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669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669B1
KR100501669B1 KR10-2002-0048463A KR20020048463A KR100501669B1 KR 100501669 B1 KR100501669 B1 KR 100501669B1 KR 20020048463 A KR20020048463 A KR 20020048463A KR 100501669 B1 KR100501669 B1 KR 100501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height
cams
gear
ge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204A (ko
Inventor
안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8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6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16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수시로 암레스트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는, 상단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 암레스트 몸체와, 상기 암레스트 몸체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상판과, 상기 암레스트 몸체의 소정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상판의 수직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몸체의 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한 복수의 캠들과, 상기 복수의 캠들이 동일한 회전을 할수 있도록 하는 로드와, 상기 암레스트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 1기어부를 형성하고 있는 조절다이얼과, 상기 조절다이얼의 제 1기어부와 치합하는 제2 기어부를 형성하고, 와이어 권취부를 형성하고 있는 권취부재와, 일측은 권취부재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캠들중 하나와 연결된 와이어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Adjustable armres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앞좌석 중앙에 위치하여 운전자의 팔을 거치하도록 하는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암레스트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높이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암레스트는, 주자브레이크 레버의 조작성, 또는 센터 페시아가 위치하는 각종 계기의 조작시 운전자의 팔에 걸리지 않도록 그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아울러 각각의 운전자는 모두 다른 체형을 가지고 있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암레스트가 운전자의 팔을 거치하여 운전자의 팔이 편안히 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암레스트 높이 설정의 제한 사항을 극복하여, 암레스트 본연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것으로, 암레스트의 높이가 가변적으로 변환 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수시로 암레스트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는, 상단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 암레스트 몸체와, 상기 암레스트 몸체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상판과, 상기 암레스트 몸체의 소정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상판의 수직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몸체의 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한 복수의 캠들과, 상기 복수의 캠들이 동일한 회전을 할수 있도록 하는 로드와, 상기 암레스트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 1기어부를 형성하고 있는 조절다이얼과, 상기 조절다이얼의 제 1기어부와 치합하는 제2 기어부를 형성하고, 와이어 권취부를 형성하고 있는 권취부재와, 일측은 권취부재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캠들중 하나와 연결된 와이어의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암레스트 상판과 상기 암레스트 몸체에 양측단이 부착되어서, 상기 암레스트 상판을 상기 암레스트 몸체측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제 2기어부의 기어의 직경이 상기 제 1기어부의 직경보다 크게 함이 바람직 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는 암레스트 몸체(100)와 운전자의 팔이 거치되는 암레스트 상판(110)을 분리하여, 상기 상판(110)이 몸체(100)로 부터 수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암레스트 상판(110)과 몸체(100)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105)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105)에 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높이 조절수단의 작동으로 상기 상판(110)이 상기 몸체(100)의 상단으로 부터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소정형상의 캠들(200a, 200b)과, 상기 몸체(100)에 부착되어 상기 캠들(200a, 200b)을 지지하는 캠축(202), 상기 캠들(200a, 200b)이 같은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로드(203), 그리고 일측은 전방캠(200a)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측은 높이 조절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다이얼(210)과 치합되어 회전하는 권취부재(220)에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204)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운전자가 암레스트 몸체(100)의 일측으로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조절다이얼(210)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조절다이얼(210)과 일체로 형성된 제 1기어부(212)가 회전하고, 그로인해 상기 제 1기어부(212)와 치합되어 있는 권취부재(220)의 제 2기어부(224)가 회전하고, 이로 인해 와이어(204)가 고정되어 있는 권취부(222)가 회전하면서 상기 권취부(222)에 감기게 된다. 상기 와이어(204)의 타측은 전방캠(200a)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와이어의 장력으로 인하여 전방캠(200a)이 캠축(202)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전방캠(200a)의 회전이 로드(203)를 통해 후방캠(200b)에 전달되어 캠들(200a, 200b)이 동일한 각도 회전하게 되면서 그 형상에 의하여 암레스트 상판(110)을 밀어올려 상기 암레스트 상판(110)이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조절다이얼(210)을 표시된 화살표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동일한 과정을 거쳐 캠들(200a, 200b)이 반대로 회전하여 암레스트 상판(110)이 하강하게 된다.
그런데, 암레스트 상판(110)은 자체의 중량으로 인하여 항상 캠들(200a, 200b)의 가장 높은 부분에 의하여 지지받고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차량의 운행시에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암레스트 상판(110)이 수직방향의 힘을 받게되는 경우 암레스트 상판(110)이 캠들(200a, 200b)로부터 들뜨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암레스트 상판(110)과 몸체(100)를 스프링등의 탄성부재(120)로 연결하여, 암레스트 상판(110)을 몸체(100)측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추가로 부여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함 암레스트의 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캠들(200a, 200b)은 도시된 바와같이 암레스트 몸체(100)측에 부착된 캠축(202)에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전방캠(200a)의 상부는 와이어(204)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복수의 캠(200a, 200b)들이 동일한 회전을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캠은 하나의 로드(203)에 소정부위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서 평행사변형의 4절 링크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204)에 연결된 캠이 회전하게 되면, 이러한 회전력이 상기 로드(203)에 의하여 후방캠(200b)에게 전달되어 후방캠(202b)이 전방캠(200a)과 동일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후방캠(200b)은 그 중간에 오목한 홈(201)을 형성하여 와이어(204)의 작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캠 1개와 후방캠 1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더 많은 수의 후방캠을 구비할 수 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의 조절다이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의 조절다이얼(210)의 일측은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쉽게 회전시킬수 있도록 요철부를 형성한 다이얼부(214)이고, 타측에는 제 1기어부(212)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제 1기어부(212)는 앞서 설명한 제 2기어부(224)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서, 다이얼부(214)를 손가락으로 회전시키면 그와 일체로 형성된 제 1기어부(212)가 회전하고, 그에 맞물린 제 2기어(224)부가 회전하여 상기 제 2기어부(224)와 일체로 형성된 권취부(222)에 와이어(204)를 감거나 풀수 있게 된다.
작동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 1기어부(212)의 직경보다 제 2기어부(224)의 직경을 크게하여, 제 2기어부(224)에 가해지는 힘으로는 제 1기어부(212)가 회전할 수 없고, 제 1기어부(212)의 회전에 의해서는 제 2기어부(224)가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높이 조절 암레스트는 운전자가 자신의 체형에 알맞은, 편안한 상태가 되도록 암레스트의 높이를 수시로 조절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인해서, 운전시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의 조절다이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의 캠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0 : 암레스트 몸체 105 : 공간
110 : 암레스트 상판 120 : 탄성부재
200a, 200b : 캠 202 : 캠축
203 : 로드 204 : 와이어
210 : 조절다이얼 212 : 제 1기어부
214 : 다이얼부 220 : 권취부재
222 : 권취부 224 : 제 2기어부

Claims (4)

  1. 자동차 앞좌석 중앙에 위치하는 암레스트에 있어서,
    상단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 암레스트 몸체와, 상기 암레스트 몸체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상판과, 상기 암레스트 몸체의 소정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상판의 수직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몸체의 측면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한 복수의 캠들과, 상기 복수의 캠들이 동일한 회전을 할수 있도록 하는 로드와, 상기 암레스트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 1기어부를 형성하고 있는 조절다이얼과, 상기 조절다이얼의 제 1기어부와 치합하는 제2 기어부를 형성하고, 와이어 권취부를 형성하고 있는 권취부재와, 일측은 권취부재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캠들중 하나와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 상판과 상기 암레스트 몸체에 양측단이 부착되어서, 상기 암레스트 상판을 상기 암레스트 몸체측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어부의 기어의 직경이 상기 제 1기어부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
KR10-2002-0048463A 2002-08-16 2002-08-16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 KR100501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463A KR100501669B1 (ko) 2002-08-16 2002-08-16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463A KR100501669B1 (ko) 2002-08-16 2002-08-16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204A KR20040016204A (ko) 2004-02-21
KR100501669B1 true KR100501669B1 (ko) 2005-07-18

Family

ID=3732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463A KR100501669B1 (ko) 2002-08-16 2002-08-16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467B1 (ko) * 2004-11-22 2006-06-09 (주)현대공업 높이 조절식 승용차용 팔걸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580U (ko) * 1994-09-22 1996-04-12 차량의 좌석머리받이의 높이 조절장치
KR100315286B1 (ko) * 1999-12-23 2001-11-26 이계안 자동차의 암 레스트 높낮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580U (ko) * 1994-09-22 1996-04-12 차량의 좌석머리받이의 높이 조절장치
KR100315286B1 (ko) * 1999-12-23 2001-11-26 이계안 자동차의 암 레스트 높낮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204A (ko) 200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693B2 (en) Seating area adjuster
US6499803B2 (en) Lumbar support device
EP1660347A1 (en) Occupant centering ergonomic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US5087098A (en) Lumbar support device
US6048034A (en) Seat including an integrated seat belt
US20060290189A1 (en) Backrest adjustment device
US20060226683A1 (en) Adjustable lumbar support with extensive configurability
JPH0723075B2 (ja) 自動車座席の高さ調整装置
WO1995009742A1 (en) Coupling apparatus and seat structure
KR10050166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레스트
KR20010101362A (ko) 의자 등받이 조정을 위한 로드 보상 장치
US3912215A (en) Seat construction
JPH0819452A (ja)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背部支持装置
KR101407386B1 (ko) 위치 가변식 자동차용 페달 조립체
JPH08239079A (ja) 自転車用制動操作装置
US4397501A (en) Vehicle seat, more specially for commercial vehicles
JP4028757B2 (ja) 車両用シートのリフター構造
KR100462492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WO2020194947A1 (ja) 鞍乗り型車両の風防装置
JP4003391B2 (ja) 可動ペダル装置
JP2859995B2 (ja) シートのクッション性可変機構
JPH06156126A (ja) シートの上下調整装置
KR20030037001A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100747331B1 (ko) 시트 조절기구
JPS5941875Y2 (ja) シ−トクツシヨン座面の傾斜角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