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080B1 - 잉크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잉크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080B1
KR100503080B1 KR10-2002-0082386A KR20020082386A KR100503080B1 KR 100503080 B1 KR100503080 B1 KR 100503080B1 KR 20020082386 A KR20020082386 A KR 20020082386A KR 100503080 B1 KR100503080 B1 KR 100503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over
inner cover
air passag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5918A (ko
Inventor
정명송
황형휴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2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080B1/ko
Publication of KR2004005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36Protection of cartridges or parts thereof, e.g. tape
    • B41J2/1754Protection of cartridges or parts thereof, e.g. tape with means attached to the cartridge, e.g. protective c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6Means for regulating the pressure in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 B41J2202/03Specific materials used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 카트리지에 관하여 개시한다. 개시된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부와, 상기 잉크저장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잉크저장부의 잉크를 인쇄매체에 액적으로 방출하는 프린트헤드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잉크저장부의 상부를 커버하며 대기연통홀이 형성된 내부커버; 상기 내부커버로부터 상방으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커버를 밀봉하며, 외부와 연통된 외기홀이 형성된 외부커버; 및 상기 내부커버 및 외부커버 사이의 상기 공간에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커버 및 상기 외부커버와의 사이에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중간부재;를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잉크저장부로의 공기통로를 길게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유출입되는 공기량을 제한하여서 잉크의 변질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를 내부커버 및 외부 커버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서 상기 공기통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잉크 카트리지{Ink cartridge}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에 사용하는 잉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잉크저장실 상부의 내부커버 및 외부커버 사이에 공기통로를 형성한 잉크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미국특허 제5,847,735호에 개시된 잉크 카트리지의 커버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저장부를 덮는 커버(1)의 상부에 스네이크 패턴(snake pattern)의 그루브(2)가 형성되어 있고, 그루브(2)의 일단(3)은 커버(1)에 형성된 대기연통홀(5)을 통해 잉크저장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S-형상의 그루브(4)에 연결되어 있다. 커버(1)의 상부에는 그루브(2,4) 및 대기연통홀(3)을 실링하는 필름(6)이 부착되어 있다. 이 필름(6)에 의해 스네이크 패턴의 그루브(2)는 공기통로(air vent path)를 형성한다. 상기 필름(6)에는 두 개의 절단선(8,9)이 미리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단선(8,9)은 테어라인(tear line)(1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필름의 일측은 커버(1)의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14)이 형성되어서 이 연장부분(14)을 위로 잡아당기면 쉽게 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공기통로는 외기가 스네이크 패턴의 그루브(2)를 지나서 대기연통홀(5)을 통해 카트리지내 잉크저장부와 연통되어서 잉크저장부의 적절한 부압(negative pressure)을 유지한다. 잉크 카트리지를 사용시 그 위에 피복되어 있는 필름(6)의 연장된 부분(14)을 벗겨서 그루브(2)에 연결된 잉크저장부 내를 대기에 개방하는 경우 이 긴 공기통로에 의해 공기의 유출입을 제한하여 잉크저장부 내부의 잉크가 증발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커버(1) 구비한 잉크 카트리지는 필름(6)이 외부의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파손시 스네이크 패턴의 그루브(2)이 무용지물로 되기 쉽다. 또한, 스네이크 패턴의 그루브(2) 함몰하거나, 연장된 부분(14)을 뗄 때 절단부분이 깨끗하게 떨어지지 않는 경우 외관이 미려하지 않게 된다.
한편,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그루브(2)가 커버(1)의 상부면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통로의 길이가 제한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저장부를 덮는 외부 및 내부커버로 분리하여 공기통로를 외부 및 내부커버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공기통로를 연장하며, 상기 공기통로가 외부의 힘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 잉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부와, 상기 잉크저장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잉크저장부의 잉크를 인쇄매체에 액적으로 방출하는 프린트헤드를 구비하는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잉크저장부의 상부를 커버하며 대기연통홀이 형성된 내부커버;
상기 내부커버로부터 상방으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커버를 밀봉하며, 외부와 연통된 외기홀이 형성된 외부커버; 및
상기 내부커버 및 외부커버 사이의 상기 공간에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커버 및 상기 외부커버와의 사이에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중간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외부커버의 하부면 및 상기 내부커버의 상부면에 형성된 그루브를 상기 중간부재가 밀착하여 형성되며, 상기 외부커버의 그루브(groove)의 일단과 상기 내부커버의 그루브의 일단을 연결하는 관통홀이 상기 중간부재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중간부재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그루브를 상기 외부커버의 하부면 및 상기 내부커버의 상부면과 밀착하여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재의 상부면의 그루브의 일단을 상기 중간부재의 하부면의 그루브의 일단에 연결하는 관통홀이 상기 중간부재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간부재는 탄성고무와 같은 탄성이 있는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통로는 스네이크 패턴의 형상이거나 코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외기홀의 상부에는 탈착가능한 필름이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부와, 상기 잉크저장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잉크저장부의 잉크를 인쇄매체에 액적으로 방출하는 프린트헤드를 구비하는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잉크저장부의 상부를 커버하며 대기연통홀이 형성된 내부커버; 및 상기 내부커버의 상부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커버를 밀봉하며, 외부와 연통된 외기홀이 형성된 외부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외부커버의 하부면에 형성된 그루브를 상기 내부커버의 상부면이 밀착하여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의 일단은 상기 대기연통홀에 연결되며, 상기 그루브의 타단은 상기 외기홀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내부커버의 상부면에 형성된 그루브를 상기 외부커버의 하부면이 밀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의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잉크카트리지(100)는 벽체와 바닥으로 이루어져 잉크를 담는 잉크저장부(110)와, 잉크저장부(110)의 상부를 덮는 내부커버(140)와, 내부커버(140)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서 내부커버(140)를 밀봉하는 외부커버(170)와, 내부커버(140) 및 외부커버(170)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부재(160)를 구비한다.
상기 잉크저장부(110)는 수직으로 형성된 격벽(113)으로 구획되어서 두 개의 제1(114) 및 제2챔버(116)로 구분되며, 격벽(113) 하부에는 두 챔버간의 잉크통로(118)가 형성되어 있다. 제1챔버(114)에는 잉크가 채워져 있으며, 제2챔버(116)에는 폼(foam) 부재(120), 예컨대 스폰지가 배치되며, 폼부재(120)의 오픈 셀(open cell)에는 잉크가 채워져 있다. 제2챔버(116)의 하부에는 프린트헤드(124)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관(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커버(140)에는 제1챔버(114) 및 제2챔버(116)에 잉크를 주입하는 잉크주입구(142)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커버(140) 및 외부커버(170)의 대향면에는 각각 스네이크 패턴의 그루브(groove)(161,1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그루브(161,162)는 중간부재(160)와 접촉되어서 공기통로(air vent path)를 형성한다. 상기 중간부재(160)는 상기 내부커버(140) 및 외부커버(160)를 밀착하도록 탄성부재, 예컨대 탄성고무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커버(140)에는 제2챔버(116)에 대응하여 대기연통홀(1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커버(170)에는 상기 그루브(161,162)의 공기통로를 외부에 연결하는 외기홀(1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외기홀(171) 위에는 뗄 수 있는 필름(173)이 부착되어서 잉크 카트리지(100)를 사용시 떼어낼 수 있게 한다. 이 필름(173)은 잉크 카트리지(100)를 프린터(미도시)에 장착하여 사용하기 전에 외부의 먼지가 공기통로(161,162)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다.
한편, 중간부재(16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64)이 형성되어서 내부커버(140)의 그루브(161)와 외부커버(170)의 그루브(162)를 연결함으로써 본발명의 특징인 공기통로의 길이를 확장한다.
도 3은 도 2의 커버에 형성된 공기통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기홀(171)을 통과한 외기는 외부커버(170)에 형성된 실선으로 표시된 스네이크 패턴의 그루브(162)를 지나서, 중간부재(160)에 형성된 관통홀(164)를 통과한다. 그리고 나서 내부커버(140)에 형성된 점선으로 표시된 스네이크 패턴의 그루브(161)을 지나서 대기연통홀(114)을 통해서 잉크저장부(110)로 들어간다.
상기 구조의 잉크 카트리지(100)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잉크 카트리지(100) 제조시 먼저 제2챔버(116)에 폼부재(120)인 스폰지를 넣고서 내부커버(140)를 잉크 카트리지(100)의 벽체에 초음파 융착시킨 후, 제1챔버(114)의 잉크주입구(142)를 통해서 잉크를 주입한다. 잉크저장부(110)에 잉크가 가득 채워지면, 내부커버(140) 상에 중간부재(160)를 배치한다. 다음에 외부커버(170)를 중간부재(160) 위에 배치하되 관통홀(164)이 내부커버(140) 및 외부커버(170)의 그루브(161,162)를 연결하도록 하여서 밀착시킨다. 그리고 외부커버(170)를 내부커버(140) 및 잉크 카트리지(100)의 벽체 상부에 융착시킨다.
제조된 잉크 카트리지(100)를 프린터(미도시)에 사용시 제2챔버(116) 하부의 잉크공급관(122)을 통해서 헤드(124)로 잉크가 공급된다. 이에 따라 제2챔버(116)내의 잉크가 소비되고 스폰지(120)의 오픈 셀로부터 잉크가 사용된다. 잉크 사용에 따라서 제2챔버(116)에 부압이 걸려서 외부로부터 외기홀(171)을 통해서 공기통로인 그루브(161,162) 및 관통홀(164)을 통해서 대기연통홀(144)로 인입되어서 제2챔버(116)로 들어간다. 이때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통로를 지나 대기연통홀(144)로 들어가서 부압의 세기를 낮춤으로써 잉크토출에 지장을 주는 과부압을 방지한다. 또한, 스폰지(120)의 모세관힘으로 제2챔버(116)내에는 잉크통로(118)를 통해서 제1챔버(114)의 잉크가 유입된다.
상기 구조의 잉크 카트리지(100)는 외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시 또는 하강시 잉크저장부(110) 내부의 부피변화 시에도 잉크저장부(110) 내부와 외부 대기를 연결하는 공기통로를 제공함으로써 대기의 출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잉크저장부(110)로 대기가 용이하게 들어와서 잉크저장부(110)를 환기시키는 경우 잉크의 물성변화를 촉진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대기의 출입을 어렵게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길이가 긴 공기통로는 대기의 자유로운 유통을 효과적으로 막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잉크카트리지(200)는 벽체와 바닥으로 이루어져 잉크를 담는 잉크저장부(210)와, 잉크저장부(210)의 상부를 덮는 내부커버(240)와, 내부커버(240)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서 내부커버(240)를 밀봉하는 외부커버(270)와, 내부커버(240) 및 외부커버(270)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부재(260)를 구비한다.
상기 잉크저장부(210)는 수직으로 형성된 격벽(213)으로 구획되어서 두 개의 제1(214) 및 제2챔버(216)로 구분되며, 격벽(213) 하부에는 두 챔버간의 잉크통로(218)가 형성되어 있다. 제1챔버(214)에는 잉크가 채워져 있으며, 제2챔버(216)에는 폼(foam) 부재(220), 예컨대 스폰지가 배치되며, 폼부재(220)의 오픈 셀(open cell)에는 잉크가 채워져 있다. 제2챔버(216)의 하부에는 프린트헤드(224)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관(2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커버(240)에는 제1챔버(214) 및 제2챔버(216)에 잉크를 주입하는 잉크주입구(242)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재(160)에는 내부커버(240) 및 외부커버(270)의 대향면에 각각 스네이크 패턴의 그루브(261,2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그루브(261,262)는 각각 내부커버(240) 및 외부커버(270)와 접촉되어서 공기통로(air vent path)를 형성한다. 상기 중간부재(260)는 상기 내부커버(240) 및 외부커버(260)를 밀착하도록 탄성부재, 예컨대 탄성고무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커버(240)에는 상기 그루브(26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제2챔버(216)에 소통하는 대기연통홀(2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커버(270)에는 상기 그루브(262)의 일단을 외부에 연결하는 외기홀(2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외기홀(271) 위에는 뗄 수 있는 필름(273)이 부착되어서 잉크 카트리지(200)를 사용시 떼어낼 수 있게 한다. 이 필름(273)은 잉크 카트리지(200)를 프린터(미도시)에 장착하여 사용하기 전에 외부의 먼지가 공기통로(261,262)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다.
한편, 중간부재(260)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264)이 형성되어서 내부커버(240)의 그루브(261)의 타단과 외부커버(270)의 그루브(262)의 타단을 연결하는 본발명의 특징인 공기통로의 길이를 확장한다.
상기 구조의 잉크 카트리지(200)의 작용은 제1실시예의 작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잉크카트리지(300)는 벽체와 바닥으로 이루어져 잉크를 담는 잉크저장부(310)와, 잉크저장부(310)의 상부를 덮는 내부커버(340)와, 내부커버(340)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서 내부커버(340)를 밀봉하는 외부커버(370)를 구비한다.
상기 잉크저장부(310)는 수직으로 형성된 격벽(313)으로 구획되어서 두 개의 제1(314) 및 제2챔버(316)로 구분되며, 격벽(313) 하부에는 두 챔버간의 잉크통로(318)가 형성되어 있다. 제1챔버(314)에는 잉크가 채워져 있으며, 제2챔버(316)에는 폼(foam) 부재(320), 예컨대 스폰지가 배치되며, 폼부재(320)의 오픈 셀(open cell)에는 잉크가 채워져 있다. 제2챔버(316)의 하부에는 프린트헤드(324)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관(3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커버(340)에는 제1챔버(314) 및 제2챔버(316)에 잉크를 주입하는 잉크주입구(342)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커버(370)의 하부면에 스네이크 패턴의 그루브(3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그루브(361)는 내부커버(340)의 표면과 접촉되어서 공기통로(air vent path)를 형성한다.
상기 내부커버(340)에는 상기 그루브(36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제2챔버(316)에 소통하는 대기연통홀(3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커버(370)에는 상기 그루브(361)의 타단을 외부에 연결하는 외기홀(3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외기홀(371) 위에는 뗄 수 있는 필름(373)이 부착되어서 잉크 카트리지(300)를 사용시 떼어낼 수 있게 한다. 이 필름(373)은 잉크 카트리지(300)를 프린터(미도시)에 장착하여 사용하기 전에 외부의 먼지가 공기통로(361,262)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다.
상기 구조의 잉크 카트리지(300)는 외부커버(370)의 그루브(361)를 대향하는 내부커버(340)의 표면으로 밀착하여서 공기통로를 형성하므로, 외부로부터의 공기통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커버의 표면을 소망하는 대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3실시예에서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그루브(361)가 외부커버(37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내부커버(340)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외부커버(370)의 하부면으로 밀봉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잉크 카트리지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공기통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잉크카트리지(400)는 벽체와 바닥으로 이루어져 잉크를 담는 잉크저장부(310)와, 잉크저장부(310)의 상부를 덮는 내부커버(340)와, 내부커버(340)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서 내부커버(340)를 밀봉하는 외부커버(370)와, 내부커버(340) 및 외부커버(370)를 구비한다.
상기 잉크저장부(310)는 수직으로 형성된 격벽(313)으로 구획되어서 두 개의 제1(314) 및 제2챔버(316)로 구분되며, 격벽(313) 하부에는 두 챔버간의 잉크통로(318)가 형성되어 있다. 제1챔버(314)에는 잉크가 채워져 있으며, 제2챔버(316)에는 폼(foam) 부재(320), 예컨대 스폰지가 배치되며, 폼부재(320)의 오픈 셀(open cell)에는 잉크가 채워져 있다. 제2챔버(316)의 하부에는 프린트헤드(324)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공급관(3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커버(440)의 상부면에는 도 7에 실선으로 도시된 스네이크 패턴의 일부를 형성하는 그루브(4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커버(470)의 하부면에는 도 7에 점선으로 표시된 스네이크 패턴의 일부를 형성하는 그루브(46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그루브(461,462)는 각각 마주보는 외부커버(470) 또는 내부커버(440)의 대향면과 밀착되어서 공기통로(air vent path)를 형성한다.
상기 내부커버(440)에는 상기 그루브(46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제2챔버(316)에 소통하는 대기연통홀(4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커버(470)에는 상기 그루브(462)의 일단을 외부에 연결하는 외기홀(4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외기홀(471) 위에는 뗄 수 있는 필름(473)이 부착되어서 잉크 카트리지(400)를 사용시 떼어낼 수 있게 한다. 이 필름(473)은 잉크 카트리지(400)를 프린터(미도시)에 장착하여 사용하기 전에 외부의 먼지가 공기통로(461,262)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다.
제3실시예에서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그루브(461)가 외부커버(47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내부커버(440)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외부커버(470)의 하부면으로 밀봉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 및 변형예에서는 도 3, 도 7과 같이 스테이크 패턴의 그루브 만을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루브의 형상을 변형한 것, 예컨대, 코일형상이나, 미로형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는 외부로부터 잉크저장부로의 공기통로를 길게 함으로써 잉크저장부의 부압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는 것 이외에 외부로부터의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한하여서 잉크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를 내부커버 및 외부 커버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힘에 의해서 상기 공기통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미국특허 제5,847,735호에 개시된 잉크 카트리지의 커버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커버에 형성된 공기통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잉크 카트리지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공기통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200,300,400: 잉크 카트리지 110,210,310: 잉크저장부
113,313,313: 격벽 114,214,314: 제1챔버
116,216,316: 제2챔버 120,220,320: 스폰지
124,224,324: 프린트헤드 140,240,340,440: 내부커버
142,242,342: 잉크주입구 144,244,344,444: 대기연통홀
160,260,360: 중간부재
161,162,261,262,361,461,462: 그루브(groove)
170,270,370,470: 외부커버 171,271,371,471: 외기홀
173,273,373,473: 필름

Claims (16)

  1.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부와, 상기 잉크저장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잉크저장부의 잉크를 인쇄매체에 액적으로 방출하는 프린트헤드를 구비하는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잉크저장부의 상부를 커버하며 대기연통홀이 형성된 내부커버;
    상기 내부커버로부터 상방으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커버를 밀봉하며, 외부와 연통된 외기홀이 형성된 외부커버; 및
    상기 내부커버 및 외부커버 사이의 상기 공간에 설치되어서, 상기 내부커버 및 상기 외부커버와의 사이에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중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외부커버의 하부면 및 상기 내부커버의 상부면에 형성된 그루브를 상기 중간부재가 밀착하여 형성되며,
    상기 외부커버의 그루브(groove)의 일단과 상기 내부커버의 그루브의 일단을 연결하는 관통홀이 상기 중간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중간부재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형성된 그루브를 상기 외부커버의 하부면 및 상기 내부커버의 상부면과 밀착하여 형성되며,
    상기 중간부재의 상부면의 그루브의 일단을 상기 중간부재의 하부면의 그루브의 일단에 연결하는 관통홀이 상기 중간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탄성이 있는 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는 탄성 고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는 스네이크 패턴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는 코일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홀의 상부에는 탈착가능한 필름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9.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저장부와, 상기 잉크저장부의 상부를 덮는 커버와, 상기 잉크저장부의 잉크를 인쇄매체에 액적으로 방출하는 프린트헤드를 구비하는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잉크저장부의 상부를 커버하며 대기연통홀이 형성된 내부커버; 및
    상기 내부커버의 상부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상기 내부커버를 밀봉하며, 외부와 연통된 외기홀이 형성된 외부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외부커버의 하부면에 형성된 그루브를 상기 내부커버의 상부면이 밀착하여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의 일단은 상기 대기연통홀에 연결되며, 상기 그루브의 타단은 상기 외기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는,
    상기 내부커버의 상부면에 형성된 그루브를 상기 외부커버의 하부면이 밀착하여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의 일단은 상기 대기연통홀에 연결되며, 상기 그루브의 타단은 상기 외기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커버 및 상기 외부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이 있는 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커버 및 상기 외부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 고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는 스네이크 패턴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는 코일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홀의 상부에는 탈착가능한 필름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KR10-2002-0082386A 2002-12-23 2002-12-23 잉크 카트리지 KR100503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386A KR100503080B1 (ko) 2002-12-23 2002-12-23 잉크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386A KR100503080B1 (ko) 2002-12-23 2002-12-23 잉크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918A KR20040055918A (ko) 2004-06-30
KR100503080B1 true KR100503080B1 (ko) 2005-07-21

Family

ID=3734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386A KR100503080B1 (ko) 2002-12-23 2002-12-23 잉크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0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15314B (zh) * 2008-05-13 2014-10-29 惠普开发有限公司 部分填充的墨液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918A (ko)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702B1 (ko) 잉크 카트리지
JP3513377B2 (ja) 液体収容容器への液体充填方法、該充填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充填ユニットと該充填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吐出記録装置
CA2359443C (en) Ink cartridge for ink jet recording device
US6811247B2 (en) Ink jet head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20030043241A1 (en) Ink absorbent, ink tank, ink jet cartridge, method for manufacturing ink absorb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k tank
JP2001205820A (ja) 2部分からなるふたを有するインクジェット・ペンおよび充填方法
EP1177906A2 (en) Ink cartridge
JP2006199037A (ja) 交換式インク供給源
JPH1134830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042380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ヘッド
KR100503080B1 (ko) 잉크 카트리지
US6880923B2 (en) Ink cartridge
US20060232649A1 (en) Ink cartridge for inkjet printer
US20050012794A1 (en) Refillable ink cartridge for an inkjet printer
JP200420305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6007612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バッファ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20070139493A1 (en) Shipping reservoirs for inkjet printheads, and assemblies including the same
JP200411464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充填方法
JPH10296988A (ja) インク貯蔵容器
JPH09109408A (ja) 圧力保持装置
KR100491581B1 (ko) 재충전이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
KR100408306B1 (ko)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
KR102344550B1 (ko) 정압 구조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 헤드 카트리지
JPH1110906A (ja) 吐出用液体収納容器
JP2007152857A (ja) 液体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