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5922B1 - 맥반석을 함유하는 생붕괴성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맥반석을 함유하는 생붕괴성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5922B1
KR100505922B1 KR10-2002-0010747A KR20020010747A KR100505922B1 KR 100505922 B1 KR100505922 B1 KR 100505922B1 KR 20020010747 A KR20020010747 A KR 20020010747A KR 100505922 B1 KR100505922 B1 KR 100505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weight
resin
biodegradable
mix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175A (ko
Inventor
박인섭
Original Assignee
세화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화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화정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0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5922B1/ko
Publication of KR20030071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분과 폴리카프로락톤을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에 HDPE인 폴리올레핀 수지를 혼합하여 생붕괴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기초 원료로 하고, 그 기초 원료에 맥반석을 첨가함으로써 사용후 매립하면 원활한 생붕괴가 이루어지며,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개질 폴리올레핀(말레산무수물(Maleic Anhydride) 1% PE 마스터배치(Master Batch))을 상용화제로 사용하여 수지의 가공물성의 저하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맥반석을 함유하는 생붕괴성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폴리올레핀 합성수지 30 내지 50 중량%와, 전분과 폴리카프로락톤을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30 내지 50중량%와,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개질 폴리올레핀 2.5 내지 7.5 중량%와를 계량하여 헨셀 믹서에서 혼합한 1차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고, 325메쉬 이상으로 분쇄된 맥반석 10 내지 20 중량%와,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개질 폴리올레핀 2.5 내지 7.5 중량%와, 압출시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폴리올레핀용 산화방지제 0.05 내지 0.5 중량%와, 교반 압출시의 가공 작업성을 높이기 위한 폴리올레핀용 활제 0.1 내지 1.0 중량%와를 300 내지 500 RPM의 헨셀 믹서에서 3분 내지 15분간 혼합하여 조성한 2차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여 1차 혼합 조성물과 2차 혼합 조성물을 이축압출기에서 교반, 압출함으로써 이룰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맥반석을 함유하는 생붕괴성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방법{A method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elvan}
본 발명은 토양 속에서 생붕괴 되는 맥반석을 함유하는 생붕괴성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분과 폴리카프로락톤을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에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인 폴리올레핀 수지와 맥반석을 혼합하며,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개질 폴리올레핀(말레산무수물(Maleic Anhydride) 1% PE 마스터배치(Master Batch))을 상용화제로 사용하는 맥반석을 함유하는 생붕괴성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 속에서 항상 접하고 있는 플라스틱 수지는 대중에 방치하거나 흙 속에 묻어두어도 자연 분해되지 않으므로 토양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기존의 플라스틱 수지를 강제 소각시키면 각종 오염물질이 배출되어 토양은 물론 대기환경까지 오염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플라스틱 수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흙 속에 매립하면 일정기간 후 분해되는 생분해성 수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초기에 개발된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생분해성이 강한 전분을 단순 혼합하여 전분의 생분해로 인한 폴리올레핀 수지의 단순 붕괴를 유도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분과 폴리올레핀 수지를 단순 혼합하여 개발된 생분해성 수지는 폴리올레핀의 가공물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생붕괴 후 잔류되는 폴리올레핀이 생물의 생장에 방해요인으로 작용되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상기와 같은 전분과 폴리올레핀을 혼합한 생분해성 수지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전분과 폴리카프로락톤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생분해성 수지가 개발되었으나, 이와 같이 전분과 풀리카프로락톤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생분해성 수지는 뛰어난 생분해성 효과에 비하여 가공물성 저하로 인한 그 성형물의 활용도가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생분해성 효과가 높은 폴리카프로락톤을 혼합한 생분해성 수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분과 폴리카프로락톤을 혼합한 생분해성 수지와 폴리올레핀 수지를 단순 혼합하여 성형물을 제조함으로서 가공물성을 향상시키는 방법도 개발되었으나, 이와 같이 전분과 폴리카프로락톤의 생분해성 수지에 폴리올레핀 수지를 단순 혼합한 생분해성 수지는 성형물의 박리현상이 발생되었을 뿐만 아니라, 생붕괴 후에 생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폴리올레핀 성분이 잔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계속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개발된 생분해성 수지 제품들은 기존의 일반 플라스틱 수지로 만들 수 있는 제품들을 대체하기 위한 가공물성이 저하되어 제한적인 용도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생분해 후의 잔류 폴리올레핀 성분으로 인하여 생물의 생장에 방해가 되고, 가공된 성형물이 얇게 분리되는 박리현상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분과 폴리카프로락톤을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에 HDPE인 폴리올레핀 수지를 혼합하여 생붕괴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기초 원료로 하고, 그 기초 원료에 맥반석을 첨가함으로써 사용후 매립하면 원활한 생붕괴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개질 폴리올레핀을 상용화제로 사용하여 수지의 가공물성의 저하를 막을 수 있도록 한 맥반석을 함유하는 생붕괴성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올레핀 합성수지 30 내지 50 중량%와, 전분과 폴리카프로락톤을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30 내지 50중량%와,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개질 폴리올레핀 2.5 내지 7.5 중량%와를 계량하여 헨셀 믹서에서 혼합한 1차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고, 325메쉬 이상으로 분쇄된 맥반석 10 내지 20 중량%와,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개질 폴리올레핀 2.5 내지 7.5 중량%와, 압출시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폴리올레핀용 산화방지제 0.05 내지 0.5 중량%와, 교반 압출시의 가공 작업성을 높이기 위한 폴리올레핀용 활제 0.1 내지 1.0 중량%와를 300 내지 500 RPM의 헨셀 믹서에서 3분 내지 15분간 혼합하여 조성한 2차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여 1차 혼합 조성물과 2차 혼합 조성물을 이축압출기에서 교반, 압출할 수 있도록 폴리올레핀 수지의 조성물을 이룸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폴리올레핀 합성수지 30 내지 50 중량%와,
전분과 폴리카프로락톤을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30 내지 50중량%와,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개질 폴리올레핀 2.5 내지 7.5 중량%와를 계량하여 헨셀 믹서에서 혼합한 1차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다.
또한, 325메쉬 이상으로 분쇄된 맥반석 10 내지 20 중량%와,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개질 폴리올레핀 2.5 내지 7.5 중량%와,
압출시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폴리올레핀용 산화방지제 0.05 내지 0.5 중량%와,
교반 압출시의 가공 작업성을 높이기 위한 폴리올레핀용 활제 0.1 내지 1.0 중량%와를 300 내지 500 RPM으로 회전하는 헨셀 믹서에서 3분 내지 15분간 혼합하여 2차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1차 혼합 조성물과 2차 혼합 조성물은 먼저 상기 1차 혼합 조성물을 이축압출기에 투입하여 180℃ 내지 230℃로 가열하면서 생분해성 수지와 폴리올레핀 합성수지를 혼합시킨다.
이어서 1차 혼합 조성물이 용융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2차 혼합 조성물을 이축압출기에 투입하여 교반 및 압출하되, 이축압출기의 니딩존을 통과하여 상용화제로 인한 폴리올레핀 수지와 맥반석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생붕괴성 수지의 가공물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 및 압출이 끝난 생붕괴성 수지는 스트랜드를 형성하여 냉각을 시키고, 냉각된 스트랜드는 펠렛타이징 공정을 거쳐 성형용 원료로 완성한다.
이때, 상기 교반, 압출하는 이축압출기에는 진공펌프를 이용한 진공을 발생시켜 가열 교반중 발생될 수 있는 가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HDPE인 폴리올레핀 합성수지 30 내지 50 중량%에 전분과 폴리카프로락톤을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30 내지 50중량%을 헨셀 믹서에서 혼합하여 생붕괴성 수지의 1차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상용화제로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개질 폴리올레핀 2.5 내지 7.5 중량%을 계량하여 헨셀 믹서에 넣고 함께 혼합함으로써 후공정인 교반, 압출 공정에서의 폴리올레핀 합성수지와 생분해성 수지의 혼련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325메쉬 이상으로 분쇄된 맥반석 10 내지 20 중량%,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개질 폴리올레핀 2.5 내지 7.5 중량%, 압출시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폴리올레핀용 산화방지제 0.05 내지 0.5 중량% 그리고 교반, 압출시의 가공 작업성을 높이기 위한 폴리올레핀용 활제 0.1 내지 1.0 중량%를 300 내지 500 RPM으로 회전하는 헨셀 믹서에서 3분 내지 15분간 혼합하여 2차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2차 혼합 조성물의 조성비율은 상기 1차 혼합 조성물의 중량%에 대한 중량%의 조성비율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1차 혼합 조성물과 2차 혼합 조성물은 이축압출기에서 교반, 압출하여 성형용 원료로 제조한다.
즉, 상기와 같이 폴리올레핀 합성수지와 생분해성 수지에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개질 폴리올레핀을 상용화제로 첨가하여 혼합한 1차 혼합 조성물을 이축압출기에 투입하여 180℃ 내지 230℃로 가열하면서 교반을 시행하면 생분해성 수지와 폴리올레핀 합성수지의 교반과정에서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개질 폴리올레핀인 상용화제는 폴리올레핀 합성수지와 생분해성 수지의 혼련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1차 혼합 조성물이 이축압출기에서 용융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325메쉬 이상으로 분쇄된 맥반석과,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개질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용 산화방지제, 폴리올레핀용 활제를 계량, 혼합하여 조성된 2차 혼합 조성물을 이축압출기에 추가로 투입하여 교반, 압출과정을 진행시킨다.
이때, 상기 2차 혼합 조성물에 혼합된 폴리올레핀용 산화방지제는 압출시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산화를 방지하게 되며, 폴리올레핀용 활제는 교반, 압출시의 가공 작업성을 높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교반, 압출과정에서는 용융되는 1차 혼합 조성물과 2차 혼합 조성물에서 가스가 발생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교반, 압출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이축압출기에 연결 설치된 진공펌프로 진공을 발생시켜 가열 교반중 발생될 수 있는 가스를 흡입 제거한다.
이와 같은 공정을 지나 용융된 조성물들이 이축압출기의 니딩존을 통과하면 상용화제로 인한 폴리올레핀 수지와 맥반석간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생붕괴성 수지의 가공물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교반, 압출이 끝난 생붕괴성 수지는 스트랜드를 형성하여 냉각을 시키고, 냉각된 스트랜드는 펠렛타이징 공정을 거쳐 성형용 생붕괴성 수지 원료로 완성시킴으로써 생붕괴성 수지 원료를 사용하여 각종 성형물을 성형하면 성형물의 성형방법이나 구조에 관계없이 다양한 형상의 생붕괴성 수지 성형물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생붕괴성 성형물은 용도를 다한 후에 별도의 폐기절차를 거치지 않고 매립만으로도 자연 생붕괴되어 수지 성형물의 후처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가공설비를 이용하여 생붕괴성 수지의 제조가 가능하고, 생분해성 수지를 첨가하여 발생되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가공물성의 저하를 방지하여 성형물의 성형방법 및 구조에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성형물을 성형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물의 용도를 다한 후에는 별도의 폐기절차를 거치지 않고 매립만으로도 자연 생붕괴되어 후처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폴리올레핀 합성수지 30 내지 50 중량%와, 전분과 폴리카프로락톤을 함유하는 생분해성 수지 30 내지 50중량%와,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개질 폴리올레핀 2.5 내지 7.5 중량%와를 계량하여 헨셀 믹서에서 혼합한 1차 혼합 조성물 조성 단계와,
    325메쉬 이상으로 분쇄된 맥반석 10 내지 20 중량%와, 극성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개질 폴리올레핀 2.5 내지 7.5 중량%와, 폴리올레핀용 산화방지제 0.05 내지 0.5 중량%와, 폴리올레핀용 활제 0.1 내지 1.0 중량%와를 300 내지 500 RPM으로 회전하는 헨셀 믹서에서 3분 내지 15분간 혼합한 2차 혼합 조성물 조성 단계와,
    상기 1차 혼합 조성물을 이축압출기에 투입하여 180℃ 내지 230℃로 가열하면서 교반을 시행하는 단계와,
    상기 1차 혼합 조성물이 이축압출기에서 용융되기 시작하면 2차 혼합 조성물을 이축압출기에 투입하여 교반, 압출하는 단계와,
    상기 교반, 압출이 끝난 생붕괴성 수지를 스트랜드 형성하여 냉각시키는 단계와,
    상기 냉각된 스트랜드를 펠렛타이징 공정으로 성형용 원료로 완성하는 단계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 맥반석을 함유하는 생붕괴성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방법.
KR10-2002-0010747A 2002-02-28 2002-02-28 맥반석을 함유하는 생붕괴성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방법 KR100505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747A KR100505922B1 (ko) 2002-02-28 2002-02-28 맥반석을 함유하는 생붕괴성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0747A KR100505922B1 (ko) 2002-02-28 2002-02-28 맥반석을 함유하는 생붕괴성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175A KR20030071175A (ko) 2003-09-03
KR100505922B1 true KR100505922B1 (ko) 2005-08-04

Family

ID=32222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747A KR100505922B1 (ko) 2002-02-28 2002-02-28 맥반석을 함유하는 생붕괴성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59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317A1 (ko) * 2012-09-21 2014-03-27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바이오수지가 첨가된 자동차용 인테리어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328A (ko) * 1994-12-01 1996-07-18 임한진 무기재료를 이용한 생분해성 소재
KR960022751A (ko) * 1994-12-21 1996-07-18 정보영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20000006774A (ko) * 1999-11-02 2000-02-07 이종학 생붕괴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6231970B1 (en) * 2000-01-11 2001-05-15 E. Khashoggi Industries, Llc Thermoplastic starch compositions incorporating a particulate filler compon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328A (ko) * 1994-12-01 1996-07-18 임한진 무기재료를 이용한 생분해성 소재
KR960022751A (ko) * 1994-12-21 1996-07-18 정보영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KR20000006774A (ko) * 1999-11-02 2000-02-07 이종학 생붕괴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6231970B1 (en) * 2000-01-11 2001-05-15 E. Khashoggi Industries, Llc Thermoplastic starch compositions incorporating a particulate filler compon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6317A1 (ko) * 2012-09-21 2014-03-27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바이오수지가 첨가된 자동차용 인테리어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9309361B2 (en) 2012-09-21 2016-04-12 Lg Hausys, Ltd. Automobile interior sheet using bioresin and preparation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175A (ko) 200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40774B (zh) 一种聚丙烯填充母粒及其制备方法
CN101698709B (zh) 用于可降解一次性餐具的聚丙烯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US5162392A (en) Injection moldable biodegradable starch polymer composite
AU2017269856B2 (en) Molecular modification of polyethylene resin
CN108178874B (zh) 一种高压电力电缆用聚丙烯绝缘料及其制备方法
JP2002105298A (ja) 乳酸系樹脂組成物
CN102516655A (zh) 一种增强增韧聚丙烯复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50057644A (ko)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5367874B (zh) 药用托盘专用的生物质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150566B (zh) 一种高熔指高模量沥青混合料添加剂及其制法和应用
CN101759896A (zh) 用于可降解垃圾袋的聚乙烯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0209237A (ja) 樹脂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05922B1 (ko) 맥반석을 함유하는 생붕괴성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방법
KR100702580B1 (ko) 합성수지용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04708B1 (ko) 복합분해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372621A (zh) 一种可降解快递袋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02502289A (ja) ポリアミドと架橋化合物とのブレンド
CN111087729A (zh) 生物质填充pva粒子组合物、生物质填充pva粒子及其制备方法
KR100868134B1 (ko) 난연 폴리프로필렌 절연재용 칼라 마스터 배치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폴리프로필렌 절연재
JP2002097358A (ja) 生分解性木質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CN111849114B (zh) 一种改性再生复合塑料及其制备方法
CN113248872B (zh) 一种可降解刷柄及其制备方法
KR100577581B1 (ko) 폐기물을 이용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5008807A (ja) 木目模様用マスターバッチおよびその利用
JP2006342196A (ja) 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