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559B1 -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559B1
KR100885559B1 KR1020020062365A KR20020062365A KR100885559B1 KR 100885559 B1 KR100885559 B1 KR 100885559B1 KR 1020020062365 A KR1020020062365 A KR 1020020062365A KR 20020062365 A KR20020062365 A KR 20020062365A KR 100885559 B1 KR100885559 B1 KR 100885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assword
authentication code
authentic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982A (ko
Inventor
문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2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559B1/ko
Priority to US10/681,121 priority patent/US7809947B2/en
Publication of KR20040035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e.g. re-encrypting a decrypted video stream for redistribution in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증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방송에서 단순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증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에서 사용자가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일일히 입력하지 않고 단순한 사용자 인증 코드를 개개인마다 입력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인증 코드와 함께 한번만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동일하게 상기 인증 코드만 입력하면 사용자 인증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짧은 시간내에 인증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하며 복잡한 키 조작 없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므로 중장년층의 데이터 방송 참여도를 높일 수 있다.
데이터 방송, 사용자 인증, 인증 코드, 아이디, 패스워드

Description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 {user certificate method of data broadcast}
도 1은 종래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의 인증을 위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하는 방식의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리모콘의 '코드 기억'키를 입력하였을 때 사용자 인증을 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로서,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 시청중에 사용자 인증을 받는 과정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셋톱 박스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정보를 보여주는 테이블의 일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리모콘의 '코드 단축'키를 입력하였을 때 사용자 인증을 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인증 코드를 입력하였을 때 사용자 본인임을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로서,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 시청중에 사용자 인증을 받는 과정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증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방송에서 단순한 인증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젼이란 디지털로 전송하는 텔레비젼 방송의 총칭을 말한다. 미국에선 ATV(Advanced television)라 불리는 차세대 텔레비젼에 디지털 방식을 채택하기로 결정했으며, 유럽에서는 스웨덴 방송 등의 HD DIVINE, 영국의 SPECTRE, 프랑스 방송의 DIAMOND 등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등 디지털 텔레비젼은 B-ISDN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와 연동한 차세대 텔레비젼 방식으로 각국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텔레비젼 방송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에서 전송되는 스트림(stream)은 영상/음성 신호와 함께 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음성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데이터 정보는 ATVEF(Advanced Television Enhancement Forum)의 HTML, DASE(Digital 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의 XDML과 같은 마크업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정보와, DASE의 Xlet과 같은 자바 기반의 데이터 정보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에서는 종래의 아날로그 텔레비젼에서 방송되었던 영상이나 음성 외에도 여러가지 형식의 데이터를 방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을 대비해서 많은 업체들이 디지털 방송과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젼을 이용하여 다양한 데이터 방송용 서 비스들을 활발하게 만들고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의 특징 중 하나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이며, 이에 따라 많은 방송 서비스들은 시청자가 실시간으로 방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퀴즈 프로그램이나 홈쇼핑 프로그램, 시청자 의견을 묻는 여론 조사 프로그램 등 기존에 전화로만 가능했던 기능들이 이제는 디지털 텔레비젼을 이용한 데이터 방송으로 직접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때, 데이터 방송을 송출하는 방송사는 사용자의 참여에 대해 일정한 피드백을 주기 위해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의 인증을 위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하는 방식의 일 실시예이다.
(a)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칸이 세로로 구성되어 있는 모양이다.
(b)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칸이 가로로 구성되어 있는 모양이다.
상기 아이디를 입력하고 난 후에 리모콘의 방향키 또는 소정의 입력을 취하여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확인'키를 입력한다.
종래에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5자리 이상의 아이디와 6~8 자리 이상의 패스워드를 필요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아이디를 입력하기 위해서 리모콘으로 영문자를 입력하고 포커스를 움직이고 또 다시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확인 키를 눌러야 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만 상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방송국으로 보내서 사용자를 인증하게 된다.
이는 실제 데이터 방송중에 시청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하고자 할 때마다 매번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되므로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함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 리모콘으로 상당히 긴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일일히 입력하기 위해서는 매우 긴 시간이 소요되게 되며 이는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서 빨리 인증받고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 예를 들어, 홈쇼핑 프로그램이나 여론 조사 프로그램과 같은 데이터 방송의 경우에는 중장년층의 사용자가 많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종래와 같은 리모콘의 키 조작은 익숙하지 못한 중장년층의 사용자들에게는 어려움을 느끼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참여도가 떨어질 수 있어 데이터 방송 활성화에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증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에서 사용자가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일일히 입력하지 않고 단순한 사용자 인증 코드를 개개인마다 입력하여 저장함으로써 처음 시작하는 프로그램에서 상기 인증 코드와 함께 한번만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동일하게 인증 코드만 입력하면 사용자 인증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순한 사용자 인증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코드 기억'키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모든 프로그램에서 동일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동일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한다고 판단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입력 순서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동일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현재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EPG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입력 순서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순서와 인증 코드와 프로그램 EPG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 순서는 설정된 '코드 기억'키가 입력되고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된 후 사용자가 '확인' 또는 '완료'키를 입력하기까지의 연속적인 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사용자가 모든 프로그램에 대해서 동일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도록 설정하였는지 여부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코드 단축'키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인증 코드를 입력하면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인증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코드가 저장되어 있으면 현재 프로그램의 EPG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EPG 정 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모든 프로그램에 동일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사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증 코드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EPG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고 모든 프로그램에 동일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사용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기록이 없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EPG 정보가 저장되어 있거나 모든 프로그램에 동일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사용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의 인증 코드임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코드를 확인하여 현재 프로그램에 대해서 자동 인증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으며, 이로써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이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리모콘의 '코드 기억'키를 입력하였을 때 사용자 인증을 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로서,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 시청중에 사용자 인증을 받는 과정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 시청중에 현재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인증을 요구할 경우에, 상기 사용자는 리모콘에 구비되어 있는 설정된 '코드 기억'키를 입력한다(S100).
상기 '코드 기억'키가 입력되면 (a)와 같이 사용자 인증을 필요로 하는 모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 동일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할 것인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판단하여 선택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소정의 키 입력으로 '예' 키를 입력하게 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모든 입력 시퀀스가 셋톱 박스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S130).
만일, 사용자가 소정의 키 입력으로 '아니오'키를 입력하게 되면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의 EPG 정보를 추출하여 셋톱 박스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S120) 사용자가 어떤 프로그램에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저장시켰는지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는 모든 입력 시퀀스는 (b)에서와 같이 아이디 입력과 패스워드 입력과 '확인'키 입력 시퀀스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는 입력 시퀀스는 사용자가 입력한 '코드 기억'키를 누름으로써 시작되고 사용자가 '확인' 또는 '완료'와 같은 사전에 약정된 키를 누름으로써 종료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 시퀀스를 저장하고 난 후에는 사용자가 인증 코드를 입력하도록 한다(S140).
(c)의 실시예와 같이, '인증 코드를 입력하세요'라는 문구와 함께 입력 공간이 주어진다.
상기 인증 코드는 1~4 자리 정도의 숫자를 조합, 이용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인증 코드는 여러 사람이 같은 TV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사용자마다 각각 인증 코드를 부여하도록 하고, 같은 인증 코드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인증 코드의 변경을 사용자에게 요구한다.
상기 인증 코드 입력 단계에서 '확인'키를 입력하면 셋톱 박스의 데이터 베 이스에 저장(S150)하고 종료한다.
상기에서 언급하였듯이, 상기 셋톱 박스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사용자가 모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 동일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사용하기로 하였는지 여부와 프로그램 EPG 정보와 사용자의 인증 코드와 사용자가 입력한 모든 입력 시퀀스가 저장된다.
도 4는 상기 셋톱 박스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정보를 보여주는 테이블의 일 실시예이다.
상기 테이블에는 사용자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저장한 프로그램에 대한 EPG 정보(예 : LG 홈쇼핑 등)와 사용자의 인증 코드(예 : 3246)와 사용자가 '코드 기억'키를 누르고 난 뒤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난 후 '확인'키 또는 '완료'키를 눌러서 저장한 일련의 사용자 입력 시퀀스(2185...12570..)가 저장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리모콘의 '코드 단축'키를 입력하였을 때 사용자 인증을 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로서,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 시청중에 사용자 인증을 받는 과정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사용자의 인증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방송을 시청할 때,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구하면 '코드 단축'키를 입력한다(S200).
상기 '코드 단축'키를 입력하면 (a)와 같이 예를 들어, '인증 코드를 입력하 세요'라는 문구와 함께 사용자 인증 코드 입력 공간이 주어진다.
사용자가 1~4 자리의 숫자로 구성되어지는 자신의 인증 코드를 상기 입력 공간에 입력한다(S210).
상기 인증 코드 입력 후, 셋톱 박스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용자 본인임이 인증되면 자동 인증이 실행된다(S220).
즉, 사용자의 인증 코드와 함께 저장되어졌던 사용자의 입력 시퀀스가 자동으로 실행되면서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자동으로 입력되고 사용자임이 인증되게 된다.
도 6은 상기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에서 셋톱 박스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용자 본인임을 인증하는 단계에 대한 상세한 순서도이다.
일단, 사용자가 인증 코드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인증 코드가 셋톱 박스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색하여 판단한다(S211).
상기 판단 단계에서 사용자 인증 코드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으면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의 EPG 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한다(S212).
또는, 상기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의 EPG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이전에 모든 프로그램에 대해서 동일한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사용되도록 설정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3).
상기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의 EPG 정보가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자가 모든 프로그램에 대해서 동일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도록 설정하였다면 사용자의 인증 코드와 함께 저장되어졌던 사용자의 입력 시퀀스가 자동으로 실행되면서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자동으로 입력되고 사용자임이 인증되게 된다(S214).
그러나, 사용자의 인증 코드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의 EPG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고 사용자가 모든 프로그램에 동일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도록 설정하지 않았다면 해당 기록이 없음을 화면에 표시한다(S215).
즉,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인증 코드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b)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입력하신 인증 코드가 저장되어 있지 않습니다'라는 문구가 디스플레이된다.
또는, 상기 사용자의 인증 코드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다 하더라도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의 EPG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고 사용자가 이전에 모든 프로그램에 대해서 동일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도록 설정하지도 않았다면 (c)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현재 프로그램에 대한 기록이 저장되어 있지 않습니다'라는 문구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같은 프로그램에서 같은 사용자가 다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이전의 기록은 자동 삭제되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안에서 다양한 변형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인증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때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일일히 입력하지 않고도 단순한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인증 코드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짧은 시간내에 인증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 절약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하고 긴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는데에 큰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들 예를 들면, 중장년층으로 하여금 보다 쉽게 데이터 방송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데이터 방송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코드 기억'키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모든 프로그램에서 동일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동일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한다고 판단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입력 순서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동일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현재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EPG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입력 순서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순서와 인증 코드와 프로그램 EPG 정보를 사용자별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순서는 설정된 '코드 기억'키가 입력되고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된 후 사용자가 '확인' 또는 '완료'키를 입력하기까지의 연속적인 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사용자가 모든 프로그램에 대해서 동일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도록 설정하였는지 여부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
  4.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코드 단축'키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인증 코드를 입력하면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인증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코드가 저장되어 있으면 현재 프로그램의 EPG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EPG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모든 프로그램에 동일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사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증 코드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EPG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고 모든 프로그램에 동일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사용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기록이 없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EPG 정보가 저장되어 있거나 모든 프로그램에 동일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사용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의 인증 코드임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 코드를 확인하여 현재 프로그램에 대해서 자동 인증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 인증 방 법.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인증코드를 입력하는 단계에서,
    서로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인증코드를 입력하면 상기 인증코드의 변경을 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 인증방법.
KR1020020062365A 2002-10-14 2002-10-14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 KR100885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365A KR100885559B1 (ko) 2002-10-14 2002-10-14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
US10/681,121 US7809947B2 (en) 2002-10-14 2003-10-09 User certificate system and method for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365A KR100885559B1 (ko) 2002-10-14 2002-10-14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982A KR20040035982A (ko) 2004-04-30
KR100885559B1 true KR100885559B1 (ko) 2009-02-24

Family

ID=32709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365A KR100885559B1 (ko) 2002-10-14 2002-10-14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09947B2 (ko)
KR (1) KR100885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10553A (ja) * 2007-06-14 2008-12-25 Panasonic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CN102256178B (zh) * 2011-07-13 2013-03-20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机顶盒的认证方法、证书代理终端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609A (ko) * 1997-09-13 1999-04-06 전주범 인터넷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서의 패스워드 관리 방법
KR20000064160A (ko) * 2000-08-25 2000-11-06 정경호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 번호의 관리 및로그-인 과정을 대행해 주는 방법
KR20000072187A (ko) * 2000-08-14 2000-12-05 지헌민 네트워크 인증 단일화를 위한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KR20010109583A (ko) * 2000-05-30 2001-12-12 안희성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입력 관리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20083481A (ko) * 2001-04-27 2002-11-02 주식회사 케이티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81781C (en) * 1995-07-26 2000-02-29 Seiji Iwafune Television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s and server system for constructing the television system
US6574670B1 (en) * 1997-07-14 2003-06-03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Electronic mail-capable communications terminal device and electronic mail communications method
US6631404B1 (en) * 1998-09-11 2003-10-07 Lv Partners, L.P.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a contest using a network
EP1192721B1 (de) * 1999-07-06 2006-11-08 Swisscom Mobile AG Tragbarer rundfunkempfänger mit einem identifizierungsmodul
FR2813737B1 (fr) * 2000-09-05 2003-05-16 Thomson Multimedia Sa Procede de verrouillage ou deverrouillage d'un service sur un recepteur numerique d'emissions audiovisuelles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u procede
US20060101504A1 (en) * 2004-11-09 2006-05-11 Veveo.Tv, Inc.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searches for television content and channels using a non-intrusive television interface and with reduced text inpu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609A (ko) * 1997-09-13 1999-04-06 전주범 인터넷 기능을 갖는 텔레비전에서의 패스워드 관리 방법
KR20010109583A (ko) * 2000-05-30 2001-12-12 안희성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입력 관리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000072187A (ko) * 2000-08-14 2000-12-05 지헌민 네트워크 인증 단일화를 위한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KR20000064160A (ko) * 2000-08-25 2000-11-06 정경호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 번호의 관리 및로그-인 과정을 대행해 주는 방법
KR20020083481A (ko) * 2001-04-27 2002-11-02 주식회사 케이티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39323A1 (en) 2004-07-15
KR20040035982A (ko) 2004-04-30
US7809947B2 (en) 201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4027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mitting a potential viewer to view a desired program
KR100480968B1 (ko) 수신장치및표시제어방법
CA2388668C (en) Interactive television targeted message system
US201803381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arental control features in video mosaic environments
JP4475915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50023206A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및 프로그램
US20060271996A1 (en)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related information to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EP1387575A1 (en) Broadcast program processing apparatus, computer system, broadcast program evalu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RU2554122C2 (ru) Управление доступом пользователя к мультимедийному контенту
WO20141519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user settings to another user receiving device using a mobile user device
US20020184631A1 (en) Subscriber self-provisioning via a set-top box
US20020180781A1 (en) Web-based content on an electronic program guide
CN101779448A (zh) 接收广播节目的设备和显示喜爱频道的方法
KR100885559B1 (ko) 데이터 방송에서 사용자 인증 방법
JP2015007987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3568352B2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
US20020199184A1 (en) Real-time monitoring and blocking of content
JP2005532758A (ja) コンテンツアイテムの再生の条件付ブロック処理
KR20010085033A (ko) 전자카드를 이용한 홈쇼핑 자동화 장치 및 방법
JP2005151098A (ja) 視聴情報収集方法、視聴情報収集システム
KR20060005831A (ko)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셋탑 박스 및 사용자 인증 방법
CN117998108A (zh) 直播节目的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A2387638A1 (e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s with live customer service
US2023039662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services, associated methods and associated devices
JP2000115747A (ja) 双方向テレビシステム、テレビ受信機及び双方向テレビシステムにおける応答情報転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