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549A -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549A
KR20050088549A KR1020040013918A KR20040013918A KR20050088549A KR 20050088549 A KR20050088549 A KR 20050088549A KR 1020040013918 A KR1020040013918 A KR 1020040013918A KR 20040013918 A KR20040013918 A KR 20040013918A KR 20050088549 A KR20050088549 A KR 20050088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ard
socket
portable terminal
interface connec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6008B1 (ko
Inventor
김홍규
박재선
김기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3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008B1/ko
Priority to US11/029,817 priority patent/US7320607B2/en
Priority to CN2005100531054A priority patent/CN1665248B/zh
Publication of KR20050088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0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01R33/7671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having multiple positions or sockets, e.g. stacked sockets while m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 등의 부가 장치가 삽입 장착되는 소켓, 인터페이스 커넥터 및 배터리 단자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메인 보드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 및 배터리 단자는 소정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소켓과 중첩되게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는 메모리 카드 등을 삽입 장착하기 위한 소켓, 인터페이스 커넥터, 배터리 단자 등을 메인 보드의 일면에 중첩된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해당 구성요소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다른 부품들을 실장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효율적인 부품 실장 공간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소켓과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서로 인접하게 위치시키고, 이들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를 일원화시켜 조립성을 개선하게 되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MAIN BOARD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배터리 단자, 메모리 카드 등의 소켓이 장착된 메인 보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기지국 등을 통해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또는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기기를 의미한다.
휴대용 단말기는 초기에 음성통화, 단문 메세지 전송 등의 서비스로 제한되었으나, 전자/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휴대용 단말기는 화상통화, VOD(video on demand)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음성 녹음, 디지털 카메라 등의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는 개인용 컴퓨터 등 다른 전자/정보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커넥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동영상 등 대용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등 저장 매체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보드(103)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메인 보드(103)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는 본체(101)와, 폴더(102)를 구비하는 폴더형 단말기이다.
상기 본체(101)는 전면 케이스(101a)와 후면 케이스(101b)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 케이스(101a)에는 키패드(111)와 송화부(113)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메인 보드(103)가 장착된다.
상기 폴더(102)는 상기 본체(101)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101)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개폐된다. 상기 본체(101)와 폴더(102) 사이, 즉 힌지부 상에는 카메라 렌즈(104)가 장착되어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한 화상통화, 피사체 촬영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보드(103)의 전면에는 다수의 돔 스위치(131)들이 설치되고, 일단에 인터페이스 커넥터(133)가 장착된다. 상기 돔 스위치(131)들은 상기 키패드(111)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버튼들과 대응하게 배열되어, 사용자가 각 키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돔 스위치들(131)이 각각 그에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메인 보드(103)의 후면에는 메모리 카드 등을 삽입 장착하기 위한 소켓(137), 심 카드(SIM-card) 소켓(139) 및 배터리 단자(135) 등이 설치된다.
상기 소켓(137)은 상기 단말기(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117)를 통해 노출되어, 메모리 카드 등이 삽입된다. 상기 심카드 소켓(139)은 상기 본체(101)의 후면 케이스(101a) 상에 형성된 장착홀(115)을 통해 노출되어 사용자 개인 정보 등이 수록된 심카드가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는 메모리 카드 등을 삽입 장착하기 위한 소켓이 추가되면서, 메인 보드 상에 다른 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공간을 잃게 되었다. 더욱이, 상기 소켓은 다른 부품에 비해 메인 보드 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커서 메인 보드의 공간 활용에 있어서 더욱 심각한 장애가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부품 실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 등의 부가 장치가 삽입 장착되는 소켓, 인터페이스 커넥터 및 배터리 단자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메인 보드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 및 배터리 단자는 소정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소켓과 중첩되게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인 보드(203)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2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200)의 메인 보드(203)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200)는 본체(201)와, 폴더(202)를 구비하는 폴더형 단말기이다.
상기 본체(201)는 전면 케이스(201a)와 후면 케이스(201b)로 구성되고, 상기 전면 케이스(201a)에는 키패드(211)와 송화부(213)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메인 보드(203)가 장착된다.
상기 폴더(202)는 상기 본체(201)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201)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개폐된다. 상기 본체(201)와 폴더(202) 사이, 즉 힌지부 상에는 카메라 렌즈(204)가 장착되어 상기 단말기(200)를 이용한 화상통화, 피사체 촬영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보드(203)의 전면에는 상기 키패드(211)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버튼들과 대응하게 배열된 다수의 돔 스위치들(231)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각 키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돔 스위치들(231)이 각각 그에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메인 보드(203)의 후면에는 메모리 카드 등을 삽입 장착하기 위한 소켓(237), 심 카드(SIM-card) 소켓(239), 인터페이스 커넥터(233) 및 배터리 단자(235) 등이 설치된다.
상기 소켓(237), 인터페이스 커넥터(233) 및 배터리 단자(235)는 상기 메인 보드(203)의 후면 상에 중첩된 구조로 설치된다. 우선, 상기 소켓(237)이 상기 메인 보드(203)의 후면 상에 부착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33)와 배터리 단자(235)는 상기 메인 보드(203)와는 별도로 제공되는 인쇄회로기판(234) 상에 장착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34)이 상기 소켓(237)의 상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소켓(237), 인터페이스 커넥터(233) 및 배터리 단자(235)가 적층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소켓(237) 및 인터페이스 단자(233)는 메모리 카드, 커넥터 케이블 등이 각각 접속되어야 하므로, 상기 메인 보드(203)의 가장자리에 설치됨은 자명하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34)은 가장자리의 소정 위치에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33)와 상응하는 형상의 결합홀(234a)을 구비하여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33)가 상기 결합홀(234a) 상에 장착되고, 상면에는 배터리 단자(235)가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 단자(235)는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33)의 일측에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33)와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메인 보드(203)는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33) 및 배터리 단자(235)와 메인 보드(203)를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 장치는 상기 메인 보드(203) 상에 설치되는 제1 커넥터(236)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34) 상에 설치되는 제2 커넥터(238)와, 상기 제1 커넥터(236)와 제2 커넥터(238)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20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인터페이스 커넥터(233)와 배터리 단자(235)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234)을 상기 소켓(237)의 상부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 보드(203)는 브라켓(232)을 구비한다.
상기 브라켓(232)은 상기 소켓(237)의 양측에서 각각 상기 메인 보드(203)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체결부(232a)와, 상기 소켓(237)의 상부를 가로질러 상기 체결부(232a)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지지부(232b)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232)의 체결부(232a)는 상기 소켓(237)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의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메인 보드(203) 상에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체결부(232a)는 각각 양단부에 체결홀이 형성되어, 일단부는 스크류 등에 의해 메인 보드(203)에 체결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34)이 스크류 등에 의해 상기 체결부(232a)의 타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232b)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34)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234)이 외력에 의해 휘거나 상기 소켓(237) 내부 공간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33) 및 배터리 단자(235)가 상기 소켓(237) 상에 적층된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메인 보드(203)의 상면에 비교적 높게 돌출된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후면 케이스(201b)의 하단에는 수용홈(219)이 형성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33) 및 배터리 단자(235)를 수용하고, 상기 소켓(237) 및 인터페이스 커넥터(233)를 노출키시는 개구(217)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219)은 배터리 장착 공간(미도시)을 일부 축소함으로써 상기 후면 케이스(201b)의 내측면 상에 확보된다.
한편, 상기 후면 케이스(201b)에는 상기 심카드 소켓(239)을 노출시키는 장착홀(215)이 형성되어, 이동전화 가입 정보 등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들이 수록된 심카드가 장착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는 메모리 카드 등을 삽입 장착하기 위한 소켓, 인터페이스 커넥터, 배터리 단자 등을 메인 보드의 일면에 중첩된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해당 구성요소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최소화 하고, 다른 부품들을 실장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부품 실장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메인 보드는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소켓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각각을 노출시키는 개구 또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야 하고, 각각의 커버를 설치해야만 했다. 이는 단말기의 조립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하였는데, 본 발명은 소켓과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서로 인접하게 위치시키고, 이들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를 일원화시킴으로써 조립성을 개선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보드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인 보드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3 : 메인 보드 232 : 브라켓
233 : 인터페이스 커넥터 234 : 인쇄회로기판
235 : 배터리 단자 237 : 소켓

Claims (5)

  1. 메모리 카드 등의 부가 장치가 삽입 장착되는 소켓, 인터페이스 커넥터 및 배터리 단자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메인 보드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 및 배터리 단자는 소정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부착된 상태로 상기 소켓과 중첩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단자는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의 일측에 나란하게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양측에서 각각 상기 메인 보드로부터 연장되는 체결부와, 상기 소켓의 상부를 지나 상기 체결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지지부로 구성된 브라켓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체결부 상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의 일면에 더 구비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접속시키는 가요성 인쇄회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와 상응하는 형상의 결합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는 상기 결합홀 상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KR1020040013918A 2004-03-02 2004-03-02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KR100576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918A KR100576008B1 (ko) 2004-03-02 2004-03-02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US11/029,817 US7320607B2 (en) 2004-03-02 2005-01-05 Main board for portable terminal
CN2005100531054A CN1665248B (zh) 2004-03-02 2005-03-02 用于便携式终端的主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918A KR100576008B1 (ko) 2004-03-02 2004-03-02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549A true KR20050088549A (ko) 2005-09-07
KR100576008B1 KR100576008B1 (ko) 2006-05-02

Family

ID=34909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918A KR100576008B1 (ko) 2004-03-02 2004-03-02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20607B2 (ko)
KR (1) KR100576008B1 (ko)
CN (1) CN166524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828B1 (ko) * 2005-08-30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피씨비형 휴대폰
KR101467886B1 (ko) * 2008-07-14 201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US9331324B2 (en) 2009-02-09 2016-05-03 Samsung Sdi Co., Ltd. Connector assembly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2595A1 (en) * 2004-06-21 2005-12-22 Spence Michael F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electrical control buttons in an upper housing part
KR101280377B1 (ko) * 2006-12-18 2013-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US7568962B2 (en) 2007-04-16 2009-08-04 Ridemakerz, Llc Modular toy vehicle
KR101452764B1 (ko) * 2008-03-25 2014-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030567B1 (ko) 2009-07-09 2011-04-21 주식회사 프랭클린테크놀로지 휴대용 외장형 기기의 커넥터 착탈장치
KR101770823B1 (ko) * 2010-03-18 2017-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대용량 메모리 모듈 실장 장치
CN101820727B (zh) * 2010-04-27 2012-05-09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设置有卡座的电路板以及移动终端
US9648744B2 (en) * 2012-07-24 2017-05-09 Apple Inc. Ejectable component assemblies in electronic devices
US8840430B2 (en) 2012-07-31 2014-09-23 Harri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CN111770631A (zh) * 2020-06-22 2020-10-13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存储模块、主板及智能终端
CN111712078A (zh) * 2020-06-28 2020-09-25 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壳体及终端设备
CN111682331A (zh) * 2020-08-17 2020-09-18 深圳微步信息股份有限公司 多功能扩展电路板模块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7683A (en) * 1995-01-18 1996-05-14 Cycomm Corporation Conformant compact portable cellular phone case system and connector
US5883787A (en) * 1997-04-10 1999-03-16 Ericsson, Inc. Floating guided connector and method
US6352434B1 (en) * 1997-10-15 2002-03-05 Motorola, Inc. High density flexible circuit ele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TW400986U (en) * 1998-12-28 2000-08-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ing device
US6307934B1 (en) * 1999-06-03 2001-10-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connector for mobile telephones
US6257902B1 (en) * 1999-10-29 2001-07-10 Ron-Yen Shieh Portable compact flash card connector with a parallel (printer) port control board and a U-shaped frame
US7318978B2 (en) * 2001-12-07 2008-01-15 Sony Corporation Battery pack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828B1 (ko) * 2005-08-30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피씨비형 휴대폰
KR101467886B1 (ko) * 2008-07-14 2014-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US9331324B2 (en) 2009-02-09 2016-05-03 Samsung Sdi Co., Ltd. Connector assembly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20607B2 (en) 2008-01-22
CN1665248B (zh) 2011-06-01
KR100576008B1 (ko) 2006-05-02
US20050197014A1 (en) 2005-09-08
CN1665248A (zh)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65248B (zh) 用于便携式终端的主板
US8046026B2 (en)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camera assembly with two cameras
KR100678082B1 (ko) 폴더 타입 휴대폰에서 메인 보드와 엘씨디 모듈간의연결장치
KR100604323B1 (ko) 내장형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EP1892930B1 (en) Slidable mobile terminal having a camera extending through an opening of a PCB within said terminal.
KR100313144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US7386330B2 (en) Bi-axial swivel mechanism in electronic apparatus
EP2066126A2 (en)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camera assembly with two cameras
KR20010068807A (ko)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JP2001503237A (ja) フリップ型携帯電話のマイクロフォン接続装置
CN113314864B (zh) 电子设备
KR200192881Y1 (ko) 플립형 휴대폰의 마이크로폰 연결 메카니즘
JP5031458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0092171A (ja) 携帯用無線通信装置
JPH10243442A (ja) 携帯型電話機
KR100430595B1 (ko) 영상 통신용 무선 단말기
KR100721146B1 (ko) 카메라 모듈 하우징
KR200327727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 단자 기구
KR100690828B1 (ko) 투피씨비형 휴대폰
KR200369496Y1 (ko) 휴대 단말기의 연성회로 고정 장치
KR20070104133A (ko) 휴대용 단말기
KR100238522B1 (ko)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KR200230329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KR20000014212U (ko) 플립과 힌지장치간의 결합장치
KR20050013444A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