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112B1 -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112B1
KR101193112B1 KR1020100067628A KR20100067628A KR101193112B1 KR 101193112 B1 KR101193112 B1 KR 101193112B1 KR 1020100067628 A KR1020100067628 A KR 1020100067628A KR 20100067628 A KR20100067628 A KR 20100067628A KR 101193112 B1 KR101193112 B1 KR 101193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ball
pitch
strike zon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8110A (ko
Inventor
석희곤
Original Assignee
석희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희곤 filed Critical 석희곤
Priority to KR1020100067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112B1/ko
Publication of KR20100088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05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p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5Optical or opto-electronic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전원을 넣어 투구연습을 개시하는 시작단계; 투구를 준비하는 투구준비단계; 공을 투구하는 투구단계; 센서로 통과하는 공을 검출하는 센서검출단계; 검출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부 출력단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새로운 투구연습이 가능하게 데이터를 초기설정치로 리셋하는 리셋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9개 영역의 스트라이크존과, 점수표시, 투구수표시, 스피드표시가 가능하여 제구력 및 실력향상에 도움이 되며 그리고 자신의 투구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고 스피드건이 같이 설치되어 있어서 혼자서도 투구연습이 가능하며 스피커를 통해서 야구 경기장에 온 것 같은 분위기를 만들어 야구를 보다 재미있게 할 수 있으며 친환경소재인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여 충격에도 강하고 소비전력이 적으며 이 장점으로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가 될 수 있어서 실외에서도 사용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OPERATING METHOD FOR PITCHING TRAINING EQUIPMENT}
본 발명은 투구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9개 영역의 스트라이크존과 각각의 표시 할 수 있는 표시부들이 있어서 투구연습 때 제구력 및 실력향상에 좋아지며 스피드건이 같이 설치되어 있어서 혼자서도 투구연습을 할 수 있고 실외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야구는 최소 인원 9명이 편을 나누어 서로 수비와 공격을 하며 보통 9회까지 번갈아 하여 점수가 높은 쪽이 승리하는 구기스포츠로 포지션은 포수, 1루수, 2루수, 유격수, 3루수,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 그리고 투수로 총 9가지 포지션이 있다.
각각의 포지션들은 투수는 공을 던지는 사람, 타자는 공을 치는 사람, 포수는 투수가 던진 공을 잡는 사람, 내야수 및 외야수는 타자가 친 공을 수비하는 사람이다.
그리고 야구장은 내야, 외야, 파울그라운드, 관람석(스탠드) 등으로 되어 있으며 내야에는 홈, 1루, 2루, 3루의 4개 베이스가 있다.
기본적으로 9회까지 1회당 3아웃을 해야 끝나며 1회에 1회초와 1회말이 있는데 각각 두팀이 1회초에서 한 팀은 수비를 하고 한 팀은 공격을 하며 1회말에는 바꾸어서 1회초에 수비를 하던 팀이 공격을 하고 공격을 하던 팀이 수비를 하게 된다.
1아웃은 스트라이크가 3개가 될 때 1아웃이 되며 이렇게 아웃이 3개가 되면 1회 경기가 끝이 나게 된다. 그리고 볼넷은 볼이 4개가 될 때 볼넷이라고 하며 이때 타자는 홈에서 1루로 가게 된다.
여기서 스트라이크존을 통과해야 스트라이크가 되는데 스트라이크존은 야구경기에서 홈플레이트(home plate) 위에 가상으로 설정한 공간을 말한다. 타자의 어깨 윗부분과 유니폼 바지 윗부분의 중간점을 상한선으로 하고, 무릎 아랫부분을 하한선으로 하는 공간으로, 타자가 투구를 치기 위해 취하는 자세에 의해 결정된다. 타자가 스트라이크존을 작아 보이게 하려고 평소와 다른 타격 자세를 취하며 몸을 웅크리거나 구부려도 구심은 이를 무시하고 그 타자가 평소 취하는 타격 자세에 따라 스트라이크존을 결정한다.
물론 심판에 따라 부분적으로 아주 약간의 스트라이크존 판정이 달라질 수는 있으나 기본적으로 틀은 변하지 않는다.
그리고 득점은 일반 적으로 타자가 홈에서 투수의 공을 쳐서 1루, 2루, 3루의 각각의 베이스 들을 밟고 그리고 마지막 홈에 있는 홈플레이트를 밟으면 득점을 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들을 보면 스트라이크, 볼 이렇게만 존이 형성 되어 있어서 아무리 스트라이크존이라고 하여도 만약 야구 경기를 할 때 포수가 원하는 위치가 아닌 다른 스트라이크존으로 공을 던져도 스트라이크가 되어 이럴 때 투수의 제구력도 떨어지면서 일반 사람들이 야구를 공을 던지는 재미가 보통 스트라이크나 볼의 판정이 정확해야 경기나 게임이 재미가 있는데 스트라이크, 볼 두 가지 뿐이 여서 재미가 없었다.
그리고 공을 던질시 자신의 볼 스피드를 알 수가 없어서 스피드 건이 필요한데 스피드 건을 따로 휴대를 해야 하고 혼자서 측정할 수가 없어서 투구연습 때 스피드를 측정하기 위해 두 사람이 있어야 하는 어려운 점이 있었으며 자신이 공을 던질시 자신이 얼마만큼의 공을 던졌는지를 알 수 없어서 투구수 조정의 어려운 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기술들은 기존 램프의 필라멘트 및 형광등은 충격에 약하고 수명이 짧고 소비전력이 크고 환경오염물질이 배출될 수 있고 실외에서 사용 할 때 전원 공급이 힘들어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9개 영역의 스트라이크존과, 점수표시, 투구수표시, 스피드표시가 가능하여 제구력 및 실력향상에 도움이 되며 그리고 자신의 투구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고 스피드건이 같이 설치되어 있어서 혼자서도 투구연습이 가능하며 스피커를 통해서 야구 경기장에 온 것 같은 분위기를 만들어 야구를 보다 재미있게 할 수 있으며 친환경소재인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여 충격에도 강하고 소비전력이 적으며 이 장점으로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가 될 수 있어서 실외에서도 사용 할 수 있는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전원을 넣어 투구연습을 개시하는 시작단계; 투구를 준비하는 투구준비단계; 공을 투구하는 투구단계; 센서로 통과하는 공을 검출하는 센서검출단계; 검출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부 출력단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새로운 투구연습이 가능하게 데이터를 초기설정치로 리셋하는 리셋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은 9개 영역의 스트라이크존과, 점수표시, 투구수표시, 스피드표시가 가능하여 제구력 및 실력향상에 도움이 되며 그리고 자신의 투구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고 스피드건이 같이 설치되어 있어서 혼자서도 투구연습이 가능하며 스피커를 통해서 야구 경기장에 온 것 같은 분위기를 만들어 야구를 보다 재미있게 할 수 있으며 친환경소재인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여 충격에도 강하고 소비전력이 적으며 이 장점으로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가 될 수 있어서 실외에서도 사용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구연습장치의 제어부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투구연습장치의 정면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투구연습장치의 격자판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투구연습장치의 리모컨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 블록도
본 발명은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전원을 넣어 투구연습을 개시하는 시작단계; 투구를 준비하는 투구준비단계; 공을 투구하는 투구단계; 센서로 통과하는 공을 검출하는 센서검출단계; 검출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부 출력단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새로운 투구연습이 가능하게 데이터를 초기설정치로 리셋하는 리셋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구준비단계는 시작 버턴(151)을 누르면 표시부 및 영역LED, 조명LED들이 순간적으로 전부 점등되며, 그리고 스피커를 통해서 시작을 알리고 경기장에 온 것 같은 분위기의 배경음악이 나오고 스트라이크존(121)의 9개 영역의 영역LED는 랜덤하게 일정 영역에 적색램프가 깜빡거려 주며, 이때 상기 조명LED은 백색램프가 켜서 상기 스트라이크존 판(120)을 밝게 하며, 여기서 일정 영역에 적색램프가 깜빡거리는데 이때가 야구에서 보면 포수가 공을 던질 위치를 투수에게 요구하는 상황 즉 사인을 보내는 상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검출단계는 수광부 보드와 발광부 보드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광센서보드가 투구연습장치의 상하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투구시 공이 투구연습장치의 전면에 설치된 스트라이크존 판의 어느 지점을 통과하는 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 출력단계에서의 표시부는 판정표시램프, 점수표시판, 스피드표시판, 투구수표시판 및 스피커로 구성되며, 모두 상기 스트라이크존 판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리셋단계는 사용자가 시작 버턴을 누르면 처음으로 돌아가고 랜덤한 신호가 9개의 상기 영역LED에 골고루 나타나게 되는데 시작 버턴을 누를 때 마다 영역LED에는 무작위로 표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구연습장치의 시스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투구연습장치의 정면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투구연습장치의 격자판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투구연습장치의 리모컨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실시례의 투구연습장치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해 줄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장치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각각의 출력들은 표시하는 표시부들로 이루어져 있는 투구연습장치 이다.
상기 투구연습장치는 모양이 직사각형 모양이며 9개 영역의 스트라이크존이 그려져 있는 스트라이크존 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트라이크존 판 위에는 상기 표시부들이 있는데 표시부들로는 판정표시램프, 점수표시판 그리고 스피드표시판, 투구수표시판, 스피커가 있으며 상기 스트라이크존 판과 표시부들의 앞면은 강화유리로 되어 있으며 투구연습장치의 스트라이크존 판과 표시부들은 케이스에 의해서 고정이 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와 강화유리의 고정에는 충격 흡수부를 사용하고, 케이스와 강화유리면의 사이를 격리시켜 유리와 케이스간의 직접적인 충격이 전해지지 않게 하여 파손을 방지 하게 한다.
상기 스트라이크존 판의 위쪽에서 왼쪽에는 스트라이크, 볼, 아웃을 표시 해주는 판정표시램프와 상기 판정표시램프 바로 옆 즉 스트라이크존 판의 위쪽에서 오른쪽에는 점수를 표시하는 점수표시판, 그리고 상기 점수판 바로 아래는 스피드표시판이 있고 상기 스피드표시판 바로 아래는 투구수표시판이 있다.
상기 판정표시램프는 우선 맨 위쪽에는 스트라이크를 의미하는 영어 ‘S’가 쓰여 있으며 램프가 두 개 있고 그리고 바로 아래는 볼을 의미하는 영어 ‘B’가 쓰여 있으며 램프가 세 개 있고 또 바로 아래는 아웃을 의미하는 영어 ‘O’가 쓰여 있으며 램프가 두 개가 있다.
여기서 스트라이크, 볼 그리고 아웃에 들어오는 판정표시램프들은 각각 다른 색깔의 불이 들어 올수 있게 하여 스트라이크인지 볼인지 그리고 아웃인지를 잘 표현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점수표시판은 ‘점수’라는 글자와 점수를 표시할 수 있는 점수판 그리고 바로 옆에는 ‘점’이라는 글자가 쓰여 있고 상기 스피드표시판은 ‘speed’라는 영어와 그리고 스피드를 나타내는 스피드판, 바로 옆에는 ‘Km/h’라는 영어가 쓰여 있다.
또 상기 스피드표시판 바로 아래는 투구수를 나타내는 투구수표시판이 있을 수 있는데 상기 투구수표시판은 ‘투구수’라는 글자와 투구수를 나타내는 투수판 그리고 바로 옆에는 ‘개’라는 글자가 쓰여 있다.
상기 스트라이크존 판의 뒷면에는 각각의 측면 조명LED가 장착되어있어 상기 조명LED가 스트라이크존 판을 투사하여 밝은 시야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라이크존 판의 뒷면에는 즉 상기 스트라이크존이 그려져 있고 이 부분의 바로 뒷면에는 9개의 영역을 가지고 있는 격자판을 고정할 수 있게 하며 상기 격자판의 높이는 최소 10센티미터하고 스트라이크존 판과의 고정은 상기 격자판의 4면에 고정 할 수 있는 날개를 만들고 스트라이크존 판의 뒷면에 고정 프레임이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과 날개 부분을 볼트를 이용해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격자판의 각각 영역에는 LED를 사용하여 각각의 영역들을 표시 할 수 있게 영역LED가 세로로 되어져 있는데 상기 영역LED는 각각 3개의 튜브 속에 들어가 상기 고정 프레임에 의해서 고정 되어져 있다.
상기 격자판 위에는 스피드건이 설치되어 있어 날아오는 공의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스피드표지판에 속도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뒷면에 있으며 상기 격자판 아래쪽에는 스피커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투구연습장치의 상기 케이스의 전면 즉 스트라이크 판의 앞쪽 상하좌우 4면의 테두리에는 센서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하좌우의 끝단 부분에는 상기 센서 고정부가 형성 되어져 있는데 투구연습장치의 케이스 테두리 길이만큼의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센서 고정부의 일부분에는 광센서보드가 들어가 고정되어져 있으며 센서 고정부는 상기 광센서보드를 감싸면서 센서들은 서로 마주보이도록 형성되어져 있고 광센서보드는 직사각형의 길쭉한 모양으로 되어져 상하좌우로 설치가 되어져 있다.
상기 광센서보드는 수광부 보드와 발광부 보드로 다수의 광센서들이 설치되어져 있는데 상기 수광부 보드의 센서는 포토IC로 상기 발광부 보드는 레이저다이오드로 되어 있으며 수광부 보드 1은 상부에 수광부 보드 2는 우측면에 각각 설치되어져 있고 발광부 보드 1은 하부와 발광부 보드 2는 좌측면에 각각 설치가 되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수광부 보드 1, 2와 상기 발광부 보드 1, 2는 상기 스트라이크존을 중심으로 설치되어져 있으며 좌, 우측에 설치되어져 있는 수광부 보드 2와 발광부 보드 2는 스트라이크존의 세로 길이만큼 의 길이를 가지고 상,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광부 보드 1과 발광부 보드 1은 상기 투구연습장치의 상기 케이스 상, 하측 길이만큼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투수연습장치는 전광판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전광판을 사용하여 투구의 상황을 실시간 ‘볼, 스트라이크, 아웃, PERFECT’등 다양한 문구를 표출할 수도 있으며, 이때 일정시간 동안 볼, 스트라이크 등의 검출 신호가 없으면 일반문구가 표출 될 수 있다.
또 상기 투구연습장치 상단 일측면에 경사지게 무공해 청정에너지원인 태양전지(solar cell) 모듈과 축전지를 사용하여 투구연습장치를 동작 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전기에서 충전을 하여 실외에서 사용가능하다.
그래서 상기 투구연습장치는 실외에서 투구연습장치를 사용할 때 전원을 공급하기가 힘들 때 별도의 전원을 설치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게 상기 태양전지 모듈을 사용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메인콘트롤러가 있는데 상기 메인콘트롤러를 통하여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영역LED 등이 동작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투구연습장치의 제어부 블록도이며 상기 메인콘트롤러는 카운터(COUNTER), 디스플레이(DISPLAY), 음성 시스템(VOICE SYSTEM), 센서(SENSOR), 스피드건(SPEED GUN), 타이머(TIMMER), 라이트(LIGHT), 시그날 보드(SIGNAL BOARD)의 시스템들의 기능들을 제어 한다.
상기 카운터(COUNTER)는 상기 메인콘트롤러를 통해서 볼, 스트라이크 판정을 하여 상기 판정표시램프에 불(점등)이 들어 올수 있게 하는 부분이고, 상기 디스플레이(DISPLAY)는 상기 점수표시판과 상기 스피드표시판 그리고 상기 투구수표시판으로 구성되어 점수, 속도, 투구수를 표출하는 부분이다.
상기 음성 시스템(VOICE SYSTEM)은 각각의 상황마다 즉 투구시 검출된 신호가 상기 메인콘트롤러에 전달되면 메인콘트롤러는 검출된 신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출력포트를 가지고 있는데, 이 각각의 신호가 음원 IC가 내장된 음성(VOICE) 보드 장치를 통해서 각각의 음성 즉 스트라이크, 볼, 아웃, 퍼펙트, 와우, 팡파레 등의 소리가 앰프(AMP)를 통해서 증폭되고 스피커를 통해서 지정된 음성이나 음향이 출력 된다.
상기 센서(SENSOR)는 상기 투구연습장치 전면의 상하좌우에 상기 수광부 보드 1, 2와 상기 발광부 보드 1, 2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수광부 보드 1, 2의 다수 수광부와 발광부 보드 1, 2의 다수 발광부는 야구공의 지름(72mm)보다 좁은 간격으로도 설치되어 있어 투구시 야구공이 어느 지점을 통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 검출하는 부분이다.
상기 스피드건(SPEED GUN)은 스피드건을 통해서 투구시 공의 속도를 검출하는 부분이며, 상기 타이머(TIMMER)는 상기 투구연습장치의 진행 및 대기상태 및 상기 영역LED의 깜빡이는 시간을 조정을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라이트(LIGHT)는 상기 스트라이크존의 9개의 영역과 상기 스트라이크존 판에 조명을 비춰주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라이크존의 9개 영역에는 상기 영역LED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영역LED의 점등상태를 표시 해주는 부분이다
상기 시그날 보드(SIGNAL BOARD)는 전광판을 사용하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실시간 공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을 블록도로 상세하게 나타내며, 시작단계, 투구준비단계, 투구단계, 센서검출단계, 표시부 출력단계, 리셋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시작단계는 상기 투구연습장치에 시작은 우선 시작 버턴을 누르면 이때부터 일정시간 타이머가 동작되며 타이머의 동작은 상기 발광부 보드와 수광부보드 및 스피드건에 동작하도록 하여, 사용 하지 않는 부분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이고, 장치의 수명을 연장한다. 이때 상기 시작 버턴은 유선 또는 무선시스템을 사용한 스위치 버턴이다.
상기 투구준비단계는 상기 시작 버턴을 누르면 표시부 및 영역LED, 조명LED들이 순간적으로 전부 점등되며 이때 상기 투구연습장치의 이상 유무를 확인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시작을 알리고 경기장에 온 것 같은 분위기의 배경음악이 나오고 상기 스트라이크존의 9개 영역의 상기 영역LED는 랜덤하게 일정 영역에 적색램프가 깜빡거려 준다. 이때 상기 조명LED은 백색램프가 켜서 상기 스트라이크존 판을 밝게 한다.
여기서 일정 영역에 적색램프가 깜빡거리는데 이때가 야구에서 보면 포수가 공을 던질 위치를 투수에게 요구하는 상황 즉 사인을 보내는 상황이 된다.
상기 투구단계는 사인을 받은 투수는 지정한 영역에 공을 던지려고 노력할 것이며 그 영역으로 투수가 공을 던지게 된다.
그래서 상기 센서검출단계는 포수가 요구한 영역 즉 상기 영역LED에서 깜빡거리는 곳에 공을 던지는데 상기 수광부 보드 1, 2와 상기 발광부 보드 1, 2는 상기 제어부의 상기 메인콘트롤러를 통해서 스트라이크인지 볼인지 그리고 요구한 위치에 공이 맞았는지를 검출하고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광부 보드 1, 2와 상기 발광부 보드 1, 2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수광부 보드 1, 2의 다수 수광부와 발광부 보드 1, 2의 다수 발광부는 야구공의 지름보다 작도록 설치가 되어 있어서 투구시 야구공이 어느 지점의 광로를 차단하는 순간 그 지점의 수광부에 검출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메인콘트롤러는 검출된 신호를 판단하여 스트라이크인지 볼인지, 요구한 위치에 맞았는지를 판별 할 수가 있는데 두 쌍의 수광부와 발광부간의 광로가 차단되면 스트라이크가 되며 한 쌍의 광로가 차단되면 볼이 된다.
여기서 두 쌍의 광로를 차단되어도 볼이 될 수 있는 영역이 생기는데 이 경우 상기 투구연습장치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수광부 보드 1과 상기 발광부 보드 1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광부와 발광부의 광로는 아무리 차단하여도 볼이 판정이 되는데 즉 상기 스트라이크존 밖에 설치된 수광부와 발광부간의 광로는 아무리 상기 수광부 보드 2, 상기 발광부 보드 2와 같이 두 쌍의 광로를 차단하여도 볼이 판정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부 출력단계는 센서검출을 한 후 상기 메인콘트롤러를 통해서 상기 판정표시램프와 상기 점수표시판, 상기 스피드표시판, 상기 스피커, 상기 투구수표시판 등에서 표출된다.
그래서 스트라이크 또는 볼이 판정이 되면 상기 메인콘트롤러를 통해서 볼 일 때 상기 판정표시램프의 ‘B’에 하나가 ON되고 스트라이크 일 때 ‘S’에 하나가 ON되며 만일 스트라이크가 3개이면 ‘O’에 하나가 ON이 된다.
상기 메인콘트롤러의 스트라이크 또는 볼로 판단될 경우 음성 출력단은 상기 음성 시스템으로 신호가 송출되고 음성 시스템에서 스트라이크 또는 볼의 관련한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서 나오게 된다.
또한 스트라이크 3개 또는 볼 4개일 때에도 메인콘트롤러에서 음성이 송출되면 이에 맞는 음성이 나오게 된다.
동시에 상기 스피드건으로 측정된 속도가 표출되어서 상기 스피드표시판에 나타난다.
여기서 상기 스피드건은 ON/OFF 스위치가 상기 투구연습장치와 연동되어 동작하며 스피드건은 5분정도 사용하지 않을시 자동 전원이 OFF 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시작버튼을 누르면 동작되게 한다.
이때 상기 메인콘트롤어의 상기 스프드건 측정 장치는 상기 스트라이크존 판에 맞는 순간 공의 속도가 측정이 되며 공의 속도가 측정이 된 후 상기 스피드표시판에 일정 시간동안 표출되어 다시 측정 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 하게 된다.
또 상기 투구수표시판은 공이 상기 스트라이크존 판에 맞으면 맞는 순간 센서 검출된 후 상기 메인콘트롤러를 통해서 투구수표시판에 투구수가 나타나게 되며 투구수는 계속 합산이 된다.
그리고 역시 상기 메인콘트롤러를 통해서 상기 스트라이크존 판에 상기 영역LED가 깜빡이는 곳 즉 지정된 영역에 맞으면 지정된 영역의 영역LED가 일정시간 불이 멈추고 동시에 점수도 합산되어 상기 점수표지판에도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영역LED가 깜빡이지 않는 다른 위치에 맞아 나오는 점수 보다 포수가 요구하는 영역 즉 영역LED가 깜빡이는 곳에 맞아 나오는 점수가 더 높은 점수가 부여 된다.
그리고 9개의 영역 중 한곳에 맞으면 즉 영역LED가 깜빡이지 않은 곳을 맞아도 공이 맞은 영역에 영역LED가 일정시간 점등이 멈추어 투수가 던진 곳을 알려주게 된다. 이때 다른 8개의 영역LED는 꺼진다.
점수는 기본점수 1000점부터 시작하고, 볼이면 50점, 스트라이크이면 100점, 영역표시부에 맞으면 300점, 베이스 온 볼 즉 볼이 4개면 감점 50점, 삼진이면 500점, 3연속 삼진이면 즉 3번 연속 삼진이면 1000점 합산하여 상기 점수표지판에 나오게 되며 점수를 다른 방식으로도 합산을 할 수 있으며 기본점수 및 스트라이크, 볼 등의 점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여기서 3번 연속 삼진이면 이때 전 영역의 상기 영역LED가 3번 깜빡인 후 다음 투구 할 수 있는 대기상태로 돌아가면서 상기 판정표시램프의 불들은 전부 꺼지게 된다.
단 상기 점수표시판에 표시되어 있는 점수는 계속유지 된다.
마직막으로 상기 리셋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시작 버턴을 누르면 처음으로 돌아가고 랜덤한 신호가 9개의 상기 영역LED에 골고루 나타나게 되는데 시작 버턴을 누를 때 마다 영역LED에는 무작위로 표출이 된다.
상기 투구연습장치는 9개 영역의 상기 스트라이크존이 있어서 투수는 가능하면 포수가 요구한 영역(위치)에 투구 할여고 노력할 것이며 그래서 투구연습 때 투구의 제구력이 좋아지고 이때 자신의 투구위치에 따른 점수가 수치로 표출되므로 자신의 투구를 빠른 인지가 된다.
그리고 각각의 투구마다 투구속도를 알 수 있어서 자신의 능력을 파악하고 상기 스피드건이 같이 설치되어 있어서 혼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다음 공을 던질 때는 구속향상 및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자신이 던진 투구수가 몇 개인지 몇 개가 상기 스트라이크존에 맞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자신에 맞는 투구수를 적절히 조정하여 경기나 게임에서 우수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를 통해서 야구 경기장에 온 것 같은 분위기를 만들어 야구라는 게임이 보다 재미있게 할 수 있다.
또 종래의 기술들은 기존 램프의 필라멘트 및 형광등은 충격에 약하고 수명이 짧고 소비전력이 크고 환경오염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은 실내나 실외의 조명만 의존하는 점보다 충격 및 수명에 강하고 소비전력이 적으며 환경오염물질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소재인 발광다이오드(LED)를 본 발명의 내부에 사용하므로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가 소비전력이 적어서 태양전지(solar cell) 모듈과 축전지를 사용하여 실외에서 투구연습장치를 사용할 때 전원을 공급하기가 힘들 때 별도의 전원을 설치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투구연습장치는 9개 영역의 스트라이크존과, 점수표시, 투구수표시, 스피드표시가 가능하여 제구력 및 실력향상에 도움이 되며 그리고 자신의 투구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고 스피드건이 같이 설치되어 있어서 혼자서도 투구연습이 가능하며 스피커를 통해서 야구 경기장에 온 것 같은 분위기를 만들어 야구를 보다 재미있게 할 수 있으며 친환경소재인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여 충격에도 강하고 소비전력이 적으며 이 장점으로 태양전지 모듈이 설치가 될 수 있어서 실외에서도 사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투구연습장치 111 : 케이스
112 : 센서고정부 120 : 스트라이크존 판
121 : 스트라이크존 122 : 판정표시램프
123 : 점수표시판 124 : 스피드표시판
130 : 메인콘트롤러 131 : 카운터
132 : 디스플레이 133 : 음성 시스템
134 : 센서 135 : 타이머
136 : 라이트 137 : 전원공급부
138 : 시그날보드 139 : 스피드건
140 : 격자판 141 : 날개
150 : 리모컨 151 : 시작 버턴

Claims (5)

  1. 삭제
  2.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전원을 넣어 투구연습을 개시하는 시작단계; 투구를 준비하는 투구준비단계; 공을 투구하는 투구단계; 센서(134)로 통과하는 공을 검출하는 센서검출단계; 검출결과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부 출력단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새로운 투구연습이 가능하게 데이터를 초기설정치로 리셋하는 리셋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투구준비단계는 시작 버턴(151)을 누르면 표시부 및 영역LED, 조명LED들이 순간적으로 전부 점등되며, 그리고 스피커를 통해서 시작을 알리고 경기장에 온 것 같은 분위기의 배경음악이 나오고 스트라이크존(121)의 9개 영역의 영역LED는 랜덤하게 일정 영역에 적색램프가 깜빡거려 주며, 이때 상기 조명LED은 백색램프가 켜서 상기 스트라이크존 판(120)을 밝게 하며, 여기서 일정 영역에 적색램프가 깜빡거리는데 이때가 야구에서 보면 포수가 공을 던질 위치를 투수에게 요구하는 상황 즉 사인을 보내는 상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검출단계는 수광부 보드와 발광부 보드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광센서보드가 투구연습장치(100)의 상하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투구시 공이 투구연습장치(100)의 전면에 설치된 스트라이크존 판(120)의 어느 지점을 통과하는 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출력단계에서의 표시부는 판정표시램프(122), 점수표시판(123), 스피드표시판(124), 투구수표시판 및 스피커로 구성되며, 상기 판정표시램프(122), 점수표시판(123), 스피드표시판(124), 투구수표시판 및 스피커는 상기 스트라이크존 판(120)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단계는 사용자가 시작 버턴(151)을 누르면 처음으로 돌아가고 랜덤한 신호가 9개의 상기 영역LED에 골고루 나타나게 되는데 시작 버턴(151)을 누를 때 마다 영역LED에는 무작위로 표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00067628A 2010-07-13 2010-07-13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 KR101193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628A KR101193112B1 (ko) 2010-07-13 2010-07-13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628A KR101193112B1 (ko) 2010-07-13 2010-07-13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110A KR20100088110A (ko) 2010-08-06
KR101193112B1 true KR101193112B1 (ko) 2012-10-19

Family

ID=42754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628A KR101193112B1 (ko) 2010-07-13 2010-07-13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527B1 (ko) * 2011-06-28 2013-03-06 최정길 Led 광 센서가 구비된 야구 타격 및 피칭 연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110A (ko)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5384A (en) Player adaptive sports training system
US20050162257A1 (en) System of electronic devices that is designed to assist a football referee
KR101239527B1 (ko) Led 광 센서가 구비된 야구 타격 및 피칭 연습시스템
JP2006212224A (ja) ダーツ及びダーツゲーム装置
KR101193108B1 (ko) 투구연습장치
US20180365939A1 (en) Method of remote controlling a luminous signalling system in the course of sports games played by orally and aurally challenged players and a set of electronic devices for application of the method
ES2206800T3 (es) Diana de dardos de puntuacion electronica.
US4893822A (en) Electronic throwing dart football
KR101193112B1 (ko) 투구연습장치의 동작방법
KR20130004860U (ko) 전자식 점수판
JP2013192654A (ja) 得点表示装置、得点表示方法、及び得点表示プログラム
US11786795B2 (en) Slow-pitch softball strike-indicating mat
US11376490B2 (en) Game scoring and tracking system
KR101565096B1 (ko) 경기 점수판시스템
JPH1147432A (ja) 射撃ゲーム装置
GB2387786A (en) Football game
CN218516108U (zh) 一种布艺玩具投球机
CN213159257U (zh) 足球训练装置及系统
JP3114138U (ja) 得点獲得球技用装置
CN217092010U (zh) 一种具有训练与娱乐竞技功能的球类运动装置
CN2612428Y (zh) 一种气悬球装置
CN207965143U (zh) 一种电子飞镖机的测距装置
KR100501892B1 (ko) 태권도 경기 전광표시 장치
CN107405522B (zh) 一种气泡跟踪识别射击系统及方法
US2713490A (en) Dart g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