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222B1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222B1
KR100503222B1 KR10-2003-0017429A KR20030017429A KR100503222B1 KR 100503222 B1 KR100503222 B1 KR 100503222B1 KR 20030017429 A KR20030017429 A KR 20030017429A KR 100503222 B1 KR100503222 B1 KR 100503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body
washing machine
washing
foam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7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76403A (en
Inventor
구보고이치
이누즈카다다시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4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222B1/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2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ub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세제를 용해시킨 세탁수로부터 세제 거품을 만든다. 그리고, 세탁 겸 탈수조 내의 세탁물에 상방으로부터 세제 거품을 끼얹는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세탁력을 확보하여, 세탁 얼룩을 저감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Detergent foam is made from the wash water in which the detergent is dissolved. And it is set as the structure which sprays detergent foam on the laundry in a washing-and-dehydration tank from upper direction. Thereby, the washing machine which ensures washing force and reduces washing | cleaning stain is provided.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제 거품의 작용에 의해, 오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for efficiently removing contamination by the action of detergent foam.

종래의 세탁기는 펄세이터(pulsator)라 불리는 교반 날개를 회전시켜 세탁한다. 도 9는 종래의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낸다.Conventional washing machines wash by rotating stirring blades called pulsators. 9 shows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조(1)는 바닥부에 교반 날개(2)를 설치한 세탁 겸 탈수조(이하, 세탁조로 나타낸다)(3)를 내포한다. 그리고, 외부조(1)는 매달기 봉(4)에 의해 세탁기 외부틀(5)에 매달린다. 모터(6)는 V 벨트(7) 및 감속 기구 겸 클러치(8)를 통해, 교반 날개(2) 또는 세탁조(3)를 구동한다. 배수 밸브(9)는 세탁조(3) 내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밸브이다. 급수 밸브(10)는 세탁조(3) 내로 급수하기 위한 밸브이다. 세탁조(3)는 탈수시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유체 밸런서(11)를 갖는다. 뚜껑(12)을 세탁조(3)의 상부에 설치한다. 제어 장치(13)는 모터(6), 배수 밸브(9), 급수 밸브(10) 등을 제어하여, 세탁, 헹굼, 탈수 등의 일련의 공정을 차례로 제어한다. 상기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세탁조(3)에 세탁물과 소정량의 세제를 투입한 후, 운전을 개시한다. 제어 장치(13)는 급수 밸브(10)를 열어, 세탁조(3) 내로 소정량의 물을 공급한다. 그 후, 제어 장치(13)는 모터(6)를 회전시켜 교반 날개(2)를 구동한다. 교반 날개(2)는 세탁조(3) 내의 세탁물과 물을 교반한다. 이 교반에 의해, 세제는 서서히 물에 용해되어 세탁수가 된다. 그리고, 세탁수는 세탁물의 오염에 작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세탁기는 교반 날개(2)의 회전에 의해 세탁조(3) 내의 세탁물을 교반한다. 즉, 기계력만에 의해 세정력을 확보하고 있다. 그 때문에, 세탁조(3)의 바닥부에 있는 세탁물에는 기계력이 전달되기 쉬워, 높은 세정력이 얻어진다. As shown in FIG. 9, the outer tank 1 contains the washing-and-dehydrating tank (henceforth a washing tank) 3 which provided the stirring blade 2 in the bottom part. The outer tub 1 is suspended from the washing machine outer frame 5 by the hanging rod 4. The motor 6 drives the stirring blade 2 or the washing tank 3 via the V belt 7 and the reduction mechanism and clutch 8. The drain valve 9 is a valve for draining the wash water in the washing tank 3. The water supply valve 10 is a valve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washing tank 3. The washing tank 3 has a fluid balancer 11 in order to reduce vibration at the time of dehydration. Lid 12 is installed on top of the washing tank (3). The control device 13 controls the motor 6, the drain valve 9, the water supply valve 10, and the like to sequentially control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washing, rinsing, and dehydration. The opera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fter the laundry and the predetermined amount of detergent are put into the washing tank 3, the operation is started. The control device 13 opens the water supply valve 10 and supplie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to the washing tank 3. Thereafter, the control device 13 rotates the motor 6 to drive the stirring blade 2. The stirring blade 2 agitates the laundry and water in the washing tank 3. By this agitation, the detergent gradually dissolves in water to form wash water. And the wash water acts on the contamination of the laundry. However,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stirs the laundry in the washing tank 3 by the rotation of the stirring blade 2. That is, the cleaning power is secured only by the mechanical force. Therefore, a mechanical force is easy to be transmitted to the laundry in the bottom part of the washing tub 3, and high washing power is obtained.

한편, 세탁조(3)의 상부에 있는 세탁물에는 기계력이 전달되기 어렵다. 그 결과, 상부에서는 높은 세정력을 얻을 수 없다. 즉, 종래의 세탁기에서는 세탁 얼룩이 크다는 과제를 갖는다. 또한, 세탁 얼룩을 적게 하기 위해, 장시간 교반을 계속하면 세탁물의 옷감이 손상되기 쉽다는 과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높은 세정력을 확보하면서, 세탁 얼룩을 저감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chanical force is difficult to transmit to the laundry in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tank (3). As a result, high cleaning power cannot be obtained at the top. That is, in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shing stain is large. Moreover, in order to reduce washing | cleaning stains, the subject that the cloth of a laundry is easy to be damaged also arises when stirring is continued for a long tim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which reduces washing stains while ensuring high cleaning power.

중앙 내측 바닥부에 교반 날개를 설치한 세탁 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 겸 탈수조를 내포하는 외부조와, 상기 외부조의 상부 개구부에 부착한 커버체와, 상기 외부조에 설치하고 상하 단부에 개구부를 갖는 거품용 통로와, 상기 커버체에 설치하고 상기 세탁 겸 탈수조의 내측 방향으로 개구부를 갖는 거품 토출부와, 상기 거품용 통로의 내부에 설치한 다공질체와, 상기 다공질체에 호스를 통해 연통하는 에어 펌프를 구비한 세탁기를 제공한다.Washing and dehydration tank provided with stirring blades in the central inner bottom, outer tank containing the washing and dewatering tank, cover body attach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outer tank, foam provided in the outer tank and having openings at upper and lower ends An air pump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passage, the foam discharge portion provided in the cover body and having an open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washing and dehydrating tank, the porous body provided inside the foam passage, and the porous body via a hose. It provides a washing machine having a.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또한, 도면은 모식도이며, 각 위치 관계를 치수적으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figure is schematic and does not correctly represent each positional relationship dimensionally.

(실시예 1)(Example 1)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조(14)는 세탁조(15)를 내포한다. 또한, 외부조(14)는 매달기 봉(16)에 의해 세탁기 외부틀(17)에 매달린다. 세탁조(15)는 회전 가능하다. 모터(18)는 V 벨트(19) 및 감속 기구(20)를 통해 세탁조(15) 및 세탁조(15)의 내측 바닥부에 설치한 교반 날개(21)를 회전 구동한다. 커버체(22)를 외부조(14)의 상부 개구부에 설치한다. 또한, 커버체(22)는 거품 토출부(23)를 구성한다. 거품 토출부(23)는 세탁조(15)의 내부 방향을 향해 개구부를 갖는다. 거품용 통로(24)는 외부조(14)의 일부를 구획하여 세로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그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개구부를 갖는다. 이 거품용 통로(24)의 하단의 개구부(25)는 외부조(14)의 내측 바닥부와 연통하고 있다. 거품용 통로(24)의 상단의 개구부는, 거품 토출부(23)에 연통하고 있다. 거품용 통로(24) 내에 다공질체(26)를 설치한다. 이 다공질체(26)는 호스(27)를 통해 에어 펌프(28)와 연통하고 있다. 다공질체(26)의 형상은 도 2a,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통이다. 양측의 평면부의 내부에 각각 제1 유지부(29)와 제2 유지부(30)를 삽입한다. 제1 유지부(29)는 중공이다. 제1 유지부(29)의 한쪽 단부는 다공질체(26)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제1 유지부(29)의 다른쪽 단부는 호스(27)에 삽입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품용 통로(24) 내에 제1 유지부(29) 및 제2 유지부(30)를 거는 걸림부(31)를 형성한다. 제1 유지부(29)와 제2 유지부(30)를 삽입한 다공질체(26)는 걸림부(31)에 착탈 가능하다. 또, 걸림부(31)는 제1 유지부(29)와 제2 유지부(30)를 통해 다공질체(26)를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제1 유지부(29) 및 제2 유지부(30)는 용이하게 다공질체(26)로부터는 빠지지 않는다. 또, 다공질체(26)는 거품용 통로(24) 내의 바닥면, 내벽, 및 걸림부(31)에는 접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통인 다공질체(26)의 축방향을 대략 수평으로 한다. 그리고, 거품용 통로(24)의 하단의 개구부(25)의 상단면보다 위가 되는 위치에 다공질체를 걸림부(31)에 의해 건다. 급수 밸브(32)는 세탁조(15) 내로 급수하기 위한 밸브이다. 배수 밸브(33)는 외부조(14) 내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밸브이다. 제어 장치(34)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다. 제어 수단(35)은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하고, 파워 스위칭 수단(36)을 통해 모터(18), 에어 펌프(28), 급수 밸브(32), 배수 밸브(33)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세탁, 헹굼, 탈수 등의 일련의 공정을 차례로 제어한다. 입력 설정 수단(37)은 운전 코스 등을 설정한다. 제어 수단(35)은 입력 설정 수단(37)으로부터의 정보를 입력하고, 그 정보를 기초로 표시 수단(38)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기억 수단(39)은 제어 수단(35)을 사용하여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한, 상용 전원(40), 전원 스위치(41) 등도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세탁조(15) 내에 세탁물과 세제를 투입한 후, 운전을 개시한다. 제어 수단(35)은 급수 밸브(32)를 작동시켜 급수를 개시한다. 동시에 세탁조(15)가 회전을 시작한다. 세탁조(15) 내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에서, 세탁조(15)는 회전한다. 이렇게 세탁조(15)를 회전시키면서 급수를 행한 경우, 세탁조(15)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교반력에 의해, 투입된 세제가 물에 용해된다. 설정 수위에 도달한 시점에서 급수 밸브(32)를 닫지만, 세탁조(15)의 회전은 계속한다. 제어 수단(35)은 에어 펌프(28)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호스(27)와 제1 유지부(29)를 통해 공기가 거품용 통로(24) 내에 설치한 세탁수 중의 다공질체(26)로 보내진다.As shown in FIG. 1, the outer tub 14 contains the washing tub 15. In addition, the outer tub 14 is suspended from the washing machine outer frame 17 by the hanging rod 16. The washing tub 15 is rotatable. The motor 18 rotationally drives the washing tub 15 and the stirring vane 21 provided in the inner bottom part of the washing tub 15 via the V belt 19 and the deceleration mechanism 20. The cover body 22 is attach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outer tub 14. In addition, the cover body 22 constitutes a bubble discharge part 23. The bubble discharge part 23 has an opening toward the inner direction of the washing tank 15. The foam passage 24 partitions a part of the outer tub 14 and has a longitudinal shape.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have openings. The opening 25 at the lower end of the foam passage 24 communicates with the inner bottom of the outer tub 14. The opening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bubble passage 24 communicates with the bubble discharge part 23. The porous body 26 is installed in the bubble passage 24. This porous body 26 communicates with the air pump 28 through the hose 27. The shape of the porous body 26 is substantially cylindrical as shown to FIG. 2A, FIG. 2B. The first holding part 29 and the second holding part 3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lat parts on both sides. The first holding part 29 is hollow. One end of the first holding part 29 is inserted into the porous body 26.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holding part 29 is inserted into the hose 27. As shown in FIG. 3, the locking part 31 which hangs the 1st holding part 29 and the 2nd holding part 30 is formed in the bubble passage 24. As shown in FIG. The porous body 26 into which the first holding part 29 and the second holding part 30 are inserted is detachable to the locking part 31. Moreover, the locking part 31 is a structure which pinches the porous body 26 from both sides via the 1st holding part 29 and the 2nd holding part 3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1st holding part 29 and the 2nd holding part 30 do not fall easily from the porous body 26 easily. In addition, the porous body 26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he inner wall, and the locking part 31 in the bubble passage 24. As shown in FIG. 4,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bstantially cylindrical porous body 26 is made substantially horizontal. And the porous body is fastened by the catching part 31 in the position which is higher tha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opening part 25 of the lower end of the foam passage 24. The water supply valve 32 is a valve for supplying water into the washing tank 15. The drain valve 33 is a valve for draining the wash water in the outer tank 14. The control apparatus 34 is comprised as shown in FIG. The control means 35 is comprised by a microcomput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motor 18, the air pump 28, the water supply valve 32, the drain valve 33, etc. via the power switching means 36. As shown in FIG. In this way,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washing, rinsing, and dehydration are sequentially controlled. The input setting means 37 sets a driving course and the like. The control means 35 inputs the information from the input setting means 37,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means 38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to inform the user. The storage means 39 stores data necessary for controlling using the control means 35. Moreover, the commercial power supply 40, the power switch 41, etc. are also provided. The opera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fter the laundry and the detergent are put into the washing tank 15, the operation is started. The control means 35 operates the water supply valve 32 to start water supply. At the same time, the washing tank 15 starts to rotate. The washing tank 15 rotates until the water level in the washing tank 15 reaches the set water level. When water is supplied while the washing tank 15 is rotated in this manner, the added detergent is dissolved in water by the stirring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washing tank 15. The water supply valve 32 is closed when the set water level is reached, but the rotation of the washing tank 15 continues. The control means 35 operate the air pump 28. And air is sent to the porous body 26 in wash water provided in the bubble passage 24 through the hose 27 and the 1st holding part 29. As shown in FIG.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공질체(26)로 보내진 공기는, 다공질체(26)로부터 나올 때 기포로 되어 상승한다. 그리고, 기포가 세탁수면에 도달하면, 세제 거품이 발생한다. 세제 거품은 거품용 통로(24)를 통해 상승하여, 커버체(22)의 거품 토출부(23)로부터 세탁조(15) 내의 세탁물에 끼얹어진다. 이렇게 하여 세제 거품을 더럽혀진 의류의 표면 또는 의류 위를 통과시킨다. 그 결과, 세제 거품은 기름이나 기름에 부착한 오염의 입자 등과 결합하여, 그들을 의류로부터 갖고 간다. 또, 세제 거품이 의류 통과중에 터지면, 의류에 고농도의 세제액이 스며든다. 이에 의해서도 오염이 빠지기 쉬운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하여 의류의 세정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세탁수를 거품으로 함으로써, 세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 세탁수를 거품으로 함으로서, 세탁수의 체적이 늘어난다. 그 결과, 적은 세탁수로 세탁물의 오염에 세제 성분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세제 거품을 상방으로부터 끼얹음으로써, 세탁조(15) 내의 상부에 있는 기계력이 전달되기 힘든 세탁물의 오염에 작용시킬 수 있다. 즉, 세탁 얼룩을 저감할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 the air sent to the porous body 26 becomes a bubble when it comes out from the porous body 26, and rises. And when the bubble reaches the wash surface, detergent bubbles are generated. Detergent foam rises through the foam passage 24 and is poured into the laundry in the washing tank 15 from the foam discharge part 23 of the cover body 22. The detergent foam is then passed over the surface of the soiled clothing or over the clothing. As a result, the detergent foam combines with oil or contaminating particles attached to the oil and takes them from the garment. In addition, when the detergent bubble bursts during the passage of clothing, a high concentration of detergent liquid permeates the clothing. This also leads to a state in which contamination easily occurs. In this way, washing | cleaning of clothing is possible. Thus, washing power can be improved by making wash water into foam. Moreover, the volume of wash water increases by making wash water foam. As a result, detergent components can be exerted on the contamination of laundry with less washing water. In addition, by sandwiching the detergent foam from above, the mechanical force at the top in the washing tank 15 can be caused to contaminate the laundry that is difficult to transmit. That is, the washing | cleaning stain can be reduced.

또, 다공질체(26)는 거품용 통로(24)의 내부의 하단부 근방에 설치하고, 또한 대략 원통의 축방향을 대략 수평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보다 적은 수량으로 다공질체(26)는 세제액에 침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보다 적은 수량으로 세제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적은 세탁수를 세제 거품으로 하여, 위로부터 세제 거품을 끼얹어 세탁할 수 있다. 세탁 농도가 높은 세제 거품, 즉 많은 세제 성분을 세탁조(15) 내의 세탁물의 오염에 작용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세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 다공질체(26)의 중심은 하단부의 개구부(25)의 상단면보다 위가 되는 위치에 설치한다. 그 결과, 발생한 기포는 외부조(14)의 내측 바닥부 방향으로 벗어나기 힘들어, 효율적으로 거품용 통로(24) 내를 상승한다. 이에 의해, 보다 많은 세제 거품을 위로부터 끼얹어 세탁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많은 세제 성분을 세탁조(15) 내의 세탁물의 오염에 작용시킬 수 있다. 즉, 세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 다공질체(26)는 거품용 통로(24) 내의 바닥면, 내벽, 및 걸림부(31)에 접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공질체(26)가 거품용 통로(24) 내의 바닥면 및 내벽에 접하고 있으면, 바닥면 및 내벽이 기포 발생의 저항이 된다. 그 결과, 다공질체(26)로부터 기포(50)가 발생하기 힘들어진다. 또한, 기포가 발생해도, 다공질체(26) 표면으로부터 발생한 기포는 파열되기 쉽고, 그 파열된 기포가 결합하여 큰 기포가 생기기 쉽다. 즉, 세제 거품이 크므로, 세제 밀도는 낮아져, 적절한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로부터, 다공질체(26)를 거품용 통로(24) 내의 바닥면, 내벽 및 걸림부(31)로부터 떨어뜨린다. 그 결과, 세제 거품의 발생이 방해받지 않아, 세탁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세제 거품으로 하여, 세탁물의 위로부터 세제 거품을 끼얹어 세탁할 수 있다. 그리고, 많은 세제 성분을 세탁조(15) 내의 세탁물의 오염에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세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 다공질체(26)의 형상은 대략 원통이며, 그 두께는 균일하다. 호스(27)를 통해 보내진 공기는 균일하게 분산하여, 다공질체(26) 표면으로부터 기포가 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공질체의 두께가 불균일한 경우, 호스(27)를 통해 보내진 공기는 두께가 얇은 부분으로부터 집중하여 기포(50)가 된다. 그 결과, 두께가 균일한 경우와 비교하여, 기포가 발생할 수 있는 다공질체의 표면적은 좁아진다. 이로부터, 다공질체(26)의 형상은 대략 원통으로 하여, 다공질체(26)의 두께를 균일하게 한다. 이에 의해, 효율적으로 기포가 발생할 수 있는 다공질체의 표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세탁수를 보다 많는 세제 거품으로 하여 위로부터 세제 거품을 끼얹어 세탁할 수 있다. 즉, 많은 세제 성분을 세탁조(15) 내의 세탁물의 오염에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세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 다공질체(26)는 양측의 평면부의 내부에 각각 제1 유지부(29)와 제2 유지부(30)를 갖는다. 거품용 통로(24) 내에 제1 유지부(29) 및 제2 유지부(30)를 거는 걸림부(31)를 형성한다. 다공질체(26)는 걸림부(31)에 착탈할 수 있다. 걸림부(31)는 제1 유지부(29)와 제2 유지부(30)를 통해 다공질체(26)를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는 구성이다. 그 때문에, 제1 유지부(29) 및 제2 유지부(30)는 용이하게 다공질체(26)로부터는 빠지지 않는다. 이렇게 하여, 다공질체(26)로부터의, 호스(27), 제1 유지부(29)와 제2 유지부(30) 등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다공질체(26)는 거품용 통로(24) 내에 착탈 가능하게 걸려있으므로, 세제 거품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제1 유지부(29)는 중공이다. 그리고, 다공질체(26)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측의 단부를 호스(27)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제1 유지부(29)는 공기 송입부로서도 겸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조립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부품 수의 삭감이 가능하여 비용 저감에 기여한다. 또, 이상에 기술한 바와 같이, 세제 거품의 크기와 세정 효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리고, 세제 거품의 크기를 균일하고 적절한 범위로 하는 것이 세정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인자이다.Moreover, the porous body 26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of the inside of the passage 24 for foaming, and makes the cylindrical axial direction substantially horizontal. In this way, the porous body 26 can be precipitated in the detergent liquid in a smaller quantity. In other words, detergent foam can be generated in a lower quantity. Thereby, less washing water can be made into detergent foam, and it can wash | clean by pouring detergent foam from the top. Detergent foam having a high washing concentration, i.e., many detergent components, may be caused to contaminate the laundry in the washing tank 15. In this way, cleaning power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porous body 26 is provided at a position above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opening portion 25 of the lower end portion. As a result, the generated bubbles hardly escape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bottom of the outer tub 14, and efficiently rise in the foam passage 24. As shown in FIG. Thereby, more detergent foam can be splashed and washed from the top. In other words, many detergent components can act on the contamination of the laundry in the washing tank 15. That is, cleaning power can be improved. Moreover, the porous body 26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bottom face, the inner wall, and the locking part 31 in the bubble passage 24. As shown in FIG. 6, when the porous body 26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face and the inner wall in the bubble passage 24, the bottom face and the inner wall become resistance to bubble generation. As a result, the bubble 50 hardly arises from the porous body 26. In addition, even if bubbles are generated, bubbles gene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porous body 26 are likely to burst, and the bursting bubbles are easily joined to generate large bubbles. That is, since detergent foam is large, detergent density becomes low and an appropriate washing | cleaning effect is not acquired. From this, the porous body 26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the inner wall, and the locking portion 31 in the foam passage 24. As a result,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detergent foam is not disturbed, washing water can be made into detergent foam more efficiently, and it can wash | clean by pouring detergent foam from the laundry. And many detergent components can act on the contamination of the laundry in the washing tank 15, and a washing power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porous body 26 is substantially cylindrical, and the thickness is uniform. Air sent through the hose 27 is uniformly dispersed and bubbles from the surface of the porous body 26. As shown in FIG. 7, when the thickness of the porous body is nonuniform, the air sent through the hose 27 concentrates from the thin portion and becomes the bubble 50. As a result, the surface area of the porous body which can generate bubbles becomes narrow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hickness is uniform. This makes the shape of the porous body 26 substantially cylindrical, and makes the thickness of the porous body 26 uniform. Thereby, the surface area of the porous body which can generate | occur | produce foam efficiently can be enlarged. In addition, washing water can be washed with more detergent foam by pouring detergent foam from above. That is, since many detergent components can act on the contamination of the laundry in the washing tank 15, washing power can be improved. Moreover, the porous body 26 has the 1st holding part 29 and the 2nd holding part 30 in the inside of the planar part of both sides, respectively. The catching part 31 which hangs the 1st holding part 29 and the 2nd holding part 30 is formed in the bubble passage 24. As shown in FIG. The porous body 26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locking portion 31. The locking part 31 is a structure which sandwiches the porous body 26 from both sides through the 1st holding part 29 and the 2nd holding part 3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1st holding part 29 and the 2nd holding part 30 do not fall easily from the porous body 26 easily.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se 27, the first holder 29, the second holder 30, and the like from being removed from the porous body 26. Since the porous body 26 is hung detachably in the foam passage 24, detergent foam can be reliably generated. Moreover, the 1st holding part 29 is hollow. And the edge part of the side which is not inserted in the inside of the porous body 26 is inserted in the hose 27. As shown in FIG. Thereby, the 1st holding part 29 can also serve as an air supply part. As a result, assembly becomes easy. In addition,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contributing to cost reduction.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ize of the detergent foam and the cleaning effect are closely related. In addition, making the size of the detergent foam uniform and in an appropriate range is an important factor for increasing the cleaning effect.

(실시예 2)(Example 2)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공질체(42)의 형상은 대략 구형이다. 다공질체(42)의 내부에 유지부(43)를 삽입한다. 유지부(43)는 중공이다. 거품용 통로(24) 내에는 유지부(43)를 거는 걸림부(45)를 형성한다. 거품용 통로(24)의 하단부의 개구부(25)(도 1 또는 도 4 참조)의 상단면보다 다공질체(42)의 중심이 위가 되는 위치에, 다공질체(42)를 걸림부(45)에 의해 건다. 또, 다공질체(42)는 거품용 통로(24) 내의 바닥면, 내벽, 및 걸림부(45)에 접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As shown in FIG. 8, the shape of the porous body 42 is substantially spherical. The holding part 43 is inserted inside the porous body 42. The holding part 43 is hollow. In the bubble passage 24, a catching portion 45 for hanging the holding portion 43 is 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center of the porous body 42 is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25 (see FIG. 1 or FIG. 4) of the lower end of the foam passage 24, the porous body 42 is attached to the locking portion 45. Hangs by Moreover, the porous body 42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he inner wall, and the locking part 45 in the foam passage 24.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다공질체(42)의 형상은 대략 구형이므로, 다공질체(42)의 두께는 거의 균일하다. 그리고, 호스(27)를 통해 보내진 공기는 균일하게 분산하여, 다공질체(42) 표면으로부터 기포가 된다. 그 결과, 두께가 불균일한 경우와 비교하여, 기포가 발생할 수 있는 다공질체의 표면적은 넓어진다. 그 결과, 세탁수를 보다 많은 세제 거품으로 하여, 위로부터 세탁물로 세제 거품을 끼얹어 세탁할 수 있다. 즉, 많은 세제 성분을 세탁조(15) 내의 세탁물의 오염에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세정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세정력이 높아져 있으므로, 종래의 세탁기에 비해 세탁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세탁물의 옷감의 손상도 적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공질체로는, 세라믹 소결체 등이 바람직하다. 그 일례로서 알루미나 소결체를 들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Since the shape of the porous body 42 is substantially spherical, the thickness of the porous body 42 is almost uniform. And the air sent through the hose 27 disperse | distributes uniformly, and becomes a bubble from the surface of the porous body 42. As a result, the surface area of the porous body in which air bubbles can generate | occur | produce becomes larg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ickness is nonuniform. As a result, washing water can be made into more detergent foam, and it can wash | clean by pouring detergent foam with laundry from the top. That is, since many detergent components can act on the contamination of the laundry in the washing tank 15, washing power can be improved. And since the washing power is high, washing time can be shorten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That is,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damage of the cloth of laundry. Moreover, as a porous body of this invention, a ceramic sintered compact etc. are preferable. An alumina sintered compact is mentioned as an example.

세탁수를 세제 거품으로 하고, 또한 세탁물의 위로부터 세제 거품을 끼얹는 구성으로 한다. 적은 세탁수로 세탁조 내의 세탁물에 세제 성분을 오염에 작용시킬 수 있다. 또, 세탁조의 상부에 있는 세탁물의 오염에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세탁 얼룩을 저감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Washing water is used as detergent foam, and it is set as the structure which sprays detergent foam from the laundry. Less wash water can cause detergent components to contaminate the laundry in the bath. Moreover, since it can act on the contamination of the laundry in the upper part of a washing tank, the washing machine which reduces washing | cleaning stain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세탁기의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세탁기의 다공질체의 측단면도,2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ous body of the washing machin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세탁기의 다공질체의 단면도,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ous body of the washing machin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세탁기의 다공질체를 거품용 통로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3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ous body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foam passage;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세탁기의 다공질체를 거품용 통로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ous body of the washing machin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foam passage;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세탁기의 블록 회로도,5 is a block circuit diagram of a washing machin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세탁기의 다공질체를 거품용 통로에 접하게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6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ous body of the washing machin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a foam passage;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세탁기의 다공질체와는 다른 예의 다공질체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ous body of another example different from the porous body of the washing machin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세탁기의 다공질체를 거품용 통로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ous body of the washing machin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foam passage;

도 9는 종래의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14 … 외부조 2, 21 … 교반 날개1, 14... External tanks 2, 21. Stirring wing

3, 15 … 세탁 겸 탈수조 4, 16 … 매달기 봉3, 15... Washing and dewatering tanks 4, 16. Hanging rods

5, 17 … 세탁기 외부틀 6, 18 … 모터5, 17... Washing machine outer frame 6, 18... motor

7, 19 … V 벨트 8, 20 … 감속 기구 겸 클러치7, 19... V belt 8, 20... Reduction Mechanism & Clutch

9, 33 … 배수 밸브 10, 32 … 급수 밸브9, 33... Drain valves 10, 32. Water supply valve

11 … 유체 밸런서 12 … 뚜껑11. Fluid balancer 12. Lid

13, 34 … 제어 장치 22 … 커버체13, 34... Control unit 22. Cover

23 … 거품 토출부 24 … 거품용 통로23. Foam discharge section 24. Foam passage

25 … 개구부 26, 42 … 다공질체25…. Openings 26, 42. Porous body

27 … 호스 28 … 에어 펌프27. Hose 28... Air pump

29 … 제1 유지부 30 … 제2 유지부29. First holding part 30. 2nd holding part

31, 45 … 걸림부 34 … 제어 장치31, 45... Locking portion 34. controller

43 … 유지부 50 … 기포43. Holding unit 50.. bubble

Claims (19)

중앙 내측 바닥부에 교반 날개를 설치한 세탁 겸 탈수조와, 상기 세탁 겸 탈수조를 내포하는 외부조와, 상기 외부조의 상부 개구부에 부착한 커버체와, 상기 외부조에 설치하고 상하 단부에 개구부를 갖는 거품용 통로와, 상기 커버체에 설치하고 상기 세탁 겸 탈수조의 내측 방향으로 개구한 거품 토출부와, 상기 거품용 통로의 내부에 설치한 다공질체와, 상기 다공질체에 호스를 통해 연통하는 에어 펌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Washing and dehydration tank provided with stirring blades in the central inner bottom, outer tank containing the washing and dewatering tank, cover body attached to the upper opening of the outer tank, foam provided in the outer tank and having openings at upper and lower ends A passage for the passage, a foam discharge portion provided in the cover body and opened in the washing and dewatering tank, a porous body provided inside the foam passage, and an air pump communicating with the porous body through a hos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다공질체를 상기 거품용 통로의 내부에서 하단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ous body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in the foam passag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다공질체를 상기 거품용 통로의 내부에서 하단부의 개구부 상단면보다 상기 다공질체의 중심이 위가 되는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And the porous body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center of the porous body is above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lower end in the foam passage.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다공질체를 상기 거품용 통로 내의 바닥면 및 내벽으로부터 격리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And the porous body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ner wall of the foam passage.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다공질체는 구(球)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porous body is 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here (sphere).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다공질체는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porous body is 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shap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다공질체를 상기 거품용 통로 내의 바닥면 및 내벽으로부터 격리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And the porous body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ner wall of the foam passage.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다공질체는 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porous body is 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herical shape.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다공질체는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porous body is 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shap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다공질체는 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porous body is 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herical shap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다공질체는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porous body is 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shape. 제1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원통 형상의 상기 다공질체는 양 평면부측을 지지하고, 상기 거품용 통로 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cylindrical porous body supports both flat portions and is attached to the foam passage.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원통 형상의 상기 다공질체의 양 평면부측에 유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거품용 통로 내의 내벽에 상기 유지부를 거는 걸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A washing machine is provid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cylindrical porous body, and a holding part for hanging the holding part is provided on an inner wall of the foam passage.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원통 형상의 상기 다공질체의 양 평면부측에 설치한 유지부 중, 어느 한쪽의 유지부의 내부를 중공(中空)으로 하고, 일단을 호스와 접속하고, 타단을 상기 다공질체의 내부와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Among the holding portions provided on both planar sides of the cylindrical porous body, one of the holding portions is hollow, one end is connected to a hos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orous body. Washing machine. 제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원통 형상의 상기 다공질체의 양 평면부측에 설치한 상기 유지부 중, 어느 한쪽의 유지부의 내부를 중공으로 하고, 일단을 호스와 접속하고, 타단을 상기 다공질체의 내부와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Among the holding portions provided on both planar sides of the cylindrical porous body, one of the holding portions is hollowed, one end is connected to a hos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orous body. washer. 제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원통 형상의 상기 다공질체의 원통의 축방향이 수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of the cylindrical porous body is horizontal. 제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원통 형상의 상기 다공질체의 원통의 축방향이 수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of the cylindrical porous body is horizontal. 제1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4, 원통 형상의 상기 다공질체의 원통의 축방향이 수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of the cylindrical porous body is horizontal. 제1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원통 형상의 상기 다공질체의 원통의 축방향이 수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A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axial direction of the cylinder of the cylindrical porous body is horizontal.
KR10-2003-0017429A 2002-03-22 2003-03-20 Washing machine KR1005032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80335A JP3747868B2 (en) 2002-03-22 2002-03-22 Washing machine
JPJP-P-2002-00080335 2002-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403A KR20030076403A (en) 2003-09-26
KR100503222B1 true KR100503222B1 (en) 2005-07-21

Family

ID=2844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429A KR100503222B1 (en) 2002-03-22 2003-03-20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747868B2 (en)
KR (1) KR100503222B1 (en)
CN (2) CN2723491Y (en)
MY (1) MY138753A (en)
TW (1) TWI27479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881B1 (en) * 2006-06-19 2012-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Washing machine and method to control laundry thereof
JP6135979B2 (en) * 2012-12-28 2017-05-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Washing machine
JP6135977B2 (en) * 2012-12-28 2017-05-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Washing machine
CN104718322B (en) * 2012-12-28 2017-03-2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Washing machine
JP6135978B2 (en) * 2012-12-28 2017-05-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Washing machine
WO2023056859A1 (en) * 2021-10-09 2023-04-13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Laundry trea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74797B (en) 2007-03-01
MY138753A (en) 2009-07-31
CN1446973A (en) 2003-10-08
JP3747868B2 (en) 2006-02-22
KR20030076403A (en) 2003-09-26
CN2723491Y (en) 2005-09-07
TW200304515A (en) 2003-10-01
JP2003275491A (en) 200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3156B2 (en) Drum washing machine
TWI712716B (en) washing machine
KR100503222B1 (en) Washing machine
KR100528744B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using the same
JP6934589B2 (en) Washing machine
JP2017205340A (en) Washing machine
JP5555616B2 (en) Washing machine
JP3747874B2 (en) Washing machine
JP3787914B2 (en) Washing machine
JP3738739B2 (en) Washing machine
JPH08103593A (en) Washing machine
JP2003236287A (en) Washing machine
JP4007141B2 (en) Washing machine
JPH0156797B2 (en)
JP6157948B2 (en) Washing machine
JP2018102598A (en) Washing machine
JP2001038095A (en) Detergent dissolv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JP2018102602A (en) Washing machine
JP7022882B2 (en) washing machine
JP2004147741A (en) Washing machine
JPH0994376A (en) Washing machine
JPH0716389A (en) Washing machine
JPH02128794A (en) Washing machine
JP2021137247A (en) Washing machine
JP2003326090A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