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790B1 - 강관클램프의정비장치및강관클램프의종류판별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강관클램프의정비장치및강관클램프의종류판별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790B1
KR100500790B1 KR1019970059444A KR19970059444A KR100500790B1 KR 100500790 B1 KR100500790 B1 KR 100500790B1 KR 1019970059444 A KR1019970059444 A KR 1019970059444A KR 19970059444 A KR19970059444 A KR 19970059444A KR 100500790 B1 KR100500790 B1 KR 100500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steel pipe
pipe clamp
maintenance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274A (ko
Inventor
노무라히로아키
Original Assignee
다이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6757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663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5659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09128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06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06Sorting according to size measured mechan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강관 클램프 볼트의 나사정비를 능률적이고 생력(省力)적으로 행할 수 있는 정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관 클램프의 정비행정중에 있어서,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서 정비후의 분별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의 분별작업을 별도로 행하는 것을 불필요로 할수 있는 강관 클램프의 종류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수취측에 공급된 강관 클램프(3)를 취출측으로 이송하고, 취출측에서 강관 클램프(3)의 자세를 일정하게 하는 이송기구(11)와, 강관 클램프(3)를 금속코어로 유지하여 볼트의 나사정비와 두갈래부의 교정 및 볼트에 오일도포를 행하는 정비기구(12)와, 이송기구(11)상의 강관 클램프(3)를 정비기구(12)의 금속코어에 공급하는 공급기구(13)로 이루어지고, 강관 클램프(3)의 볼트의 나사정비와 두갈래부의 교정 및 볼트에 오일도포를 자동적으로 행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위하여, 한쪽 클램프 단체(202)를 유지함으로서 강관 클램프(201)를 들어올리는 척기구(225)를 승강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이 척기구(225)로 상승이동하는 강관 클램프(201)의 다른쪽 클램프 단체(203)의 볼트(208)가 상승이동하는 부분에, 상승한 볼트(208)에서의 밀어올림의 유무에 의하여 강관 클램프(201)가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중 어느 것인가를 검출하는 판별장치(236)를 설치하고, 이로서 강관 클램프(201)의 정비후의 분별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강관 클램프의 정비장치 및 강관 클램프의 종류판별방법 및 장치{APPARATUS FOR PUTTING STEEL PIPE INTO GOOD CONDITIO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YPE OF STEEL PIPE CLAMP}
본 발명은 건축이나 토목공사 자재로 사용되는 강관 클램프에 대하여, 볼트의 나사정비를 자동적으로 행하기 위한 정비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설발판 등의 조립에 사용하는 강관 클램프의 종류판별방법과 장치, 더욱더 상세히는 혼재하는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의 볼트를 정비하는 것을 자동적으로 행한 후, 강관 클램프를 각각의 종류로 분별하기 위한 종류판별방법과 장치에 관한다.
건축이나 토목공사에 있어서 사용하는 강관을 크로스상으로 결합하거나 연장상으로 접속하기 위한 강관 클램프는 도 5나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클램프 단체(1, 2)를 등맞춤으로 일체화 또는 결합하여 강관 클램프(3)를 형성하고, 양 클램프 단체(1, 2)는 대략 직각으로 굴곡하여, 내주가 강관에 대하여 외접하는 호상 테두리로 되는 본체(1a, 2a)의 한쪽 단부에 핀(4)으로 개폐날개(1b, 2b)를 피벗부착하고, 그 본체(1a, 2a)의 다른쪽 단부에 핀(5)으로 볼트(6)를 피벗부착하고, 개폐날개(1b, 2b) 선단은 노치(7)를 설치하여 두갈래부(1c, 2c)로 하고, 볼트(6)를 노치(7)내에 끼움하여 너트(8)를 나사식으로 죄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강관 클램프(3)는 양 클램프 단체(1, 2)를 직각의 배치로 등맞춤하여 일체화 또는 고정화한 직교 클램프와 양 클램프 단체(1, 2)를 서로 회전자유로이 결합한 자유자재 클램프가 있다.
상기 강관 클램프(3)는 건축이나 토목공사 현장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볼트(6)에 콘크리트나 도료 등이 부착하거나, 우수의 부착에 의해 녹이 발생하고, 또, 물건에 부딪쳐, 볼트(6)의 나사산이 변형되고, 개폐날개(1b, 2b) 선단 두갈래부(1c, 2c)에 변형이 생기는 수가 있어, 이 때문에 강관 클램프(3)는 현장에서의 사용 종료 후, 회수하여 재사용의 경우는 볼트(6)의 나사정비나 두갈래부(1c, 2c)의 교정 등의 정비를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종래, 상기 정비는 대응하는 수동공구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1개 씩 정비하고 있었다.
그런데, 수작업에 의한 강관 클램프의 정비는 작업능률이 나쁘고, 게다가 중노동이 되며, 정비 코스트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강관을 사용하여 가설발판을 조립하기 위하여, 강관을 결합하는 강관 클램프가 사용된다. 강관 클램프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서로 등을 맞대고 반대방향을 향한 1쌍의 클램프 단체의 조합에 의하여 구성되고, 이 강관 클램프에는 강관을 직각으로 결합하는 직교 클램프와 강관을 임의의 각도로 결합할 수 있는 자유자재 클램프의 2종류가 있고, 가설발판의 조립에는 이들 2종류의 강관 클램프가 혼용되고 있다.
강관 클램프(201)의 하나인 직교 클램프(201a)는 도 39와 도 40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쌍의 클램프 단체(202, 203)를 서로등을 맞대고 반대방향으로 향한 상태로 직각으로 일체화 또는 결합한 것이고, 클램프 단체(202, 203)는 내주가 강관에 대하여 외접하는 호상 테두리로 되는 본체(204)의 한쪽단부에 핀(205)으로 개폐날개(206)를 피벗부착하고 그 본체(204)의 다른쪽 단부에 핀(207)으로 볼트(208)를 피벗부착하고, 개폐날개(206)의 선단은 노치(209)를 설치하여 두갈래부로 하고, 볼트(208)를 노치(209)내에 끼워넣어 너트(210)를 나사체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자유자재 클램프(201b)는 도 41, 도 42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직교 클램프(201a)와 꼭같은 1쌍의 클램프 단체(202, 203)를 서로 등을 맞대고 반대방향을 향한 상태로 하여 본체(204, 204)를 피벗축(211)에서 서로 회전이 자유로이되도록 결합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강관 클램프(201)는 건축이나 토목공사의 현장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볼트(208)에 콘크리트나 도료 등이 부착하거나, 우수의 부착에 의한 녹이 발생하고 또, 물체가 부딧쳐서 볼트(208)의 나사산이 변형하거나, 개폐날개(206)의 선단 두갈래부에 변형이 생기는 일이 있고, 이 때문에, 강관 클램프(201)는 현장에서의 사용이 끝난 후에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경우는 볼트(208)의 나사정비나 두갈래부의 교정이라는 정비를 행하여야 함과 동시에, 자재관리 등을 위한 직교 클램프(201a)와 자유자재 클램프(201b)의 분류도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정비를 수작업으로 행하고 있어서는 작업능률이 극히 나쁘기 때문에 강관 클램프를 반송체로 소정의 자세로 공급하는 것만으로, 그 강관 클램프에 대하여 상기 정비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정비장치를 본 출원인이 일본 특원평 9-167570호로 이미 제안하였다.
이 정비장치는 반송체로 소정의 자세로 이송되어온 강관 클램프를 공급기구로 정비기구에 공급하고, 정비기구는 강관 클램프의 양 클램프 단체를 금속코어와 척으로 직교상의 자세로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너트 드라이버 기구에 의한 양 클램프 단체의 볼트의 나사정비와 교정금형에 의한 개폐날개의 선단 두갈래부의 교정을 행하고, 정비후에 유지한 것을 풀어 강관 클램프를 금속코어에서 배출하고, 이를 수납용기내에 회수하도록 되어 있고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중 어느 것도 정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가 혼재한 상태에서 회수한 강관 클램프를 정비할 경우, 정비전 또는 정비후에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의 분별 작업이 별도 필요하게 되고 그 몫 만큼 코스트업에 연계된다라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강관 클램프 정비가 자동화되어, 생력화와 작업능률 향상에 따라 정비코스트의 대폭적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강관 클램프의 정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 1의 발명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등맞춤한 강관 클램프의 양 클램프 단체에 설치한 볼트의 나사정비를 행하는 정비장치이고, 한쪽 클램프 단체를 끼움하는 금속코어 및 다른쪽 클램프 단체를 끼움하는 금속코어와 양 금속코어에 끼움한 강관 클램프를 고정하는 척과, 양 클램프 단체의 볼트에 대하여 각각 진퇴이동하고, 그 너트를 강제회전시키는 제1 및 제2너트드라이버와, 양 클램프 단체의 볼트에 대하여 오일을 도포하는 오일도포수단과, 양 클램프 단체의 개폐날개에 있어서의 노치를 정형하는 노치교정 금형과, 척 개방후에 금속코어에서 강관 클램프를 배출하는 배출기구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등맞춤으로 한 강관 클램프의 양 클램프 단체에 설치한 볼트의 나사정비를 행하는 정비장치이고 공급측에서 투입된 강관 클램프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기구와, 강관 클램프를 정위치에서 일정 자세로 유지하고, 양 클램프 단체의 볼트에 대하여 나사정비를 행한 후, 강관 클램프를 배출하는 정비기구와, 상기 이송기구의 취출측에 정지하는 강관 클램프를 유지하여 꺼내고, 이것을 정비기구에 공급하는 공급기구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강관 클램프의 정비행정중에 있어서,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의 종류를 판명할 수 있게 하고, 이로서 정비후의 분별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의 수작업에 의한 분별을 불필요하게 할수 있는 강관 클램프의 종류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9의 발명은 강관 클램프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고정화 한 직교 클램프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자유자재 클램프의 2종류로 이루어지고, 이 강관 클램프를 유지하여 클램프 단체에 회전부여수단으로 회전력을 부여하여, 클램프 단체의 회전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서 강관 클램프가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중 어느 것인가를 판별하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강관 클램프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고정화 한 직교 클램프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자유자재 클램프의 2종류로 이루어지고, 이 강관 클램프의 볼트에 대한 나사정비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정비공정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강관 클램프를 유지하여 클램프 단체에 회전부여수단으로 회전력을 부여하여, 클램프 단체의 회전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서 강관 클램프가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중 어느 것인가를 판별하고, 이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정비후에 배출되는 강관 클램프를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로 분별하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강관 클램프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고정화한 직교 클램프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자유자재 클램프의 2종류로 이루어지고, 이 강관 클램프를 유지하여 직교 클램프 인지 아니면 자유자재 클램프 인지의 판별을 행하기 위한 판별장치이고, 한쪽 클램프 단체를 유지함으로서 강관 클램프를 들어올리는 척을 승강이동 자유로이 설치하고, 이 척으로 상승이동하는 강관 클램프의 다른쪽 클램프 단체가 상승이동하는 부분에 상승한 다른쪽 클램프 단체에서의 밀어올림의 유무에 의하여 강관 클램프가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중 어느 것인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설치한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강관 클램프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고정화한 직교 클램프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자유자재 클램프의 2종류로 이루어지고, 이 강관 클램프를 유지하여 직교 클램프인지 아니면 자유자재 클램프인지의 판별을 행하기 위한 판별장치이고, 한쪽 클램프 단체를 유지하는 고정척과 다른쪽 클램프 단체를 유지하고, 자유자재 클램프의 피벗부착 축심상에 위치하는 중심을 지점으로 요동가능하게 되는 요동척과 요동척에 클램프 단체 유지력 보다도 약한 힘의 요동력을 부여하는 요동부여 수단과를 갖고, 이 요동부여수단으로 요동척에 요동력을 부여하였을 때의 그 척의 요동의 유무를 검지함으로서, 강관 클램프가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중 어느 것인가를 판별하도록한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6은 정비장치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강관 클램프(3)의 정비장치는 투입측에서 공급된 강관 클램프(3)를 취출측 까지 이송함과 동시에 취출측 위치에 있어서 양 클램프 단체(1, 2)의 자세를 일정하게 하는 이송기구(11)와, 강관 클램프(3)를 유지하고, 볼트(6)에 대한 나사정비와 오일도포 및 두갈래부(1c, 2c)의 교정을 행한후 배출하는 정비기구(12)와, 상기 이송기구(11)의 취출측에 정지하는 강관 클램프(3)를 유지하고, 이것을 일정 자세 그대로 정비기구(12)에 공급하는 공급기구(13)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이송기구(11)의 수취측으로 강관 클램프(3)를 일정 자세로 순차 공급하는 것 만으로 필요로 하는 정비를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10은 이송기구(11)를 나타내고, 전후에 긴 이송로(14)는 하위판(15)의 한쪽측 테두리 상부에 전후로 긴 상위판(16)을 설치하고, 상위판(16)상의 길이 방향으로 한쪽 클램프 단체(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는 한쌍의 레일(17, 17)을 부설하고, 상위판(16)의 한쪽측 테두리에 가이드벽(18)을 세워설치함과 동시에, 하위판(15)의 다른쪽측 테두리에, 다른쪽 클램프 단체(2)를 수직 자세로 유지하는 가이드벽(19)이 세워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위판(16) 상에서 양 레일(17, 17) 사이의 위치에 엔드레스의 벨트(20)의 상부주행 부분이 레일(17, 17)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함과 동시에 레일(17, 17)상의 한쪽 클램프 단체(1)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모터(12)로 벨트(20)를 주행시킴으로써 이송로(14)의 공급측(14a)에서 투입된 강관클램프(3)를 취출측(14b)을 향하여 이송하게 된다.
상기 이송로(14)는 레일(17, 17) 사이의 벨트(20)로 한쪽 클램프 단체(1)를 수평으로 지지하고, 가이드벽(19)의 상단 수평부(19a)로 다른쪽 클램프 단체(2)의 본체(2a)와 개폐날개(2b)의 피벗부착부분의 하면을 지지하며, 따라서 강관 클램프(3)는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클램프 단체(1, 2)가 직각 자세가 되고, 또한 한쪽 클램프 단체(1)는 볼트(6)의 피벗팅단이 이동방향의 전방을 향하고, 다른쪽 클램프 단체(2)는 볼트(6)가 아래로 늘어뜨려지고, 개폐날개(2b)가 개방한 자세로 이송됨으로써, 이에 의해 직교 클램프나 자유자재 클램프나 같은 자세가 되며, 가이드벽(19)의 내면 길이방향에는 다른쪽 클램프 단체(2)의 본체(2a)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돌기(22, 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생략하였지만, 가이드벽(19)상에도 벨트를 설치하여 강관 클램프(3)를 2조의 벨트로 이송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이송로(14)에 있어서의 취출측(14b) 단부에는 이동해온 강관 클램프(3)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제1스토퍼기구(24)와, 제2스토퍼기구(25) 및 최종적으로 정지시키는 제3정지부(26)가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순차 적당한 간격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제1스토퍼기구(24)는 도 9와 같이, 이송로(14)의 가이드벽(19)에 있어서의 외면에 돌출설치한 브래킷(27)에 실린더(28)를 고정하고, 그 실린더(28)의 피스톤 로드에 고정한 승강암(30)의 선단에, 하강이동시에 다른쪽 클램프 단체(2)의 본체(2a) 전면이 맞닿는 스토퍼로드(31)를 설치하여 형성되고, 이송로(14)를 이송되온 강관 클램프(3)가 제1스토퍼기구(24)에 접근하면, 이것을 센서로 검출하여 실린더(28)가 수축하고 스토퍼로드(31)가 하강하며, 강관 클램프(3)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제2스토퍼 기구(25)는 도 10과 같이, 이송로(14)의 가이드벽(19) 외면에 고정한 브래킷(27)에 실린더(32)를 고정하고, 그 실린더(32)의 피스톤로드(33)에 고정한 승강로드(34)의 선단하면에, 하강이동시에 다른쪽 클램프 단체(2)의 본체(2a)의 전면이 맞닿는 스토퍼 플레이트(35)와, 이 플레이트(35)의 선단에 위치하고, 하강이동시에 한쪽 클램프 단체(1)의 개폐날개(1b)를 개방위치로 하는 개방 가이드(36)를 설치하여 형성되고, 제1스토퍼기구(24)의 상승에 의한 강관 클램프(3) 진입시에 실린더(32)는 수축한다.
이송로(14)의 상기 제2스토퍼기구(25)를 설치한 부분에 있어서, 도 7과 같이, 상위판(16)의 하방에 고정배치한 실린더(37)로 상하이동하고, 상위판(16)에 설치한 긴구멍(38)에서 상하로 출몰하고, 상승시에 한쪽 클램프 단체(1)에 있어서의 볼트(6)의 피벗팅측 근원 부분을 밀어, 그 볼트(6)를 이동방향 전방으로 향하게하는 자세교정판(39)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의 스토퍼기구(24, 25)에 있어서, 정지한 강관 클램프(3)에 대하여 벨트(20)는 미끄럼하여 회전이동하게 된다.
제3정지부(26)는 엔드레스의 벨트(20)에 의한 한쪽 클램프 단체(1)의 이송이 정지하는 위치이고, 가이드벽(18) 선단에는 정지시의 반동으로 한쪽 클램프 단체(1)의 개폐날개(1b)가 닫히는 것을 막는 스토퍼(40)가 설치되어 있다(도 5참조).
상기와 같이, 이송기구(11)는 이송로(14)의 수취측(14a)에 있어서, 강관 클램프(3)를 인위적으로 공급하면 이것을 벨트(20)로 이송하고, 제1과 제2스토퍼기구(24, 25)를 통과함으로서 양 클램프 단체(1, 2)를 서로 개방 상태로 하여 볼트(6, 6)의 방향을 일정하게한 자세로 제3정지부(26)에 정위치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이송기구(11)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정비기구(12)를 구성하는 베이스대(41)의 전면에서 한쪽 옆의 위치에 선단 취출부(14b)가 있도록 고정되고, 이 베이스대(41)의 상부에 공급기구(13)가 설치되어 있다.
그 공급기구(13)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14와 같이 베이스대(41)상에 설치한 테이블(42) 전면에 이송기구(11) 보다 높은 위치에서 이송기구(11)와 직각 배치가 되는 가이드축(43)을 수평으로 고정하고, 이 수평축(43)을 따라 이동자유롭게 되는 가동부재(44)에 피스톤로드(45)를 상향으로 한 실린더(46)를 수직으로 고정하고, 테이블(42)상에 일단을 피벗축(47)으로 피벗팅한 요동암(48)의 도중에 피벗팅 연결하고, 실린더(50)의 신축에 의해 요동암(48)을 수평으로 요동시켜 가동부재(44)를 일정 스토로크 범위로 왕복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44)에 고정한 실린더(46)의 피스톤로드(45)에는 하향 L자상 암(52)이 고정되고, 이 암(52) 하단에 2개의 마그네트척(53, 54)이 고정되어 있다.
도 14에 일점 쇄선 표시와 같이, 실린더(46)가 신장상태에 있을 때, 마그네트척(53, 54)은 이송기구(11)에 있어서의 제3정지부(26)에 정지하는 강관 클램프(3) 바로 위에 있고, 도 14 실선과 같이, 실린더(46)의 수축에 의한 하강위치에서 양 마그네트척(53, 54)은 한쪽 클램프 단체(1)의 본체(1a)의 상면과 다른쪽 클램프 단체(2)의 개폐날개(2b)의 상면을 통전(通電)에 의해 흡착하고, 실린더(46)의 신장에 의한 상승으로 도 14의 일점 쇄선 표시와 같이, 강관 클램프(3)를 소정 높이로 들어올리도록 되어 있다.
또, 실린더(50)가 수축하면 들어올린 강관 클램프(3)를 후술하는 정비기구(12)의 수취부분이 되는 금속코어 바로 위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정비기구(12)는 베이스대(41) 상에서 전면측 중앙부에서 마그네트척(53, 54)으로 유지된 강관 클램프(3)가 정지하는 바로밑 위치에 수직의 종금속코어(55)와 수평의 횡금속코어(56)를 고정하고, 종금속코어(55)의 한쪽의 옆쪽 위치에 제1척(57)과 횡금속코어(56)의 다른쪽 옆쪽 위치에 제2척(58)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종금속코어(55)와 횡금속코어(56)는 양 클램프 단체(1, 2)에 있어서의 내경이 끼워맞춤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또한, 양 클램프 단체(1, 2)의 축심과 일치하는 간격으로 직각 배치되고, 종금속코어(55)는 원축상으로 상단부 외주에 모따기가 실시되어, 베이스대(41)상의 지지대(59)상에 고정되고, 또한 횡금속코어(56)는 종금속코어(55)로 향한 면이 평탄면이 되는 절결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후단이 베이스대(41)상에 세워설치한 지지 브래킷(60)에 고정지지되어 있다.
도 12와 같이, 마그네트척(53, 54)으로 흡착되어 종금속코어(55)와 횡금속코어(56) 바로 위로 이송된 강관 클램프(3)는 마그네트척(53, 54)의 하강에 따라, 한쪽 클램프 단체(1)가 종금속코어(55)에 바깥끼움함과 동시에, 다른쪽 클램프 단체(2)가 횡금속코어(56)에 바깥끼움되고, 도 15와 같이, 한쪽 클램프 단체(1)의 볼트(6)는 수평 상태로 정비기구(12) 후방을 향하고, 다른쪽 클램프 단체(2)의 볼트(6)는 도 2와 같이, 종금속코어(55)와 횡금속코어(56) 사이의 바로 밑에서 하방으로 늘어뜨리게 된다.
베이스대(41)상에서 한쪽 클램프 단체(1)의 볼트(6) 후방위치에 수평의 너트 드라이버 기구(61)가 볼트(6)에 대하여 진퇴이동 자유로이 되게 설치되고, 또한 베이스대(41) 하부에서, 다른쪽 클램프 단체(2)의 볼트(6) 바로밑 위치에 수직의 너트 드라이버 기구(62)가 볼트에 대하여 상하이동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수평의 너트드라이버기구(61)는 도 11, 도 13과 같이, 베이스대(41)상에 설치한 지지벽(63)의 복수의 홈 모양 롤러(64)로 기립가동판(65)을 수평 이동하도록 지지하고, 이 가동판(65)에 모터(66)를 수평상태로 요동가능하게 부착하고, 그 모터(66)의 수평출력축에 너트드라이버(67)를 부착하고, 지지벽(63)과 가동판(65) 사이에 설치한 실린더(68)의 신축에 의해 너트드라이버(67)는 볼트(6)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게 된다.
상기 모터(66)는 도시 생략하였지만 가동판(65) 사이에 설치한 스프링으로 볼트(6)와의 동축심 상태로의 복귀탄성이 가압된 자동조정중심이 되고, 실린더(68) 수축시에 너트드라이버(67)는 볼트(6)에서 뒤로 후퇴하고, 실린더(68)가 신장하면 너트드라이버(67)는 전진하며, 볼트(6)의 너트(8)에 대하여 바깥끼움하게 된다.
또한, 너트드라이버(67)의 진퇴 스트로크는 도 11과 같이, 지지대(63)에 부착한 위치조정 자유로운 한쌍의 리미트스위치(69, 70)와 가동판(65)에 부착한 양 스위치(69, 70) 사이를 이동하는 도그(71)로 실린더(68)를 제어하여 행하고 있다.
수직 너트드라이버기구(62)는 도 12와 같이, 베이스대(41) 하부에 부착한 복수의 홈모양 롤러(72)로 수직가동판(73)을 상하 이동하게 지지하고, 이 가동판(73)에 모터(74)를 직립상태로 요동자유로이 부착하고, 그 모터(74)의 상향이 되는 출력축에 너트드라이버(67)를 부착하고, 베이스대(41) 하부와 가동판(73) 사이에 설치한 실린더(75)의 신축에 의해 너트드라이버(67)는 아래로 늘어뜨린 볼트(6)에 대하여 진퇴이동하게 된다.
상기 모터(74)는 가동판(73) 사이에 설치한 스프링(76)으로 볼트(6)와의 동축심 상태로의 복귀탄성이 가압된 자동조정중심이 되고, 실린더(75) 수축시에 너트드라이버(67)는 볼트(6)에서 후퇴한 하강위치에 있고, 실린더(75)가 신장하면 너트드라이버(67)는 상승하고, 볼트(6)의 너트(8)에 대하여 바깥끼움하게 된다.
또한, 너트드라이버(67)의 상하 스트로크는 도 13과 같이, 상하 한쌍의 리미트스위치(77, 78)와 가동판(73)에 부착한 도그(79)에 의해 실린더(75)를 제어함으로써 행하고 있다.
도 11과 같이, 베이스대(41) 상에서 종금속코어(56) 후방위치에 실린더(80)의 신축에 의해 가이드축(81)과 함께 전후이동하고, 전진이동시에 한쪽 클램프 단체(1)에 있어서의 개폐날개(1b)의 두갈래부(1c)내에 압입하고, 두갈래부(1c) 노치를 소정형상으로 교정하는 수평의 노치교정금형(82)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 12와 같이, 베이스대(41) 하부에서 횡금속코어(56) 하방위치에 실린더(83)의 신축에 의해 가이드축(84)과 함께 상하 이동하고, 상승이동시에 다른쪽 클램프 단체(2)의 개폐날개(26)의 두갈래부(2c)내에 압입하고, 두갈래부(2c)의 노치를 소정형상으로 교정하는 수직의 노치교정금형(8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대(41) 상에서 횡금속코어(56) 후방 위치에 실린더(86)의 신축에 의해 전후이동하고, 양 척(57, 58)의 개방후에 있어서의 전진이동시에 다른쪽 클램프 단체(2)의 본체(2a)를 전방으로 가압하고, 강관 클램프(3)를 종금속코어(55) 및 횡금속코어(56)에서 전방으로 이탈시키는 배출기구로서의 돌출부재(87)가 배치되고, 강관 클램프(3)는 전방에 위치하는 슈트(89)상을 전방으로 미끄러져 떨어진다. 이 배출기구는 전자척 등을 사용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베이스대(41)의 적당한 위치에 도포오일용 오일컵(90)이 설치되고, 베이스대(41)에는 종금속코어(55)에 바깥끼움하는 한쪽 클램프 단체(1)의 볼트(6) 바로밑 위치 및 횡금속코어(56)에 바깥끼움하는 다른쪽 클램프 단체(2)의 볼트(6) 옆쪽 위치에 상기 오일컵(90)에서 공급된 오일을 대응하는 볼트(6, 6)에 오일도포하는 분출공(91, 92)이 설치되어 있다.
도 16a, b는 양 너트드라이버기구(61, 62)에 사용하는 너트드라이버(67) 구조를 나타내고, 모터(66, 74) 출력축에 바깥끼움 고정한 조인트(93)에 상자형 스패너(94)의 근원 부분을 회전자유로이 유지하는 너트(95)를 나사맞춤하고, 상자형 스패너(94)의 근원에 핀(96)으로 고정한 회전전달 슬리브(97)의 암(98)과 조인트(93)에 고정한 핀(99)의 결합에 의해 모터(66, 74)의 출력축 회전을 상자형 스패너(94)에 전달함과 동시에, 정전 또는 역전의 전환시에는 가령 핀(99)이 270°를 공전하여 암(98)에 충돌하고, 시동시의 임팩트에 의해 볼트(6)에 고착한 너트(8)의 회전이동이 확실하게 행해지게 되어 있다.
상기 도시예에 있어서, 이송기구(11)의 취출측 단부에서 강관 클램프(3) 자세 제어를 하는 예를 표시하였으나 이송기구(11)와 공급기구(13) 사이나 공급기구(13)에 자세제어수단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 정비기구(12) 양측에 이송기구(11)를 설치하고, 공급기구(13)는 양측 이송기구(11)의 강관 클램프(3)를 정비기구(12)에 대하여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정비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이고, 다음에 강관 클램프 정비공정을 설명한다.
우선, 이송기구(1)의 수취측 단부에 있어서, 작업원이 강관 클램프(3)를 일정 자세로 이송로(14)상에 순차 공급해 간다.
강관 클램프(3)는 한쪽 클램프 단체(1)가 한쌍의 레일(17, 17) 사이의 벨트(20)상에 수평지지되고, 다른쪽 클램프 단체(2)는 가이드벽(19)에서 수직 자세로 유지된 상태로 이송되고, 제1스토퍼기구(24)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된 후, 제2스토퍼기구(25)에 의한 정지에 의해 한쪽 클램프 단체(1)는 개폐날개(1b)가 개방하여 볼트(6)가 이동방향 전방을 향한다.
이때, 다른쪽 클램프 단체(2)는 도 8과 같이, 볼트(6)가 아래로 늘어뜨려지고, 개폐날개(2b)는 가이드벽(19)에서의 지지에 의해 개방해 있다.
이와 같은 자세로 강관 클램프(3)가 이송로(14)의 제3정지부(26) 부분에서 정지하면, 공급기구(13)의 마그네트척(53, 54)은 제3정지부(26) 바로 위의 상승 위치에서 대기해 있고, 그 마그네트척(53, 54)은 하강과 상승이동에 의해 제3정지부(26)에 있는 강관 클램프(3)를 통전에 의해 흡착하여 들어올리고, 이것을 정비기구(12)의 종금속코어(55)와 횡금속코어(56) 바로 위로 이송한다.
이 상태로 마그네트척(53, 54)이 하강하면 한쪽 클램프 단체(1)는 종금속 코어(55)에 바깥 끼움하고, 다른쪽 클램프 단체(2)는 횡금속코어(56)에 바깥끼움한다.
마그네트척(53, 54)은 하강위치에서 통전이 절단되어, 강관 클램프(3)의 흡착을 해제하면, 상승위치로 복귀한 후, 이송기구(11)의 제3정지부(26)로 이동하고, 다음 흡착에 대비함과 동시에 정비기구(12)는 양측의 척(57, 58)이 신장작동하고, 양 클램프 단체(1, 2)를 종금속코어(55) 및 횡금속코어(56)에 대하여 고정화한다.
다음에, 너트드라이버기구(61, 62)의 모터(66, 74)가 회전하고, 수평의 너트드라이버기구(61)는 너트드라이버(67)가 전진이동하고, 한쪽 클램프 단체(1)의 너트(8)에 바깥끼움 결합하고, 정전, 역전의 전환에 의해 너트(8)를 볼트(6)에 대하여 일정 스토로크 이동시킴으로써 나사정비를 행한 후, 후퇴위치로 복귀, 정지한다.
또, 수직의 너트드라이버기구(62)도 너트 드라이버(67)가 상승하여 볼트(6)의 너트(8)에 바깥끼움 결합하고, 정역 회전의 전환에 의해 나사정비를 행한 후, 하강위치로 돌아와 정지한다.
나사정비와 동시에, 노치교정금형(82, 85)이 전진 및 상승이동하여, 양 클램프 단체(1, 2)에 있어서의 두갈래부 형상을 교정후, 후퇴위치 및 하강 위치로 돌아온다.
나사정비가 끝나면 도포오일분출공(91, 92)에서 볼트(6, 6)를 향하여 정량의 도포오일이 분출하고, 이후, 양측 척(57, 58)이 후퇴하여 강관 클램프(3) 유지를 개방하면, 돌출부재(87)가 진퇴이동하여 양 금속코어(55, 56)에서 강관 클램프(3)를 전방으로 압출, 배출한다.
이에 의해 강관 클램프(3)에 대한 볼트(6, 6)의 나사정비와 오일도포 및 양 두갈래부 교정이 완료하게 되고, 각 구성부분은 상기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강관 클램프 정비를 연속하여 자동적으로 행하게 된다.
다음에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하는 장비장치의 제2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앞의 제1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기하여 설명에 대신한다. 이후의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이 제2실시형태의 정비장치는 정비기구(12)에 대하여 2개의 이송장치(11, 11)를 배치하고, 공급기구(13)가 양 이송장치(11, 11)의 어느 한쪽에서나 강관 클램프(3)를 정비기구(12)에 공급할 수 있게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강관 클램프(3)에는 클램프 단체(1, 2)를 고정화한 직교 클램프와 회전자유로이 결합한 자유자재 클램프의 2종류가 있고, 양 이송기구(11, 11)는 한쪽이 직교 클램프용, 다른 쪽이 자유자재 클램프 용으로 하여, 2종류의 강관 클램프가 혼합되지 않도록 별개 이송로에서 이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기구(13)의 마그네트척(53, 54)을 갖는 가동부재(44)는 도 17과 도 19와 같이, 금속코어 상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자유롭고, 양 이송기구(11, 11)상에 있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정비기구(12)에 있어서의 슈트(89)는 두갈래 상으로 하여 내부에 분기기구를 넣고, 정비후의 강관 클램프를 좌우 양쪽으로 배분하여 2종류의 클램프가 혼합되는 일이 없이 회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0 내지 도 33에 표시하는 정비장치의 제3실시형태는 강관 클램프(3)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이송기구(11)의 다른 몇몇 예를 표시하고 있다.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하는 제2예의 이송기구(11)는 전후로 긴 수평관(101)을 지지다리(102)에 의해 마루면상에 수평으로 지지하고, 이 수평관(101) 양측면에 기립하는 지지편(103, 104)을 고정하고, 한쪽 지지편(103) 상단에 한쪽 클램프 단체(1)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수평의 레일(105)과 수직의 가이드벽(106)을 설치하고, 다른쪽 지지편(104) 상단에 다른쪽 클램프 단체(2)를 수직 자세로 유지하는 원축상 레일(107)과 다른쪽 클램프 단체(2)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레일(108)을 수평으로 고정하고, 수평관(101)의 길이방향에 따른 바로 위에 승강관(109)이 상하로 가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관(109) 양단부 가까운 위치에 롤러로 그 수평관(109)을 감싸서 지지함으로써 이 수평관(109)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자유로이 되는 가동대(110, 111)가 연결로드(112)로 결합된 상태로 장착되고, 승강관(109)은 가동대(110, 111)에 링크(112, 113)를 통하여 지지되고, 링크(112, 113)의 요동에 의해 상하이동하게 된다.
상기 승강관(109)상에는 레일(105)로 지지된 한쪽 클램프 단체(1) 하면에 있는 제1승강로드(114)와 레일(107) 상면에 형성한 오목홈(115)내에 수납되는 제2승강로드(116)가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고, 승강관(109)과 제1 및 제2승강로드(114, 116)가 일체로 승강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20과 도 22와 같이 승강관(109)이 하강 위치에 있을 때, 제1승강로드(114)는 한쪽 클램프 단체(1)의 하면 보다 조금 하방에 위치하고, 또, 제2승강로드(116)는 오목홈(115)내에 수납되어 다른쪽 클램프 단체(2)와 접촉하지 않게 서로 이동하게 되고, 승강관(109)이 상승위치에 있을 때, 제1과 제2승강로드(114, 116)는 한쪽 클램프 단체(1) 및 다른쪽 클램프 단체(2)를 각각 들어 올리게 된다.
상기 승강관(109)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정 스트로크의 전후이동과 전진시에 상승이동과 후퇴시에 하강이동이 구동기구(117)에 의해 부여된다.
이 구동기구(117)는 지지대(118) 상부에서 수직의 회전축(119)을 지지하고, 회전축(119) 하단을 지지대(118)에 고정한 모터(120)와 연동함과 동시에, 회전축(119) 상단에 고정한 원판상 캠(121) 일부와 한쪽 가동대(110)를 연결로드(125)로 연결하고, 캠(121)의 회전에 의해 크랭크 작용으로 가동대(110, 111)를 일정 스트로크로 왕복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캠(121) 외주에 대경부(121a)와 소경부(121b)가 형성되고, 수평관(101)에 굴곡기부를 피벗팅한 L형 요동로드(122)의 하단 회전자(123)가 캠(121) 외주에 맞닿고, 그 요동로드(122) 상부 선단에 피벗팅한 회전자(124)가 승강관(109) 하단에 맞닿아 있다.
상기 모터(120)를 기동하여 캠(121)을 회전시키면, 승강관(109)과 여기에 부착한 승강로드(114, 116)는 일정 스토로크를 전후이동함과 동시에, 전진이동시는 캠(121)의 대경부(121b)가 요동로드(122)의 회전자(123)를 밀고, 선단회전자(124)가 상승이동함으로써 승강관(109)을 밀어올린다. 또, 후퇴이동시에는 캠(121)의 소경부(121b)가 회전자(123)에 있고, 승강관(109)은 자중으로 하강위치가 된다.
따라서, 레일(105, 107, 108)상에 강관 클램프(3)를 공급하면, 승강로드(114, 116)는 상승하여 강관 클램프(3)를 들어올린 상태로 전진이동하고, 강관 클램프(3)를 일정 스토로크 만큼 전방이송하면, 승강로드(114, 116)는 하강하여 후퇴이동하게 되고, 이 반복으로 강관 클램프(3)를 간헐적으로 전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도 24 내지 도 30에 도시하는 제3예의 이송기구(11)는 상기 도 20 내지 도 23의 제2예와 기동기구(117)가 상이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구동기구(117)는 수평관(101)의 강관 클램프(3)를 공급하는 쪽 단부에 연장하여 설치한 지지대(131)상에 모터(132)로 회전하는 크랭크원판(133)을 설치하고, 이 원판(133)과 한쪽의 가동대(110)를 연결로드(134)로 결합하고, 그 원판(133)의 회전으로 승강관(109)과 여기에 설치한 승강로드(114, 116)를 전후이동시킴과 동시에, 수평관(101) 도중에 상기 모터(132)와 연동한 캠(121)을 피벗팅하고, 캠(121)은 외주부에 대경부(121a)와 소경부(121b)를 가지며, 수평관(101)에 피벗팅한 요동로드(135)의 회전자(136)가 캠(121) 외주에 맞닿아 있다.
요동로드(135)의 상부에 설치한 회전자(137)가 승강로드(109) 하면에 맞닿고, 캠(121)의 회전에 따른 요동로드(135)의 요동으로 승강관(109)은 상하이동이 부여되어, 앞의 예와 동일하게 승강로드(114, 116)로 강관 클램프(3)를 간헐적으로 전방으로 이송하게 되어 있다.
도 31 내지 도 33에 표시하는 제4예의 이송기구(11)는 상기 제2 및 제3예의 이송기구에 있어서,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강관 클램프(3)를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고, 이송되는 강관 클램프 서로가 간섭하지 않게 하였으며, 레일(107)의 길이방향에 따른 바로 위 위치에 배치한 승강로드(141)의 양단부를 L형 요동암(142, 143) 선단으로 지지하고, 그 암(142, 143)은 굴곡기부가 고정부분에 피벗축(144)으로 피벗팅되고, 그 암(142, 143)의 하단에 솔레노이드(145, 146)가 연결되고, 솔레노이드(145, 146)의 작동에 의한 암(142, 143)의 요동으로 승강로드(141)는 피벗축(144)을 지지점으로 상하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승강로드(141)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상하방향의 관통구멍(147)이 설치되고, 이 관통구멍(147)에 머리부가 있는 핀(148)이 상하가동이 되도록 상부에서 압입되어 있다.
관통구멍(147)의 피치는 강관 클램프(3)가 수납되는 간격으로 하고, 머리부가 있는 핀(148)은 자중에 의해 승강로드(14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축부가 소정길이 돌출하고, 도 33의 실선표시와 같이, 승강로드(141)가 하강위치에 있을 때 머리부가 있는 핀(148)의 하부는 레일(107)상에 지지된 다른쪽 클램프 단체(2) 사이에 수납되고, 동도 일점쇄선과 같이, 승강로드(141)가 상승위치에 있을 때, 머리부가 있는 핀(148)의 하단은 다른쪽 클램프 단체(2) 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승강로드(141)가 상승위치에서 하강위치로 이동할 때 머리부가 있는 핀(148)의 하단이 다른쪽 클램프 단체(2)상에 간섭할 경우, 관통구멍(147)에 대한 머리부가 있는 핀(148)의 가동에 의해 머리부가 있는 핀(148)을 남기고 승강로드(141)만 하강한다.
상기 승강로드(141)는 승강로드(114, 116)에 의한 강관 클램프(3)의 간헐 이송시에 있어서, 하강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머리부가 있는 핀(148)이 강관 클램프(3)의 전진이동을 저지하고, 그 클램프(3)를 머리부가 있는 핀(148)의 배치 간격으로 유지하여 전후 클램프 사이에 틈새를 확보한다.
이때, 상승 위치에서 전진이동하는 승강로드(141, 116)는 정지한 강관 클램프(3)에 대하여 미끄럼함과 동시에, 강관 클램프(3)를 전방으로 보낼 경우, 승강로드(141)가 상승위치로 물러나고, 머리부가 있는 핀(148)에 의한 강관 클램프(3)의 전진이동 저지를 풀면 된다.
이와 같이, 머리부가 있는 핀(148)을 갖는 승강로드(141)를 강관 클램프(3)의 이송의 타이밍에 맞추어 승강 이동시키면 전후의 강관 클램프(3)의 충돌 발생을 없애고, 강관 클램프(3)의 이송시에 있어서 전후 클램프의 간섭으로 클램프 상호간에 밀어올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강관 클램프(3)의 이송이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도 31과 도 32는 이송기구(11)의 강관 클램프의 배출측 위치에 솔레노이드(149)에 의해 레일(107) 바로 위에 상하로 요동하는 규제암(150)을 설치하고, 이송기구(11)의 후방으로의 강관 클램프(3) 공급을 간헐적으로 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34 내지 도 36은 정비기구(12)에 설치한 수평의 너트드라이버기구(61)가 다른 예를 표시한다.
이 너트드라이버기구(61)는 베이스대(41)상에 설치한 대향벽(161, 162) 사이의 한쪽 측부에, 대향벽(161, 162)들 사이에 가설한 수평의 가이드(163)에 따라 이동자유로이 되는 기립가동판(164)을 설치하고, 이 가동판(164)을 실린더(165)로 진퇴이동시킴과 동시에 가동판(164)에, 한쌍의 축받이(166, 167)로 축방향으로 가동할 수 있게 지지된 수평의 회전축(168)과 이 회전축(168)을 구동하는 모터(169)가 부착되고, 종금속코어(55)에 바깥 끼움하는 한쪽 클램프 단체(1)의 볼트(6)에 대하여 회전축(168)이 동축심상 배치로 진퇴이동하게 된다.
회전축(168)에 대하여 모터(169)와 연동하는 풀리(170)는 스플라인(171)으로 결합되고, 그 풀리(170)는 한쪽 축받이(166)의 유지에 의해 정위치에서 회전하고, 회전축(168)에 축방향의 이동을 허용한 상태로 회전을 전달함과 동시에, 회전축(168)의 다른쪽 축받이(167) 가까이에 고정한 스프링받이(172)와 한쪽의 축받이(166) 사이에 스프링(173)이 수축설치되고, 회전축(168)에 항상 전방을 향한 이동탄성을 가하고 있다.
상기 회전축(168)은 한쪽의 축받이(166)에서 돌출하는 후단측 가까운 위치에, 풀리(170)에 맞닿음으로써 회전축(168)의 선단측으로의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174)가 고정되고, 이 회전축(168)의 다른쪽 축받이(167)에서 돌출하는 선단에 너트드라이버(67)가 동축심상의 배치로 고정되어 있다.
이 너트드라이버기구(61)는 모터(169)의 기동에 의해 너트드라이버(67)가 회전함과 동시에, 실린더(165)에 의해 그 드라이버(67)가 전진이동하고, 한쪽 클램프 단체(1)의 너트(8)에 바깥 끼움 결합하고, 모터(169)의 정전, 역전의 전환에 의해 너트(8)를 볼트(6)에 대하여 일정 스트로크 이동시킴으로써 나사정비를 행한 후, 후퇴위치에 돌아간다.
상기 나사정비시에 있어서, 전진한 너트드라이버(67)가 너트(8)에 바깥 끼움 한 시점에서 전진 이동이 정지하고, 풀리(170)와 양 축받이(166, 167)의 전진이동으로 스프링(173)이 압축되고, 이 상태로 너트(8) 이동에 너트드라이버(67)가 전후로 추종하게 되어, 볼트(6) 및 너트(8)의 나사산을 손상시키는 일은 없다.
또한, 수직의 너트드라이버기구(62)에도 상기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별개의 실시형태를 도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도 37 내지 도 40은 강관 클램프(201)를 반송체(221)로부터 정비기구(222)상으로 이송하는 공급기구(220)의 실시의 형태를 도시하고, 강관 클램프(201)를 소정의 자세로 이송하는 반송체(221)와 강관 클램프(201)의 정비기구(222) 사이의 상부에 수평의 가이드(223)를 배치하고, 이 가이드(223)에 장착한 이동부재(224)의 하부에 강관 클램프(201)의 척기구(225)와 마그넷척(226)이 승강이동 자유로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평의 가이드(223)는 정비기구(222)상에 세워설치 고정한 지지부재(227)에 장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224)의 구동은 실린더 등을 사용하여 척기구(225)가 반송체(221)의 바로 위와 정비기구(222)의 정비위치의 바로 위 사이를 왕복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척기구(225)와 마그넷척(226)의 승강이동은 이동부재(224)를 상하로 관통하는 승강축(228)의 하단에 고정한 수평 플레이트(229)의 하면에, 척기구(225)와 마그넷척(226)을 장치하고, 이동부재(224)에 설치한 실린더(230)가 승강축(228)을 통하여 척기구(225)와 마그넷척(226)을 상하로 일정 스트로크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척기구(225)는 승강축(228)의 하단에 설치한 수평판(229)의 하면에 양축 실린더(231)를 장치하고, 상기 양축 실린더(231)의 양끝에서 돌출하는 양측 로드(232)의 단부에 플레이트(233)를 고정하고, 이 플레이트(233)의 각각에 그 플레이트(233)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한쌍의 끼움 클릭(234)을 대향상태로 설치하고, 양축 실린더(231)의 신축운동에 의하여 대향하는 끼움 클릭(234)이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더구나, 양 끼움 클릭(234)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스폰지나 고무등의 쿠션부재가 고정되어 있다.
이 척기구(225)는 반송체(221)상의 정위치에 정지하는 강관 클램프(201)의 바로 위에 임하는 위치에서 하강이동하고, 하강 위치에서 열린 한쌍의 끼움 클릭(234)이 수직 자세에 있는 한쪽의 클램프 단체(202)의 본체(204)에 밖에서 끼워 닫고, 그 본체(204)를 양측에서 끼워지게 하고, 그후 상승과 가이드(223)에 따른 수평이동에 의하여 강관 클램프(201)를 정비기구(222)에 있어서 정비위치의 바로 위로 운반하고, 이 위치에서 다시 하강 이동하여 끼움 클릭(234)이 열리고, 강관 클램프(201)를 정비위치에 남기고 상승위치로 되돌아가는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된다. 더구나, 반송체상의 정위치에 정지하는 강관 클램프(201)의 다른쪽 클램프 단체(203)는 본체가 수평상태로 되고, 그의 볼트(208)도 수평으로 후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마그넷척(226)은 수평 플레이트(229)의 단부에 경사상태에서 상하로 일정 스트로크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치되어, 척기구(225)가 끼움 클릭(234)으로 한쪽 클램프 단체(202)의 본체(204)를 끼워 지지하였을 때, 이 한쪽 클램프 단체(202)의 개폐날개(206)를 상부에서 흡착하고, 그 개폐날개(206)를 열린위치로 유지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반송체(221)의 정위치로 운반된 강관 클램프(201)는 척기구(225)의 작동에 의하여, 일정한 자세 그대로 정비기구(222)의 정비위치로 간헐적으로 순차 공급되는 것으로 된다.
상기 척기구(225)가 반송체(221)상과 정비기구(222)에 있어서 정비위치상의 사이를 이동하는 경로의 도중에 척기구(225)로 끼워 반송하는 강관 클램프(201)가 직교 클램프(201a)와 자유자재 클램프(201b)중 어느 것인가를 판별하기 위한 종류판별장치(236)가 설치되어 있다.
도 37 내지 도 39는 종류판별장치(236)의 제1의 별개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척기구(225)가 반송체(221)상에서 상하이동하는 부분의 측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종류판별장치(236)는 고정부분에 세워설치한 수직기둥(237)의 상부 전면에 지지부(238)를 설치하고, 그 지지부(238)에 검출바(239)를 수직상태에서 상하이동가능하도록 현수상태로 장치하고, 검출바(239)의 하단에 받이판(240)을 고정함과 동시에, 검출바(239)의 바로 위에, 상승한 검출바(239)로 눌러지면 작동하는 검출센서(241)를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검출바(239)의 받이판(240)은 반송체(221)로부터 척기구(225)로 들어올러지는 강관 클램프(201)에 대하여, 수평상태로 되는 다른쪽 클램프 단체(203)의 볼트(208)가 상하 이동하는 부분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강관 클램프(201)가 상승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그 볼트(208)로 받이판(240)과 검출바(239)가 소정 스트로크 밀어올려지는 것과 같은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강관 클램프(20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직교 클램프(201a)와 자유자재 클램프(201b)의 2종류가 있고, 직교 클램프(201a)는 한쌍의 클램프 단체(202, 203)가 고정화되어 있고, 척기구(225)에서 한쪽 클램프 단체(202)가 끼워지지되면, 다른쪽 클램프 단체(203)는 회전할 수 없으므로 수평상태가 유지되어, 그 볼트(208)도 수평상태에서 상하이동하고, 따라서, 강관 클램프(201)가 상승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볼트(208)로 검출바(239)를 소정 스트로크 밀어올려, 이 검출바(239)의 상승으로 검출센서(241)가 눌리고, 그 검출센서(241)는 척기구(225)로 들어올려진 강관 클램프(201)가 직교 클램프(201a)인 것을 검출한다.
또, 척기구(225)로 들어올려지는 강관 클램프(201)가 자유자재 클램프(201b)의 경우, 한쌍의 클램프 단체(202, 203)는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으므로, 척기구(225)로 한쪽 클램프 단체(202)가 끼워지지되면, 다른쪽 클램프 단체(203)는 수평상태에서 한쪽 클램프 단체(20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관계에 있고, 따라서, 강관 클램프(201)가 상승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볼트(208)가 받이판(240)에 맞닿음하면, 볼트(208)와 다른쪽 클램프 단체(203)는 받이판(240)을 밀어올리는 일없이 자신이 회전하고, 강관 클램프(201)가 상승위치에 도달하더라도 검출센서(241)가 눌러지지 않는 것으로 되어, 그 검출센서(241)는 척기구(225)로 들어올려진 강관 클램프(201)가 자유자재 클램프(201b)인 것을 검출한다.
상기한 자유자재 클램프(201b)의 상승시에 그 볼트(208)가 받이판(240)을 밀어올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검출바(239)와 받이판(240)의 합계 중량을 무겁게하여, 그 중량으로 다른쪽 클램프 단체(203)에 회전이 생기도록 하든가, 검출바(239)에 스프링 등으로 하강탄성을 가압하도록 하여 두면 좋다.
더욱이 척기구(225)에는 자유자재 클램프(201b)를 끼워지지하였을 때, 다른쪽 클램프 단체(203)가 볼트(208)의 하강측으로, 필요 이상으로 회전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한쪽 끼움 클릭(234)의 상단에 회전고정용의 스토퍼(242)가 고정되어 있다. 그 이유는 자유자재 클램프(201b)의 경우, 한쌍의 클램프 단체(202, 203)의 피벗부착부분에서의 저항이 적고, 가볍게 회전하는 것이 있고, 이와 같은 것이면, 척기구(225)로 들어올렸을 때 수평자세의 다른쪽 클램프 단체(203)는 볼트(208)의 돌출측이 무겁게 되기 때문에 볼트(208)가 늘어지는 자세로 회전해버려, 정비기구(222)에의 공급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0 내지 도 43은 종류판별장치(236)의 제2의 별개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척기구(225)에 구성의 일부를 장착함과 동시에, 척기구(225)가 반송체(221)상에서 정비기구(222)상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홈붙이 캠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더구나, 앞의 제1의 별개의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에 대신한다.
척기구(225)는 수평 플레이트(229)의 하면에 한쪽의 클램프 단체(202)를 흡착하는 경사상의 마그넷척(244)과 다른쪽의 클램프 단체(203)를 흡착하는 고정상의 마그넷척(245)을 장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상의 마그넷척(245)은 수평 플레이트(229)의 하면에 설치한 축(246)의 하단에 고정되어, 수평자세로 되는 다른쪽의 클램프 단체(203)의 상면을 흡착한다.
수평 플레이트(229)의 하면에 설치한 전후방향의 브래킷(247)에 호상의 긴구멍(248)이 설치되고, 이 브래킷(247)에 단면 상향 ㄷ자 상의 가동부재(249)를 하부에서 밖에서 끼우고, 가동부재(249)에 긴구멍(248)을 관통하는 2개의 롤러(250)를 설치하고, 긴구멍(248)의 원호에 따라 가동부재(249)를 이동 자유롭게 하고 그 가동부재(249)에 한쪽 클램프 단체(202)를 가동날개(206)의 부분에서 흡착하는 마그넷척(244)이 경사상으로 상하로 가동이 되도록 장치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247)에 설치한 호상의 긴구멍(248)은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마그넷척(244, 245)으로 자유자재 클램프(201b)를 흡착한 상태에서 그 자유자재 클램프(201b)의 피벗부착축심 0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도 43a와 같이, 긴구멍(248)의 우측단부에 한쪽의 롤러(250)가 맞닿음하는 상태로, 도 40와 같이, 마그넷척(244)은 한쪽의 클램프 단체(202)를 다른쪽의 클램프 단체(203)에 대하여 직각의 자세로 유지하고, 긴구멍(248)의 좌측단부와 다른쪽의 롤러(250) 사이에 가동부재(249)와 이에 장치한 마그넷척(244)의 요동대(248a)가 남겨져 있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229)에 축(251)에서 상단을 피벗팅한 요동레버(252)의 하단 두갈래부가 가동부재(249)의 단부에 설치한 핀(253)과 걸어맞춤하고, 요동레버(252)의 요동으로 가동부재(249)가 긴구멍(248)에 따르는 이동이 생기도록 되어 있음과 동시에, 수평 플레이트(229)의 축(251)에 기단을 피벗팅한 레버(254)가 수평 플레이트(229)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하고, 그 레버(254)의 선단에 설치한 캠롤러(255)가 홈 붙이 캠(243)내에 끼워맞춤하고, 이 레버(254)의 요동이, 요동레버(252)와 레버(254)를 일정한 각도로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256)을 통하여 요동레버(252)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홈 붙이 캠(243)은 가이드(223)에 따르는 이동부재(224)의 이동방향에 평행하여 배치되고, 그 도중에 캠롤러(255)를 눌러내리는 돌기부(243a)가 설치되어, 이동부재(224)와 함께 척기구(225)가 이동할 때, 캠롤러(255)가 돌기부(243a)를 통과하면, 레버(254)는 하방으로 회전이동하고, 이 회전운동력이 스프링(256)을 통하여 요동레버(252)에 전달하는 것으로 된다.
척기구(225)가 직교 클램프(201a)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한쪽의 클램프 단체(202)를 흡착하고 있는 마그넷척(244)과 이것을 장치한 가동부재(249) 및 요동레버(252)는 고정화되는 것으로 되어 도 43c와 같이 상기 레버(254)의 하방으로의 회전운동은 스프링(256)에서 흡수되어, 요동레버(252)에 전달되지 않는 것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척기구(225)가 자유자재 클램프(201b)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한쪽 클램프 단체(202)를 흡착하고 있는 마그넷척(244)과 이것을 장치한 가동부재(249) 및 요동레버(252)는 한쪽의 클램프 단체(202)와 함께 자유자재 클램프(201b)의 피벗부착축심 0을 중심으로 회전운동 자유자재로 되고, 상기 레버(254)의 하방으로의 회전운동은 스프링(256)을 통하여 요동레버(252)에 전달되고, 가동부재(249)와 마그넷척(244) 및 한쪽의 클램프 단체(202)를 요동대(248a)의 범위에서 도 43a 좌측으로 향하여 회전운동시켜, 도 43b의 상태로 된다.
따라서, 척기구(225)의 반송체(221)로부터 정비기구(222)로 향한 이동시에 있어서, 브래킷(247)에 장치한 검출센서(241)가 가동부재(249)의 도 43a 좌측을 향한 이동으로 눌러지면, 도 42와 같이, 척기구(225)로 유지한 강관 클램프(201)가 자유자재 클램프(201b)라고 판단하고, 또 가동부재(249)의 도 43a 좌측을 향한 이동이 생기지 않을 때는 도 41와 같이, 직교 클램프(201a)로 판단한다.
도 44와 도 45는 종류판별장치(236)의 제3의 별개의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앞의 제2의 별개의 실시형태의 일부를 변경한 것이고, 제2의 별개의 실시형태와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에 대신한다.
이 제3의 별개의 실시형태는 가동부재(249)의 후단부에 요동레버(257)의 도중을 축(258)으로 피벗부착하고, 요동레버(257)의 상단에 설치한 캠롤러(259)가 끼워맞춤하는 홈 붙이 캠(260)은 하면에서 개구하는 하향으로 함과 동시에, 요동레버(257)의 하단과 가동부재(249)의 선단하부와의 사이에 스프링(261)을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척기구(225)로 유지한 강관 클램프(201)가 직교 클램프(201a)인 경우, 도 45b에서 도시하는 홈 붙이 캠(260)의 전방에의 돌기부(260a)로 요동레버(257)에 요동이 생기더라도 스프링(261)의 신장으로 가동부재(249)는 이동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척기구(225)로 유지한 강관 클램프(201)가 자유자재 클램프(201b)인 경우, 홈 붙이 캠(260)의 돌기부(260a)로 요동레버(257)에 요동이 생기면, 축(258)을 지점으로 하는 스프링(261)의 인장력으로, 가동부재(249)가 긴구멍(248)을 따라 이동하고, 검출센서(241)가 자유자재 클램프(201b)인 것을 검출한다.
더욱, 제2의 별개의 실시형태와 제3의 별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척기구(225)는 마그넷척을 사용하였지만, 제1의 별개의 실시형태로 도시한 것과 같은 양측에서 끼우도록한 구조의 것을 채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강관 클램프의 종류판별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이고, 도 46 내지 도 51에 이 종류판별장치를 조립 사용하는 강관 클램프의 정비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종류판별장치는 정비장치에 있어서, 직교 클램프(201a)와 자유자재 클램프(201b)가 혼재하여 이송되는 도중의 강관 클램프(201)가 직교 클램프 인가 자유자재 클램프 인가를 검출하고, 강관 클램프(201)의 볼트(208)에 대한 나사정비나 두갈래부의 교정후에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로 분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정비장치는 수취측에 1개씩 공급된 강관 클램프(201)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벨트식이나 워킹빔식의 반송체(221)와 반송체(221)의 꺼내는 측의 단부에 소정의 자세로 이송되어온 강관 클램프(201)를 이송하는 공급기구(220)와 공급기구(220)에서 공급된 강관 클램프(201)를 정비하는 정비기구(222)로 구성되어 있다.
정비기구(222)는 도 47 내지 도 5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271)상에, 한쪽 클램프 단체(202)를 밖에서 끼우는 수평의 금속코어(272)와 다른쪽 클램프 단체(203)를 밖에서 끼우는 수직의 금속코어(273), 한쪽 클램프 단체(202)를 누름하여 금속코어(272)에 고정하는 척(274)과 다른쪽 클램프 단체(203)를 누름하여 금속코어(273)에 고정하는 척(275), 금속코어(273)에 고정된 다른쪽 클램프 단체(203)의 볼트(208)에 대하여 진퇴 이동하는 너트 드라이버(276)와 다른쪽 클램프 단체(203)의 개폐날개의 노치에 대하여 진퇴이동하는 쐐기 금구(277), 정비후의 강관 클램프(201)를 전방으로 밀어서 베이스(271)상 전방의 배출슈트(278)에 배출하는 압출부재(279)와 볼트(208)에 대한 오일도포수단(280)을 설치하고, 더욱이 베이스(271)의 하부에 금속코어(272)에 고정된 한쪽 클램프 단체(202)의 볼트(208)에 대하여 진퇴이동하는 너트 드라이버(281)와 한쪽 클램프 단체(202)의 개폐날개의 노치에 대하여 진퇴이동하는 쐐기 금구(282)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정비기구(222)는 공급기구(220)에서 공급된 강관 클램프(201)의 양 클램프 단체(202, 203)를 금속코어(272, 273)와 척(274, 275)으로 직교상의 자세로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너트 드라이버(276, 281)에 의한 양 클램프 단체(202, 203)의 볼트(208)의 나사정비와 쐐기금구(277, 282)에 의한 개폐날개(206)의 선단 두갈래부의 교정을 행하고, 정비후에 유지를 해제하여 강관 클램프(201)를 금속코어(272, 273)에서 배출하고, 이것을 수납용기(271)내에 회수하도록 되어 있고, 종류판별장치(236)는 상기 공급기구(220)의 클램프 이송도중에 배치되어, 정비기구(222)에 공급하는 강관 클램프(201)가 직교 클램프(201a)인가 자유자재 클램프(201b)인가를 검출하고,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정비기구(222)에 있어서 배출슈트(278)에 설치한 분배 게이트(283)를 전환 작동시켜, 정비후에 배출되는 강관 클램프(201)를 이 게이트(283)에서 직교 클램프(201a)와 자유자재 클램프(201b)로 각각 별도의 용기(284)에 수납하도록 좌우로 분별하는 것이다. 더구나, 정비후의 강관 클램프(201)의 분별은 분배 게이트(283) 이외에 실린더에 의한 압출 등 다른 기구나 수단을 채용하여도 좋다.
종류판별장치(236)는 척기구(225)로 유지된 강관 클램프(201)의 한쪽 클램프 단체(202)가 회전하는가 여부를 검출센서로 검출함으로서, 그 강관 클램프(201)가 직교 클램프(201a)인가 자유자재 클램프(201b) 인가를 판별하고, 이 검출신호로 정비기구(222)에 있어서 배출슈트(278)의 분배 게이트(283)를 작동시키는 것이고, 직교 클램프(201a)와 자유자재 클램프(201b)가 혼재한 상태에서 반송체(221)에 공급하더라도, 정비후에 직교 클램프(201a)와 자유자재 클램프(201b)의 분별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가 있어 분별작업을 별도로 행할 필요가 없어지고 작업능률의 향상과 생력화가 도모된다.
또, 종류판별장치(236)는 상기 공급기구(220)의 클램프 이송도중 뿐만아니라, 강관 클램프(201)가 정비후에 배출될 때까지의 사이이면, 설치위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류판별장치(236)로서, 예를들면 정비기구(222)에 있어서 금속코어(272, 273)의 적어도 한쪽을 요동가능으로 하고, 이 금속코어를 요동시켰을 때의 요동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서, 강관 클램프(201)가 직교 클램프(201a) 인가 자유자재 클램프(201b) 인가를 판별하는 것과 같은 구조를 채용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기구에 대하여 강관 클램프를 일정 자세로 공급하는 것만으로 강관 클램프의 볼트에 대한 나사정비와 개폐날개의 두갈래부 교정이 자동적으로 행해지게 되고, 강관 클램프에 대한 정비의 대폭적 생력화와 능률 향상에 의해 정비 코스트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강관 클램프의 정비행정 중에 있어서,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의 종류를 판별할 수가 있고, 이로서 정비후의 분별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의 분별작업을 별도로 행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되고, 작업능률의 향상과 생력화가 도모된다.
또,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의 종류의 판별이 강관 클램프의 이송행정 중에 행해지므로, 강관 클램프의 정비행정을 지연시키는 일없이 분별이 행해진다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정비장치 평면도,
도 2는 동상의 종단 정면도,
도 3은 동상의 측면도,
도 4는 동상의 사시도,
도 5는 이송기구 평면도,
도 6은 동상의 종단 정면도,
도 7은 동상의 주요부 사시도,
도 8은 도 6의 화살표 Ⅷ-Ⅷ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6의 화살표 Ⅸ-Ⅸ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화살표 Ⅹ-Ⅹ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11은 정비기구 평면도,
도 12는 동상의 종단 정면도,
도 13은 동상의 측면도,
도 14는 이송기구와 공급기구 및 정비기구의 관계표시 종단면도,
도 15는 정비기구의 주요부 표시 확대 평면도,
도 16a는 너트드라이버 확대 단면도, 도 16b는 도 16a의 화살표 XⅥ-XⅥ의 횡단면도,
도 17은 정비장치의 제2실시형태 표시 평면도,
도 18은 동상의 정면도,
도 19는 동상의 종단 측면도,
도 20은 이송기구의 제2의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1는 동상주요부를 확대한 일부 절결 정면도,
도 22는 동상 주요부를 확대한 종단측면도,
도 23a는 승강로드를 상승시킨 캠 위치표시 횡단 평면도, 도 23b는 승강로드를 하강시킨 캠 위상표시 횡단면도,
도 24는 이송기구의 제3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5는 동상의 정면도,
도 26a는 이송기구 주요부 표시 평면도, 도 26b는 동상 정면도,
도 27은 동상의 주요부 사시도,
도 28은 승강로드를 상하이동시키는 부분의 사시도,
도 29는 승강로드의 하강상태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정면도,
도 30은 승강로드의 상승상태 표시 정면도,
도 31은 이송기구의 제4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2는 동상의 주요부 사시도,
도 33은 동상의 주요부 확대 종단 측면도,
도 34는 정비기구에 있어서의 너트드라이버 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5는 동상의 사시도,
도 36은 동상의 주요부를 절결한 확대 정면도,
도 37a는 종류판별장치의 제1의 실시의 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7b는 동종단측면도,
도 38a는 종류판별장치의 자유자재 클램프의 검출상태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도 38b는 동상의 평면도,
도 39는 종류판별장치의 직교 클램프의 검출상태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도 40는 종류판별장치의 제2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1은 동상에 있어서, 직교 클램프의 검출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42는 동상에 있어서, 자유자재 클램프의 검출상태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도 43a 내지 도 43c의 각각은 종류판별장치의 요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4는 종류판별장치의 제3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요부의 직교 클램프의 검출상태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도 45a는 동상의 요부로 자유자재 클램프의 검출상태를 도시하는 종단측면도, 도 45b는 홈 붙이 캠의 횡단면도,
도 46는 정비장치의 평면도,
도 47는 정비기구의 평면도,
도 48는 공급기구와 정비기구의 종단 정면도,
도 49는 정비기구의 종단 정면도,
도 50는 정비기구의 횡단 평면도,
도 51는 공급기구와 정비기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클램프 단체(單體) 3: 강관 클램프 6: 볼트
8: 너트 11: 이송기구 12: 정비기구
13: 공급기구 14: 이송로 17: 레일
20: 벨트 24: 제1스토퍼기구 25: 제2스토퍼기구
26: 제3의 정지부 53, 54: 마그네트척 55: 종 금속코어
56: 횡 금속코어 61, 62: 너트드라이버기구 220: 공급기구
221: 반송체 222: 정비기구 224: 이동부재
225: 척기구 236: 판별장치 241: 검출센서
243: 홈 붙이 캠 244: 마그넷 척 245: 마그넷 척

Claims (17)

  1.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등맞춤으로 한 강관 클램프의 양 클램프 단체에 설치한 볼트의 나사정비를 행하는 정비장치로서, 한쪽 클램프 단체를 끼워 삽입하는 금속코어 및 다른쪽 클램프 단체를 끼워 삽입하는 금속코어와, 양 금속코어에 끼워 삽입 한 강관 클램프를 고정하는 척과, 양 클램프 단체의 볼트에 대하여 각각 진퇴 이동하고 그 너트를 강제회전시키는 제1 및 제2너트드라이버와, 양 클램프 단체의 볼트에 대하여 오일을 도포하는 오일도포 수단과, 양 클램프 단체의 개폐날개에 있어서의 노치를 정형하는 노치교정 금형과, 척의 개방후에 금속코어에서 강관 클램프를 배출하는 배출기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클램프의 정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한쪽 클램프 단체를 끼워 삽입하는 금속코어가 수직으로, 다른쪽 클램프 단체를 끼워 삽입하는 금속코어가 수평으로 배치되고, 한쪽 클램프 단체에 대한 제1너트드라이버가 볼트에 대하여 진퇴이동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고, 다른쪽 클램프 단체에 대한 제2너트드라이버가 볼트에 대하여 수평상태로 진퇴이동하도록 설치되고, 배출기구가 양 금속코어에 끼워 삽입한 강관 클램프를 수평으로 밀어내는 돌출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클램프의 정비장치.
  3.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등맞춤으로 한 강관 클램프의 양 클램프 단체에 설치한 볼트의 나사정비를 행하는 정비장치로서, 공급측에서 투입된 강관 클램프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기구와, 강관 클램프를 정위치에서 일정 자세로 유지하고 양 클램프 단체의 볼트에 대하여 나사정비를 행한 후 강관 클램프를 배출하는 정비기구와, 상기 이송기구의 취출측에 정지하는 강관 클램프를 유지하여 꺼내어 이것을 정비기구에 공급하는 공급기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클램프의 정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정비기구가 한쪽 클램프 단체를 끼워삽입하는 금속코어 및 다른쪽 클램프 단체를 끼워 삽입하는 금속코어와, 양 금속코어에 끼워 삽입한 강관 클램프를 고정하는 척과, 양 클램프 단체의 볼트에 대하여 각각 진퇴이동하고 그 너트를 강제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너트드라이버와, 양 클램프 단체의 볼트에 대하여 오일을 도포하는 오일도포수단과, 양 클램프 단체의 개폐날개에 있어서의 노치를 정형하는 노치교정금형과, 척 개방후에, 금속코어에서 강관 클램프를 꺼내는 배출기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클램프의 정비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강관 클램프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기구가 정비기구에 대하여 양측에 두 개가 배치되고, 공급기구는 양측 이송기구 취출측에 정지하는 강관 클램프를 유지하여 정비기구의 정위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정비기구에 대하여 양측에서 선택적으로 강관 클램프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클램프의 정비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강관 클램프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기구가 한쪽 클램프 단체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레일과, 다른쪽 클램프 단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레일과, 양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도록 배치되고 양 레일로 지지된 강관 클램프를 양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엔드레스의 벨트로 형성되고 양 레일의 취출측에 강관 클램프를 정지시키는 스토퍼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클램프의 정비장치.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강관 클램프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기구가 한쪽 클램프 단체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레일과, 다른쪽 클램프 단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레일과, 양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일정 스트로크의 전후이동과 상하이동을 행하는 승강로드로 형성되고, 그 승강로드의 작동으로 강관 클램프를 간헐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클램프의 정비장치.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강관 클램프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기구가 한쪽 클램프 단체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레일과, 다른쪽 클램프 단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레일과, 양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일정 스트로크의 전후이동과 상하이동을 행하는 승강로드와, 양레일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르고 또한 레일로 지지된 강관 클램프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도록 상하 가동으로 배치되고 강관 클램프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간격 유지핀으로 형성되고, 승강로드의 작동으로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강관 클램프 사이에 간격 유지핀으로 간격을 유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클램프의 정비장치.
  9. 강관 클램프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고정화 한 직교 클램프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자유자재 클램프의 2종류로 이루어지고, 이 강관 클램프를 유지하여 클램프 단체에 회전부여수단으로 회전력을 부여하여, 클램프 단체의 회전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서 강관 클램프가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중 어느 것인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클램프의 종류판별방법.
  10. 강관 클램프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고정화 한 직교 클램프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자유자재 클램프의 2종류로 이루어지고, 이 강관 클램프의 볼트에 대한 나사정비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정비공정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강관 클램프를 유지하여 클램프 단체에 회전부여수단으로 회전력을 부여하여, 클램프 단체의 회전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서 강관 클램프가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중 어느 것인가를 판별하고, 이 판별결과에 의거하여 정비후에 배출되는 강관 클램프를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로 분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클램프의 종류판별방법.
  11. 강관 클램프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고정화한 직교 클램프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자유자재 클램프의 2종류로 이루어지고, 이 강관 클램프를 유지하여 직교 클램프 인가 자유자재 클램프 인가의 판별을 행하기 위한 판별장치이고, 한쪽 클램프 단체를 유지함으로서 강관 클램프를 들어올리는 척을 승강이동 자유로이 설치하고, 이 척으로 상승이동하는 강관 클램프의 다른 쪽의 클램프 단체의 상승이동하는 부분에 상승한 다른쪽의 클램프 단체에서의 밀어올림의 유무에 의하여 강관 클램프가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중 어느 것인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설치한 강관 클램프의 종류판별장치.
  12. 강관 클램프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고정화한 직교 클램프와 한쌍의 클램프 단체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자유자재 클램프의 2종류로 이루어지고, 이 강관 클램프를 유지하여 직교 클램프인지 자유자재 클램프인지의 판별을 행하기 위한 판별장치이고, 한쪽 클램프 단체를 유지하는 고정척과 다른 쪽의 클램프 단체를 유지하고, 자유자재 클램프의 피벗부착 축심상에 위치하는 중심을 지점으로 요동가능하게 되는 요동척과 요동척에 클램프 단체 유지력 보다도 약한 힘의 요동력을 부여하는 요동부여 수단과를 갖고, 이 요동부여수단으로 요동척에 요동력을 부여하였을 때의 그 척의 요동의 유무를 검지함으로서, 강관 클램프가 직교 클램프와 자유자재 클램프중 어느 것인가를 판별하도록한 강관 클램프의 종류판별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강관 클램프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기구가 한쪽 클램프 단체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레일과, 다른쪽 클램프 단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레일과, 양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도록 배치되고 양 레일로 지지된 강관 클램프를 양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엔드레스의 벨트로 형성되고 양 레일의 취출측에 강관 클램프를 정지시키는 스토퍼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클램프의 정비장치.
  14. 제 5 항에 있어서, 강관 클램프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기구가 한쪽 클램프 단체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레일과, 다른쪽 클램프 단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레일과, 양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일정 스트로크의 전후이동과 상하이동을 행하는 승강로드로 형성되고, 그 승강로드의 작동으로 강관 클램프를 간헐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클램프의 정비장치.
  15. 제 5 항에 있어서, 강관 클램프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기구가 한쪽 클램프 단체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레일과, 다른쪽 클램프 단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레일과, 양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일정 스트로크의 전후이동과 상하이동을 행하는 승강로드와, 양레일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르고 또한 레일로 지지된 강관 클램프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도록 상하 가동으로 배치되고 강관 클램프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간격 유지핀으로 형성되고, 승강로드의 작동으로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강관 클램프 사이에 간격 유지핀으로 간격을 유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클램프의 정비장치.
  16. 제 6 항에 있어서, 강관 클램프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기구가 한쪽 클램프 단체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레일과, 다른쪽 클램프 단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레일과, 양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일정 스트로크의 전후이동과 상하이동을 행하는 승강로드와, 양레일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르고 또한 레일로 지지된 강관 클램프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도록 상하 가동으로 배치되고 강관 클램프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간격 유지핀으로 형성되고, 승강로드의 작동으로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강관 클램프 사이에 간격 유지핀으로 간격을 유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클램프의 정비장치.
  17. 제 7 항에 있어서, 강관 클램프를 지지하여 이송하는 이송기구가 한쪽 클램프 단체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레일과, 다른쪽 클램프 단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레일과, 양 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일정 스트로크의 전후이동과 상하이동을 행하는 승강로드와, 양레일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르고 또한 레일로 지지된 강관 클램프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도록 상하 가동으로 배치되고 강관 클램프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간격 유지핀으로 형성되고, 승강로드의 작동으로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강관 클램프 사이에 간격 유지핀으로 간격을 유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클램프의 정비장치.
KR1019970059444A 1997-06-24 1997-11-12 강관클램프의정비장치및강관클램프의종류판별방법및장치 KR100500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67570 1997-06-24
JP16757097A JP3866379B2 (ja) 1996-06-24 1997-06-24 鋼管クランプの整備装置
JP25659397A JP3909128B2 (ja) 1997-09-22 1997-09-22 鋼管クランプの種類判別方法と装置
JP97-256593 1997-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274A KR19990006274A (ko) 1999-01-25
KR100500790B1 true KR100500790B1 (ko) 2005-11-08

Family

ID=6608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444A KR100500790B1 (ko) 1997-06-24 1997-11-12 강관클램프의정비장치및강관클램프의종류판별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3803B (zh) * 2018-12-04 2024-01-30 北京凯盛建材工程有限公司 用于复合墙板生产线的自动化敷管设备及复合墙板生产线
CN110608164A (zh) * 2019-10-28 2019-12-24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燃油泵正负压测试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1458A (ja) * 1992-05-25 1993-12-07 Yokota Kogyo Kk 足場用クランプの修復装置
JPH05321457A (ja) * 1992-05-25 1993-12-07 Yokota Kogyo Kk 足場用クランプの修復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978828A (ja) * 1995-09-12 1997-03-25 Echo Denki Kk 2連クランプのネジさらい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1458A (ja) * 1992-05-25 1993-12-07 Yokota Kogyo Kk 足場用クランプの修復装置
JPH05321457A (ja) * 1992-05-25 1993-12-07 Yokota Kogyo Kk 足場用クランプの修復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978828A (ja) * 1995-09-12 1997-03-25 Echo Denki Kk 2連クランプのネジさら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274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26544B2 (ja) ベアリングの組立装置、その組立治具およびその組立ロボット
CN111069899A (zh) 三凸摆轮座的偏心凸轮与挡圈自动装配设备及其装配工艺
CN111822993A (zh) 一种全自动铰链组装生产线
CN112025288A (zh) 一种全自动铰链组装生产线
KR100500790B1 (ko) 강관클램프의정비장치및강관클램프의종류판별방법및장치
CN112958379A (zh) 涂胶装置
CN211414286U (zh) 三凸摆轮座的偏心凸轮与挡圈自动装配设备
CN213351481U (zh) 一种全自动铰链组装生产线
CN112276523B (zh) 一种汽车转向节自动压装线及其工作方法
JP2973173B2 (ja) ボルト自動締付装置
KR100966145B1 (ko)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 자동 조립장비
CN109366170B (zh) 一种转动连接件的装配设备
KR20090037999A (ko) 클램프 장입부가 구비된 클램프 너트 자동체결장치
JPH07237058A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ケースの部品圧入装置
CN115673758A (zh) 闭门器支撑臂自动装配设备及其控制方法
JP3866379B2 (ja) 鋼管クランプの整備装置
CN113146210B (zh) 一种杆件定位装置及拧紧组装设备
CN214698855U (zh) 一种保持架组件自动装针设备
CN211732722U (zh) 用于圆形玻璃转运的送料结构
JP3016053B2 (ja) ボルト供給装置
CN110977439B (zh) 用于装配充气柜的工作站
CN209936322U (zh) 一种组装拉紧器的自动生产线
JP3032983U (ja) 鋼管クランプの整備装置
CN207788399U (zh) 一种加工轴承座的上下料装置
CN218575504U (zh) 闭门器支撑臂自动装配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