 B1 KR 100511315B1 KR 20030061157 A KR20030061157 A KR 20030061157A KR 100511315 B1 KR100511315 B1 KR 100511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late
connection
power
portable terminal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3760A (ko
Inventor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1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3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23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3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 등을 제어하는 회로부와 상기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고 전도체(傳導體)로 형성된 제1접속판과; 상기 회로부로까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고 전도체로 형성된 제2접속판과;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접속판으로부터 상기 제2접속판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과 접속하고, 외부로부터 일정량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으로부터의 접속이 이탈되도록 일정량의 관성(Inertia)을 가지며,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선로를 구비한 질량추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회로 부품의 변형에 따른 각 전선로의 단락에도 불구하고 그 이전에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회로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POWER ISOLATION SWITCH DEVICE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외부 충격에 의하여 유발되는 회로 부품간의 전기적 쇼크(shock)를 방지하도록 전원을 차단하여 회로 부품을 보호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다양한 데이터를 화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폴더부(2)와, 송수신, 연산 및 데이터 입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힌지 결합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폴더부(2)와 결합된 본체부(1)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는 다수개의 버튼 노출공(11a)이 형성된 상부커버(11)와, 그 상부커버(11)의 하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하부커버(12)와, 여러 가지 부품들이 장착되어 송수신 제어 등을 위하여 상기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의 사이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CB)(13)과, 인쇄회로기판(13)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부 커버(12)의 후면에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된 배터리(4)와,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상기 본체부(1)의 상부커버(11) 하단에 결합된 키패드(15)로 구성된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13)은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제어하고 음악이나 영화와 같은 저장된 파일을 실행하며, 액정 화면(3)에 다양한 데이타를 화상으로 표시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회로부가 장착된다. 이 때, 크기가 작은 휴대용 단말기 내에 상기와 같은 멀티미디어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자 회로 부품 및 각각의 전선로(電線路)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게 되고, 회로 부품의 강성이 취약해지게 된다.
상기 폴더부(2)는 다양한 데이터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액정 화면(Liquid Crystal Display : LCD)(103)과, 액정 화면(103)을 보호하고 본체부(1)와 접고 펼 수 있도록 형성된 폴더부 케이싱(4)을 구비한다.
여기서, 한편, 액정 화면(3)과 인쇄회로기판(13)을 연결하는 신호선(미도시)은 일반적으로 에프피시비로 형성되며, 인쇄회로기판(13)상의 커넥터와 연결되거나 기판과 직접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점차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인터넷, 멀티미디어 등의 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원하는 피사체를 영상 파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촬영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를 장착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멀티미디어화 및 그에 따른 고가(高價)화 추세에 비추어, 낙하와 같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휴대용 단말기에 가해지는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하고자 하는 필요성은 더욱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를 기계적 파손 측면에서만 보호하려고 하였을 뿐, 전자 회로 부품사이가 매우 좁아지고 회로 부품 강성의 취약화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하여 기계적 파손에 이르지 않더라도 인쇄회로기판(13) 등이 변형됨으로서 각각의 전선로들이 서로 단락(short)되어 유발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구성 측면에 대한 대책이 미약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고장 및 수명 저하 등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외부 충격에 의하여 유발되는 회로 부품간의 전기적 쇼크를 방지하도록 회로 부품의 변형에 따른 각 전선로의 단락에도 불구하고 그 이전에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회로 부품을 보호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를 휴대용 단말기의 3축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서 어떤 방향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회로 부품을 보호하는 상기 전원 차단 스위치가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신 등을 제어하는 회로부와 상기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고 전도체(傳導體)로 형성된 제1접속판과; 상기 회로부로까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고 전도체로 형성된 제2접속판과;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접속판으로부터 상기 제2접속판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과 접속하고, 외부로부터 일정량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으로부터의 접속이 이탈되도록 일정량의 관성(Inertia)을 가지며,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선로를 구비한 질량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질량추를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과의 접속을 유지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상기 질량추의 상기 제1접속판 및 상기 제2접속판과의 접속이 이탈될 수 있도록 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제거된 경우에는 다시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과 접속하도록 상기 질량추의 상하면에 힘을 지속적으로 가하는 질량추 위치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제1,2접속판과 상기 질량추 사이의 접속이 일정한 힘을 갖고 접촉되도록 상기 제1,2접속판과 상기 질량추 사이에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된 접속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질량추에 형성된 상기 전원 공급 선로는 상기 질량추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전도체로 돌출 형성된 접속띠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띠가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회로부의 전자 부품들을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 차단 스위치를 상기 전원 공급 장치와 상기 회로부 사이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전원 차단 스위치를 각축의 방향에 따라 3개를 장착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회로부로의 전원 공급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전원 차단 스위치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서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설치된 축 방향 중 어느 한 축 방향의 전원 차단 스위치가 OFF 상태로 된 경우에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회로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도면에 따라 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도2의 제1접속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3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도2의 조립된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장치(100)는 배터리(4)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회로부(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181,182) 사이에 전도체(傳導體)로 설치되는 제1접속판(131) 및 제2접속판(132)과, 외부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제1접속판(131)과 제2접속판(132) 사이에 끼여 접촉하고 일정한 질량을 갖는 질량추(120)와, 질량추(120)를 감싸도록 형성된 스위치 하우징(110)과, 스위치 하우징의 내벽과 질량추(120) 사이에 일정량 만큼 압축되어 설치된 스프링(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질량추(120)는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제1접속판(131)과 제2접속판(132) 사이에 끼어 접촉하고 외부로부터 일정량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제1접속판(131)과 제2접속판(132)사이의 접촉이 이탈되도록 높은 밀도를 갖는 물질로 형성되어 일정 크기의 관성(Inertia)을 갖는 코어 질량(125)과, 코어 질량(125)이 꽉차게 삽입되도록 부도체로 형성된 질량추 하우징(122)과, 질량추 하우징(122)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122a)과 맞물려 조립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121a)을 갖는 질량추 커버(121)와, 질량추 커버(121)의 상면과 질량추 하우징(122)의 배면에는 설치되는 스프링(140)을 안착시키기 위해 형성된 스프링 안착홈(121b,122b)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질량추 하우징(122)은 그 외주면을 감싸도록 일정한 두께를 갖고 돌출된 선단면이 굴곡면(123a)을 갖도록 형성된 전도체 재질의 접속띠(12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접속띠(123)의 선단면이 굴곡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은 후술하는 제1,2접속돔(133,134)과 원활한 접속을 도모하기 위함이고, 부도체로 형성된 질량추 하우징(122)의 외주면에 전도체 재질의 접속띠(123)를 형성하는 것은 전원 공급의 전류 흐름 경로(190)에 가능한 전기적 저항 요소를 감소시켜 불필요한 전원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작의 편의상 질량추 하우징(122)과 접속띠 모두 전도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접속판(131)은 배터리(4)로 형성된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 차단 스위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181)과 연결되고, 상기 제2접속판(132)은 전원 차단 스위치(100)으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 등을 제어하는 회로부(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182)과 연결되어 전원 공급을 원활히 하여야 하므로 제1,2접속판(131,132)은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접속판(131,132)과 질량추(120)의 접속띠(123)와 접속하는 부위에는 제1,2접속판(131,132)과 질량추(120)간의 접속이 일정한 힘을 갖고 접촉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갖는 판스프링과 같은 판형상으로 형성된 제1,2접속돔(133,13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2접속돔(133,134)과 접속띠(123)간의 접촉면의 형상은,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제1,2접속판(131,132)과 안정된 접촉면을 갖고, 외부로부터 일정량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제1,2접속판(131)으로부터 접속이 이탈되도록,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띠(123) 선단면의 굴곡면(123a)에 맞물리도록 상기 제1,2접속돔(133,134)의 접촉면은 그 주위에 약간 곡률을 갖고 돌출된 볼록부(133b,134b) 사이에 오목하게 요입 형성된 오목부(133a,134a)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도면의 전원 공급선(181,182)은 유선으로 표현되었으나, 회로부가 안착되는 인쇄회로기판(13)상의 단자와 접속되는 접점으로 형성되어, 스위치를 납땜등으로 기판에 고정함으로서 전원 차단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 하우징(11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 몸체(112)와, 제1,2접속판(131,132)을 하우징 몸체에 부착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설치홈(113)과, 하우징 몸체(112)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112a)과 맞물려 조립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111a)을 갖는 하우징 커버(111)와, 하우징 커버(111)의 하면과 스위치 하우징(112)의 저면에는 설치되는 스프링(140)을 안착시키기 위해 형성된 스프링 안착홈(111b,112b)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1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4)로부터 회로부에 연결되는 전원 공급선(181,182)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제1,2접속판(131,132)의 제1,2접속돔(133,134)의 볼록부(133b,134b) 사이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33a,134a)로 질량추(120)의 접속띠(123)의 곡률 돌출부(123a)가 판스프링으로 작용하는 제1,2접속돔(133,13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힘을 받으며 끼게 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일정량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제1,2접속돔(133,134)의 오목부(133a,134a)로부터 코어 질량(125)의 관성에 의하여 질량추(120)는 제1,2접속돔(133,134)으로부터 이탈되게 되어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제거된 경우에는 질량추 위치 고정 수단으로서 일정량만큼 압축되어 설치된 스프링(140)에 의한 스프링력으로 인하여 질량추(120)는 스프링력의 평형 위치로 회귀하려는 힘을 받게 되므로 질량추(120)는 다시 제1,2접속판(131,132)사이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100)는 질량추(120)의 무게, 제1,2접속돔(133,134)의 판스프링 강성 및 질량추(120)의 상하에 설치되는 스프링(140) 강성을 설계 단계에서 설정함에 의하여, 전원이 차단되는 외부 충격량의 크기 및 복귀에 대한 민감도(sensitivity)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스위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6은 도2의 전원 차단 스위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7은 도6의 상태의 회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100,200,300)를 x축, y축, z축의 3축 방향에 맞도록 각각 인쇄회로기판(13)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때, 각각의 전원 차단 스위치(100,200,300)의 회로 구성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렬로 구성함으로서 3축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충격이 휴대용 단말기에 가해진 경우에도 회로 부품 변형 이전에 전원을 차단하여 전기적 쇼크로부터 회로 부품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회로부로까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 사이에 전도체(傳導體)로 형성된 제1접속판 및 제2접속판과;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접속판으로부터 상기 제2접속판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과 접촉하고, 외부로부터 일정량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으로부터의 접촉이 이탈되도록 일정량의 관성(Inertia)을 가지며,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선로를 구비한 질량추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회로 부품의 변형에 따른 각 전선로의 단락에도 불구하고 그 이전에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회로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질량추와 상기 제1,2 접속판 사이에 접촉 형상에 맞고 탄성 복원력을 갖는 판형상의 접속돔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어느정도 이하의 충격에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질량추의 상하면에 스프링 등의 질량추 위치 고정 수단을 구비함으로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제거된 후에는 다시 상기 제1,2 접속판 사이에 삽입되어 접촉하도록 하여 충격이 가해진 후 사용자의 별도의 조치 없이도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이용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 차단 스위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3축 방향으로 설치함으로서 3축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충격이 휴대용 단말기에 가해진 경우에도 회로 부품 변형 이전에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전기적 쇼크로부터 회로 부품을 보호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사시도
도2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도2의 제1접속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3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도2의 조립된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스위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6은 도2의 전원 차단 스위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7은 도6의 상태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배터리 전원 100,200,300: 전원 차단 스위치
110: 스위치 하우징 120: 질량추
121: 질량추 하우징 123: 접속띠
125: 코어 질량 131: 제1접속판
132: 제2접속판 133: 제1접속돔
134: 제2접속돔 140: 스프링
190: 전류 흐름 경로

Claims (12)

  1. 통신 등을 제어하는 회로부와 상기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고 전도체(傳導體)로 형성된 제1접속판과;
    상기 회로부로까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선과 연결되고 전도체로 형성된 제2접속판과;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접속판으로부터 상기 제2접속판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과 접속하고, 외부로부터 일정량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으로부터의 접속이 이탈되도록 일정량의 관성(Inertia)을 가지며,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 공급 선로를 구비한 질량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질량추를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과의 접속을 유지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상기 질량추의 상기 제1접속판 및 상기 제2접속판과의 접속이 이탈될 수 있도록 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제거된 경우에는 다시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과 접속하도록 상기 질량추의 상하면에 힘을 지속적으로 가하는 질량추 위치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추 위치 고정 수단은 상기 질량추의 상하면에 일정량만큼 압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질량추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도록 형성된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이 상기 질량추에 안정적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하도록 상기 질량추에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될 수 있도록 스프링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접속판과 상기 질량추 사이의 접속이 일정한 힘을 갖고 접촉되도록 상기 제1,2접속판과 상기 질량추 사이에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된 접속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돔은 상기 접속돔과 접속되는 상기 질량추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그 접촉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추에 형성된 상기 전원 공급 선로는 상기 질량추가 전도체로 형성됨으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추에 형성된 상기 전원 공급 선로는 상기 질량추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전도체로 돌출 형성된 접속띠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띠가 상기 제1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접속판과 상기 접속띠 사이의 접속이 일정한 힘을 갖고 접촉되도록 상기 제1,2접속판과 상기 접속띠 사이에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된 접속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돔은 상기 접속돔과 접속되는 상기 접속띠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그 접촉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11.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회로부의 전자 부품들을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제 1항의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를 상기 전원 공급 장치와 상기 회로부 사이에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전원 차단 스위치를 각축의 방향에 따라 3개를 장착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회로부로의 전원 공급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전원 차단 스위치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서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설치된 축 방향 중 어느 한 축 방향의 전원 차단 스위치가 OFF 상태로 된 경우에 상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회로부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3-0061157A 2003-09-02 2003-09-02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KR100511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157A KR100511315B1 (ko) 2003-09-02 2003-09-02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157A KR100511315B1 (ko) 2003-09-02 2003-09-02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760A KR20050023760A (ko) 2005-03-10
KR100511315B1 true KR100511315B1 (ko) 2005-08-31

Family

ID=3723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157A KR100511315B1 (ko) 2003-09-02 2003-09-02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3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216B1 (ko) * 2005-10-17 2007-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자동차단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760A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520B1 (ko) 고밀도 가요성 회로 요소 및 이를 사용한 통신 장치
US6869299B2 (en) Power supply unit for electronic devices
JP5193496B2 (ja) 移動通信端末機
EP1626450B1 (en) Battery coupling device of mobile terminal
AU724934B2 (en) Auxiliary component connector including microphone channel
US7396238B2 (en) Battery contact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00349875A (ja) 無線通信機および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US7534120B2 (en) Fold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protected crank-type structure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6529714B1 (en)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RU2163047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я, относящиеся к электрическим соединениям между устройствами, содержащими электрические схемы
JP2005019305A (ja) コネクタ
KR20020033410A (ko) 전기적인 접속 장치, 전기적인 접속 장치를 갖는 전지, 및전지를 갖는 전자 기기
KR20050088549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KR1005113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차단 스위치
JP2002287116A (ja) Lcdの保持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5246735B2 (ja) 防水端子構造
JP3122429B2 (ja) 無線通信機と電池パックとコネクタ
US8602830B2 (en) Terminal componen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0409640B1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JP2001250520A (ja) 電池パックおよび電子機器
RU2406223C2 (ru) Мобильный телефон
JP2001111664A (ja) 電子機器におけるicカードの装着構造およびバッテリーパック
JP2003323931A (ja) バッテリー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ピンおよび前記コンタクトピンを備えたバッテリーコネクタ
KR1005866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영상표시부 연결구조
JP2010219433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