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892B1 - 태권도 경기 전광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태권도 경기 전광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892B1
KR100501892B1 KR10-2003-0026473A KR20030026473A KR100501892B1 KR 100501892 B1 KR100501892 B1 KR 100501892B1 KR 20030026473 A KR20030026473 A KR 20030026473A KR 100501892 B1 KR100501892 B1 KR 100501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e
game
blue
red
display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2233A (ko
Inventor
조응호
Original Assignee
조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응호 filed Critical 조응호
Priority to KR10-2003-0026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892B1/ko
Publication of KR20040092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89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22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in connection with sports o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1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together with the recording, indicating or registering of other data, e.g. of signs of identity
    • G07C1/16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together with the recording, indicating or registering of other data, e.g. of signs of identity wherein the time is indicated by marking an element, e.g. a card or tape, in a position determined by the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심의 채점 상황을 표시하고 보조 전광판을 이용하여 관중이 보기 쉽게 된 개선된 태권도 경기 전광판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키입력부와, 부심 점수입력패널, 경기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전광판시스템, 및 콘트롤러로 이루어진 장치에 있어서, 전광판시스템은 양측면에 각 부심의 채점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채점 상황판을 구비하고, 콘트롤러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부심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채점 상황판에 각 부심의 채점상황을 표시하게 하고, 상기 전광판시스템의 득점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전광판시스템은 경기내용과 청홍의 부심 채점상황을 표시하는 주전광판과, 주전광판 위에 모터 회전축을 통해 왕복 회전하면서 청,홍 점수를 표시하는 보조 전광판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태권도 경기 진행중에 부심의 접수입력이 있으면 이를 실시간으로 전광판에 표시하여 부심별 채점상황을 공개하여 판정에 따른 시비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보조 전광판이 일정각도로 왕복 회전하여 사각지역에 위치한 관중도 경기진행 점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태권도 경기 전광표시 장치{ Display for Taekwondo race}
본 발명은 태권도 경기 운영을 표시하기 위한 전광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심의 채점 상황을 표시하고 보조 전광판을 이용하여 관중이 보기 쉽게 된 개선된 태권도 경기 전광판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권도는 한국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하여 국제 스포츠로 인정된 무도로서, 상대를 물리치기 위해 맨주먹과 발을 사용하는 자유대련 스포츠이다. 특히,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전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태권도 경기는 체급별로 나뉘어 청과 홍 두 경기자에 의해 진행되고, 몸통(등쪽은 제외)과 얼굴부분(뒤통수 제외)에 가격되는 지르기와 발차기 기술만이 인정된다. 이러한 태권도 경기를 진행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부심들이 메모지에 점수를 기록하여 채점하고, 주심의 판단에 의거하여 경기내용을 판정하였기 때문에 부심의 편견 혹은 오류로 심판의 판정에 시비가 따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가 태권도 경기를 표시하기 위한 전광판 시스템을 특허출원하여 등록번호 10-0340305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런데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종래의 태권도 경기 전광 표시 시스템은 부심들의 채점 상황을 표시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판정시비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하였고, 점수 표시판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각지역에서는 관중이 경기진행상황을 알아보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심의 채점상황을 표시하고, 보조 전광판을 회전시켜 관중이 보기 쉽도록 개선된 태권도 경기 전광판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키입력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심 점수입력패널, 경기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전광판시스템, 및 상기 키입력부와 부심 점수입력패널의 입력에 따라 득점 및 감점을 처리하고 경기내용과 점수상황을 표시하도록 상기 전광판시스템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이루어져 청과 홍으로 구분되어 대전하는 태권도 경기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광판시스템은 양측면에 각 부심의 채점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채점 상황판을 구비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부심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채점 상황판에 각 부심의 채점상황을 표시하게 하고, 상기 전광판시스템의 득점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광판시스템은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경기번호, 경기시간, 휴식시간, 청홍의 득점, 청홍의 감점, 청홍의 부심 채점상황을 표시하는 주전광판과, 상기 주전광판 위에 모터 회전축을 통해 왕복 회전하면서 청,홍 점수를 표시하는 보조 전광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부심 점수입력패널은, 청선수의 1득점을 입력하기 위한 청 1득점 키와, 청선수의 2득점을 입력하기 위한 청 2득점키, 홍선수의 1득점을 입력하기 위한 홍 1득점키와, 홍선수의 2득점을 입력하기 위한 홍 2득점키로 이루어지고, 상기 콘트롤러에는 경기종료시 소정 포맷의 경기내용을 자동으로 프린트하는 프린터가 연결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권도 경기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태권도 경기 표시 장치는 키입력부(110)와, 부심들의 조작에 따라 청/홍 대전자의 점수를 입력하기 위한 부심 점수입력패널(120-1~120-3), 전체동작을 제어하가 위한 콘트롤러(130), 프린터(140), LCD(150), 경기진행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 전광시스템(160)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광시스템(160)은 콘트롤러(130)의 제어에 따라 경기번호와 선수의 득점, 감점, 및 부심 채점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주전광판(162)과, 콘트롤러(130)의 모터 스위치(S3)가 온되면 회전하면서 선수의 점수를 표시하는 보조 전광판(164), 보조 전광판(164)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및 회전축(166), 콘트롤러(130)의 제어에 따라 부저음을 발생하는 부저(168)로 이루어진다. 이때 콘트롤러(130)에는 전광판(160)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S1)와 콘트롤러(130)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S2), 모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S3)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 콘트롤러(130)의 상부에는 키입력부(110)와 프린터(140), 및 LCD(130)가 위치하여 키입력부(110)의 조작에 따라 콘트롤러(130)가 전광시스템(160)의 동작을 제어하고, 프린터(140)는 경기 완료시 소정 포맷으로 경기진행 내용을 프린트한다. 부심 점수입력패널(120-1~120-3)은 3명의 부심에게 각각 하나씩 할당되는 데, 케이블을 통해 콘트롤러(130)와 각각 연결된다. 전광판시스템(160)은 콘트롤러(130)와 긴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전광판 전원 스위치(S1)의 온/오프에 따라 온/오프되고, 주전광판(162)은 콘트롤러(130)의 제어에 따라 경기번호, 점수, 부심 채점상황, 감점, 경고 등을 표시하고, 보조 전광판(164)은 모터 스위치(S3)가 온되면 약 100°로 왕복 회전하면서 관중이 선수의 점수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트롤러 전용 키입력부(110)의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키입력부(110)는 경기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111)와, 경기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112), 시작키(113), 계시키(114), 청선수 경고/득점/감점 입력키(116C), 청선수 경고/득점/감점 취소키(115C), 홍선수 경고/득점/감점 입력키(116H), 홍선수 경고/득점/감점 취소키(115H), 청승키(117C), 홍승키(117H), 종료키(118)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심 점수입력패널의 예이다. 부심 점수입력패널(120-1)은 통상 경기내용에 따라 청/홍 각 대전자의 경기내용을 채점하는 부심에 의해 조작되며, 청측의 1득점을 입력하기 위한 청 1득점 스위치(122C)와 청측의 2득점을 입력하기 위한 청 2득점 스위치(124C)와, 홍측의 1득점을 입력하기 위한 홍 1득점 스위치(122H), 홍측의 2득점을 입력하기 위한 홍 2득점 스위치(124H)로 구분된다. 그리고 통상 3명의 부심이 채점하게 되므로 3개의 부심 점수입력패널이 필요하며, 부심이 점수입력 스위치를 누르면 전광판의 부심 채점상황판(410C,410H)에 램프(410-1~410-3)가 점등되어 표시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광판시스템의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광판시스템(160)은 주전광판(162)과 보조 전광판(164)으로 이루어지는데, 고정된 방향으로 상황을 표시하는 주전광판(162)은 바퀴(402) 달린 베이스(401) 위에 지지봉(403)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약 100°로 왕복 회전하면서 점수와 라운드(회전)를 표시하는 보조 전광판(164)이 주전광판(162) 위에 모터 회전축(16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즉, 보조 전광판(164)은 주전광판(162) 위에 모터 회전축(166)에 의해 지지되어 모터 스위치(S3)가 온되면 모터에 의해 일정각도로 왕복 회전한다. 주전광판(162)에는 부저(168)가 내장되어 콘트롤러(130)의 제어에 따라 경기시작이나 경기종료, 휴식시간 종료 등을 알려준다.
그리고 주전광판(162)은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은 청 선수의 득점상황을 표시하고 우측은 홍선수의 득점상황을 표시하는데, 좌우 양단에는 부심의 채점 상황을 표시하는 부심 채점 상황판(410C,410H)이 부착되어 있다. 각 부심 채점 상황판(410C,410H)은 제1 부심의 점수입력패널 조작에 따라 점등되는 제1 부심램프(410-1)와 제2 부심의 점수입력패널 조작에 따라 점등되는 제2 부심램프(410-2), 제3 부심의 점수입력패널 조작에 따라 점등되는 제3 부심램프(410-3)로 이루어진다. 만일, 제1 부심이 청 1득점 스위치(122C)를 누르면 청측 부심 채점상황판(410C)의 제1 부심 램프(410-1)가 1개 점등되고, 홍 2득점 스위치(124H)를 누루면 홍측 부심 채점상황판(410H)의 제1 부심 램프(410-1)가 2개 점등된다. 이때, 부심 채점상황판의 램프는 1초간 점등되었다가 사라지는 데, 다른 부심이 1초 이내에 득점 스위치를 눌러 2개 이상 점등될 경우에는 유효 득점이 되어 점수 표시판의 점수가 증가함과 아울러 램프의 점등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또한 주전광판(162)은 경기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경기시간 표시부(414), 경기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경기번호 표시부(415), 휴식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휴식시간 표시부(416), 청 득점을 표시하기 위한 청 득점 표시부(412C), 홍 득점을 표시하기 위한 홍 득점 표시부(412H), 청 경고 표시등(405C), 3개의 청 감점 표시등(406C), 홍 경고 표시등(405H), 3개의 홍 감점 표시등(406H) 등으로 구성된다.
보조 전광판(164)은 중앙에 경기 라운드(회전)을 표시하기 위한 회전 표시부(422)와 청 득점을 표시하기 위한 청 득점 표시부(420C), 홍득점을 표시하기 위한 홍 득점 표시부(420H)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권도 경기 전광 표시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광 표시장치에서 전체 구성의 배선을 완료하고, 전광판시스템(160)의 전원과 콘트롤러(130)의 전원을 켠다(ON)(501,502).
이어 운영자가 경기 대진표를 참조하여 키입력부(110)의 숫자키(111)로 경기번호를 입력한다(503). 태권도 경기의 대진표에는 각 체급에 따른 경기번호(fight number)와 청측 경기자 및 홍측 경기자가 정해져 있어 경기번호만으로도 충분히 식별할 수 있다.
이어 키입력부의 스위치(112)를 이용하여 경기시간과 휴식시간을 입력한다(504). 태권도 경기는 통상 3회전으로 구성되고, 각 회전의 경기 시간은 3분부터 1분까지 이며, 휴식시간은 1분 혹은 30초이다. 키입력부(110)를 사용할 경우에 경기시간 입력은 해당 키를 한번 입력하므로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3분 경기 1분 휴식으로 설정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3-1'키를 누르면 되고, 1분 경기에 30초 휴식할 경우에는 '1-1/2' 키를 누르면 자동으로 경기시간이 설정된다. 그리고 설정된 시간값은 전광판의 경기시간 표시부(416)에 표시된다.
이어 주심의 '시작' 구령에 따라 운영자가 시작키(113)를 입력하면, 부저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청측 경기자와 홍측 경기자는 경기를 진행한다(505,506). 그리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경기시간을 다운 카운트하고 이를 주전광판(162)에 표시한다(507).
한편, 경기자의 경기내용을 보면서 3명의 부심이 점수입력패널(120-1~120-3)의 스위치를 눌러 청/홍 측의 득점을 입력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점수를 처리한다(508).
경기시간의 카운트 다운에 의해 1회 경기시간이 경과(즉, 카운트값이 '0')하면 부저음이 발생되어 1회전 경기종료를 알려주고, 휴식시간을 다운 카운트한다(509~513). 즉, 1회전 경기가 종료되어 휴식시간이 되면 설정된 휴식시간을 다운 카운트한다. 이어 휴식종료 5초 전이 되면 일정 간격으로 3회 부저음(예령)을 울려 다음 회전 경기를 준비하게 하고, 휴식시간이 종료되고 시작키가 입력되면 회전수가 1증가하면서 단계 505부터 다시 반복한다(514~516).
반복에 의해 3회전 경기가 종료되면 전체 경기가 종료된 것이므로, 대기하다가 운영자에 의해 종료키(118)가 입력되면 승자판별을 대기한다(517). 승자판별이 심판에 의해 결정되면, 심판의 지시에 따라 운영자가 청승키(117C) 혹은 홍승키(117H)를 눌러 승자를 입력 및 표출한다(518,519). 다시 종료키(118)를 누르면, 프린터(140)가 작동되어 자동으로 경기내역을 인쇄한다(520).
도 6은 경기 진행중 주심의 '계시' 지령에 따라 계시키(114)를 입력할 경우 수행되는 인터럽트 루틴이다. 통상, 계시 시간은 1분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계시키(114)가 입력되면 인터럽트가 발생되면서 메인루틴의 경기시간 다운 카운트를 일시 중지하고, 계시시간을 다운 카운트한다(601,602). 이때 다운 카운트되는 시간은 휴식시간 표시부(416) 상에 표시된다.
이어 심판의 지시에 따라 운영자가 청/홍측 대전자의 감점/득점/경고를 입력하고, 이미 얻은 점수에 득점, 감점, 경고등 점등 등을 각각 처리한다(603,604). 예컨대, 청팀 득점 스위치가 입력되면 현재의 청측 점수에 '1'을 증가시키고, 청측 감점키가 입력되면 청측의 점수를 그대로 두고 감점등을 점등하며, 경고키가 입력되면 해당 측의 경고등을 점등한다.
이때 경고에 따라 표시되는 경고등 및 감점등의 표시상태는 다음 표 1과 같다.
경고회수 경고등 감점등1 감점등2 감점등3
1 점등
2 소등 점등
3 점등 점등
4 소등 점등 점등
5 점등 점등 점등
6 소등 점등 점등 점등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경고 2회이면 1점씩 감점되고, 3점 감점되면 경기규칙에 의해 게임몰수가 된다.
계시시간이 종료되면, 0을 표시하면서 다음 조작을 대기한다. 이때 다음 조작으로는 시작키를 눌러 경기를 다시 진행하거나 계시키를 눌러 계시시간을 다시 다운 카운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심 점수 처리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부심의 점수키가 입력되면, 부심의 점수입력 내용을 주전광판의 부심채점 상황판(410C,410H)에 표시한다(701,702). 이어 소정 규칙에 따라 점수를 판정하여 유효 득점이면 해당 점수를 표시함과 아울러 표시상태를 유지하고, 무효이면 해당 표시를 삭제한다(703~706).
여기서, 득점규칙은 소정시간 안에 적어도 2명 이상의 부심이 동일한 측의 동일 득점 스위치를 누를 경우에만 득점으로 처리된다. 예컨대, 청측 대전자의 경기내용이 우수하여 1득점을 주고자할 경우에 적어도 2명 이상의 부심이 1초 이내에 청 1득점 스위치를 눌러야 하고, 2득점을 주고자할 경우에 적어도 2명 이상의 부심이 1초 이내에 청 2득점 스위치를 눌러야 한다. 만일, 1명의 부심이 1득점 스위치를 누르고 다른 한명의 부심이 2득점 스위치를 누른 경우에는 무효로 처리되고, 1명이 1득점 스위치를 누르고 나머지 2명이 2득점 스위치를 누른 경우에는 2득점으로 처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태권도 경기 진행중에 부심의 접수입력이 있으면 이를 실시간으로 전광판에 표시하여 부심별 채점상황을 공개하여 판정에 따른 시비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경기운영의 공정성을 입증할 수 있고, 보조 전광판이 일정각도로 왕복 회전하여 사각지역에 위치한 관중도 경기진행 점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권도 경기 전광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키입력부의 상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심 점수입력패널의 상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광판시스템의 상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권도 경기 전광표시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시 처리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심 점수 처리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전광판의 회전을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키입력부 120-1~120-3: 부심 점수입력패널
130: 콘트롤러 140: 프린터
150: LCD모니터 160: 전광판시스템
162: 주전광판 164: 보조 전광판
166: 모터 및 회전축 168: 부저

Claims (5)

  1. 키입력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심 점수입력패널, 경기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전광판시스템, 및 상기 키입력부와 부심 점수입력패널의 입력에 따라 득점 및 감점을 처리하고 경기내용과 점수상황을 표시하도록 상기 전광판시스템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이루어져 청과 홍으로 구분되어 대전하는 태권도 경기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광판시스템은
    양측면에 각 부심의 채점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채점 상황판을 구비하고,
    상기 콘트롤러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부심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채점 상황판에 각 부심의 채점상황을 표시하게 하고, 상기 전광판시스템의 득점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 경기 전광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권도 경기표시 장치는
    청,홍 선수의 점수를 표시함과 아울러 소정 각도로 회전되는 보조 전광판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 경기 전광표시 장치.
  3. 키입력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심 점수입력패널, 경기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전광판시스템, 및 상기 키입력부와 부심 점수입력패널의 입력에 따라 득점 및 감점을 처리하고 경기내용과 점수상황을 표시하도록 상기 전광판시스템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이루어져 청과 홍으로 구분되어 대전하는 태권도 경기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광판시스템이,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경기번호, 경기시간, 휴식시간, 청홍의 득점, 청홍의 감점, 청홍의 부심 채점상황을 표시하는 주전광판과,
    상기 주전광판 위에 모터 회전축을 통해 왕복 회전하면서 청,홍 점수를 표시하는 보조 전광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 경기 전광표시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심 점수입력패널은,
    청선수의 1득점을 입력하기 위한 청 1득점 키와, 청선수의 2득점을 입력하기 위한 청 2득점키, 홍선수의 1득점을 입력하기 위한 홍 1득점 키와, 홍선수의 2득점을 입력하기 위한 홍 2득점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 경기 전광표시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권도 경기 전광표시 장치는
    상기 콘트롤러에 연결되어 경기종료시 소정 포맷의 경기내용을 자동으로 프린트하는 프린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권도 경기 전광표시 장치.
KR10-2003-0026473A 2003-04-25 2003-04-25 태권도 경기 전광표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01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473A KR100501892B1 (ko) 2003-04-25 2003-04-25 태권도 경기 전광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473A KR100501892B1 (ko) 2003-04-25 2003-04-25 태권도 경기 전광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233A KR20040092233A (ko) 2004-11-03
KR100501892B1 true KR100501892B1 (ko) 2005-07-18

Family

ID=3737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4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501892B1 (ko) 2003-04-25 2003-04-25 태권도 경기 전광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8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4645B (zh) * 2012-03-27 2014-07-02 江南大学 跆拳道鸡尾靶电子显示电路
KR102039694B1 (ko) * 2018-01-31 2019-11-01 송훈주 광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233A (ko) 200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4402A (en) Electronic baseball game
US5271627A (en) Real encounter game for balancing the body, mind and spirit
US7520827B1 (en) Electronic table tennis
KR101418461B1 (ko) 테니스 경기용 전자식 스코어보드
JP2000202086A (ja) 競技デ―タ表示装置
US7806409B1 (en) Electronic dart football game
US6179734B1 (en) Ball game method of play and base
KR100501892B1 (ko) 태권도 경기 전광표시 장치
TW202039039A (zh) 投球機及其控制方法
GB2271063A (en) Golfing apparatus
KR100340305B1 (ko) 태권도 경기 전광 표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40118Y1 (ko) 골프 연습장용 점수 표시 장치
GB2314513A (en) Apparatus for playing electronic darts
KR200350458Y1 (ko) 농구 경기 공격제한 시간 타이머용 콘트롤러
KR100540368B1 (ko) 농구 경기 공격제한 시간 타이머용 콘트롤러
JP3231969U (ja) 競技審判支援システム
JP4456261B2 (ja) 競技用表示装置
JP2923288B1 (ja) 野球バットの素振り練習装置
KR200355027Y1 (ko) 농구장용 칼라 전광판 시스템
KR100263614B1 (ko) 축구 설비 시스템
KR200387835Y1 (ko) 농구경기의 전광판용 통신장치
KR101193112B1 (ko)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
JP3250813U (ja) ボールゲーム装置
JPH0713753Y2 (ja) バスケツトボ−ルの得点表示器用時間表示装置
US20250205574A1 (en) Interactive game virtualization and practicing system, and game practicing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