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388B1 - 유아용 입체공간책 - Google Patents

유아용 입체공간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388B1
KR100496388B1 KR10-2003-0010774A KR20030010774A KR100496388B1 KR 100496388 B1 KR100496388 B1 KR 100496388B1 KR 20030010774 A KR20030010774 A KR 20030010774A KR 100496388 B1 KR100496388 B1 KR 100496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rd
dimensional space
side plate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5254A (ko
Inventor
이원구
Original Assignee
이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구 filed Critical 이원구
Priority to KR10-2003-0010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388B1/ko
Publication of KR20040075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3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7Sheets or sheet block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4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입체공간책에 관한 것으로, 구멍을 포함하는 상판; 상기 상판과 대향 배치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단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두개의 옆판; 및 상기 상판, 상기 하판 및 상기 옆판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에서 상기 상판과 대향하도록 상기 옆판에 부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입체공간책을 제공하므로써, 유아는 본 발명의 유아용 입체공간책을 직접 구성하고 감상하며 그 과정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놀이 및 학습교재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입체공간책은 유아가 직접 카드를 끼우는 과정이 유아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고 유아의 인지발달 및 창의력을 발달시킬 뿐만 아니라, 공간을 통해 감상하는 기회를 통해 유아의 공간지각력ㆍ시각지각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입체공간책{The magic hole material for children}
본 발명은 입체적으로 구성되는 유아용 놀이 및 학습교재로서 유아용 입체공간책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아용 교구ㆍ교재는 그 자체로서 이미 완성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어서 유아는 수동적인 사용자에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교재는 유아의 창의력 발달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유아의 활동으로 완성품을 만들게 되는 종래의 교재로 대표적인 것이 블록완구이다. 그러나 블록완구는 유아가 어릴 경우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단순한 놀이 교재로서 일정한 개념에 대한 학습 교재로서는 사용되지 못한다.
종래의 유아용 학습 교재는 대부분 그림책 등 평면적인 구성이었다. 진일보한 교재로서 그림책의 각장에 구멍을 뚫어놓은 것으로 그 구멍을 통하여 다른 페이지의 내용이 보여지도록 하는 교재가 제공된 바 있으나, 이것 역시 평면적 구성을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또한 종래의 유아용 교재는 내용에 있어서 제작 당시 정해진 한 두가지만 포함하게 되므로 유아가 이러한 교재를 수회 사용한 후에는 흥미를 잃게 된다. 무엇보다도 유아가 그 내용을 다 파악하고 난 후에는 더 이상 교재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내용상의 한계는 새로운 정보를 끊임없이 습득할 단계인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재에 있어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어 왔다.
따라서 유아가 발달수준에 맞는 활동으로 교재의 사용에 참여할 수 있고, 유아의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하며, 계속하여 새로운 내용을 제공할 수 있고, 특히 구성에 있어서도 평면적인 한계를 벗어난 유아용 교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아의 활동에 의해 교재가 완성되므로써 유아가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입체공간책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체적 구성의 유아용 교재를 제공하여 유아에게 공간을 통해 감상하고,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재의 내용이 변화될 수 있고,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므로써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유아용 교재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아용 입체공간책은 구멍을 포함하는 상판; 상기 상판과 대향 배치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단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두개의 옆판; 및 상기 상판, 상기 하판 및 상기 옆판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에서 상기 상판과 대향하도록 상기 옆판에 부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하판 및 상기 카드판은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옆판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접이선을 구비하며, 상기 접이선을 안팎으로 교대로 접음으로써 자바라식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옆판은 내판, 외판, 및 상기 내판과 상기 외판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옆판의 주름이 잘 잡히게 하는 삽입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옆판은 상기 옆판의 주름이 잘 잡히게 하는 부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옆판의 접이선의 일부에는 절취부가 형성되며 그 절취부에 상기 카드판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카드판은 상기 옆판의 접이선에 형성된 절취부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카드판은 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위판 및 아래판의 이중으로 구성되고, 상기 위판 및 상기 아래판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카드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옆판은 일정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카드판은 일정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카드는 일정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아용 입체공간책을 도시한 것이다. 정사각형 형태의 상판(10), 상기 상판(10)에 대향 위치하며 상기 상판(10)과 동일한 크기와 형태의 하판(11), 상기 상판(10) 및 상기 하판(1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10) 및 상기 하판(11)에 부착되어 상기 상판(10)과 상기 하판(11)의 단부를 연결하는 두 개의 옆판(12), 및 상기 상판(10), 상기 하판(11), 및 상기 옆판(12)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에서 상기 상판(10)과 대향하도록 상기 옆판(12)에 부착되며, 상기 상판(10)과 동일한 형태의 수개의 카드판(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판(10), 상기 하판(11), 및 상기 카드판(13)의 형태는 일정한 도형, 즉 삼각형, 직사각형, 원, 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10), 상기 하판(11), 및 상기 카드판(13)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0) 및 상기 하판(11)의 크기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옆판(12)의 개수는 상기 상판(10) 및 상기 하판(11)의 형태에 따라 다르다. 즉, 상판(10)이 삼각형의 형태이면 3개, 사각형이면 2개, 원이면 1개, 오각형이면 3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옆판(12)에는 상기 상판(10) 또는 상기 하판(11)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수개의 접이선(17)이 형성되며, 상기 옆판(12)은 상기 접이선(17)을 따라 안팎으로 교대로 접음으로써 자바라식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본 발명의 유아용 입체공간책은 옆판(12)의 주름이 접혀있는 것으로, 도 2의 상태에서 상판(10)을 들어올리게 되면 도 1과 같이 접혀있는 주름이 펼쳐지면서 상판(10), 하판(11), 및 옆판(12)으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옆판(12)에 대해서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아용 입체공간책의 전개도이다. 옆판(12)은 수개의 접이선(17)을 포함하며, 양끝단(19)에서 상판(10) 및 하판(11)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접이선(17) 중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접이선은 밖으로 접히고, 점선으로 표시된 접이선은 안으로 접힌다. 이하, 밖으로 접히는 접이선을 외접선(17-1)이라하고, 이에 대응하여 안으로 접히는 접이선을 내접선(17-2)이라 한다. 외접선(17-1)은 절취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절취부(22)는 카드판(13)이 끼워지는 곳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 형태는 상기 카드판(13)이 상기 외접선(17-1) 모두에 끼워지므로써 주름단(25) 2단마다 하나씩 끼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주름단(25)의 폭이 본 발명의 입체공간책 내부에 끼워지는 카드판(13)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옆판(12)에는 일정한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는 후술할 카드판(13)의 이미지와 조화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옆판(12)에는 작은 도형 무늬의 구멍을 뚫어 빛이 입체공간책 내부로 투과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투과된 빛으로 입체공간책 내부가 잘 보이게 될 뿐만 아니라, 투과된 빛이 상기 옆판(12)의 이미지 및 후술할 카드판(13)의 이미지와 어우러져 입체공간책 내부에 신비감 및 심미감을 더하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투과된 빛은 상기 옆판(12) 및 상기 카드판(13)에서 반사되므로써 유아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음은 물론 본 발명의 입체적 효과를 극대화 시킨다.
상기 상판(10)은 중앙에 구멍(14)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카드판(13)도 중앙에 구멍(15)을 포함한다. 구멍의 형태는 원, 세모, 네모, 비정형 형태 등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판(10)을 들어올려 옆판의 주름을 늘어뜨렸을 때 수개의 카드판(13)은 주름단(25)의 폭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층을 이루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장 큰 구멍을 포함하는 카드판이 최상단에 위치하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카드판(13)의 구멍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으로 배치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였을 때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용 입체공간책 내부를 상판의 구멍(14)을 통해 보면 상기 카드판(13)의 구멍(15)이 겹쳐보이게 된다. 이로써 유아는 상기 카드판(13)의 이미지가 입체적으로 배치되어 다르게 보이거나 보는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모습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판(11)도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는 하판의 구멍을 통해서도 입체공간책 내부를 보거나, 하판의 구멍을 통해 빛이 들어오도록 하여 입체공간책 내부에 신비감을 줄 수 있다.
도 5는 카드판(13)을 도시한 것이다. 옆판의 절취부(22)에 끼워지는 부분이 돌출부(23)이고, 상기 돌출부(23)의 길이는 옆판의 절취부(22)의 길이보다 길며, 단 양끝에 홈(24)을 포함하므로써 절취부(22)에 끼워졌을 때 옆판(12)에 안정하게 부착된다. 상기 돌출부(23)는 본 발명의 입체공간책에 존재하는 옆판(12)과 동일한 수만큼 카드판(13)에 존재하게 된다. 즉, 삼각형의 카드판에는 3개, 사각형의 카드판에는 2개, 오각형의 카드판에는 3개의 돌출부(23)가 존재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아용 입체공간책을 옆판(12)의 정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외접선(17-1)의 절취부(22)를 통해 카드판(13)의 돌출부(23)가 끼워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옆판(12)에는 각 주름단(25)마다 일정한 무게의 부착물(26)이 부착되어있다. 상기 부착물(26)로 바람직한 것은 자석이다. 상기 부착물(26)은 상기 상판(10)을 내려 놓았을 때 상기 부착물(26)의 무게, 특히 자석을 사용한 경우에는 자석간의 인력에 의해 접이선(17)을 따라 상기 옆판(12)의 주름이 쉽게 접히게 하여 본 발명의 입체공간책의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도 7은 옆판(12)의 정면도(a), 상기 정면도를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b) 및 사시도(c)이다. 상기 옆판(12)은 내판(28) 및 외판(29)의 이중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판(28) 및 외판(29) 사이에는 삽입물(27)이 삽입되어있다. 상기 삽입물(27)로 마분지 두께의 종이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옆판(12)에 삽입물(27)을 삽입하는 것은 상술한 부착물(2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판(10)을 내려놓았을 때 삽입물(27)의 무게에 의해 옆판(12)의 주름이 잘 접히게 하여 본 발명의 입체공간책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판(10) 및 상기 하판(11)은 본 발명의 입체공간책의 겉표지에 해당하며, 특히 상기 상판(10)을 들어올렸을 때 펼쳐지는 옆판(12), 옆판의 부착물(26), 및 옆판의 삽입물(27)의 무게를 버틸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단단한 재질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종이판, 합판, 또는 아크릴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옆판(12)은 주름이 형성되도록 접힐 수 있는 재질로서, 상기 상판(10) 및 상기 하판(11)에 부착되어 상기 상판(10)을 들어올렸을 때 그 무게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일반 도화지를 사용한다. 단, 옆판의 구멍을 통해 투과 및 반사되는 빛으로써 본 발명의 입체공간책 내부에 심미감 및 신비감을 주기 위해서는 옆판(12) 자체를 빛이 투과되거나 빛을 반사하는 재질, 즉 미러지, 비닐, 캐시미어지, 또는 OHP필름지 등으로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유아용 입체공간책의 사시도로서 상판(10)의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 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실제 사용에 있어 상기 상판(10)을 들어올리면 옆판(12)의 주름이 펼쳐지면서 입체공간책의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카드판(13)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카드판(13)은 도 5와 같은 형태가 그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카드판의 재질은 옆판의 절취부(22)에 잘 끼워질 수 있도록 마분지 두께의 종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특수한 효과를 위하여 빛이 투과되거나 빛을 반사하는 재질로서 미러지, 비닐, 캐시미어지, 또는 OHP필름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카드판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9와 같은 형태가 있다. 카드판(33)이 위판(30) 및 아래판(31)의 이중으로 구성되고, 돌출부를 포함하는 테두리부(34)와 가운데 부분에 투명한 재질로 된 창(32)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부(34)의 재질은 바람직하게 마분지 두께의 종이를 사용하지만, 미러지, 비닐, 캐시미어지, 또는 OHP필름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드판(33)의 위판(30)과 아래판(31)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테두리부(34)가 접착되어 상기 위판(30) 및 상기 아래판(3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 카드(35)가 삽입된다. 상기 창(32)은 코팅지로 사용되는 비닐지가 바람직하지만, OHP필름지 등 투명한 재질이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카드(35)는 상기 카드판(33) 사이의 공간에 끼워질 수 있는 것으로 카드판(13)의 구멍(14)을 대신하여 중앙에 구멍(36)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테두리부(34) 및 창(32)을 포함하는 카드판(33)을 사용하면 옆판(12)에 카드판 자체를 끼웠다 뺏다하지 않더라도 이미 끼워져 부착된 카드판(33)에서 카드(35)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입체공간책 내부의 이미지를 교환할 수 있으므로 이용이 편리해진다.
카드판(13) 및 카드(35)는 다양한 이미지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는 다양하게 구성되지만 본 발명의 입체공간책에 동시에 끼워 사용되는 수개의 카드판 및 수개의 카드에 있어서는 특정 주제에 대한 연관성 있는 이미지가 포함되어 한 세트의 카드판 및 카드를 이루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한 세트의 카드판 및 카드를 옆판에 끼웠을 때 유아에게 일정한 개념을 학습 시키는 교재로 사용될 수 있다.
카드판(13) 및 카드(35)에 색상이나 사물의 이미지를 인쇄한 후에는 카드판(13) 및 카드(35)의 앞ㆍ뒤 양면 전체를 비닐지로 코팅하는 것이 카드판을 보호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유해한 인쇄물질이 유아에게 직접 닿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후술할 스티커 형태로 된 사물 이미지를 카드판(13) 및 카드(35)에 부착하였다가 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카드판 및 카드의 이미지는 상기 카드판(13) 및 상기 카드(35)에 미리 인쇄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한 예이다. 또 다른 예로는 도 10과 같이 상기 카드판(13) 및 상기 카드(35)는 바탕색상으로 일정한 색상이 인쇄된 상태로 제공되고, 구체적인 이미지들은 스티커(37) 형태로 따로 제작된 것을 상기 카드판(13)이나 상기 카드(35)에 유아가 직접 붙이게 하여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유아용 입체공간책을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1의 전개도에 따라 입체공간책을 제작했다. 상판(10) 및 하판(11)으로 두꺼운 종이판을, 옆판(12)으로 일반도화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상판(10) 및 상기 하판(11)은 가로, 및 세로 16㎝의 정사각형으로 하고, 옆판(12)의 주름단(25)의 폭은 3㎝로 하되, 상판(10)으로부터 첫주름단은 6㎝가 되도록 하였다. 그런다음 상기 옆판(12)에 작은 도형 모양의 구멍을 여러개 뚫었다. 상기 옆판(12)에 접이선(17)을 표시하고, 두개의 옆판(12)에 형성된 총 12개의 외접선(17-1)에 절취부(22)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접이선(17)을 따라 상기 옆판(12)을 안팎으로 교대로 접어 자바라식 주름이 형성되게 하였다. 상기 옆판(12)의 양끝단(19)을 상기 상판(10) 및 상기 하판(11)의 단부에 접착시켜 입체공간책을 완성하였다.
카드판의 제작
실시예 2 (주제: 색상)
마분지를 이용하여 상판(10)과 동일한 형태로서 가로 및 세로가 15cm인 정사각형이며 도 5와 같이 마주보는 두 가장자리에 돌출부(23)를 포함하는 6개의 카드판(13)을 제작하였다.
카드판(13) 앞면 전체에 일정한 색상의 채색면이 형성되도록 단색으로 인쇄하고, 카드판(13) 뒤면에는 앞면의 색상으로 채색된 사물의 이미지들을 인쇄하였다. 예를들면 카드판(13) 앞면 전체에는 노란색을 인쇄하였고, 뒤면에는 노란색 바나나, 노란색 우산, 노란색 참외, 및 노란색 스웨터를 인쇄하였다. 또는 카드판 앞면 전체를 연두색으로 인쇄하고, 뒤면에는 연두색 새싹 및 잎사귀, 연두색 우산, 연두색 메론, 및 연두색 비옷을 인쇄하였다. 이때 상기 카드판(13)을 노란색 및 연두색 색지로 제작하면 카드판(13) 앞면에 일정한 색상을 인쇄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실시예 1의 입체공간책의 옆판에 함께 끼워지는 한세트의 카드판은 6개로서, 상기 6개 카드판의 앞면은 각각 다른 색상으로 인쇄하되, 따뜻한 느낌의 색상으로 통일하여 제작하므로써 옆판에 동시에 끼워졌을 때 유아에게 색상이 주는 느낌에 대해 학습시킬 수 있게 하였다. 또는 상기 카드판(13) 앞면이 차가운 느낌의 색상으로 인쇄된 카드판 한세트를 제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입체공간책을 색상 교재로 활용하는 또다른 예는 카드판의 뒤면에 앞면에 채색된 색과 보색관계에 있는 색상으로 채색된 사물 이미지를 인쇄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앞면을 초록색으로 인쇄하였을 때, 뒤면에 빨간색 무당벌레, 빨간색 수박, 빨간색 장미꽃, 및 빨간색 우산을 인쇄하는 것이다. 이것은 유아에게 보색의 개념을 학습시킬 수 있는 교재이다.
카드판에 색상 및 이미지를 인쇄한 후에는 카드판의 앞면 및 뒤면을 비닐지로 코팅하는 것으로 카드판을 완성하였다.
유아가 실시예 1의 입체공간책 내부에 6장의 카드판을 끼우고 상판(10)을 들어올려 상판의 구멍(14)을 통해 입체공간책 내부를 보게 한 뒤, 색상이 주는 느낌을 설명하게 한다. 그런 후 유아가 카드판을 뒤집어 끼우면 유아는 그 색상으로 표현되는 여러가지 사물이미지, 혹은 보색관계에 있는 색상을 가지는 사물 이미지들을 볼 수 있다.
실시예 3 (주제: 지구와 환경)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카드판(13) 6개를 제작하고, 카드판(13) 각각에 바다속 풍경 및 바다 생물들의 모습을 인쇄하였다. 카드판은 상판(10)에서 하판(11)로 내려 갈수록 깊어지는 바다속을 느낄 수 있도록 배경색을 점차 진한 색으로 인쇄하고, 깊이에 따라 살고 있는 생물도 다른 것으로 인쇄하였다. 이때 옆판(12)에도 바다속을 느낄 수 있도록 푸른색으로 인쇄하였고, 물거품, 해초 및 암석 이미지를 인쇄하였다.
다른 예로서 우주를 표현할 수도 있다. 즉, 옆판 및 한세트의 카드판에 우주를 나타내는 어두운 색상을 인쇄하고 별, 은하수, 행성, 및 혜성을 인쇄하는 것이다. 이때 상판(10)에서 하판(11)으로 내려 갈수록 진한색으로 인쇄하고, 별빛도 어두어지는 등의 표현으로 깊이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또다른 예로서 땅속의 환경을 표현하기 위해 땅속을 배경으로 개미집 및 개미를 한세트의 카드판 및 옆판에 인쇄할 수 있다.
카드판에 색상 및 이미지를 인쇄한 후에는 카드판의 앞면 및 뒤면을 비닐지로 코팅하는 것으로 카드판을 완성하였다.
6개의 카드판 한세트를 유아로 하여금 실시예 1의 입체공간책 내부에 끼우게 한다. 바다, 우주, 땅속 깊이의 순서로 카드판을 끼우도록 지도할 수 있다. 그러면 유아는 각 환경들의 모습을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4 (주제: 동식물의 생태)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카드판(13) 6개를 제작하고, 동물의 생태를 표현하기 위해 각각의 카드판(13)에 벌집을 배경으로 벌들의 일생, 즉 알에서 유충 단계를 거쳐 성숙된 벌이 되고 꿀을 따 모으는 모습을 단계별로 인쇄하였다. 또는 해바라기의 일생을 표현하기 위해 해바라기 씨앗을 뿌리고, 싹이 나고, 몇년이 지난 뒤에 꽃을 피우고, 마지막으로 꽃이 지는 모습의 각 단계를 6개의 카드판에 인쇄하는 것으로 한세트의 카드판을 제작하였다. 그런다음 카드판의 앞면 및 뒤면을 비닐지로 코팅하여 카드판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한세트의 카드판을 실시예 1의 입체공간책 내부에 끼워 곤충 및 꽃의 일생을 순서대로 끼울 수 있도록 지도한다. 그런 후 유아는 상판의 구멍(14)을 통해 보았을 때 복잡한 동식물의 생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 5 (주제: 유아의 창작활동 유도)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카드판(13) 6개를 제작하고, 카드판(13)의 제작에 있어 사물 이미지는 인쇄하지 아니하고 카드판(13)의 앞면 또는 뒤면에 채색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공하면 유아는 표현하고 싶은 형상을 카드판(13) 상에 자유롭게 그리거나 스티커(37) 형태로 제공되는 사물 이미지를 붙이는 활동을 할 수 있다. 카드판에 색상을 인쇄한 후에는 카드판의 앞면 및 뒤면을 비닐지로 코팅하는 것으로 카드판을 완성하였다. 이렇게 코팅한 카드판 위에 이미지를 그리기 위해서 유아는 크레파스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런다음 스스로 제작한 카드를 실시예 1의 입체공간책에 끼우게 하면 단순한 활동을 통해 완성도 높은 작품을 만들수 있게 된다. 또한 평면적으로 제작된 카드를 입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카드의 제작
마분지로 가로 및 세로가 각각 15cm의 정사각형에 도 9와 같이 테두리부(34)를 2cm 남기고 중앙부를 정사각형으로 도려내어 카드판의 위판(30) 및 아래판(31)을 제작하였다. 그런다음 상기 위판(30) 및 아래판(31) 사이로 카드(3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위판(30) 및 아래판(31)을 돌출부를 포함하는 테두리부에서 접착한 뒤, 상기 위판(30) 및 아래판(31) 전체를 비닐로 코팅하여 테두리부(34)는 코팅이 되고, 창(32)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도 9의 카드판을 완성하였다.
옆판의 절취부(22) 사이에 상기 카드판을 삽입하여 고정시켰다.
그런다음 일반 도화지로 그림 10과 같이 중앙에 구멍(36)을 포함하는 가로 및 세로 14cm인 정사각형의 카드(35)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2 내지 5의 카드판(13)을 제작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색상 및 이미지를 카드(35)의 앞면 및 뒤면에 인쇄하였다. 이때 일반 도화지 대신에 색지를 사용하면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카드면에 색상을 인쇄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색상 및 이미지를 인쇄한 후에는 카드(35) 앞면 및 뒤면 전체를 비닐지로 코팅하는 것으로 카드(35)의 제작을 완성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카드(35)는 옆판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기 카드판 사이에 끼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아용 입체공간책은 유아가 직접 교재를 구성하고 감상하게 되는 능동적인 놀이교재 및 그 과정으로부터 유아에게 일정한 개념을 학습시키는 학습교재로 사용된다. 유아는 직접 카드를 끼우는 과정에서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본 발명의 입체공간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아용 입체공간책은 유아의 인지발달 및 창의력을 발달시키고, 입체적으로 배열된 카드판 및 카드의 이미지를 보는 활동은 유아의 공간지각력ㆍ시각지각력을 발달시킨다. 특히, 각도에 따라 카드가 겹쳐보이는 정도 및 카드의 이미지가 달라지는 것은 유아의 흥미를 유발한다. 뿐만 아니라 카드를 교체하는 것으로 입체공간책의 내용을 바꿀 수 있어 내용상 한계라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그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입체공간책의 구조도.
도 2는 옆판의 주름이 접혀있는 입체공간책의 정면도.
도 3은 입체공간책의 전개도.
도 4는 상판의 구멍을 통해서 본 입체공간책 내부의 모습 나타낸 도면.
도 5는 카드판의 정면도.
도 6은 부착물이 부착된 입체공간책 옆판의 정면도.
도 7은 삽입물이 삽입된 입체공간책 옆판의 정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
도 8은 입체공간책의 사시도.
도 9는 카드판 및 카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스티커 형태로 제공되는 사물의 이미지를 카드판 및 카드에 부착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실시예 1의 입체공간책 제작을 위한 전개도.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은 상판, 11은 하판, 12는 옆판, 13 및 33은 카드판;
14는 상판의 구멍, 15는 카드판의 구멍;
17은 접이선, 17-1은 외접선, 17-2는 내접선, 22는 절취부;
25는 옆판의 주름단, 19는 옆판의 주름단의 양 끝단;
23은 카드판의 돌출부, 24는 홈;
26은 부착물, 27은 삽입물;
28은 옆판의 내판, 29는 옆판의 외판;
30은 카드판의 위판, 31은 카드판의 아래판, 32는 창, 34는 테두리부;
35는 카드, 36은 카드의 구멍;
37은 스티커.

Claims (12)

  1. 구멍을 포함하는 상판;
    상기 상판과 대향 배치되는 하판;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단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두개의 옆판; 및
    상기 상판, 상기 하판 및 상기 옆판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에서 상기 상판과 대향하도록 상기 옆판에 부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입체공간책.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및 상기 카드판은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입체공간책.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옆판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접이선을 구비하며, 상기 접이선을 안팎으로 교대로 접음으로써 자바라식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입체공간책.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옆판은 내판, 외판, 및 상기 내판과 상기 외판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옆판의 주름이 잘 잡히게 하는 삽입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입체공간책.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옆판은 상기 옆판의 주름이 잘 잡히게 하는 부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입체공간책.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옆판의 접이선의 일부에는 절취부가 형성되며 그 절취부에 상기 카드판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입체공간책.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판이 상기 옆판의 접이선에 형성된 절취부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입체공간책.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판은 카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위판 및 아래판의 이중으로 구성되고, 상기 위판 및 상기 아래판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입체공간책.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입체공간책.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옆판은 일정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입체공간책.
  11.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판은 일정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입체공간책.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는 일정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입체공간책.
KR10-2003-0010774A 2003-02-20 2003-02-20 유아용 입체공간책 KR100496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774A KR100496388B1 (ko) 2003-02-20 2003-02-20 유아용 입체공간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774A KR100496388B1 (ko) 2003-02-20 2003-02-20 유아용 입체공간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254A KR20040075254A (ko) 2004-08-27
KR100496388B1 true KR100496388B1 (ko) 2005-06-17

Family

ID=3736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774A KR100496388B1 (ko) 2003-02-20 2003-02-20 유아용 입체공간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3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527A1 (ko) * 2014-11-10 2016-05-19 한경진 입체 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7157A (zh) * 2019-01-30 2019-04-26 鸿兴印刷(中国)有限公司 一种风琴式立体书
KR200497373Y1 (ko) * 2021-03-10 2023-10-20 갈진영 터널형 교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527A1 (ko) * 2014-11-10 2016-05-19 한경진 입체 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254A (ko) 200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36136A1 (en) Three-Dimensional Integrated, Numeral-Designated Construction Craft
KR100879263B1 (ko) 조립식 교육·완구용 블록 세트
KR100496388B1 (ko) 유아용 입체공간책
KR20200002824U (ko) 고무 자석 블록 동화
US5720481A (en) Educational puzzle toy set
KR101215994B1 (ko) 레인보우 박스
CN210583600U (zh) 一种自由组合拼图玩具
KR200263136Y1 (ko) 배경판이 구비된 종이접기용 놀이용구
US20190255429A1 (en) Construction Craft with Connectable Base Plates
AU781673B2 (en) Coloring book for children
KR101529815B1 (ko) 페이퍼 토이 북
KR101823581B1 (ko) 종이액자
US6176704B1 (en) Children's learning toy
KR101269703B1 (ko) 학습교구용 뇌 구조 모자
KR200175633Y1 (ko) 입체놀이용 학습구
KR200249756Y1 (ko) 적목식 완구
KR200332281Y1 (ko) 유아용 교재
KR100503619B1 (ko) 유아용 교재
KR200332280Y1 (ko) 유아용 교재
RU57137U1 (ru) Конструктор-мозаика
KR20220002402U (ko) 랜티큘러를 겸한 색칠 북
Roemer FROM THE PAST PRESIDENT
Gordon Shaped by Play
KR200402369Y1 (ko) 과녁판 놀이세트
RU20035U1 (ru) Мягкий конструк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