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154B1 -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154B1
KR100496154B1 KR10-2002-0022919A KR20020022919A KR100496154B1 KR 100496154 B1 KR100496154 B1 KR 100496154B1 KR 20020022919 A KR20020022919 A KR 20020022919A KR 100496154 B1 KR100496154 B1 KR 100496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user
site
information
affili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3481A (ko
Inventor
이원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020083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1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providing single-sign-on or fed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입한 다수의 제휴 사이트 중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해 모든 사이트의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다수의 제휴 사이트가 통합 인증 서버에 의해 통신 접속된 통합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로 저장하기 위한 수단; 소정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정보가 입력(신규, 갱신 포함)될 경우, 새로운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통합 인증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갱신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각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여, 상기 통합 인증 서버와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 간에 통합 인증 정보를 동기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허브 사이트 및 제휴 사이트의 인증에 사용됨.

Description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for Authenticating Registered User of Cooperation Site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인터넷 등과 같은 정보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가입한 다수의 제휴 사이트 중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해 모든 제휴 사이트의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커뮤니티, 스포츠, 문화, 검색 서비스 등 각종 웹 사이트가 활성화되면서, 사용자는 하나 이상, 많게는 수십 개의 웹 사이트에 가입하여 활동함으로써 활동의 폭을 넓히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용자가 다수의 분야에 관심을 가져서, 각 분야의 사이트에 모두 가입하는 경우에, 가입된 모든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 정보로서 통합된 아이디나 패스워드를 사용하고 싶어도 이미 타 사용자에 의해 당해 아이디나 패스워드가 해당 사이트에서 선점되어 통합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사용할 수 없었다. 이러한 현상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네티즌의 인구가 급증하면서 더욱더 그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가입한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일일이 기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잘못 기억하고 있거나 또는 착각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인터넷 이용의 편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다수의 스포크(spoke) 사이트와 연결되어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허브(hub) 사이트가 개시되어 있다. 즉, 이 허브 사이트 또는 스포크 사이트 중의 한곳에 가입한 경우에, 가입한 아이디를 다른 스포크 사이트 또는 허브 사이트에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종래기술이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1은 종래의 허브 사이트와 제휴 사이트 간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허브 사이트(100)에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인증 정보로 하여 가입하게 되면, 허브 사이트(100)는 연계된 모든 제휴 사이트(110 내지 130)들이 별도의 인증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인증 방법은 허브 사이트에 등록된 인증 정보로 관련 제휴 사이트에 액세스할 수는 있으나, 이는 단방향성(즉, 허브 사이트 → 제휴 사이트)으로서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로는 허브 사이트 및 다른 제휴 사이트에 액세스(즉, 제휴 사이트 → 허브 사이트, 일 제휴 사이트 → 타 제휴 사이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통합 인증 정보를 사용할 수 없다는 종전의 문제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가입한 다수의 제휴 사이트 중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만으로도 모든 제휴 사이트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제휴 사이트가 통합 인증 서버에 의해 통신 접속된 통합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로 저장하기 위한 수단; 소정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정보가 입력(신규, 갱신 포함)될 경우, 새로운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통합 인증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갱신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각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여, 상기 통합 인증 서버와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 간에 통합 인증 정보를 동기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제휴 사이트가 통합 인증 서버에 의해 통신 접속된 통합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로 저장하기 위한 수단; 사용자가 접속된 제휴 사이트로부터 통합 인증을 요구할 경우, 기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증 결과를 해당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에서 통합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로부터 직접 혹은 다른 제휴 사이트를 경유하여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 유무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인증 결과)를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에서의 인증을 갈음토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제휴 사이트가 통합 인증 서버에 의해 통신 접속된 통합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로 저장하기 위한 수단; 사용자가 접속된 제휴 사이트로부터 통합 인증을 요구할 경우, 기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증 결과를 해당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에서 통합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로부터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에서 자체 인증토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제휴 사이트가 통합 인증 서버에 의해 통신 접속된 통합 인증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휴 사이트간의 통합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로 저장하는 단계; 소정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정보가 입력(신규, 갱신 포함)될 경우, 새로운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통합 인증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각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여, 상기 통합 인증 서버와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 간에 통합 인증 정보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제휴 사이트가 통합 인증 서버에 의해 통신 접속된 통합 인증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휴 사이트간의 통합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로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접속된 제휴 사이트로부터 통합 인증을 요구할 경우, 기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증 결과를 해당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에서 통합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로부터 직접 혹은 다른 제휴 사이트를 경유하여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 유무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인증 결과)를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에서의 인증을 갈음토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제휴 사이트가 통합 인증 서버에 의해 통신 접속된 통합 인증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휴 사이트간의 통합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로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접속된 제휴 사이트로부터 통합 인증을 요구할 경우, 기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증 결과를 해당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에서 통합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로부터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에서 자체 인증토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통합 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제1제휴 사이트에 있어서, 소정 주기로 갱신되는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를 저장하는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사이트명 및 사용자 인증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받는 인증 정보 수신 수단; 상기 사용자가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제2제휴 사이트로부터 상기 제2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와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 연계 정보 수신 수단;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 혹은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단; 및 상기 제1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제3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제3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3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인증 연계 정보 생성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통합 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제1제휴 사이트에 있어서,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사이트명 및 사용자 인증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가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제2제휴 사이트로부터 상기 제2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 정보 수신 수단; 상기 제2제휴 사이트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 연계 정보 생성 수단;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 혹은 상기 인증 연계 정보를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통합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 및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를 기초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로그인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통합 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제1제휴 사이트에 있어서,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사이트명 및 사용자 인증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 정보 수신 수단;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검색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단;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를 기초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로그인 수단; 상기 제1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제3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제3제휴 사이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 연계 정보 생성 수단;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 혹은 상기 인증 연계 정보를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휴 사이트에서의 통합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소정 주기로 전송하고, 소정 주기로 갱신되는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임 - 를 저장하는 전송 및 저장 단계;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사이트명 및 사용자 인증 정보(아이디, 패스워드)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전송 및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제1 인증 단계; 상기 사용자가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제2제휴 사이트로부터 상기 제2 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와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송 및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제2 인증 단계; 및 상기 제1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제3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송 및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제3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3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인증 연계 정보 생성 및 전송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휴 사이트의 통합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제1 전송 단계; 상기 사용자가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제2제휴 사이트로부터 상기 제2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된 경우 상기 제2제휴 사이트의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제2 전송 단계; 및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를 기초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제휴 사이트의 통합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제1 전송 단계;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를 기초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로그인 단계;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된 경우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제1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제3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제3제휴 사이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제2 전송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에, 다수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임 - 로 저장하는 기능; 사용자가 접속된 제휴 사이트로부터 통합 인증을 요구할 경우, 기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증 결과를 해당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에서 통합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로부터 직접 혹은 다른 제휴 사이트를 경유하여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 유무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인증 결과)를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에서의 인증을 갈음토록 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에, 다수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임 - 로 저장하는 기능; 사용자가 접속된 제휴 사이트로부터 통합 인증을 요구할 경우, 기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증 결과를 해당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에서 통합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로부터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에서 자체 인증토록 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통합 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제1제휴 사이트에 있어서, 소정 주기로 갱신되는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임 - 를 저장하는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사이트명 및 사용자 인증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받는 인증 정보 수신 수단; 상기 사용자가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제2제휴 사이트로부터 상기 제2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와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 연계 정보 수신 수단;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 혹은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단; 및 상기 제1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제3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제3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3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인증 연계 정보 생성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인증 시스템은 허브 사이트(200), 적어도 하나의 제휴 사이트(201 내지 230) 및 통합 인증 서버(2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허브 사이트(200)도 제휴 사이트로 취급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사이트는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의 서버로서, 사용자 즉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처리하여 그 처리 결과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각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 및 통합 인증 서버(240)는 인터넷을 통해 각각 연결되고, 상기 통합 인증 서버(240)는 각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인증 정보인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자별로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245)에 저장하고 있다.
상기 통합 인증 서버(240)는 소정 시간을 주기로 하여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245)에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각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에 제공하여 각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의 인증 데이터베이스(205, 215, 225 및 235)를 갱신한다.
즉, 통합 인증 서버(240)는 자신의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245)에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주기적으로 허브 사이트(200)의 인증 데이터베이스(205), 제휴 사이트A(210)의 인증 데이터베이스(215), 제휴 사이트B(220)의 인증 데이터베이스(225) 및 제휴 사이트C(230)의 인증 데이터베이스(235)로 각각 제공하여 통합 인증 정보를 공유한다.
여기서, 상기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로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245)에는 사용자 정보를 인덱스로 하고 각 제휴 사이트 식별자인 사이트명, 당해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인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필드로 하여 테이블 형태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도4b에 예시된 사용자는 "HANMIR"라는 사이트명의 제휴 사이트(http://www.hanmir.com)에 "KING"라는 아이디와 "QWER"라는 패스워드로 등록되어 있고, "YAHOO"라는 사이트명의 제휴 사이트(http://kr.yahoo.com)에 "JOY"라는 아이디와 "12WE"라는 패스워드로 등록되어 있으며, "LYCOS"라는 사이트명의 제휴 사이트(http://www.lycos.co.kr)에 "ASAA"라는 아이디와 "OSAA"라는 패스워드로 등록되어 있으며, "BUYNJOY"라는 사이트명의 제휴 사이트(http://www.buynjoy.com)에 "OPPA"라는 아이디와 "DSS"라는 패스워드로 등록되어 있다.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245)에는 위와 같은 정보가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통합 인증 정보가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1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만 알고 있으면 임의의 제2제휴 사이트에 대해서도 인증받을 수 있어 용이하게 제2제휴 사이트에 로그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제휴 사이트마다 각각 다른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로 등록되어 있어도 마치 통합 인증 정보를 이용하는 효과를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는 통합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프롬프트 페이지(도4a 참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수의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 중 어느 하나의 사이트에 접속하여,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인증 정보인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되면, 접속된 제휴 사이트의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입력된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프롬프트 페이지에 사용자가 현재 로그인을 시도하는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도, 현재 로그인을 시도하는 제휴 사이트에 대해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합 인증 요구를 위해 제휴 사이트C(230)에 접속하여, 제휴 사이트C(230)가 제공하는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인증 정보, 즉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제휴 사이트C(230)에 로그인하는 과정에서, 제휴 사이트C(230)가 제공하는 프롬프트 페이지에 제휴 사이트C(230)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자신이 가입한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인증을 받을 수 있다.
그 이유는 앞서 밝힌 바와 같이, 각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는 통합 인증 서버(240)로부터 통합 인증 정보를 제공받아, 현재 접속한 사용자가 가입한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의 인증 정보 전체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임의의 제휴 사이트에 대한 인증 정보만 알고 있으면 다른 제휴 사이트로의 로그인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 제휴 사이트 "HANMIR"(http://hanmir.com)에 접속한 사용자가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HANMIR"의 인증 정보인 아이디 "KIHG", 패스워드"QWER"가 아닌 다른 제휴 사이트(http://kr.yahoo.co.kr)의 인증 정보인 사이트명 "YAHOO", 아이디 "JOY" 및 패스워드 "12WE"를 입력하고 제휴 사이트 "HANMIR"로의 로그인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HANMIR" 사이트는 사용자가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입력한 인증 정보와 통합 인증 서버(240)로부터 통합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 "HANMIR"의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한다.
즉, "HANMIR" 사이트는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현재 입력된 인증 정보가 "HANMIR"의 제휴 사이트 "YAHOO"의 인증 정보로 확인되면 로그인을 허용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HANMIR" 사이트로부터 인증이 완료된 페이지를 제공받는다.
한편, 상기 제휴 사이트C(230)에서 접속하여 통합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제휴 사이트A(210)로 전환, 즉 제휴 사이트C(230)에서 제휴 사이트A(210)로 로그인을 시도할 경우, 제휴 사이트C(230)는 현재 접속한 사용자의 인증 연계 정보를 제휴 사이트A(2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휴 사이트A(210)로 전송되는 인증 연계 정보는 제휴 사이트C(230)의 인증 데이터베이스(235)의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현재 로그인한 제휴 사이트C(230)의 인증 정보 및 사용자가 로그인을 시도하고자 하는 제휴 사이트A(210)의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휴 사이트A(210)는 제휴 사이트C(230)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연계 정보에서 자신의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자신의 인증 데이터베이스(215)에서 검색을 통해 확인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로그인을 요구한 사용자에게 인증 절차를 생략한 웹 페이지, 즉 인증이 완료된 웹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들어, 현재 제휴 사이트 "HANMIR"에 로그인한 도4b의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 "LYCOS"로 로그인을 시도하고자 할 경우, 제휴 사이트 "HANMIR"는 도4b의 "HANMIR" 인증 정보인 아이디 "KING" 및 패스워드"QWER"에, 사용자가 로그인을 시도하는 제휴 사이트 "LYCOS"의 인증 정보인 아이디 "ASAA" 및 패스워드 "OSAA"가 결합된 인증 연계 정보를 제휴 사이트 "LYCOS"에 제공한다.
제휴 사이트 "LYCOS"는 제휴 사이트 "HANMIR"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연계 정보 중 아이디 "ASAA" 및 패스워드 "OSAA"를 기초로, "LYCOS"의 인증 데이터베이스에서 인증 정보를 검색한다. 따라서, 사이트명 "HANMIR", 아이디 "KING" 및 패스워드가 "QWER"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사이트명 "LYCOS", 아이디 "ASAA" 및 패스워드 "OSAA"를 사용하는 동일 사용자임을 확인하고, 현재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에게 인증 절차를 생략한 웹 페이지, 즉 인증이 완료된 웹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제휴 사이트 "HANMIR"에서 제휴 사이트 "LYCOS"로 로그인을 시도할 때, 별도의 인증 절차 없이 "LYCOS"에 로그인하여 초기 웹 페이지로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제휴 사이트A(210)에서 다른 제휴 사이트B(220)나 허브 사이트(200)로 로그인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휴 사이트A(210)는 자신의 사용자 인증 정보(즉, 사용자가 현재 로그인한 제휴 사이트A(210)의 인증 정보) 및 로그인하고자 하는 제휴 사이트(220 혹은 200)의 사용자 인증 정보(사용자가 로그인을 시도하는 제휴 사이트B(220) 혹은 허브 사이트(200)의 인증 정보)가 포함된 인증 연계 정보를 사용자가 로그인하고자 하는 제휴 사이트(220 혹은 20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로그인하고자 하는 제휴 사이트(220 혹은 200) 자체적으로 인증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별도의 인증 절차없이 다른 제휴 사이트(220 혹은 200)에 로그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통합 인증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있지만, 각 제휴 사이트 각각은 자체 인증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다른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합 인증 시스템은 허브 사이트(300), 다수의 제휴 사이트(310 내지 430) 및 통합 인증 서버(340)를 포함한다. 여기서도 역시 허브 사이트(300)도 제휴 사이트로 취급하기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 및 통합 인증 서버(340)는 인터넷을 통해 각각 연결되며, 상기 통합 인증 서버(340)는 각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인증 정보인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자별로 분류하여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에 저장한다.
물론, 상기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는 필요에 따라 자기 사이트에 대한 사용자 인증 정보만을 저장하는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자체적으로도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합 인증 서버(340)는 각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부터 인증 정보 또는 인증 연계 정보를 제공받고, 현재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에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기초로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합 인증 정보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든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로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에는 사용자 정보를 인덱스로 하고 각 제휴 사이트 식별자인 사이트명, 당해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인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필드로 하여 테이블 형태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도4b에 예시된 사용자는 "HANMIR"라는 사이트명의 제휴 사이트(http://www.hanmir.com)에 "KING"라는 아이디와 "QWER"라는 패스워드로 등록되어 있고, "YAHOO"라는 사이트명의 제휴 사이트(http://kr.yahoo.com)에 "JOY"라는 아이디와 "12WE"라는 패스워드로 등록되어 있으며, "LYCOS"라는 사이트명의 제휴 사이트(http://www.lycos.co.kr)에 "ASAA"라는 아이디와 "OSAA"라는 패스워드로 등록되어 있으며, "BUYNJOY"라는 사이트명의 제휴 사이트(http://www.buynjoy.com)에 "OPPA"라는 아이디와 "DSS"라는 패스워드로 등록되어 있다.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에는 위와 같은 정보가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된 바와 같은 통합 인증 정보가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제1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만 알고 있으면 임의의 제2제휴 사이트에 대해서도 인증받을 수 있어 용이하게 제2제휴 사이트에 로그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제휴 사이트마다 각기 다른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로 등록되어 있어도 마치 통합 인증 정보를 이용하는 효과를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각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는 상기와 같은 통합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프롬프트 페이지(도4a 참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중 어느 하나의 사이트에 접속하여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입력한 인증 정보인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는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된다. 통합 인증 서버(340)는 접속된 제휴 사이트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에서 검색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휴 사이트C(330)에 접속한 사용자가 통합 인증 요구를 위해 제휴 사이트C(330)에서 제공하는 프롬프트 페이지(도4a 참조)를 통해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각각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제휴 사이트C(330)에 로그인하는 과정에서, 제휴 사이트C(330)가 제공하는 프롬프트 페이지에 제휴 사이트C(330)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사용자가 가입한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제휴 사이트C(330)는 접속된 사용자가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제휴 사이트C(330)의 인증 정보가 아닌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입력할 경우, 당해 인증 정보를 통합 인증 서버(340)에 전송하여 통합 인증을 요구한다.
이후에, 통합 인증 서버(340)는 통합 인증을 요구한 제휴 사이트C(33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 정보와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제휴 사이트C(33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현재 제휴 사이트 "HANMIR"(http://hanmir.com)에 접속한 사용자가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HANMIR"의 인증 정보인 아이디 "KIHG", 패스워드 "QWER"가 아닌 다른 제휴 사이트(http://kr.yahoo.co.kr)의 인증 정보인 사이트명 "YAHOO", 아이디 "JOY" 및 패스워드 "12WE"를 입력하고 제휴 사이트 "HANMIR"로의 로그인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HANMIR" 사이트는 사용자가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입력한 인증 정보를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한다.
그러면, 통합 인증 서버(340)는 "HANMIR"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인증 정보를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내에서 검색을 하여, 현재 입력된 인증 정보가 "HANMIR"의 제휴 사이트 "YAHOO"의 인증 정보로 확인되면, 상기 통합 인증 서버(340)는 "HANMIR" 사이트 접속한 사용자의 로그인을 허용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HANMIR" 사이트로부터 인증이 완료된 페이지를 제공받는다.
물론, 만약 사용자가 현재 접속한 "HANMIR" 사이트에서 "HANMIR"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인증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HANMIR"의 자체적인 인증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휴 사이트C(330)에서 접속하여 통합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제휴 사이트A(310)로 전환, 즉 현재 로그인한 제휴 사이트C(330)에서 제휴 사이트A(310)로 로그인을 시도할 경우,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실시예를 제공한다.
첫째, 제휴 사이트C(330)가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제휴 사이트C(330)의 인증 정보를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하고, 통합 인증 서버(340)는 수신한 제휴 사이트C(330)의 인증 정보를 기초로 제휴 사이트A(310)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현재 제휴 사이트A(310)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제휴 사이트A(310) 인증을 수행하는 제1실시예이다.
여기서, 제1실시예의 경우, 상기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되는 인증 정보는 제휴 사이트C(330)로부터 직접 전송될 수 있고, 제휴 사이트A(310)를 거쳐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인증 정보가 제휴 사이트C(330)로부터 통합 인증 서버(340)로 직접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인증 정보 이외에 현재 로그인이 시도되는 제휴 사이트가 제휴 사이트A(310)라는 것을 통합 인증 서버(340)가 인식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인터넷 도메인 네임 또는 사이트명도 함께 전송되어야 할 것이다. 즉, 제휴 사이트C(330)로부터 통합 인증 서버(340)로 직접 전송되는 인증 연계 정보는 상기 인증 정보 및 제휴 사이트A(310)의 식별 정보이다. 한편, 인증 정보가 제휴 사이트A(310)를 거쳐 전송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되는 인증 연계 정보는 상기 인증 정보 및 제휴 사이트A(310)의 식별 정보이다.따라서, 제휴 사이트C(330)에서 접속하여 통합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제휴 사이트A(310)로 전환하고자 할 때, 직접 혹은 간접 전송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되는 인증 연계 정보는,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제휴 사이트C(330)의 인증 정보 및 전환하고자 하는 제휴 사이트A(310)의 식별 정보가 될 것이다.
둘째, 제휴 사이트C(330)가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제휴 사이트C(330)의 인증 정보 및 전환하고자 하는 제휴 사이트A(3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하고, 통합 인증 서버(340)는 수신한 제휴 사이트C(330)의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제휴 사이트A(310)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제휴 사이트A(310)로 전송하며, 제휴 사이트A(310)는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현재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자체 인증을 수행하는 제2실시예이다.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 제휴 사이트C(330)는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경로는 제휴 사이트C(330)로부터 통합 인증 서버(340)로의 직접 경로가 될 수 있고, 제휴 사이트C(330)로부터 제휴 사이트A(310)를 거쳐 통합 인증 서버(340)로 형성되는 간접 경로가 될 수도 있다. 이때,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되는 인증 연계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제휴 사이트C(330)의 인증 정보 및 전환하고자 하는 제휴 사이트A(3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면, 통합 인증 서버(340)는 전송받은 인증 정보, 즉 현재 제휴 사이트C(330)에 로그인되어 있고 제휴 사이트A(310)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제휴 사이트C(330)에 대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기초로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로그인하고자 하는 제휴 사이트A(310)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에서 검색을 통해 제휴 사이트A(310)의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존재를 확인한 후, 제휴 사이트A(310)로 확인 결과를 전송한다.
따라서, 현재 제휴 사이트C(330)에 로그인되어 있고 제휴 사이트A(310)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제휴 사이트C(330)에 대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기초로 검색한 결과, 제휴 사이트A(310)의 당해 사용자에 대한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에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제휴 사이트A(310)는 제휴 사이트C(330)로부터 로그인을 요구한 사용자에게 인증 절차를 생략한 웹 페이지, 즉 인증이 완료된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현재 제휴 사이트 "HANMIR"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인 "LYCOS"로 로그인을 시도하고자 하면, 상기 "HANMIR" 사이트는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의 아이디 "KING" 및 패스워드 "QWER"의 인증 정보를 통합 인증 서버(340)에 제공한다. 이때,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되는 인증 연계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HANMIR"의 인증 정보 및 전환하고자 하는 "LYCOS"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면, 통합 인증 서버(340)는 "HANMIR"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아이디 "KING" 및 패스워드 "QWER"의 인증 정보를 기초로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를 검색하여, 당해 사용자가 제휴 사이트 "LYCOS"에 인증 정보를 등록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당해 사용자의 제휴 사이트 "LYCOS"에 대한 인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그 결과를 제휴 사이트 "LYCOS"로 전송하고, 제휴 사이트 "LYCOS"는 제휴 사이트 "HANMIR"로부터 "LYCOS"로 로그인을 요구한 사용자에게 인증 절차를 생략한 웹 페이지, 즉 인증이 완료된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HANMIR" 사이트로부터 "LYCOS" 사이트로 로그인할 때, 별도의 인증 절차가 없이 인증된 "LYCOS" 사이트의 초기 웹 페이지에 액세스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의 경우, 제휴 사이트C(330)는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인증 정보 및 제휴 사이트A(3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한다.
통합 인증 서버(340)는 전송받은 인증 정보, 즉 현재 제휴 사이트C(330)에 로그인되어 있고 제휴 사이트A(310)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제휴 사이트C(330)에 대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기초로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제휴 사이트A(310)의 식별 정보를 기초로 로그인하고자 하는 제휴 사이트A(310)의 인증 정보, 즉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에서 검색하여 제휴 사이트A(310)의 인증 정보, 즉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제휴 사이트A(310)로 전송한다.
이후, 통합 인증 서버(340)로부터 제휴 사이트A(310)의 인증 정보를 수신한 제휴 사이트A(310)는 자체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자체적으로 인증을 수행하게 되고, 제휴 사이트A(310)는 제휴 사이트C(330)로부터 로그인을 요구한 사용자에게 인증 절차를 생략한 웹 페이지, 즉 인증이 완료된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현재 제휴 사이트 "HANMIR"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인 "LYCOS"로 로그인을 시도하고자 하면, 상기 "HANMIR" 사이트는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의 아이디 "KING" 및 패스워드 "QWER"의 인증 정보 및 "LYCOS" 식별정보를 통합 인증 서버(340)에 제공한다.
통합 인증 서버(340)는 "HANMIR"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아이디 "KING" 및 패스워드 "QWER"의 인증 정보를 기초로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를 검색하여 당해 사용자의 제휴 사이트 "LYCOS"에 대한 인증 정보를 검색한다.
검색 결과, 당해 사용자의 제휴 사이트 "LYCOS"에 대한 인증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당해 "LYCOS"에 대한 인증 정보를 제휴 사이트 "LYCOS"로 전송하고, 제휴 사이트 "LYCOS"는 자체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상기 수신 인증 정보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여, 제휴 사이트 "HANMIR"로부터 "LYCOS"로 로그인을 요구한 사용자에게 인증 절차를 생략한 웹 페이지, 즉 인증이 완료된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HANMIR" 사이트로부터 "LYCOS" 사이트로 로그인할 때, 별도의 인증 절차가 없이 인증된 "LYCOS" 사이트의 초기 웹 페이지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5a 및 도5b는 도2의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도5a는 통합 인증 서버(245)의 통합 인증 정보 저장, 갱신 및 전송 처리 흐름도이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인증을 수행하기 전에 통합 인증 서버(240)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각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취합하여 통합 인증 정보로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245)에 저장하는 한편, 주기적으로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245)를 갱신하여 항상 최신 통합 인증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통합 인증 정보의 동기화)(S501).
상기 S501단계에서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는 각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의 각 인증 데이터베이스(205, 215, 225 및 235)에 제공하는 한편, 주기적으로 갱신된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245)의 통합 인증 정보를 전송하여 각 인증 데이터베이스(205, 215, 225 및 235)에서도 항상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245)에 저장되어 있는 최신 통합 인증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S503). 이하에서는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245) 및 각 인증 데이터베이스(205, 215, 225 및 235)가 최신 통합 인증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는 전제 하에서 기술된다.
도5b는 각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에서 처리되는 통합 인증 절차 흐름도로서,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는 현재 사용자가 접속한 경우에 제공되는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 즉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어 통합 인증을 요구하는지를 판단한다(S511).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롬프트 페이지에 사용자가 현재 로그인을 시도하는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도 현재 로그인을 시도하는 제휴 사이트에 대해서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다.
상기 단계 S511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통합 인증이 요구된 경우에는 수신한 인증 정보 및 당해 사이트의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한다(S513). 즉, 각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는 통합 인증 서버(240)로부터 통합 인증 정보를 제공받아, 현재 접속한 사용자가 가입한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의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임의의 사이트에 대한 인증 정보만 알고 있으면 다른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로의 로그인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단계 S511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되지 않아 통합 인증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다른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로부터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15). 즉, 현재 다른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한 사용자가 도5b의 절차를 수행하는 당해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로의 로그인을 시도하여 다른 제휴 사이트에서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다른 제휴 사이트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연계 정보는, 현재 사용자가 로그인하고 있는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현재 로그인한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 및 사용자가 로그인을 시도하는 당해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의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S515의 판단 결과, 다른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로부터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수신한 인증 연계 정보에 포함된 당해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 및 당해 사이트의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한다(S517).
상기된 단계 S511 내지 단계 S517에 의해 사용자는 당해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로의 로그인을 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당해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에 로그인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제휴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시도하는지를 판단하여(S519), 다른 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 당해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는 현재 접속한 사용자의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로그인하고자 하는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한다(S521).
여기서,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되는 인증 연계 정보는, 당해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의 인증 정보 및 사용자가 로그인을 시도하는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인증 연계 정보의 생성은 각 제휴 사이트(200 내지 230)의 인증 데이터베이스에 항상 모든 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가 사용자 정보를 인덱스로 하여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로그인을 시도하는 다른 제휴 사이트는 당해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S515)되는 인증 연계 정보에서 자신의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자신의 인증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을 통해 확인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로그인을 요구한 사용자에게 인증 절차를 생략한 웹 페이지, 즉 인증이 완료된 웹 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517).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이와 같은 통합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통합 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제1제휴 사이트는, 소정 주기로 갱신되는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임 - 를 저장하는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사이트명 및 사용자 인증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받는 인증 정보 수신 수단; 상기 사용자가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제2제휴 사이트로부터 상기 제2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와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 연계 정보 수신 수단;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 혹은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단; 및 상기 제1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제3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제3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3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인증 연계 정보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은, 상기 시스템에 포함된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으로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소정 주기로 전송하여 상기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갱신시키고, 상기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통합 인증 정보를 소정 주기로 수신하여 상기 통합 인증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도6a 및 도6b는 도3의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도6a는 통합 인증 서버(345)의 통합 인증 정보 저장, 갱신 및 인증 처리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인증 서버(340)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각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된 인증 정보를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에 저장하는 한편, 주기적으로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를 갱신하여 항상 최신 통합 인증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S601).
다음으로 통합 인증 서버(340)는 각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부터 인증 정보 또는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되어 통합 인증을 요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3).
이때, 인증 정보는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의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가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하는 정보이다.
한편, 인증 연계 정보는 현재 사용자가 어느 한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에 로그인된 상태에서 다른 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현재 사용자가 로그인되어 있는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가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하는 정보로서 상기된 제1실시예에서 현재 사용자가 로그인되어 있는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의 인증 정보 및 사용자가 로그인을 시도하는 다른 제휴 사이트의 식별 정보이다.
상기 단계 S603의 판단 결과,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부터 인증 정보 또는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된 경우, 통합 인증 서버(340)는 수신된 인증 정보/인증 연계 정보와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정보를 전송한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 인증 결과를 전송하거나 인증 연계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다른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 인증 결과를 전송한다.
인증 정보를 전송한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는 현재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로그인을 시도하였기 때문에 인증 정보를 전송한 것이고, 따라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수행한 인증 결과는 인증 정보를 전송한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 전송해야 하는 것이다.
반면, 인증 연계 정보를 전송한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는 상기된 제1실시예에서 현재 사용자가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에 로그인한 상태에서 다른 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였기 때문에 인증 연계 정보를 전송한 것이고, 따라서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수행한 인증 결과는 인증 연계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이다.
도6b는 도3에 도시된 시스템의 각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에서 처리되는 통합 인증 절차 흐름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는 현재 사용자가 접속한 경우에 제공되는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되어 통합 인증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11).
단계 S611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된 경우, 현재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합 인증을 통해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 로그인을 시도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고(S613), 통합 인증 서버(340)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를 기초로 당해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처리를 수행한다(S619).
한편, 단계 S611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제휴 사이트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15).
상기 단계 S615의 판단 결과, 다른 제휴 사이트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된 제1실시예에서 현재 사용자가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한 상태에서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 로그인을 시도하였기 때문에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전송한 것이므로 상기 단계 S615에서 수신된 인증 정보에 사용자가 로그인을 시도하는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고(S617), 상기 인증 연계 정보를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며(S613), 통합 인증 서버(340)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를 기초로 당해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처리를 수행한다(S619).
상기된 단계 S611 내지 단계 S519에 의해 사용자는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의 로그인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에 로그인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제휴 사이트로의 로그인 시도 여부를 판단하여(S621) 다른 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는 현재 접속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가 로그인하고자 하는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거나 또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여 통합 인증 서버(340)로 인증 연계 정보를 전송한다(S623).
여기서,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되는 인증 연계 정보는 상기 단계 S617에서 생성되는 인증 연계 정보와 같은 의미이다.
앞서 예를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 상기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되는 인증 정보가 현재 사용자가 로그인되어 있는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부터 직접 전송되는 경우에,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부터 통합 인증 서버(340)로 직접 전송되는 정보는 상기 인증 정보 및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이다. 따라서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다른 제휴 사이트는 사용자 또는 다른 사이트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에서 통합 인증 서버(340)로부터 직접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계 S619를 수행하여 로그인 처리를 하게 된다.
반면, 인증 정보가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를 거쳐 전송되는 경우에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는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S615)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고(S617) 통합 인증 서버(340)로 인증 연계 정보를 전송(S613)함으로써 로그인 처리(S619)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이와 같은 통합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통합 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제1제휴 사이트는,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사이트명 및 사용자 인증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가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제2제휴 사이트로부터 상기 제2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 정보 수신 수단; 상기 제2제휴 사이트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 연계 정보 생성 수단;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 혹은 상기 인증 연계 정보를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통합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 및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를 기초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로그인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제3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제3제휴 사이트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연계 정보 생성 수단이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제3제휴 사이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통합 인증 서버는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로부터 각 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인증 정보를 갱신하는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 및 상기 제1제휴 사이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또는 상기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단을 포함한다.
도7a 및 도7b는 도3의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도7a는 통합 인증 서버(345)의 또 다른 통합 인증 정보 저장, 갱신 및 인증 처리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인증 서버(340)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각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사용자 별로 구분하여 통합된 인증 정보를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에 저장하는 한편, 주기적으로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를 갱신하여 항상 최신 통합 인증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S701). 한편, 상기 각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는 각자의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각자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다음으로, 통합 인증 서버(340)는 각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되어 통합 인증을 요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3).
여기서, 인증 정보는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의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가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하는 정보이다.
상기 단계 S703의 판단 결과,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된 경우, 통합 인증 서버(340)는 수신된 인증 정보와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정보를 전송한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 인증 결과를 전송한다.
인증 정보를 전송한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는 현재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로그인을 시도하였기 때문에 인증 정보를 전송한 것이고, 따라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수행한 인증 결과는 인증 정보를 전송한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 전송해야 하는 것이다.
상기 단계 S703의 판단 결과,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통합 인증 서버(340)는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부터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07).
여기서, 인증 연계 정보는 현재 사용자가 어느 한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에 로그인된 상태에서 다른 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현재 사용자가 로그인되어 있는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가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하는 정보로서 상기된 제2실시예에서 현재 사용자가 로그인되어 있는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의 인증 정보 및 사용자가 로그인을 시도하는 다른 제휴 사이트의 식별 정보이다.
상기 단계 S707의 판단 결과,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된 경우, 통합 인증 서버(340)는 수신된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345)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로그인을 시도하는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한다(S709).
인증 연계 정보를 전송한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는 상기된 제2실시예에서 현재 사용자가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에 로그인한 상태에서 다른 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였기 때문에 인증 연계 정보를 전송한 것이고, 따라서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검색한 인증 정보는 인증 연계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되어야 하는 것이다.
도7b는 도3에 도시된 시스템의 각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에서 처리되는 또 다른 통합 인증 절차 흐름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는 현재 사용자가 접속한 경우에 제공되는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되어 통합 인증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11).
단계 S711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된 경우, 현재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통합 인증을 통해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 로그인을 시도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고(S713), 통합 인증 서버(340)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를 기초로 당해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처리를 수행한다(S715).
한편, 단계 S711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통합 인증 서버(340)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23). 단계 S723의 인증 정보는 앞서 설명된 단계 S707 및 단계 S709의 수행 결과이다.
상기 단계 S723의 판단 결과, 통합 인증 서버(340)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된 제2실시예에서 현재 사용자가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한 상태에서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 로그인을 시도하였기 때문에 통합 인증 서버(340)로 인증 연계 정보를 전송하고(S707), 통합 인증 서버(340)는 단계 S709의 수행 결과로서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 인증 정보를 전송한 것이므로 상기 단계 S723에서 수신된 인증 정보와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의 인증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하여 당해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처리를 수행한다(S725).
상기된 단계 S711 내지 단계 S715 및 단계 S723과 단계 S725에 의해 사용자는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로의 로그인을 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에 로그인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제휴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시도하는지를 판단하여(S719), 다른 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여 통합 인증 서버(340)로 인증 연계 정보를 전송한다(S721).
여기서, 통합 인증 서버(340)로 전송되는 인증 연계 정보는 상기 단계 S707에서 설명된 인증 연계 정보와 같은 의미이다.
따라서, 현재 사용자가 로그인되어 있는 당해 제휴 사이트(300 내지 330)가 생성하여 전송한 인증 연계 정보를 수신(S707)한 통합 인증 서버(340)는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제휴 사이트로 검색된 인증 정보를 전송하고(S709), 이를 수신(S723)한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는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S725).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이와 같은 통합 인증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통합 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제1제휴 사이트는,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 상기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 정보 수신 수단,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검색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단,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를 기초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로그인 수단, 상기 제1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제3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제3제휴 사이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 연계 정보 생성 수단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 또는 상기 인증 연계 정보를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통합 인증 서버는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로부터 각 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인증 정보를 갱신하는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 상기 제1제휴 사이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단 및 상기 제1제휴 사이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제3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제3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검색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입한 다수의 제휴 사이트 또는 허브 사이트 중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통해 원하는 모든 제휴 사이트 또는 허브 사이트의 컨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측면에서는 중복 아이디 발생에 따른 아이디 변경 등의 번거로운 절차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하며, 콘텐츠 공급자 측면에서는 다수의 컨텐츠를 보유한 기업 또는 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 기업들 간의 경우 보다 손쉬운 데이터베이스의 공유와 통합 아이디 기술 적용으로 부가적인 수익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허브 사이트와 제휴 사이트 간 인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다른 일실시예 구성도,
도4a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제휴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프롬프트 페이지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b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통합 인증 정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5a 및 도5b는 도2의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6a 및 도6b는 도3의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7a 및 도7b는 도3의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허브 사이트 210 : 제휴 사이트A
220 : 제휴 사이트B 230 : 제휴 사이트C
240 : 통합 인증 서버 245 :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Claims (29)

  1. 다수의 제휴 사이트가 통합 인증 서버에 의해 통신 접속된 통합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로 저장하기 위한 수단;
    소정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정보가 입력(신규, 갱신 포함)될 경우, 새로운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통합 인증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갱신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각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여, 상기 통합 인증 서버와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 간에 통합 인증 정보를 동기화시키는 수단
    을 포함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통합 인증 서버.
  2. 다수의 제휴 사이트가 통합 인증 서버에 의해 통신 접속된 통합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로 저장하기 위한 수단;
    사용자가 접속된 제휴 사이트로부터 통합 인증을 요구할 경우, 기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증 결과를 해당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에서 통합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로부터 직접 혹은 다른 제휴 사이트를 경유하여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 유무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인증 결과)를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에서의 인증을 갈음토록 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통합 인증 서버.
  3. 다수의 제휴 사이트가 통합 인증 서버에 의해 통신 접속된 통합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로 저장하기 위한 수단;
    사용자가 접속된 제휴 사이트로부터 통합 인증을 요구할 경우, 기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증 결과를 해당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에서 통합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로부터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에서 자체 인증토록 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통합 인증 서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연계 정보는,
    적어도 현재 접속된 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통합 인증 서버.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인증 정보는,
    각 제휴 사이트를 식별할 수 있는 사이트명 필드를 추가하여 동일 사용자가 등록한 모든 사이트명과 그 사이트에 가입된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테이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통합 인증 서버.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휴 사이트에서는,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프롬프트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통합 인증 서버.
  7. 다수의 제휴 사이트가 통합 인증 서버에 의해 통신 접속된 통합 인증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휴 사이트간의 통합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로 저장하는 단계;
    소정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정보가 입력(신규, 갱신 포함)될 경우, 새로운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통합 인증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각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여, 상기 통합 인증 서버와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 간에 통합 인증 정보를 동기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인증 서버의 통합 인증 방법.
  8. 다수의 제휴 사이트가 통합 인증 서버에 의해 통신 접속된 통합 인증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휴 사이트간의 통합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로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접속된 제휴 사이트로부터 통합 인증을 요구할 경우, 기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증 결과를 해당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에서 통합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로부터 직접 혹은 다른 제휴 사이트를 경유하여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 유무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인증 결과)를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에서의 인증을 갈음토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인증 서버의 통합 인증 방법.
  9. 다수의 제휴 사이트가 통합 인증 서버에 의해 통신 접속된 통합 인증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휴 사이트간의 통합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로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접속된 제휴 사이트로부터 통합 인증을 요구할 경우, 기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증 결과를 해당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에서 통합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로부터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에서 자체 인증토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 인증 서버의 통합 인증 방법.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연계 정보는,
    적어도 현재 접속된 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인증 서버의 통합 인증 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인증 정보는,
    각 제휴 사이트를 식별할 수 있는 사이트명 필드를 추가하여 동일 사용자가 등록한 모든 사이트명과 그 사이트에 가입된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테이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인증 서버의 통합 인증 방법.
  12. 프로세서를 구비한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에,
    다수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로 저장하는 기능;
    사용자가 접속된 제휴 사이트로부터 통합 인증을 요구할 경우, 기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증 결과를 해당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에서 통합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로부터 직접 혹은 다른 제휴 사이트를 경유하여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 유무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인증 결과)를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에서의 인증을 갈음토록 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3. 프로세서를 구비한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에,
    다수의 제휴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로 저장하는 기능;
    사용자가 접속된 제휴 사이트로부터 통합 인증을 요구할 경우, 기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기초로 사이트명,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검색하고, 검색된 인증 결과를 해당 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에서 통합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해당 제휴 사이트로부터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다른 제휴 사이트에서 자체 인증토록 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4.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통합 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제1제휴 사이트에 있어서,
    소정 주기로 갱신되는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를 저장하는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사이트명 및 사용자 인증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입력받는 인증 정보 수신 수단;
    상기 사용자가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제2제휴 사이트로부터 상기 제2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와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 연계 정보 수신 수단;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 혹은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단; 및
    상기 제1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제3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제3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3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인증 연계 정보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제1제휴 사이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은,
    상기 시스템에 포함된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으로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소정 주기로 전송하여 상기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갱신시키고,
    상기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통합 인증 정보를 소정 주기로 수신하여 상기 통합 인증 정보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제1제휴 사이트.
  16.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통합 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제1제휴 사이트에 있어서,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사이트명 및 사용자 인증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가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제2제휴 사이트로부터 상기 제2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 정보 수신 수단;
    상기 제2제휴 사이트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 연계 정보 생성 수단;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 혹은 상기 인증 연계 정보를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통합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 및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를 기초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로그인 수단
    을 포함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제1제휴 사이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제3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제3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제1제휴 사이트.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제3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인증 연계 정보 생성 수단은,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제3제휴 사이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제1제휴 사이트.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인증 서버는,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로부터 각 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인증 정보를 갱신하는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 및
    상기 제1제휴 사이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혹은 상기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합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단
    을 포함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제1제휴 사이트.
  20.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 사이트에 로그인을 시도하는 사용자에 대한 통합 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제1제휴 사이트에 있어서,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사이트명 및 사용자 인증 정보(아이디, 패스워드)를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 정보 수신 수단;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검색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단;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를 기초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로그인 수단;
    상기 제1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제3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제3제휴 사이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 연계 정보 생성 수단;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 정보 혹은 상기 인증 연계 정보를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 수단
    을 포함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제1제휴 사이트.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인증 서버는,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로부터 각 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인증 정보를 갱신하는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
    상기 제1제휴 사이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수단; 및
    상기 제1제휴 사이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검색하여 상기 제3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제3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검색 수단
    을 포함하는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의 제1제휴 사이트.
  22. 제 14 항의 시스템에 의한 제1제휴 사이트에서의 통합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소정 주기로 전송하고, 소정 주기로 갱신되는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인증 정보 - 여기서, 통합 인증 정보는 모든 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한 정보(사이트명, 아이디, 패스워드)임 - 를 저장하는 전송 및 저장 단계;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사이트명 및 사용자 인증 정보(아이디, 패스워드)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전송 및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제1 인증 단계;
    상기 사용자가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제2제휴 사이트로부터 상기 제2 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와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송 및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제2 인증 단계; 및
    상기 제1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제3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송 및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통합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제3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3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인증 연계 정보 생성 및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제1제휴 사이트의 통합 인증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및 저장 단계는,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이 상기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으로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인증 정보를 소정 주기로 전송하여 상기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갱신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이 상기 통합 인증 데이터베이스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통합 인증 정보를 소정 주기로 수신하여 상기 통합 인증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제휴 사이트의 통합 인증 방법.
  24. 제 16 항의 시스템에 의한 제1제휴 사이트의 통합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롬프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제1 전송 단계;
    상기 사용자가 현재 로그인되어 있는 제2제휴 사이트로부터 상기 제2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된 경우 상기 제2제휴 사이트의 상기 인증 정보와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제2 전송 단계; 및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를 기초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를 포함하는 제1제휴 사이트의 통합 인증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제3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제3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제휴 사이트의 통합 인증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제3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제3제휴 사이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제휴 사이트의 통합 인증 방법.
  27. 제 24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인증 서버가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로부터 각 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인증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제휴 사이트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또는 상기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갱신된 통합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제휴 사이트의 통합 인증 방법.
  28. 제 20 항의 시스템에 의한 제1제휴 사이트의 통합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제1 전송 단계;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인증 결과를 기초로 로그인을 수행하는 로그인 단계;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신된 경우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제1제휴 사이트에 로그인되어 있는 사용자가 제3제휴 사이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경우에, 상기 제1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제3제휴 사이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연계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합 인증 서버로 전송하는 제2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제1제휴 사이트의 통합 인증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인증 서버가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로부터 각 제휴 사이트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제휴 사이트 전체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인증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송 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갱신된 통합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송 단계에서 전송된 상기 인증 연계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갱신된 통합 인증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제3제휴 사이트의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상기 제3제휴 사이트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제휴 사이트의 통합 인증 방법.
KR10-2002-0022919A 2001-04-27 2002-04-26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96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23092 2001-04-27
KR1020010023092 2001-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481A KR20020083481A (ko) 2002-11-02
KR100496154B1 true KR100496154B1 (ko) 2005-06-20

Family

ID=2770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919A KR100496154B1 (ko) 2001-04-27 2002-04-26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1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096B1 (ko) 2010-08-31 2015-04-29 히데하루 오가와 통신 장치, 리마인더 장치 및 정보 기록 매체
KR20180037851A (ko) * 2016-10-05 2018-04-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559B1 (ko) * 2002-10-14 2009-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0964086B1 (ko) * 2003-06-10 2010-06-16 주식회사 케이티 고객 id 관리시스템에서의 고객 id 등록방법
KR101022373B1 (ko) * 2004-01-29 2011-03-22 주식회사 케이티 중복 사용자 계정을 허용하는 로그인 시스템과 사용자계정 등록 방법 및 등록된 사용자의 인증 방법
KR100773788B1 (ko) * 2006-03-27 2007-11-12 (주)엔텔스 선불 사용자를 위한 유무선 연동 서비스 통합인증 방법,시스템 및 서버
KR20070110779A (ko) * 2006-05-15 2007-11-20 김성주 통합 인증 방법 및 통합인증서버
KR101297166B1 (ko) * 2006-10-23 2013-08-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생체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과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42484B1 (ko) * 2008-12-19 2011-06-16 주식회사 케이티 단일 로그인 및 로그아웃을 위한 서비스 연계 장치 및 그 방법
JP5620781B2 (ja) * 2010-10-14 2014-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76297B1 (ko) 2012-03-16 2018-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서명 검증 장치 및 방법
KR101397179B1 (ko) * 2013-09-05 2014-05-19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온라인 헌금 기부 서비스 제공 방법
CN108009207A (zh) * 2017-11-06 2018-05-08 东软集团股份有限公司 增量数据查询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WO2020136722A1 (ja) 2018-12-25 2020-07-02 パスロジ株式会社 リモコンシステム、リモコン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0357A (ja) * 1997-05-16 1998-12-04 Pfu Ltd ユーザ認証システムにおける認証サーバおよびその認証方法およびその記録媒体
JPH11149451A (ja) * 1997-11-14 1999-06-02 Fujitsu Ltd 複数サーバ間のid共有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複数サーバ間のid共有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及び管理装置及び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100209355B1 (ko) * 1996-10-17 1999-07-15 이계철 단일계정을 이용한 다수 정보제공자로의 접속 방법
KR20000058580A (ko) * 2000-06-15 2000-10-05 홍장표 인터넷상에서 개인정보의 통합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구축 및 운영방법
KR20010018983A (ko) * 1999-08-24 2001-03-15 오영필 인터넷 로그인 포털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36892A (ko) * 1999-10-12 2001-05-07 김선기 인증서버를 이용한 인터넷에서의 이용자 인증방법 및 서비스 제공방법
KR20010084706A (ko) * 2000-02-28 2001-09-06 박준호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들의 통합 방법
KR20020013352A (ko) * 2000-08-09 2002-02-20 정한수 확장 id를 이용한 웹사이트들 사이의 회원 인증 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응용한 마일리지 중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355B1 (ko) * 1996-10-17 1999-07-15 이계철 단일계정을 이용한 다수 정보제공자로의 접속 방법
JPH10320357A (ja) * 1997-05-16 1998-12-04 Pfu Ltd ユーザ認証システムにおける認証サーバおよびその認証方法およびその記録媒体
JPH11149451A (ja) * 1997-11-14 1999-06-02 Fujitsu Ltd 複数サーバ間のid共有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複数サーバ間のid共有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及び管理装置及び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010018983A (ko) * 1999-08-24 2001-03-15 오영필 인터넷 로그인 포털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36892A (ko) * 1999-10-12 2001-05-07 김선기 인증서버를 이용한 인터넷에서의 이용자 인증방법 및 서비스 제공방법
KR20010084706A (ko) * 2000-02-28 2001-09-06 박준호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들의 통합 방법
KR20000058580A (ko) * 2000-06-15 2000-10-05 홍장표 인터넷상에서 개인정보의 통합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구축 및 운영방법
KR20020013352A (ko) * 2000-08-09 2002-02-20 정한수 확장 id를 이용한 웹사이트들 사이의 회원 인증 방법 및시스템과 이를 응용한 마일리지 중계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096B1 (ko) 2010-08-31 2015-04-29 히데하루 오가와 통신 장치, 리마인더 장치 및 정보 기록 매체
US9705874B2 (en) 2010-08-31 2017-07-11 Hideharu Ogawa Communication apparatus, reminder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10375061B2 (en) 2010-08-31 2019-08-06 Hideharu Ogawa Communication apparatus, reminder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20180037851A (ko) * 2016-10-05 2018-04-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KR101908712B1 (ko) * 2016-10-05 2018-10-1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481A (ko) 200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4340B2 (ja) システム、認証情報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742903B2 (ja) 分散認証システム及び分散認証方法
KR100496154B1 (ko)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9021570B2 (en) System, control method therefor, service providing apparatus, relay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5918009A (en) Technique for sharing information on world wide web
JP3493141B2 (ja) ゲートウェイ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JP4186987B2 (ja) データベースアクセス制御方法、データベースアクセス制御装置、データベースアクセス制御の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EP1964021B1 (en) Secure identity management
EP21795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JP528948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3137173B2 (ja) 認証情報管理装置
JP4847483B2 (ja) 個人属性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個人属性情報提供方法
JP4932154B2 (ja) アイデンティティ管理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ユーザーの認証をメンバーサイトに与える方法及びシステム、アイデンティティ管理ネットワークに属するホームサイトでユーザーの認証を行う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媒体、ならびに、階層的分散アイデンティティ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
EP1436966B1 (en) A method of providing an access request to a same server based on a unique identifier
US20050086213A1 (en)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product therefor
KR20020028297A (ko) 통합 아이디 관리 서비스 방법
US20030163707A1 (e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010087479A (ko)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방법및 시스템
JP6840505B2 (ja) 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装置、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35743A (ja) アクセス制御装置、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69168B2 (ja) ネットワーク運用監視システム、マネージャ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運用監視方法
Cisco User Databases
JP2000172645A (ja) サーバコンピュータ及びサーバコンピュータにおける認証情報管理方法
JP4641840B2 (ja) アクセス制御装置、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312320A (ja) 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及びアクセス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