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476B1 - 엘시디 유리 보호필름 - Google Patents

엘시디 유리 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476B1
KR100508476B1 KR10-2003-0054197A KR20030054197A KR100508476B1 KR 100508476 B1 KR100508476 B1 KR 100508476B1 KR 20030054197 A KR20030054197 A KR 20030054197A KR 100508476 B1 KR100508476 B1 KR 100508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polymer
weight
lcd glass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4887A (ko
Inventor
이수영
심재헌
유석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Publication of KR2004010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시디 유리면에 약 점착성을 보이는 폴리머층을 외 일면으로 하고, 필름끼리 맞대로 가입시 비 점착성을 보이는 층을 간지가 불필요한 외 타면으로 조성하고; 엘시디 유리면 점착층 조성재는, 에틸렌; 프로필렌; 알파올레핀모노머를 포함하는 올레핀계모노머의 단일중합물 및 2개 이상의 올레핀계모노머들의 공중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올레핀계모노머와 극성모노모머 2이상이 공중합된 공중합물; 접착제에서 택키파이어로 분리되는 폴리머들 중의 하나 이상이고; 가압시 필름간에 비 점착성을 보이는 층은, 녹는점 130℃ 이상의 폴리머 20중량부 이상과 무기재료 3중량부 이상 포함시킨 폴리머 필름층이나 부직포 및 종이 층으로 하여 간지가 필요없도록 한 것이 특징인 엘시디 유리 보호 필름이다.

Description

엘시디 유리 보호필름 {LCD glass protection film}
본 발명은 간지가 필요 없게 하는 엘시디 유리(LCD glass)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엘시디 유리는 액정 화면의 기판으로 유리 일면에 액정 회로를 부가하고 구동회로에 접속하여 문자와 이미지를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엘시디 유리 보호 필름은 엘시디용 유리의 제조 공정에서 판유리 양면에 약 점착 상태로 점착시키며, 엘시디를 포함하는 제품의 제조라인 및 제품의 유통과정에서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제조된 필름이 공급되지 못하므로 전량 수입 제품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 점착'이라 함은 필름이 유리면에 안정하고 약한 점착력으로 점착된 후 박리시 유리면에 접착제등 부착물을 남기지 않고 용이하게 분리되는 부착상태이다.
종래의 엘시디 유리 유통과정 또는 엘시디 유리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도1과 같이 엘시디 유리를 취급 할 때 얇은 엘시디 유리(g) 양면에 보호필름(f,f)을 약 점착 상태로 점착 시킨 후, 유리(g)를 기울여 세우거나 중첩시킨 상태에서 엘시디 유리를 한 장씩 옮길 때 엘시디 유리판(g)의 보호 필름(f)이 서로 늘어붙어 필름(f)이 유리에서 분리되거나, 다른 엘시디 유리가 옮기는 엘시디 유리에 붙어오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필름과 필름사이에 종이(p, 종이)를 끼워 넣고 있다. 이와 같은 보호필름은 간지의 사용으로 자원을 낭비하고, 환경 비친화적 이고, 작업환경을 복잡하게 하고, 엘시디 유리 취급을 번거롭게 하는 것이었다. 종래의 엘시디유리 보호필름의 기술로 미국특허 US5,100,709호; US6,040,046호; US6,387,481B1호; US6,326,081B1호 등이 개시되고 있으나, 상기 US특허 제품들도 실제로 간지를 사용 사용하고 있으며, 엘시디 유리 보호필름에 간지가 필요 없는 정도로 약 점착 보호 필름간의 비 점착 특성을 부여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간지가 불필요한 엘시디 유리 보호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유리에 대한 약 점착층과 유리 비 점착층을 포함하는 2층 이상이 복합된 엘시디 유리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 필름의 외 일면은 엘시디 유리면에 부착되는 약 점착성을 보이고, 외 타면은 가압시 필름간에 비 점착성을 보여서 엘시디 유리 운반시 한 장씩 잘 분리되도록 하는 복합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 필름의 비 점착성을 보이는 일면은 종래 엘시디 유리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간지와 같이 필름간의 접착을 차단하여 간지가 불필요한 엘시디 유리 복합필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2층 이상의 층 구조를 구비한 복합필름 구성되는 엘시디 유리보호 필름이다.
본 발명 층 구조는 유리면에 약 점착성을 보이는 폴리머 점착층과; 필름끼리 접착을 차단하는 폴리머 비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의 외면 유광면으로 구성되었다.
본 발명 보호필름의 유광면을 엘시디 유리면에 밀착 시키면 엘시디 보호필름이 자기 점착력으로 유리면에 미약한 접착력으로 점착된다. 엘시디 보호필름을 부착한 유리들을 적층 했을 때 비 점착층 끼리 맞닿게 되어 필름간의 접착이 차단되므로 엘시디 유리 제조 공정에서 간지가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 폴리머 비 점착층은 다중 압출기에서 점착층과 동시에 공압출 하거나; 점착층에 압출라미네이션 하여 부여된다.
본 발명 폴리머 비 점착층은, 맞닿은 필름간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비 점착층 외면 무광면에 엠보싱 조면을 부가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때때로 상기 비 점착층의 외면에 부가한 무광면을 포함한다. 비 점착층 표면의 무광면은 미세한 조면에 의해 조성되는 것으로 필름끼리 접촉했을 때 필름간에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고, 많은 마이크로에어셀을 조성하여 필름의 분리 특성을 향상시킨다. 폴리머 비 점착면의 무광면은, 냉각롤의 조면을 필름의 표면에 전사하여 조성하는 무광면과, 비 점착면 재료의 조성에 의한 조성되는 무광면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 두가지 무광면 모두 사용된다.
본 발명 상기 폴리머 비 점착층은, 100중량부의 폴리머 비 점착층 중에; 녹는점 130℃ 이상인 폴리머 20~100중량부; 무기재 3~70중량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시켜 엠보싱 처리없이 비 점착층의 외면을 무광면으로 조성한다. 비 점착층에 조성된 무광면은 접촉된 비 점착층 외면간의 비 점착성을 강화한다.
본 발명 다른 폴리머 비 점착층은, 100중량부의 폴리머 비 점착층 중에; 용융유동지수(MFI, melt flow index) 1g/10min이하인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20~70중량부를 포함시켜 엠보싱 처리 없이 무광면을 조성한다. 이 경우에도 비 점착층에 조성된 무광면은 접촉된 비 점착층 외면간의 비 점착성을 강화한다.
본 발명 다른 폴리머 비 점착층은, 100중량부인 폴리머 비 점착층 중에; CaCO3를 20~70중량부 포함시켜 비 점착층 외면에 무광면을 조성하거나;
또는 100중량부인 폴리머 비 점착층 중에; CaCO3를 20~70중량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5~50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ABS) 5~50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PC, Poly Carbonate) 5~50중량부; 폴리스틸렌(PS) 5~50중량부; 중에서 한가지 이상을 포함시켜 엠보싱 처리 없이 비 점착층 외면에 무광면을 조성한다. 이 경우에도 비 점착층에 조성된 무광면은 접촉된 비 점착층 외면간의 비 점착 특성을 강화한다.
본 발명 상기 폴리머 약 점착층은, 에틸렌; 프로필렌; 알파올레핀모노머를 포함하는 올레핀계모노머의 단일중합물 및 2개 이상의 올레핀계모노머들의 공중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올레핀계모노머와 극성모노모머 2이상이 공중합된 공중합물; 접착제에서 택키파이어로 분리되는 폴리머 들 중의 하나 이상으로 성형한다. 상기 텍키파이어에, 석유수지; 로진에스터; 하이드로 게네이티드 하이드로카본;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틸렌 및 아모포스폴리올레핀계폴리머를 포함한다.
다층 필름제조라인에서 상기 폴리머 약 점착층과 폴리머 비 점착층을 동시에 압출 성형하자면, 100중량부의 폴리머 비 점착층 중에 녹는점 130℃ 이상의 원료가 적어도 20중량부 이상 100중량부 이하의 범위내에서 포함되고, 무기재가 적어도 3중량부 이상 70중량부 이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녹는점 130℃ 미만의 폴리머들은 성형 필름끼리 맞 대고 압착 할 때 블로킹 현상을 유발하므로 폴리머 비 점착층 중에 70중량부 이상 포함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비 점착층에서 필름간 비 점착성을 나타내고 비 점착층 외면에 무광면을 부여하는 녹는점 130℃ 이상인 폴리머들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과 올레핀계 모노머의 공중합물, 폴리스티렌, 스티렌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공중합물,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등이 있다.
상기 무기재는 탄산칼슘, SiO2(실리카), 맥반석, 황산바륨, 탈크, 제올라이트, 생석회(CaO), 활성탄을 포함하는 입자크기가 0.1~100㎛인 무기재 들과, 이와 유사하게 입경 0.1~100㎛인 목분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머 비 점착층에 포함되는 무기재 들은 필름 표면에 조면을 조성하여 폴리머 필름간의 비 점착 성질을 부여한다.
본 발명 폴리머 비 점착층은, 계면활성 유도수단을 포함하는 비 점착층으로 보강되거나 대체 될 수 있다. 비 점착층의 계면활성 유도재로는, 슬립제; 대전방지제; 실리콘오일을 포함하는 윤활성 재료들이다. 폴리머 비 점착층에 윤활성 재료들을 포함시키므로 필름간의 비 점착성을 부여한다.
다른 계면활성 유도수단으로, 바인더폴리머, 슬립제, 대전방지제, 실리콘, 윤활제 중의 하나를 무광면에 코팅하여 폴리머 비 점착층에 필름간의 비 점착 성질을 부여한다.
본 발명 필름간의 점착을 차단하는 다른 비 점착층은, 유리 약 점착층의 필름의 일면에 부착된 비 점착성 시트류로 대체될 수 있다. 비 점착성 시트로서 부직포와, 종이류가 있다. 비 점착성 시트는 점착층 필름에 비 점착성 시트를 압출라미네이션 합지하여 제조된다. 부직포는 표면이 불규칙한 섬유조직으로 본 발명 비 점착층으로 좋은 특성을 가진다. 부직포는 생산시에 부직포 표면을 엠보싱 처리 하는데, 부직포가 두꺼울 수록 엠보싱 깊이가 깊어져 부직포를 점착층 필름에 압출라미네이션 할 때 엠보싱 패턴이 약 점착층 유광면에 나타나 점착층의 점착성을 저해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직포는 부직포의 섬유조직이 점착층의 유광면에 간섭되지 않는 박형 부직포를 사용한다. 박형 부직포는 폴리머용량 20g/㎡이하의 부직포이다. 상기 비 점착층을 시트로 사용될 수 있는 부직포로는,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멜트브로운부직포,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와 멜트브로운이 조합된 부직포, 폴리프로필렌서멀본드부직포, 나일론계부직포, 폴리에스테르계부직포, 스펀레이스부직포, 에어레이드부직포, 폴리프로필렌 과 폴리에틸렌이 혼합된 바이콤포넌드부직포, 비스코스원사를 포함하는 부직포, 상기 재료들의 원사들이 혼합되어 형성된 부직포가 있다. 이들 부직포 중 본 발명 비 점착층 시트로 바람직한 부직포는 저가이고 강도가 강한 폴리프로필렌스펀본드이다.
본 발명에서 비 점착층을 부직포 대신에 종이나 티슈로 할 수 있다. 종이류는 엘시디 유리보호 필름의 재활용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도2(A)에 본 발명 유리 점착층과 비 점착층의 동시성형 필름(10)의 단면 구조를 인용하였다. 필름의 제1면은 엘시디 표면에 점착되는 점착층(11)으로 조성된다. 제2면은 필름끼리 맞 대고 가압 했을 때 점착되지 않는 비 점착층(12)으로 조성된다. 도2(B)는 3층 구조로 제조된 본 발명 필름(20)의 단면도이다. 필름의 제1면은 엘시디 표면에 점착성을 보이는 점착층(21)으로 조성되고, 제2면은 필름끼리 맞 대고 가압 했을 때 점착되지 않는 비 점착층(22)으로 조성되고, 제1면과 제2면 사이에 중간층(23)이 성형되어 있다. 중간층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도2의 복합 필름은 도3과 같은 다중 압출기에서 성형된다. 도3의 장치에서 압출기(101,102,103)에 각각 다른 재료를 투입하여 녹히고, 용융된 플라스틱을 하나의 다이스(110)에서 압출하여 특성이 상이한 폴리머층이 적층된 복합 필름을 압출 성형하고, 냉각롤(121,122)에서 냉각하여 와인더(130)에 권취한다. 냉각롤은 스틸롤로만 냉각하거나 또는 일측 롤을 스틸롤(121)로 설치하고 타측 롤을 고무롤 또는 표면처리 되거나 엠보싱 처리된 스틸롤(122)로 설치한다. 도5에서의 냉각롤 은 범용 필름 생산시설의 냉각롤이며, 냉각롤 쌍의 일측 롤을 고무롤로 설치하면 고무롤에 압접되는 필름 표면에 무광이 조성된다. 상기 고무롤(122)은 생략할 수 있다.
고무롤이나 엠보싱 처리된 스틸롤로써 필름표면에 무광면을 조성하는 처리장치는 도3의 냉각롤 구조와 같다. 이러한 무광처리 기술은 종래부터 일회용 기저귀의 백시트 생산시 시설에서 자주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성형되는 용융 필름을 냉각시에 무광처리된 스틸롤이나 고무롤로써 필름을 냉각시켜주면서 필름 표면에 조면을 전사한다.
도5는 폴리머 약 점착층에 필름 비 점착 시트류를 합지하는 장치도이다. 도5에서 유리 점착층 폴리머가 압출기(101b)에서 용융되고 다이스에서 필름으로 성형되고, 형성된 용융 필름(21b)이 냉각 스틸롤(122a)에서 냉각 될 때 냉각 스틸롤과 압착 고무롤(121a) 사이에 비 점착 시트를 공급하여, 폴리머 점착층에 비 점착 시트를 합지한다. 상기 냉각 스틸롤(122a) 표면은 매끄러울수록 점착층의 점착 특성이 양호해 진다.
도6에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점착층 필름에 부직포를 합지하는 장치를 인용하였다. 도6에서 유리 점착성 플라스틱 필름(21c)에 그라이비아 코팅롤(51c,52c)에서 10g/㎡용량으로 접착제(31c)를 코팅하고, 드라이챔버(55c)에서 섭씨 150도로 건조 시킨다음, 합지롤(121c,122c)에서 가열 가압 하여 15g/㎡인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41c)를 필름(21c)에 접착하여 부직포 합지한다.
실시 예 1 :
도3의 다중압출기에서; 저밀도폴리에틸렌 30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물(비닐아세테이트함량15%) 65.5중량부, 석유수지(코오롱유화사 HP-100) 1중량부, 폴리부텐(대림산업사 PD-1300) 0.5중량부를 압출기(103)에서 유리 점착층을 재료를 녹이고;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중간층(23) 재료로 압출기(102)에서 녹이고; 저밀도 폴리에틸렌 39.9중량부, 고밀도 폴리프로필렌 40중량부, CaCO3 20중량부, 슬립제(에룩아마이드) 0.1중량부를 비 점착층 재료로 압출기(101)에서 혼합하고 녹이고, 이들 3층 재료를 다이스(110)에서 3층 필름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복합 필름의 층별 두께 할당은 엘시디 유리 점착층 20%, 중간층이 60%, 엘시디 유리 비 점착층 20%로 하고 3층 복합 필름의 폴리머 용량을 25g/㎡로 하였다. 상기 성형 필름의 점착층은 스틸롤(122)에서 냉각시키고, 비 점착층은 고무롤(121)에서 냉각시켜 필름의 표면을 무광처리 하고 와인더에 권취하였다.
본 실시 예 에서 제조된 필름을 절단하고, 상기 엘시디 유리 점착층을 엘시디용 유리면에 포개어 브러시로 밀어 붙였을 때 유리면에 안정하게 점착 되었다. 상기 점착 필름은 손으로 분리시켰을 때 유리면에서 쉽게 박리 되었다. 보호필름이 부착된 엘시디 유리를 비 점착층이 맞닿게 포개어 쌓고, 24시간 5㎏/㎠의 압력을 가한 후 엘시디 유리를 분리하면서 필름간의 비 점착성을 관찰하였다. 상기 분리동작에서 유리면에 점착시킨 필름의 점착 상태가 변동 없이 보존되었다. 또한 엘시디 유리 제조공정에서 본 발명의 필름을 유리표면에 점착시키고 비 점착 특성을 관찰하였다. 엘시디용 유리를 한 장씩 옮길 때 간지가 필요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시 예 2 :
도4의 다중압출기(101a, 102a, 103a)에 모두 같은 실시예 1의 점착층 조성 재료를 넣고 다이스(110a)에서 40g/㎡로 압출 성형하면서; 냉각롤(121a, 122a)에 15g/㎡인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41a)를 공급하여 약 점착층(21a)에 부직포(41a)가 압출라미네이션된 부직포 합지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 예 에서 제조된 필름으로 비 점착층의 비 점착 특성을 시험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 예 3 :
실시 예1에서 비 점착층을 저밀도 폴리에틸렌 88중량부, 탄산칼슘 2중량부; 폴리프로필렌 10중량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 예1과 같은 조성재료를 압출기(101, 102, 103)에서 녹이고, 다이스(110)에서 필름으로 성형하고, 냉각롤(121,122)에서 냉각시켜 보호필름을 제조하여 와인더(13)에 롤상으로 권취 하였다. 제조된 보호필름을 절단하여 엘시디 유리 제조공정에서 유리면에 점착시키고, 보호필름이 점착된 유리판을 쌓아놓고, 엘시디 유리를 한 장식 옮겨 보았다. 비 점착 특성 시험결과 엘시디 유리를 한 장씩 옮길 때 보호필름 끼리 늘어붙어 두장씩 옮겨지는 경우가 발견되었다. 실시예 3의 보호필름은 간지의 사용이 필요한 보호필름임을 확인하였다.
실시 예 4 :
실시예 1에서 비 점착층의 원료를 용융유동지수가 0.2g/10min 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48.5중량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물 48.5중량부; 칼슘카보네이트 3중량부로 한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재료를 압출기에서 녹이고; 필름의 냉각롤은 스틸롤을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제조된 필름은 비 점착층 필름표면을 고무롤로써 냉각 시키지 않았음에도 무광면이 조성되었고, 실시예 1과 같은 비 점착 특성을 확인하였다.
실시 예 5 :
실시예 4에서 비 점착층의 재료를 저밀도 폴리에틸렌 40중량부; 고밀도 폴리에틸렌 20중량부; 탄산칼슘 40중량부 한 것 외에는 실시예 4와 같이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보호필름의 비 점착층에 무광표면이 형성되었다. 상기 엘시디 유리 점착층을 엘시디용 유리면에 포개고 브러시로 밀어 붙였을 때 복합 필름이 유리면에 안정하게 약 점착 상태로 점착 되었다. 상기 점착 필름은 유리면에서 손으로 분리시켰을 때 용이하게 박리 되었다. 보호필름이 부착된 엘시디 유리를 부직포면이 맞닿게 포개고 24시간 5㎏/㎠의 압력을 가한 후 엘시디 유리를 분리하면서 필름간의 비 점착성 특성을 관찰하였다. 상기 분리동작에서 유리면에 점착시킨 필름의 점착 상태가 변동 없이 보존되었다.
실시 예 6 :
저밀도폴리에틸렌 30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물(비닐아세테이트함량15%) 65.5중량부; 석유수지(코오롱유화사 HP-100) 1중량부; 폴리부텐(대림산업사 PD-1300) 0.5중량부를 재료로 폴리머용량 25g/㎡인 점착성 필름을 성형하고; 제조된 필름(21c)을 도6의 합지장치의 그라이비아 코팅롤(51c,52c)에서 10g/㎡용량으로 접착제(31c)를 코팅하고, 드라이챔버(55c)에서 섭씨 150도로 건조시킨 다음, 합지롤(121c,122c)에서 가열 가압 하여 15g/㎡인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부직포(41c)를 필름(21c)일면에 접착하여 부직포 합지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 예 에서 제조된 필름은, 상기 엘시디 유리 점착층을 엘시디용 유리면에 포개고 브러시로 밀어 붙였을 때 복합 필름이 유리면에 안정하게 약 점착 상태로 점착 되었다. 상기 점착 필름은 유리면에서 손으로 분리시켰을 때 용이하게 박리 되었다. 점착 필름 박리된 유리면은 잔류물이 남지 않았다. 보호필름이 부착된 엘시디 유리를 부직포면이 맞 닿게 포개고 24시간 5㎏/㎠의 압력을 가한 후 엘시디 유리를 분리하면서 필름간의 비 점착 특성을 관찰하였다. 상기 분리동작에서 유리면에 점착시킨 필름의 점착 상태가 변동 없이 보존되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간지가 불필요한 엘시디 유리 보호 필름을 제공하고, 엘시디 유리 보호 필름은 필름의 외 일면이 엘시디 유리면에 약한 점착력으로 점착되는 약 점착성을 보이고, 외 타면이 가압시 필름간에 비 점착성을 보이는 엘시디 유리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도1은 보호필름을 부착한 LCD 유리를 다수를 기울여 세운 상태도
도2(A)는 본 발명 2층필름의 확대단면도, (B)는 3층필름의 확대 단면도
도3은 복합필름 성형을 위한 다중 압출 성형장치 구성도
도4 (A)는 다중 압출기에서 부직포를 합지 하는 장치도, (B)는 동 장치에서 제조된 보호필름의 확대 단면도
도5 (A)는 압출기에서 부직포를 합지 하는 장치도, (B)는 동 장치에서 제조된 보호필름의 확대 단면도
도6 (A)는 접착성 필름과 부직포를 접착제로 합지 하는 장치도, (B)는 동 장치에서 제조된 보호필름의 확대 단면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0,20은 복합필름, 11,21은 약 점착성 필름, 12,22는 비 점착성 필름, 101,102,103 압출기, 110은 다이스, 121,122는 냉각롤, 130는 와인더

Claims (11)

  1. 2 이상의 층 구조인 복합 필름이고, 복합필름의 일면이 유리 점착성 필름으로 된 것에 있어서, 유리면에 약한 점착성을 보이는 복합 필름 일면의 폴리머 약 점착층과; 약 점착층의 점착력을 강화하는 폴리머 점착층 외면의 유광면과; 필름끼리의 접착을 차단하는 폴리머 필름 타면의 비 점착층으로 구성하여 엘시디 유리 제조 공정에서 간지가 불필요 한 엘시디 유리 보호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비 점착층 재료인 폴리머 100중량부에 첨가재로서 무기재 3~70중량부 및 녹는점 130℃ 이상인 폴리머 20~100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첨가하여 엠보싱 처리없이 비 점착층 외면에 무광면을 조성한 엘시디 유리 보호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100중량부의 폴리머 비 점착층 중에; 용융유동지수(MFI, melt flow index) 1g/10min이하인 고밀도폴리에틸렌 20~70중량부를 포함시켜 엠보싱 처리 없이 비 점착층 외면에 무광면을 조성한 엘시디 유리보호 필름.
  4. 제2항에 있어서, 100중량부인 폴리머 비 점착층 중에; CaCO3 20~70중량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50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5~50중량부; 폴리카보네이트5~50중량부; 폴리스티렌 5~50중량부 중에서 한가지 이상을 포함시켜 엠보싱 처리 없이 비 점착층 외면에 무광면을 조성한 엘시디 유리보호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머 약 점착층은, 에틸렌; 프로필렌; 알파올레핀모노머를 포함하는 올레핀계모노머의 단일중합물 및 2개 이상의 올레핀계모노머들의 공중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올레핀계모노머와 극성모노모머 2이상이 공중합된 공중합물; 접착제에서 택키파이어로 분리되는 폴리머 들 중의 하나 이상으로 성형하여 되는 엘시디 유리 보호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폴리머 약 점착층은, 텍키파이어에, 석유수지; 로진에스터; 하이드로 게네이티드 하이드로카본;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틸렌 및 아모포스폴리올레핀계폴리머를 포함하는 엘시디 유리 보호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폴리머 비 점착층은 맞닿은 필름간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비 점착층 외면에 엠보싱 조면을 부가한 엘시디 유리 보호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폴리머 비 점착층에 계면활성 유도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엘시디 유리 보호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폴리머 비 점착층의 계면활성 유도재로서, 슬립제; 대전방지제; 실리콘오일을 포함하는 윤활성 재료 하나 이상을 포함시킨 것이 특징인 엘시디 유리 보호필름.
  10. 제8항에 있어서, 계면활성 유도수단으로, 바인더폴리머, 무기재, 슬립제, 대전방지제, 실리콘, 윤활제 중의 하나를 무광면에 코팅한 것이 특징인 엘시디 유리 보호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비 점착층은 유리 점착층의 일면에 부착된 부직포인 것이 특징인 엘시디 유리 보호 필름.
KR10-2003-0054197A 2003-06-04 2003-08-05 엘시디 유리 보호필름 KR100508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5970 2003-06-04
KR1020030035970 2003-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887A KR20040104887A (ko) 2004-12-13
KR100508476B1 true KR100508476B1 (ko) 2005-08-17

Family

ID=3738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197A KR100508476B1 (ko) 2003-06-04 2003-08-05 엘시디 유리 보호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8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247B1 (ko) 2006-11-27 2008-01-21 나노캠텍주식회사 피착면에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는 점착 보호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197B1 (ko) * 2006-06-20 2007-11-29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유리 보호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94174B1 (ko) 2017-01-16 2018-09-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면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247B1 (ko) 2006-11-27 2008-01-21 나노캠텍주식회사 피착면에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는 점착 보호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887A (ko) 2004-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241B1 (ko) 이형 표면을 갖는 보호 필름
US6579601B2 (en) Conformable multilayer films
WO2018186297A1 (ja) 高周波誘電加熱接着シート、及び高周波誘電加熱接着シートを用いてなる接着方法
CA2641975A1 (en) Stretchable elastic laminate and method of production
KR100508476B1 (ko) 엘시디 유리 보호필름
KR100776197B1 (ko) 유리 보호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508486B1 (ko) 엘시디 유리 보호필름
WO2003077026A1 (fr) Ecran
US20090068431A1 (en) One-Sided Tacky Polyolefin Film
CN109890882B (zh) 薄膜、卷绕体及粘合带
JP3359017B2 (ja) 加飾性熱可塑性樹脂シート
JP5771380B2 (ja) 共押出フィルムおよび複合材料の製造方法
JP2010143145A (ja) 共押出積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13730U (ja) 粘着剤付きプラスチツク段ボール
JP2023134934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21209898A1 (en) Adhesive article with strippable liner
CN117120261A (zh) 粘合性膜
JPH0985908A (ja) 非通気性多層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