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0369B1 - 쉬트체를처리하는장치 - Google Patents

쉬트체를처리하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0369B1
KR100510369B1 KR1019980016898A KR19980016898A KR100510369B1 KR 100510369 B1 KR100510369 B1 KR 100510369B1 KR 1019980016898 A KR1019980016898 A KR 1019980016898A KR 19980016898 A KR19980016898 A KR 19980016898A KR 100510369 B1 KR100510369 B1 KR 100510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heet body
sheet
hole
cl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965A (ko
Inventor
다카시 에하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159101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310308A/ja
Priority claimed from JP916177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3162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9164849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316293A/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86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3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3/00Forming counted batches in delivery pile or stream of articles

Landscapes

  • Pile Receive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그 둘레 길이가 쉬트체의 길이보다 큰 드럼수단, 드럼수단의 내측에 형성되고 쉬트체캠이 삽입되는 구멍수단, 그리고 이 드럼수단에 배열되고 이 드럼수단의 우회전시에 당겨지고 이 드럼수단의 역회전시에 둘레로부터 돌출하는 돌출수단으로 구성된 계수 및 배출 장치이다.

Description

쉬트체를 처리하는 장치{APPARATUS FOR HANDLING SHEET-LIKE OBJECTS}
본 발명은 쉬트체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의 쉬트체 또는 종이를 계수하여 배출하는 계수 및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특히 본 발명은 통화와 같은 쉬트체의 은행권을 올바르게 계수하여 배출하는 쉬트체의 계수 및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분야는 소매거래를 위해 현재 사용되는 현금교환기, 티켓 판매기와 같은 자동 판매기인, 은행권에 사용될 수 있는 쉬트체의 계수 및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쉬트체가 구부릴 수 있는 통상적인 은행권을 지칭하지만, 이 쉬트체는 구부릴 수 있는 기명주권, 유가증권 또는 계절 탑승권, 할인 왕복 여행권, 전화카드 등을 포함한다.
이 쉬트체의 종래의 배출장치인 은행권의 배출장치는 예를 들면 심사되지 않은 일본 특허 제 6-32514호의 상세한 설명에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은행권의 순간 저장 장치이다. 이 장치는 은행권의 이송장치, 은행권의 일시 저장 장치, 그리고 제어 장치를 가진다.
그리고 일시 저장 장치는 무한벨트를 가진 드럼, 은행권을 안내하는 개폐디바이스, 전체 장치의 구동유니트, 전체장치의 제어장치,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무한벨트는 한 장의 은행권을 드럼쪽으로 밀고, 그리고 은행권은 묶음의 형태로 저장된다. 구동용 유니트는 드럼을 양방향으로, 즉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드럼이 한번에 360도 회전하면, 이송장치로부터 공급된 은행권은 일시 저장장치의 원통형 표면상에 쌓여져 묶음으로 저장된다. 드럼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쌓여진 묶음은 일시 저장 장치의 연결부를 통하여 이송장치로 되돌려 놓여진다. 여기에 이 장치의 개요가 설명되어 있다. 이 복잡한 기구가 상기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은 단순구조의 쉬트체의 계수 및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체적으로 구조의 단순화를 달성하고, 쉬트체를 신뢰성 있게 계수하고, 그리고 신속하게 배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구조의 단순화와 쉬트체의 큰 저장량의 저장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장치의 유지보수를 단순하게 하고, 쉬트체의 계수 및 배출을 신뢰성 있게 하며, 그리고 쉬트체의 배출속도를 신속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쉬트체의 계수 및 배출 장치는 주로 원통형이고 둘레 길이가 쉬트체의 길이 보다 큰 드럼수단, 이 드럼수단의 내측에 형성되고 쉬트체 캠이 안에 삽입되는 구멍수단, 드럼수단에 맞추어져 있고 드럼수단의 우회전시에 당겨지며 그리고 드럼수단의 역회전시에 둘레부로부터 돌출하는 돌출수단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계수 및 배출 장치의 돌출수단은 드럼수단의 둘레부에 있는 쉬트체를 가압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계수 및 배출의 드럼수단은 복수의 디스크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작동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개략적인 방식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일 전체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해서 일부분을 절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를 우측에서 관찰한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1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확대 정면도이다. 더욱이 도 18 내지 도 21은 도 3의 작동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의 하부에 대해서 언급하면, 부재번호 99는 장방형의 큰 기판을 표시한다. R 형태의 한쌍의 측판(10, 11)은 기판(99)로부터 상향으로 뻗어 있다.
이 실시예에 관한 쉬트체(도시 생략)의 계수 및 배출 장치는 측판(10, 1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첫째로 도 1 및 도 2의 개요가 설명된다. 다음으로 쉬트체의 계수 및 배출 장치가 설명된다. 먼저, 다수의 쉬트체(도시 생략)가 도면 아래에 도시된 상당히 큰 승강 장치(12)상에 축적된다. 그리고 적층된 쉬트체(도시 생략)가 승강 장치(12)의 기어 기구와 스텝핑 모터(13)에 의해 상향으로 점차적으로 리프트 된다.
또한, 스텝핑 모터(13)의 구동은 CPU와 같은 신호처리유니트(도시 생략)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사다리꼴형의 중공 이송장치(14)(도 2 및 도 4 참조)가 승강 장치(12)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송장치(14)는 승강장치(12)상에 흡입된 최상부 쉬트체의 일 쉬트를 흡입한다. 이 흡입된 일 쉬트는 도 4에서 좌로 송출된다. 또한 이송장치(14)는 쉬트체를 송출하기 위해 상부에 흡입팬(15)과 작은 타이어형태의 이송롤러(16)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이송롤러(16)의 구동은 스텝핑 모터(9)(도 5 및 도 6 참조)와 기어열을 통하여 신호처리유니트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쉬트체는 하나의 샤프트(7)에 의해 부착된 4개의 소형 타이어(8)(도 4 참조)에 의해 이송장치(14)로부터 드럼(17) 내로 이동된다. 장방형 가이드판(32)이 작은 타이어(8)의 각각의 측면에 각각 배열되고 그리고 총 6개의 가이드판(32)이 로드와 스페이서에 의해 계수 및 배출 장치의 양측면판(10, 11)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7)는 스텝핑 모터(6)와 기어열에 의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샤프트(7)의 구동은 신호처리유니트에 의해 제어된다.
더욱이 쉬트체를 가압하는 롤러는 작은 타이어(8) 부근에 배열된다. 그리고 무겁고 두꺼운 아암(4)이 롤러(5)(도 2 참조)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 작은 타이어(8)는 계수 및 배출 장치의 양쪽에 제공된다.
더욱이 드럼(17)내로 송입된 쉬트체의 각각의 쉬트는 광학센서(3 및 2)에 의해 확인된다. 또한 각각의 쉬트체가 아래에서 설명할 드럼(17)의 커버체(18)내에 모여진다.
또한, 센서(3)는 쉬트체가 드럼(17)에 완벽하게 송입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더욱이, 센서(2)는 완벽하게 송입된 쉬트체의 수가 하나인지를 확인한다.
또한, 드럼은 스텝핑 모터(19)와 기어 기구에 의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드럼의 구동은 신호처리유니트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굴곡 형태의 커버체(18)가 계수 및 배출 장치의 측면판(10, 11) 사이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커버체는 드럼(17)을 개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요부인 스택용 드럼(17)이 도 3을 참조하여 개략적인 방식으로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앙 긴 로드는 회전 샤프트(71)이고 기어(72)는 회전 샤프트(71)의 좌측에 고정된다.
드럼(17)은 기어(72) 등을 통하여 스텝핑 모터(19)에 의해 작동된다. 그리고 드럼(17)의 회전 각도는 엔코더(20)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회전 샤프트(71)는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그리고 회전 샤프트(71)의 구동이 신호처리유니트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회전 샤프트(71)는 소정의 각도에서 정지할 수 있다.
더욱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두꺼운 디스크(73)는 동등 간격으로 회전 샤프트(71)에 의해 부착되고, 그리고 회전 샤프트(71)는 디스크(73)에 고정된다.
디스크(73)는 디스크의 3쉬트를 쌓음에 의해 구성된다. C자형으로 된 길고 가느다란 둘레방향의 구멍(74)은 디스크(73)의 원주부의 전체에 걸쳐 개방되어 있다. 돌출부(75)가 디스크(73)의 원주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길고 가느다란 둘레방향의 구멍(74)을 형성하는 디스크(73)의 중앙부는 상당히 큰 부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쉬트체와의 접촉저항은 작게 된다.
도 3의 상부를 참조하면, 부재번호 76은 돌출 클로를 나타내고 이 클로(76)의 포인트가 L자형상이다. 그리고 클로는 디스크(73)로 구성된 양측의 디스크들 사이에서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도 18 내지 도 21 참조).
부재번호 77은 길이방향 로드를 나타내고 그리고 이 로드(77)는 3개의 디스크(73)와 각각의 클로(76)상에 형성된 구멍내로 관통한다. 이에 의해 로드(77)는 구멍내에서 이동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작은 롤러(78)가 이 로드(77)의 단부에 의해 고정된다(도 6 참조).
그리고, 79는 길이방향 스프링이고, 그리고 스프링(79)의 한 단부는 디스크(73)에 의해 고정되며, 스프링(79)의 다른 한 단부는 3개의 클로(76)를 커플링시키는 로드(70)에 의해 고정된다. 이 클로(76)는 스프링(79)에 의해 당겨진다.
또한, 로드(70)는 3개의 디스크(73) 각각에 형성된 구멍에 관통되어 로드(77)가 이 구멍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부재번호 81은 거의 X자형으로 된 조절체를 나타내다. 이 조절체(81)는 디스크(73)의 측면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 조절체(81)의 한 단부(80)는 로드(77)와 이음 및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부재번호 82는 길이방향 스프링을 나타낸다. 이 스프링(82)의 한 단부는 디스크(73)에 고정되고, 그리고 스프링(82)의 다른 한 단부는 조절체(81)에 고정된다. 이 조절체(81)는 스프링(82)에 의해 당겨진다.
또한 스프링(79, 82)의 인장방향은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설정된다.
아래에서 계수 및 배출 장치의 상부 부분의 구조를 설명한다.
매우 큰 장방형의 트레이(21)가 계수 및 배출 장치의 양 측판(10, 11)의 상부와 거의 일정 레벨에서 고정된다.
드럼(17)에 송입된 쉬트체가 2개의 쉬트 등의 더미일 때, 이 쉬트체는 트레이(21)에 모여진다.
쉬트체를 모으는 두 개의 타이어(22)가 트레이(21)의 내측 단부 쪽과 맞추어져 있다. 이 타이어는 측판(10, 11) 사이에서 피벗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피벗축(23)은 샤프트(7)에 의해 풀리와 벨트(24)를 통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F자형상인 가이드판(25)은 작은 타이어(22)의 양쪽 각각의 상부상에 배열되어 있다. 총 4개의 가이드판(25)은 장치의 판(10, 11)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다(도 5 참조).
롤러(26, 27)는 작은 타이어(22)에 대하여 가이드판(25)에 의해 진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도 5 참조).
더욱이, J자형상인 가이드 클로(28)는 작은 타이어(22)의 양쪽 각각의 아래에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클로(28)는 로드 및 스페이서를 통하여 계수 및 배출 장치의 양 측판(10, 11) 사이에 고정된다.
(실시예)
상기 구조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참조하면, 쉬트체는 드럼에 의해 이송장치(14)로부터 쌓여진다.
먼저, 쉬트체(S)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타이어(8)와 롤러(5) 사이의 경로내로 송입되고, 그 다음, 쉬트체(S)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작은 타이어(8)에 의해 쌓여져서 길고 가느다란 둘레방향의 구멍(74)에 완벽하게 송입된다.
길고 가느다란 둘레방향의 구멍(74)에 완벽하게 송입된 쉬트체(S)는 센서(3)에 의해 검출되고, 드럼(17)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드럼(17)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쉬트체(S)가 접촉저항에 의해 이동되어도, 쉬트체(S)의 운동은 가이드판(25)의 스톱퍼편(29)에 의해 정지된다.
드럼(17)이 이 상태로부터 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쉬트체(S)의 운동은 고정된 스톱퍼편(29)에 의해 방지된다. 이 때문에, 쉬트체(S)는 길고 가느다란 둘레방향의 구멍(74)으로부터 더 빼내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빼내어진 쉬트체가 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드럼(17)에 의해 스택 챔버(R)에 저장된다. 스택 챔버(R)는 커버체(18) 내측상에 위치된다.
또한, 굴곡된 쉬트체(S)가 찢어짐 등에 의해 작은 타이어(8) 부근에 위치될 때, 쉬트체(S)는 스택챔버(R)에서 회전되는 돌출부(75)의 계단부에 의해 밀어내어 진다.
더욱이, 드럼(17)이 도 9 에서 도 10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쉬트체는 돌출부(75)의 마찰저항으로 즉시 밀어내어 진다. 쉬트체(S)의 내부 단부는 스톱퍼편(29)에 의해 조절되어, 쉬트체(S)내의 내부 단부가 배열된다.
드럼(17)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도 7에서 도 10으로 360도 회전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 드럼은 다음의 쉬트체를 수납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상기한 경우에서, 한 쌍의 작은 롤러(78)는 긴 로드(77)의 단부에 의해 고정된다. 롤러(78)는 양 측판(10, 11) 각각에 의해 고정된 한 쌍의 셔틀-레이스-백 타입의 캠(30)의 안쪽을 지나간다(도 18 및 도 19 참조).
도 18은 작은 롤러(78)를 회전 샤프트(71)에 대해 변위시키는 캠(30)의 내부에 접촉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9는 캠(30)의 내부를 작은 롤러(78)가 지나가는 것을 끝내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로드(77)는 작은 롤러(78)를 통하여 스프링(82)과 조절체(81)의 한 단부(80)에 대하여 억압된다. 하지만, 클로가 긴 구멍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동되지 않는다(도 19 참조).
작은 롤러(78)가 고정된 캠(30)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면, 스프링(82)의 복원성이 작용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로드(77)와 작은 롤러(78)는 조절체(81)의 한 단부(80)를 통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도 18 참조).
또한, 스택챔버(R)의 하부를 참조하면, 부재번호 31은 경로의 개폐편을 나타낸다. 이 개폐편(31)은 경로를 개폐하도록 또는 하부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적절하게 배열되어 있다.
특히, 개폐편(31)은 스프링(예시 생략)을 가진다. 스프링에 의해 쉬트체(S)는 스택으로부터 외부로의 배출이 방지된다.
쉬트체(S)의 2개의 쉬트의 더미가 작은 타이어(8)에 의해 길고 가느다란 둘레방향의 구멍(74)내로 송입되고 롤러(5)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2)에 의해 검출되면, 작은 타이어(8)는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회전될 것이다. 동시에, 드럼(17)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소정의 각도의 위치에서 정지된다.(도 12 참조).
드럼(17)이 소정의 각도의 위치에서 정지하면, 작은 타이어(8)로의 경로가 돌출부(75)에 의해 차단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쉬트체(S)의 경로(P)가 폐쇄된다(도 12 참조).
이 경우에, 드럼(17)이 정지하여도, 쉬트체(ss)가 역회전을 하게 되는 롤러(5)와 작은 타이어(8) 사이에서 끼이게 될 것이다. 이 때문에, 쉬트체(ss)는 길고 가느다란 둘레방향의 구멍(74)으로부터 빼내져서 바깥방향으로 송출된다.
바깥방향으로 송출된 쉬트체(ss)는 긴 가이드 클로(28)와 짧은 가이드편(33)에 의해 안내되고, 그리고 상향으로 보내어진다(도 12 참조).
상향으로 보내어진 쉬트체(ss)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롤러(26, 27)와 작은 타이어(22)로 집어지고 그리고 트레이(21)에 모여진다(도 13 참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쉬트체(S)의 쉬트마다 하나씩 커버체(18)의 챔버에 쌓여지고 쉬트체(S)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수의 쉬트의 쉬트묶음으로 축적될 때, 커버체(18)가 축선(1) 주위를 회전하는 동안, 커버체는 승강된다. 쉬트묶음(B)이 스택챔버(R)로부터 빼어내질 수 있다.
따라서, 커버체(18)와 가이드판(25)의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 커버체(18)는 스프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쉬트묶음(B)은 두껍게 될 수 있고 쉬트체(S)의 더미화가 큰 양으로 행하여질 수 있다.
더욱이, 도 14를 참조하면, 전체 장치의 위치는 상, 하쪽이 역으로 만들어 질 수 있고, 그리고 쉬트체(S)의 더미가 아래에 설치된다. 이 경우에, 더미의 양은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더욱이, 이 장치는 우측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드럼(17)이 3개의 디스크(73)를 가압하고 있어도, 2개의 디스크(73)를 이용할 수 있다.
더욱이, 디스크(73)의 너비가 확대되면, 디스크는 원통형의 편에 의해 형성될 것이다.
더욱이, 장방형 쉬트체(S)의 크기를 고려하면, 쉬트체(S)의 너비는 드럼(17)의 너비보다 크게 될 수 있거나 작게 될 수 있다.
더욱이, 장방형 쉬트체(S)의 길이를 고려하면, 드럼(17)의 둘레의 길이가 쉬트체(S)를 쌓도록 쉬트체(S)보다 크게 된다.
또한, 드럼(17)의 길고 가느다란 둘레방향의 구멍(74)의 둘레 에지가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둘레 에지의 형상은 소용돌이 타입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쉬트체(S)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18)의 내측에서 소정의 쉬트묶음(B)으로 축적되면, 드럼(17)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3)로부터의 신호를 통하여 CPU와 같은 신호처리유니트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드럼(17)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작은 롤러(78)가 셔틀-레이스-백의 형태로 고정된 캠(30)의 외부상에 안내되고 그리고 3개의 클로(76)는 드럼(17)으로부터 돌출된다(도 3 및 도 21 참조).
더욱이, 드럼(17)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작은 롤러(78)는 고정된 캠(30)으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그리고 스톱퍼편(29)에 의해 배열된 쉬트묶음(B)의 내부 단부는 3개의 클로(75)에 의해 드럼(17)에 대하여 억압되어 유지된다(도 16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긴 로드(77)의 단부에 의해 고정된 한 쌍의 작은 롤러(78)는 양 측판(10, 11)에 의해 고정된 한 쌍의 셔틀-레이스-백의 형태로 한 쌍의 캠(30)의 외부를 관통한다(도 20 및 도 21 참조).
도 20은 작은 롤러(78)에 의해 회전 샤프트(71)를 변위시키도록 캠(30)의 둘레면의 절반과 접촉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21은 작은 롤러(78)가 캠(30)의 둘레면의 다른 절반을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로드(77)는 작은 롤러(78)를 통하여 스프링(79)에 대항하여 승강된다. 이에 의해 클로(76)는 외부방향으로 돌출된다(도 21 참조).
그리고 작은 롤러(78)가 고정된 캠(30)으로부터 자유롭게 될 때, 스프링(79)의 복원성이 작용하여 클로(76)가 내측방향으로 들어가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도 20 및 도 21 참조).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의 작동을 참조하면, 도 15에 도시된 길고 가느다란 돌출부(75)는 경로(P)의 측면에 대한 경로를 차단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쉬트묶음(B)의 경로(P)로의 복귀가 방지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3개의 클로(76)에 의해 드럼(17)에 유지된 쉬트묶음(B) 은 드럼(17)의 계속된 반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커버체(18)의 가이드판(32)과 내벽으로 안내된다. 커버체의 일부가 노출되고 그리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7)이 정지한다.
그리고, 커버체의 일부가 매달려 노출되어 아래로 당겨진다. 이에 의해 쉬트체(B)가 드럼(17)의 클로(76)로부터 제거될 것이다.
쉬트체(B)가 유지되어 있으면, 드럼(17)은 일정시간 이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그리고, 쉬트체(B)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챔버(R)에 담겨진다. 유지되어 있는 쉬트체(B)에 의한 트러블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클로(76)의 포인트가 비록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포인트는 핀 타입, 로드타입, 또는 판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쉬트묶음(B)이 끼이지 않고 돌출되기 때문에, 트레이(예시생략)는 아래에 위치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쉬트묶음(B)의 양쪽상에 끼어서 유지되기 때문에, 클로(76)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있지만, 클로(76)는 쉬트묶음(B)을 단지 돌출시키는 단순한 구조이다.
예를 들면, 도 18 내지 도 21 에서와 같이 핀의 형태로 형성된 클로(76)는 샤프트(77)에 고정되고, 그리고 스프링(79)의 한 단부는 샤프트(77)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프링(79)의 다른 한 단부는 디스크(73)에 고정된다. 조절체(81) 등이 생략가능하다.
이 경우에, 스프링(79)은 전체적으로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뻗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고정캠(30)과 작은 롤러(78)에 의해 클로(76)의 핀 타입의 포인트가 디스크(73)의 둘레벽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당겨넣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 효과를 가진다. 드럼은 한 방향으로 단지 회전된다. 그리고 쉬트체를 간단하게 쌓아올릴 수 있다. 쉬트체는 역방향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에 의해서만 돌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쉬트마다 하나씩 확실하게 쌓아 배열할 수 있다. 쉬트체는 역회전에 의해 간단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개략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일 전체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해서 일부분을 절결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를 우측에서 관찰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1의 확대 정면도,
도 7은 상기된 예의 실제 작동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상기된 예의 실제 작동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상기된 예의 실제 작동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상기된 예의 실제 작동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상기된 예의 작동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상기된 예의 작동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상기된 예의 작동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상기된 예의 실제 작동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상기된 예의 실제 작동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상기된 예의 실제 작동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17은 상기된 예의 실제 작동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18은 도 3의 작동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19는 도 3의 작동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 20은 도 3의 작동을 예시하는 단면도, 그리고
도 21은 도 3의 작동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쉬트체 SS : 쉬트체 B : 쉬트 묶음
드럼수단... 17 : 드럼 71 : 회전 샤프트 72 : 기어
73 : 디스크
구멍수단... 74 : 길고 가느다란 둘레방향의 구멍
돌출수단... 76 : 클로 77 : 샤프트 78 : 소형 롤러
79 : 스프링 81 : 조절체 82 : 스프링
디스크수단... 73 : 디스크

Claims (2)

  1. 쉬트체의 길이보다 더 긴 둘레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완전히 삽입된 쉬트체를 수용하는 길고 가느다란 둘레방향의 구멍을 가지고 있는 회전가능한 원통형 드럼;
    상기 길고 가느다란 둘레방향의 구멍 내에 있는 쉬트체가 상기 드럼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럼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있는 스톱퍼편;
    상기 드럼의 적어도 일부분의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택 챔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드럼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커버체;
    쉬트체를 상기 길고 가느다란 둘레방향의 구멍으로 송입하거나 상기 구멍으로부터 송출하는 쉬트체 이송장치; 그리고
    상기 스톱퍼편이 상기 구멍 내에 있는 쉬트체를 상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스택 챔버로 가압하기 위해 제 1 방향으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고,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쉬트체를 상기 구멍으로부터 송출하기 위해 제 2 방향으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체를 처리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드럼 상에서 진퇴가능하게 배치된 클로 및 드럼의 제 2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클로를 드럼으로부터 상기 스택 챔버 속으로 신장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트체를 처리하는 장치.
KR1019980016898A 1997-05-14 1998-05-12 쉬트체를처리하는장치 KR100510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59101A JPH10310308A (ja) 1997-05-14 1997-05-14 シート体のスタック装置
JP97-159101 1997-05-14
JP97-161776 1997-05-16
JP9161776A JPH10316292A (ja) 1997-05-16 1997-05-16 シート体の押し出し装置
JP9164849A JPH10316293A (ja) 1997-05-20 1997-05-20 シート体の計数払い出し装置
JP97-164849 1997-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965A KR19980086965A (ko) 1998-12-05
KR100510369B1 true KR100510369B1 (ko) 2006-07-25

Family

ID=2732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898A KR100510369B1 (ko) 1997-05-14 1998-05-12 쉬트체를처리하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10369B1 (ko)
TW (1) TW4125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6614A (zh) * 2013-09-13 2014-01-01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点烟器耐久试验装置及实验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1177A (en) * 1980-08-29 1984-02-14 Xerox Corporation Sheet offsetting and registering apparatus
KR900000787A (ko) * 1988-06-30 1990-01-31 아오이 죠이치 화상처리장치
EP0395047A2 (de) * 1989-04-28 1990-10-31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ktiengesellschaft Einrichtung zum Übernehmen und zum Weitergeben von Blattmaterial an eine Ausgabestation sowie Verfahren unter Verwendung dieser Einrichtung
JPH0570018A (ja) * 1990-08-17 1993-03-23 Xerox Corp 位置決め支援装置を有するデイスク・スタツカ
EP0581102A1 (de) * 1992-07-31 1994-02-02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ktiengesellschaft Einrichtung zum Übernehmen von Blattmaterial und zum Übergeben des Blattmaterials an eine Entnahmestation
JPH08147528A (ja) * 1994-11-24 1996-06-07 Toyo Commun Equip Co Ltd 紙幣保留機構
EP0878782A1 (en) * 1997-05-14 1998-11-18 Asahi Seik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handling sheet-like objects
JPH10310308A (ja) * 1997-05-14 1998-11-24 Asahi Seiko Co Ltd シート体のスタ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1177A (en) * 1980-08-29 1984-02-14 Xerox Corporation Sheet offsetting and registering apparatus
KR900000787A (ko) * 1988-06-30 1990-01-31 아오이 죠이치 화상처리장치
EP0395047A2 (de) * 1989-04-28 1990-10-31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ktiengesellschaft Einrichtung zum Übernehmen und zum Weitergeben von Blattmaterial an eine Ausgabestation sowie Verfahren unter Verwendung dieser Einrichtung
JPH0570018A (ja) * 1990-08-17 1993-03-23 Xerox Corp 位置決め支援装置を有するデイスク・スタツカ
EP0581102A1 (de) * 1992-07-31 1994-02-02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ktiengesellschaft Einrichtung zum Übernehmen von Blattmaterial und zum Übergeben des Blattmaterials an eine Entnahmestation
JPH08147528A (ja) * 1994-11-24 1996-06-07 Toyo Commun Equip Co Ltd 紙幣保留機構
EP0878782A1 (en) * 1997-05-14 1998-11-18 Asahi Seik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handling sheet-like objects
JPH10310308A (ja) * 1997-05-14 1998-11-24 Asahi Seiko Co Ltd シート体のスタック装置
US6092730A (en) * 1997-05-14 2000-07-25 Asahi Seiko Co., Ltd. Apparatus for counting and dispensing sheet obje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6614A (zh) * 2013-09-13 2014-01-01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点烟器耐久试验装置及实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12501B (en) 2000-11-21
KR19980086965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0165B2 (en) Paper sheet storing apparatus
EP0793199B1 (en) Bill handling machine
KR100235851B1 (ko) 지폐처리기
GB2085410A (en) Apparatus for accumulating and delivering sheets of a material
EP0793201B1 (en) Bill handling machine
AU761703B2 (en) Device for dispensing notes
KR100510369B1 (ko) 쉬트체를처리하는장치
US6715671B2 (en) Automatic bill dispensing apparatus with a sorting device
JP3292013B2 (ja) 紙幣収納装置
JPH0622694Y2 (ja) 紙葉類の収納繰出し装置
JP3943969B2 (ja) 紙葉類分離排出装置
JP3323334B2 (ja) 紙幣出金装置
EP0878782B1 (en) Apparatus for handling sheet-like objects
EP0542226A1 (en) Paper separating/driving apparatus and its controlling method and automatic teller operating thereon
JP3258509B2 (ja) 紙幣識別装置
JP2682822B2 (ja) 循環式紙幣処理方法
US6786399B2 (en) Banknote release and storage apparatus
JPH0718660Y2 (ja) 紙幣搬送装置
JP4038357B2 (ja)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紙葉類取扱装置
JP3544745B2 (ja) 紙葉類繰出装置
JP2558977Y2 (ja) 紙幣取扱装置
JPH0622695Y2 (ja) 紙幣処理機における紙幣集積搬送装置
JPS6215914B2 (ko)
JPS6312126Y2 (ko)
JPH034082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