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147B1 -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카드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카드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147B1
KR100503147B1 KR10-2003-0003387A KR20030003387A KR100503147B1 KR 100503147 B1 KR100503147 B1 KR 100503147B1 KR 20030003387 A KR20030003387 A KR 20030003387A KR 100503147 B1 KR100503147 B1 KR 100503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card
unit
credit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352A (ko
Inventor
이정일
Original Assignee
(주)더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싸인 filed Critical (주)더싸인
Priority to KR10-2003-0003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147B1/ko
Publication of KR20040066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안전 운전을 도모하고, 신용카드의 이용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한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카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억장치를 갖는 신용카드를 엑세스함에 따라 신용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고, 현위치에 대응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지도 데이터의 변경 사항을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아 신용카드에 저장하고, 신용카드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의 변경 사항을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용카드사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신용카드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지도 데이터 변경 사항을 이용하여 지도 데이터 갱신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카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ING A CAR NAVIGATION, AND SYSTEM AND METHOD FOR CARD SERVIC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항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카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성 항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 이하 GPS.)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위치를 표시하고 경로를 안내하는 차량항법장치(Car Navigation System)는 내장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위치 또는 현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에 대응하는 지도를 디스플레이한다.
지도 데이터에 표시되는 도로 현황 및 주변 건물 등은 일정 주기 없이 사용자나 그 쓰임새에 따라 수시로 다변하고 있다.
그러나, 지도 데이터는 지도 데이터 작성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그 당시의 도로현황을 반영한 것이므로, 현재의 도로 상황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지도의 최대 목적인 사실성이 결여되게 된다. 따라서, 현재의 도로 상황을 반영한 새로운 지도 데이터로의 갱신이 필요하다.
이러한 지도 데이터의 갱신은 사실성이 최대한 반영된 새로운 지도 데이터 작성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전국에는 수많은 도로가 분포되어 있고, 각각의 도로에 변동사항이 발생하는 시점 또한 다르므로, 각각의 도로에 발생한 변동 사항을 일일이 일괄적으로 파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지도 데이터를 갱신하더라도 사실성이 결여된 지도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경로 안내시 안전 운전을 위한 정확한 위험 요소 안내가 어렵고, 경로 안내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과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하기 위해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도로의 변경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차량 항법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여 신용카드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카드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카드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카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차량항법 서비스 장치는, GPS 신호를 근거로 차량의 현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저장부; 상기 차량의 현위치에 대한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도로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제2 메모리를 갖는 카드를 엑세스함에 따라,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된 도로정보를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하는 카드 유닛;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를 상기 카드 유닛부에 제공하고, 상기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된 도로 정보를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카드 유닛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른 차량항법 서비스 방법은, (a) 현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지도 데이터에 표시된 도로 정보 중 상기 현위치에 대응하는 실제 도로 정보와 불일치하는 상기 지도 데이터의 정정사항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정정사항의 종류를 나타내는 도로 상황 정보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도로 상황 정보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현위치에 대응하는 좌표값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d) 메모리를 갖는 카드에 상기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른 카드 서비스 시스템은, GPS 신호를 근거로 생성된 차량의 현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내장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차량의 현위치에 대한 상기 지도 데이터의 변경된 사항을 나타내기 위한 도로 정보를 생성하고, 메모리를 갖는 카드가 엑세스됨에 따라 상기 도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차량항법 장치; 및 통신망과 연결되고, 상기 카드에 엑세스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도로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카드 제어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른 카드 서비스 시스템은, 차량의 고유 정보와 사용자에 조작에 따라 차량에 내장된 각종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차량 정보를 생성하고, 현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의 수정 사항을 나타내는 도로 정보를 생성하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카드 기초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를 갖는 카드를 엑세스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카드 기초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 정보 및 도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정보 및 도로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항법 장치; 및 상기 차량항법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신된 도로 정보를 저장하는 카드 웹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른 카드 서비스 방법은, (a) 카드가 엑세스됨에 따라 상기 카드를 인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기 인증된 카드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에서 입력된 명령이 지도 데이터의 정정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도로 정보 입력 요청인지를 체크하고, 도로 정보 입력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현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의 정정사항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도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카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신용카드가 장착된 차량 항법 장치를 이용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하고, 효율적인 차량관리를 제공하며, 신용카드의 활용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카드 기능을 포함하는 신용카드(Credit Card)(10)는 베이스 기판(11)의 하단에 신용카드(10)를 발급한 신용카드사로부터 부여받은 카드 번호, 신용카드(10)의 사용기한 및 사용자의 이름을 포함하는 카드 기초 정보(13)의 일부가 기재된다. 이때, 상기 카드 기초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신용카드 사용 실적 등 해당 신용카드사에서 규정한 원칙에 따라 누적되는 포인트 총점, 카드 비밀번호, 카드 유효기간 및 이용한도액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이스 기판(11)의 좌측 상단에는 상기 카드 기초 정보 및 외부 기기에 의해 입력되는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소자 및 중앙처리장치를 갖는 반도체 칩(13)이 부착된다.
즉, 신용카드(10)는 자기 카드(Magnetic Card) 형태의 일반적인 신용 카드에 스마트 카드(Smart Card)에 장착되는 집적 회로(IC)인 반도체 칩(12)을 장착한다. 따라서, 자기 카드와 비교할 때 저장 가능한 데이터 용량이 매우 크고, 고도의 기능 및 안정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신용카드(10)는 스마트 카드와 신용카드를 결합시킨 형태의 카드로서, 그 규격은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ISO)에서 정한 스마트 카드 규격을 따른다.
이러한 신용카드와 스마트 카드의 접목은 신용카드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그 서비스 방법이 다양해짐에 따라 점점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스마트 카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카드 운영 체제, 보안 모듈, 메모리 등을 갖추고, 특정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집적회로 칩을 내장한 신용카드 크기의 플라스틱 카드이다.
이러한 스마트 카드는 1977년 모토로라사(Motorola Inc.)와 불사(Bull Inc.)가 개발하여 프랑스의 금융기관에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데이터를 입출력 방법에 따라 접촉식 스마트 카드 및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로 분류될 수 있고, 그 기능 및 내부 구조에 따라 메모리형 스마트 카드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장 스마트 카드 및 대화형 스마트 카드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접촉식 스마트 카드는 카드 리더 및 카드 라이터에 스마트 카드를 삽입한 후 접점이 서로 접촉되도록 하여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한다.
상기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는 스마트 카드용 판독기의 일정 영역내에 스마트 카드가 위치하면 스마트 카드 내에 내장되어 있는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판독기와 스마트 카드가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판독기와 스마트 카드간의 데이터 교류가 행해진다.
상기 메모리형 스마트 카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되지 않은 스마트 카드로서, 공중전화 카드나 물품 구입권 같이 유가증권으로 취급될 수 있는 분야에 주로 사용하는 메모리 이외에 보안장치가 포함된 방식이 있고, 의료보험증과 같이 순수 데이터 보관용으로서 단지 메모리만 내장된 방식이 있다. 이때, 메모리는 주로 EEPROM을 사용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장 스마트 카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내장하여 판단, 연산 및 데이터 보호 등 고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대화형 스마트 카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I/O 프로토콜 및 응용프로그램을 내장하여 정보의 쌍방향 전달을 할 수 있다.
상기한 도 1의 스마트 카드(10)는 접촉식 대화형 스마트 카드를 예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비접촉식 대화형 스마트 카드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는 도 1의 신용 카드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참조하면, 네비게이션 서비스 시스템은 신용카드(10)를 이용한 차량항법 시스템(200), 카드 제어 단말기(300),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 신용카드사 시스템(500), 신용카드사 가맹점 시스템(601, 602) 및 카드 결제 승인 시스템(70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항법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항법 시스템(Car Navigation System)(200)은 GPS위성(100)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GPS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차량항법 시스템(200)은 신용카드(10)에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GPS를 이용하여 항법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항법 장치(210)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내장하여 차량항법 장치(210)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단말기(220)를 포함한다.
차량항법 장치(210)는 GPS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위치를 파악하고, 내장된 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네비게이션 유닛(211) 및 신용카드(10)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신용카드(10)를 엑세스하는 카드 유닛(214)을 포함한다. 이때, 카드 유닛(214)은 상기 신용카드가 접촉식 카드일 경우에는 신용카드(10)가 카드 유닛(214) 내부에 삽입되어 신용카드(10)의 데이터를 엑세스하고, 신용카드가 비접촉식 카드일 경우에는 신용카드(10)와 무선통신을 통해 신용카드(10)의 데이터를 엑세스한다. 동작시, 카드 유닛(214)은 신용카드(10)를 엑세스하여 신용카드(10)의 반도체 칩(13)에 저장된 상기 카드 정보를 추출하여 네비게이션 유닛(211)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네비게이션 유닛(211)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카드 정보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연결된 무선통신 단말기(220)를 이용하여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 또는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정보는 지도데이터에 표시되지 않은 현위치에 대한 추가 또는 변경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로 정보 및 차량 관련 데이터를 나타내는 차량 정보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도로 정보는 현위치에 대한 지도데이터에 표시되지 않은 정정사항의 종류를 나타내는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도로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도로 상황 정보는 무인 과속 감시 카메라의 위치나, 교차로 변경 정보 및 주변 건물에 대한 변경된 정보 등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도로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현위치의 위도 좌표값 및 경도 좌표값을 나타내는 위치값 및 상기 정정 사항의 방향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도로 정보의 입력 시, 먼저 상기 도로 정보에 입력을 위한 메뉴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도로 정보 입력 메뉴는 상기 지도 데이터에 표시되지 않은 정정사항의 종류, 즉, 무인 감시 카메라의 위치나, 결빙 구간, 철도 건널목 위치, 급경사, 급커브의 위치 등 정정사항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정정사항 종류 중 입력하고자하는 정정사항의 종류를 키조작을 통해 선택한다. 이때, 정정사항의 종류 선택에 따라 현위치에 대응하는 죄표값이 저장된다.
그리고, 시스템 구축시, 정정사항별 특성에 따라 특화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서브 메뉴를 두어 상기 서브 메뉴에 따라 정정사항에 대한 정보를 입력수도 있다.
하기하는 표 1은 상기 정정사항의 종류 중 상기 무인 과속 감시 카메라에 대한 도로 정보 입력에 따라 생성되는 도로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항 목 대입값 형식 Byte bit
정정사항 종류 3 word 2 2
1~12 4
1~31 5
시간 0~23 5
동경 좌표 0~1125 Dword 4 11
북위 좌표 0~750 10
각도 0~180 8
방향 0~2 3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차량항법 시스템(200)의 초기 셋팅시 정정사항의 종류에 따라 대입값을 설정하여 상기 대입값을 통해 정정사항의 종류를 파악하는데, 사용자가 상기 도로 정보 메뉴에서 무인 과속 감시 카메라를 선택할 경우, 상기 정정사항 종류의 대입값은 '3'이된다. 상기 월, 일 및 시간은 도로 정보를 등록한 날짜와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입력되거나 또는 차량항법 시스템(200)에 시스템 클럭을 내장하여 이를 통해 상기 도로 정보를 입력한 날짜와 시간에 대한 정보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저장된다. 상기 동경 좌표 및 북위 좌표는 현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값으로서, 상기 도로 상황 정보가 입력되면 현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값이 저장된다. 상기 각도 정보는 차량의 현위치를 기준으로 과속 감시 카메라가 위치한 각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360도를 2로 나눈 0도부터 180도까지의 값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방향은 상기 과속 감시 카메라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0'은 순방향을 나타내고, '1'은 역방향을 나타내며, '2'는 양방향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각도 정보는 상기 도로 정보 입력 메뉴의 서브 메뉴에 따라 입력된 것으로서, 무인 과속 감시 카메라의 위치 등록의 서브 메뉴의 항목이 된다.
한편, 상기 차량 정보는 차량의 출고시 차량을 생산하는 업체에 의해 부여되는 차량의 고유정보를 나타내는 차량 기본 정보, 차량 내의 각종 센서들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차량 갱신 정보, 차량의 정비 내역을 나타내는 차량 정비 내역 정보 및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에 의해 생성된 현재 차량 상태에 대한 진단 결과를 나타내는 차량 진단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 기본 정보는 상기 차량이 출고된 날짜를 나타내는 차량 출고일, 차량 등록시 차량의 식별을 위해 차량마다 유일하게 부여된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 상기 차량에 내장된 엔진의 종류, 추가 장착한 부품의 종류 및 상기 차량의 종류를 나타내는 차종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갱신 정보는 시간의 흐름이나 차량의 주행에 따라 계속 갱신되는 정보로서, 차량내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의 이상 정보, 소모품의 차기 교체 시기와 교체일 등을 나타내는 소모품 정보 및 주행 기록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정비 내역 정보는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에 의해 생성되는 차량 정비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차량 정비 후 정비에 지출된 비용 및 정비 목록을 나타낸다. 일례로는, 차량 정비일, 교체한 소모품의 종류, 차량 정비에 의해 검출된 차량 이상 정보, 정비 품목, 구입 물품 품목, 정비 비용 내역 등이 있다.
상기 차량 진단 정보는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이 상기 차량 기본 정보 및 상기 차량 갱신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차량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로서, 그 일례로는 소모품 교체 유무 및 교체 시기, 차량 이상 발생의 원인 및 그 해결 방법에 대한 정보 등이 있다.
또한, 네비게이션 유닛(211)은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카드 유닛(214)에 제공하고, 카드 유닛(214)은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엑세스한 신용카드(10)의 반도체 칩(13)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는 신용카드(10)에 저장되는 상기 부가 정보 중 하나이다.
그리고, 네비게이션 유닛(211)은 차량항법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 또는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부터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카드 유닛(214)으로 전송하고, 카드 유닛(214)은 상기 데이터를 엑세스한 신용카드(10)에 저장한다.
한편, 카드 제어 단말기(300)는 신용카드(10)를 엑세스함에 따라 신용카드(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인터넷(900)을 통해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 또는 신용카드사 시스템(5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카드 제어 단말기(300)는 신용카드(10)에 저장된 상기 카드 정보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 후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추출한 데이터를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 또는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 전송한다. 이때, 신용카드(10)가 접촉식 카드일 경우에는 신용카드(10)가 카드 제어 단말기(300)에 삽입되어 카드 제어 단말기(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신용카드(10)가 비접촉식 카드일 경우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카드 제어 단말기(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카드 제어 단말기(3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 또는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한 후 신용카드(10)에 저장한다. 여기서, 카드 제어 단말기(300)의 일례로는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고, 스마트 카드와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용 컴퓨터 리더기(PC Reader)가 장착된 컴퓨터 단말기 등이 있다.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은 신용카드(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복수의 신용카드(10)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차량 진단 내역 정보 및 차량 정비 정보를 생성한다. 즉,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은 상기 차량 기본 정보 및 상기 차량 갱신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 진단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차량 진단 내역 정보를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해당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해당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은 차량 정비를 마친 후 해당 차량에 대한 상기 차량 정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정비 정보를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해당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에 전송한다. 이때,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은 상기 차량 정비 정보를 해당 신용카드(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은 복수의 신용카드사 가맹점 시스템(601, 602) 및 카드결제 승인 시스템(700)과 연계하여 신용카드(10) 사용자가 구입한 물품의 대금을 대납하고, 차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물품의 대금을 받는 신용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카드결제 승인 시스템(700)이 신용카드사 가맹점 시스템(601, 602)으로부터 신용카드에 대한 카드승인 요청을 수신 받아 해당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 상기 카드승인 요청을 전송한다. 신용카드사 시스템(700)은 카드승인 요청에 대한 승인 조회를 수행하고, 승인 결과를 카드결제 승인 시스템(700)으로 전송한다.
카드결제 승인 시스템(700)은 상기 승인 결과를 해당 신용카드 가맹점 시스템(601, 602)으로 전송한다. 이때, 신용카드사 시스템(500)과 신용카드사 가맹점 시스템(601, 602) 및 카드결제 승인 시스템(700)은 부가 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이하 VAN.)(800)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은 해당 신용카드사에서 발급한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복수의 신용카드(10) 사용자에 대한 회원 정보 및 상기 차량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회원 정보는 복수의 신용카드(10) 사용자에 대한 인증 및 상기 승인 조회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상기 카드 기초 정보, 신용상태, 실적정보, 이용한도액, 사용자의 주소 및 포인트 총점, 사용자별로 유일하게 부여된 비밀번호 및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때, 비밀번호는 신용카드 비밀번호일 수도 있고,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의 웹 서비스에 이용되는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별도의 비밀번호일 수도 있다.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은 이러한 회원정보를 이용하여 카드 결제 승인 시스템(700)으로부터 수신되는 카드 승인 요청에 대한 승인 조회를 수행한다.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은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의 요청에 따라 포인트 누적 서비스 및 할인쿠폰 다운로드 서비스를 포함하는 신용카드 웹 서비스 및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계부 서비스를 인터넷(900)을 통해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포인트 누적 서비스는 신용카드사에서 설정한 일정 기준에 따라 부과되는 포인트 점수를 해당 신용카드(10)의 포인트 총점에 누적시키는 서비스로서, 상기 포인트 점수를 수신받은 해당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해당 카드 제어 단말기(300)는 상기 포인트 점수를 수신받아 신용카드(10)에 저장한다.
그리고, 할인쿠폰 다운로드 서비스는 신용카드사와 제휴한 복수의 가맹점으로부터 제공되는 할인 서비스를 받기 위한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부터 할인쿠폰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할인쿠폰은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해당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해당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할인쿠폰은 해당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에 엑세스된 신용카드(10)에 저장되고, 사용자는 할인쿠폰을 따로 출력할 필요 없이 할인쿠폰이 저장된 신용카드(10)를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하면 할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VAN(800)은 공중 통신 사업자로부터 회선을 대여받아 고도의 통신 처리 기능을 이용하여 부가 가치를 높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VAN(800)은 본래 전화 또는 텔렉스 통신 서비스 기능을 첨가한 데이터 통신망을 지칭하는 개념이었으나, VAN의 부가 가치는 일반적으로 프로토콜, 부호, 형태, 미디어, 속도 등의 변환을 전송에 부가하여 행하는 통신 처리에 있다.
따라서, 신용카드(10)에 저장되는 상기 카드 정보는 신용카드 발급시 생성되는 상기 카드 기초 정보 및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가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항법 시스템(200)은 스마트 카드 기능이 내장된 신용카드(10)에 데이터를 입출력함으로써, 차량항법 시스템(20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신용카드(10)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차량항법 시스템(2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외부로 반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량항법 시스템(200)에서 생성된 차량 정보 및 도로 정보를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고, 신용카드(10)에 상기 차량 정보 및 도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차량항법 시스템(200)이 아닌 다른 외부 장치를 통해서도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계부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변경된 도로 상황 정보가 복수의 신용카드(10) 사용자에 의해 취합될 수 있으므로, 지도 데이터 작성 업체는 변경된 도로 상황 정보가 반영된 지도 데이터 작성이 용이하고, 사용자는 현재의 도로 상황이 반영된 업그레이드 된 지도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어 운전이 용이하며, 목적지까지의 정확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항법 시스템(200)에서 생성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으로부터 온라인 차량정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차량항법 시스템(200)에서 무선통신이 불가능하더라도 상기 차량 정보를 신용카드(10)에 저장하여 카드 제어 단말기(10)에 의해 온라인 차량정비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차량의 문제점이나 소모품 교체 시기 등을 온라인 차량정비 서비스를 통해 알 수 있으므로, 차량 정비 업체를 사용자가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차량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부터 제공받은 할인쿠폰을 출력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해당 가맹점에서 할인쿠폰이 저장된 신용카드(10)를 이용하여 할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할인쿠폰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차량 이동중에도 차량항법 시스템(200)을 이용하여 할인쿠폰을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신용카드(10)에 저장하고, 신용카드(10)를 이용하여 할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컴퓨터와 프린터가 없이도 할인쿠폰 다운로드가 편리하다.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은 신용카드(10)를 이용하여 정비하고자하는 해당 차량에 대한 상기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차량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차량 정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은 상기 도로 정보를 제공한 사용자에 대하여 신용카드(10)의 포인트 점수를 누적시킴으로써, 변동이 잦은 도로 상황을 일일이 체크할 필요 없이 신용카드(10)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상기 도로 정보를 반영한 업그레이드 된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상기 도로 정보를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업체에 제공함으로써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은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할인쿠폰 서비스를 사용자가 차량 이동중에도 차량항법 시스템(200)을 이용하여 할인쿠폰을 다운로드받아 신용카드(10)에 저장시킬 수 있으므로, 신용카드 할인쿠폰 사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할인쿠폰 사용 활성화로 인한 신용카드(10)의 사용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차량항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로서, 네비게이션 유닛(211)과 카드 유닛(214)의 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지도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현위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생략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항법 장치(210)는 네비게이션 유닛(211) 및 신용카드(10)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카드 유닛(214)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네비게이션 유닛(211)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한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키들이 위치하고, 카드 유닛(214)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네비게이션 유닛(211)의 후면에는 GPS 신호 수신을 위한 GPS 안테나와 연결되는 GPS 안테나 연결부, 차량항법 장치(210)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 시가젝을 포함한다.
카드 유닛(214)은 신용카드(10)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고, 네비게이션 유닛(211)의 개구부를 통해 네비게이션 유닛(211)에 삽입 내장되어 하나의 차량항법 시스템(200)을 완성한다. 이때, 카드 유닛(214)의 내부에는 신용카드(10)의 반도체 칩(13)과 접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접지부가 내장된다. 따라서, 신용카드(10)가 삽입되면 상기 접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신용카드(10)의 반도체 칩(13)이 위치한다.
상기한 도 3의 카드 유닛(214)은 접촉식 신용카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카드 유닛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카드 유닛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비접촉식 신용카드(1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3에서는 신용카드(10)가 가로방향으로 카드 유닛(214)에 삽입되나, 카드 유닛(214)의 제작 의도에 따라 세로 방향으로도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지부는 신용카드(10)가 삽입되었을 때의 반도체 칩(13)의 위치와 대응하게 위치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항법 장치(210)는 신용카드(10)를 삽입할 수 있는 카드 유닛(2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차량항법 장치(10)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신용카드(10)에 저장할 수 있고, 신용카드(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차량항법 장치(10)에서 생성된 상기 차량정보가 저장된 신용카드(10)를 이용하여 외부기기에서도 상기 차량정보의 열람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소유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일일이 체크할 필요 없이 차량항법 장치(210)에 의해 자동 관리가 되고 이를 항시 열람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차량항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차량항법 시스템(200)은 네비게이션 유닛(211), 카드 유닛(212), 무선통신 단말기(220), GPS 안테나(230), 스피커(240), 마이크(250) 및 키 입력부(260)를 포함한다.
동작시, 네비게이션 유닛(211)은 GPS 안테나(230)로부터 제공되는 GPS 위성(100) 신호를 근거로 네비게이션 동작을 수행하고, 카드 유닛(212)으로부터 카드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카드 유닛(212)으로 전송한다. 또한, 연결된 무선 통신 단말기(220)를 통해 음성 신호나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연결된 스피커(240)나 마이크(250)를 통해 해당 음성 신호를 출력하거나 음성 신호를 입력받으며, 키 입력부(260)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키 신호를 제공받아 동작한다.
네비게이션 유닛(211)은 GPS 수신기(2110), 자이로 센서(2112), 중앙 인터페이스부(2114), 지도 데이터 저장부(2116), 차량신호 인터페이스 모듈(2118), 중앙처리부(CPU)(2120), 다이내믹 램(DRAM)(2122), 화상신호 처리부(2124), 비디오 램(VRAM)(2126), 화면표시부(2128), 플래쉬 메모리(2130) 및 음성 신호 처리부(2132)를 포함한다.
GPS 수신기(2110)는 GPS 안테나(230)를 통해 수신된 GPS 측위 신호에서 차량의 현위치를 계산하고, 차량의 진행 방향에 연동하여 방위각 정보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2112)로부터 제공되는 방위각 정보 및 차량신호 인터페이스 모듈(2122)로부터 제공되는 차속 정보를 근거로 GPS 측위 신호의 오차를 정정하여 정정된 GPS 측위 정보를 중앙 인터페이스부(2114)로 전송한다.
이때, GPS 측위 신호의 보정은 차량이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터널 등을 통과할 경우에 터널로 인해 GPS 신호를 차량항법 시스템(200)이 수신받을 수 없으므로, 상기 방위각 정보 및 차속 정보를 이용한 GPS 측위 신호의 보정이 필요하다.
또한, 정밀도 저하율(Dilution of Precision : 이하 DOP.)의 정도에 따라 GPS로부터 수신된 정보의 신뢰성을 판단하여 신뢰성이 저하될 때 GPS 측위 보정이 필요하다. 여기서, DOP는 GPS 정보 신뢰성 판단은 지구를 공전하는 위성이 측량 지역에 얼마나 고르게 분포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GPS 측량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를 계수로 표시하는 것을 말하며, DOP의 수치가 낮을수록 GPS 데이터의 신뢰성이 높다.
그리고, 상기 차량이 도로 상의 위험 요소들 근처 영역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차량의 속도와 각도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GPS 측위 보정이 필요하다.
GPS 측위 신호의 정확도는 GPS 측위 보정보다 오차의 누적이 없는 GPS 측위 정보가 더 정확하지만, 상기 방위각 정보 및 차속 정보를 이용한 보정을 통해 각 상황에 따른 보다 정확한 차량의 현위치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중앙 인터페이스부(2114)는 카드 유닛(212), GPS 수신기(2110), 지도 데이터 저장부(2116), 중앙처리부(CPU)(2118), 차량신호 인터페이스 모듈(2122), 화상신호 처리부(2124), 플래쉬 메모리(2130), 음성 신호 처리부(2132), 무선통신단말기(220) 및 키 입력부(260)와의 인터페이싱을 담당한다.
지도 데이터 저장부(2116)는 차량의 현위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그래픽 형식의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특정 건물이나 지명 및 관공서 등에 대한 기초 정보를 포함하는 부대 정보를 저장한다. 물론, 지도 데이터 및 부대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까지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지도 데이터 및 상기 부대 정보는 차량항법 시스템(200)의 초기 셋팅시 지도 데이터 저장부(2116)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무선통신 단말기(220)를 이용하여 인터넷(900)을 통해 상기 지도 데이터 및 상기 부대 정보를 제공하는 지도 정보 제공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받아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지도 데이터 저장부(2116)에 기 저장된 상기 지도 데이터 및 상기 부대 정보는 무선통신 단말기(220)를 이용하여 인터넷(900)을 통해 상기 지도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최근의 지도 데이터 및 부대 정보를 수신받아 갱신할 수도 있다.
차량신호 인터페이스 모듈(2118)은 차량내의 각종 센서들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갱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갱신 정보를 중앙 인터페이스(2114)에 제공한다.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2120)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차량 갱신 정보를 중앙 인터페이스(2114)로부터 수신받아 기 저장된 차량 갱신 정보를 갱신한다.
중앙처리부(2122)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여 플래쉬 메모리(2120)에 저장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 및 상기 부대 정보를 지도 데이터 저장부(2116)에 저장하며, 네비게이션 유닛(211)에서 구동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운전자 소프트웨어를 구동 및 제어한다.
또한, 중앙처리부(2122)는 상기 GPS 측위 신호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 및 부대 정보를 지도 데이터 저장부(2116)로부터 추출한 후, 상기 지도 데이터와 상기부대 정보 및 GPS 수신기(211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GPS 측위 신호를 화상 신호 처리부(2126)로 제공하여 차량의 현위치를 디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DRAM(2124)은 네비게이션 유닛(211)의 실행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보다 상세히는 중앙처리부(2118)가 네비게이션 유닛(211)에서 구동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운전자 소프트웨어를 로드시킬 장소를 제공한다.
화상신호 처리부(2126)는 중앙처리부(2124)나 중앙 인터페이스부(2114)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상기 지도 데이터 및 상기 부대 정보를 지도 화상으로 변환하여 화면 표시부(2130)에 제공하고, 차량의 현위치를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GPS 측위 신호를 화면 표시부(2130)에 제공한다.
VRAM(Video RAM)(2128)은 화소 데이터를 써넣기 위한 RAM과, 데이터를 표시 장치인 화면 표시부(2130)에 출력하는 시리얼 접근 메모리를 가지며, 각 메모리간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 화상 처리용 기억 장치이다.
화면 표시부(2130)는 화상신호 처리부(2122)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화면 표시부(1320)는 네비게이션 유닛(211)에 일체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네비게이션 유닛(211)으로부터 이탈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 표시부(1320)는 다양한 표시 장치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나, 플라즈마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와 같은 각종 평판 표시 장치를 통해 구현할 수 있고,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에 터치 스크린을 더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의 키조작을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음성 신호 처리부(2132)는 무선 통신 단말기(22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240)에 출력하고, 마이크(25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신호를 무선통신 단말기(220) 또는 중앙 인터페이스부(2114)에 제공한다. 특히, 무선통신 단말기(220)와의 연결을 통해 음성 신호의 양방향 송수신 가능하므로, 별도의 핸즈프리 세트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구비된 스피커(240)와 마이크(250)를 통해 핸즈프리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도면상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기(220)가 네비게이션 유닛(211)과는 별도로 구비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한 네비게이션 유닛(211)내에 RF 송수신을 위한 CDMA 칩과 같은 무선 통신 단말 칩을 내장시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스피커(240)는 차량의 진행 방향에 응답하는 경로 안내 방송이나 도로의 교차점이나 병목 구간 진입 시 또는 차량의 진행 방향에 위치한 위험 요소에 대해 경고하는 경고 방송을 출력한다. 여기서, 스피커(240)는 차량내에 이미 구비되는 스피커를 이용할 수도 있고, 이와는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네비게이션 유닛의 내부 구성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드웨어적으로 분리한 것이 아니고, 각 기능별도 논리적으로 분리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항법 시스템(200)에서 생성된 차량 정보 및 도로 정보를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고, 신용카드(10)에 상기 차량 정보 및 도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차량항법 시스템(200)이 아닌 다른 외부 장치를 통해서도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계부를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카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유닛(214)은 신용카드(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하는 카드 입력부(2142), 신용카드(10)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고 네비게이션 유닛(211)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네비게이션 유닛(211) 및 삽입된 신용카드(10)가 기 설정된 신용카드(10)인지를 인증하는 카드 인증부(2146)를 포함한다.
동작시, 카드 입력부(2142)가 신용카드(10)를 엑세스하면, 카드 제어부(2144)는 신용카드(10)에 저장된 상기 카드 정보로부터 상기 카드 기초 정보를 추출하여 카드 인증부(2146)에 전송하고, 카드 인증부(2146)는 상기 카드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신용카드(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카드 제어부(2144)는 상기 접지부를 통해 신용카드(10)에 저장된 카드정보를 신용카드(10)로부터 추출하여 네비게이션 유닛(211)으로 제공하고, 네비게이션 유닛(211)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상기 접지부를 이용하여 신용카드(10)에 저장한다.
이상에서는 카드 유닛(214)의 내부 구성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드웨어적으로 분리한 것이 아니고, 각 기능별도 논리적으로 분리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유닛(214)은 신용카드(10)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네비게이션 유닛(211)에 제공하고, 네비게이션 유닛(211)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신용카드(10)에 저장함으로써, 특별한 외부 장치의 도움 없이 네비게이션 유닛(211)에서 생성된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하다. 또한, 휴대가 편리한 신용카드(10)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으므로, 네비게이션 유닛(211)의 데이터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카드 제어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제어 단말기(300)는 입력부(302), 스마트 카드 접속부(304), 중앙 처리부(306), 메모리(308), 통신부(310) 및 화면 출력부(312)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입력부(30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스마트 카드 접속부(304)는 신용카드(10)를 엑세스하여 신용카드(10)와 중앙 처리부(306)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중앙 처리부(306)는 입력부(302)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의해 스마트 카드 접속부(304), 메모리(308), 통신부(310) 및 화면 출력부(312)를 제어하고, 스마트 카드 접속부(304)에의해 엑세스된 신용카드(10)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한다.
메모리(308)는 입력부(302)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신용카드(10)에 저장된 상기 카드 정보를 중앙처리부(306)에 의해 저장하며, 통신부(310)를 경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통신부(310)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내장하고, 인터넷(900)과 연결되어 웹 서비스 이용을 지원하고, 인터넷(900)을 통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화면 출력부(312)는 중앙처리부(306)에 의해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와 같은 각종 평판 표시 장치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동작시, 중앙처리부(306)는 스마트 카드 접속부(304)가 신용카드(10)를 엑세스함에 따라 신용카드(10)에 저장된 카드 정보(304)를 추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부(302)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카드 정보를 메모리(308)에 저장하거나, 상기 카드 정보로부터 차량정보를 추출하여 화면 출력부(312)로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차량정보가 메모리(308)에 저장될 경우에는 사용자의 차계부 정보로 활용하여 카드 제어 단말기(300)를 이용한 차계부 서비스도 가능하다.
또한, 중앙처리부(306)는 상기 차량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 요청을 통신부(310)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에 전송하고,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500)으로부터 상기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 진단 정보를 통신부(310)를 이용하여 수신받아 메모리(308)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 진단 내역 정보를 스마트 카드 접속부(304)를 이용하여 신용카드(10)에 저장한다.
상기 차량 진단 내역 정보는 상기 차계부 서비스의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중앙처리부(306)는 상기 카드 정보로부터 도로 정보를 추출하고, 통신부(310)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 정보를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중앙처리부(306)는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부터 상기 도로 정보에 대응하는 포인트 점수를 통신부(310)를 경유하여 수신받아 스마트 카드 접속부(304)를 이용하여 신용카드(10)에 저장한다. 즉, 신용카드(10)의 포인트 총점에 상기 포인트 점수를 누적시킨다.
또한, 중앙처리부(306)는 통신부(310)를 이용하여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에 접속하여 해당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할인쿠폰을 통신부(310)를 이용하여 다운로드받은 후, 상기 할인쿠폰을 스마트 카드 접속부(304)를 이용하여 신용카드(10)에 저장한다.
이상에서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의 내부 구성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드웨어적으로 분리한 것이 아니고, 각 기능별도 논리적으로 분리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제어 단말기(300)는 차량항법 시스템(200)에서 생성된 네비게이션 정보가 저장된 신용카드(10)를 이용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열람하기 위해 사용자가 매번 차량항법 시스템(200)을 이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기능이 내장되지 않은 차량항법 시스템의 사용자도 카드 제어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 및 신용카드사 시스템(500)과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 및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차량 정비 업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은 입력부(401), 신용카드(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카드 입력부(402), 제어부(404), 인증부(406), 차량정보 DB(408), 고객정보 DB(410) 및 웹 서버(412)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입력부(401)는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어부(404)는 입력부(401)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명령에 따라 카드 입력부(402)가 엑세스한 신용카드(10)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고, 차량정보 DB(408) 및 고객정보 DB(410)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4)는 웹 서버(412)를 이용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인증부(406)는 카드 입력부(402)가 신용카드(10)를 엑세스함에 따라 고객정보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증된 사용자의 신용카드(10)인지를 판단하고, 웹 서버(412)를 통해 수신된 상기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 요청이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요청인지를 판단한다.
차량정보 DB(408)는 인증부(406)에 의해 인증된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상기 차량 정보를 저장한다.
고객정보 DB(410)는 인증부(406)에서 인증에 필요한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이름, 신용카드 번호, 주민등록 번호, 전화번호, 주소, 사용자별로 유일하게 부여된 비밀번호 및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비밀번호는 신용카드 비밀번호일 수도 있고,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에서 사용되는 별도의 비밀번호일수도 있다.
한편, 웹 서버(412)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내장하고, 일종의 홈페이지나 웹 페이지를 관리 및 제공하며,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엑세스하는 단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물론, 웹 서버(412)는 차량정보 DB(408)에 저장된 상기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상에서 사용자에게 차계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동작시, 제어부(900)는 카드 입력부(402)가 신용카드(10)를 엑세스함에 따라신용카드(10)로부터 상기 카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카드 정보를 인증부(406)에 제공한다.
인증부(406)는 상기 카드 정보로부터 상기 카드 기초 정보를 추출하고, 고객정보 DB(410)를 참조하여 상기 카드 기초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제어부(404)는 인증된 신용카드(10)의 카드 정보로부터 차량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이상 유무 및 이상 정도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404)는 상기 운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부(402)를 통해 차량정비 결과를 나타내는 상기 차량 정비 내역 정보를 입력받아 차량정보 DB(408)에 저장하고, 상기 차량 정비 내역 정보를 웹 서버(412)를 이용하여 해당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차량 정비 내역 정보는 카드 입력부(402)에 엑세스된 해당 신용카드(10)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404)는 웹 서버(412)를 경유하여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상기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 진단 정보를 생성한 후, 웹 서버(412)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 상기 차량 진단 정보를 전송한다.
이상에서는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의 내부 구성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드웨어적으로 분리한 것이 아니고, 각 기능별도 논리적으로 분리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은 차량 정비결과인 차량 정비 내역 정보를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에 접속하여 인터넷상에서 보다 정확한 차계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은 차량 정비 이전에 신용카드(10)를 이용하여 고객의 차량에 대한 이상 유무 및 이상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차량내의 각종 센서에 의해 생성된 상기 차량 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사람이 인지하지 못하는 차량의 이상을 정확하게 감지 할 수 있으며, 차량 정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넷상에서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차량정비 업체를 방문하기 전에 차량의 이상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신속한 차량의 이상 파악으로 인해 차량 및 차량 소모품에 대한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심각한 차량 이상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신용카드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은 웹 서버(502), 중앙 제어부(504), 인증부(506), 회원정보 DB(508), 차량정보 DB(510), 도로정보DB(512), VAN 접속부(514) 및 승인부(516)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웹 서버(502)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내장하고, 일종의 홈페이지나 웹 페이지를 관리 및 제공하며,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엑세스하는 단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중앙 제어부(504)는 회원정보 DB(508)와 차량정보 DB(510) 및 도로정보 DB(512)의 데이터를 제어하고, 웹 서버(502) 및 VAN 접속부(512)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인증부(506)는 회원정보 DB(508)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 서버(502)를 통해 외부 단말로터 수신된 데이터가 인증된 신용카드(10)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
회원정보 DB(508)는 해당 신용카드사에서 발급한 신용카드(10)를 사용하고 있는 복수의 사용자를 인증하고 카드 승인 조회에 요구되는 상기 회원정보를 저장한다.
차량정보 DB(510)는 신용카드(10)를 사용하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소유한 차량 유지에 따른 지출 내역을 나타내는 차계부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차계부 정보는 상기 차량 기본 정보,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차량 정비 내역 정보, 주유 금액 정보 및 차량 보험료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주유 금액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용카드(10) 사용 내역 중 차량 주유를 위한 결제 내역을 추출하여 생성되고, 상기 차량 보험료 정보는 신용카드(10) 결제를 통한 차량 보험료 납부시 그 결제 내역을 추출함으로써 생성된다.
도로정보 DB(512)는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신용카드(10) 사용자로부터 수신받은 도로 정보를 저장한다. 도로정보 DB(512)에 취합된 상기 도로 정보는 지도 데이터 갱신에 이용된다.
VAN 접속부(514)는 VAN(800)과 연결되어 VAN(800)을 이용하여 카드 결제 승인 시스템(7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VAN 접속부(514)를 경유하여 수신된 물품의 대금 결제를 위한 카드 승인 요청은 중앙 제어부(504)에 의해 승인부(516)로 전송된다.
승인부(516)는 회원 정보 DB(508)를 참조하여 상기 카드 승인 요청에 대응하는 신용카드(10)에 대하여 승인을 수행하고, 승인 결과는 중앙 제어부(504)에 의해 VAN 접속부(514)를 이용하여 해당 카드 결제 승인 시스템(700)에 전송된다. 이때, 차량 주유에 따른 카드 결제 승인이거나 차량 보험료 납부일 경우에는,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승인 내역을 상기 중앙 제어부(504)에 의해 상기 차량정보 DB(510)로 전송한다.
동작시, 웹 서버(502)는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부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중앙 제어부(504)에 의해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을 인증부(506)로 전송한다.
인증부(506)는 회원정보 DB(508)를 이용하여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이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인증을 수행한다.
중앙 제어부(504)는 인증된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이 도로 정보 등록 요청이면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도로 정보를 도로정보 DB(512)에 저장한다. 또한, 중앙 제어부(504)는 회원정보 DB(508)를 참조하여 상기 도로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의 포인트 총점에 상기 도로 정보 제공에 대응하는 포인트 점수를 누적시키고, 상기 포인트 점수를 웹 서버(502)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이렇게 전송된 포인트 점수는 해당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에 엑세스된 상기 사용자의 신용카드(10)에 저장되어 포인트 총점에 누적된다.
그리고, 중앙제어부(504)는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이 할인쿠폰 다운로드 요청이면, 상기 사용자가 요구하는 해당 가맹점의 할인쿠폰을 웹 서버(502)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또한, 중앙제어부(504)는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이 차계부 서비스 요청이면, 차량정보 DB(510)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차량정보를 추출한 후 웹 서버(502)로 전송하고, 웹 서버(502)는 상기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차량에 대한 차계부 서비스를 신용카드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한다.
한편, 웹 서버(502)는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으로부터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차량 정비 정보가 수신되면, 중앙 제어부(504)로 상기 차량 정비 정보가 수신됨을 알리고, 중앙 제어부(504)는 상기 차량 정비 정보를 차량정보 DB(510)에 저장한다.
이상에서는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의 내부 구성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드웨어적으로 분리한 것이 아니고, 각 기능별도 논리적으로 분리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도로 정보를 취합하여 지도 가공 업체에 제공하고, 상기 지도 가공 업체는 상기 도로 정보를 지도 데이터 갱신에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도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지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은 사용자의 신용카드 웹 서비스 이용에 따른 포인트 누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신용카드 사용자 유치를 유도한다.
그리고, 신용카드(10)의 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시킴으로써, 신용카드 사용을 단순한 물품 대금 결제에 그치지 않고, 할인쿠폰이나 네비게이션 정보 저장 등 특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신용카드(10) 사용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은 상기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웹상에서 차계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과의 연동을 통해 차량정보가 자동으로 갱신되고, 사용자가 일일이 차량에 대한 정보를 기재하고 관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차량항법 시스템(200)과 카드 유닛(300)과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 및 신용카드사 시스템(500)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신용카드(10)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은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 및 신용카드사 시스템(500)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과, 차량항법 시스템(200)과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 및 신용카드사 시스템(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 및, 카드 제어 단말기(300)와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 및 신용카드사 시스템(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으로 나누어 설명될 수 있다.
먼저, 차량항법 시스템(200)과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 및 신용카드사 시스템(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살펴보면, 차량항법 시스템(200)은 신용카드(10) 사용자의 차량 정비를 완료한 후 운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차량에 대한 차정비 내용 및 결과를 나타내는 상기 차량 정비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402).
이어,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은 상기 차량 정비 내역 정보를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해당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에 전송하고(단계 S404),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은 수신된 차량 정비 내역 정보를 차량정보 DB(510)에 저장한다(단계 S502).
한편, 차량항법 시스템(200)과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 및 신용카드사 시스템(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차량항법 시스템(200)은 엑세스된 신용카드(10)로부터 카드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202).
이어, 차량항법 시스템(200)은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로부터 차량 정보를 추출한 후, 신용카드(10)의 카드번호와 비밀번호 및 상기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 요청을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으로 전송한다(단계 S204). 이때, 차량항법 시스템(200)은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신용카드(1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은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기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에 대한 정비 진단을 수행하여 차량 진단 정보를 생성하고(단계 S406), 상기 차량 진단 정보를 해당 차량항법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단계 S408).
차량항법 시스템(200)은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기 차량 진단 정보를 화면 표시부(2130)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06).
또한, 차량항법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을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에 전송한다(단계 S208).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은 수신된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의 종류를 파악하여 이에 대응하는 신용카드 웹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단계 S504),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정보를 해당 차량항법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단계 S506). 이때,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정보는 해당 할인쿠폰을 전송하기 위한 할인쿠폰 정보 및 온라인 차계부 서비스를 위한 차계부 정보를 포함한다.
차량항법 시스템(200)은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정보를 화면 표시부(213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10).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은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포인트 점수를 생성하여 회원정보 DB(508)에 저장된 해당 신용카드(10)의 포인트 총점에 누적시키고(단계 S510), 상기 포인트 점수를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해당 차량항법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단계 S512).
차량항법 시스템(200)은 수신된 포인트 점수를 해당 신용카드(10)에 저장하여 포인트 총점에 상기 포인트 점수를 누적시킨다(단계 S212).
한편, 카드 제어 단말기(300)와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 및 신용카드사 시스템(500) 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카드 제어 단말기(300)는 신용카드(10)로부터 카드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302).
이어, 카드 제어 단말기(300)는 상기 카드 정보로부터 차량 정보를 추출한 후, 신용카드(10)의 카드번호와 비밀번호 및 상기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 요청을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으로 전송한다(단계 S304).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은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기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에 대한 정비 진단을 수행하여 차량 진단 정보를 생성하고(단계 S406), 상기 차량 진단 정보를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 전송한다(단계 S410).
카드 제어 단말기(300)는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기 차량 진단 정보를 화면 출력부(312)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306).
또한, 카드 제어 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을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에 전송한다(단계 S308).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은 수신된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의 종류를 파악하여 이에 대응하는 신용카드 웹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단계 S504),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정보를 해당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 전송한다(단계 S508).
카드 제어 단말기(300)는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정보를 화면 출력부(312)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310).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은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포인트 점수를 생성하여 회원정보 DB(508)에 저장된 해당 신용카드(10)의 포인트 총점에 누적시키고(단계 S510), 상기 포인트 점수를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 전송한다(단계 S512).
카드 제어 단말기(300)는 상기 포인트 점수를 해당 신용카드(10)에 저장하여 포인트 총점에 상기 포인트 점수를 누적시킨다(단계 S31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용카드(10)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은, 차량항법 시스템(200)에서 생성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300)으로부터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차량의 이상 유무 파악이 용이하다.
또한, 카드 제어 단말기(300)에서 신용카드(10)에 저장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정비 온라인 서비스 및 신용카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차량항법 시스템(300)에서 생성된 네비게이션 정보의 활용을 증대하고, 더 나아가서는 차량항법 시스템(300)의 이용을 증대시킬 수 있다.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은 차량항법 시스템(200)에서 생성된 상기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정비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정비에 들어가기 전에 차량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차량 정비의 신속성 및 정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은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이용에 따른 포인트 점수 할당 및 차량 정비 내역 정보를 이용한 온라인 차계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신용카드(10)의 이용율을 향상시키고, 신용카드(10) 가입자 유치를 증대시킨다.
상기한 도 9에서는 차량항법 시스템(200)과 카드 유닛(300)과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 및 신용카드사 시스템(500)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살펴보았으나, 하기하는 도 10 내지 도 21b는 각각의 시스템별로 서비스 과정을 서술하였다.
도 10은 도 9에서 차량항법 시스템의 차량항법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차량합법 시스템(200)의 전원이 온됨에 따라 화면 표시부(2130)로 차량항법 시스템(200)의 메인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단계 S40), 사용자의 음성 입력 또는 키조작에 의해 명령을 입력받는다(단계 S42).
이어, 상기한 단계 S42에서 입력된 명령이 네비게이션 처리를 요청하는 명령인지를 체크하고(단계 S44), 네비게이션 처리를 요청하는 명령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12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현위치를 계산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네비게이션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46).
단계 S44에서 네비게이션 처리 미요청일 경우 및 단계 S46에 이어 단계 S42에서 입력된 명령이 신용카드 서비스 처리를 요청하는 명령인지를 체크한다(단계 S48).
단계 S48에서 신용카드 서비스 처리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15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신용카드(10)에 저장된 카드정보를 이용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용카드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50).
단계 S48에서 신용카드 서비스 처리 미요청일 경우 및 단계 S50에 이어 차량항법 시스템(200)의 전원 온/오프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S52), 차량항법 시스템(200)의 전원이 온 상태로 체크될 경우에는 단계 S40으로 피드백한다.
단계 S52에서 차량항법 시스템(200)의 전원 상태가 오프로 체크될 경우에는 차량항법 서비스를 종료한다.
도 11은 도 1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음성 명령 입력을 위한 음성명령 키의 선택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S121), 음성명령 키 미선택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한 음성명령 키 이외의 키조작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24).
단계 S424에서 음성명령 키 이외의 키조작이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고(단계 S426), 음성명령 키 이외의 키조작이 미존재하는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한 키조작이 존재할 때까지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단계 S422에서 음성명령 키가 선택된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음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음성 명령 처리 모드로 전환하고(단계 S428),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의해 명령을 입력받는다(단계 S430).
이어, 음성 명령의 내용을 해독하고(단계 S432), 음성 명령 해독이 정상적 수행됐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434).
단계 S434에서 상기 음성 명령 해독이 정상 수행으로 체크된 경우에는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고(단계 S426), 음성 명령 해독이 비정상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화면 표시부(2130)로 음성 명령 입력이 오류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436).
이때, 음성명령 키 선택에 따른 음성 명령의 입력은 무선통신 단말기(220)나, 스피커(240) 또는 마이크(250)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경우에는 해당 정보를 화면 표시부(2130)로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해당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제공하며, 음성 출력은 스피커(700)나 이동통신 단말기(220)를 이용하여 출력된다.
도 12는 도 10의 네비게이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음성 경로 안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내장된 GPS 수신기(2110)를 이용하여 차량의 자기 위치를 연산하고, 후술하는 도 14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지도 데이터 저장부(2116)에 이미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 매핑처리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462).
이어, 사용자의 음성 또는 키 조작에 의해 명령을 입력받고(단계 S42), 입력된 명령이 목적지 또는 특정 지역이나 건물에 대한 정보 검색 요청인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466).
단계 S466에서 정보 검색 요청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지도 데이터 저장부(2116)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요청하는 목적지 또는 특정 지역이나 건물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 후 그 결과를 화면 표시부(2130)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64).
한편, 단계 S162에서 정보검색 미요청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164에 이어 현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경로 탐색 요청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고(단계 S470), 경로탐색 미요청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현위치 디스플레이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단계 S470에서 경로탐색 요청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 그 결과를 화면 표시부(2130)로 디스플레이하고(단계 S472), 탐색된 경로에 의해 차량의 현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 안내 요청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474).
단계 S474에서 경로 안내 요청이 존재하는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현재 차량의 주행 진행 방향과 현재 위치 등 주행 현황에 따라 경로 안내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476). 이때, 상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무선통신 단말기(220) 또는 스피커(240)를 이용하여 현재 주행 현황에 대한 음성 경로 안내 동작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주행도로의 제한 속도나, 급커브, 터널, 철도 건널목 등 현재 도로를 주행함에 있어서 주의해야할 위험 요소에 대한 경고 안내 및 교차로에서의 방향을 미리 안내하여 운전의 편의를 도모한다.
단계 S474에서 경로 안내 미선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현위치 디스플레이 상태를 유지한다.
도 14는 도 12의 현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GPS 위성(100)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GPS 신호를 근거로 차량의 현위치를 계산한다(단계 S620).
이어 디.지.피.에스(DGPS; Differential GPS) 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단계 S622), 지도데이터 저장부(2116)로부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지도데이터를 추출한다(단계 S624).
이어 추출한 지도데이터를 화면 표시부(2130)로 디스플레이하고(단계 S626), 차량신호 인터페이스 모듈(2118)로부터 차속신호를 추출한 후 상기 차속신호를 근거로 차량의 이동 거리를 계산한다(단계 S628).
이어 자이로 센서(2112)에 의해 감지된 자이로 신호를 근거로 차량의 이동각을 계산하고(단계 S630), 맵매칭으로 차량의 현위치를 보정한 후 디스플레이된 지도에 차량의 현위치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632).
도 15는 도 10의 신용카드 서비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도10 및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카드 유닛(214)의 신용카드(10) 엑세스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S502), 신용카드(10) 미엑세스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신용 카드 삽입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화면 표시부(2130)로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504).
단계 S502에서 신용카드(10) 엑세스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504에 이어 신용카드(10)가 차량항법 시스템(200)에서 인증된 신용카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신용카드 인증을 수행한다(단계 S506).
이어 단계 S506의 인증 결과를 통해 기 인증된 신용카드인지를 체크하고(단계 S508), 미인증된 신용카드(10)일 경우에는 신용카드 인증이 실패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 표시부(2130)로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510).
한편, 단계 S508에서 기 인증된 신용카드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명령을 입력받고(단계 S42), 입력된 명령이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의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차량 정보 요청인지를 체크한 후(단계 S514), 입력된 명령이 차량 정보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16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차량 정보 요청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516).
단계 S514에서 입력된 명령이 차량 정보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516에 이어 입력된 명령이 현재 주행중인 도로의 변경 사항 및 신규 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도로 상황 정보 입력 요청인지를 체크한다(단계 S518).
단계 S518에서 도로 상황 정보 입력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17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로 상황 정보 입력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520).
단계 S518에서 도로 상황 정보 입력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520에 이어 입력된 명령이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인지를 체크하고(단계 S522),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도 18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신용카드 웹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524).
단계 S522에서 신용카드 웹 서비스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현재 디스플레이 상태를 유지한다.
도 16은 도 15의 차량 정보 요청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도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차량내의 각종 센서들에 의해 취합된 차량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갱신 정보를 생성한 후(단계 S160), 해당 신용카드(10)에 차량 갱신 정보를 저장하는 요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62).
단계 S162에서 차량 갱신 정보 저장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차량 갱신 정보를 신용카드(10)에 저장하고(단계 S164), 차량 갱신 정보 미저장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무선통신 단말기(220)를 이용하여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의 홈페이지에 접속한다(단계 S166).
이어 상기 차량 갱신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 요청을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으로 전송한다(단계 S168).
이어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으로부터 상기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차량 진단 정보를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수신받아 화면 표시부(2130)로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7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항법 시스템(200)은 내장된 차량신호 인터페이스 모듈(2118)을 이용하여 차량 갱신 정보를 생성하고, 차량 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웹 상에서 차량의 현재 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차량의 이상을 감지할 수 있고, 체계적인 차량 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7은 도 5의 도로 상황 정보 입력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 도 5 및 도 17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입력하고자하는 도로 상황 정보의 종류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받는다(단계 S200). 이때, 도로 상황 정보 종류의 일례로는 지도데이터에 표시되지 않은 현위치에 대한 과속 감시 카메라의 위치나, 교차로 변경 정보, 주변 건물의 상호 변경 등이 있다.
이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해당 도로 상황 정보를 입력받은 후(단계 S202), 변경된 도로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현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206).
이어 상기 도로 상황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를 신용카드(10)에 저장한다(단계 S20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항법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주행중에 발견한 지도 데이터에 표시되지 않은 도로의 변경 사항을 신용카드(10) 저장함으로써, 도로의 변경 사항을 반영한 지도 데이터 갱신을 용이하게 하고 보다 정확한 지도 데이터 작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행중에 발견한 도로 변경 사항을 반영할 수 있으므로, 보다 현실성이 높은 지도 데이터 작성을 유도할 수 있고, 지도 데이터 갱신에 요구되는 변경 사항 취합이 용이하다.
도 18은 도 15의 신용카드 웹 서비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도 15 및 도 18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단말기(220)를 이용하여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의 웹 사이트에 접속한 후(단계 S240),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에서 제공하는 신용카드 웹 서비스 메뉴를 선택한다(단계 S242).
이어 단계 S242에서 선택된 메뉴가 도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도로 정보 등록 요청인지를 체크하고(단계 S244), 도로 정보 등록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도 17에서 생성된 도로정보를 신용카드(10)로부터 추출하여 인터넷(900) 경유해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 전송한다(단계 S246).
한편, 단계 S244에서 도로 정보 등록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메뉴가 신용카드사의 가맹점에 대한 할인 서비스를 받기 위한 할인쿠폰 다운로드 요청인지를 체크한다(단계 S248).
단계 S248에서 할인쿠폰 다운로드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부터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할인쿠폰을 다운로드받은 후(단계 S250), 신용카드(10)에 저장한다(단계 S252).
단계 S248에서 할인쿠폰 다운로드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메뉴가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차계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차계부 정보 요청인지 체크한다(단계 S254).
단계 S254에서 선택된 메뉴가 차계부 정보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 온라인 차계부 서비스를 요청한 후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부터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상기 온라인 차계부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차계부 정보를 다운로드받는다(단계 S256).
이어 다운로드받은 차계부 정보를 화면 표시부(2130)로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58).
한편, 단계 S254에서 차계부 정보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와 단계 S246, 단계 S252 및 단계 S258에 이어 요청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포인트 점수를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신용카드(10)의 포인트 총점에 누적한다(단계 S26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항법 시스템(200)은 무선통신 단말기(220) 및 신용카드(1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에서 제공하는 신용카드 웹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신용카드(10)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신용카드사는 사용자가 웹 상에서 제공하는 신용카드사의 특정 가맹점에 대한 할인쿠폰을 출력하는 번거로움 없이 신용카드(10)에 할인쿠폰을 저장하여 해당 가맹점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할인 서비스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신용카드사에서 발송한 인쇄물 형태의 할인쿠폰을 일일이 챙기거나 해당 신용카드사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할인쿠폰을 따로 출력해야하는 번거로움 없이 할인쿠폰을 신용카드(10)에 저장하여 언제든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해당 가맹점에 찾아가는 도중에도 차량항법 시스템(200)을 이용하여 해당 가맹점의 할인쿠폰을 다운로드받아 신용카드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할인쿠폰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9에서 카드 제어 단말기의 신용카드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도 9,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에 의해 스마트 카드 접속부(304)에 신용카드(10)가 엑세스되고(단계 S60), 신용카드(10)로부터 카드 기초정보를 추출한 후 카드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한 신용카드(10)인지를 판단하는 신용카드 인증을 수행한다(단계 S62).
이어 단계 S60의 신용카드 인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한 신용카드(10)인지를 체크한 후(단계 S64) 비인증된 신용카드(10)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사용 불가능한 신용카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 출력부(132)로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66).
한편, 단계 S64에서 사용 가능한 신용카드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신용카드 서비스를 위한 메뉴를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메뉴 선택을 입력받는다(단계 S68).
단계 S68에서 선택된 메뉴가 온라인 차량정비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차량정보 전송 요청인지를 체크하고(단계 S70), 차량 정보 전송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해당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의 홈페이지에 접속한다(단계 S72).
이어 신용카드(10)의 카드 정보로부터 차량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차량정보를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해당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으로 전송한 후(단계 S74) 단계 S68로 피드백 한다.
한편, 단계 S70에서 차량정보 전송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74에 이어 선택된 메뉴가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신용카드사 웹 서비스 요청인지를 체크한다(단계 S76).
단계 S76에서 신용카드사 웹 서비스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서비스를 종료하고, 선택된 메뉴가 신용카드사 서비스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의 웹사이트에 접속한다(단계 S78).
이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명령을 입력받고(단계 S80), 입력된 명령이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도로정보 등록 요청인지를 체크한다(단계 S82).
단계 S82에서 입력된 명령이 도로정보 등록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신용카드(10)의 카드 정보로부터 도로 정보를 추출하여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 전송한다(단계 S84).
한편, 단계 S82에서 도로정보 등록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입력된 명령이 신용카드사의 가맹점에 대한 할인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할인쿠폰 다운로드 요청인지를 체크한다(단계 S86).
단계 S86에서 할인쿠폰 다운로드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부터 해당 가맹점의 할인쿠폰을 다운로드받은 후 신용카드(10)에 상기 할인쿠폰을 저장한다(단계 S88).
한편, 단계 S86에서 할인쿠폰 다운로드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입력된 명령이 차계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차계부 열람 요청인지를 체크하고(단계 S90), 차계부 열람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서비스를 종료한다.
단계 S90에서 입력된 명령이 차계부 열람 요청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부터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차계부 정보를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다운로드받은 후(단계 S92) 상기 차계부 정보를 화면 출력부(312)로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94).
단계 S84, 단계 S88 및 단계 S94에 이어 해당 서비스 이용에 대한 포인트 점수를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수신받은 후(단계 S96) 상기 포인트 점수를 신용카드(10)에 저장하여 신용카드(10)의 포인트 총점에 누적한다(단계 S9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제어 단말기(300)는 차량항법 시스템(200)에서 생성된 네비게이션 정보가 저장된 신용카드(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량항법 시스템(200)을 이용하지 않고도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제어 단말기(300)는 신용카드(10)로부터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함으로,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에 접속하여 신용카드 웹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고,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신용카드(10) 저장할 수 있으므로, 신용카드(10)의 이용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외부의 출력기기를 이용하여 출력할 필요 없이 신용카드(10)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수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신용카드사의 부가 서비스 이용률을 증대시키고, 더 나아가서는 신용카드 이용률 및 회원 유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 도 9, 도 20a 및 도 20b는 도 9에서 차량 정비 업체의 차량 정비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먼저 정비하고자 하는 차량 사용자의 신용카드(10)가 운영자의 의해 카드 입력부(402)에 엑세스되고(단계 S110), 신용카드(10)로부터 카드 기초 정보를 추출한 후 고객정보 DB(408)를 참조하여 신용카드(10)가 사용 가능한 신용카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신용카드(10) 인증을 수행한다(단계 S112).
이어 단계 S112의 인증 수행 결과를 이용하여 신용카드(10)가 인증된 신용카드인지를 체크하고(단계 S114), 비인증된 신용카드(10)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사용 불가능한 신용카드(10)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다(단계 S116).
한편, 단계 S114에서 인증 수행 결과가 인증된 신용카드(10)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신용카드(10)로부터 차량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차량의 상태를 파악한다(단계 S118). 즉, 상기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정비 업자는 상기 차량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하여 차량정비를 실시한다.
이어 차량 정비 업자에 의한 상기 차량의 차량 정비가 완료됨에 따라 운영자의 조작에 의해 차량을 정비한 내역을 입력받아 차량 정비 내역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120).
이어 상기 차량 정비 내역 정보를 신용카드(10)에 저장하기 위한 차량 정비 내역 저장 요청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하고(단계 S122), 차량 정비 내역 정보 저장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신용카드(10)에 상기 차량 정비 내역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124).
한편, 단계 S122에서 차량 정비 내역 정보 저장 미요청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124에 이어 상기 차량 정비 내역 정보를 차량정보 DB(408)에 저장하고(단계 S126), 해당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으로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상기 차량 정비 내역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128).
이어 차량항법 시스템(200) 및 카드 유닛(300)으로부터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카드 기초 정보 및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 요청이 수신됐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130).
단계 S130에서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 요청 미수신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대기하고,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 요청 수신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수신된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 요청으로부터 카드 기초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카드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단계 S132).
이어 단계 S132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결과를 이용하여 인증된 사용자인지를 체크하고(단계 S134), 비 인증된 사용자라 체크될 경우에는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사용자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해당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 전송한다(단계 S136).
한편, 단계 S134에서 인증된 사용자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상기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 요청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추출한 후(단계 S138) 상기 차량 정보를 근거하여 차량의 현상태에 대한 이상유무를 파악하기 위한 차량 진단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140).
이어 내장된 차량정보 DB(408)에 해당 차량에 대한 상기 차량 진단 정보를 저장하고(단계 S142),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상기 차량 진단 정보를 해당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 전송한다(단계 S14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은 차량 정비 이전에 신용카드에 저장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확인 불가능한 차량의 이상까지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고객의 차량 정비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차량항법 시스템(200)에서 생성된 차량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문제점을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바른 차량관리를 유도할 수 있고, 차량 이상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1은 도 9에서 신용카드사 시스템의 신용카드 웹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도 9 및 도 21을 참조하면, 먼저 신용카드사가 지정한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으로부터 신용카드(10)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정비 내역인 차량 정비 내역 정보가 수신됐는지를 체크하고(단계 S150), 차량 정비 내역 정보 수신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수신된 차량 정비 내역 정보를 차량정보 DB(510)에 저장한다(단계 S152).
한편, 단계 S150에서 차량 정비 내역 정보 미수신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부터 카드 기초 정보를 포함하는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이 존재하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154).
단계 S154에서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 미수신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하고,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 수신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으로부터 카드 기초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카드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단계 S156).
이어 단계 S156에서 사용자 인증 결과를 이용하여 인증된 사용자인지를 체크하고(단계 S158), 비인증된 사용자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신용카드 웹 서비스 사용이 불가한 비인증된 사용자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해당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 전송한다(단계 S160).
한편, 단계 S158에서 인증된 사용자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이 도로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도로 정보 등록 요청인지를 체크하고(단계 S162), 도로 정보 등록 요청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도로 정보를 내장된 도로정보 DB(512)에 저장한다(단계 S164).
한편, 단계 S162에서 도로 정보 등록 미요청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164에 이어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이 신용카드사의 특정 가맹점에 대한 할인 서비스를 받기 위한 할인쿠폰 다운로드 요청인지를 체크한다(단계 S166).
단계 S166에서 할인쿠폰 다운로드 요청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가맹점에 대한 할인 쿠폰을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해당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 전송한다(단계 S168).
한편, 단계 166에서 할인쿠폰 다운로드 미요청으로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168에 이어 상기 신용카드 웹 서비스 요청이 사용자의 차계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차계부 정보 요청인지를 체크한다(단계 S170).
단계 S170에서 차계부 열람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내장된 차량정보 DB(510)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차량 정보를 추출한 후 해당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상기 차량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172).
한편, 단계 S170에서 차계부 열람 미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 및 단계 S174에 이어 사용자가 요청한 신용카드 웹 서비스에 대응하는 해당 포인트 점수를 회원정보 DB(508)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포인트 총점에 누적한다(단계 S174).
이어 해당 차량항법 시스템(200) 또는 카드 제어 단말기(300)로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상기 포인트 점수를 전송한다(단계 S17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은 신용카드 사용자로부터 변경된 도로 정보를 취합하고, 취합된 도로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으므로, 사실성이 높은 지도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취합된 도로 정보를 지도 데이터 생산 업체에 제공하여 이로 인한 이익 창출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400)에서 생성된 차량 정비 내역 정보를 인터넷(900)을 경유하여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웹상에서 차계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신용카드사의 서비스 폭을 넓힐 수 있고, 이를 통해 신용카드 회원 유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용카드사 시스템(500)에 의해 자신의 차량에 대한 차계부 정보가 자동 관리되므로, 차량 관리를 위한 별도의 차계부 정보 관리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항법 시스템은 스마트 카드 기능이 내장된 신용카드에 데이터를 입출력함으로써, 차량항법 시스템에서 생성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신용카드에 저장하고, 이에 따라, 외부 장치에서도 네비게이션 정보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차량항법 시스템은 변경된 도로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지도 데이터 갱신에 필요한 도로 갱신 정보의 취합이 용이하고, 사용자는 현재의 도로 상황이 반영된 업그레이드 된 지도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정확한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차량항법 시스템은 차량 내의 각종 센서들로부터 차량 신호를 취합하여 차량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차량 정보를 이용한 정확한 차량 상태 파악을 도모하고,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차량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차량 이상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항법 시스템은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할인쿠폰 서비스를 사용자가 차량 이동중에도 할인쿠폰을 다운로드받아 신용카드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할인쿠폰 이용을 용이하게 하고, 신용카드사의 할인쿠폰 서비스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차량항법 시스템에서 생성된 네비게이션 정보는 신용카드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차량항법 시스템이 아닌 다른 외부 장치를 통해서도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신용카드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차량정비 업체는 차량항법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 정비 업자가 차량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차량항법 시스템에서 생성된 차량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문제점을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차량의 이상을 알려주고, 사용자의 바른 차량 관리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정비 업체는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차량항법 시스템에서 생성된 차량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차량의 상태를 미리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차량 정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정보가 차량에 내장된 각종 차량 센서들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포함하므로, 사람이 육안으로 확인 불가능한 차량의 이상까지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차량 정비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신용카드사는 차량항법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재 도로의 변경 사항 정보를 취합할 수 있으므로, 취합된 도로의 변경 사항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실성이 높은 지도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취합된 도로 정보를 지도 데이터 생산 업체에 제공하여 이로 인한 이익 창출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신용카드사는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에서 생성된 차량 정비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웹상에서 신용카드 회원을 대상으로 차계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신용카드의 서비스 폭을 넓힐 수 있고, 이를 통해 신용카드 회원 유치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차량항법 시스템 및 카드 제어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 상에서 제공하는 신용카드사의 특정 가맹점에 대한 할인쿠폰을 출력하는 번거로움 없이 신용카드에 할인쿠폰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할인 서비스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차량 이동중에도 차량항법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할인쿠폰 서비스 등과 같은 부가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받아 신용카드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외부의 출력기기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할 필요 없이 차량항법 시스템 및 카드 제어 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신용카드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신용카드사에서 제공하는 부가 서비스 이용이 용이하다.
사용자는 차량항법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 차량정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온라인 차량정비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차량의 문제점이나 소모품 교체 시기 등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차량 정비 업체를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차량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차량항법 시스템에서 생성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신용카드사 시스템의 차계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차계부 정보를 관리할 필요 없이 신용카드사 시스템에 의한 차계부 정보 관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신용 카드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 항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차량 항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카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카드 제어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차량 정비 업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신용카드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용카드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차량 항법 시스템의 차량항법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운전자 입력 인터페이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네비게이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음성 경로 안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현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0의 신용카드 서비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차량정보 요청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5의 도로 상황 정보 입력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5의 신용카드 웹 서비스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9에서 카드 제어 단말기의 신용카드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도 9에서 차량 정비 업체의 차량 정비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은 도 9에서 신용카드사 시스템의 신용카드 웹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용카드 100 : GPS 위성
200 : 차량 항법 시스템 300 : 카드 제어 단말기
400 : 차량정비 업체 시스템 500 : 신용카드사 시스템
601, 602 : 신용카드사 가맹점 시스템 700 : 카드 결제 승인 시스템
800 : 인터넷 900 : 부가가치 통신망

Claims (24)

  1. GPS 신호를 근거로 차량의 현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저장부;
    상기 차량의 현위치에 대한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도로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제2 메모리를 갖는 카드를 엑세스함에 따라,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된 도로정보를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하는 카드 유닛;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를 상기 카드 유닛부에 제공하고, 상기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된 도로 정보를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카드 유닛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내장된 각종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근거로 차량의 상태를 점검하고, 점검된 상태를 근거로 차량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기 위한 차량 갱신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제1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신용카드, 직불카드, 후불카드, 선불카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
  4. (a) 현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현위치를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지도 데이터에 표시된 도로 정보 중 상기 현위치에 대응하는 실제 도로 정보와 불일치하는 상기 지도 데이터의 정정사항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정정사항의 종류를 나타내는 도로 상황 정보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도로 상황 정보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현위치에 대응하는 좌표값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d) 메모리를 갖는 카드에 상기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항법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e)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차량에 내장된 각종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차량정보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서비스 방법.
  6. GPS 신호를 근거로 생성된 차량의 현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내장된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차량의 현위치에 대한 상기 지도 데이터의 변경된 사항을 나타내기 위한 도로 정보를 생성하고, 메모리를 갖는 카드가 엑세스됨에 따라 상기 도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차량항법 장치; 및
    통신망과 연결되고, 상기 카드에 엑세스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도로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카드 제어 단말기를 포함하는 카드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항법 장치는,
    상기 GPS 신호를 근거로 차량의 현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 저장부;
    상기 차량의 현위치에 대한 도로 상황 정보 및 상기 도로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를 저장하는 네비게이션 데이터 저장부;
    상기 카드를 엑세스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카드 유닛; 및
    상기 카드 유닛이 상기 카드를 엑세스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카드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를 상기 카드 유닛에 제공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카드 유닛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시스템.
  8. 차량의 고유 정보와 사용자에 조작에 따라 차량에 내장된 각종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차량 정보를 생성하고, 현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의 수정 사항을 나타내는 도로 정보를 생성하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카드 기초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를 갖는 카드를 엑세스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카드 기초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 정보 및 도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며,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정보 및 도로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항법 장치; 및
    상기 차량항법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신된 도로 정보를 저장하는 카드 웹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카드 서비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항법 장치는,
    사용자의 키조작 또는 음성에 의해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GPS 신호와 방위각 정보에 의해 상기 현위치에 대한 좌표 값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위치 정보 생성부;
    상기 사용자에 조작에 따라 차량에 내장된 각종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이상유무를 파악하기 위한 차량 갱신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차량정보 인터페이스부;
    상기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지도데이터 저장부;
    상기 차량의 고유 정보를 나타내는 차량 기본 정보와 상기 차량 갱신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도로 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DB;
    상기 카드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카드 유닛;
    상기 지도 데이터, 상기 위치 정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화상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카드 유닛이 상기 카드를 엑세스함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신호를 상기 카드 유닛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네비게이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카드 유닛에 제공하는 제어부 ; 및
    통신 프로토콜을 내장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기본 정보는 상기 차량이 출고된 날짜를 나타내는 차량 출고일 정보와, 차량 등록시 차량의 식별을 위해 차량마다 유일하게 부여된 차량번호 정보와, 상기 차량에 내장된 엔진의 종류를 나타내는 엔진 정보와, 상기 차량의 종류를 나타내는 차종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정보는 상기 현위치에 대한 지도데이터의 정정 사항의 종류를 나타내는 도로 상황 정보와, 상기 도로 상황 정보에 대응하는 현위치의 좌표값 및 상기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정 사항의 대상이 위치한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웹 서비스 장치는,
    통신 프로토콜을 내장하고, 상기 통신망을 경유하여 엑세스하는 단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망 접속부;
    상기 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및 카드 결제 승인에 요구되는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DB;
    상기 복수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를 저장하는 차량정보 DB;
    상기 차량항법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도로 정보를 저장하는 도로정보 DB;
    상기 회원정보 DB를 참조하여 상기 통신망을 경유하여 수신된 데이터가 인증된 상기 카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인증부;
    상기 차량항법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망 접속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도로 정보를 상기 도로정보 DB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망 접속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차량 정보를 상기 차량정보 DB에 저장하는 제어부;
    상기 회원정보 DB를 참조하여 상기 카드 사용자의 물품 구입 대금 결제를 요청하는 카드 승인 요청에 대한 승인을 수행하는 승인부; 및
    부가가치 통신망과 연결되고, 상기 부가가치 통신망을 경유하여 수신된 상기 카드 승인 요청을 상기 승인부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 승인 요청에 대응하는 승인 결과를 상기 부가가치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부가가치망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과 연결되고, 상기 카드를 엑세스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차량 갱신 정보 및 상기 도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카드 웹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카드 웹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카드 제어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카드 서비스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카드 제어 단말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카드를 엑세스하는 카드 삽입부;
    통신 프로토콜을 내장하고, 상기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카드 삽입부가 상기 카드를 엑세스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부를 대한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시스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항법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차량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내장된 각종 부품별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차량 진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차량 진단 정보를 상기 차량항법 장치에 제공하며, 상기 차량에 대한 정비결과를 나타내는 차량 정비 정보를 생성하는 차량정비 서비스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비 서비스 장치는,
    통신 프로토콜을 내장하고,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망 접속부; 및
    상기 차량항법 장치로부터 통신망 접속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차량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이상유무를 나타내는 차량 진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망 접속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진단 정보를 상기 차량항법 장치로 전송하며, 차량을 정비함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는 차량 정비 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망 접속부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웹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비 서비스 장치는, 상기 차량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를 갖는 카드를 엑세스하여 상기 차량 정보를 추출하는 카드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시스템.
  18. 내장된 지도 데이터 및 GPS 신호를 이용하여 현위치를 디스플레이하며, 차량의 고유 정보와 사용자에 조작에 따라 차량에 내장된 각종 센서들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차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현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의 정정사항을 나타내는 도로 정보를 생성하며, 메모리를 갖는 카드를 엑세스함에 따라 상기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차량 정보 및 도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차량항법 장치;
    상기 도로 정보 및 차계부 정보를 저장하며,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카드 웹 서비스 장치; 및
    상기 통신망과 연결되고, 상기 카드를 엑세스하여 상기 카드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카드로부터 상기 도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망을 경유해 상기 카드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카드 제어 단말기를 포함하는 카드 서비스 시스템.
  19. (a) 카드가 엑세스됨에 따라 상기 카드를 인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기 인증된 카드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에서 입력된 명령이 지도 데이터의 정정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도로 정보 입력 요청인지를 체크하고, 도로 정보 입력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현위치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의 정정사항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도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드 서비스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d) 상기 단계(b)에서 입력된 명령이 상기 카드를 제공하는 카드회사의 웹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웹 서비스 요청인지를 체크하고, 웹 서비스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상기 카드사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d-1) 상기 카드회사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d-2)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d-3) 상기 단계(d-2)에서 선택된 메뉴가 상기 도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도로 정보 등록 요청인지를 체크하고, 도로 정보 등록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상기 카드로부터 상기 도로 정보를 추출하여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d-4) 상기 단계(d-2)에서 선택된 메뉴가 상기 카드회사의 특정 가맹점에 대한 할인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할인쿠폰 다운로드 요청인지를 체크하고, 할인쿠폰 다운로드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인터넷을 경유하여 상기 할인쿠폰을 다운로드받아 상기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 및
    (d-5) 상기 단계(d-2)에서 선택된 메뉴가 상기 사용자의 차량에 차량 기초 정보 및 차량 정비 내역 정보를 포함하는 차계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차계부 정보 요청인지를 체크하고, 차계부 정보 요청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계부 정보를 인터넷을 경유하여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d) 상기 단계(b)에서 입력된 명령이 차량 현상태에 대한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차량 진단 정보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차량 진단 정보 요청인지를 체크하고, 차량 진단 정보 요청일 경우에는 상기 차량 진단 정보를 인터넷을 경유하여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d-1) 상기 차량내에 내장된 각종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상태에 대한 이상유무를 파악하기 위한 차량 갱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2) 상기 차량 갱신 정보를 포함하는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 요청을 인터넷을 경유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d-3) 상기 온라인 차량 정비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차량 진단 내역 정보를 인터넷을 경유하여 수신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c-1) 등록할 상기 현위치에 대한 상기 정정사항의 종류에 대응하는 도로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2) 상기 현위치 대한 좌표값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c-3) 상기 도로 상황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정보를 상기 카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서비스 방법.
KR10-2003-0003387A 2003-01-17 2003-01-17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카드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03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387A KR100503147B1 (ko) 2003-01-17 2003-01-17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카드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387A KR100503147B1 (ko) 2003-01-17 2003-01-17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카드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352A KR20040066352A (ko) 2004-07-27
KR100503147B1 true KR100503147B1 (ko) 2005-07-21

Family

ID=3735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387A KR100503147B1 (ko) 2003-01-17 2003-01-17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카드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1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369B1 (ko) * 2004-11-30 2007-01-29 우리산업 주식회사 Rfid카드를 이용한 차량항법장치 및 그 방법
KR100852345B1 (ko) * 2007-04-04 2008-08-14 (주) 엘지텔레콤 차량용 통행료 정산단말기 모듈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과 그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는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 다운로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352A (ko) 200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2540C2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улучшенных картографических данных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навигационных устройствах
CN101469999B (zh) 管理地理数据库版本之间的差异
EP1035531B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mobile units
CN101981606A (zh) 信息传输系统及车载器
JP2006079557A (ja) 予約方法、予約制入庫方法、ワイヤレスコールナンバー取得方法、通信処理方法、駐車場予約システム
US2022000507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02048579A (ja) 通信型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CN102109354B (zh) 导航装置及其缴费设施引导方法
KR100503147B1 (ko) 차량 항법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이용한 카드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4079135B2 (ja) 車両用通信装置
JP201813904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料金算出装置、情報処理方法、料金算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288536A (ja) 地図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9053751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連携システム、それに用いる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52345B1 (ko) 차량용 통행료 정산단말기 모듈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과 그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는 전자지도 데이터베이스 다운로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5181062A (ja) 地図表示装置、地図情報更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651453B2 (ja) 遊技用電子マネー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提供用サーバ
JP4707451B2 (ja) 遊技用電子マネー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用サーバ、携帯端末、および、電子マネー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2006350624A (ja) 車載用情報端末装置及び情報センター
US11562396B2 (en)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5477276B2 (ja) 車載通信装置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US20210302188A1 (en) Route guidance system,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4019883B2 (ja) Etc車載システム
JP2002357434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を用いた駐車場管理システム
US20220051239A1 (en) Vehicle toll transponder for enabling multiple transaction cards and securely providing transaction card details
JP2007316886A (ja) Etc車載器およびetc車載器の制御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