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329Y1 -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329Y1
KR200230329Y1 KR2020010004132U KR20010004132U KR200230329Y1 KR 200230329 Y1 KR200230329 Y1 KR 200230329Y1 KR 2020010004132 U KR2020010004132 U KR 2020010004132U KR 20010004132 U KR20010004132 U KR 20010004132U KR 200230329 Y1 KR200230329 Y1 KR 200230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connector
cover
bent
terminal
predetermined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4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3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32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상, 하부 케이싱 프레임으로 구성된 본체내의 RF보드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다른 컨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소정의 컨넥터 안착홈을 갖는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케이싱 프레임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인터페이스 컨넥터 사이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서 일정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에서 일정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절곡부 및 상기 제1, 2절곡부가 겹쳐서 상기 컨넥터 안착홈에 삽입될때 그 상측에서 커버 역할을 하도록 상기 제2절곡부에서 일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덮개부로 구성되어, 개폐 동작시에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커버의 일측이 단말기상에 고정되기 때문에 분실의 위험성이 없으며, 착탈감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COVER FOR INTERFACE CONNECTOR IN PORTABLE RADIOTELEPHONE}
본 고안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완전 분리형 커버의 단점을 보완하고 손쉽게 커버를 개폐시켜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그 사용의 편의성때문에 점차 널리 보급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가입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점차 소형화 경박화되어가고 있는 반면에, 그 기능성은 더욱 향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상대방과 통화하는 기능 이외에도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구비하여 출시되는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원하는 화상을 디지탈 영상으로 재생시킬 수 있는 카메라폰이나, 원하는 음악을 저장하였다가 들을 수 있는 MP-3 폰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단말기와 단말기간, 단말기와 터미널간의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단말기를 업그레이드하고, 충전기능까지 겸비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평상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소정의 커버(일반적으로 러버재질의 커버를 사용)를 사용하여 외부의 이물질이나 먼지등이 단말기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1은 일반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로써, 폴더 타입 단말기를 도시하였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부 케이싱 프레임(111)과 하부케이싱 프레임(112)으로 구성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상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폴더(1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상부 케이싱 프레임(111)과 하부 케이싱 프레임(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최상단 일측에는 안테나 장치(13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폴더(120)상의 상기 본체(110)와 접하는 면상에는 이어피스부(140)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이어피스부(140)의 하측으로 디스플레이장치인 엘씨디 모듈(LCD Module)(150)이 설치된다. 상기 본체(110)상에는 키패드부(160)와 마이크장치(170)가 차례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본체의 하측면상에는 인터페이스 컨넥터(미도시 됨)가 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먼지나 이물질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115)가 설치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가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로써, 상부 케이싱 프레임(111)과 하부 케이싱 프레임(112)으로 구성된 본체의 RF보드(113)상에는 인터페이스 컨넥터(interface connector)(11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컨넥터(114)는 외부에서 소정의 다른 컨넥터에 의해 접속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등이 단말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러버재질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115)가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는 본체에서 착탈이 가능하도록 분리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사용할때마다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를 분리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분리형이기 때문에분실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하여 이물질등이 단말기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가 많아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오동작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사용시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고도 원활히 컨넥팅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등이 단말기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분실 가능성이 배제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 하부 케이싱 프레임으로 구성된 본체내의 RF보드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다른 컨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소정의 컨넥터 안착홈을 갖는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케이싱 프레임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인터페이스 컨넥터 사이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서 일정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에서 일정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절곡부 및 상기 제1, 2절곡부가 겹쳐서 상기 컨넥터 안착홈에 삽입될때 그 상측에서 커버 역할을 하도록 상기 제2절곡부에서 일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덮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가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가 단말기상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가 단말기상에서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11: 걸림부
12: 제1절곡부 13: 제2절곡부
14: 덮개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는 상, 하부 케이싱 프레임상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일측만 개방되도록 설치되며, 유연성 러버로 컨넥터 안착홈상에 접이식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의 개폐시 착탈감이 우수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가 단말기상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가 단말기상에서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인터페이스 컨넥터(113)는 상, 하부 케이싱 프레임(111, 112)으로 구성된 본체내의 RF보드(113)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다른 컨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소정의 컨넥터 안착홈(20)을 갖는다.
그후, 상기 컨넥터 안착홈(20)에 안착됨과 동시에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등이 단말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10)가 설치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10)는 상기 상, 하부 케이싱 프레임(111, 112)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인터페이스 컨넥터(114) 사이에 걸리도록 설치되는걸림부(111)와, 상기 걸림부(111)에서 일정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절곡부(12)와, 상기 제1절곡부(12)에서 일정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절곡부(13) 및 상기 제1, 2절곡부(12, 13)가 겹쳐서 상기 컨넥터 안착홈(20)에 삽입될때, 그 상측에서 커버 역할을 하도록 상기 제2절곡부(13)에서 일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덮개부(14)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절곡부(12)와 제2절곡부(13)는 인터페이스 컨넥터(114)의 컨넥터 안착홈(20)에 삽입시 상호 겹치면서 함께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1), 제1절곡부(12), 제2절곡부(13) 및 덮개부(14)는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10)는 기존의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이 아니라 유연성 러버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11)를 기준으로 해서 제1절곡부(12) 및 제2절곡부(13)는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10)의 개폐에 따라 겹쳐서 상기 컨넥터 안착홈(20)에 삽입되거나 이탈할 수 있는 구성을 갖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는 유연성 러버 재질로 형성되고, 개폐 동작시에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커버의 일측이 단말기상에 고정되기 때문에 분실의 위험성이 없으며, 착탈감이 우수한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2)

  1. 상, 하부 케이싱 프레임으로 구성된 본체내의 RF보드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다른 컨넥터와 접속하기 위한 소정의 컨넥터 안착홈을 갖는 인터페이스 컨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케이싱 프레임중 어느 하나와 상기 인터페이스 컨넥터 사이에 걸리도록 설치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서 일정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에서 일정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2절곡부; 및
    상기 제1, 2절곡부가 겹쳐서 상기 컨넥터 안착홈에 삽입될때, 그 상측에서 커버 역할을 하도록 상기 제2절곡부에서 일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덮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는 유연성 러버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KR2020010004132U 2001-02-19 2001-02-19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KR200230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132U KR200230329Y1 (ko) 2001-02-19 2001-02-19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132U KR200230329Y1 (ko) 2001-02-19 2001-02-19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329Y1 true KR200230329Y1 (ko) 2001-07-19

Family

ID=7309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132U KR200230329Y1 (ko) 2001-02-19 2001-02-19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3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6481B1 (en)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KR100678082B1 (ko) 폴더 타입 휴대폰에서 메인 보드와 엘씨디 모듈간의연결장치
RU2162276C2 (ru) Механизм петли
KR100313144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EP1610420A2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JP3764922B2 (ja) フリップ型携帯電話のマイクロフォン接続装置
KR19990000037A (ko) 양방향으로 플립커버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KR20050088549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KR100528237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폰
KR100229870B1 (ko)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장치
KR200230329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KR200384472Y1 (ko) 곡선 슬라이드형 휴대전화 단말기
KR20020065718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KR200402969Y1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개폐장치
JP4429147B2 (ja) 携帯情報端末用の蓋および携帯情報端末
KR100338671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메모리카드 고정장치
KR100247023B1 (ko) 플립형휴대용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174762Y1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100613060B1 (ko) 회동 입출식 이어폰 연결구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21495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분리형 힌지암
KR100325246B1 (ko) 플립형 휴대폰에서 힌지 장치에 구비된 자동절환 스위칭 장치
JPH10155014A (ja) 携帯電話機
KR100659051B1 (ko) 배터리플립 휴대폰
KR100313146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200347716Y1 (ko) 돌출형 리시버 모듈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