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594B1 - 기류 제어형 분연기 - Google Patents

기류 제어형 분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594B1
KR100496594B1 KR10-2001-0030519A KR20010030519A KR100496594B1 KR 100496594 B1 KR100496594 B1 KR 100496594B1 KR 20010030519 A KR20010030519 A KR 20010030519A KR 100496594 B1 KR100496594 B1 KR 100496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nel
space
port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1654A (ko
Inventor
마쓰이지카오
데라카도히로미
무라모토도모나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루네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루네쿠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루네쿠스
Priority to KR10-2001-0030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594B1/ko
Publication of KR20020091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removing tobacco smo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2Room div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실내 일부를 용이하게 흡연 공간으로 할 수 있고, 연기를 그 흡연 공간내에서 유출시키지 않고, 청정화한 후 실내에 되돌려 순환시키고, 흡연 공간 내에서는 연기를 즉시 흡인하여 다른 흡연자 등에게 연기가 날리지 않도록 하는 기류 제어형 분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류 제어형 분연기는 박스(3)의 단부에 패널(4)을 장착한 기계 본체(2), 기계 본체(2)의 패널(4)과 함께 실내(A)를 구분하는 에어 커튼(5)을 형성하도록 패널(4)에 설치되는 분출구(6), 담배 연기를 직접 흡입하는 동시에 에어 커튼(5)으로 구분되는 일측 공간에 위치시켜 박스(3)에 설치되는 흡인구(7), 패널(4)의 타측 공간에 위치시켜 설치되는 배기구(8), 흡인구(7), 배기구(8) 및 분출구(6) 사이에 위치시켜 박스(3) 내에 설치되는 송풍기(9) 및 공기 청정기(10)를 포함하고, 배기구(8)로부터의 청정 공기 배기량이 적어도 상기 타측 공간에서의 외부 유입 공기량(Q)보다도 크게 설정하여 패널(4) 및 에어 커튼(5)에 의해 실내(A)를 구분하는 흡인구(7)의 일측 공간을 부압 상태로 만듬으로써, 연기를 흡인구(7)로부터 직접 흡인하고 청정화하여 배기구(8)로부터 비흡연 공간(12)으로 분출하여 직접 흡인할 수 없던 연기도 흡연 공간(11)으로부터 나가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기류 제어형 분연기 {AIR-STREAM CONTROL TYPE SMOKE EJECTOR}
본 발명은 건축물, 항공기, 차량 등의 실내의 일부를 에어 커튼으로 자유롭게 차단하여 흡연 공간으로 만듦으로써, 연기가 흡연 공간 밖으로 직접 새지 않도록 하고 흡연 공간 내에서는 연기를 즉시 흡인하여 다른 흡연자에게 연기가 날리지 않도록 한 기류 제어형 연기 분출 장치(이하 기류 제어형 분연기라 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내의 일부를 막아 그 자리를 흡연 코너나 차 마시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 칸막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칸막이는 어디까지나 공간 구분이 목적이므로 상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출 또는 유입하여 내부 또는 외부의 오염된 기류(예컨대 담배 연기, 배기 가스, 유해 가스)가 유출 또는 유입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에어 커튼 발생 장치를 내장한 칸막이를 사용한 예가 있다. 이 칸막이(a)는 송풍기(b)를 내장하며, 그 상부에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분출구(c)가 설치되고, 그 측면에 흡인구(d)가 설치되어 있다. 이 칸막이(a)는 흡인구(d)를 내측으로 하여 실내의 일부를 둘러싸고 있다. 또한, 칸막이(a)의 설치 장소 위 천장(e)에 흡인팬(f)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b)를 작동시켜 분출구(c)에서 공기를 내뿜으면 에어 커튼(g)이 형성되고, 이 에어 커튼은 받침대(h), 천장(e), 칸막이(a) 등과 더불어 흡연 공간(i)을 이루며, 천장(e)의 흡인팬(f)에서 흡연 공간(i)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흡연 공간(i) 내는 부압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다른 공간에 오염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다른 예로써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흡연 유닛(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제 평7-35927호 참조)이 있다. 이 흡연 유닛에는 천장부(j)의 주위에 분출구(c)가 있고 천장부(j)의 중앙부에 흡인구(d)가 있어 분출구(c)에서의 에어 커튼(g)이 받침대(h), 천장부(j)와 더불어 흡연 공간(i)을 이루고, 천장부(j)의 흡인구(d)에서 이 흡연 공간(i) 내의 공기를 흡인 배출함으로써, 흡연 공간(i) 내에 일시적으로 부압이 작용하도록 하여 실내의 다른 공간에 연기나 악취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천장부(j) 내에 있는 공기 청정기로 공기를 정화한 후에 다시 분출구(c)에서 내뿜어 순환시키고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것 같은 흡연 카운터(k)는 방구석에 배치되고, 카운터 본체(1)의 측면에 배기구(m)가 설치되고 상면에 흡인구(n)가 설치되며 흡인구(n)의 상방으로 차단판(o)을 지주(p)로 지지하여 설치하고, 흡인구(n)와 배기구(m) 사이의 흡연 카운터(k) 내에 공기 청정기를 설치하고 있다. 이 흡연 카운터(k)의 주변에서 사람이 담배를 피우면, 연기는 주변의 공기와 같이 차단판(o)을 따라 흡인구(n)에서 카운터 본체(1) 내로 들어가서 공기 청정기로 정화된 후, 배기구(m)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도 14에 나타낸 예에서는 실내의 일부를 칸막이(a)로 막아 즉시 그 자리를 흡연 코너나 차 마시는 공간으로 만들 수 있더라도 간이적으로 만들기 어렵고, 흡연자라 하더라도 가능하면 타인의 연기를 피하고 싶은 데 이러한 욕구를 채워줄 수 없다.
또한 도 15의 흡연 유닛은 대규모의 것이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없으며, 간이적으로 흡연 코너를 실내의 일부에 만드는 것 같은 것은 불가능하며, 미리 크기가 결정되어 있으므로 넓은 공간을 임시 흡연 코너로 하는 것도 가능하지 않다. 또한 천장부(j)를 지지하는 지주(k)가 필요하며, 천장(e)에 매다는 것 같은 타입이라도 일부 공간(i) 내를 일시적으로 부압상태로 할 순 있어도 중앙부에 있는 흡인구(d)에서 흡인한 공기의 전량이 다시 분출구(c)에서의 에어 커튼(g)이 되므로 결국 흡연 공간(i) 내를 항상 부압 상태로 할 순 없다. 따라서, 실내의 다른 공간에 연기가 유출되어 버리므로 양호한 흡연 공간(i)이 되기 어렵다. 흡연자라 하더라도 가능하면 타인의 연기는 피하고 싶은데 이러한 욕구를 채워줄 수 없다.
또한 도 16의 흡연 카운터(k)는 실내의 구석에 배치하면 간이 흡연 코너가 되고, 흡연자라 하더라도 타인의 연기를 피하고 싶은 욕구를 채워줄 수 있다. 그러나 흡연 카운터(k)에서 조금 떨어지면 연기를 제대로 흡인할 수 없고, 흡연 코너로부터 연기가 새어 버리기 쉽고 비흡연자에게 성가신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실내의 일부를 용이하게 흡연 공간으로 할 수 있고, 연기를 그 흡연 공간 내에서 유출시키지 않고, 청정화한 후에는 실내로 되돌려 순환시키고, 흡연 공간 내에서는 연기를 즉시 흡인하여 다른 흡연자에게 연기가 날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기류 제어형 분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는 박스의 단부에 패널을 장착한 기계 본체, 상기 기계 본체의 패널과 함께 실내를 구분하는 에어 커튼을 형성하도록 상기 패널에 설치되는 분출구, 담배 연기를 직접 흡입하는 동시에 상기 에어 커튼으로 구분되는 일측 공간에 위치시켜 상기 박스에 설치되는 흡인구, 상기 패널의 타측 공간에 위치시켜 설치되는 배기구, 상기 흡인구, 상기 배기구 및 상기 분출구 사이에 위치시켜 상기 박스 내에 설치되는 송풍기 그리고 공기 청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로부터의 청정 공기 배기량이 적어도 상기 타측 공간에서의 외부 유입 공기량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상기 패널 및 에어 커튼에 의해 실내를 구분하는 상기 흡인구의 일측 공간을 부압 상태로 만드는 동시에 흡연 공간으로 한 기류 제어형 분연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3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류 제어형 분연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이 기류 제어형 분연기의 측단면도, 도 3은 이 기류 제어형 분연기의 이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기류 제어형 분연기를 나타낸다. 이 기류 제어형 분연기(1)는 박스(3)의 측부에 패널(4)을 연통상태로 장착한 형상의 기계 본체(2), 기계 본체(2)의 패널(4)과 더불어 실내(A)를 구분하기 위한 에어 커튼(5)을 형성하도록 패널(4)에 설치되어 있는 분출구(6), 담배 연기를 직접 흡인하는 동시에 에어 커튼(5)으로 구분되는 일측 공간에 위치시켜 박스(3) 상부에 설치되는 흡인구(7), 패널(4)의 타측 공간에 위치시켜 설치되는 배기구(8), 흡인구(7), 배기구(8) 및 분출구(6)의 사이에 위치시켜 박스(3) 내에 설치되는 송풍기(9) 그리고 공기 청정기(10), 및 상기 송풍기(9)의 하류측의 박스(3) 내에 난류 감쇄용의 공기실(3b)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인구(7)를 내측으로 하여 상기 실내(A)에 어느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하나 이상의 상기 기계본체(2)를 배치하고, 상기 공기실(3b)에서 상기 송풍기(9)에 의한 난류를 감쇄하여 상기 분출구(6)로 균일한 에어 커튼(5)을 형성하며, 배기구(8)로부터의 청정 공기 배기량이 적어도 타측 공간에서의 외부 유입 공기량(Q)보다도 커지도록 설정하고, 패널(4) 및 에어 커튼(5)에 의해 실내(A)를 구분하는 흡인구(7)측 일측 공간 내를 부압 상태로 하는 동시에 흡연 공간(11)으로 하고 있다.
기계 본체(2)는 박스(3) 위에 설치한 커버(20)를 포함하며, 박스(3) 하면에 캐스터(13)가 설치되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패널(4)은 가운데 패널(4a), 오른쪽 패널(4b), 왼쪽 패널(4c)의 3개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접을 수 있고 3개로 분할할 수도 있다. 패널(4)의 내부는 중공 구조이며, 그 상면 및 측면에 분출구(6)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청정기(10)로부터의 청정 공기는 패널(4)내에 유입되고 패널(4) 내를 통과하여 분출구(6)로부터 내뿜어지고 이에 따라 에어 커튼(5)이 상방 및 좌우의 옆쪽에 형성된다. 따라서, 기류 제어형 분연기(1)를 설치한 실내(A)는 기계 본체(2)의 패널(4) 및 상기 에어 커튼(5)을 경계로 하여 기류를 제어할 수 있게 구분되어 흡인구(7)측 흡연 공간(11)과 배기구(8)측 비흡연 공간(12)으로 나누어진다.
흡인구(7)는 박스(3) 위 커버(20)에 설치되고, 그 상방으로 차단판(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차단판(21)과 커버(20) 사이에 망(22)이 개재되어 흡인구(7)내에 이물이 들어 가지 않게 하고 있다. 차단판(21)은 공간 이용의 효율성 및 커버(20) 근처에 떠도는 담배 연기를 신속히 흡인구(7)로 유도하고 분출구(6)로부터 내뿜은 에어 커튼(5)과의 상호 간섭, 즉, 에어 커튼(5)이 담배 연기를 유인하기 어렵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에어 커튼(5)이 담배 연기를 유인하는 것을 차단하는 관점에서 흡인구(7)와 분출구(6)와의 거리를 충분히 벌여 놓는 것이 좋다. 또한, 흡인구(7)와 분출구(6)의 거리를 충분히 벌여 놓으면 흡인구(7)에 망(22)을 직접 걸고 차단판(21)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지장 없다.
기계 본체(2)의 박스(3) 내부는 격판(23)으로 상부의 팬실(3a)과 하부의 공기실(3b)로 나누어지고, 이들은 토출구(23a)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 팬실(3a)에는 송풍기(9) 및 공기 청정기(10)의 프리 필터(24)와 전기 집진기(25)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실(3b)은 송풍기(9)로부터의 난류 상태의 공기를 일단 체류시키고 그 난류 상태를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완화된 공기는 출구(26)로부터 패널(4)의 가운데 패널(4a) 내로 보내진다. 송풍기(9)의 필요한 용량 및 압력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다.
공기 청정기(10)는 일정 성능을 지니는 것이면 족하고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흡인구(7)의 하방으로 장착되어 오염 공기 중의 비교적 큰 입자를 제거하는 프리 필터(24), 프리 필터(24)를 통과한 후의 미립자를 제거하는 전기 집진기(25), 공기실(3b)의 출구(26)에 장착되어 악취 성분을 제거하는 탈취 필터(27)의 3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탈취 필터(27)는 균일한 망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통과하는 공기 중의 악취 성분을 제거하는 동시에 공기 흐름을 정류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선택된다. 이와 같이 하면, 탈취 및 정류를 한번에 할 수 있다.
탈취 필터(27)를 전기 집진기(25)의 하측에 장착하고, 출구(26)에 정류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는 전기 집진기(25) 대신 탈취 기능을 포함하는 고성능의 메카니컬 필터(mechanical filter)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공기실(3b) 내에 음이온 발생기(28)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공기실(3b)은 난류 상태의 공기를 일단 체류시키기에 충분한 용적을 가지게 하여, 체류 시간 동안에 음이온이 갖는 특성, 예를 들면 탈취, 제균, 집진 등과 같은 공기 정화 작용 및 건강, 체질 개선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공기실(3b)의 용량을 해치지 않은 범위내라면 음이온 발생기(28) 이외의 각종 기기를 설치할 수도 있다.
배기구(8)는 에어 커튼(5)에 의해 기류가 제어될 수 있도록 구분된 비흡연 공간(12)에 위치하고 있다. 이 배기구(8)는 흡인구(7)로부터 흡인되고 공기 청정기(10)로 청정화된 공기의 일부를 배기한다. 즉, 공기실(3b)의 출구(26)로부터 배출된 청정공기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판(30)에 의해 배기구(8)를 향하는 것과 분출구(6)를 향하는 것으로 분리된다. 이 격판(30)은 청정 공기를 미리 설정한 비율로 나누는 것으로서 출구(26) 측에 설치된다. 배기구(8)를 향하는 청정 공기는 가운데 패널(4a), 오른쪽 패널(4b) 및 왼쪽 패널(4c)에 각각 설치된 배기구(8a, 8b, 8c)를 통해 비흡연 공간(12)으로 배출된다. 분출구(6)를 향하는 청정 공기는 가운데 패널(4a), 오른쪽 패널(4b) 및 왼쪽 패널(4c)에 각각 설치된 분출구(6)로부터 내뿜어져 에어 커튼(5)을 형성한다. 도 4의 도면 부호 31, 32는 격판으로서, 이들은 가운데 패널(4a)의 격판(30)으로 배기구(8)측과 분출구(6)측으로 나누어진 청정 공기가 오른쪽 패널(4b) 내 및 왼쪽 패널(4c) 내에서 다시 합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면 부호 33은 에어 커튼(5)으로 되는 청정 공기를 2 개로 분할하기 위한 격판이다.
분출구(6)는 가운데 패널(4a), 오른쪽 패널(4b) 및 왼쪽 패널(4c)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것과 오른쪽 패널(4b) 및 왼쪽 패널(4c)의 측부에 설치된 것이 있다. 상부의 분출구(6)에는 투명한 리드판(34)이 설치되어 에어 커튼(5)의 흐름을 가이드하고 흡연자가 상부의 분출구(6)를 손이나 팔꿈치로 막지 않도록 하고 있다. 리드판(34)을 투명하게 한 것은 전망을 좋게 하여 폐쇄감을 없애기 위해서이다. 또한 리드판(34)의 선단부가 흡연 공간(11)측으로 만곡되게 한 것은 에어 커튼(5)이 흡연 공간(11) 측으로 만곡되어 그 흐름에 의해 연기를 흡연 공간(11)측으로 유인하고, 흡연 공간(11)으로서 그다지 필요가 없는 천장에 가까운 공간을 줄이기 위함이다.
오른쪽 패널(4b) 및 왼쪽 패널(4c) 측부의 분출구(6)는 에어 커튼(5)의 방향을 정하는 풍향 전환 장치(35)를 통해 어떤 방향으로도 향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풍향 전환 장치(3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통로(36), 이 직선 통로와 α의 각을 이루면서 흡연 공간(11) 측으로 향하는 분기 통로(37), 그리고 분기점에 설치되는 전환 판(38)을 포함한다. 따라서, 에어 커튼(5)의 분출 방향은 설치 조건에 따라 전환 판(38)을 조작하여 직선 통로(36) 또는 분기 통로(37)로 선택적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분기 통로(37)로 전환되면, 에어 커튼(5)은 흡연 공간(11)측으로 만곡되므로 그 흐름에 의해 연기를 흡연 공간(11)측으로 유인할 수 있고 흡연 공간(11)으로서 그다지 필요가 없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직선 통로(36)의 분출구(6)만으로도 좋으나, 직선 통로(36)의 분출구(6)에 상기한 투명 리드판(39)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 설치 이유는 리드판(34)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음, 상기한 구성의 기류 제어형 분연기(1)를 사용하여 실내(A)의 일부를 흡연 공간(11)과 비흡연 공간(12)으로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기류 제어형 분연기(1)를 사용하여 흡연 공간(11)과 비흡연 공간(12)으로 구분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내(A)의 일부는 직각으로 교차하는 벽(40, 41, 42)으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기류 제어형 분연기(1)의 패널(4)을 칸막이처럼 설치하여 장방형의 흡연 공간(11)을 만든다. 이 때, 벽(40, 41, 42)이 있는 쪽으로 흡인구(7)가 향하도록 하고, 벽(40, 41, 42)이 없는 쪽으로 배기구(8)가 향하도록 기류 제어형 분연기(1)를 설치한다. 도 7은 기류 제어형 분연기(1)를 직각으로 교차하는 벽(40, 41)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비스듬하게 설치하여 직각삼각형의 흡연 공간(11)을 만든 예이고, 도 8은 기류 제어형 분연기(1)를 L자형으로 2대 설치하여 직사각형의 흡연 공간(11)을 만든 예이다.
도 1, 2, 6 내지 8에서, 기류 제어형 분연기(1)의 송풍기(9)를 작동시키면 분출구(6)로부터 공기가 분출되어 에어 커튼(5)을 형성하고 이를 경계로 실내(A)가 흡연 공간(11)과 비흡연 공간(12)으로 구분된다. 흡연 공간(11)내의 흡연자로부터 뿜어 나온 담배 연기는 다른 흡연자에게 영향을 주지 않도록 즉시 포착되어 공기와 함께 흡인구(7)로 흡인되며, 공기 청정기(10)로 청정화된 후 공기실(3b)에서 일단 체류하면서 난류 상태가 완화된다. 그 후, 정류판을 겸하는 탈취 필터(27)로 탈취 및 정류된 청정 공기는 격판(30)에 의해 소정의 비율로 나누어져서 일부는 배기구(8)로부터 비흡연 공간(12)으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상부 및 측부에 설치된 분출구(6)로부터 내뿜어져서 청정 공기로 이루어진 에어 커튼(5)이 된다. 상부의 분출구(6)에 리드판(34)이 있는 경우는 이에 가이드되며, 그 선단이 만곡되어 있으면 만곡된 에어 커튼(5)에 의해 연기가 흡연 공간(11)측으로 유인되고 비흡연 공간(12)으로 새지 않게 된다. 측부의 분출구(6)에 리드판(39)이 있는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풍향 전환 장치(35)의 전환 판(38)을 조작하여 분기 통로(37)를 선택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작동한다.
한편, 포착되지 않은 연기가 흡연 공간(11) 내를 떠돌더라도 배기구(8)로부터의 배출 공기량이 비흡연 공간(12)으로부터의 외부 유입 공기량(Q)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흡연 공간(l1)은 부압 상태가 되고, 흡연 공간(11) 내를 떠도는 연기는 비흡연 공간(12)으로 새나가는 일 없이 최종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흡인구(7)로 공기와 같이 흡인되고 상기와 같이 청정화되어 청정 공기로서 비흡연 공간(12)에 배출되든지 또는 다시 에어 커튼(5)이 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류 제어형 분연기(1a)이다. 이 기류 제어형 분연기(1a)와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흡인구(7)의 상방에 있는 차단판(21) 및 망(22) 대신 용권식 흡인 장치(龍卷式 吸引 裝置, 50)를 흡인구(7)상에 설치한 점에 있다.
이 용권식 흡인 장치(50)는 드럼(51)의 측벽(52)에 형성되는 관통구(53), 드럼(51)의 길이 방향 단부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는 흡인구(54)를 포함한다. 이 흡인구(54)는 커버(20)의 흡인구(7)를 통해서 송풍기(9)의 흡입관 측에 접속된다. 흡인구(54)는 측판(55) 측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흡인구(54)를 덮는 측부 커버(56)가 측판(55)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드럼(51)의 상방을 덮도록 상부 커버(57)가 장착되어 있으며, 그 위에 상부 커버(57)와 드럼(51)의 관통구(53) 사이의 간극인 흡인 개구(58)가 상기 흡인구(7)를 통해서 송풍기(9)의 흡입관 측에 접속하고 있다.
송풍기(9)가 작동하면, 용권식 흡인 장치(50)의 흡인 개구(58) 및 흡인구(54)에서 공기가 흡인되고 이와 함께 관통구(53)에서 드럼(51) 내로 공기가 유입되므로 공기 흐름과 측벽(52) 사이에 불연속면이 발생할 수 있고 작은 소용돌이(59)가 다수 발생한다. 다수 발생한 작은 소용돌이(59)의 축방향으로부터, 즉, 흡인구(54)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면, 다수 발생한 소용돌이(59)의 에너지가 합해지면서 맹렬한 회오리(t)의 코어가 형성되고, 이 코어의 주위로 자유 소용돌이가 선회함으로써 흡인구(54)로 향하는 맹렬한 회오리(t)가 인공적으로 발생된다. 즉, 드럼(51) 내의 길이 방향 전체를 따라, 길게 늘여진 맹렬한 회오리(t)가 발생하도록 하고, 이 때의 맹렬한 회오리(t)가 갖는 선회 수집력을 이용하여 보다 넓은 범위의 담배 연기를 공기와 함께 흡인하는 것이다.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권식 흡인 장치(50a)이다. 이 용권식 흡인 장치(50a)와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드럼(51)에 형성되어 있는 흡인 개구(58)가 관통구(53)의 아래에 있고 상부 커버(57) 대신 약간 만곡된 가이드 판(60)이 관통구(53)의 하방에 설치되어, 맹렬한 회오리(t)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점에 있다.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도 9 내지 도 11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권식 흡인 장치(50b)이다. 이 용권식 흡인 장치(50b)와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드럼(51)의 길이 방향 양단에 있는 측판(55) 근처의 드럼(51)의 측벽(52)에 흡인구(54a)가 형성되고, 그 때문에 측부 커버(56)가 없는 점에 있다.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도 9 내지 도 11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4)에 설치판(61)을 설치하고, 이 설치판(6l)에 광고 등의 게시물(62)을 설치할 수 있도록 패널(4)을 투명하게 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패널(4)의 일부에 투명판(63)을 설치하고 그 투명판(63)에 게시물(62)을 설치하도록 하면 설치장소에 따라서 광고료를 받을 수도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및 추가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류 제어형 분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 발명은 실내를 에어 커튼 및 패널에 의해 구분하여 일측 공간을 흡연 공간으로 하고, 박스 내 설치된 하나의 송풍기에 의하여, 흡연 공간 내에 있는 박스 주변 담배 연기를 즉시 흡인구로부터 직접 흡인하여 공기청정기로 청정 공기로 만든 뒤 그 일부를 배기구로부터 흡연 공간 밖으로 배기한다. 이 청정 공기 배출량은 흡연 공간 밖에서의 외부 유입 공기량보다도 많기 때문에 흡연 공간 내는 부압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공기실에서 송풍기에 의한 난류를 감쇄하고, 청정 공기의 나머지가 분출구로부터 분출되어 에어 커튼이 된다. 한편 흡연 공간 내는 에어 커튼 및 패널로 구분된 부압 상태이므로 바로 흡인구로 흡인되지 않은 연기도 결국 흡인구로 흡인되고 공기청정기로 청정화된 후 배기구로부터 흡연 공간 밖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자 내 설치된 하나의 송풍기에 의하여, 박스 주변 담배 연기를 흡인구로 즉시 직접 흡인 가능하고, 공기실에서 송풍기에 의한 난류를 감쇄하고, 패널의 분출구로부터의 청정 공기로 된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실내 일부에 흡연 공간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고, 연기를 그 흡연 공간 내로부터 유출시키지 않으며, 청정 공기를 실내의 흡연 공간 밖으로 내뿜어 순환시키고 있기 때문에 실내의 공기 조절 기기에 영향을 주지 않고, 흡연 공간 내에서는 연기를 즉시 흡인하여 다른 흡연자에게 연기가 날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발명은 박스로부터 패널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운반시 짐을 꾸리기가 용이하고 적재, 하역 또는 반입하기도 쉽다.
제3 발명은 박스로부터 분리한 패널을 분할할 수 있으므로 운반이 용이하다.
제4 발명은 패널의 상부 및 측부의 분출구로부터 형성된 에어 커튼 및 패널로 흡연 공간 내외를 칸 막으므로 에어 커튼으로 칸 막아지지 않는 부분이 줄어들고 그만큼 흡연 공간 밖에서의 외부 유입 공기량이 줄어들어 흡연 공간 내의 부압 상태가 보다 안정적이고 연기가 흡연 공간 밖으로 새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효과를 더한층 높일 수 있다.
제5 발명은 공기실에서 기류의 난류를 완화한 청정 공기를 미리 정한 비율로 나누어서 배기구와 분출구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하게 나눈 청정 공기를 패널의 분출구로부터 분출시 유속이 균일한 청정공기로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6 발명은 공기실에서 기류의 흐트러짐이 완화된 청정 공기에 대해 정류판을 다시 한번 통과시키므로 청정 공기가 가일층 미리 정한 비율로 나누어져 배기구와 분출구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양호한 유속이 균일한 청정 공기에 의한 에어 커튼을 얻을 수 있다.
제7 발명은 미탈취의 청정 에어를 탈취 필터에 통과시킴으로써 정류와 탈취를 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류판이 필요 없게 되고 그만큼 구조가 간단해지고, 초기 설비 비용도 줄일 수 있다.
제8 발명은 음이온 발생기를 필요에 따라 착탈할 수 있고, 음이온 효과를 적당히 향유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실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상품을 현저하게 차별화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제9 발명은 리드판이 있으므로 흡연자가 분출구를 손이나 팔꿈치로 막는 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분출구로부터 형성된 에어 커튼도 안정적이며, 리드판 자체, 안정된 에어 커튼 및 패널에 의하여 흡연 공간 내외를 칸 막으므로 그만큼 흡연 공간 내외의 칸막이가 확실하게 되고, 흡연 공간 밖에서의 외부 유입 공기량이 줄어 흡연 공간 내의 부압 상태가 보다 안정적이고 연기가 흡연 공간 밖으로 새는 일이 적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비흡연 공간으로의 담배 연기 누설 방지가 확실이 이루어지고, 상기한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할 수 있다.
제10 발명은 차단판을 통해 분출구로부터의 에어 커튼에 대한 상호 간섭을 완화하는 동시에 흡인구의 수평 방향의 직접 흡인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이면서 흡연 공간 내에서 흡연자끼리 서로 타인이 뿜어낸 담배 연기를 흡인하는 일이 거의 없게 된다.
제11 발명은 박스 내에서 발생한 맹렬한 회오리에 의해 분출구로부터의 에어 커튼에 대한 상호 간섭이 없는 범위에서 흡인구의 직접 흡인 범위를 최대한 넓힐 수 있다. 따라서, 타인이 뿜어낸 담배 연기를 흡인하고 싶지 않다는 흡연자의 욕구를 더한층 만족시켜 줄 수 있다.
제12 발명은 실내에서의 설치 상황에 따라 에어 커튼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보다 적절한 흡연 공간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실내 형상에 거의 제약받지 않으면서 비교적 넓은 범위의 흡연 공간을 만들 수 있고, 그 흡연 공간을 담배 연기가 한층 샐 수 없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제13 발명은 패널이 투명하므로 전망이 잘 되어 압박감이 줄고, 광고 등의 게시물을 설치하거나,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범죄의 예방이나 사고의 조기 발견이 가능해지고, 투명 패널에 광고 등의 게시물을 설치하면 사람이 많은 설치장소에서는 광고료를 받을 수 있고, 그 광고료로 기기의 유지비용이나 설치비용을 만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류 제어형 분연기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류 제어형 분연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류 제어형 분연기의 이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류 제어형 분연기 패널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류 제어형 분연기의 풍향 전환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류 제어형 분연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류 제어형 분연기의 다른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류 제어형 분연기의 또다른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류 제어형 분연기의 측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용권식 흡인 장치의 축방향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용권식 흡인 장치의 직경방향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권식 흡인 장치의 직경방향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권식 흡인 장치의 축방향 단면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4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류 제어형 분연기의 단면도,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류 제어형 분연기의 사시도,
도 16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류 제어형 분연기의 사시도이다.

Claims (15)

  1. 박스(3)의 측부에 패널(4)을 연통상태로 장착한 기계 본체(2),
    상기 기계 본체(2)의 패널(4)과 함께 실내(A)를 구분하는 에어 커튼(5)을 형성하도록 상기 패널(4)에 설치되는 분출구(6),
    담배 연기를 직접 흡입하는 동시에 상기 에어 커튼(5)으로 구분되는 일측 공간에 위치시켜 상기 박스(3) 상부에 설치되는 흡인구(7),
    상기 패널(4)의 타측 공간에 위치시켜 설치되는 배기구(8),
    상기 흡인구(7), 상기 배기구(8) 및 상기 분출구(6) 사이에 위치시켜 상기 박스(3) 내에 설치되는 송풍기(9) 그리고 공기 청정기(10), 및
    상기 송풍기(9)의 하류측의 상기 박스(3) 내에 설치된 난류 감쇄용의 공기실(3b)
    을 포함하고,
    상기 흡인구(7)를 내측으로 하여 상기 실내(A)에 어느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하나 이상의 상기 기계본체(2)를 배치하고,
    상기 공기실(3b)에서 상기 송풍기(9)에 의한 난류를 감쇄하여 상기 분출구(6)로 균일한 에어 커튼(5)을 형성하며,
    상기 배기구(8)로부터의 청정 공기 배기량이 적어도 상기 타측 공간에서의 외부 유입 공기량(Q)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상기 패널(4) 및 에어 커튼(5)에 의해 실내(A)를 구분하는 상기 흡인구(7)의 일측 공간을 부압 상태로 만드는 동시에 흡연 공간(11)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 제어형 분연기.
  2. 제1항에서, 상기 패널(4)은 상기 박스(3)로부터 자유롭게 분리될 수 있는 기류 제어형 분연기.
  3. 제1항에서, 상기 패널(4)은 분할 가능한 기류 제어형 분연기.
  4. 제1항에서, 상기 패널(4)의 상부 및 측부에 상기 분출구(6)를 설치한 기류 제어형 분연기.
  5. 제1항에서, 상기 공기실(3b)의 하류부에서 상기 배기구(8) 및 상기 분출구(6)로의 청정 공기를 미리 정한 비율로 나누는 기류 제어형 분연기.
  6. 제5항에서, 상기 공기실(3b), 상기 배기구(8) 및 상기 분출구(6) 사이에 정류판을 설치한 기류 제어형 분연기.
  7. 제6항에서, 상기 정류판은 탈취 필터(27)인 기류 제어형 분연기.
  8. 제5항에서, 상기 공기실(3b) 내에 음이온 발생기(28)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기류 제어형 분연기.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분출구(6)에 에어 커튼(5)의 리드판(34, 39)을 설치한 기류 제어형 분연기.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기계 본체(2)의 흡인구(7)의 상방에 차단판(21)을 설치한 기류 제어형 분연기.
  13.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기계 본체(2)의 흡인구(7)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권식 흡인 장치(龍卷式 吸引 裝置, 5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용권식 흡인 장치(50)는 드럼(51)의 측벽(52)에 설치되는 관통구(53) 및 드럼(51)의 길이 방향 단부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흡인구(54)를 포함하고,
    상기 흡인구(54)는 상기 송풍기(9)의 흡입관 측에 접속되는
    기류 제어형 분연기.
  1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분출구(6)에 형성되는 에어 커튼(5)의 방향이 가변되는 기류 제어형 분연기.
  15.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패널(4)을 투명하게하는 동시에 상기 투명한 패널(4)에 게시물(62)을 설치하도록 한 기류 제어형분연기.
KR10-2001-0030519A 2001-05-31 2001-05-31 기류 제어형 분연기 KR100496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519A KR100496594B1 (ko) 2001-05-31 2001-05-31 기류 제어형 분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519A KR100496594B1 (ko) 2001-05-31 2001-05-31 기류 제어형 분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654A KR20020091654A (ko) 2002-12-06
KR100496594B1 true KR100496594B1 (ko) 2005-06-22

Family

ID=3749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519A KR100496594B1 (ko) 2001-05-31 2001-05-31 기류 제어형 분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140B1 (ko) * 2006-08-28 2006-12-13 노영환 공조기 및 환기장치를 이용한 금연·흡연구역 구획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654A (ko) 200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988B1 (ko) 간접흡연 방지를 위한 흡연자용 청정 부스시스템
CN107435964B (zh) 一种防止油烟逃逸的风幕系统
WO2021096088A1 (ko) 흡연용 부스
WO2006100976A1 (ja) 空気清浄機
JP3627175B2 (ja) 気流制御型分煙機
KR100496594B1 (ko) 기류 제어형 분연기
JP4468714B2 (ja) 分煙システム
JP2002059028A (ja) 空気浄化装置
JP3627172B2 (ja) 気流制御型分煙機
JP3135855U (ja) 喫煙用空気清浄機及びそれを設置した喫煙室
JP3037445U (ja) 遊戯場における空気清浄化構造
JP4327271B2 (ja) 空気清浄機
JPS6149948A (ja) 空気清浄装置
JP2002147805A (ja) 分煙システム
JP3627165B2 (ja) 喫煙空間創設システム
JP4678626B2 (ja) 層気流制御型空気清浄機
JP2000218115A (ja) 分煙ブース
CN213300396U (zh) 一种空气净化器
JP3077975U (ja) パーティションルーム
JPH0440210A (ja) 空気清浄機
WO2016170587A1 (ja) エアカーテン装置
JP4176879B2 (ja) 空気清浄機
JP4366973B2 (ja) 空気清浄装置
JP2004044821A (ja) 空気清浄装置
JP2007222815A (ja) 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