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987B1 - 코리올리 유량계를 케이스에 연결하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리올리 유량계를 케이스에 연결하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987B1
KR100508987B1 KR10-2001-7016701A KR20017016701A KR100508987B1 KR 100508987 B1 KR100508987 B1 KR 100508987B1 KR 20017016701 A KR20017016701 A KR 20017016701A KR 100508987 B1 KR100508987 B1 KR 10050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tube
case
tube extension
neck
coriolis flow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8598A (ko
Inventor
크레이그 브레이너드 반 클리브
그레고리 트리트 랜험
커티스 존 올릴라
어니스트 데일 리스터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38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G01F1/8413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meter's motional or vibrational behaviour, e.g., conduit support or fixing means, or conduit attach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0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 G01F1/8413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meter's motional or vibrational behaviour, e.g., conduit support or fixing means, or conduit attachments
    • G01F1/8418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constructional details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meter's motional or vibrational behaviour, e.g., conduit support or fixing means, or conduit attachments motion or vibration balanc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4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 G01F1/845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 G01F1/8468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 G01F1/849Coriolis or gyroscopic mass flowmeters arrangements of measuring means, e.g., of measuring conduits vibrating measuring conduits having straight measuring cond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Fluidic or fluid actuated device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01Fluid pattern dispersing device making, e.g., ink j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28Gas and water specific plumbing component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평형 바아로 둘러싸인 단일 직선관을 감싸는 케이스를 갖는 유량계. 평형 바아 단부는 브레이스 바아에 의해 유동관에 연결되고 케이스 연결 링크에 의해 케이스의 내벽에 연결된다. 유동관 단부는 유동관 말단을 밀봉되게 수용하기 위한 중심 개구를 갖는 융기 부재에 의해 단부 플랜지에 연결된다. 유동관은 케이스 너머로 돌출하고 케이스 단부에서 콘 연결 요소에 밀봉되게 결합된다. 케이스와 단부 플랜지의 융기부재 사이의 용접부에 의해 영향을 받는 유동관의 표면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동관 외부 표면과 콘 연결 요소의 내측 표면과 단부 플랜지 사이의 공간에 의해 보이드가 형성된다. 케이스 연결 링크는 열적 조건 변화에 의한 케이스 및 평형 바아의 유효 직경의 상대적인 변화를 수용하기 위하여 탈평면 벤드를 포함한다. 유동관 단부는 케이스 단부내의 콘 연결 요소에 밀봉되게 결합되는 한편 케이스 단부 너머로 돌출한다. 유량계는 플랜지없이 제조, 시험, 및 평형 및 저장될 수 있다. 유량계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적절한 단부 플랜지가 결합될 상업적 사용 시기가 임박할 때까지 이러한 상태로 저장된다.

Description

코리올리 유량계를 케이스에 연결하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ARATUS FOR CONNECTING A CORIOLIS FLOWMETER TO A CAS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리올리 유량계, 특히 코리올리 유량계의 진동 요소들을 유량계 케이스에 연결하는 단일관 코리올리 유량계 방법 및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스 연결 플랜지가 부착되기 전에 코리올리 유량계를 제조, 시험, 균형,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범위한 작동 변수들에 대하여 흡족하게 작동하는 단일 유동관 코리올리 유량계를 제공하는 것이 문제이다. 이러한 변수들로는 작동 온도, 물질 유동의 밀도 및 물질 압력 및 유량 등이 포함된다. 물질 밀도, 열에 기인한 유동관의 응력, 또는 유동관에 대한 압력 응력 등의 변화는 각각 유량계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칠 불평형 조건을 초래한다. 이러한 변수들의 변화는 유량계의 진동 요소들의 정적, 동적인 격리(isolation)를 저하시킨다. 작동 변수들의 변화의 영향을 받지않도록 진동 요소들을 유지하는 것이 과제이다. 작동 변수들의 변화로부터 기인된 가속은 물질의 코리올리 가속에 부가되거나 차감함으로써 유량계 정확도를 저하시킨다. 이러한 불필요한 가속은 이들이 유량계의 설치 조건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보상되어질 수 없다. 설치 조건은 또한 시간 및 온도에 따라 알려지지 않은 방식으로 종종 변화한다.
물질의 변수 및 설치 조건의 변화가 예측된다 하더라도, 유량계가 작동 상태를 유지하고 정확한 출력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변수들이 변화할 때 유량계 요소의 구조적 일체성이 유지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코리올리 유량계가 적절한 정확도로 작동하고 유량계 요소들이 변화하는 작동 온도의 영향을 받을 때 자멸하지 않도록 코리올리 유량계를 설계하는 것이 목적이다. 유량계 설계자는 또한 유량계의 보정(calibration)이 상당히 광범위한 물질 밀도에 걸쳐 일정하고 균일할 것을 원한다.
이러한 설계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코리올리 유량계는 일정범위의 작동 변수 변화에 걸쳐서 통제되고 예측가능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동적 평형 진동 구조물을 갖춰야 한다. 또한, 진동 시스템 외부의 유량계 요소들은 진동 시스템을 진동시키거나 진동을 전달해서는 안된다. 코리올리 유량계는 통상적으로 평형 바아로 둘러싸인 단일 직선 유동관 및 상기 평형 바아를 상기 유동관에 결합시키는 브레이스 바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작동시, 유동관과 평형 바아 사이의 브레이스 바아에서 진동 노드(무진동 영역)가 발생된다. 노드는 코리올리력을 받는 유동관의 길이를 정의한다. 유동관 및 이를 둘러싼 평형 바아의 진동 노드는 유량계가 설계된 변수 범위에 걸쳐서 브레이스 바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평형 바아, 브레이스 바아, 및 유동계는 동적 평형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므로, 진동 질량과 평형 바아의 진동 속도의 곱은 진동 질량과 유동관의 진동 속도의 곱과 같아야 한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는 한, 그리고 다른 어떤 불평형력 또는 토크가 유량계의 비-진동 요소에 가해지지 않는다면, 진동 노드는 브레이스 바아 내에 머무르며 나머지 유량계 요소들은 진동없이 유지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이러한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지는 못하였다.
노드의 움직임과 케이스로부터 진동 시스템으로 진동 전달을 최소화하려는 종래기술의 시도가 케이지(Cage)의 미국특허 제 5,473,949호에 나타나 있다. 이 특허는 유동관 및 브레이스 바아에 의해 결합된 주변 평형 바아를 갖는 직선관 코리올리 유량계를 개시한다. 이 설계 형태는 유량계의 각 브레이스 바아도 케이스 단부의 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특색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진동 노드를 브레이스 바아 근처에 유지하기 위해 케이스의 질량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유동관내의 고밀도 물질은 진동 노드가 유동관의 활동부로 매우 미미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결과로 브레이스 바아 및 케이스 단부(및 케이스)가 평형 바아와 동위상으로 움직인다. 상기 질량 곱하기 케이스의 속도 더하기 상기 질량 곱하기 평형 바아의 속도는 상기 질량 곱하기 유동관의 속도와 동일하므로 운동량이 보존된다. 저밀도 물질은 노드가 평형 바아내로 약간 이동하도록 하는 결과로, 케이스가 유동관과 동위상으로 움직이며 운동량이 다시 한번 보존된다. 케이지의 설계에 있어서 문제점은 가벼운 부재와 함께 움직이는 케이스에 의해 운동량이 보존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진동은 케이스가 대형이므로 진폭이 작을 것이나, 이는 유량계의 정확도에 영향을 주기에는 충분히 큰 것이다.
종래기술의 유량계의 다른 예로서 불필요한 가속을 최소화하기 위한 시도가 크론(Krohne)의 미국특허 제 5,365,794호에 나타나 있다. 이 특허는 동축 평형 바아에 의해 둘러싸인 유동관 및 평형 바아 단부를 유동관에 결합시키는 별도의 브레이스 바아를 개시한다. 이 설계에서, 평형 바아 단부는 앞서의 케이지의 설계에서 처럼 케이스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 또한, 브레이스 바아 영역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바깥쪽인, 유동관의 비활동부(inactive portion)가 플랜지 페이스에 접속된 유동관 단부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지지 구조물에도 연결되지 않는다. 이 구조물은 유동관의 진폭 나누기 평형 바아의 진폭의 비율이 설계 포인트로부터 변하지 않는 한 만족스럽게 작동한다. 이러한 설계 포인트에서, 유동관에 의해 브레이스 바아에 인가되는 토크는 평형 바아에 의해 브레이스 바아에 인가되는 토크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 그 결과 유동관의 비활동부가 역시 비활동 상태이고 유량계의 축선 위에 남아있다. 물질 밀도가 변할 때 문제가 발생한다. 고밀도 물질은 진폭비를 변하게 한다. 운동량을 보존하도록, 무거운 유량계의 진폭이 감소하는 한편 평형 바아의 진폭은 증가한다. 진폭비의 변화는 브레이스 바아에서의 토크들이 비부합(mismatch)되게 한다. 고진폭 평형 바아는 저진폭 유동관에 비해 브레이스 바아의 접합점에 더 큰 토크를 가한다. 브레이스 바아 바깥쪽의 유동관의 비활동부는 토크 차이와 그 결과로서의 벤딩을 보충한다. 불행히도, 이러한 병진(tranlation)은 무거운 유동관의 진폭을 증가시키고 평형을 더욱 열악하게 만든다. 궁극적으로, (고밀도 물질을 포함한) 유동관은 케이스와 동위상으로 진동하게 되고 진동 노드는 평형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이동되며 따라서 유량계의 정확도가 영향을 받는다.
오발(Oval)의 EPO 특허 0,759,542(도 8A, 8B)는 단부가 케이스 연결 링크에 의해 케이스의 내벽에 연결된 동축 평형 바아로 둘러싸인 직선 유동관을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를 제공한다. 이 유동관 단부는 단부 플랜지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평형 바아/유동관 및 단부 플랜지를 포함한 케이스 구조물의 사이의 유동관의 각 단부에서 이중 접속점을 제공한다. 이 케이스 연결 링크 설계는 단부 노드의 이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케이스의 질량을 이용한다(케이지의 설계에서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진폭비의 큰 변화는 브레이스 바아에서 토크의 불평형을 초래하고 유동관의 비활동 영역의 벤딩을 초래한다. 다른 종래 기술에 비해 진동이 덜하기는 하나, 이는 여전히 유량계의 성능를 저하시키기에 충분하다.
따라서 물질 밀도의 변화가 유량계의 진동 시스템의 정적, 동적 격리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이에 상응하여 유량계의 정확도 감소를 야기하지 않는 코리올리 유량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종래기술의 과제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 평형 및 시험에 있어서, 재고목록에 남아 있어야 할 특정 모델의 코리올리 유량계의 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과제이다. 그 이유는 각 사이즈의 유량계에 결합될 단부 플랜지의 형태가 20가지도 넘을 수 있기 때문이다. 8가지 사이즈의 유량계는 판매 주문에 대해 신속히 반응하기 위해 120가지의 유량계를 비축해 둘 필요성을 초래한다. 각각에 대해 수천 달러씩, 재고에 묶여 있는 돈은 상당한 액수일 수 있다. 유량계는 플랜지가 부착되기 전에 평형 및 시험될 수 있도록 설계될 것이 요구된다. 이것은 플랜지 없이 완성된 유량계의 저장 갯수를 줄인다. 요구되는 플랜지는 각각의 주문에 따라 코리올리 유량계에 용접될 것이다. 종래기술의 유량계 중에서, 케이지의 설계만이 플랜지 없이도 기능할 수 있었으나 이것은 평형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다른 두 개의 종래기술 설계는 시험을 위한 완성된 유량계의 동적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유동관 단부가 플랜지에 용접될 것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그리고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2, 3, 4, 및 5는 종래기술의 코리올리 유량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과, 도 11은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및 13은 플랜지가 없는 도 8 및 도 10에 해당하는 도면이다.
상기의 문제점은 단부 플랜지를 포함한 유량계 케이스와 진동 구조물 사이의 유량계의 각 단부에 3개의 별개의 연결 지점이 제공되는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며 이 기술분야에서의 개선이 달성된다. 이러한 제 1 연결지점은 유동관 연장부가 단부 플랜지에 연결되는 단부 플랜지의 각 단부에 있다. 제 2 연결지점은 평형 바아 단부를 케이스의 내벽에 결합시키는 케이스 연결 링크에 의해 제공된다.
각 유량계 단부 내의 제 3 연결지점은 콘 연결(cone connect)이라고 불리는 원형 요소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제 3 연결지점은 유동관 연장부가 케이스 단부 내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하여 유동관 연장부의 단부를 향해 축방향 외부로 연장되는 위치에서 콘 연결요소에 유동관을 접합(통상 납땜)함으로써 제공된다. 이러한 콘 연결에 의한 연결은, 다른 두 연결과 마찬가지로, 유동관 축선 방향으로 길이가 제한된다. 플랜지 연결과 콘 연결 사이에 비-지지(unsupported) 유동관 연장부 길이가 존재하고 콘 연결과 케이스 연결 링크 사이에 또 다른 비-지지 유동관 연장부 길이가 존재한다. 유동관 연장부의 이러한 비-지지부는 다른 어떤 구조물에도 연결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유동관 연장부의 부분들은 보이드(void) 또는 원형 공동(circular cavity)으로 둘러싸인다. (플랜지의 넥 내부에서) 가장 바깥쪽의 보이드 또는 원형 공동은 유동관 연장부를 심하게 가열하거나 응력을 발생시키지 않고서 플랜지를 케이스에 용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각 단부에서) 두 지점에서의 용접에 영향을 주는데 필요한 열량은, 유동관 연장부의 이러한 부분 전체가 단부 플랜지와 케이스 단부 사이의 전체 구조물에 열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필요한 열량보다 훨씬 적다.
유량계의 지지 구조물에 유동관 연장부의 3개의 연결 지점을 제공하면, 물질 밀도 등의 변수의 극한 조건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의 (유량계의 진동 구조물로의) 전달을 최소화시킨다. 진폭비 평형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스 연결 링크의 사용, 및 불평형 토크를 유량계의 진동 구조물로부터 멀게 유지하는 콘 연결요소의 사용에 의해 이것이 달성된다. 유량계의 진동 구조물로의 진동의 전달이 보다 감소되면 정확도가 향상되고 상이한 설치 조건이 유량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줄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코리올리 유량계가 단부 플랜지가 실제로 부착되는 시점 이전에 제조되고, 시험되며 평형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완성의 단계에서, 유량계의 내부 요소들은 완전히 작동가능하며 콘 연결요소에 의해 밀봉 또는 격리된다. 유동관 연장부의 단부 부분은 케이스 단부 및 콘 연결요소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케이스가 밀봉되기 때문에 그리고 유동관 연장부가 케이스 단부에 단단히 부착되게 때문에, 유동관 연장부의 단부는 이 시점에서 물질 유동의 공급원에 일시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유량계가 평형될 수 있다. 유량계는 구매자로부터 주문이 접수될 때까지 이러한 상태로 무기한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구매자에 의해 요구된 단부 플랜지의 세부 사양이 알려지게 되고 적절한 단부 플랜지가 알맞은 용접작업에 의해 유동관 연장부 및 케이스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단부 플랜지가 접속되기 전에 유량계를 평형시키고 시험하고 또한 후속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것은, 이와 달리 하였을 경우 공급자에 의해 유지되어야 하였을 재고품을 최소화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만일 완성된 유량계가 20가지 이상의 알려진 플랜지 형태와 함께 저장되어야 한다면, 재고품은 헤아릴 수 없이 많아질 것이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평형 바아와 케이스 내벽 사이에서 그 단부가 직접 연결되지 않는 케이스 연결 링크를 제공한다. 그 대신, 케이스 연결 링크는 그 중앙부에 벤드를 가지며 콘 연결요소의 평평한 표면에 그 외측 단부가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콘 연결 링크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원형이나, 이 원형 콘 연결요소의 외측 원주가 유량계 케이스 단부의 내측 원형 표면과 결합되도록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이런 방법으로, 케이스 연결 링크가 충분한 강성을 갖게 되어 평형 바아 단부와 케이스 내벽 간의 상대적인 운동을 방지한다. 동시에, 케이스 연결 링크의 벤드로 인해, 케이스 연결 링크가 휘어질 수 있고 열적 변화에 기인한 평형 바아의 직경의 변화를 허용할 수 있다. 원형 콘 연결요소는 유동관이 연장되는 중심부에 개구를 가지므로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기능한다. 이것은 콘 연결의 큰 외측 직경이 그의 외측 및 내측 연결 지점 간의 상대적인 축방향 운동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컴플라이언스는 유동관의 열응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콘 연결 요소는 앞선 실시예와 같이 유동관의 동적 부분을 종결시키기에 충분한 축방향 강성을 가지며 플랜지 용접 이전에 평형을 허용한다. 이것은 또한 외부로부터 케이스를 밀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량계의 진동 시스템의 동적 격리를 유지하는 유량계 구조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더욱이 유량계를 플랜지가 없는 상태에서 시험, 평형,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플랜지는 구매자가 요구하는 특정한 모델의 플랜지가 알려진 때에만 장착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양태는, 작동중일 때 구동 평면내에서 반대 위상으로 진동되는 유동관(701) 및 평형 바아(702)를 포함하며, 진동하는 유동관을 통해 흐르는 물질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코리올리 응답을 상기 진동하는 유동관내에 생성하는 코리올리 유량계로서, 상기 유동관은 중심부 및 각 단부에서의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상기 평형 바아가 상기 유동관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유동관 중심부를 둘러싸도록 한 채, 상기 유동관 중심부 및 상기 평형 바아를 둘러싸는 케이스;상기 케이스의 제 1 및 제 2 축방향 단부;상기 케이스 단부들 밖으로 뻗어있는 상기 유동관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케이스 단부들 각각의 개구;상기 케이스 단부내의 개구는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종축과 동축이고;상기 평형 바아의 단부를 상기 유동관에 결합시키는 브레이스 바아 수단;상기 평형 바아에 결합된 제 1 단부 및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결합된 제 2 단부를 갖는 케이스 연결 링크 수단;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 수단은 상기 브레이스 바아 및 상기 평형 바아 단부가 상기 구동 평면내에서 상기 유동관의 상기 종축에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는데 유효하며;상기 유동관 연장부를 밀봉되게 수용하도록 상기 케이스 단부에 결합된 외측 원주부 및 상기 유동관 연장부와 동축인 원형 개구를 갖는 원통형 콘 연결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상기 원통형 콘 연결 수단은 상기 유동관의 말단과 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 수단 사이에 축방향으로 위치되는 코리올리 유량계를 포함한다.상기 유동관은 상기 케이스의 길이로 뻗으며, 상기 콘 연결 수단내의 원형 개구를 통해 돌출하고 상기 케이스 단부 너머로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까지 돌출하는 상기 유동관 연장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각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이 상기 케이스 단부의 축방향 외부로 부착물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를 물질 공급원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에 연결되는 단부 플랜지;상기 단부 플랜지의 축방향 단부 표면상의 원형 개구; 및상기 유동관 연장부와 밀봉되게 결합하는 상기 원형 개구의 내부 표면상의 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 상기 각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 단부 너머로 축방향 외부로 연장되는 원통형 넥; 및상기 유동관 연장부 및 상기 넥의 상기 원통형 내부 표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넥내의 원형 공동(cavity)을 더 포함하고,상기 넥은 상기 유동관 연장부와 동축인 중심 개구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넥 너머로 돌출하는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부분을 둘러싸는 원통형 내부 표면을 가지며;상기 넥의 상기 원통형 내부 표면은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 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 수단의 평평한 표면에서 굽어진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콘 연결 수단이 결합되는 상기 케이스 단부의 부분의 직경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콘 연결 수단의 유효 직경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콘 연결 수단이 탈평면 벤드를 갖는 평평한 표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 수단의 상기 제 2 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연결되어 있는 중간 연결 수단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상기 벽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중간 연결 수단은 콘 연결 수단의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콘 연결 수단의 표면의 원주가 상기 케이스의 내벽의 표면과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상기 유동관 중심부 및 상기 평형 바아를 구동 평면내에서 서로 반대 위상으로 진동시키는 구동기;상기 유동관 중심부의 코리올리 편향(deflection)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유동관에 연결된 픽오프 수단; 및상기 픽오프 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물질 유동에 관한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유량계 전자요소를 더 포함하며,상기 구동 평면내의 진동 및 상기 물질 유동은, 공동으로 상기 유동관의 코리올리 편향을 유도하는데 유효하며, 상기 픽오프 수단은 상기 코리올리 편향의 검출에 반응하여 상기 물질 유동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유동관 및 상기 유동관 연장부는 일정한 직경으로 상기 케이스의 길이로 뻗으며, 상기 콘 연결 수단의 개구를 통해 상기 일정한 직경으로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까지 돌출하는 상기 단부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각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은 상기 케이스 단부로부터 축방향 외부에 있는 부분에 부착물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가 상기 물질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에 결합되는 단부 플랜지;상기 단부 플랜지의 축방향 단부 표면상의 원형 개구; 및상기 유동관 연장부와 밀봉되게 결합되는 상기 원형 개구의 내부 표면상의 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단부 부분의 외부 표면과 상기 케이스 단부의 넥의 내부 원통형 표면과 상기 단부 플랜지의 일부분의 원통형 내부 표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밀봉된 공동을 더 포함하며,상기 밀봉된 공동은 상기 유동관 연장부와 밀봉되게 결합된 상기 단부 플랜지의 외부 돌출 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축방향 외측 단부를 가지며,상기 밀봉된 공동은 상기 콘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축방향 내측 단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단부 플랜지;상기 단부 플랜지와 일체인 제 1 단부 및 상기 케이스 단부의 넥의 축방향 외측 단부에 연결된 제 2 단부를 갖는 상기 단부 플랜지의 넥;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단부 플랜지 및 상기 단부 플랜지내의 원통형 개구;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부를 밀봉되게 수용하는 내부 직경의 벽을 갖는 원통형 개구를 갖는 상기 단부 플랜지의 축방향 외부 표면내의 축방향 외부로 돌출하는 요소를 더 포함하며,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외부 표면 및 상기 단부 플랜지의 넥의 원통형 내부 표면 및 상기 단부 플랜지 일부분의 원통형 내부 표면 사이에 보이드(또는 원형 공동)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단부 플랜지의 넥 및 상기 단부 플랜지의 상기 부분 내에 있는 상기 원통형 개구가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외부 표면보다 실질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케이스가 상기 유동관의 종축에 평행한 벽을 포함하고;상기 케이스는 상기 벽의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원통형 벽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상기 케이스 단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케이스 단부의 외부 표면은 상기 케이스 단부내의 개구와 동축인 넥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단부내의 개구는 상기 콘 연결 수단 및, 상기 케이스 단부 너머로 축방향 외부로 돌출하는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상기 부분을 수용하고,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외부 표면과 상기 넥의 내부 표면사이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보이드(또는 원형 공동)를 형성하도록 상기 넥이 상기 유동관의 외부 표면보다 큰 직경의 원통형 내부 표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가 파이프라인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상기 말단에 연결되는 단부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케이스가,상기 유동관의 종축에 평행하게 배향된 원통형 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상기 케이스 단부의 벽이 굽어지고 상기 원통형 벽에 대한 수직으로부터 오프셋되고;상기 케이스 단부의 굽어진 부분의 내부 표면은 상기 원형 콘 연결 수단의 반경방향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유동관 및 상기 유동관 연장부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콘 연결 수단의 중심 개구를 통해 그리고 상기 케이스 단부의 넥의 공동을 통해 상기 넥 너머로 축방향 외부의 유동관 연장부 말단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은 상기 케이스 단부로부터 축방향 외부의 부분에 부착물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가 파이프 라인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에 결합된 단부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케이스가,상기 유동관 중심부의 종축에 평행하게 배열된 원통형 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상기 케이스 단부의 벽이 상기 원통형 벽에 대한 수직으로부터 오프셋된 곡선부를 가지며;상기 원형 콘 연결 수단의 외부 가장자리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단부의 축방향 내측 부분의 내부 표면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상기 유동관 및 상기 유동관 연장부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로 뻗으며 상기 콘 연결 수단의 중심 개구를 통해 뻗으며 또한 상기 케이스 단부의 넥의 공동을 통해 상기 넥 너머로 축방향 외부의 유동관 연장부 말단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각 단부 부분의 말단에 상기 케이스 단부로부터 축방향 바깥의 어떠한 구조물도 부착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가 파이프 라인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에 결합되는 단부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단부 플랜지;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상기 단부 부분의 말단을 수용하는 단부 플랜지내의 원통형 개구;상기 단부 플랜지의 축방향 내측 부분과 일체인 제 1 단부 및 상기 케이스 단부의 상기 넥의 축방향 외측 단부에 연결된 축방향 내측 단부를 갖는 상기 단부 플랜지의 넥을 더 포함하고,상기 단부 플랜지 및 상기 단부 플랜지의 넥은 모두 상기 유동관 연장부와 동축인 원통형 내부 표면을 가지며;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단부 부분의 외부 표면과 상기 단부 플랜지의 넥의 상기 원통형 내부 표면과 상기 단부 플랜지의 축방향 내부 부분 사이에 보이드(또는 원형 공동)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단부 플랜지의 넥과 상기 단부 플랜지의 축방향 내부 부분에 있는 상기 원통형 내부 표면 개구가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외부 표면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그리고상기 단부 플랜지의 축방향 외측 부분은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을 밀봉되게 수용하도록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직경과 유사한 직경의 내벽을 갖는 중심 개구를 갖는 축방향 돌출 요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 수단이,서로 각이 지도록 배향된 두 개의 레그를 형성하는 벤드를 중간부분에 구비한 평평하고 길다란 부재;상기 평형 바아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레그 중 첫번째 레그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상기 평형 바아의 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을 연결하는 일련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콘 연결 수단의 표면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레그 중 두번째 레그의 축방향 외측 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상기 일련의 경로는 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의 제 1 및 제 2 레그 및 상기 콘 연결 수단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두 개의 레그는 서로 실질적으로 90도로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에 상기 케이스 단부로부터 축방향 외측의 어떠한 구조물도 부착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가 파이프라인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에 연결되는 단부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 수단이,평평하고 길다란 곡선 부재;상기 평형 바아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곡선 부재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상기 평형 바아의 상기 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벽을 연결하는 일련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콘 연결 수단의 표면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곡선 부재의 축방향 외측 단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일련의 경로는 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 및 상기 콘 연결 수단의 일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가,하나 이상의 벤드를 갖는 길다란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상기 길다란 부재의 제 1 단부는 상기 평형 바아의 단부에 연결되고;상기 길다란 부재의 제 2 단부는 상기 평형 바아의 상기 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벽을 연결하는 일련의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콘 연결 수단의 표면에 연결되며;상기 일련의 경로는 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 및 상기 콘 연결 수단의 일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원통형 콘 연결 수단은 상기 케이스 단부에 단단히 부착되는 반경방향 외측 부분 및 상기 유동관에 단단히 부착되는 반경방향 내측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다른 양태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방법으로서,브레이스 바아 수단을 이용하여 유동관에 평형 바아의 단부를 결합하는 단계;상기 유동관 및 상기 평형 바아를, 상기 평형 바아가 상기 유동관 중심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케이스로 둘러싸는 단계;케이스 연결 링크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평형 바아를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 수단은 상기 브레이스 바아 및 상기 평형 바아 단부가 상기 구동 평면내에서 상기 유동관의 종축에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며;상기 유동관 연장부와 동축인 중심을 갖는 상기 케이스 단부상에 원통형 넥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넥은 상기 케이스 단부 너머로 돌출하는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유동관을 둘러싸며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내부 원통 표면을 가지며;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단부 부분의 외부 표면과 상기 넥의 원통 내부 표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넥내의 원형 공동을 형성하는 단계;외측 원통형 표면 및 내측 원통형 표면을 갖는 원통형 콘 연결을 상기 각 케이스 단부에 형성하는 단계;콘 연결을 이용하여 상기 유동관 연장부에 밀봉되게 연결하는 단계;상기 유동관 연장부가 상기 각 케이스 단부의 개구를 통해 상기 일정 직경으로 각각의 상기 케이스 단부 너머로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까지 돌출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길이로 상기 유동관 및 상기 유동관 연장부를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를, 상기 각 유동관의 말단에 상기 케이스 단부 너머 축방향 외부로 뻗는 어떠한 구조물도 부착됨이 없이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방법이다.상기 방법은, 상기 유동관을 상기 유동관의 전체 길이에 대해 일정한 직경으로 연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방법은, 상기 유동관 연장부를 상기 각 케이스 단부내의 원통형 콘 연결 요소를 통해 연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방법은, 상기 유동관 연장부에 단부 플랜지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방법은, 상기 원통형 콘 연결을, 상기 케이스 단부에 단단히 부착되는 반경방향 외측부분 및 상기 유동관에 단단히 부착되는 반경방향 내측부분을 갖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에 관한 설명
도 1은 케이지의 특허 5,473,949의 코리올리 유량계(100)를 도시한 것이다. 이것은 직선관 형태이며 평형 바아(102)를 둘러싸는 케이스(103)를 갖는다. 케이스(103)는 넥(neck) 요소(105)에 의해 입구 및 출구 플랜지(106)에 결합된 단부 요소(104)를 갖는다. 요소(107)는 유량계에 대한 입구이고; 요소(108)는 출구이다. 유동관(101)은 입구 단부(109)를 갖는데, 이는 케이스 단부(104)의 브레이스 바아 부분인 요소(112)에서 케이스 단부(104)의 개구에 연결되어 있다. 브레이스 바아 부분(112)은 넥 요소(105)와 연결되어 있다. 오른쪽 측면에서, 유동관(101)의 출구 단부(110)가 위치(112)에서 케이스 단부(104)에 연결되고, 이 위치(112)에서 케이스 단부(104)가 넥 요소(105)와 합류된다.
작동시 유동관(101) 및 평형 바아(102)는 구동기(미도시)에 의해 반대 위상으로 진동된다. 물질이 흐를 때, 유동관(101)의 진동은 속도 센서(미도시)에 의해 검출되는 유동관(101)의 코리올리 응답을 유도한다. 속도 센서들 간의 위상 변위는 유동 물질에 관련된 정보를 나타낸다. 속도 센서의 출력 신호가 전자 회로에 가해지고 이 회로는 신호를 처리하여 물질 유동에 관한 원하는 정보를 유출해낸다.
코리올리 유량계는 여러 밀도, 온도 및 점도의 물질을 포함한 광범위한 작동 조건에 걸쳐서 정확한 물질 유동 정보를 제공할 것이 요구된다. 이것의 달성을 위해, 유량계의 진동 구조물의 진동이 이와 같은 범위의 조건에서 안정적이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안정성을 얻기 위해서는 유량계 진동이 유동관과 평형 바아 요소로부터 격리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진동 시스템 외부의 진동은, 물질의 유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코리올리 가속도 이외에, 물질에 대해 부가적인 가속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외부 진동은 또한 유동관의 활동 길이를 정의하는 노드들을 이동시킨다. 그 결과의 가속은 가변적이고 설치 강성 등의 알 수 없는 변수들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유량계의 진동 구조물의 불필요한 부가적 진동은 물질 유동에 관한 정확한 출력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유량계의 능력을 저해한다.
도 1의 유량계에 있어서, 진동 시스템은 반대 위상으로 진동하는, 평형 바아(102) 및 유동관(101)을 포함한다. 이러한 두 개의 요소는, 평형 바아의 단부(111)와 유량계의 단부(109, 110)가 케이스 단부(104)의 브레이스 바아 부분(112)에 의해 결합되는, 동적으로 평형된 구조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이한 밀도의 물질을 처리하는 것은 평형 바아(102)와 유동관(101)의 진폭을 변화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 2에 관한 설명
도 2는 크론의 미국특허 5,365,794의 코리올리 유량계를 개시한다(미국특허 5,365,794의 도 2). 이 특허는 유동관(201) 및 이를 둘러싼 평형 바아(202)를 포함하는 케이스(203)를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200)를 개시하고 있다. 케이스(203)는 넥 요소(205)에 의해 단부 플랜지(206)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스 단부(204)를 갖는다. 유동관(201)은 케이스 전체를 통해 연장되어 있으며 그 단부(209)가 단부 플랜지(206)의 부분(213)에 연결되어 있다. 플랜지부(213)의 바로 오른편에 보이드(214)가 있으며, 이것은 넥 요소(205)의 내벽을 유동관(201)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도 2의 유량계는 평형 바아(202)의 단부(211)를 유동관(201)의 외부 표면에 연결하는 별개의 브레이스 바아(212)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의 유량계와 다르다. 도 2의 유량계에서, 동적으로 평형되는 진동 시스템은 평형 바아(202), 브레이스 바아(212) 및 유동관(201)이다. 노드(무진동 지점)는 보통 각 브레이스 바아(212) 내에 존재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유량계는 설계 대상인 밀도의 물질 유동을 처리한다. 이때 평형 바아(202)의 진폭 곱하기 그 질량은 물질이 채워진 유동관(201)의 진폭 곱하기 그 질량과 동일하다. 유량계가 보다 고밀도의 물질을 만나면, 유동관의 진폭이 감소하고 평형 바아의 진폭이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저밀도의 물질을 만나면, 유동관의 진폭이 증가하고 평형 바아의 진폭은 감소한다. 진폭비가 변함에 따라, 유동관 섹션(201L)의 종방향 축선이 유량계에 대해 일정한 각으로 브레이스 바아(212)를 빠져나간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평형 바아가 유동관보다 브레이스 바아 영역에 대해 더 큰 굽힘 토크를 인가한다. 이러한 굽힘은 케이스가 하방으로 (무거운 유동관과 동위상으로) 병진하도록 하는 한편, 브레이스 바아 영역이 상방으로 (평형 바아와 동위상으로) 병진하도록 한다. 이러한 병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량계의 정확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불평형 토크가 또한 유량계 요소들에 응력을 유발할 수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 유량계의 수명 감소 또는 파괴를 초래할 수도 있다.
도 3, 4, 및 5에 관한 설명
도 3, 4, 및 5는 유럽특허 EP 0 759 542 A1의 유량계의 좌측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유럽특허 EP 0 759 542 A1의 도 8b). 도 3의 유량계는 케이스(403), 케이스 단부(404), 케이스 넥(405) 및 단부 플랜지(406)를 갖는다는 점에서 도 2의 유량계와 유사하다. 케이스(403)는 평형 바아(402)로 둘러싸인 유동관(401)을 둘러싸고 있다. 브레이스 바아(412)는 평형 바아 단부(411)를 유동관(401)에 연결시킨다. 유동관 단부(407)는 유동관 단부 영역(410)에 의해, 플랜지(406)의 일부인 부분 플랜지 요소(413)에 연결된다. 도 3의 유량계는 단부 플랜지(406)에 케이스 단부(404)를 연결하는 넥(405)의 내벽과 유동관 부분(401L)의 외부 표면 사이에 보이드(414)를 갖는다는 점에서 도 2의 유량계와 유사하다.
도 3의 유량계는 유동관 단부 요소(410)가 유동관(401)보다 직경이 크다는 점에서 도 2의 유량계와 차이난다. 유동관 요소(410) 및 유동관(401) 사이의 직경 변화는 유동관의 열응력 해제라는 목적에 기여한다. 도 3의 유량계와 도 2의 유량계간의 또 다른 차이점은 도 3의 유량계가 케이스(403)의 내벽(420)에 연결되는 제 1 단부(418)와 평형 바아(402)의 단부(411)에 연결되는 제 2 단부를 각각 구비한 케이스 연결 링크 요소(417)를 갖는다는 점이다.
케이스 연결 링크(417)는 도 2의 유량계에 대해 기술된 진동 문제의 일부를 극복한다. 도 2의 유량계 구조물은 평형 바아(202)의 단부와 브레이스 바아(212)가 케이스(203)의 내벽에 대해 진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것은 케이스 연결 링크(417)가 평형 바아 단부(411)와 케이스(403)의 내벽(420)사이에 강성 연결을 제공하므로 도 3의 유량계에서는 방지된다. 이러한 구조물에서, 케이스 연결 링크(417)가 평형 바아 단부에 연결되는 지점이 유동관(401) 및 평형 바아(402)의 진동를 위한 피벗 지점(508)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평형 바아 단부는 케이스 연결 링크(417)에 의해 2개의 요소들 사이에 제공된 연결에 의하여 케이스(403)의 내벽에 대해 병진할 수 없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 바아(402), 유동관(401) 및 브레이스 바아(417)는 보통 경우보다 상당히 높거나 상당히 낮은 밀도를 갖는 물질이 처리될 때 동적으로 불평형한 구조물이 될 수 있다. 피벗 지점(508)의 우측에 있는 요소들의 진폭비의 변화는 유동관(401)의 부분(401L)에 바람직하지 못한 토크를 가하여 힘(F1)과 (F2)를 야기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5-5선을 따라 취한 도 4의 유량계의 단부도이다. 도 5는 유동관(401) 브레이스 바아(412), 케이스(403)의 내벽(420)에 연결된 외측 단부(418)와 브레이스 바아(412)의 바깥쪽 말단부에 연결된 내측 단부(419)를 갖는 케이스 연결 링크(417)를 나타낸다. 케이스 연결 링크(417)는 납작한 스트립이다. 도 3은 유량계(400)의 단면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7에 관한 설명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개시한 것으로서 유량계(700)가 유량계의 진동 시스템을 포함하는 요소들을 둘러싸는 케이스(703)를 갖춘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유동관(701)의 중심부를 둘러싸는 평형 바아(702)를 포함한다. 평형 바아(702)는 그 단부가 브레이스 바아(709)에 의해 유동관(701)에 연결되어 있다. 유동관(701)은 중심부와, 유량계의 입구 단부쪽에 연장부(701L) 및 출구 단부쪽에 연장부(701R)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유동관 요소들은 일정한 직경으로 유량계(700)를 통해 뻗어있는 단일 유동관을 포함한다. 유동관(701) 및 그 연장부는 케이스(703)의 길이에 걸쳐 뻗어 있으며 케이스 단부(704)를 관통하여 케이스 단부(704)를 지나서 왼쪽에서는 말단부(707), 오른쪽에서는 말단부(708)까지 돌출되어 있다. 요소(707)는 유동관의 연장부(701L)의 입구 단부로; 요소(708)는 유동관의 연장부(701R)의 출구 단부로 볼 수 있다. 케이스 단부(704)는 콘 연결부라고 하는 중심부(723)를 갖추고 있는데, 이 중심부(723)는 유동관 연장부(701L)가 왼쪽에서 뻗어 나가고 유동관 연장부(701R)가 오른쪽에서 뻗어 나가는 개구를 갖는다. 콘 연결부(723)는 유동관 연장부(701L) 및 (701R)의 외부 표면과 밀봉되게 결합한다. 케이스 단부(704)는 케이스(703)와 거의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케이스 단부(704)의 반경방향 중심부는 립(lip) 또는 넥(neck)(722)을 포함한다. 이러한 립 또는 넥(722)은 케이스 단부(704)의 외부 표면과 콘 연결부(723) 위로 바깥쪽으로 뻗어 있다. 립 또는 넥(722)의 내부 표면은 콘 연결부(723)의 바깥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립 또는 넥(722)의 안쪽 직경과 유동관의 바깥 직경은 보이드(void) 또는 원형 공동(circular cavity)(721)을 형성한다.
평형 바아(702)의 단부는 브레이스 바아(709)에 의해 유동관(701)의 외부 표면에 연결된다. 브레이스 바아(709)는 평형 바아(702)와 유동관(701)이 브레이스 바아(709)를 통하여 서로 동적인 소통을 유지한 채로, 평형 바아(702), 브레이스 바아(709), 및 유동관(701)이 동적으로 평형된 시스템이 되도록 한다. 또한, 평형 바아(702)의 단부는 케이스 연결 링크(710)에 의해 케이스(703)의 내벽(712)에 연결되어 있다. 케이스 연결 링크(710)는 접힘 요소(711)를 포함한다. 케이스 연결 링크(710)는 그 외측 단부(706)가 케이스 내벽(712)에, 그 내측 단부(705)가 평형 바아(702)에 연결되어 있다.
도 6의 케이스 연결 링크(710)는 도 6의 평형 바아(702)의 단부(705)를 케이스(703)의 내벽(712)에 연결시킨다는 점에서 도 3의 케이스 연결 링크(417)와 유사하다. 이들은 도 6의 구동 평면내의 유동관 축선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브레이스 바아(709)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스 연결 링크(710)는 불평형 토크가 브레이스 바아를 케이스에 대해 운동하게 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진동 구조물을 평형하게 유지하기 위해 밀도에 따라 진폭비가 변화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케이스 연결 링크(417)와는 달리, 케이스 연결 링크(710)는 탈평면 벤드(out of plane bend)를 갖는다. 평형 바아(702) 및 케이스(703)는 이들 두 요소간의 온도 차이에 반응하여 서로에 대해 직경이 변할 수 있다. 벤드(711)는 케이스 직경 및 평형 바아 직경이 팽창하려 하거나 서로 접촉하려 할 때 케이스 연결 링크(710)의 유효 길이가 변할 수 있게 한다.
구동기(D) 및 왼쪽 속도 센서(LPO) 및 오른쪽 속도 센서(RPO)는 도 6에서 유동관(701)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요소들은 도 7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유량계 전자요소(801)에 연결되어 있다. 유량계 전자요소(801)는 물질이 흐르고 있는 유동관(701)의 공진 주파수로 유동관(701)을 가로로 진동시키기 위해 경로(803)를 통해 구동기(D)로 신호를 공급한다. 물질 유동과 구동기(D)에 의해 유동관(701)에 부여된 진동의 합은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식으로 유동관(701)내에 코리올리 응답을 유도한다. 왼쪽 속도 센서(LPO) 및 오른쪽 속도 센서(RPO) 사이의 위상차는 물질 유동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속도 센서들의 출력 신호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로(802) 및 (804)를 통해 유량계 전기 요소(801)에 전달되고 이 전기 요소(801)는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경로(815)에서 물질 유동과 관련한 출력 정보를 생성한다.
유동관 연장부(707) 및 (708)는 도 7의 유량계와 마찬가지로 플랜지 요소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주목해야 한다. 도 6의 유량계는 유동관 연장부(701L) 및 (701R)에 플랜지가 부착되지 않은 채 제조, 시험, 및 평형된다. 도 2 내지 5에 도시된 종래의 유량계는 유동관 단부의 연결이 진동 구조물의 동특성에 있어 중요하므로 플랜지가 부착되기 이전에는 평형 및 시험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콘 연결 요소(723)는 유량계의 동적 구조물로부터 유동관 연장부(701L) 및 (701R)를 제거하고 플랜지 용접 작업 이전에 완전하게 작동하는 유량계를 생성한다.
도 6의 유동관 연장부(701L) 및 (701R)가 물질의 공급원에 연결되도록 하여 평형 및 시험이 달성될 수 있도록 유량계가 평형되고 시험되는 장소에 적절한 장비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시험과 평형이 이루어지면, 도 6의 유량계는 구매자에게 배달될 때까지 저장될 수 있다. 도 6의 유량계를 플랜지없이 제조, 시험, 평형 및 일시적으로 저장함은 매우 많은 종류의 플랜지가 존재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유리하다. 유량계에 대한 구매자가 알려지고 구매자가 요구하는 플랜지의 종류가 또한 알려질 때까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유량계를 제조, 평형, 시험 및 저장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구매자가 알려지면 그가 원하는 플랜지가 부착되는데, 플랜지(806)가 구비된 유량계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량계를 평형, 시험 및 저장하는 것은 제조사가 유지하여야 할 재고품을 최소화하므로 유리하다.
도 7에 관한 설명
도 7의 유량계의 실시예는 유동관의 연장부(701L) 및 (701R)에 부착된 플랜지(806)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면 도 6과 동일하다. 플랜지(806)는 외측 단부 표면(807), 외측 표면(807)에 평행한 내부 표면(809), 케이스 단부(704)의 립 또는 넥(722)의 짝맞춤(mating) 외측 축방향 단부 표면과 접촉하는 내측 축방향 단부 표면을 갖는 넥(805)을 포함한다. 플랜지 요소(806)의 외측 표면(807)은 입구(707)에서 유동관 연장부(701L)와, 출구(708)에서 유동관 연장부(701R)와 밀봉되게 접촉하는 벽을 갖는 중심 개구를 구비한 융기 요소(827)를 갖는다. 플랜지(806)의 융기 요소(827)와 케이스 단부(704)에 연결된 립 또는 넥(722) 사이의 유동관 연장부의 외부 표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보이드(또는 원형 공동)(721)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이드(또는 원형 공동)(721)는 플랜지(806)가 립 또는 넥(722)에서 케이스 단부(704)에 연결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커플링은 납땜이나 용접과 같은 가열 작업을 포함하므로, 유동관(701L) 및 (701R)이 보이드(또는 원형 공동)(721)에 의하여 열응력을 덜 받는다. 이러한 보이드(또는 원형 공동)(721)가 고체 재료로 이루어지면, 플랜지(806)의 용접부로부터 립 또는 넥(722)으로의 열이 유동관 연장부(701L) 및 (701R)에 전도되어 이들을 과열할 수 있다. 다량의 열이 내부식성을 감소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티타늄과 같은 유동관 재료의 구조를 변형시킬 수 있다. 용접열은 또한 유동관 연장부와 콘 연결부(723)사이의 접합부의 납땜 재료를 부분적으로 용해할 수 있다. 이것은 납땜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성된 상태에서 유량계를 미리 평형 및 조정하는데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도 7의 유량계의 실시예는 유동관 연장부의 각 단부 근처에서 유동관과 케이스(703) 사이에 3개의 연결 지점을 제공한다. 제 1 연결 지점은 유동관 연장부(701L) 및 (701R)에 접합된 벽을 갖는 융기 요소(827)의 중심 개구를 갖는 단부 플랜지(806)에 의해 제공된다. 제 2 연결 지점은 케이스 단부(704)의 콘 연결부(723)이다. 제 3 연결 지점은 케이스 연결 링크(710)와 함께 브레이스 바아(709)에 의해 제공된다. 이와 같은 3개의 연결 지점은 유동관(701) 및 그 연장부를 유량계 케이스(703)의 구조적 요소들에 부착시킨다.
케이스 연결 링크(710) 및 브레이스 바아(70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결 지점의 기능은 유동관 단부 노드들이 브레이스 바아(709)에 연결되는 지점에서 병진함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융기 요소(827) 및 그의 중심 개구의 벽에 의해 제공되는 접합 지점의 기능은 물질이 케이스(703)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플랜지(806)에 유동관 연장부를 밀봉시키는 것이다. 콘 연결부(723)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은 유동관의 동적 부분에 대한 강성 종결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결은 브레이스 바아 영역에서 불평형 토크에 의해 생성되는 힘을 케이스 단부에 인가한다. 케이스 및 케이스 단부는 심각한 굽힘없이 이러한 힘을 견디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는다. 이러한 토크 반력(도 4)을 케이스 단부로 이동시키는 것은 유량계의 진동 구조물에 대한 소통을 제거한다. 이러한 중간 연결은 또한 유동관 단부(707) 및 (708) 및 융기 요소(827) 사이의 접합부상에 응력을 감소시키고 이로써 신뢰도를 증가시킨다.
도 8, 9 및 12의 설명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도 8의 실시예는 유량계(900)가 평형 바아(902) 및 유동관(901)을 둘러싼 케이스(903)를 갖는다는 점에서 도 6 및 7과 유사하다. 도 8은 편의상 유량계(900)의 왼쪽 부분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구동기(D) 및 2개의 속도 센서(LPO) 및 (RPO)는 도 8에 도시되지 않았으며 이들과 연관된 유량계 전자요소도 도시되지 않았다. 도 8의 유량계는 구동기 요소(D), 왼쪽 속도 센서(LPO) 및 오른쪽 속도 센서(RPO)를 포함하고 이들 모두는 적절한 컨덕터를 거쳐 유량계 전자요소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는 평형 바아 및 유동관을 진동시키기 위해 구동기에 대해 구동 신호를 인가하고 2개의 속도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이 신호들을 처리하여 유동관(901)이 구동기(D)(미도시)에 의해 진동될 때 유동관(901)을 통해 흐르는 물질에 대한 물질 유동 정보를 생성한다.
도 6 및 7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평형 바아(902)의 왼쪽 단부는 접합부(905)에서 케이스 연결 링크(910)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910)는 케이스 연결 링크(910)의 외측 단부(920)가 케이스(903)의 내벽(912)에 접합된 채 접힘부(911)를 갖는다. 케이스 연결 링크(910)는 도 6의 케이스 연결 링크(71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들은 마찬가지로 구동 평면(도 8이 도시되어 있는 용지의 면에 수직인 면)에서의 진동에 대해 평형 바아(902) 및 유동관의 진동을 안정시킨다.
유동관(901) 및 유동관 연장부는 평형 바아(902)의 길이에 걸쳐 뻗어 있고 도 9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디스크형 콘 연결 부재(923)를 통해 축방향으로 더 뻗어 있다. 유동관 연장부(901L)는 콘 연결 부재(923)내의 개구(926)를 통해 연장되며 요소(901L)로서 그 입구 단부(907)로 더 뻗으며 여기에서 융기 요소(927)에 의해 플랜지(906)에 연결된다. 플랜지(906)는 외측 축방향 표면(904), 외측 원주 표면(908) 및 내측 축방향 표면(909)을 갖는다.
플랜지(906)는 용접부(922)에 의해 케이스(903) 단부의 넥(923)에 연결된다. 넥(924)은 도 6의 유량계의 립 또는 넥(722)과 유사하다. 차이점은 케이스 단부(704)의 립 또는 넥(722)은 케이스 단부(704)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반면, 케이스 단부(928)의 넥(924)은 단부 플랜지(906)의 표면(909)을 향해 도 6의 립 또는 넥(722)보다 멀리 축방향으로 돌출해 있다는 것이다.
보이드(또는 원형 공동)(930)는 유동관 연장부(901L)의 외부 표면과 넥(925) 및 넥(924)의 내측 반경방향 표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보이드(또는 원형 공동)(930)는 도 7의 보이드(또는 원형 공동)(721)와 동일한 역할; 즉, 용접부(922)로부터 유동관 연장부(901L)로 열이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이것은 유동관 연장부(901L) 및 개구(926)의 납땜 접합부를 플랜지 용접부(922)의 열로부터 보호한다.
콘 연결 부재(923)를 도 9에 보다 상세히 나타내었다. 콘 연결 부재(923)는 케이스 단부(928)의 내측 표면(929) 내의 노치에 결합된 외측 원주부(932)를 갖는 원형 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콘 연결 부재(923)는 그 원주부(932)에 인접하게 평평한 표면(1002)을 갖는다. 반경방향 중간지점 근처에서 표면(1002)이 홈(1003)으로 되어, 다시 콘 연결 부재(923)의 내측 반경방향 부분을 이루는 평평한 표면(1005)으로 된다. 평평한 표면(1005)의 중심에 개구(926)를 가지며 이를 통해 유동관(901)이 연장되는데, 유동관과 표면(1005)은 서로 결합되어 있다. 홈(1003)은 콘 연결 부재(923)가 유동관(901)과 케이스(903)간의 온도차에 기인한 팽창의 차이를 허용하는 능력을 개선한다. 이것은 또한 완성된 유량계를 과도한 축방향 열응력으로부터 보호한다. 유량계(900)의 케이스(903) 및 플랜지(906)로 이루어진 상기 구조물은 도 7의 유동관과 같은 방식으로 각 단부의 3개의 지점에서 유동관에 연결된다. 제 1 연결지점은 융기 요소(927)와 유동관 연장부(907)사이의 지점이다. 제 2 연결지점은 유동관 연장부(901L)와 콘 연결 부재(923) 사이의 지점이다. 제 3 연결지점은 케이스(903)의 내부 표면과 평형 바아(902)의 단부 사이의 케이스 연결 링크(910)에 의해 제공되는 지점이다. 평형 바아(902)의 단부는 다시 브레이스 바아(미도시)에 의해 유동관(901)에 연결된다. 도 12는 도 8의 코리올리 유량계를 플랜지(906)없이 도시한 것이다.
도 10, 11, 및 13에 관한 설명
도 10 및 11은 도 8 및 9에 도시된 것과 많은 부분이 유사한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예를 개시한 것이다. 이 두 실시예는 각각 콘 연결 요소 및 케이스 연결 링크인 도 8의 요소들(923) 및 (910)의 세부사항에 있어서만 다르고 대부분 유사하다. 도 10 및 11에서의 대응 요소들은 콘 연결 요소(1123)와 케이스 연결 링크(1110)로 나타내었다.
도 10 및 11에서 900번대(즉, 902, 903...등)의 도면부호를 갖는 요소들은 도 8을 통해 이미 상세히 설명된 도 8의 대응 요소들과 동일하다. 도 8과 상이한 도 10의 요소들은 1100번대(즉, 1102, 1103...등)의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10의 콘 연결 요소(1123)는 케이스 단부(928)의 한 내부 표면(912)으로부터 케이스 단부의 반대쪽 내벽까지 연장되는 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는 점에서 도 8의 대응요소(923)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콘 연결 요소(1123)는 도 10에서 약간 오른쪽에, 케이스(903)를 케이스 단부(924)에 연결하는 용접부(921) 근처에 위치한다. 콘 연결부(923)는, 비교하자면, 도 8에서 좀 더 왼쪽에 위치하고 내측 케이스 내벽의 노치 내에 원주 요홈을 갖는다. 콘 연결부(1123)는 도 11에 보다 상세히 도시하였으며 도 10에서 내벽(912)과 접촉하는 외측 원주(1129)를 갖는다.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원주(1129)의 바로 옆이 평평한 부분(1102)이다. 평평한 표면(1102)의 내측 부분은 도 10 및 11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 표면(1103)으로 이어지는데, 만곡 표면(1103)은 사발(bowl) 형태를 갖는다. 사발형 표면(1103)의 내측 가장자리는 도 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표면(1104)의 외측 가장자리가 된다. 평평한 표면(1104)은 유동관(901)이 돌출해 있는 중심 개구(1126)를 갖는다. 사발형 표면(1103)은 열팽창/수축에 기인한 유동관(901)의 축방향 이동을 수용하는 기능 및 열 변화에 기인한 케이스(903)의 내측 직경의 변화를 수용하는 이중 기능을 수행한다.
케이스 연결 링크(1110)는 도 8의 케이스 연결 링크(910)와 동일하지 않다. 도 8에서, 케이스 연결 링크(910)는 그 단부가 케이스(903)의 내부 표면(912)과 평형 바아(902)의 왼쪽 단부(905) 및 브레이스 바아의 접합점 사이에 직접 연결된다. 케이스 연결 링크(1110)는 중간에 벤드를 가지며 이로써 레그(1107) 및 (1108)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레그(1108)는 평형 바아(902)의 왼쪽 단부와 브레이스 바아에 대한 접합부(1105)에서 연결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케이스 연결 링크(1110)는 연속 만곡 형태일 수 있다. 케이스 연결 링크의 다른 부분(1107)은 그 단부(1106)가 콘 연결부(1123)의 평평한 표면(1102)에 연결된다. 케이스 연결 링크(1110)내의 벤드 또는 커브는 이것의 구부러짐을 허용하여 열 변화로 인한 평형 바아(902)의 직경 변화를 수용한다. 따라서 케이스 연결 링크(1110)는 케이스 연결 링크 및 콘 연결부(1123)의 평평한 표면(1102) 부분의 일련의 연결에 의해 접합부(1105)에서 평형 바아와 케이스(903)의 내벽(912) 사이에 연결된다. 이러한 일련의 연결은 케이스(903)의 내벽(912)에 대한 브레이스 바아, 유동관, 및 평형 바아의 접합부 간의 불필요한 진동 병진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도 13은 플랜지(906)가 없는 도 10의 코리올리 유량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하는 것임을 분명히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은 단일 직선관 코리올리 유량계의 부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개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비정형이거나 휘어진 형태의 단일관 유량계 뿐 아니라 다수개의 유동관을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를 포함한 다른 형태의 코리올리 유량계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융기 요소(827) 및 (927)는 각각의 플랜지(806) 및 (906)와 일체형일 수 있고 또한 각각의 플랜지에 부착된 별개의 요소일 수도 있다. 스테인 레스 강과 같이 단일 재료로 만들어진 코리올리 유량계에서, 융기 요소(827) 및 (927)는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각 플랜지와 같은 스테인레스 강일 수 있다. 종종 코리올리 유량계가 각각의 부품에 대해 서로 다른 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유량계에서, 유동관은 티타늄이고 케이스와 플랜지는 스테인레스 강일 수 있다. 또한 융기 삽입부(827) 및 (927)은 전체가 티타늄인 유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티타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유량계에서, 티타늄 삽입부(827) 및 (927)는 스테인레스 강과 별개의 요소일 수 있고 적절한 접합 기술에 의해 플랜지에 부착될 수 있다.

Claims (36)

  1. 작동중일 때 구동 평면내에서 반대 위상으로 진동되는 유동관(701) 및 평형 바아(702)를 포함하며, 진동하는 유동관을 통해 흐르는 물질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코리올리 응답을 상기 진동하는 유동관내에 생성하는 코리올리 유량계로서, 상기 유동관은 중심부 및 상기 유동관의 단부 각각에서의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는,
    상기 평형 바아가 상기 유동관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유동관 중심부를 둘러싸도록 한 채, 상기 유동관 중심부 및 상기 평형 바아를 둘러싸는 케이스(703);
    상기 케이스의 제 1 및 제 2 축방향 단부(704);
    상기 케이스 단부들 밖으로 뻗어있는 상기 유동관의 단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케이스 단부들 각각의 개구(721);
    상기 케이스 단부내의 개구는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종축과 동축이고;
    상기 평형 바아의 단부를 상기 유동관에 결합시키는 복수의 브레이스 바아(709);
    상기 평형 바아에 결합된 제 1 단부 및 상기 케이스의 내벽에 결합된 제 2 단부를 갖는 복수의 케이스 연결 링크(7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는 상기 브레이스 바아 및 상기 평형 바아 단부가 상기 구동 평면내에서 상기 유동관의 상기 종축에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하는, 코리올리 유량계(700)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 연장부를 밀봉되게 수용하도록 상기 케이스 단부에 결합된 외측 원주부 및 상기 유동관 연장부와 동축인 원형 개구를 갖는 원통형 콘 연결 수단(723, 923, 1123)을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콘 연결 수단은 상기 유동관의 말단과 상기 복수의 케이스 연결 링크 사이에서 상기 종축 상에 축방향으로 위치되는,
    코리올리 유량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은 상기 케이스 단부의 상기 개구 중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뻗으며, 상기 콘 연결 수단내의 원형 개구를 통해 돌출하고 상기 케이스 단부 너머로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까지 돌출하는 상기 유동관 연장부(701L, 701R)를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707, 708)이 상기 케이스 단부의 축방향 외부로 부착물이 없는,
    코리올리 유량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를 물질 공급원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에 연결되는 단부 플랜지(806);
    상기 단부 플랜지의 축방향 단부 표면상의 원형 개구; 및
    상기 유동관 연장부와 밀봉되게 결합하는 상기 원형 개구의 내부 표면상의 벽을 더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 단부 너머로 축방향 외부로 연장되는 원통형 넥(722); 및
    상기 유동관 연장부 및 상기 넥의 상기 원통형 내부 표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넥내의 원형 공동을 더 포함하고,
    상기 넥은 상기 유동관 연장부와 동축인 중심 개구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넥 너머로 돌출하는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부분을 둘러싸는 원통형 내부 표면을 가지며;
    상기 넥의 상기 원통형 내부 표면은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코리올리 유량계.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이스 연결 링크의 평평한 표면에서 굽어진 부분(711)을 더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 연결 수단이 결합되는 상기 케이스 단부의 부분의 직경 변화에 반응하여 상기 콘 연결 수단의 유효 직경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콘 연결 수단(923)이 탈평면 벤드(1003)를 갖는 평평한 표면(1002)을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의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콘 연결 수단(1123)의 표면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내벽(1129)에 연결되는 단부(1106)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벽에 연결되는,
    코리올리 유랑계.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콘 연결 수단(1123)은 원주를 구비하며 상기 원주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내벽의 표면과 접속되는,
    코리올리 유량계.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 중심부 및 상기 평형 바아를 구동 평면내에서 서로 반대 위상으로 진동시키는 구동기(D);
    상기 유동관 중심부의 코리올리 편향(deflection)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유동관에 연결된 픽오프 수단(LPO, RPO); 및
    상기 픽오프 수단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물질 유동에 관한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유량계 전자요소(801)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평면내의 진동 및 상기 물질 유동은, 공동으로 상기 유동관의 코리올리 편향을 유효하게 유도하며, 상기 픽오프 수단은 상기 코리올리 편향의 검출에 반응하여 상기 물질 유동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 및 상기 유동관 연장부는 상기 케이스 단부의 상기 개구 중 하나로부터 상기 케이스 단부의 상기 개구 중 다른 하나로 일정한 직경으로 뻗으며, 상기 콘 연결 수단의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일정한 직경으로 각각의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까지 돌출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707, 708)은 상기 케이스 단부로부터 축방향 외부에 있는 부분에 부착물이 없는,
    코리올리 유량계.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가 상기 물질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에 결합되는 단부 플랜지(806);
    상기 단부 플랜지의 축방향 단부 표면상의 원형 개구; 및
    상기 유동관 연장부와 밀봉되게 결합되는 상기 원형 개구의 내부 표면상의 벽을 더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단부 부분의 외부 표면과 상기 케이스 단부의 넥의 내부 원통형 표면과 상기 단부 플랜지의 일부분의 원통형 내부 표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밀봉된 공동(721)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밀봉된 공동은 상기 유동관 연장부와 밀봉되게 결합된 상기 단부 플랜지의 외부 돌출 요소(8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축방향 외측 단부를 가지며,
    상기 밀봉된 공동은 상기 콘 연결 수단(723)을 포함하는 축방향 내측 단부를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
  15. 제 11 항에 있어서,
    단부 플랜지(806, 906);
    상기 단부 플랜지와 일체인 제 1 단부 및 상기 케이스 단부의 넥(805)의 축방향 외측 단부에 연결된 제 2 단부를 갖는 상기 단부 플랜지의 넥(805);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단부 플랜지 및 상기 단부 플랜지내의 원통형 개구;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부를 밀봉되게 수용하는 내부 직경의 벽을 갖는 원통형 개구를 갖는 상기 단부 플랜지의 축방향 외부 표면내의 축방향 외부로 돌출하는 요소(82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외부 표면 및 상기 단부 플랜지의 넥의 원통형 내부 표면 및 상기 단부 플랜지 일부분의 원통형 내부 표면 사이에 보이드(721)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단부 플랜지의 넥 및 상기 단부 플랜지의 상기 부분 내에 있는 상기 원통형 개구가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외부 표면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코리올리 유량계.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유동관의 종축에 평행한 벽(712)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벽의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원통형 벽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상기 케이스 단부(70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단부의 외부 표면은 상기 케이스 단부내의 개구와 동축인 넥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단부내의 개구는 상기 콘 연결 수단(723) 및, 상기 케이스 단부 너머로 축방향 외부로 돌출하는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상기 부분(701L, 701R)을 수용하고,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외부 표면과 상기 넥의 내부 표면사이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보이드(721)를 형성하도록 상기 넥(722)이 상기 유동관의 외부 표면보다 큰 직경의 원통형 내부 표면을 갖는,
    코리올리 유량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가 파이프라인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상기 말단에 연결되는 단부 플랜지(806)를 더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유동관의 종축에 평행하게 배향된 원통형 벽(9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 단부(928)의 벽이 굽어지고 상기 원통형 벽에 대한 수직으로부터 오프셋되고;
    상기 케이스 단부의 굽어진 부분의 내부 표면은 상기 원형 콘 연결 수단(923)의 반경방향 가장자리(932)를 수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관 및 상기 유동관 연장부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콘 연결 수단의 중심 개구를 통해 그리고 상기 케이스 단부의 넥의 공동을 통해 상기 넥 너머로 축방향 외부의 유동관 연장부 말단(907)까지 연장되는,
    코리올리 유량계.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은 상기 케이스 단부로부터 축방향 외부의 부분에 부착물이 없는,
    코리올리 유량계.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가 파이프 라인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907)에 결합된 단부 플랜지(906)를 더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상기 유동관 중심부의 종축에 평행하게 배열된 원통형 벽(9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 단부의 벽이 상기 원통형 벽에 대한 수직으로부터 오프셋된 곡선부(928)를 가지며;
    상기 원형 콘 연결 수단의 외부 가장자리(1129)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 단부의 축방향 내측 부분의 내부 표면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유동관 및 상기 유동관 연장부는 상기 케이스의 길이로 뻗으며 상기 콘 연결 수단(1123)의 중심 개구를 통해 뻗으며 또한 상기 케이스 단부의 넥(924)의 공동(930)을 통해 상기 넥 너머로 축방향 외부의 유동관 연장부 말단(907)까지 연장되는,
    코리올리 유량계.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각 단부 부분의 말단(907)에 상기 케이스 단부로부터 축방향 바깥의 어떠한 구조물도 부착되지 않은,
    코리올리 유량계.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가 파이프 라인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에 결합되는 단부 플랜지(906)를 더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1 항에 있어서,
    단부 플랜지(906);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상기 단부 부분의 말단(907)을 수용하는 단부 플랜지내의 원통형 개구;
    상기 단부 플랜지의 축방향 내측 부분과 일체인 제 1 단부 및 상기 케이스 단부의 상기 넥(924)의 축방향 외측 단부에 연결된 축방향 내측 단부를 갖는 상기 단부 플랜지의 넥(9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부 플랜지 및 상기 단부 플랜지의 넥은 모두 상기 유동관 연장부와 동축인 원통형 내부 표면을 가지며;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단부 부분의 외부 표면과 상기 단부 플랜지의 넥의 상기 원통형 내부 표면과 상기 단부 플랜지의 축방향 내부 부분 사이에 보이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단부 플랜지의 넥과 상기 단부 플랜지의 축방향 내부 부분에 있는 상기 원통형 내부 표면 개구가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외부 표면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단부 플랜지의 축방향 외측 부분은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을 밀봉되게 수용하도록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직경과 유사한 직경의 내벽을 갖는 중심 개구를 갖는 축방향 돌출 요소(927)를 형성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케이스 연결 링크(110)는,
    서로 각이 지도록 배향된 두 개의 레그(1107, 1108)를 형성하는 벤드를 중간부분에 구비한 평평하고 길다란 부재;
    상기 평형 바아의 단부(1105)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레그 중 첫번째 레그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1105);
    상기 평형 바아의 단부(1105)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을 연결하는 일련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콘 연결 수단의 표면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레그 중 두번째 레그의 축방향 외측 단부(1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일련의 경로는 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의 제 1 및 제 2 레그(1107, 1108) 및 상기 콘 연결 수단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레그(1107, 1108)가 서로 실질적으로 90도로 배향되는,
    코리올리 유량계.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907)에 상기 케이스 단부로부터 축방향 외측의 어떠한 구조물도 부착되지 않은,
    코리올리 유량계.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올리 유량계가 파이프라인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907)에 연결되는 단부 플랜지(906)를 더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는,
    평평하고 길다란 곡선 부재;
    상기 평형 바아의 단부(1105)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곡선 부재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1105);
    상기 평형 바아의 상기 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벽(1129)을 연결하는 일련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콘 연결 수단의 표면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곡선 부재의 축방향 외측 단부(110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련의 경로는 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 및 상기 콘 연결 수단의 일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리올리 유량계.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가,
    하나 이상의 벤드를 갖는 길다란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길다란 부재의 제 1 단부는 상기 평형 바아의 단부(1105)에 연결되고;
    상기 길다란 부재의 제 2 단부는 상기 평형 바아의 상기 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벽을 연결하는 일련의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콘 연결 수단의 표면에 연결되며;
    상기 일련의 경로는 상기 케이스 연결 링크 및 상기 콘 연결 수단의 일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리올리 유량계.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콘 연결 수단은 상기 케이스 단부와 맞물리는 반경방향 외측 부분 및 상기 유동관에 단단히 부착되는 반경방향 내측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리올리 유량계.
  32. 밸런스 바아(702) 및 유동관(701)을 갖춘 코리올리 유량계(700)의 제조방법으로서,
    브레이스 바아를 이용하여 유동관에 평형 바아의 단부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유동관 및 상기 평형 바아를, 상기 평형 바아가 상기 유동관의 중심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케이스(703)로 둘러싸는 단계;
    복수의 케이스 연결 링크(710)를 이용하여 상기 평형 바아(702)를 상기 케이스의 내벽(712)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케이스 연결 링크는 상기 브레이스 바아 및 상기 평형 바아 단부가 구동 평면내에서 상기 유동관의 종축에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유동관의 연장부와 동축인 중심을 갖는 케이스의 단부(704) 상에 원통형 넥(722)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넥은 상기 케이스 단부 너머로 돌출하는 유동관 연장부를 둘러싸며, 상기 넥은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내부 원통 표면을 가지며;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단부 부분의 외부 표면과 상기 넥의 원통 내부 표면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넥 내의 원형 공동(721)을 형성하는 단계;
    외측 원통형 표면 및 내측 원통형 표면을 갖는 원통형 콘 연결부(723)를 상기 각 케이스 단부(704)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동관 연장부에 그리고 상기 넥(722)의 상기 내부 원통 표면에 상기 콘 연결부(723)를 밀봉되게 연결하는 단계;
    상기 유동관 연장부가 상기 각 케이스 단부의 개구를 통해 상기 일정 직경으로 각각의 상기 케이스 단부 너머로 상기 유동관 연장부의 말단까지 돌출하도록 상기 케이스 단부의 하나의 개구로부터 상기 케이스 단부의 다른 개구로 상기 유동관 및 상기 유동관 연장부를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을 상기 유동관의 전체 길이에 대해 일정한 직경으로 연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 연장부를 상기 각 케이스 단부내의 원통형 콘 연결 요소를 통해 연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 연장부에 단부 플랜지(806)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방법.
  36. 청구항 3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콘 연결부를, 상기 케이스 단부에 맞물리는 반경방향 외측부분 및 상기 유동관에 단단히 부착되는 반경방향 내측부분을 갖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리올리 유량계의 제조방법.
KR10-2001-7016701A 1999-06-30 2000-06-13 코리올리 유량계를 케이스에 연결하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08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45,075 US6343517B1 (en) 1999-06-30 1999-06-30 Apparatus for connecting a coriolis flowmeter flow tube to a flowmeter case
US09/345,075 1999-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598A KR20020038598A (ko) 2002-05-23
KR100508987B1 true KR100508987B1 (ko) 2005-08-18

Family

ID=2335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701A KR100508987B1 (ko) 1999-06-30 2000-06-13 코리올리 유량계를 케이스에 연결하는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6343517B1 (ko)
EP (1) EP1190223B1 (ko)
JP (2) JP4870299B2 (ko)
KR (1) KR100508987B1 (ko)
CN (1) CN1185469C (ko)
AR (2) AR024619A1 (ko)
AU (1) AU767546B2 (ko)
BR (1) BRPI0011791B1 (ko)
CA (1) CA2377991C (ko)
DK (1) DK1190223T3 (ko)
HK (1) HK1047316B (ko)
MX (1) MXPA01013266A (ko)
MY (1) MY124760A (ko)
PL (1) PL196964B1 (ko)
RU (1) RU2249183C2 (ko)
WO (1) WO20010028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6651B1 (en) * 1999-07-22 2003-02-11 Analog Devices, Inc. Coriolis effect transducer
US6606570B2 (en) * 2000-11-29 2003-08-12 Micro Motion, Inc. Remote coriolis flowmeter sizing and ordering system
CN100387943C (zh) * 2002-05-08 2008-05-14 恩德斯+豪斯流量技术股份有限公司 振动转换器
US6782333B2 (en) * 2002-05-31 2004-08-24 Micro Motion, Inc. Meter calibration system and apparatus
DE10233307B4 (de) * 2002-07-22 2005-06-16 Krohne Ag Massendurchflußmeßgerät
DE10354373A1 (de) * 2003-11-20 2005-06-16 Endress + Hauser Flowtec Ag, Reinach Messaufnehmer vom Vibrationstyp
WO2006014153A1 (en) * 2004-07-01 2006-02-09 Micro Motion, Inc. Split balance weights for eliminating density effect on flow
US8109154B2 (en) * 2008-03-25 2012-02-07 Micro Motion, Inc. Dual-driver vibratory flowmeter
JP5582737B2 (ja) * 2009-07-03 2014-09-03 株式会社キーエンス コリオリ質量流量計
WO2015085025A1 (en) * 2013-12-04 2015-06-11 Gilbarco Inc. Fuel dispenser coriolis flow meter
EP3992590A1 (de) * 2020-10-27 2022-05-04 Heinrichs Messtechnik GmbH Coriolis-durchflussmessgerä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21104631A1 (de) * 2021-02-26 2022-09-01 Endress+Hauser Flowtec Ag Meß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1801A (en) * 1983-06-15 1986-02-25 Mks Instrument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tridge unit for establishing controlled laminar-flow conditions
DE3534288A1 (de) * 1985-09-26 1987-04-02 Danfoss As Massendurchfluss-messgeraet nach dem coriolis-prinzip
US4831885A (en) * 1986-04-28 1989-05-23 Dahlin Erik B Acoustic wave supressor for Coriolis flow meter
US5497665A (en) 1991-02-05 1996-03-12 Direct Measurement Corporation Coriolis mass flow rate meter having adjustable pressure and density sensitivity
DE4124295A1 (de) 1991-07-22 1993-01-28 Krohne Ag Massendurchflussmessgeraet
JP2977114B2 (ja) * 1994-01-27 1999-11-10 株式会社オーバル コリオリ流量計
JP2786829B2 (ja) * 1995-05-02 1998-08-13 株式会社オーバル コリオリ流量計
US5691485A (en) 1994-06-06 1997-11-25 Oval Corporation Coaxial double tube type Coriolis flowmeter
JP2786812B2 (ja) * 1994-06-06 1998-08-13 株式会社オーバル コリオリ流量計
US5604316A (en) * 1994-10-19 1997-02-18 Alonso; Joey G. Multiple phase coriolis mass meter
JPH08247816A (ja) 1995-03-09 1996-09-27 Fuji Electric Co Ltd 質量流量計
EP0759542B1 (en) 1995-08-21 2004-11-10 Oval Corporation Coriolis flowmeter
JPH09113330A (ja) * 1995-10-19 1997-05-02 Tokico Ltd 振動式測定装置
JPH10221148A (ja) * 1997-02-07 1998-08-21 Fuji Electric Co Ltd 振動型測定器
DE19825775A1 (de) 1997-10-07 1999-05-12 Krohne Ag Massendurchflußmeßgerät
US5979246A (en) * 1998-02-09 1999-11-09 Micro Motion, Inc. Spring rate balancing of the flow tube and a balance bar in a straight tube Coriolis flow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96964B1 (pl) 2008-02-29
JP4870299B2 (ja) 2012-02-08
AR024619A1 (es) 2002-10-16
EP1190223B1 (en) 2013-08-07
MXPA01013266A (es) 2002-06-21
CA2377991C (en) 2005-05-24
KR20020038598A (ko) 2002-05-23
PL352688A1 (en) 2003-09-08
EP1190223A1 (en) 2002-03-27
DK1190223T3 (da) 2013-10-21
AU767546B2 (en) 2003-11-13
CN1371473A (zh) 2002-09-25
HK1047316B (zh) 2005-09-02
AR052937A1 (es) 2007-04-11
MY124760A (en) 2006-07-31
BR0011791A (pt) 2002-05-21
JP2010164580A (ja) 2010-07-29
CN1185469C (zh) 2005-01-19
WO2001002814A1 (en) 2001-01-11
HK1047316A1 (en) 2003-02-14
AU5607800A (en) 2001-01-22
US6718615B2 (en) 2004-04-13
JP2003503721A (ja) 2003-01-28
US20020014125A1 (en) 2002-02-07
RU2249183C2 (ru) 2005-03-27
US6343517B1 (en) 2002-02-05
BRPI0011791B1 (pt) 2016-07-12
CA2377991A1 (en) 200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64580A (ja) コリオリ流量計をケースに連結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EP0966654B1 (en) Dual loop coriolis effect mass flowmeter
EP1194747B1 (en) Coriolis flowmeter having a casing with a protective outer layer
US537000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tress in the brace bar of a Coriolis effect mass flow meter
JPH06201428A (ja) コリオリ式質量流量計
JP3550363B2 (ja) コリオリ流量計の横モードのスタビライザー
EP1490658B1 (en) Balance bar having a reduced axial thermal stress resulting from high temperature manufacturing methods
JP4481544B2 (ja) コリオリ流量計のバランスバー
KR100447832B1 (ko) 곧은 관 코리올리 유량계용 낮은 열응력 케이스 커넥트 링크
CN115046604A (zh) 一体式科里奥利质量流量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