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973B1 -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973B1
KR100506973B1 KR10-1999-0003620A KR19990003620A KR100506973B1 KR 100506973 B1 KR100506973 B1 KR 100506973B1 KR 19990003620 A KR19990003620 A KR 19990003620A KR 100506973 B1 KR100506973 B1 KR 100506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eos
usg
teos film
deposi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5158A (ko
Inventor
김태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03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973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20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the layer being characterised by the precursor material for deposition
    • H01L21/0220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the layer being characterised by the precursor material for deposition the precursor containing a compound comprising Si
    • H01L21/0221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the layer being characterised by the precursor material for deposition the precursor containing a compound comprising Si the compound comprising silicon and oxygen
    • H01L21/0221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the layer being characterised by the precursor material for deposition the precursor containing a compound comprising Si the compound comprising silicon and oxygen the compound being a molecule comprising at least one silicon-oxygen bond and the compound having hydrogen or an organic group attached to the silicon or oxygen, e.g. a silox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7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화학기상증착 장치에서 유전체막으로 사용되는 O3 - TEOS막(또는 USG막) 증착하기 전에 소정의 서셉터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먼저 오존이 제거된 순수한 TEOS막을 코딩하고나서 O3 - TEOS막(또는 USG막)을 증착한다.
따라서, O3 - TEOS막(또는 USG막) 증착시에 병행하게 되는 NH3 플라즈마 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O3 - TEOS막(또는 USG막) 증착시에 소수성 폴리머의 흡착을 방해하는 요소가 제거됨으로서 표면 감수성을 개선시킬 수 있어 소자의 생산 수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화학기상증착 장치에서의 유전체막 증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O3 - TEOS막(또는 USG막(Undoped Silicate Glass)이라 함) 증착시에 표면 감수성을 개선하도록 한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기상증착 장치에서의 유전체막(Dieletric Film)으로는 O3 - TEOS막(또는 USG막)을 사용한다. 이러한 유전체막은 하지막의 의존성이 강하다는 특성이 있다.
특히, O3 - TEOS막의 표면 구성물 중에는 -OH기가 존재하는데 -OH기는 O3 - TEOS막(또는 USG막) 증착을 방해하여 높은 오존 농도에서 중간체로서의 폴리머를 생성시킨다. 이러한 폴리머는 소수성의 말단기를 가지고 있어 TEOS막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H2O가 친수성 표면에 흡착하여 소수성 폴리머의 흡착을 방해하게 된다.
도 1 은 종래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S10 단계에서는 반도체기판 상에 하지막으로 표면 산화막의 역할을 하는 HTO(High Temperature Oxidation : HTO)막을 증착한다.
이어서, S20 단계에서는 챔버내의 서셉터(Susceptor)를 가열시켜 400℃의 온도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 S30 단계에서는 후속 공정의 O3 - TEOS막(또는 USG막)을 증착하기 전에 암모니아(NH3) 분위기에서 플라즈마 처리 공정을 실시한다.
그 후, S40 단계에서는 유전체막으로 사용되는 O3 - TEOS막(또는 USG막)을 상기 하지막 상에 증착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유발시킨다.
유전체막으로 반도체기판의 하지막 상에 O3 - TEOS막(또는 USG막)을 증착하기 전에 소수성 폴리머의 흡착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NH3 플라즈마 처리 공정을 진행하여야 한다.
이는 유전체막으로서 O3 - TEOS막(또는 USG막)을 증착과는 별개로 NH3 플라즈마 처리공정을 진행해야하므로 공정 단계를 복잡하게 한다. 따라서, 소자의 생산 수율을 저하시킨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O3 - TEOS막(또는 USG막) 증착시에 병행하게 되는 NH3 플라즈마 처리 공정을 생략하도록 한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O3 - TEOS막(또는 USG막) 증착시에 표면 감수성을 개선하도록 한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은
반도체기판에 하지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하지막 상에 순수한 TEOS막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TEOS막 상에 O3 - TEOS막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TEOS막 및 O3 - TEOS막은 430 ∼ 470℃의 서셉터 온도에서 증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기상장치에서의 유전체막으로 먼저 순수한 TEOS막을 코팅하고나서 O3 - TEOS막(또는 USG막)을 증착함으로서 O3 - TEOS막(또는 USG막) 증착시에 병행하게 되는 NH3 플라즈마 처리 공정을 생략하도록 하여 유전체막의 표면 감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S50 단계에서는 반도체기판 상에 하지막으로 표면 산화막의 역할을 하는 HTO막을 증착한다.
이어서, S60 단계에서는 갭필(Gap Fill) 및 거칠기(Roughness)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서셉터(Susceptor)를 가열하여 430℃ ∼ 470℃ 상태로 유지한다. 이 때, 서셉터 온도를 종래 500℃의 서셉터 온도 보다 낮은 상태로 유지함으로서 후속 공정의 O3 - TEOS막(또는 USG막) 증착시에 하지막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 S70 단계에서는 소수성의 말단기 생성을 저지할 수 있도록 먼저 오존을 제거한 순수한 재질의 TEOS막을 하지막 상에 증착한다.
이 때, 순수한 TEOS막이 증착됨으로서 후속 공정의 O3 - TEOS막(또는 USG막) 증착시 소수성 폴리머의 흡착 방해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종래 O3 - TEOS막(또는 USG막)을 증착하기 전에 필수적으로 병행하게 되는 암모니아(NH3) 분위기에서의 플라즈마 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 후, S80 단계에서는 순수한 TEOS막이 코딩된 상태에서 O3 - TEOS막(또는 USG막)을 증착함으로서 유전체막의 형성 공정이 완료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전체막으로 O3 - TEOS막(또는 USG막) 증착시에 먼저 430℃ ∼ 470℃의 서셉터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먼저 순수한 TEOS막을 코팅하고나서 O3 - TEOS막(또는 USG막)을 증착함으로서 유전체막의 증착시에 병행하게 되는 NH3 플라즈마 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기상증착 장치에서 유전체막으로 사용되는 O3 - TEOS막(또는 USG막) 증착하기 전에 430℃ ∼ 470℃의 서셉터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먼저 오존이 제거된 순수한 재질의 TEOS막을 코딩하고나서 O3 - TEOS막(또는 USG막)을 증착한다.
따라서, O3 - TEOS막(또는 USG막) 증착시에 병행하게 되는 NH3 플라즈마 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O3 - TEOS막(또는 USG막) 증착시에 소수성 폴리머의 흡착을 방해하는 요소가 제거됨으로서 표면 감수성을 개선시킬 수 있어 소자의 생산 수율을 향상시킨다.
도 1 은 종래 반도체소자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Claims (2)

  1. 반도체기판에 하지막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하지막 상에 순수한 TEOS막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TEOS막 상에 O3 - TEOS막을 증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EOS막 및 O3 - TEOS막은 430 ∼ 470℃의 서셉터 온도에서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1999-0003620A 1999-02-03 1999-02-03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506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620A KR100506973B1 (ko) 1999-02-03 1999-02-03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620A KR100506973B1 (ko) 1999-02-03 1999-02-03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158A KR20000055158A (ko) 2000-09-05
KR100506973B1 true KR100506973B1 (ko) 2005-08-09

Family

ID=1957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620A KR100506973B1 (ko) 1999-02-03 1999-02-03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9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158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3102B1 (ko) 반도체 처리 장치
US10204782B2 (en) Combined anneal and selective deposition process
US20010050039A1 (en) Method of forming a thin film using atomic layer deposition method
KR100624903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323874B1 (ko) 반도체 소자의 알루미늄 산화막 형성 방법
US9570287B2 (en) Flowable film curing penetration depth improvement and stress tuning
KR20010046344A (ko) 알루미나를 사용한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방법
JPH1187341A (ja) 成膜方法及び成膜装置
KR20030084125A (ko) 절연막의 저온 증착법
US20010039125A1 (en) Method for making an insulating film
KR100506973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0172031B1 (ko) 반도체장치의 층간 절연막 형성방법
JPH08203894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3943465A (zh) 氧化硅薄膜制备方法
KR101082921B1 (ko) 반도체 소자의 실리콘 산화막 형성 방법
KR20010088207A (ko) 탄탈륨산화막-티타늄산화막 복합유전막 형성방법
KR100511914B1 (ko) 피이사이클 시브이디법을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64083A (ko) 원자층 적층을 이용하여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박막을형성하는 방법
KR100467475B1 (ko) 반도체장치의캐패시터형성방법
KR20000003455A (ko) 반도체 장치의 탄탈륨산화막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30058271A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원자층 증착방법
KR20160120511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70129B1 (ko) 계면특성이 우수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414749B1 (ko) 반도체 소자의 확산방지막 제조방법
JPH06252133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