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174B1 - 양면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양면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174B1
KR101894174B1 KR1020170007287A KR20170007287A KR101894174B1 KR 101894174 B1 KR101894174 B1 KR 101894174B1 KR 1020170007287 A KR1020170007287 A KR 1020170007287A KR 20170007287 A KR20170007287 A KR 20170007287A KR 101894174 B1 KR101894174 B1 KR 101894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base layer
double
width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331A (ko
Inventor
윤현식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쓰리디아이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쓰리디아이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7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174B1/ko
Publication of KR20180084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의 접착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양면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필름은 베이스층과 제1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층은 제1면과 반대측의 제2면을 갖고, 상기 제1패턴은 상기 제1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패턴은,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제1폭을 갖고,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긴 제2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제1폭보다 넓은 제2폭을 갖는 복수의 패턴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면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DOUBLE SIDED FIL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양면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 중 한쪽 면이 다른쪽 면과 상이한 접착성을 갖는 양면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면필름은 서로 다른 면을 갖는 필름으로서, 양면에 있어서의 물성이 상이한 경우 각종 장치나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유용하다. 예컨대, 양면필름의 한쪽 면은 강한 접착성을 갖고 다른쪽 면은 약한 접착성을 갖는 경우, 유리로 된 기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유용하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나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서 설명하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기판이 '유리'로 구성되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유리기판을 포개어 놓은 상태에서 취급한 후, 실제 패널공정을 위하여 유리기판상에 전극 등을 형성하려면 포개어 놓은 유리기판을 낱개로 분리해야 한다. 유리기판을 포개어 놓을 때 유리기판 표면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유리기판을 낱개로 분리할 때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유리기판의 표면에는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있다. 이 보호필름은 보호대상 유리기판에 대해서는 표면보호를 위하여 그 표면에 비교적 강하게 부착될 필요가 있지만, 보호대상 유리기판과 포개어지는 다른 인접하는 유리기판에 대해서는 강하게 부착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보호대상 유리기판이 추후 패널공정을 위하여 인접하는 유리기판으로부터 낱개로 분리될 때는, 인접하는 유리기판과의 부착성이 약할수록 용이하게 분리되어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양쪽 면의 접착성이 서로 다른 양면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등 여러가지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대단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양면의 접착성이 서로 다른 특별한 기능을 구비하는 양면필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서, 하기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것과 같은 종래기술이 있었으나, 상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하지 못하여 실질적으로 제조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4-010488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와 제조공정으로 양면의 접착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양면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면필름은 베이스층과 제1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층은 제1면과 반대측의 제2면을 갖고, 상기 제1패턴은 상기 제1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패턴은,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제1폭을 갖고,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긴 제2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제1폭보다 넓은 제2폭을 갖는 복수의 패턴들을 포함한다.
상기 양면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패턴들은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진다.
상기 양면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패턴들은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양면필름은 상기 제2면에 형성되는 제2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패턴은,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제3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제3폭을 갖고,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상기 제3거리보다 긴 제4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제3폭보다 좁은 제4폭을 갖는 복수의 패턴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패턴을 포함하는 양면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2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패턴들은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진다.
상기 제2패턴을 포함하는 양면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2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패턴들은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제2패턴을 포함하는 양면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1패턴 사이에 개재되는 제1층과, 상기 제2면과 상기 제2패턴 사이에 개재되는 제2층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층과, 상기 제1 및 제2패턴은 모두 동일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층과 상기 제1패턴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제1면에 형성된 코팅층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2층과 상기 제2패턴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제2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면의 코팅층과 동일한 재료의 코팅층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제2패턴을 포함하는 양면필름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 상기 제1 및 제2패턴은 모두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필름은, 보호하고자 하는 대상이 부착되는 방향에 있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 베이스층, 및 상기 제1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1패턴은,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제1폭을 갖고,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긴 제2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제1폭보다 넓은 제2폭을 갖는 복수의 패턴들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제2면에 형성되는 제2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패턴은,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제3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제3폭을 갖고,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상기 제3거리보다 긴 제4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제3폭보다 좁은 제4폭을 갖는 복수의 패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면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양면의 접착성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양면필름을 간단한 구조와 제조공정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이 양면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보호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양면필름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양면필름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양면필름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양면필름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양면필름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양면필름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과 베이스층(10)에 형성되는 제1패턴(20)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0)은 제1면(11)과 반대측의 제2면(12)을 포함한다. 제1면(11)에는 제1패턴(20)이 형성되는데 비하여, 제2면(12)은 대략 수평방향과 나란한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제1패턴(20)은 복수의 패턴(20a)들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턴(20a)은 베이스층(10)의 제1면(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면(11)으로부터 제1거리(d1)만큼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제1폭(w1)과, 제1면(11)으로부터 제2거리(d2)만큼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제2폭(w2)을 비교하면, 제1폭(w1)은 제2폭(w2) 보다 좁다.
이와 같이, 베이스층(10)의 제1면(11)에는 특수한 형상의 패턴(20a)이 형성되어 있고, 제2면(12)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면(11) 쪽의 접착력은 제2면(12) 쪽에 비하여 강한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도 3을 살펴보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마뱀의 발바닥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의 사진은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확대된 사진을 나타낸다. 즉, (b)는 (a)의 사각부분에 대한 확대사진이고, (c)는 (b)의 사각부분에 대한 확대사진이며, (d)는 (c)의 사각부분에 대한 확대사진이다.
도마뱀은 나무나 바위 등에 안정적으로 붙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도마뱀의 발바닥이 목표물에 대한 강한 부착력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도 3(특히,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마뱀의 발바닥은 목표물에 붙는 부분이 뭉뚝하게 튀어나와 있는 구조로 되어있는데, 이와 같이 뭉뚝하게 튀어나와 있는 발바닥의 구조가 도마뱀의 강한 부착력의 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채용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각 패턴(20a)이 베이스층(10)의 제1면(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은, 결국 대상물에 부착되는 부분으로 나아갈수록 표면적이 넓어져서, 마치 도마뱀의 발바닥에 있어서 목표물에 붙는 부분이 뭉뚝하게 튀어나온 것과 상응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1)은 도마뱀의 발바닥 구조를 응용한 패턴(20a)이 형성된 제1면(11) 쪽이, 특별한 수단을 강구하지 않은 제2면(12) 쪽에 비하여 강한 접착력을 갖게 된다.
베이스층(10)의 제1면(11)이 부착될 대상물을 향하여 그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서, 도 1에서 각 패턴(20a)은 대략 좌우 대칭의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사다리꼴의 형상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다리꼴의 형상이 아니더라도, 양면필름(1)이 부착될 대상물에 인접하는 부분이 넓은 표면적을 가져서, 도마뱀의 발바닥에 있어서 목표물에 붙는 부분이 뭉뚝하게 튀어나온 것과 상응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면, 각 패턴(20a)은 어떠한 형상을 갖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제1패턴(20)의 패턴(20a)들이 반드시 제1면(11) 전체에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강한 접착력을 부여할 필요가 있는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무방하다.
제1면(11)의 제1패턴(20)의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통하여 접착력을 부여하는 것에 더하여, 제1패턴(20)을 접착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더 강한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면필름(1)에 있어서 베이스층(10)과 제1패턴(20)을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한다. 베이스층(10)의 경우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펜타브로모페닐 메타크릴레이트)(poly(pentabromophenyl methacrylate)), 폴리티오메타크릴레이트(polythiometh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편광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 나노복합재(nanocomposit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노 복합재는 나노 입자(예를 들어, 이산화 티탄 나노 입자)가 고분자(예를 들어, 폴리이미드)에 분산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제1패턴(20)은 고무재질의 점착성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베이스층(10)의 제2면(12)에 비하여 더 강한 접착력이 생기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접착'이라는 용어는,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강력 접착제'와 같은 용어를 연상하여, 2개의 대상물체를 강하게 접합함으로써 이 2개의 대상물체를 다시 분리시킬 때 대상물체의 표면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을 정도의 강한 부착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반드시 이러한 의미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3M사의 포스트잇과 같은 접착식 메모지를 사용하는 경우, 이 접착식 메모지를 대상물에 부착하더하도 이후에 쉽게 대상물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듯이, 이러한 정도의 약한 부착력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과 제1층(21)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0)은 제1면(11)과 반대측의 제2면(12)을 포함하는데, 제1층(21)은 제1면(11)에 형성된다. 제2면(12)은 대략 수평방향과 나란한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데 비하여, 제1면(11)에 형성되는 제1층(21)은 복수의 패턴(20a)들로 이루어지는 제1패턴(20)을 구비한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패턴(20a)은 베이스층(10)의 제1면(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원리로 제1층(21)이 형성되어 있는 제1면(11) 쪽이 제2면(12)에 비하여 강한 접착력을 갖게 된다.
제1패턴(20)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짐으로써 높은 접착력을 부여하는 것에 더하여, 제1패턴(20)을 접착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더 강한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면필름(1)에 있어서 베이스층(10)을, PET, PMMA, 폴리(펜타브로모페닐 메타크릴레이트), 폴리티오메타크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편광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 나노복합재(nanocomposite) 등으로 형성하고, 제1층(21) 및 제1패턴(20)을 고무재질의 점착성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베이스층(10)의 제2면(12)에 비하여 제1면(11) 쪽에 더 강한 접착력이 생기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의 제1면(11)에 점착성 재료를 코팅하는 공정과, 코팅된 코팅층을 패터닝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터닝 공정에 의하여 코팅층에 있어서 베이스층(1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위치하는 부분에서 제1패턴(20)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패터닝 공정시 직접적으로 패터닝되지 않고 베이스층(10)에 인접하여 남아있는 부분에서 제1층(21)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과 베이스층(10)에 형성되는 제1패턴(20)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0)은 제1면(11)과 반대측의 제2면(12)을 포함한다. 제1면(11)에는 제1패턴(20)이 형성되는데 비하여, 제2면(12)은 대략 수평방향과 나란한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제1패턴(20)은 복수의 패턴(20a)들로 이루어지는데, 각 패턴(20a)은 베이스층(10)의 제1면(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1면(11) 쪽이 제2면(12)에 비하여 강한 접착력을 갖게 된다. 본 실시예서는 베이스층(10)과 제1패턴(20)이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1)은 원재료에 압출공정 등을 실시하여 베이스층(10)과 제1패턴(2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과 베이스층(10)에 형성되는 제1패턴(20)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0)은 제1면(11)과 반대측의 제2면(12)을 포함한다. 제1면(11)에는 제1패턴(20)이 형성되는데 비하여, 제2면(12)은 대략 수평방향과 나란한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제1패턴(20)은 복수의 패턴(20a)들로 이루어지는데, 각 패턴(20a)은 베이스층(10)의 제1면(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대략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앞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목표물에 대한 강한 부착력을 갖는 도마뱀의 발바닥은 목표물에 붙는 부분이 뭉뚝하게 튀어나와 있는 구조로 되어있고, 이러한 구조를 채용하려면 양면필름(1)에 있어서 대상물에 부착되는 부분(베이스층(10)의 제1면(11)으로부터 가장 외곽에 떨어져 있는 부분)이 뭉뚝하게 튀어나오게 하면 된다. 이를 위하여 각 패턴(20a)은 베이스층(10)의 제1면(11)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부분이 패턴(20a)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도록,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는 대략 좌우대칭의 사다리꼴의 구조가 적용되었다. 하지만, 도마뱀 발바닥의 원리를 채용함에 있어서 사다리꼴 형상으로만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패턴(20a)이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반원형의 형상에서도 패턴(20a)에 있어서 베이스층(10)의 제1면(11)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지름이 가장 큰 원형으로 넓게 퍼져있기 때문에, 제1면(11)이 제1 내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면(12)에 비하여 강한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과 베이스층(10)에 형성되는 제1패턴(20)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0)은 제1면(11)과 반대측의 제2면(12)을 포함한다. 제1면(11)에는 제1패턴(20)이 형성되는데 비하여, 제2면(12)은 대략 수평방향과 나란한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제1패턴(20)은 복수의 패턴(20a)들로 이루어지는데, 각 패턴(20a)은 베이스층(10)의 제1면(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대략 좌우 비대칭의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사다리꼴 형상이 좌우 비대칭이더라도, 윗변과 아랫변 중 아랫변의 길이가 윗변보다 길어서, 아랫변에 해당하는, 베이스층(10)의 제1면(11)으로부터 가장 외곽에 떨어져 있는 부분이 패턴(20a)의 다른 부분 보다 넓은 면적을 갖게 되므로, 도바뱀의 발바닥에서 목표물에 붙는 부분이 뭉뚝하게 튀어나와 있는 구조와 상응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면(11)이 제2면(12)에 비하여 강한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으로 제1면(11) 쪽이 강한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패턴(20a)의 구조로서 좌우 대칭의 사다리꼴, 반원형, 좌우 비대칭의 사다리꼴 등의 단면 형상을 살펴보았지만, 이러한 형상 이외에도 대상물에 부착되는 부분이 옆으로 넓게 퍼져있는 형상을 갖는 구조라면, 본 발명의 패턴(20a)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과 제2층(31)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0)은 제1면(11)과 반대측의 제2면(12)을 포함하는데, 제2층(31)은 제2면(12)에 형성된다. 제1면(11)에는 복수의 패턴(20a)들로 이루어지는 제1패턴(20)이 형성된다. 각 패턴(20a)은 베이스층(10)의 제1면(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대략 좌우 대칭의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면(11)은 제2면(12)에 비하여 강한 접착력을 나타내게 된다.
제2면(12) 및 제2층(31)은 대략 수평방향과 나란한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제2층(31)은 제1패턴(20)을 형성하는 재료와 동일하거나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층(31)을 제1패턴(20)을 형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더라도, 제1패턴(20)이 형성됨으로써 제1면(11) 쪽이 제2면(12) 쪽에 비하여 강한 접착력을 나타낸다. 제2층(31)을 제1패턴(20)을 형성하는 재료와 다른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2층(31)을 점착성이 거의 없는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제1면(11) 쪽과 제2면(12) 쪽의 접착력 차이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제2면(12) 쪽에서는 거의 접착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양면필름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면이며, 도 11은 도 9의 양면필름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과 베이스층(10)에 형성되는 제2패턴(30)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0)은 제1면(11)과 반대측의 제2면(12)을 포함한다. 제2면(12)에는 제2패턴(30)이 형성되는데 비하여, 제1면(11)은 대략 수평방향과 나란한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제2패턴(30)은 복수의 패턴(30a)들로 이루어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턴(30a)은 베이스층(10)의 제2면(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2면(12)으로부터 제3거리(d3)만큼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제3폭(w3)과, 제2면(12)으로부터 제4거리(d4)만큼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제4폭(w4)을 비교하면, 제3폭(w3)은 제4폭(w4) 보다 넓다.
이와 같이, 베이스층(10)의 제2면(12)에는 특수한 형상의 패턴(30a)이 형성되어 있고, 제1면(11)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면(12) 쪽의 접착력은 제1면(11) 쪽에 비하여 약한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도 11을 살펴보면서 설명한다.
도 11은 연꽃잎의 표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연꽃잎은 먼지들의 접착이 용이하지 않고 물을 흘리는 경우 저절로 먼지가 제거될 정도로 표면 접착성이 좋지 않은데, 본 발명은 이러한 연꽃잎의 특성에 착안하여 이를 양면필름(1)에 적용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꽃잎은 표면이 거칠고 튀어나와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표면 구조가 접착성을 낮추는 것이라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채용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각 패턴(30a)이 베이스층(10)의 제2면(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은, 연꽃잎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표면을 거칠게 하여 접착력을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1)은 연꽃잎의 표면 구조를 응용한 패턴(30a)이 형성된 제2면(12) 쪽이, 특별한 수단을 강구하지 않은 제1면(11) 쪽에 비하여 약한 접착력을 갖게 된다.
베이스층(10)의 제2면(12)이 부착될 대상물을 향하여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서, 도 9에서 각 패턴(30a)은 대략 삼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삼각형의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삼각형의 형상이 아니더라도, 양면필름(1)이 부착될 대상물에 인접하는 부분이 좁은 표면적을 갖고 표면이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면, 각 패턴(30a)은 어떠한 형상을 갖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제2패턴(30)의 패턴(30a)들이 반드시 제2면(12) 전체에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약한 접착력을 부여할 필요가 있는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있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제2면(12)의 제2패턴(30)의 삼각형 형상을 통하여 접착력을 약화시키는 것에 더하여, 제2패턴(30) 자체를 접착성이 거의 없는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접착력이 거의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과 제2층(31)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0)은 제1면(11)과 반대측의 제2면(12)을 포함하는데, 제2층(31)은 제2면(12)에 형성된다. 제1면(11)은 대략 수평방향과 나란한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데 비하여, 제2면(12)에 형성되는 제2층(31)은 복수의 패턴(30a)들로 이루어지는 제2패턴(30)을 구비한다. 제7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패턴(30a)은 베이스층(10)의 제2면(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대략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7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층(31)이 형성되어 있는 제2면(12) 쪽이 제1면(11)에 비하여 약한 접착력을 갖게 된다. 한편, 제2면(12)에 있어서 제2패턴(30)의 삼각형 형상을 통하여 접착력을 약화시키는 것에 더하여, 제2패턴(30) 자체를 접착성이 거의 없는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제2면(12)에 쪽에 접착력이 거의 없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의 제2면(12)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코팅된 코팅층을 패터닝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터닝 공정에 의하여 코팅층에 있어서 베이스층(1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위치하는 부분에서 제2패턴(30)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패터닝 공정시 직접적으로 패터닝되지 않고 베이스층(10)에 인접하여 남아있는 부분에서 제2층(31)이 형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과 베이스층(10)에 형성되는 제2패턴(30)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0)은 제1면(11)과 반대측의 제2면(12)을 포함한다. 제1면(11)은 대략 수평방향과 나란한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데 비하여, 제2면(12)에는 제2패턴(30)이 형성된다. 제2패턴(30)은 복수의 패턴(30a)들로 이루어지는데, 각 패턴(30a)은 베이스층(10)의 제2면(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대략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2면(12) 쪽이 제1면(11)에 비하여 약한 접착력을 갖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층(10)과 제2패턴(30)이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1)은 원재료에 압출공정 등을 실시하여 베이스층(10)과 제2패턴(3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과 베이스층(10)에 형성되는 제2패턴(30)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0)은 제1면(11)과 반대측의 제2면(12)을 포함한다. 제1면(11)은 대략 수평방향과 나란한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데 비하여, 제2면(12)에는 제2패턴(30)이 형성된다. 제2패턴(30)은 복수의 패턴(30a)들로 이루어지는데, 각 패턴(30a)은 베이스층(10)의 제2면(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대략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앞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먼지 등에 대한 접착력이 거의 없는 연꽃잎의 표면 구조를 채용하려면, 양면필름(1)에 있어서 대상물에 부착되는 부분(베이스층(10)의 제2면(12)으로부터 가장 외곽에 떨어져 있는 부분)이 거칠게 형성되면 좋다. 이를 위하여 각 패턴(30a)은 베이스층(10)의 제2면(12)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부분이 패턴(30a)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는데, 제7 내지 제9실시예에서는 대략 삼각형의 단면 구조가 적용되었다. 하지만, 연꽃잎 구조의 원리를 채용함에 있어서 삼각형 형상으로만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패턴(30a)이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반원형의 형상에서도 패턴(30a)에 있어서 베이스층(10)의 제2면(12)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좁거나 그 표면이 거칠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7 내지 제9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면(12)이 제1면(11)에 비하여 약한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과 베이스층(10)에 형성되는 제2패턴(30)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0)은 제1면(11)과 반대측의 제2면(12)을 포함한다. 제1면(11)은 대략 수평방향과 나란한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데 비하여, 제2면(12)에는 제2패턴(30)이 형성된다. 제2패턴(30)은 복수의 패턴(30a)들로 이루어지는데, 각 패턴(30a)은 베이스층(10)의 제2면(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대략 직각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직각삼각형 구조하에서 패턴(30a)에 있어서 베이스층(10)의 제2면(12)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좁거나 그 표면이 거칠게 되어 있기 때문에, 연꽃잎 구조에서 접착력이 떨어지는 원리가 여기에도 적용될 수 있어 제2면(12)이 제1면(11)에 비하여 약한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으로 제2면(12) 쪽이 약한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는 패턴(30a)의 구조로서 삼각형, 반원형, 직각삼각형 등의 단면 형상을 살펴보았지만, 이러한 형상 이외에도 대상물에 부착되는 부분이 좁아지거나 표면이 거칠어지는 형상을 갖는 구조라면, 본 발명의 패턴(30a)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과 제1층(21)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0)은 제1면(11)과 반대측의 제2면(12)을 포함하는데, 제1층(21)은 제1면(11)에 형성된다. 제2면(12)에는 복수의 패턴(30a)들로 이루어지는 제2패턴(30)이 형성된다. 각 패턴(30a)은 베이스층(10)의 제2면(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대략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7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면(12)은 제1면(11)에 비하여 약한 접착력을 나타내게 된다.
제1면(11) 및 제1층(21)은 대략 수평방향과 나란한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제1층(21)은 제2패턴(30)을 형성하는 재료와 동일하거나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층(21)을 제2패턴(30)을 형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더라도, 제2패턴(30)이 형성됨으로써 제2면(12) 쪽이 제1면(11) 쪽에 비하여 약한 접착력을 나타낸다. 제1층(21)을 제2패턴(30)을 형성하는 재료와 다른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층(21)을 점착성이 강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제1면(11) 쪽과 제2면(12) 쪽의 접착력 차이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제1면(12) 쪽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과 베이스층(10)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패턴(20, 30)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0)은 제1면(11)과 반대측의 제2면(12)을 포함한다. 제1면(11)에는 제1패턴(20)이 형성되고 제2면(12)에는 제2패턴(30)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패턴(20, 30)은 각각 복수의 패턴(20a, 30a)들로 이루어진다. 제1패턴(20)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턴(20a)은 베이스층(10)의 제1면(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대략 좌우 대칭의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는다. 제2패턴(30)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턴(30a)은 베이스층(10)의 제2면(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대략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제1패턴(20)은 도마뱀 발바닥의 구조에 나와있는 원리를 채용함으로써 접착력을 높이고 있고, 제2패턴(30)은 연꽃잎 구조에 나와있는 원리를 채용함으로써 접착력을 낮추고 있다. 따라서, 제1면(11) 쪽이 제2면(12) 쪽에 비하여 강한 접착력을 나타낸다. 특히, 이전의 실시예에서는 제1면(11) 쪽에만 제1패턴(20)을 형성하거나 제2면(12) 쪽에만 제2패턴(30)을 형성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면(11) 쪽의 제1패턴(20)과 제2면(12) 쪽의 제2패턴(30)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제1면(11) 쪽과 제2면(12) 쪽의 접착력 차이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 제1층(21) 및 제2층(31)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0)은 제1면(11)과 반대측의 제2면(12)을 포함하는데, 제1층(21)은 제1면(11)에 형성되고 제2층(31)은 제2면(12)에 형성된다. 제1층(21)은 복수의 패턴(20a)들로 이루어지는 제1패턴(20)을 구비하고, 제2층(31)은 복수의 패턴(30a)들로 이루어지는 제2패턴(30)을 구비한다.
제1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패턴(20)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턴(20a)은 베이스층(10)의 제1면(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대략 사다리꼴 단면 형상을 갖고, 제2패턴(30)을 구성하는 복수의 패턴(30a)은 베이스층(10)의 제2면(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대략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1층(21)이 형성되어 있는 제1면(11) 쪽이 제2층(31)이 형성되어 있는 제2면(12)에 비하여 강한 접착력을 갖게 된다.
제1 및 제2층(21, 31)은 서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의 제1 및 제2면(11, 12)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코팅된 코팅층을 패터닝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터닝 공정에 의하여 코팅층에 있어서 베이스층(1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위치하는 부분에서 제1 및 제2패턴(20, 30)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패터닝 공정시 직접적으로 패터닝되지 않고 베이스층(10)에 인접하여 남아있는 부분에서 제1 및 제2층(21, 31)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층(21, 31)을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베이스층(10)의 제1면(11)에 코팅되는 재료와 제2면(12)에 코팅되는 재료를 다르게 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및 제2층(21, 31)을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와 거의 유사한 방식으로 양면필름(1)을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층(21)을 재료 자체가 점착성이 강한 재료로, 제2층(31)을 재료 자체가 점착성이 거의 없는 재료로 함으로써, 제1 및 제2패턴(20, 30)에 의한 작용에 더하여 제1 및 제2면(11, 12) 사이의 접착성의 차이를 더욱 커지게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양면필름(1)은 베이스층(10)과 베이스층(10)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패턴(20, 30)을 포함한다. 베이스층(10)은 제1면(11)과 반대측의 제2면(12)을 포함한다. 제1면(11)에는 제1패턴(20)이 형성되고 제2면(12)에는 제2패턴(30)이 형성된다.
제1패턴(20)은 복수의 패턴(20a)들로 이루어지는데, 이 패턴(20a)은 베이스층(10)의 제1면(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대략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제2패턴(30)도 복수의 패턴(30a)들로 이루어지는데, 이 패턴(30a)은 베이스층(10)의 제2면(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대략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1층(21)이 형성되어 있는 제1면(11) 쪽이 제2층(31)이 형성되어 있는 제2면(12) 쪽에 비하여 강한 접착력을 갖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층(10)과 제1 및 제2패턴(20, 30)이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1)은 원재료에 압출공정 등을 실시하여 베이스층(10)과 제1 및 제2패턴(20, 3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상으로 양쪽 면에 대해서 서로 다른 접착력을 구비하는 양면필름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양면필름은 앞에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유리기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공정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면필름은 제조가 완료된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양면필름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양면필름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는 LCD 장치, LED 장치, OLED 장치, PDP 장치,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해당될 수 있고,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TV, 컴퓨터 모니터, 터치 스크린, 스마트폰 등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LCD 장치가 장착된 스마트폰에 본 발명의 양면필름을 사용하는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스마트폰(10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비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보호필름(200)이 부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a)을 구비하는데, 디스플레이 장치가 LCD 장치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a)은, 상측의 제1기판(110)과, 하측의 제2기판(120), 제1 및 제2기판(110, 12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130)을 포함한다. 액정층(130)은 액정(131)을 포함하는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액정(131)의 배열상태를 조정하여 그에 따라 빛의 투과량을 조절함으로써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보호필름(2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필름(200)으로서 앞에서 살펴보았던 양면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필름(200)은 제1면(211)과 제2면(212)을 갖는 베이스층(210), 제1면(211)에 형성되는 제1패턴(220), 제2면(212)에 형성되는 제2패턴(230)을 구비한다. 제1패턴(220)은 복수의 패턴(220a)들로 이루어지는데, 각 패턴(220a)은 베이스층(210)의 제1면(2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대략 좌우 대칭의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2패턴(230)도 복수의 패턴(230a)들로 이루어지는데, 각 패턴(230a)은 베이스층(210)의 제2면(21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대략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1면(211) 쪽은 강한 접착력을 나타내는 반면, 제2층(231)이 형성되어 있는 제2면(212)은 거의 접착력을 갖지 못한다. 본 실시예에의 보호필름(200)은 제13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의 구조를 사용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필름을 사용해도 좋다.
보호필름(2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보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강하게 부착될 필요가 있다. 보호필름(20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되는 면은 제1면(211) 쪽이므로, 제1패턴(220)에 의한 높은 접착력을 통하여 보호필름(2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보호필름(200)에 있어서 제2면(212) 쪽은 접착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스마트폰(1000)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의 다른 대상물에 부착되거나 하여 불편을 초래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양면필름
10: 베이스층
11: 제1면
12: 제2면
20: 제1패턴
21: 제1층
30: 제2패턴
31: 제2층
100: 디스플레이 장치
200: 보호필름

Claims (12)

  1. 제1면과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 베이스층;
    상기 제1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 및
    상기 제2면에 형성되는 제2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은,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제1폭을 갖고,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긴 제2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제1폭보다 넓은 제2폭을 갖는 복수의 패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패턴은,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제3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제3폭을 갖고,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상기 제3거리보다 긴 제4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제3폭보다 좁은 제4폭을 갖는 복수의 패턴들을 포함하는 양면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패턴들은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양면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패턴들은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양면필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패턴들은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양면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패턴들은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양면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과 상기 제1패턴 사이에 개재되는 제1층과, 상기 제2면과 상기 제2패턴 사이에 개재되는 제2층을 더 포함하는 양면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층과, 상기 제1 및 제2패턴은 모두 동일재료로 이루어지는 양면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과 상기 제1패턴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제1면에 형성된 코팅층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2층과 상기 제2패턴은 상기 베이스층의 상기 제2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면의 코팅층과 동일한 재료의 코팅층으로부터 형성되는 양면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 상기 제1 및 제2패턴은 모두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양면필름.
  11.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필름은,
    보호하고자 하는 대상이 부착되는 방향에 있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반대측의 제2면을 갖는 베이스층,
    상기 제1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 및
    상기 제2면에 형성되는 제2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패턴은,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제1폭을 갖고,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긴 제2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제1폭보다 넓은 제2폭을 갖는 복수의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패턴은,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제3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제3폭을 갖고,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상기 제3거리보다 긴 제4거리만큼 이격된 부분이 상기 제3폭보다 좁은 제4폭을 갖는 복수의 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삭제
KR1020170007287A 2017-01-16 2017-01-16 양면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94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287A KR101894174B1 (ko) 2017-01-16 2017-01-16 양면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287A KR101894174B1 (ko) 2017-01-16 2017-01-16 양면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331A KR20180084331A (ko) 2018-07-25
KR101894174B1 true KR101894174B1 (ko) 2018-09-04

Family

ID=63058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287A KR101894174B1 (ko) 2017-01-16 2017-01-16 양면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7139B1 (ko) 2023-02-07 2024-06-20 문제희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476B1 (ko) 2003-06-04 2005-08-17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엘시디 유리 보호필름
KR101205852B1 (ko) * 2006-05-26 2012-11-28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제작을 위한 기판 합착 장치 및 방법,이에 사용되는 기판 흡착 장치
KR20160047184A (ko) * 2014-10-22 2016-05-02 울산과학기술원 미세섬모 구조물의 제조방법 및 미세섬모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7139B1 (ko) 2023-02-07 2024-06-20 문제희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표면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331A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7306B2 (en) Flexible display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7665641A (zh) 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US7787097B2 (en) Flexible base material and flexible image-displaying device resistant to plastic deformation
KR102053244B1 (ko) 윈도우 부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10236219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8962029B (zh) 柔性显示屏、其制备方法以及显示装置
KR102423893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136392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7651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40368782A1 (en) Curved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KR101426997B1 (ko)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16304B1 (ko) 광학 시트
US20160270210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02916033A (zh) 显示装置和用于制造显示装置的方法
US20140030496A1 (en) Window structure for protecting a display panel
KR20150144913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TWI678801B (zh) 顯示裝置
JP2018515806A5 (ko)
TWI684814B (zh) 顯示裝置
CN109523922B (zh) 一种柔性模组、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1894174B1 (ko) 양면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TWI772916B (zh) 撓性影像顯示裝置及用於其之光學積層體
KR102098503B1 (ko) 편광필름을 포함하는 탈부착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41230B1 (ko) 복합 광학 필름
KR102160760B1 (ko) 플라스틱 커버 윈도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