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049B1 - 택배용 라벨운송장 - Google Patents

택배용 라벨운송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049B1
KR100500049B1 KR10-2003-0015981A KR20030015981A KR100500049B1 KR 100500049 B1 KR100500049 B1 KR 100500049B1 KR 20030015981 A KR20030015981 A KR 20030015981A KR 100500049 B1 KR100500049 B1 KR 100500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rface layer
label
release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5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1246A (ko
Inventor
권종배
Original Assignee
권종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종배 filed Critical 권종배
Priority to KR10-2003-0015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049B1/ko
Publication of KR2004008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배용 라벨운송장에 관한 것으로서, 택배용 라벨운송장에 있어서, 표면에 인쇄가 가능한 제1표면지층과, 표면에 인쇄가 가능하며 상기 제1표면지층의 적어도 일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표면층과 결합되는 제2표면지층을 가지며, 상기 제1표면지층과 상기 제2표면지층의 경계의 적어도 일부영역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지층; 상기 인쇄지층의 배면 중 상기 제1표면지층의 배면을 제외한 영역인 상기 제2표면지층의 배면에 형성된 점착제층; 및 상기 인쇄지층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제층에 분리 가능하게 점착된 이형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화물이 배달된 후 수취인에게 전달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회수용 라벨을 화물로부터 박리하더라도 회수용 라벨인 제1표면지층의 배면이 끈적거리지 않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공정도 단순하게 되어 종래에 비하여 제조원가가 현저히 감소되며 보다 환경 친화적이 된다.

Description

택배용 라벨운송장{Label waybill for parcel}
본 발명은, 택배용 라벨운송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택배 업무를 하기 위해 배송 정보가 기록되어 화물에 부착되는 택배용 라벨운송장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쇼핑이나 홈쇼핑 등이 최근에 급속히 발전하여 구매자는 백화점이나 상점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이들을 통해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구매된 대부분의 물건은 일반 소포 화물이 아닌 택배 회사에 위탁되어 신속하게 구매자에게 배송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물건 즉 화물의 배송은 한 기업에서 다른 기업으로, 기업에서 개인으로, 한 개인에서 다른 개인 등으로 이루어지며 화물의 포장 상자에는 배송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택배용 라벨운송장이 부착되게 된다.
이러한 택배용 라벨운송장을 기능적인 면에서 살펴보면, 택배 회사마다 그 배송 정보 기록의 형태가 다를 수 있으나 대략적으로 받는 사람의 인적사항, 주소 물품명, 규격, 수량 등에 관한 내용이 기록되어 수취인이 수취한 화물 측에 남게되는 잔류용 라벨과 수취인측 정보에 더하여 수취인이 물품 수령을 확인한 인수증이 포함되어 배송 회사로 회수될 회수용 라벨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택배용 라벨운송장을 구조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기존의 택배용 라벨운송장은, 표면에 인쇄가 가능한 인쇄지층과, 인쇄지층의 배면에 일반적인 아크릴계 솔벤트 타입의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체층과, 점착제층에 부착되며 표면이 실리콘 코팅 처리된 이형지층을 구비한다. 여기서 인쇄지층은 아트(Art)지나 모조지를 사용하며, 이형지는 실리콘(Silicone)층과 글래스인(Glassine)지로 이루어져 있고, 인쇄지층의 표면에는 보내는 분, 받을 분, 화물 종류, 비용, 최종전달장소, 인수 후 인수 확인을 기록하기 위한 부분이 인쇄되게 된다. 그리고 인쇄지층은 전술한 회수용 라벨과 잔류용 라벨 역할을 할 수 있는 제1표면지층과 제2표면지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형지층을 인쇄지층으로부터 제거하고 이 인쇄지층을 화물에 부착한 뒤 화물을 운송하게 되고 화물이 수취인에게 파손 및 분실없이 도착하면 수취인으로부터 인수 확인을 받은 회수용 라벨인 제1표면지층을 화물로부터 박리하여 회수해 온 뒤 필요한 때까지 적절한 곳에 보관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택배용 라벨운송장은, 회수용 라벨을 박리하고 나면 그 배면에 점착제층의 끈적임이 남게 되어 별도의 종이를 부착하여 사용해야 하는 등 회수용 라벨을 관리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존의 택배용 라벨운송장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회수용 라벨을 박리하더라도 끈적임이 없도록 한 종래의 택배용 라벨운송장이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8914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택배용 라벨운송장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택배용 라벨운송장(101)은, 실리콘(Silicone)층(141)과 글래스인(Glassine)지(142)로 이루어지는 제2이형지층(140)과, 제2이형지층(140)의 상면에 도포되는 제2점착제층(122)과, 제2점착제층(122)의 상면에 부착되며 잔류용 라벨에 해당하는 제2표면지층(113)과, 제2점착제층(122)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이형지층(130)과, 제1이형지층(13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점착제층(120)과, 제1점착제층(120)의 상면에 부착되며 회수용 라벨에 해당하는 제1표면지층(111)을 구비한다. 제1이형지층(130)도 실리콘층(131)과 글래스인지(132)로 구성되며, 제2점착제층(122)은 아크릴계 에멀젼 퍼머넌트(Acrylic Emulsion Type Permanent)로 이루어지고 제1점착제층(120)은 아크릴계 에멀젼 리무버블(Acrylic Emulsion Type Removable)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2이형지층(140)을 떼어내고 화물에 부착하여 화물을 운송하고 운송한 뒤에는 회수용 라벨인 제1표면지층(111)에 수취 확인을 받은 후 제1표면지층(111)을 화물로부터 박리하여 회수해오게 된다. 제1표면지층(111)의 배면에는 제1점착제층(120)이 있지만 제1점착제는 아크릴계 에멀젼 리무버블(Acrylic Emulsion Type Removable) 즉 재부착성점착제로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라벨이 쉽게 떼어질 수 있는 점착제이므로 제1표면지층(111)을 박리하더라도 끈적임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택배용 라벨운송장에 있어서는, 상호 다른 제1점착제층(120) 및 제2점착제층(122)을 구성하기 위하여 이질의 점착제를 각각 도포하여 제조하여야 하고 제2이형지층(140) 외에 별도의 제1이형지층(130)을 필요로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제조공정도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되며, 회수용 라벨인 제1표면지층(111)을 떼어내더라도 포장상자 등에 제1이형지층(130)이 잔류하게 되어 포장상자의 재활용을 어렵게 만드는 등 환경 친화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수용 라벨인 제1표면지층(111)도 제1점착제층(120)에 의해 제1이형지층(13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회수용 라벨을 제1이형지층(130)로부터 떼어낼 때 제1이형지층(130)과 회수용 라벨인 제1표면지층(111) 사이에 틈새가 없어 떼어내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물이 배달된 후 수취인에게 전달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회수용 라벨을 화물로부터 박리하더라도 회수용 라벨인 제1표면지층의 배면이 끈적거리지 않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공정도 단순하게 되어 종래에 비하여 제조원가가 현저히 감소되며 보다 환경 친화적인 택배용 라벨운송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수용 라벨을 화물로부터 박리할 때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택배용 라벨운송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택배용 라벨운송장에 있어서, 표면에 인쇄가 가능한 제1표면지층과, 표면에 인쇄가 가능하며 상기 제1표면지층의 적어도 일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표면층과 결합되는 제2표면지층을 가지며, 상기 제1표면지층과 상기 제2표면지층의 경계의 적어도 일부영역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지층; 상기 인쇄지층의 배면 중 상기 제1표면지층의 배면을 제외한 영역인 상기 제2표면지층의 배면에 형성된 점착제층; 및 상기 인쇄지층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제층에 분리 가능하게 점착된 이형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용 라벨운송장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표면지층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표면지층은 대략 직사각형의 외형을 가지고 상기 제1표면지층의 전체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화물에 부착시킬 때 보다 견고히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표면지층은, 상기 이형지층을 상기 제2표면지층으로부터 제거하고자 할 때 상기 이형지층으로부터 분리되는 분리표면지층; 및 상기 분리표면지층과 상기 제1표면지층 사이에 상기 분리표면지층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이형지층을 상기 제2표면지층으로부터 제거하고자 할 때 상기 이형지층에 잔류되는 잔류표면지층;을 포함하도록 하면 회수용 라벨을 화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잔류표면지층은 상기 제1표면지층의 좌, 우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표면지층은 수취인에게 화물이 배달되었을 때 절취하여 회수하는 회수용 라벨(label)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쇄지층은 아트(Art)지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이형지층은, 상기 점착제층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실리콘(Silicone)층; 및 상기 실리콘층의 배면에 부착되는 글래스인(Glassine)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택배용 라벨운송장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Ⅴ-Ⅴ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택배용 라벨운송장(1)은, 표면에 인쇄가 가능한 제1표면지층(11)과 이 제1표면지층(11)과 결합되어 있는 제2표면지층(13)을 가지며 제1표면지층(11)의 좌측 모서리를 제외한, 제1표면지층(11)과 제2표면지층(13)의 경계에 절취선(16)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지층(10)과, 인쇄지층(10)의 배면 중 제1표면지층(11)의 배면을 제외한 영역인 제2표면지층(13)의 배면에 도포되는 점착제층(20)과, 인쇄지층(10)의 배면에 배치되어 점착제층(20)에 분리 가능하게 점착된 이형지층(30)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표면지층(11)의 좌측 모서리에 인접한 곳에는 후술할 잔류표면지층(15)이 배치되어 있는데, 잔류표면지층(15)은 제2표면지층(13)으로부터 톰슨 가공 이른바 도무송 가공되어 제1표면지층(11) 및 제2표면지층(13)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제1표면지층(11)의 좌측과 제2표면지층(13)의 경계 사이에는 절취선(16)이 형성되어 있지 않게 된다.
인쇄지층(10)은, 화물을 배달한 다음 수취인에게 정확하게 전달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절취하여 회수하는 회수용 라벨(11') 역할을 하는 제1표면지층(11)과, 화물에 잔류하는 잔류용 라벨(13') 역할을 하는 제2표면지층(13)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표면지층(11)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제2표면지층(13)은 대략 직사각형의 외형을 가지고 제1표면지층(11)의 전체 둘레를 따라 배치되게 되는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표면지층(13)의 내측의 일부 영역에 제1표면지층(11)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표면지층(11)이 제2표면지층(13)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2표면지층(13)의 배면에는 점착제층(20) 도포되어 있으므로, 제1표면지층(11)의 배면에 점착제층(20)이 도포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인쇄지층(10)이 화물에 부착되는 경우에 인쇄지층(10)이 화물에 밀착되어 부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표면지층(13)은 이형지층(30)을 제2표면지층(13)으로부터 제거하고자 할 때 이형지층(30)으로부터 분리되는 분리표면지층(14)과, 이 때 이형지층(30)에 잔류되며 제1표면지층(11)의 좌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잔류표면지층(15)을 구비한다. 잔류표면지층(15)은 제1표면지층(11)의 좌측모서리 옆쪽에 배치되어 있는 제2표면지층(13)의 일부 영역을 톰슨 가공 이른바 도무송 가공 즉 직사각형 모양에 따라 칼날이 한번씩 오려낸 것으로서, 이러한 도무송 가공에 의하여 잔류표면지층(15)은 제2표면지층(13)과 제1표면지층(1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이다. 한편 제1표면지층(11)과 제2표면지층(13)은 아트(Art)지로서 인쇄 및 재단 등에 적합한 상태로 가공 처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점착제층(20)은 솔벤트 타입의 점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인쇄지층(10)에 손상이 가지 않는 한 쉽게 제거할 수 없는 점착제인 영구형 아크릴계 에멀젼 퍼머넌트(Acrylic Emulsion Type Permanent)를 도포하여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저온 점착력 및 내습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피착면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형지층(30)은 점착제층(2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실리콘(Silicone)층(31)과, 실리콘(Silicone)층(31)의 배면에 부착되는 글래스인(Glassine)지(32)로 이루어진다. 글래스인지(32)는 환경친화형인 수용성, 비용제형의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택배용 라벨운송장의 제조방법과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표면에 인쇄된 인쇄지층(10)의 배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제층(20)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에 인쇄지층(10) 중 제1표면지층(11)의 배면에 도포된 점착제층(20)을 제거하고, 이 인쇄지층(10)을 실리콘(Silicone)층(31)과 글래스인(Glassine)지(32)로 이루어진 이형지층(30)에 부착하여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게 하여 택배 회사 등에 공급되게 된다.
택배 회사 등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택배용 라벨운송장(1)을 사용할 때에는 도 3의 상태에 있는 택배용 라벨운송장(1)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지층(10)을 이형지층(30)으로 분리시킨다. 이 때에 제2표면지층(13)의 잔류표면지층(15)은 이형지층(30)에 잔류하게 되고, 제2표면지층(13)의 분리표면지층(14)과 이에 결합되어 있는 제1표면지층(11)이 이형지층(30)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이를 화물(3)에 부착시키고 화물(3)을 운송시킨 다음에, 화물(3)이 수취인에게 도착하면, 수취인으로부터 수취 확인을 받고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표면지층(11) 즉 회수용 라벨(11')을 절취선(16)을 따라 절취하여 화물(3)로부터 박리시켜 회수하게 된다. 또는 인쇄지층(10)을 이형지층(30)으로 분리시키고 나서 이를 화물(3)에 부착시키고 제1표면지층(11) 즉 회수용 라벨(11')을 절취선(16)을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하여 화물(3)로부터 박리시킨 뒤 이를 보고 수취인 주소를 확인하면서 이동하여 수취인으로부터 회수용 라벨(11')에 수취 확인을 받고 화물(3)을 수취인에게 인도하게 된다. 인쇄지층(10)을 이형지층(30)으로 분리시킬 때 잔류표면지층(15)이 이형지층(30)에 남음으로써 화물(3)에 부착된 인쇄지층(10)에는 잔류표면지층(15)이 있던 부분에 구멍이 생긴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하여 화물(3)과 제1표면지층(11) 사이의 틈새로 손가락 등을 집어넣을 수 있게 되어 손쉽게 회수용 라벨(11')을 화물(3)로부터 박리할 수 있으며, 절취된 회수용 라벨(11')의 배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아 점착제층(20)이 없으므로 끈적거리지 않게 되어 회수용 라벨(11')을 관리하기가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화물(3)에는 잔류용 라벨(13')인 제2표면지층(13)이 남게 되는데 여기에는 실리콘(Silicone)층(31)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보다 환경 친화적이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택배용 라벨운송장의 평면도이다.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제1실시 예와 대응되지만 다소 변경된 구성요소에는 'a'가 부가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2표면지층(13a)의 잔류표면지층(15a)은 제1실시 예와 달리 제1표면지층(11a)의 하부 모서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이 아니라 모서리부분을 절취한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잔류표면지층(15a)의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인쇄지층(10a)을 이형지층(30)으로 분리시킬 때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표면지층(15a)이 이형지층(30)에 잔류하게 되며, 이렇게 분리된 인쇄지층(10a)을 화물(3)에 부착시킨 뒤 회수용 라벨(11'a)을 절취선(16)을 따라 떼어낼 때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류표면지층(15a)이 있던 제1표면지층(11a)의 하부의 좌측 모서리를 잡고서 떼어내게 된다. 잔류표면지층(15a)이 이형지층(30)에 남음으로써 화물(3)과 제1표면지층(11a) 사이의 틈새로 손가락 등을 집어넣을 수 있게 되어 손쉽게 회수용 라벨(11'a)을 화물(3)로부터 박리할 수 있으며, 회수용 라벨(11'a)의 배면에는 점착제층(20)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끈적거리지 않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상과 같이, 택배용 라벨운송장을, 표면에 인쇄가 가능하며 외형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제2표면지층(13,13a)과 이 내측에 배치되는 제1표면지층(11,11a)을 가지며 제1표면지층(11,11a)과 제2표면지층(13,13a)의 경계 사이에 절취선(16)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지층(10,10a)과, 인쇄지층(10,10a)의 배면 중 제1표면지층(11,11a)의 배면을 제외하고 제2표면지층(13,13a)의 배면에만 도포되어 형성되는 점착제층(20)과, 인쇄지층(10,10a)의 배면에 배치되어 점착제층(20)에 분리 가능하게 점착된 이형지층(30)을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물(3)이 배달된 후 수취인에게 전달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회수용 라벨(11,11'a)을 화물(3)로부터 박리하더라도 회수용 라벨의 배면이 끈적거리지 않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공정도 단순하게 되어 종래에 비하여 제조원가가 현저히 감소되며 보다 환경 친화적이 된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회수용 라벨(11,11'a)인 제1표면지층(11,11a)의 전체 둘레에 제2표면지층(13,13a)이 배치된 것 즉 제1표면지층(11,11a)의 모든 모서리가 제2표면지층(13,13a)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제1표면지층(11,11a)의 좌우 및 상하 모서리 중 어느 하나가 제2표면지층(13,13a)의 모서리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잔류표면지층(15,15a)이 제1표면지층(11,11a)의 좌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것과 좌측 하부 모서리에 인접하여 배치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제1표면지층(11,11a)의 우측,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우측 하부 모서리, 상측의 좌우측 모서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제1표면지층이 회수용 라벨인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각 회사마다 다양한 형태의 택배용 라벨운송장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제1표면지층이 화물이 도착된 후 화물로부터 박리되는 표면지층이라면 회수용 라벨이 아닐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이 배달된 후 수취인에게 전달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회수용 라벨을 화물로부터 박리하더라도 회수용 라벨인 제1표면지층의 배면이 끈적거리지 않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공정도 단순하게 되어 종래에 비하여 제조원가가 현저히 감소되며 보다 환경 친화적이 되도록 한 택배용 라벨운송장이 제공된다.
또한, 이형지층을 제2표면지층으로부터 제거하고자 할 때 이형지층에 잔류되는 잔류표면지층을 제2표면지층이 구비하도록 하면 회수용 라벨인 제1표면지층을 화물로부터 박리하여 회수할 때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택배용 라벨운송장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택배용 라벨운송장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택배용 라벨운송장의 인쇄지층이 이형지층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의 택배용 라벨운송장의 회수용 라벨이 화물로부터 박리되는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택배용 라벨운송장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택배용 라벨운송장이 이형지층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의 택배용 라벨운송장의 회수용 라벨이 화물로부터 박리되는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택배용 라벨운송장 2 : 화물
10 : 인쇄지층 11 : 제1표면지층
11' : 회수용 라벨 13 : 제2표면지층
13' : 잔류용 라벨 14 : 분리표면지층
15 : 잔류표면지층 16 : 절취선
20 : 점착제층 30 : 이형지층
31 : 실리콘(Silicone)층 32 : 글래스인(Glassine)지

Claims (7)

  1. 택배용 라벨운송장에 있어서,
    표면에 인쇄가 가능한 제1표면지층과, 표면에 인쇄가 가능하며 상기 제1표면지층의 적어도 일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표면층과 결합되는 제2표면지층을 가지며, 상기 제1표면지층과 상기 제2표면지층의 경계의 적어도 일부영역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지층;
    상기 인쇄지층의 배면 중 상기 제1표면지층의 배면을 제외한 영역인 상기 제2표면지층의 배면에 형성된 점착제층; 및
    상기 인쇄지층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제층에 분리 가능하게 점착된 이형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용 라벨운송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면지층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표면지층은 대략 직사각형의 외형을 가지고 상기 제1표면지층의 전체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택배용 라벨운송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표면지층은,
    상기 이형지층을 상기 제2표면지층으로부터 제거하고자 할 때 상기 이형지층으로부터 분리되는 분리표면지층; 및
    상기 분리표면지층과 상기 제1표면지층 사이에 상기 분리표면지층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이형지층을 상기 제2표면지층으로부터 제거하고자 할 때 상기 이형지층에 잔류되는 잔류표면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용 라벨운송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표면지층은 상기 제1표면지층의 좌, 우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용 라벨운송장.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면지층은 수취인에게 화물이 배달되었을 때 절취하여 회수하는 회수용 라벨(lab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용 라벨운송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지층은 아트(Art)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용 라벨운송장.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층은,
    상기 점착제층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실리콘(Silicone)층; 및
    상기 실리콘층의 배면에 부착되는 글래스인(Glassine)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용 라벨운송장.
KR10-2003-0015981A 2003-03-14 2003-03-14 택배용 라벨운송장 KR100500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981A KR100500049B1 (ko) 2003-03-14 2003-03-14 택배용 라벨운송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5981A KR100500049B1 (ko) 2003-03-14 2003-03-14 택배용 라벨운송장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650U Division KR200316151Y1 (ko) 2003-03-14 2003-03-14 택배용 라벨운송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246A KR20040081246A (ko) 2004-09-21
KR100500049B1 true KR100500049B1 (ko) 2005-07-14

Family

ID=3736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5981A KR100500049B1 (ko) 2003-03-14 2003-03-14 택배용 라벨운송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0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764A (ko) * 2008-02-29 2009-09-02 이랄라 미니앨범용 인쇄시트지 및 이를 이용한 미니앨범 제작 키트
KR200454347Y1 (ko) * 2008-12-24 2011-06-29 이랄라 사진인쇄용 시트
KR101146756B1 (ko) * 2009-07-06 2012-05-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편물류 환경에서 우편물 운송용기용 무선식별 태그 정보 가시성 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6420B1 (ko) * 2016-03-25 2018-06-11 주식회사 부영월드 라벨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246A (ko) 2004-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87332C (en) Multi-ply integrated label form
US6989183B2 (en) Integrated forms and method of making such forms
US20040206808A1 (en) Mailing and response envelop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482753A (en) Form/label combination
JP2000109762A (ja) 基材の一部が剥離可能な粘着ラベル
JP2006281739A (ja) ラベル帳票
JPH0379396A (ja) 貨物用事務書式
KR100500049B1 (ko) 택배용 라벨운송장
US6670009B1 (en) Multi-layer extended text resealable label
CA2303652A1 (en) Combination shipping label/invoice form
KR200316151Y1 (ko) 택배용 라벨운송장
JP3874252B2 (ja) 非接触ic伝票
JP4497440B2 (ja) 配送伝票
KR20070061029A (ko) 재활용 가능한 택배용 무선주파수 식별 태그 일체형라벨운송장
JP3744802B2 (ja) ラベル
JP2000132105A (ja) 返信用ラベル付き配送ラベル
KR200373941Y1 (ko) 무점착성 라벨 운송장
JPH10268769A (ja) 粘着紙
KR200308544Y1 (ko) 해리성 라벨 구조
JP3999048B2 (ja) 検品用ラベルを用いる検品方法
JP2001121844A (ja) 配送伝票
JP2005125599A (ja) ラベル帳票
JP4413468B2 (ja) 配送伝票
JP2000109760A (ja) 基材の一部が剥離可能な粘着ラベル
KR200282647Y1 (ko) 택배용 배송 스티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